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8232A - 섬유 덩어리를 갖는 생리용 탐폰 - Google Patents

섬유 덩어리를 갖는 생리용 탐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8232A
KR20010078232A KR1020010004790A KR20010004790A KR20010078232A KR 20010078232 A KR20010078232 A KR 20010078232A KR 1020010004790 A KR1020010004790 A KR 1020010004790A KR 20010004790 A KR20010004790 A KR 20010004790A KR 20010078232 A KR20010078232 A KR 20010078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fibers
tampon
cellulose fibers
agglome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4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5701B1 (ko
Inventor
수가아이아미
와다미츄히로
Original Assignee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Publication of KR20010078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8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5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57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20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20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 A61F13/2051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structure of the inner absorbing co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604/00Surgery
    • Y10S604/904Tamp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종래의 탐폰에서는 탐폰과 질 사이에 간극이 생기기 쉬웠다. 본 발명에서는 압축된 복수의 섬유 덩어리(8)가 서로 밀착하여 수소 결합되어 형성된 흡수체(2)가 제공된다. 이 흡수체(2)는 투수성 시트(3)로 피복되어 있다. 이 생리용 탐폰은 경혈의 흡수시에 섬유 덩어리를 서로 접합하고 있는 수소 결합을 떨어지게 하기 때문에, 개개의 섬유 덩어리(8)는 독립된 거동을 나타낸다. 또한 수소 결합이 떨어져 자유롭게 된 섬유 덩어리(8)는 액체를 흡수하여 팽창하도록 복원한다. 따라서, 흡수체(2)가 팽창하여 질 사이가 재빠르게 막히고, 또한 간극이 생기기 어렵게 된다.

Description

섬유 덩어리를 갖는 생리용 탐폰{SANITARY TAMPON HAVING FIBER MASSES}
본 발명은 질 내에 삽입하여 경혈을 흡수시키는 생리용 탐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리용 탐폰으로서 여러 가지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1-146548호에는 친수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흡수체와, 친수성 섬유가 혼입된 소수성 시트로 형성된 외층으로 이루어지는 생리용 탐폰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3-146058호에는 원주형의 고압축된 코어와 외측의 주름으로 이루어지는 탐폰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5-68695호에서는 섬유 밀도가 높은 시트와 섬유 밀도가 낮은 시트가 조합되고, 원주형으로 성형했을 때에 섬유 밀도가 낮은 시트가 표면에 부분적으로 나타나도록 되어 있는 탐폰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 탐폰은 흡수성 섬유 소재가 압축되어 원주형으로 형성되고, 사용할 때에 있어서는 경혈을 흡수함으로써 압축이 해제된다. 그 결과, 탐폰은 팽창하여 질강을 폐색하고, 그 후 연속하여 배출되는 경혈을 흡수한다.
그러나, 이들 탐폰은 일체화된 섬유 매트를 고압축시켜 원주 형태로 형성한 것으로, 상기 섬유 매트의 강성이 높아져 원래의 크기로 복원하기 어렵고, 또한 질의 형상에 완전히 맞지 않기 때문에 탐폰과 질 사이에 간극이 생겨 경혈이 밖으로 새기 쉽다는 결점을 갖고 있다.
한편,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소62-236547호에는 복수의 섬유 덩어리로 이루어지는 탐폰이 개시되어 있다. 이 탐폰에서는 섬유 덩어리끼리의 사이에 공간이 존재하고 있어 용이하게 변형하기 때문에 질 형상에 적합하게 마추어진다. 그러나 상기 탐폰에는 섬유 덩어리 사이에 공간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흡수 속도를 높이기 위해 섬유 밀도가 낮은 섬유 덩어리를 사용하면 탐폰 전체의 섬유 중량이 작아지고 탐폰 전체의 흡수량이 저하한다. 한편, 흡수량을 높히기 위해서 고밀도의 섬유 덩어리를 이용하면, 각 섬유 덩어리에 있어서의 흡수 속도가 저하한다. 또한, 이 탐폰에서는 섬유 덩어리의 사이에 공간이 존재하기 때문에 탐폰 자체에 강성이 없어 체내로의 삽입이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높은 흡수성을 갖고, 또한 탐폰과 질 사이에 간극이 생기기 어려운 탐폰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탐폰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탐폰의 부분 단면도.
