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3901A - 폴리머 몰딩 적용을 위한 부직물 - Google Patents

폴리머 몰딩 적용을 위한 부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3901A
KR20010083901A KR1020017004525A KR20017004525A KR20010083901A KR 20010083901 A KR20010083901 A KR 20010083901A KR 1020017004525 A KR1020017004525 A KR 1020017004525A KR 20017004525 A KR20017004525 A KR 20017004525A KR 20010083901 A KR20010083901 A KR 20010083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composite
fibers
nonwoven composite
we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4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6268B1 (ko
Inventor
콜린 베버리쥐
길버트 래니얼
Original Assignee
추후보정
덱스터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보정, 덱스터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추후보정
Publication of KR20010083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3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6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62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64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 D06M15/64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polyether seque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82Addition polymers
    • D04H1/4291Olefin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26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1/4334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26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1/435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9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entanglement of layered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32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D06M13/46Compounds containing quaternary nitrogen atom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64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 D06M15/643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amino groups

Abstract

섬유 웹을 부직의 기초 웹내로 하이드로인탱글하고(hydroentangling), 이어서 하이드로인탱글된 웹들을 실리콘, 실리콘 유도체들 및 4가 암모늄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직물 처리제로 처리하므로써 부직 복합체를 형성한다. 상기 부직의 기초 웹은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아미드 섬유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카드상에서 형성되어, 그 후 니들처리 또는 하이드로인탱글 될 수 있거나, 또는 스펀본드된(spunbonded) 웹들일 수 있다. 상기 섬유 웹들은 습식 퇴적 또는 건식 퇴적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목질 섬유 및/또는 아바카, 사이잘(sisal) 또는 황마와 같은 식물섬유들로부터 제조된 펄프로 만들어진 것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예로서 아라미드, 나일론 또는 레이온과 같은 합성 섬유 웹들이 사용될 수 있다. 직물 처리제는 처리되지 않은 복합체 내의 고체 중량의 3~7중량%의 양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부직 복합체는 몰드된 물품의 본체, 예로서 자동차용 내부 패널 성분과 상기 본체에 의해 지지되는 장식 치장재 사이의 라이닝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폴리머 몰딩 적용을 위한 부직물{NONWOVEN FOR POLYMER MOULDING APPLICATIONS}
열가소성 수지 폴리머들로 제조된 성형품들은 수년동안 장식용 또는 내부 충전제(infill) 용품으로서 사용되어 왔으며, 예로서 자동차, 가전제품들 등에서 패널로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패널들 및 유사 부품들의 외측면은 본래 폴리머 표면 그 자체였으며, 장식효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텍스처화될 수 있다. 최근에는 개선된 장식 효과를 얻기 위하여 폴리머의 외측면에 장식재를 적층시키려는 경향이 있다. 예로서, 이들 장식재들은 직물이나, 부직물 또는 장식용 열가소성 올레핀(TPO) 필름 또는 스킨일 수 있다.
장식표면을 가진 이러한 성형품들을 제공하는 경향은 보다 "고급스러운" 인테리어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자동차 산업에서 특히 강하게 일고 있으며; 그 결과, 이들 장식용 성형 부품들은 자동차 문의 라이닝, 문 기둥(pillars), 계기판 부품 등에서는 이제는 일반화된 것들이다. 또한, 발포층,전형적으로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우레탄이 장식층과 물품의 본체 사이에 도입될 수 있다: 이 기술은 특히 그 물품을 만졌을 때 부드러움이 요구되는 경우에 사용된다.
이들 성형 부품들의 제조시에, 성형공정 후에 추가의 공정단계로서 성형품에 장식재를 적층시키기 보다는 성형공정 자체동안에 성형품의 표면에 장식 표면을 적용시키는 방법이 있어왔다: 이방법은 비용 및 생산성 면에서 유리하다. 사용된 성형기술의 예들은, 예로서 F. Beckmann 등, "Fabric back injection; from special process to mass production",Proceedings of VDI Plastics in Automotive Engineering Conference, Manheim (1998년 3월); I. Adcock, :"The pressure is on for a new mold:,Automotive & Transportation Interiors(1997년 5월); 및 미국특허 제 5 543 094호 (Hara 등)에 설명되어 있다. 이러한 문헌들에서의 설명은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서 포함되었다.
