KR20010084601A - 환편직물의 주름제거기 - Google Patents

환편직물의 주름제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4601A
KR20010084601A KR1020000009777A KR20000009777A KR20010084601A KR 20010084601 A KR20010084601 A KR 20010084601A KR 1020000009777 A KR1020000009777 A KR 1020000009777A KR 20000009777 A KR20000009777 A KR 20000009777A KR 20010084601 A KR20010084601 A KR 20010084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tank
hot water
water tank
wrinkle rem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9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0010B1 (ko
Inventor
장익순
Original Assignee
장익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익순 filed Critical 장익순
Priority to KR1020000009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0010B1/ko
Priority to KR2020000006326U priority patent/KR200192563Y1/ko
Publication of KR20010084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4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0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00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9/00Treatment of textil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17/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조공정에서 직조된 환편직물의 주름제거기에 관한 것으로, 신축성이 양호한 스판원단의 염색공정전에 주름제거를 목적으로 스팀 또는 뜨거운 물로 열처리시 원단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프레임역할을 하는 본체(4)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온수가 담겨지는 온수탱크(5)와, 상기 온수탱크에 연결되어 온수탱크내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관(6)과, 상기 온수탱크내의 물을 원하는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온수탱크의 내부에 다단으로 설치되어 원단(2a)에 이송력을 부여하는 구동로울러(10)와, 상기 온수탱크의 원단 인입경로상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원단을 원통형상으로 펼쳐주는 튜브 가이더(11)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환편직물의 주름제거기 {Crease Remover in Tubular Fabrics}
본 발명은 직조공정에서 직조된 환편직물의 주름제거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신축성이 양호한 스판원단의 염색공정전에 주름제거를 목적으로 스팀 또는 뜨거운 물로 열처리시 원단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그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직조공정에서 환편으로 직물된 원단을 개폭하여 펼친 상태에서 펼쳐진 원단이 팽팽해지도록 양단을 고정시킨 다음 수평 이동시키는 이송트랙(1)과, 상기 이송트랙의 이송경로상에 설치되어 뜨거운 스팀을 이동하는 원단(2)의 상,하방에서 분사하여 직조공정 및 운반공정에서 발생된 주름이 펼쳐지도록 하는 스팀 공급부(3)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환편으로 직조된 원단의 일측을 작업자가 개폭한 상태에서 펼쳐진 원단(2)의 양단을 이송트랙(1)에 클램핑한 다음 상기 이송트랙을 가동시킴과 동시에 이동하는 원단의 상,하방에서 스팀 공급부(3)로부터 약 160 - 180℃정도로 뜨거운 스팀을 분사하면 신축성이 양호한 원단(2)이 수축됨과 동시에 주름이 제거된다.
상기한 작업으로 원단(2)의 주름을 제거하고 나면 개폭되어 있던 원단을 다시 개폭하기 전상태로 재봉한 다음 염색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이 환편원단을 개폭하여 주름을 펼치는 이유는 개폭하지 않은 상태에서 주름을 펼칠 경우에는 나머지부위의 주름은 펼쳐지는 반면, 접혀진 부위(양단)에서는 주름이 발생되기 때문이고, 주름을 제거한 다음 개폭하였던 원단(2)을 다시 개폭전과 같이 재봉하는 이유는 개폭한 상태로 염색공정을 실시하면 개폭된 원단의 양단이 말려 염색에 따른 색상의 균일도가 저하되기 때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주름제거기는 환편직물을 개폭하여 주름을 제거한 다음 다시 재봉하여야 되었으므로 생산성이 현저히 저하되었음은 물론 작업공정의 추가로 인해 생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직조된 원단(2)에 뭍어 있던 이물질을 제거하지 않고 주름만이 펼쳐진 상태에서 염색공정을 거치게 되므로 염색의 균일도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원단을 개폭하지 않은 환편상태에서 이송시키면서 스팀 및 뜨거운 물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주름을 제거할 수 있는 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주름제거기를 일부 단면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튜브 가이더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A - 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 : 본체 5 : 온수탱크
8 : 스팀관 9 : 온수순환관
10 : 구동로울러 11, 11a : 튜브 가이더
23a, 23b :스팀관 장착부재 24a, 24b : 스팀관