도 3은 다른 실시예의 탐폰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4는 다른 실시예의 탐폰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의 탐폰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탐폰
1e : 후단부
2, 2A, 2B, 2C : 흡수체
3 : 투수성 시트
5 : 끈
8, 10, 11, 15, 18 : 섬유 덩어리
15a : 코어부
15b : 외장부
20 : 섬유 웹
제1의 본 발명은 흡수체가 투수성 시트로 피복되어 있는 생리용 탐폰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는 압축된 복수의 섬유 덩어리의 집합체이며, 적어도 흡수체의 주위 부분에 위치하는 섬유 덩어리가 서로 밀착하여 수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생리용 탐폰의 흡수체는 복수의 섬유 덩어리가 밀착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탐폰은 질 내에 삽입후, 소량의 액체에 닿으면 섬유 덩어리끼리의 수소 결합이 떨어져 각각의 섬유 덩어리가 독립된 거동을 나타내고, 또한, 압축되어 있던 섬유 덩어리가 원래의 크기로 복원한다. 따라서, 탐폰이 질벽에 맞추어져 탐폰과 질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게 된다. 또한, 섬유 덩어리가 압축되어 밀착하고, 적어도 주위부에 위치하는 섬유 덩어리가 수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강성이 높고탐폰을 체내에 삽입하기 쉽다.
상기 흡수체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상기 섬유 덩어리의 밀도를 주위부에 위치하는 상기 섬유 덩어리의 밀도보다 높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탐폰에서는 주위부에 위치하는 섬유 덩어리의 밀도가 낮아 이 주위부에 위치하는 섬유 덩어리가 액체를 급속하게 흡수하여 수소 결합이 떨어지고, 흡수체 전체에 자유도가 생긴다. 그 결과 중심부에 위치하는 밀도가 높은 섬유 덩어리가 자유로워진다. 이 밀도가 높은 섬유 덩어리는 액체를 흡수했을 때의 팽창력이 크기 때문에 흡수체 전체가 팽창된 질강 내에 밀착하기 쉬워진다.
또는, 상기 흡수체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섬유 덩어리는 비셀룰로오스계 섬유만으로 또는 셀룰로오스계 섬유와 비셀룰로오스계 섬유로 형성되고, 주위부에 위치하는 상기 섬유 덩어리는 셀룰로오스계 섬유만으로 또는 셀룰로오스계 섬유와 비셀룰로오스계 섬유로 형성되어 있으며, 중심부에 위치하는 섬유 덩어리는 주위부에 위치하는 섬유 덩어리보다도 많은 비셀룰로오스계 섬유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탐폰에서는 중심부에 위치하는 섬유 덩어리 경우 주로 비셀룰로오스계 섬유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 회복력이 높아지고, 주위부에 위치하는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주체로 하는 섬유 덩어리는 액체를 흡수하여 섬유 덩어리끼리의 수소 결합이 떨어졌을 때에, 중심부에 위치하는 섬유 덩어리의 팽창력에 의해 흡수체가 급속하게 팽창할 수 있다.
또한, 코어부의 밀도가 외장부의 밀도보다 높은 섬유 덩어리를 포함하게 하여도 좋다.