상기 일단계(one-step) 공정에서 특별한 문제점은, 사용되는 온도와 압력으로 인하여 장식 표면재가 압축되어 품질이 저하될 수 있거나(예로서, 직물이 평평하게 가공되어(flattend) 이의 천연의 보풀(nap)을 잃을 수 있다), 또는 그 성형품의 본체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폴리머가 장식 표면으로 스며나올 수 있다. 발포층이 물품내에 포함된다면, 이는 성형공정 중에서 손상될 수 있다.
상기 Hara 등의 특허에서는 열가소성 성형품과 장식 표면 사이의 부직의 라이닝을 제공하므로써 이경우에 직물에서 이러한 효과들이 감소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Hara 등의 특허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바늘로꿰매어진 또는 스펀본드된 부직 라이닝을 사용하여도, 이러한 방법들에 의해 생산된 부직 직물들 고유의 비-균일성으로 인해 장식재들을 적절하게 보호할 수 없다. 이러한 부직물들의 표면 특성 또한 성형품의 본체가 성형되어지는 열가소성 폴리머 내에 불균일한 흐름 패턴(flow parttern)을 만들어낼 수 있다; 이러한 부직물들의 고유한 표면 패턴이 장식층에 부가될 수 있다.
발명의 요약
첫번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제 2 섬유층이 섬유 꼬임에 의해 결합된 부직의 웹(web) 형태인 제 1 섬유층을 포함하고, 실리콘, 실리콘 유도체들 및 4가 암모늄으로부터 선택된 직물 처리제를 더 포함하는 부직 복합체를 제공한다.
두번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제 2 섬유층이 부직의 웹 형태인 제 1 섬유층내에 하이드로인탱글된(hydroentangled) 부직 복합체의 제조방법이 제공되며, 결과의 구조물은 실리콘, 실리콘 유도체들 및 4가 암모늄 화합물들로부터 선택된 직물-처리제로 처리된다.
세번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성형된 본체, 장식용 치장재 및 이들 사이에 위치되어지는, 본 발명의 상기 첫번째 측면에 따른 부직 복합체 또는 본 발명의 두번째 측면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부직 복합체를 포함하는 물품을 제공한다.
네번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장식용 치장재가 성형 공간내에 놓여지고, 부직 물질이 치장재의 겉표면(show surface)으로부터 떨어진 측면에서 상기 물질에 인접하여 위치되며, 열가소성 수지가 장식용 치장재로부터 떨어져 있는 부직물질의 표면과 몰드의 벽에 의해 한정된 공간내로 도입되는 물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 여기에서 부직 물질은 본 발명의 첫번째 측면에 따른 복합체 또는 본 발명의 두번째 측면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부직 복합체이다.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의 설명
본 발명에 따르면, 부직 물질은 (i) 장식 표면 또는 치장재(예로서, 직물 또는 필름)와, 포함되는 경우, 발포층과; (ii) 성형 물품의 열가소성 폴리머 본체 사이에서 라이닝으로서 사용된다. 상기 장식 직물, 필름 또는 다른 치장재와, 포함되는 경우, 발포층은 열가소성 폴리머가 도입되기 전에 성형틀(mould)내에 도입되어, 성형공정동안에 물품의 본체에 적층된다.
선행기술에서 라이닝으로 사용되는 부직물류의 고유한 불균일성은 셀룰로오즈 및/또는 다른 섬유들이 부직의 직물내로 꼬여지는 방법에 의하여 그리고 불균일한 부분들을 채우는 방법의 성질에 의하여 충분히 극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의 어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셀룰로오즈 섬유의 웹은, 예로서 바늘로 천공되거나(needlepunched) 스펀본드되거나 그 자신이 하이드로인탱글(종종 스펀레이스된 것으로 명명됨)될 수 있는 부직의 웹을 포함하거나 또는 기본적으로 이로 이루어진 기초층 또는 기재 내로 하이드로인탱글된다. 이 단계에서, 부직의/셀룰로오즈 웹 복합체(복합물(complex) 또는 적층물로 간주될 수도 있음)는 원래의 부직물보다 더 강력할 수 있으나, 더 낮은 신장특성을 가질 것이며, 보다 비등방성(anisotropic)이어서, 즉, 교차방향(CD) 강도 대 기계방향(MD) 강도의 비가 더 작을 것이다. 이 비율은 기계 방향(MD) 강도의 백분율로서 표현되는 CD 강도를 사용하며, 그레인(grain)으로 불리워진다. 그레인이 높을수록, 물질의 비등방성은 더 커진다. 하이드로인탱글링 공정으로 인한 신장의 감소와 비등방성 증가는 부직물의 성형능력에 감소를 일으켜, 부직물이 늘어나지 않아 성형품의 복잡한 모양에 적용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부직의 복합물을 특히, 친수성 마감재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군으로부터의 직물 처리제 또는 연화제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군으로부터의 실리콘과 같은 연화제들로 처리하므로써, 원래 부직물의 성질들이 회복되거나 또는 처리 후에 신장특성 및 등방성이 양호한 성형 능력을 제공하는 수준으로 증가된다는 것이 더 밝혀졌다.