27, 28, 35, 36 : 에어공급관 30 : 약품탱크
31 : 세정탱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프레임역할을 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온수가 담겨지는 온수탱크와, 상기 온수탱크에 연결되어 온수탱크내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관과, 상기 온수탱크내의 물을 원하는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온수탱크의 내부에 다단으로 설치되어 원단에 이송력을 부여하는 구동로울러와, 상기 온수탱크의 원단 인입경로상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원단을 원통형상으로 펼쳐주는 튜브 가이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편직물의 주름제거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주름제거기를 일부 단면으로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튜브 가이더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프레임역할을 하는 본체(4)에 상부가 개방된 온수탱크(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온수탱크의 일측에는 온수탱크내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관(6)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물공급관의 반대편에는 온수탱크(5)내의 물을 오버 플로우시키기 위한 드레인관(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온수탱크(5)의 바닥면에는 담겨진 물을 원하는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수단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가열수단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온수탱크(5)의 바닥면 양측에 설치되어 고온의 스팀을 온수탱크(5)내의 물로 분사하여 물을 직접 가열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스팀관(8)과, 상기 스팀관의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온수를 연속적으로 순환시키면서 물을 간접적으로 가열하는 온수순환관(9)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온수탱크(5)의 바닥면에 근접되게 설치되는 가열수단의 상측으로는 원단(2a)에 이송력을 부여하는 구동로울러(10)가 다단으로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구동로울러(10)의 외주면에는 원단(2a)의 이송시 원단과의 슬립(Slip)을 방지하기 위한 로렛(도시는 생략함)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온수탱크(5)의 원단 인입경로상에는 이송되는 원단(2a)을 원통형상으로 펼쳐주도록 상광하협된 튜브 가이더(11)가 물의 부력에 의해 뜨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튜브 가이더(11)의 양측으로는 튜브 가이더(11)가 양측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한 쌍의 고무로울러(12)가 위치조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튜브 가이더(11)의 저면 양측에는 튜브 가이더(11)를 통과한 원단(2a)이 오므러지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로울러(13)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 상기 튜브 가이더(11)의 좌우유동을 방지하는 고무로울러(12)는 핸들(14)의 회전에 따라 동시에 벌어지거나, 오므러들도록 구성되어 있어 튜브 가이더(11)의 위치를 미세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원단(2a)을 원통형상으로 벌려주는 튜브 가이더(11)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내부에 물과 같은 유체가 담겨지고 저면에는 "V"형상의 경사면(15a)이 구비된 탱크(15)와, 상기 탱크의 상측에 고정되어 접혀져 있던 환편원단(2a)이 양호하게 벌어지도록 안내하는 안내부재(1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조를 갖는 튜브 가이더(11)를 단일형상으로 형성하여도 되지만, 열처리하는 원단(2a)의 크기에 따라 폭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도록 탱크(15)를 분할 형성하고 분할 형성된 탱크사이에는 간격조절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간격조절수단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4 및 도 5에나타낸 바와 같이 2개로 분할 형성된 탱크(15)에 나사산이 반대가 되게 형성되어 나사 결합된 리드스크류(17a)(17b)와, 상기 리드스크류의 중간지점에 고정된 스프라켓(18a)(18b)과, 상기 스프라켓에 감겨진 체인(19)과, 상기 리드스크류중 일측의 리드스크류(17a)에 고정된 핸들(20)과, 상기 탱크사이에 끼워져 탱크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바(21)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탱크(15)의 양측면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단(2a)의 이송을 안내하는 보조로울러(22)를 복수개 설치하는 것이 원단(2a)의 이송시 마찰저항을 줄이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따라서 열처리하고자 하는 원단(2a)의 폭에 따라 핸들(20)을 회전시키면 상기 리드스크류(17a)(17b)에 고정된 스프라켓(18a)(18b)에 체인(19)이 감겨져 있어 분할 형성된 탱크(15)사이의 간격이 도 5에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좁아지거나, 멀어지게 되는데, 이 때 상기 탱크(15)는 한 쌍의 가이드바(21)에 의해 수평 이동하게 된다.