그 외, 코어부가 비셀룰로오스계 섬유만으로 또는 셀룰로오스계 섬유와 비셀룰로오스계 섬유로 형성되고, 외장부가 셀룰로오스계 섬유만으로 또는 셀룰로오스계 섬유와 비셀룰로오스계 섬유로 형성되어 있으며, 코어부가 외장부보다도 많은 비셀룰로오스계 섬유를 포함하는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섬유 덩어리가 셀룰로오스계 섬유와 비셀룰로오스계 섬유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섬유 덩어리에서의 셀룰로오스계 섬유와 비셀룰로오스계 섬유와의 배합 비율이 0.5∼4:1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수체의 평균 섬유 밀도는 0.2∼0.9 g/cm3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의 본 발명은, 흡수체가 투수성 시트로 피복되어 있는 생리용 탐폰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가 압축되어 수소 결합한 섬유를 갖는 웹 내에 상기 웹보다도 높은 밀도로 압축된 복수의 섬유 덩어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는, 흡수체가 투수성 시트로 피복되어 있는 생리용 탐폰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는 압축되어 수소 결합한 셀룰로오스계 섬유만을 또는 셀룰로오스계 섬유와 비셀룰로오스계 섬유를 갖는 웹 내에, 상기 비셀룰로오스계 섬유만으로 또는 비셀룰로오스계 섬유와 셀룰로오스계 섬유로 형성된 섬유 덩어리가 여러 개 포함되어 있고, 상기 섬유 덩어리의 비셀룰로오스계 섬유의 함유율이 웹 내에서의 비셀룰로오스계 섬유의 함유율보다도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탐폰에서는 섬유 웹이 액체를 급속하게 흡수하여 수소 결합이 떨어져 흡수체가 자유 상태가 되지만, 이 때 웹 내에 포함되는 밀도가 높은 섬유 덩어리 또는 비셀룰로오스계 섬유를 포함하는 탄성 회복율이 높은 섬유 덩어리가 크게 팽창함으로써, 흡수체가 팽창하여 질강 내에 밀착하기 쉬워진다.
또한, 상기 각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섬유 덩어리는 섬유를 감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밀도가 높은 섬유 덩어리나 비셀룰로오스계 섬유의 섬유 덩어리가 섬유를 감는 것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액체를 흡수했을 때에 섬유 덩어리의 팽창 회복력이 커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탐폰의 전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탐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탐폰(1)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주형으로 압축 성형된 흡수체(2)의 표면이 투수성 시트(3)로 덮혀져 구성되어 있다. 탐폰(1)의 후단부(1e)에서 투수성 시트(3)는 열 밀봉 또는 재봉틀에 의해 봉합되어 있다. 또한 탐폰(1)에서는 사용후에 있어서 탐폰(1)을 질강으로부터 인출할 때에 사용하는 끈(5)이 탐폰(1)의 후단부(1e)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투수성 시트(3)는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소수성 섬유가 친수 처리된 것으로 형성된 스펀 레이스, 포인트 본드, 스펀 본드, 서멀 본드 부직포, 또는 다수 개소 개공된 그들의 부직포, 또는 다공질의 플라스틱시트 등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한 예로서는 평량이 12 g/m2정도의 폴리에스테르 스펀 본드 부직포가 사용된다. 또한 끈(5)은 어떠한 것도 사용할 수 있으나, 예컨대 면사(20번×16개)를 발수 처리한 끈이 사용된다.
흡수체(2)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섬유 덩어리(8)의 집합체이며, 이 집합체는 예컨대 직경 8∼20 mm, 길이 4∼7 cm 정도의 원주 형상이 되도록 압축 성형되고, 섬유 덩어리(8)는 서로 밀착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흡수체(2)의 적어도 주위부에 위치하는 섬유 덩어리는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포함하는 것으로, 적어도 주위부에 있어서 인접하는 섬유 덩어리(8)끼리 서로 수소 결합하고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하는 모든 섬유 덩어리(8)의 경우 서로 수소 결합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섬유 덩어리(8)는 섬유 길이가 10∼40 mm 정도의 섬유를 소용돌이형 또는 털뭉치형으로 감아 더욱 압축한 것이다. 이 섬유 덩어리(8)를 투수성 시트(3)로 피복한다. 이 때의 크기는 질강 내에 밀착할 수 있는 굵기를 갖고 있다. 섬유 덩어리(8)를 투수성 시트로 피복한 것이 가열하에서 가압되어, 상기 직경 8∼20 mm, 길이 4∼7 cm 정도의 원주 형상으로 압축 성형된다. 이 때의 가열 가압에 의해 적어도 주위부에 위치하는 섬유 덩어리(8: 바람직하게는 모든 섬유 덩어리(8))끼리 수소 결합한다. 또, 하나의 섬유 덩어리(8)의 중량은 1∼3 g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압축된 섬유 덩어리(8)끼리 수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흡수체(2)의 강성이 높아지고 형상 유지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탐폰을 체내에 삽입하기 쉽고, 또한 애플리케이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형상을 유지한 채로 애플리케이터로부터 돌출하기 쉬워진다.