특히 실리콘으로 처리된 부직 복합물의 장점은 몇가지가 있다:
ㆍ부직의 베이스 기초층의 구조를 "채우므로써", 상기 셀룰로오즈 또는 다른 "제 2"층은 폴리머 침투에 대해 뛰어난 보호 성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폴리머가 배어나오는 결함을 감소 또는 제거할 수 있다.
ㆍ상기 셀룰로오즈 또는 다른 "제 2" 층은 열장벽을 제공하여 외측면의 장식용 직물, 필름 또는 다른 치장재와, 포함되는 경우, 발포층이 성형공정으로부터의 열에 의해 영향을 덜 받도록 한다.
ㆍ부직의 기초층 내로의 셀룰로오즈 및/또는 다른 섬유들의 혼입은, 부직 복합물이 원래의 치수로 수축되거나 또는 복귀되려는 경향성이 거의 없거나 조금밖에 나타나지 않고, 성형 후의 모양이 완전하도록 "메모리(memory)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
ㆍ상기 셀룰로오즈 또는 다른 "제 2"층은 우수한 적층 표면을 또한 제공할수 있어, 장식층과 함께 매우 매끄러운 표면을 만들 수 있고, 원래 부직물의 표면 패턴이 장식층으로 이전되지 않는다.
ㆍ상기 실리콘 또는 다른 직물 처리제는 신장을 증가시키고, 섬유들이 서로에 대하여 미끄러지게(slip) 하므로써, 성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ㆍ상기 실리콘 또는 다른 직물 처리제는 표면마찰 및 예로서, 주입점에서 일어날 수도 있는 폴리머 전단을 감소시키므로써 열가소성 폴리머 흐름에 대하여 윤활제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는 선행기술상의 재료물질로 이룰 수 있던 것보다 더 큰 부품들의 성형을 가능하게 한다.
기초층 또는 기재층으로 간주될 수 있는, 제 1 섬유층은 일반적으로 합성 폴리머 섬유(또는 합성 폴리머의 혼합물)로 형성된다. 적당한 부직의 웹은 예로서, 바늘로 천공되거나 또는 하이드로인탱글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예로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예로서, 폴리(헥사메틸렌 아디프아미드) 또는 폴리카프로아미드 또는 나일론) 또는 폴리올레핀(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섬유들의 카드된(carded) 웹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또는 예로서, 상기 폴리머들 중 어떤 것으로부터 제조된 스펀본드된 직물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선택으로서, 상기 기초층은 예로서 상기 폴리머들 중 어떤 것으로 만들어진, 습식 형성된(wet-formed) 부직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다른 섬유들의 혼합물들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직의 웹은 20g/㎡~150g/㎡의 기초량(grammage)을 갖는다.
상기 제 2 섬유층은 습식 또는 건식으로 퇴적될(wetlaid or airlaid) 수 있다: 예로서, 슬러리로부터의 섬유들의 퇴적에 의한 부직물층 상에서 제 2층의 부직물 층의 현장 형성이 고려될 수 있으나, 상기 제 2 섬유층은 제 1의 부직층 위에 미리 형성된 층으로서 놓여질 수 있다. 적합한 제 2층들은 목재 섬유 또는 식물섬유, 예로서 아바카, 사이잘 또는 황마섬유들과 같은 셀룰로오즈 섬유의 펄프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다. 목재 펄프가 바람직하다. 그러나, 제 2층은 합성 섬유, 특히 열안정성이 좋은, 예로서, 폴리아미드 섬유(상표명 "Kevlar" 및 "Nomex"로서 구입가능함); 폴리(헥사메틸렌 아디프아미드) 또는 폴리카프로아미드(예, 나일론 섬유)와 같은 폴리아미드 섬유; 또는 레이온 섬유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다른 섬유들의 혼합물들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두번째 층은 20g/㎡~70g/㎡의 기초량(grammage)을 갖는다.