상기 온수탱크(5)내에 설치되는 튜브 가이더(11)의 상측에 위치하는 본체(4)상에 상,하로 나란히 스팀관 장착부재(23a)(23b)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팀관 장착부재에는 이송되는 환편원단(2a)의 양측에 위치되게 복수개의 노즐(도시는 생략함)이 고정된 스팀관(24a)(24b)이 설치되어 있다.
이 때, 본체(4)에 상,하로 나란히 설치된 스팀관 장착부재(23a)(23b)중 상측에 위치하는 스팀관 장착부재(23a)는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팀관 장착부재의 하부에는 스팀관 장착부재의 회동량을 제어하는 스토퍼(25)가 설치되어있어 필요에 따라 상기 스팀관 장착부재(23a)를 고정레버(26)의 회동에 따라 일점쇄선과 같이 상측으로 회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하측에 위치하는 스팀관 장착부재(23b)는 본체(4)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장공(도시는 생략함)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스팀관 장착부재를 체결부재(도시는 생략함)로 체결하도록 되어 있다.
이는, 튜브 가이더(11)의 유지 보수를 위해 상기 튜브 가이더를 온수탱크(5)로부터 분리시킬 때, 상측의 스팀관 장착부재(23a)는 고정레버(26)의 록킹상태를 해제시킨 다음 상측으로 회동시키고, 하측에 위치하는 스팀관 장착부재(23b)는 체결부재를 약간 푼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튜브 가이더(11)의 인출시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상측의 스팀관 장착부재(23a)는 사각틀형태로 구성하여도 되지만, 하측에 위치하는 스팀관 장착부재(23b)는 일측이 개방된 "??"형상으로 구성하여야 된다.
이와 같이 온수탱크(5)의 상측에 위치되는 환편원단(2a)의 이송경로상에 스팀관(24a)(24b)을 설치한 이유는 온수탱크(5)의 내부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뜨거운 물에 의해 원단(2a)에 발생된 주름을 펼치기 전에 고온의 스팀을 이용하여 발생된 주름을 보다 확실하게 펼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온수탱크(5)에 설치되는 튜브 가이더(11)의 하방에 에어공급관(27)이 설치되어 튜브 가이더(11)를 통과하는 원단(2a)의 내부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이송되는 원단과 튜브 가이더(11)와의 마찰력을 최소화하도록 되어있고 상기 온수탱크(5)에서 열처리된 환편원단(2a)의 송출측 최하방에도 에어공급관(28)이 설치되어 온수탱크(5)를 통과하면서 주름이 펼쳐진 원단이 송출되는 과정에서 주름이 발생되지 않도록 압축공기를 분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에어공급관(28)을 통해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펼쳐지는 원단(2a)은 온수탱크(5)의 상측에 설치된 가이더로울러(29)에 의해 과잉 펼쳐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온수탱크(5)의 상측에는 열처리시 직조공정중에 원단에 뭍어 있던 기름 등과 같은 이물질을 보다 확실히 제거할 수 있도록 온수탱크(5)측으로 세제를 투입하기 위한 약품탱크(30)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온수탱크(5)의 일측에 열처리 완료된 원단(2a)을 세정하기 위한 물이 담겨지는 세정탱크(31)와, 상기 세정탱크에 연결되어 세정탱크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관(32)과, 상기 물공급관의 반대편에 위치되게 연결되어 세정탱크(31)내의 물을 오버플로우시키는 드레인관(33)과, 상기 세정탱크의 원단 인입경로상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원단을 원통형상으로 펼쳐주는 튜브 가이더(11a)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온수탱크(5)를 통과시키면서 열처리한 원단(2a)으로부터 