질강 내에 삽입되어 경혈을 흡수하면, 섬유 덩어리(8)끼리의 수소 결합이 떨어져 각 섬유 덩어리가 자유로운 거동을 한다. 이 때문에, 질의 형상에 맞게 되기쉬워진다. 또한 개개의 섬유 덩어리(8)가 경혈을 흡수하여 복원하고, 그 결과 흡수체(2) 전체가 팽창하여 질 사이에 간극이 생기기 어렵게 되어 누설이 생기지 않게 된다.
압축 성형후의 흡수체(2)의 평균 밀도는 0.2∼0.9 g/cm3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섬유 덩어리(8)가 섬유를 소용돌이형 또는 털뭉치형으로 감아 압축한 것이면, 섬유의 감고 풀기의 북원력에 의해, 섬유 덩어리가 원래의 크기로 복원하는 속도 및 힘이 강해진다.
섬유 덩어리(8)를 구성하는 섬유의 구체예로서는, 셀룰로오스계 섬유인 레이온 섬유, 펄프 섬유, 면 섬유 등의 흡수성을 갖는 천연 섬유만으로 형성되고, 혹은 상기 셀룰로오스계 섬유에 비셀룰로오스계 섬유인 폴리에틸렌 섬유나 폴리프로필렌 섬유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등의 합성 섬유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주체로 함으로써 섬유 덩어리(8)끼리를 수소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탄성율(탄성 복원율)이 높은 비셀룰로오스계 섬유를 포함하고 있으면 섬유 덩어리(8)끼리의 수소 결합이 떨어지고, 개개의 섬유 덩어리(8)가 자유롭게 된 상태에서 개개의 섬유 덩어리(8)의 복원 팽창력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섬유 덩어리(8)끼리를 수소 결합시켜 흡수체(2)의 강성을 유지하고 또한 원주 형상을 유지하며, 또한 수소 결합이 떨어졌을 때의 북원력을 얻기 위해서는 셀룰로오스계 섬유와 비셀룰로오스계 섬유의 혼합 비율(질량비)이 0.5∼4:1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셀룰로오스계 섬유와 비셀룰로오스계 섬유가 균일하게 혼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섬유 덩어리(8)를 구성하는 비셀룰로오스계섬유는 친수화 처리를 실시하여도 좋다.
상기 섬유 덩어리(8)의 구체적인 바람직한 예로서는 예컨대 섬유 길이 32 mm, 3.3 dtex의 레이온 섬유를 감아 외부 지름 5 mm 또한 중량 2 g의 섬유 덩어리로 한 것, 또는, 예컨대 섬유 길이 32 mm, 3.3 dtex의 레이온 섬유 80질량 %와, 섬유 길이 38 mm, 6.6 dtex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20질량%을 혼합하여 외부 지름 5 mm의 섬유 덩어리로 한 것이다.
도 2에 도시하는 실시예는 흡수체(2)를 구성하고 있는 복수의 섬유 덩어리(8)가 전부 거의 동일한 밀도를 갖지만, 도 3의 부분 단면도에 도시하는 실시예에서는 흡수체(2A)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섬유 덩어리(11: 도 3에 있어서 해칭을 붙이고 있는 섬유 덩어리)는 흡수체(2A)의 주위부에 위치하는 섬유 덩어리(10)보다 밀도가 높아져 있다.
상기 흡수체(2A)를 구성하고 있는 섬유 덩어리(10)와 섬유 덩어리(11)는 상기 섬유 덩어리(8)와 마찬가지로 셀룰로오스계 섬유로 형성되고, 또는 셀룰로오스계 섬유와 비셀룰로오스계 섬유가 혼합된 것이지만, 섬유 덩어리(10)와 섬유 덩어리(11)에서 밀도를 상이하게 하고 있는 점이 도 2에 도시하는 흡수체(2)와 상이하다.