우수한 균일성을 지닌 웹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섬유 길이 및 데니어(denier)와 같은 섬유 특성들이 선택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10~150㎜, 예로서, 20~130㎜의 섬유길이가 제 1층에 사용될 수 있다. 제 2층에서, 섬유길이는 전형적으로는 25㎜에 이를 수 있으며, 셀룰로오즈 펄프 섬유의 경우 2~5㎜이고, 합성섬유의 경우 3~25㎜이다. 섬유 데니어는 낮은 것이 바람직하며, 전형적으로는 제 1층은 0.5~6 데니어(0.56~6.67 dtex)이고, 전형적으로 제 2층에서는 0.1~3데니어(0.11~3.33 dtex)이다.
제 2 섬유층의 병치(juxtaposition) 전에 첫째 섬유층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부직의 웹은 이의 원래 폭의 300% 정도까지 임의로 크로스-스트레치되거나 또는 텐터될(tentered) 수 있으며(현저한 크로스-스트레치를 위해 가열된 조건이 요구될수도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는 5~150%, 특히 15~80%까지 크로스-스트레치 또는 텐터될 수 있다. 섬유들의 성질에 따라서, 상기 스트레치 조건은, 필요한 경우 직물을 150~260℃에서 10초 까지 열-고정하므로써 안정화될 수 있다.
하이드로인탱글먼트는 기존 방법에 따라서, 예로서 보다 하부의 웹 또는 층(정상적으로 상기 제 1의, 부직층)위에 포개어진 상부 웹 또는 층(정상적으로 상기 제 2층)에 대하여 유체의 분출물을 적용하므로써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하이드로인탱글먼트는 최상부에 제 2의 섬유층을 가지고, 상기 제 2 섬유층에 유체를 분출시키는 일련의 또는 일단의 오리피스들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매니폴드들(manifolds) 하에서 5~50m/분의 라인속도를 가지는 유공성(foraminous) 벨트위에 지지된, 병치된 층들을 통과하므로써 실시될 수 있다. 상기 분출물은 일반적으로 물의 원주상 분출물로, 바람직하게는 40ms-1또는 그 이상의 속도를 가지고, 바람직하게는 100Kpa 또는 그 이상의 매니폴드 내압하에서 제조된다. 상기 오리피스들은 전형적으로 0.05~0.25㎜의 직경을 가지며, 간격 또는 높이는 0.25~1.5㎜이다. 이같은 유형의 공정은 영국특허 GB-A-2 220 010호(Nozaki 등, Uni-Charm Corporation에 양도), EP-A-557,678호(Homonoff 등, Dexter Corporation에 양도) 및 미국특허 US-A-5 009 747호(Viazmensky 등, Dexter Corporation에 양도)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들 특허들에서의 설명은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포함되었다.
EP-A-557,67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유체 분사 또는 스트림에 의해 제공되는 전체 에너지 공급(input)은 다음의 식으로 계산될 수 있으며,
E= 0.125 YPG/bS
여기에서 Y = 매니폴드 폭의 선형 인치당 오리피스의 수, P = 매니폴드 내 액체의 psig(제곱인치 게이지당 파운드) 단위 압력, G = 오리피스 및 분당 입방피트 단위의 체적흐름, S = 분당 피트 단위의 유체 분사 또는 스트림하에서 웹 물질의 속도, 그리고 b = 제곱야드당 온스(ounce)단위로 제조된 직물의 기초량이다. 웹 처리시에 소모된 전체 에너지량, E는 매니폴드가 하나 이상이고/또는 하나 이상의 경로가 있는 경우, 각 매니폴드하에서 각각의 경로에 대한 개별적인 에너지 값들의 합이다. 통상적으로, 전체 에너지 공급은 0.07~0.4마력-시간/파운드(HPhr/lb)이다. 그러나, 전형적으로, 전체 에너지 공급은 0.3HPhr/lb보다 작으며, 예로서, 0.1~0.25HPhr/lb이다.
복합물의 성분들(웹 또는 층들)은 함께 하이드로인탱글되기 때문에, (추가적 결합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다른 결합은 필요치 않다. 물론, 하이드로인탱글먼트를 위한 기본 기술은 다른 배치(arrangement)에 쉽게 적응될 수가 있다. 예로서, 유체 분사물을 복합체의 양측면에 부딪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는 복합체가 상기 제 2층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제 1 기초층의 측면에 인접한 제 3 섬유층을 포함하는 경우 적절할 수 있다. 이러한 "샌드위치" 구조에서, 제 3층은 제조된 복합체의 원하는 전체적 성질에 따라서 제 2층과 유사하거나 또는 유사하지 않을 수 있다.