이물질을 더욱 깨끗하게 세정함과 동시에 약품탱크(30)로부터 세제를 투입한 경우에도 원단에 뭍어 있던 잔류 세제를 제거하여 후공정에서 염색을 실시할 때, 염색의 균일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때, 상기 세정탱크(31)에 연결되는 드레인관(33)을 온수탱크(5)의 물공급관(6)과 연결하고 이들의 연결지점에 개폐밸브(34)를 설치하면 온수탱크(5)에 깨끗한 물을 공급하지 않고도 원단(2a)을 세정하고 난 세정탱크(31)내의 물이 온수탱크(5)측으로 공급되므로 물의 사용량을 1/2로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세정탱크(31)의 원단 인입경로상도 온수탱크(5)와 마찬가지로 이송되는 원단(2a)을 원통형상으로 펼쳐주도록 상광하협된 튜브 가이더(11a)가 설치되어 있는데, 그 구성이 온수탱크(5)에 설치된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세정탱크(31)에 설치되는 튜브 가이더(11a)의 하방에 에어공급관(35)이 설치되어 튜브 가이더(11a)를 통과하는 원단(2a)의 내부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이송되는 원단과 튜브 가이더(11a)와의 마찰력을 최소화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세정탱크(31)에서 열처리된 환편원단(2a)의 송출측 최하방에도 에어공급관(36)이 설치되어 주름이 펼쳐진 원단이 송출되는 과정에서 주름이 발생되지 않도록 압축공기를 분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에도, 상기 에어공급관(36)을 통해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펼쳐지는 원단(2a)은 세정탱크(31)의 상측에 설치된 가이더로울러(37)에 의해 과잉 펼쳐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38)은 온수탱크(5)로 유입되는 원단(2a)에 이송력을 부여하는 로울러, (39)은 상기 로울러를 구동시키는 제 1 모터, (40)은 온수탱크에서 송출된 원단에 이송력을 부여하는 로울러, (41)은 상기 로울러를 구동시키는 제 2 모터, (42)은 세정탱크(31)에서 송출된 원단에 이송력을 부여하는 로울러, (43)은상기 로울러를 구동시키는 제 3 모터, (44)은 로울러(40)(42)사이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원단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수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열처리하고자 하는 원단(2a)을 이송경로상에 로딩시킨 상태에서 세정탱크(31)의 물공급관(32)을 통해 물을 공급하여 상기 세정탱크내에 물을 가득 채우면 상기 세정탱크(31)내에 채워진 물이 드레인관(33)을 통해 온수탱크(5)와 연결된 물공급관(6)을 통해 온수탱크(5)측으로 공급된다.
이 때, 상기 드레인관(33)과 물공급관(6)상에 설치된 개폐밸브(34)는 개방된 상태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온수탱크(5)내에 물이 가득 채워져 드레인관(7)을 통해 오버플로우되면 온수탱크(5)의 바닥면에 설치된 스팀관(8)과 온수순환관(9)을 통해 스팀 및 온수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므로 온수탱크(5)내의 물이 설정된 온도까지 뜨거워지게 된다.
한편, 스팀관 장착부재(23a)(23b)상에 설치된 스팀관(24a)(24b)을 통해 원단(2a)의 양측면으로 고온의 스팀이 분사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1 모터(39), 제 2 모터(41), 제 3 모터(43)가 동시에 구동하여 원단(2a)이 이송되면 중첩된 원단(2a)이 펼쳐지기 전에 스팀관(24a)(24b)을 통과하면서 건식타입에 의해 주름이 펼쳐지게 된다.
이와 같이 습식타입에 의해 주름이 1차적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원단(2a)의 계속적인 이송으로 튜브 가이더(11)측으로 이송되면 중첩되어 있던 원단(2a)이 튜브 가이더(11)의 안내부재(16)에 의해 벌어져 원통형상으로 펼쳐지기 시작한다.