도 3에 도시하는 흡수체(2A)에서는 경혈을 흡수했을 때에, 밀도가 낮은 주위부의 섬유 덩어리(10)로 바로 흡수되고, 그 후 경혈은 밀도가 높은 중심부로 유도된다. 따라서 흡수 속도가 빠르다. 경혈이 흡수되면 각 섬유 덩어리(10, 11)의 수소 결합이 풀려 각 섬유 덩어리(10, 11)가 자유 상태가 되지만, 이 때 밀도가 높은중심부의 섬유 덩어리(11)의 팽창 복원량이 크기 때문에 흡수체(2A) 전체가 크게 팽창하며, 따라서 탐폰(1) 전체로서 흡수량이 커짐과 동시에 질강과의 밀착력이 높아진다.
또한, 흡수체(2A)의 주위부에 위치하는 섬유 덩어리(10)와 중심부에 위치하는 섬유 덩어리(11)가 모두 셀룰로오스계 섬유와 비셀룰로오스계 섬유로 형성되고, 중심부에 위치하는 섬유 덩어리(11)가 주위부에 위치하는 섬유 덩어리(10)보다 비셀룰로오스계 섬유의 함유 비율이 많아지도록 섬유를 배합하여 각 섬유 덩어리(10, 11)를 형성해도 좋다. 또는, 주위부에 위치하는 섬유 덩어리(10)를 셀룰로오스계 섬유만으로 형성하고, 중심부에 위치하는 섬유 덩어리(11)를 셀룰로오스계 섬유와 비셀룰로오스 섬유와의 혼합체로 형성해도 좋다. 혹은, 주위부에 위치하는 섬유 덩어리(10)를 셀룰로오스계 섬유만으로 형성하고, 중심부에 위치하는 섬유 덩어리(11)를 비셀룰로오스계 섬유만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주위부의 섬유 덩어리(10)끼리 주로 수소 결합한 것이 된다. 이와 같이 섬유 덩어리(10)와 섬유 덩어리(11)에서 셀룰로오스계 섬유와 비셀룰로오스계 섬유의 함유율을 바꾼 흡수체(2A)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섬유 덩어리(11)의 밀도를 섬유 덩어리(10)의 밀도보다도 높게 할 필요는 없다.
이 흡수체(2A)에서는 주위부에 위치하는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주체로 하는 섬유 덩어리(10)에 의해서 경혈이 급속히 흡수된다. 그리고 섬유 덩어리끼리의 수소 결합이 떨어졌을 때에, 중심부에 위치하는 탄성 회복력이 큰 비셀룰로오스계 섬유를 주체로 하는 섬유 덩어리(11)가 큰 북원력에 의해 팽창한다. 따라서, 경혈 흡수시에 탐폰 전체로서의 부피 회복이 조속하게 행해진다. 또한, 셀룰로오스계 섬유끼리는 용이하게 수소 결합하기 때문에, 주위부에 많이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배치함으로써 흡수체(2A)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태를 특히 유지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탐폰을 애플리케이터 내에 보존하고, 사용시에 애플리케이터로부터 압출하여 사용하는 경우, 사용 전에 공기 중의 수분 등에 의해서 압축된 탐폰의 부피가 원래로 되돌아가 탐폰 사용시에 애플리케이터로부터 압출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문제는 잘 발생하지 않는다.
섬유 덩어리의 경우 구체적인 바람직한 예로서는, 중심부에 배치되는 섬유 덩어리(11)는 섬유 길이 32 mm, 3.3 dtex의 레이온 섬유 50%와, 섬유 길이 38 mm, 6.6 dtex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50%를 혼합하고, 외부 지름 5 mm의 섬유 덩어리가 사용된다. 한편, 주위부에 배치되는 섬유 덩어리(10)는 섬유 길이 32 mm, 3.3 dtex의 레이온 섬유만으로 이루어진다. 외부 지름 5 mm의 섬유 덩어리가 사용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탐폰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하는 흡수체(2B)에서는 각 섬유 덩어리(15)가 코어부(15a: 해칭이 붙어 있는 부분)와 코어부(15a)를 둘러싸는 외장부(15b)로 구성되어 있다. 코어부(15a)와 외장부(15b)는 모두 셀룰로오스계 섬유만으로 형성되어 있다. 혹은 셀룰로오스계 섬유와 비셀룰로오스계 섬유가 0.5∼4:1의 질량비가 되도록 균일하게 혼합되어 형성되어 있다. 다만, 코어부(15a)는 외장부(15b)보다 섬유 밀도가 높아져 있다.