층들 또는 웹들 각각 또는 이들 중 하나는 단일 플라이(single-ply)일 수 있거나 또는 둘 이상의 플라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조된 후에, 하이드로인탱글된 복합체를 본 발명에 따라서 직물-처리제(이 약제는 친수성일 수 있다)로 처리한다. 적합한 약제들은 실록산 폴리머들, 예로서, 폴리(디메틸 실록산)(PDMS) 또는 폴리(모노메틸실록산); 실록산 코폴리머들(그래프트코폴리머와 블록 코폴리머를 포함), 예로서, 알킬렌 옥사이드는 에틸렌 옥사이드, 프로필렌 옥사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PDMS-(폴리알킬렌 옥사이드)코폴리머와 같은 폴리에테르-폴리실록산 코폴리머들(디메티콘 코폴리올); 그리고, 유기관능기의 실록산들, 예로서, 아미노관능기 실록산 들을 포함하는 실리콘과 실리콘 유도체들의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직물-처리제로서 유용한 실리콘 및 이의 유도체들은 공지되어 있다(예로서, J.C. Salamone(ed.),Polymeric Materials Encyclopedia, CRC Press(1996). volume 1, p. 215 이하 참조 및 volume 10, p. 7706 참조). 얇은 천들(tissues)의 처리에 유용한 실리콘들은 또한 WO-A-97/04173, p.8, 18행, p.9, 15행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약제들은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하며, 예로서, 이 약제는 OSI Nuwet 300, 또는 Dow Corning 2-8676(히드록시-말단처리된 메틸아미노프로필실록산, 20% 활성, 유화액), 또는 Dow Corning 108(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 디메틸 실록산)으로 시판되고 있다.
다른 적합한 직물-처리제들은 4가 암모늄 화합물들, 예로서, 테트라알킬암모늄 할라이드, 4가 이미다졸린, 4가 아미도아민 및 4가의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4가의 암모늄 화합물들과 직물 연화제로서의 이들의 용도는 공지되어 있다(예, Kirk-Othmer,Encyclopedia of Chemical Technology, 4판, Volume 20, Wiley-Interscience(1996), p. 739 이하 참조). 얇은 천의 처리에 유용한 4가의 암모늄화합물들은 또한 WO-A-97/04173, p.3, 22행~p.5, 29행에 개시되어 있다. 그 예로, Varisoft 3690(메틸-1-올레일 아미도에틸-2-올레일 이미다졸리늄 메틸설페이트, 수성 조성물, 90% 활성)을 들 수 있다. 다른 약제들 또한 고려될 수 있으며, 예로서, 비이온성 치환된 스테아르아미드류이다.
처리제는 적합한 화합물들의 혼합물 또는 블렌드를 포함할 수 있다.
대개, 처리제는 수성 조성물 예로서, 수용액 또는 유화액의 형태로 적용된다. 상기 처리제는, 예로서, "패딩(padding)" 또는 "사이즈-프레스(size-press)" 기술에 의해 직렬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부직 복합체에 사용되는 처리제의 활성수준은 처리되지 않은 복합체 내의 고체 중량비로 3~7%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5~6.5%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4~5.5%이다. 예로서, Nuwet 300은 100% 습식 픽업(wet pick-up)을 위해 80㎖/l의 농도로 사용될 수 있다. 처리제 적용후에, 통상적으로 복합체를 건조시킨다.
본 발명의 부직 복합체는 예로서, 실내 문 패널, 계기판의 페이셔(fascia) 및 필러(pillars)와 같은 자동차용 부품과 같은 물품의 저압 사출성형(LPIM) 또는 압축 몰딩에서 직물, 필름 또는 TPO 스킨과 같은 장식 성분에 대한 라이닝 또는 보호 지지물(backing)로서 사용될 수 있다.
부직의 라이너를 장식용 치장재에(또는 사용되는 경우, 중간 발포층에) 부착하기 위해 접착적층 또는 불꽃적층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층(예로서, 셀룰로오즈 웹)은 매끄러운 표면을 제공하기 위하여 장식용 치장재(또는 발포층)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들에서 그리고 이들에 의해서 예시된다. 이 실시예들에서, 다른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 경우에서도, 기초량(grammage)은 203㎜(8 인치)제곱의 시료크기를 사용하여 ISO 536에 의해 측정하였다. 인장강도와 파단 연신율은 ISO 1924-1에 따라서 측정하였다.