상기 원단(2a)이 안내부재(16)에 의해 펼쳐져 탱크(15)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원단(2a)은 탱크의 양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복수개의 보조로울러(22)에 의해 원활히 이동하면서 고온의 물에 의해 습식 열처리가 이루어지기 시작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원단(2a)이 튜브 가이더(11)를 통과하면서 열처리가 진행될 때, 상기 튜브 가이더는 부력에 의해 가이드로울러(13)와 틈새를 유지하게 되므로 튜브 가이더(11)의 경사면(15a)과 가이드로울러(13)사이에서 원단(2a)의 이송간에 마찰력이 최소화하게 된다.
이 때, 상기 가이드로울러(13)의 직하방에 설치된 에어공급관(35)을 통해 이송되는 원단(2a)측으로 고압의 에어가 분사되어 원단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지만, 이송되는 원단에는 수막이 형성되어 원단의 외부로 빠져 나가지 못하고 원단(2a)이 원통형상으로 더욱 펼쳐지게 되므로 원단의 이송간에 튜브 가이더(11) 및 가이드로울러(13)사이에서의 마찰저항을 최소화하게 된다.
이와 같이 튜브 가이더(11)를 통과한 원단(2a)은 다단으로 설치된 복수개의 구동로울러(10)사이를 통과하면서 지속적으로 열처리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건식 열처리에 의해 펼쳐지지 않았던 양단에서의 주름이 완전히 펼쳐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동로울러(10)의 구동에 의해 원단(2a)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구동로울러의 외주면에는 로렛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원단의 이송간에 슬립이 발생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상기 온수탱크(5)내에서 열처리하는 과정에서 약품탱크(30)에서 온수탱크내의 물에 세제를 투입하면 직조공정시 원단(2a)에 뭍어 있던 기름 등과 같은 이물질을 더욱 확실히 제거하게 된다.
상기 구동로울러(10)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열처리가 이루어지고 나면 상기 원단(2a)은 복수개의 아이들로울러(45)를 통해 온수탱크(5)의 송출측으로 송출되는데,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시 송출측 하부에 설치된 에어공급관(36)을 통해 중첩된 원단사이로 고압의 공기가 분사되는 반면, 원단의 외표면에는 수막이 형성되어 있어 중첩되어 있던 원단(2a)이 다시 펼쳐지게 되므로 원단의 이송간에 주름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렇게 송출된 원단(2a)은 제 2, 3 모터(41)(43)의 구동으로 로울러(40) - 장력조절수단(44) - 로울러(42)를 통해 세정탱크(31)측으로 이송된다.
상기 세정탱크(31)의 내부로 이송되는 원단(2a)은 튜브 가이더(11a)를 통과하면서 원통형상으로 펼쳐진 다음 세정탱크의 내부에 담겨진 물을 통과하면서 물에 의해 세정된 후 송출측으로 송출되는데, 튜브 가이더(11a)에 의해 원단이 펼쳐지는 동작 및 에어공급관(35)(36)에 의한 동작이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이루어지게 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시 세정탱크(31)의 물공급관(32)을 통해 계속적으로 공급되는 물은 오버플로우되어 드레인관(33)과 연결된 온수탱크(5)의 물공급관(6)을 통해 온수탱크측으로 재공급된 다음 드레인관(7)으로 오버플로우되므로 세정탱크(31)는 물론 온수탱크(5)내에도 항상 깨끗한 상태의 물만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장치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첫째, 직조공정에서 원통형상으로 직조된 원단(2a)을 개폭하지 않고도 발생된 주름을 완전하게 제거하게 되므로 원단을 개폭한 다음 재봉하는 공정이 필요치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열처리에 따른 작업능률을 현저히 향상시키게 되므로 생산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둘째, 건식 열처리 및 습식 열처리를 동시에 실시할 수 있게 되므로 직조공정시 발생된 주름을 완벽하게 제거하게 된다.