이 경우, 개개의 섬유 덩어리(15)는 외장부(15b)에 있어서 경혈을 급속히 흡수하여 코어부(15a)에 침투시킨다. 외장부(15b)가 액체를 흡수하면 섬유 덩어리(15)끼리의 수소 결합이 떨어져 각 섬유 덩어리(15)가 자유 상태가 되지만, 이 때 밀도가 높은 코어부(15a)가 크게 복원한다. 따라서 경혈의 흡수시에는 부피 회복력이 높고 또한 흡수체(2B) 전체가 크게 팽창하여 질강 사이의 간극이 확실히 막힌다.
또는, 섬유 덩어리(15)의 코어부(15a)와 외장부(15b)가 모두 셀룰로오스계 섬유와 비셀룰로오스계 섬유의 혼합체에 의해 형성되고, 코어부(15a) 쪽이 외장부(15b)보다도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함유 비율이 많아지도록 해도 좋다. 또는, 외장부(15b)를 셀룰로오스계 섬유만으로 형성하고, 코어부(15a)를 비셀룰로오스계 섬유만으로 또는 비셀룰로오스계 섬유와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혼합체로 형성해도 좋다. 또한, 이 경우, 코어부(15a)의 섬유 밀도가 외장부(15b)의 섬유 밀도보다도 반드시 높을 필요는 없다. 이러한 예에서도, 코어부(15a)와 외장부(15b)는 섬유를 감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흡수체(2B)에서는 각 섬유 덩어리의 외장부(15b)가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주체로 하고 있기 때문에, 개개의 섬유 덩어리(15)가 경혈을 신속하게 흡수한다. 그리고, 섬유 덩어리(15)의 수소 결합이 떨어져 개개의 섬유 덩어리(15)가 자유 상태가 되면, 코어부(15a)에 많이 포함되어 있는 탄성 회복율이 높은 비셀룰로오스계 섬유의 감김이 풀리고, 개개의 섬유 덩어리(15)가 크게 복원하여 흡수체(2B)가 질강 내에 밀착할 수 있도록 팽창한다. 또한, 용이하게 수소 결합하는 셀룰로오스가 섬유 덩어리의 표면에 많이 존재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흡수체(2B)의 압축 성형시에는 섬유 덩어리(15)끼리가 확실하게 수소 결합하여 흡수체(2B)의 형상 유지성이 높아진다.
본 발명의 상기 복수의 섬유 덩어리에 의해서 형성되는 탐폰에서는 섬유 덩어리는 상기한 섬유 덩어리(10, 11, 15)의 어느 것을 조합하여 형성해도 좋다. 예컨대, 도 3에 도시하는 흡수체(2A)의 주위부의 섬유 덩어리 또는 중심부의 섬유 덩어리로서 도 4에 도시하는 섬유 덩어리(15)를 이용해도 좋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흡수체(2B)에 있어서 주위부의 섬유 덩어리보다 중심부의 섬유 덩어리가 높은 밀도를 갖도록 해도 좋다. 또는 주위부의 섬유 덩어리의 외장부(15b)보다도 중심부에 위치하는 섬유 덩어리의 코어부쪽이 비셀룰로오스계 섬유의 함유율을 높아지도록 해도 좋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탐폰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하는 탐폰의 흡수체(2C)에서는 섬유 웹(20) 중에 복수의 섬유 덩어리(18)가 점재하도록 포함되어 있다. 또는, 섬유 웹(20)의 중심 부분에 섬유 덩어리(18)가 밀집하여 위치하고 있더라도 좋다. 상기 섬유 웹(20)은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포함하고 가열화로 압축되어 섬유끼리 수소 결합하고 있다. 섬유 웹(20)은 셀룰로오스계 섬유만으로 형성되더라도 좋고, 셀룰로오스계 섬유와 비셀룰로오스계 섬유의 혼합체라도 좋다. 섬유 웹(20)을 형성하는 섬유가 수소 결합하고 있음으로써, 흡수체(2C)는 강성이 높아 형태가 무너지기 어렵기 때문에 질강 내에 삽입하기 쉽다. 또한 애플리케이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애플리케이터에서 돌출하기 쉽다.