실시예 1
바늘천공되어 약하게 결합되고, 기초량 80g/㎡을 갖는 카드처리된 폴리에스테르의 부직의 웹을 텐터(tenter)내에서 원래 폭의 125%로 교차-스트레치시키고 열고정한 후에 공칭 섬유길이가 2㎜이고 기초량 39g/㎡을 갖는 단일-플라이(ply)의 습식 퇴적된(wetlaid) 셀룰로오즈 조직에 하이드로인탱글하였다. 이 복합체를 4.1% 실리콘, 즉, 아미노 개선된 실리콘-폴리에테르 코폴리머로서 알려진, OSI Nuwet 300 친수성 마감재(Hydrophillic Finish)로 처리하였다.
3MPa에서 6MPa로 압력이 증가된 내부압력을 지닌 열개의 연속된 매니폴드하에서 그 위에 적층된 셀룰로오즈성 웹을 가진 기초 부직 웹을 통과시키므로써 하이드로인탱글먼트를 실시하였다. 각각의 매니폴드는 1㎜의 간격을 가진 0.09㎜ 직경의 두 열의 엇갈린 오리피스를 가지는 노즐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이는 셀룰로오즈성 웹의 상부 표면에 원주형태의 물을 분사한다. 병치된 웹들은 직물상에 지지되며, 약 40m/분의 속도로 이동하며, 이러한 조건하에서 물을 추출해내기 위하여 직물은 각 매니폴드와 일련으로 있는 일련의 진공 박스들 상에 배치된다. 하이드로인탱글먼트 후에, 결과의 부직 복합체를 건조하였다. 그 후, 상기 복합체를 기존의 사이즈프레스 내에서 실리콘 처리제로 함침시키고, 한번 더 건조하였다.
건조 인장강도와 파단 연신율을 기계방향과 교차방향 양쪽에서 측정하였다. 비교를 위하여, 처리하지 않은 복합물과 바늘로 천공된 부직물에 대해서도 측정하였다. 시험 데이타는 다음과 같다.
처리되지 않은 복합물이 더 강하지만, 부직포 단독에 비해 더 낮은 연신율을 가졌으며, 실리콘 처리는 복합물에 대한 부직포의 원래 성질을 본질적으로 복원시켰다.
실시예 2
바늘 천공에 의해 약하게 결합된, 카드처리되지 않은 부직의 폴리에스테르 웹이 120g/㎡의 기초량을 갖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물질을 사용하고, 동일한 실리콘 부가 수준 4.1%를 사용하여, 다음의 결과들을 얻었다.
이는 실시예 1과 유사한 결과를 제공하지만, 실리콘 처리후에 강도의 감소는 상당히 덜하다.
실시예 3
카드처리된 부직의 웹이 1.6dtex, 38㎜ 폴리에스테르이며, 하이드로인탱글먼트에 의해 결합되고, 45g/㎡의 기초량을 가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물질을 사용하고, 동일한 실리콘 부가 수준 4.1%를 사용하여, 다음의 결과들을 얻었다.
스펀레이스된 부직의 전구체들에서도 바늘천공된 물질들과 유사한 효과들을 얻었다.
실시예 4
스펀레이된 부직의 28g/㎡의 폴리프로필렌 기초 웹을 60g/㎡의 습식 퇴적된 셀룰로오즈성 웹에 하이드로인탱글하였다(3×20g/㎡ 플라이). 이 복합물을 4.1%의 실리콘제(OSI Nuwet 300)로 처리하였다. 시험 데이타는 아래와 같다:
또다시, 유사한 결과들을 얻었다. 이러한 구조는 삽입된 부직의 복합물이 경량이어야만 할 경우에 특히 적합하다.
실시예 5
일정 범위의 실리콘 부가량이 사용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리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CD 강도 대 MD 강도의 비는 감소하여 생성물의 등방성이 저하된다. 실리콘 첨가량이 6%로 증가되면, 연신은 감소한다.