셋째, 열처리 공정시 세제를 투입하여 기름 등과 같은 이물질을 완벽하게 제거하게 되므로 후공정인 염색공정에서 색상의 균일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넷째, 열처리 완료된 원단(2a)을 세정탱크(31)에서 세정하게 되므로 인해 원단에 뭍어 있는 이물질이나 세제를 완전히 제거하게 되므로 후공정인 염색공정에서 색상의 균일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Claims (14)

  1. 프레임역할을 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온수가 담겨지는 온수탱크와, 상기 온수탱크에 연결되어 온수탱크내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관과, 상기 온수탱크내의 물을 원하는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온수탱크의 내부에 다단으로 설치되어 원단에 이송력을 부여하는 구동로울러와, 상기 온수탱크의 원단 인입경로상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원단을 원통형상으로 펼쳐주는 튜브 가이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편직물의 주름제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탱크의 일측에 설치되어 열처리 완료된 원단을 세정하기 위한 물이 담겨지는 세정탱크와, 상기 세정탱크에 연결되어 세정탱크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관과, 상기 물공급관의 반대편에 위치되게 연결되어 세정탱크내의 물을 오버플로우시키는 드레인관과, 상기 세정탱크의 원단 인입경로상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원단을 원통형상으로 펼쳐주는 튜브 가이더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편직물의 주름제거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탱크의 드레인관을 온수탱크의 물공급관과 연결하고 이들의 연결지점에는 개폐밸브를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편직물의 주름제거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가이더는 내부에 유체가 담겨지고 저면에는 "V"형상의 경사면이 형성된 탱크와, 상기 탱크의 상측에 고정되어 접혀져 있던 환편원단이 양호하게 벌어지도록 안내하는 안내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편직물의 주름제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가 2개로 분할 형성되고 분할 형성된 탱크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편직물의 주름제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나사산이 반대가 되게 형성되어 분할 형성된 탱크에 나사 결합된 리드스크류와, 상기 리드스크류의 중간지점에 고정된 스프라켓과, 상기 스프라켓에 감겨진 체인과, 상기 리드스크류에 고정되는 일측의 스프라켓과 근접되게 설치된 핸들과, 상기 탱크사이에 끼워져 탱크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편직물의 주름제거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의 양측면에 원단의 이송을 안내하는 보조로울러가 복수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편직물의 주름제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온수탱크의 바닥면에 근접되게 설치되어 고온의 스팀을 온수탱크의 내부로 공급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스팀관과, 상기 스팀관의 일측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온수를 연속적으로 순환시켜 물을 간접적으로 가열하는 온수순환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편직물의 주름제거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탱크내에 설치되는 튜브 가이더의 상측에 위치하는 본체상에 스팀관 장착부재를 상,하로 나란히 설치하고 상기 각 스팀관 장착부재에는 이송되는 환편원단의 양측에 위치되게 복수개의 노즐이 설치된 스팀관을 설치하여서 된 것을특징으로 하는 환편직물의 주름제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상측의 스팀관 장착부재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스팀관 장착부재의 하부에는 스팀관 장착부재의 회동량을 제어하는 스토퍼를 설치하여 상기 스팀관 장착부재가 고정레버에 의해 회동이 제어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편직물의 주름제거기.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탱크 및 세정탱크에 설치되는 튜브 가이더의 하방에 에어공급관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편직물의 주름제거기.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탱크 및 세정탱크에서 환편원단의 송출측 최하방에 에어공급관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편직물의 주름제거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탱크의 상측에 온수탱크측으로 세제를 투입하기 위한 약품탱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편직물의 주름제거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로울러의 외주면에 원단과의 슬립을 방지하기 위한 로렛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환편직물의 주름제거기.
KR1020000009777A 2000-02-28 2000-02-28 환편직물의 주름제거기 KR100340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9777A KR100340010B1 (ko) 2000-02-28 2000-02-28 환편직물의 주름제거기
KR2020000006326U KR200192563Y1 (ko) 2000-02-28 2000-03-07 환편직물의 주름제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9777A KR100340010B1 (ko) 2000-02-28 2000-02-28 환편직물의 주름제거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6326U Division KR200192563Y1 (ko) 2000-02-28 2000-03-07 환편직물의 주름제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4601A true KR20010084601A (ko) 2001-09-06
KR100340010B1 KR100340010B1 (ko) 2002-06-10

Family

ID=19650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9777A KR100340010B1 (ko) 2000-02-28 2000-02-28 환편직물의 주름제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001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0069A (ko) * 2002-05-21 2003-11-28 김응기 섬유원단의 주름제거장치
KR101580673B1 (ko) * 2015-08-24 2015-12-28 주식회사 우리텍스 스판원단 주름방지 장치
KR101675545B1 (ko) * 2016-08-12 2016-11-11 인덕염공(주) 원단공급장치
CN111876954A (zh) * 2020-05-07 2020-11-03 安徽省迪盛织造整理有限公司 一种纺织面料拉伸除皱装置
CN114990834A (zh) * 2022-06-28 2022-09-02 江苏樱竹恋纺织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面料加工用纺织面料除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76962A (ja) * 1982-10-20 1984-05-02 株式会社山東鉄工所 布帛の連続湿熱処理装置
KR0119970B1 (ko) * 1995-06-09 1997-10-22 김태구 자동차의 절첩식 리어시트구조
KR0143918B1 (ko) * 1995-11-09 1998-07-15 박홍기 주름이 생기지 않는 신축성 직물의 염색가공방법
KR100288106B1 (ko) * 1998-11-28 2001-05-02 홍성규 원통직물의 주름제거장치
KR19990073080A (ko) * 1999-04-06 1999-10-05 정홍식 스판원단수축에의한구김방지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0069A (ko) * 2002-05-21 2003-11-28 김응기 섬유원단의 주름제거장치
KR101580673B1 (ko) * 2015-08-24 2015-12-28 주식회사 우리텍스 스판원단 주름방지 장치
KR101675545B1 (ko) * 2016-08-12 2016-11-11 인덕염공(주) 원단공급장치
CN111876954A (zh) * 2020-05-07 2020-11-03 安徽省迪盛织造整理有限公司 一种纺织面料拉伸除皱装置
CN111876954B (zh) * 2020-05-07 2023-04-07 安徽省迪盛织造整理有限公司 一种纺织面料拉伸除皱装置
CN114990834A (zh) * 2022-06-28 2022-09-02 江苏樱竹恋纺织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面料加工用纺织面料除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0010B1 (ko) 2002-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0673B1 (ko) 스판원단 주름방지 장치
KR101890922B1 (ko) 원단 전처리 가공장치
US3508286A (en) Method and a device for withdrawing from a liquid bath,normalizing and arranging in mesh alignment a knitted hose or the like
EP0945538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handlung von strangförmigem Textilgut
EP1945846B1 (en) Machine for continuous treatment of a fabric in rope form and relative method
KR100340010B1 (ko) 환편직물의 주름제거기
CN203904666U (zh) 平幅针织预缩机
KR200192563Y1 (ko) 환편직물의 주름제거기
US4182140A (en) Cloth cleaning method with steaming and liquid flow and an apparatus therefor
US4335593A (en) Chainless mercerizing equipment using a dye padder
JPH0681266A (ja) まつすぐな製品を連続的に処理する装置
CN111020933A (zh) 一种拉幅烘干机
US9416474B2 (en) Washer for tubular knitted fabric material
KR102140833B1 (ko) 원단 전처리용 릴렉서 정련장치
KR102055619B1 (ko) 수세부가 구비되는 원단 열처리 가공기
US6427495B1 (en) Compact machine for the treatment of cord fabrics, in particular for dyeing
KR19980064343U (ko) 고온고압염색기에 있어서 직물이송장치
US2721465A (en) Apparatus for liquid treatment of textile fabrics
KR200394622Y1 (ko) 상부식 무장력 지거 염색기
KR101254443B1 (ko) 원단 폭 넓이를 갖는 다각형 원단 이송관이 형성되는 염색기
US2620544A (en) Apparatus for treating web material
US4345357A (en) Equipment for drying and/or shrinking of tubular textile structures
JPH01314777A (ja) 編成布帛の加工装置
CN219342567U (zh) 一种碱减量机
EP1365050B1 (en) Heat setting machine with sealing he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3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