상기 설명된 본 발명은 단지 예시적인 차원이며,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상세한 부분의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부직물 복합체와 이러한 부직물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성형품(moulded form)의 본체(body)와 상기 본체에 의해 지지되는 장식용 치장재 사이의 라이닝(lining)으로서의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Claims (20)

  1. 제 2의 섬유층이 섬유 꼬임(entanglement)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부직의 웹 형태로 존재하는 제 1 섬유층을 포함하고, 실리콘, 실리콘 유도체들 및 4가 암모늄 화합물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직물 처리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 복합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의 웹이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아미드 섬유 또는 이러한 섬유들의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 복합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의 웹은 카드처리(carding) 및 그 후의 바늘처리(needling) 또는 하이드로인탱글먼트(hydroentanglment)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 복합체.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의 웹은 스펀본드된(spunbonded)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 복합체.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의 웹의 기초량은 20g/㎡~15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 복합체.
  6. 제 1항 내지 제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섬유층은 셀룰로오즈성 섬유들의 펄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 복합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즈성 섬유들은 목재 섬유, 식물(vegetable) 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 복합체.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섬유는 아바카, 황마, 사이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 복합체.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섬유층은 건식 퇴적(airlaying) 또는 습식 퇴적(wetlaying) 공정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 복합체.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섬유층의 기초량은 20g/㎡~7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 복합체.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처리제는 실록산 폴리머, 실록산 코폴리머, 유기관능기 실록산 또는 이들의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 복합체.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섬유의 총 건조 중량에 대해 실리콘으로서 실리콘 처리제를 3~7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 복합체.
  13. 제 12항에 있어서, 섬유의 총 건조 중량에 대해 실리콘으로서 실리콘 처리제를 3.5~6.5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 복합체.
  14. 제 13항에 있어서, 섬유의 총 건조 중량에 대해 실리콘으로서 실리콘 처리제를 4~5.5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 복합체.
  15. 제 2 섬유층이 부직의 웹 형태인 제 1 섬유층 내로 하이드로인탱글되어지고, 생성된 구조체가 실리콘, 실리콘 유도체들 및 4가 암모늄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직물 처리제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 복합체의 제조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제 2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부직 복합체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 중 어느 하나에 설명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8. 성형된 본체, 장식용 치장재와 그 사이에 위치된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부직 복합체 또는 제 15항, 제 16항 또는 제 17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부직 복합체를 포함하는 물품.
  19. 제 18항에 있어서, 발포층이 장식용 치장재와 부직 복합체 사이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물품.
  20. 장식용 치장재가 성형 공간내에 놓여지고, 부직 물질이 치장재의 겉표면으로부터 떨어진 측면에서 상기 물질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열가소성 수지가 몰드의 벽과 장식용 치장재로부터 떨어져 있는 부직 물질의 표면에 의해 한정된 공간 내로 도입되며, 여기에서 부직 물질은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합체 또는 제 15항, 제 16항 또는 제 17항에 따른 공정에 의해 제조된 복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제조방법.
KR1020017004525A 1998-10-23 1999-10-21 폴리머 몰딩 적용을 위한 부직물 KR1006762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8308712.3 1998-10-23
EP98308712 1998-10-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3901A true KR20010083901A (ko) 2001-09-03
KR100676268B1 KR100676268B1 (ko) 2007-02-01

Family

ID=8235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4525A KR100676268B1 (ko) 1998-10-23 1999-10-21 폴리머 몰딩 적용을 위한 부직물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EP (1) EP1141461B1 (ko)
JP (1) JP2002528656A (ko)
KR (1) KR100676268B1 (ko)
AR (1) AR020942A1 (ko)
AT (1) ATE274086T1 (ko)
AU (1) AU769205B2 (ko)
BR (1) BR9914659A (ko)
CA (1) CA2346413C (ko)
CZ (1) CZ303261B6 (ko)
DE (1) DE69919581T2 (ko)
ES (1) ES2228116T3 (ko)
HU (1) HU225371B1 (ko)
MX (1) MXPA01003998A (ko)
WO (1) WO2000024955A1 (ko)
ZA (1) ZA20010259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52295A1 (de) * 2002-11-11 2004-06-09 MöllerTech GmbH Schutzvlies für Bauteile
FI20055074A (fi) * 2005-02-18 2006-08-19 Suominen Nonwovens Ltd Sellukuitua sisältävä vesineulattu kuitukangas ja menetelmä sen valmistamiseksi
JP5112677B2 (ja) * 2005-12-28 2013-01-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汗性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047674B2 (ja) * 2006-05-12 2012-10-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CN103352318B (zh) * 2013-07-04 2016-03-09 绍兴县万年红纱业有限公司 珍珠纤维与粘胶纤维组合水刺无纺布的生产工艺
DE102018123768B3 (de) 2018-09-26 2019-10-24 Sandler Ag Mehrschichtiges Abdeckvlies für eine Fahrzeug-Innenverkleidung, Innenverkleidung mit einem derartigen Abdeckvlies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erartigen Abdeckvlieses
FR3099495B1 (fr) * 2019-07-30 2021-08-13 Andritz Perfojet Sas Installation de production de non-tissés
ES2953571T3 (es) * 2019-01-08 2023-11-14 Andritz Perfojet Sas Instalación y procedimiento de producción de telas no tejidas
CN111424367A (zh) * 2020-04-21 2020-07-17 扬州市邗江扬子汽车内饰件有限公司 一种特殊浸润处理的麻纤维制板及其成型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2398A (en) * 1979-01-16 1980-12-30 Teijin Limited Fibrous shaped article having non-level surface
JPH0791754B2 (ja) * 1988-06-21 1995-10-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複合不織布
JP2699502B2 (ja) * 1988-12-22 1998-01-19 東洋紡績株式会社 構造材とその製造方法
US5158575A (en) * 1990-08-10 1992-10-27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Technology Corporation Silicone textile finishes
JP2581358B2 (ja) * 1991-10-31 1997-02-12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積層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151320A (en) * 1992-02-25 1992-09-29 The Dexter Corporation Hydroentangled spunbonded composite fabric and process
CA2107169A1 (en) * 1993-06-03 1994-12-04 Cherie Hartman Everhart Liquid transport material
US6022818A (en) * 1995-06-07 2000-02-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Hydroentangled nonwoven composites
US5552020A (en) * 1995-07-21 1996-09-03 Kimberly-Clark Corporation Tissue products containing softeners and silicone glycol
US5770531A (en) * 1996-04-29 1998-06-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chanical and internal softening for nonwoven web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P0103508A3 (en) 2002-03-28
CZ20011403A3 (cs) 2001-09-12
WO2000024955A1 (en) 2000-05-04
CZ303261B6 (cs) 2012-07-04
HU225371B1 (en) 2006-10-28
MXPA01003998A (es) 2003-03-10
EP1141461B1 (en) 2004-08-18
AR020942A1 (es) 2002-06-05
AU6353399A (en) 2000-05-15
CA2346413C (en) 2009-05-12
KR100676268B1 (ko) 2007-02-01
CA2346413A1 (en) 2000-05-04
ZA200102593B (en) 2002-06-26
HUP0103508A2 (hu) 2002-02-28
AU769205B2 (en) 2004-01-22
ES2228116T3 (es) 2005-04-01
ATE274086T1 (de) 2004-09-15
EP1141461A1 (en) 2001-10-10
JP2002528656A (ja) 2002-09-03
DE69919581D1 (de) 2004-09-23
DE69919581T2 (de) 2005-08-18
BR9914659A (pt) 2001-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96645B1 (en) Durable spunlaced fabric structures
US8540830B2 (en) Method of producing a thermoplastically moldable fiber-reinforced semifinished product
US7438178B2 (en) Composite conveying belt
US3570085A (en) Method of forming a reinforced fabric by a compressive shrinking operation
JPH08506148A (ja) 不織体の製造方法及びこの方法により得られた不織体
JP2002534616A (ja) 三次元構造化された繊維平面形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2289158A (ja) 貼合せ用布及びその製造方法
US10737459B2 (en) Hydraulically treated nonwoven fabric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7127037B2 (ja) 乗物用音響カーペット
KR100676268B1 (ko) 폴리머 몰딩 적용을 위한 부직물
Ghassemieh et al. Improvement of the efficiency of energy transfer in the hydro-entanglement process
US3506529A (en) Needled fabrics and process for making them
JP2006522239A (ja) 加工現場で活性化されたバインダー樹脂を含む耐摩耗性複合材料
US20060234589A1 (en) Synthetic leather, method for its manufacture, and its use
JPH0564856A (ja) 複合ライニング布とその製造方法
US6846759B1 (en) Adhesive coated polyester felt
WO2022069689A1 (en) Spunlace composite web comprising staple fibers, short absorbent fibers and binder
US7232776B2 (en) Surface material for an automobile internal trim panel and automobile internal trim panel
EP3758928B1 (en) Nonwoven fabric for acoustic isolation applications and a method for maunufacturing the same
PL190171B1 (pl) Kompozyt włókninowy, sposób wytwarzania kompozytuwłókninowego, wyrób i sposób wytwarzania wyrobu
JPH01104868A (ja) 繊維質積層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