상기 섬유 덩어리(18)는 셀룰로오스계 섬유만으로 또는 셀룰로오스계 섬유와비셀룰로오스계 섬유의 혼합체로 형성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섬유를 감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섬유 덩어리(18)의 섬유 밀도는 섬유 웹(20)의 섬유 밀도보다 높아지고 있다. 표면에 나타나고 있는 것이 섬유 밀도가 비교적 낮은 섬유 웹(20)이기 때문에, 흡수 속도가 빠른 것이 된다. 그리고 급속히 흡수된 경혈은 밀도가 높은 섬유 덩어리(18)로 유도되고 경혈은 흡수체(2C)의 내부로 용이하게 이동한다. 섬유 웹(20)이 액체를 흡수하여 수소 결합이 떨어지면, 흡수체(2C)의 형상이 자유 상태가 되고 질강 내로 유연하게 변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섬유 덩어리(18)가 액체를 흡수하면, 밀도가 높은 섬유 덩어리(18)가 크게 팽창하도록 복원한다. 따라서, 흡수체(2C)의 회복시의 부피가 커져 질강에 밀착하기 쉬워진다.
또는, 도 5에 있어서, 섬유 웹(20)과 섬유 덩어리(18)가 모두 셀룰로오스계 섬유와 비셀룰로오스계 섬유의 혼합체이며, 섬유 덩어리(18)에서의 비셀룰로오스계 섬유의 질량 함유율이 섬유 웹(20)에서의 비셀룰로오스계 섬유의 질량 함유율보다도 높게 해도 좋다. 또는, 섬유 웹(20)이 셀룰로오스계 섬유와 비셀룰로오스계 섬유의 혼합체이며 섬유 덩어리(18)가 비셀룰로오스계 섬유만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혹은 섬유 웹(20)이 셀룰로오스계 섬유만으로 형성되고 섬유 덩어리(18)가 셀룰로오스계 섬유와 비셀룰로오스계 섬유의 혼합체 또는 비셀룰로오스계 섬유만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 섬유 웹(20)의 수소 결합이 풀리면, 섬유 덩어리(18)가 비셀룰로오스계 섬유의 탄성 회복율에 의해 크게 팽창하고 흡수체(2C) 전체의 팽창량이 많아진다.
또한, 섬유 덩어리(18)는 상기 도 4에 도시한 상기 섬유 덩어리(15)와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흡수체(2C)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평탄한 섬유 웹(20)에 섬유 덩어리(18)를 실어 상기 섬유 웹을 원주 형상으로 압축 성형시켜도 좋고, 또한 섬유 덩어리(18)를 포함한 섬유 웹(20)을 원주 형상으로 형성하고 나서 가열 압축시킬 수도 있다.
이상 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탐폰에서는 경혈의 흡수시에 각 섬유 덩어리끼리의 수소 결합이 떨어지고, 각 섬유 덩어리가 독립된 거동을 나타내기 때문에 탐폰과 질 사이에 간극이 생기기 어려워 경혈의 누설이 생기기 어려운 것이 된다.
또한, 탐폰의 중심에 위치하는 섬유 덩어리의 밀도를 높게 하면 탐폰을 형성하는 흡수체의 중앙부로 경혈이 유도되기 쉽기 때문에, 경혈의 흡수 속도가 빠르고, 탐폰의 팽창 속도도 빠르다. 또한, 흡수체의 표면뿐만이 아니라 내부까지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탐폰의 중심을 비셀룰로오스계 섬유를 많이 포함한 섬유 덩어리로 구성하면, 경혈 흡수시의 부피 회복력이 높아진다. 따라서, 질에 간극이 없이 꼭 맞기 쉬워진다.
또한, 탐폰을 구성하는 섬유 덩어리의 코어부를 외장부보다 고밀도로 함으로써, 개개의 섬유 덩어리의 흡수력이 높아진다. 또한, 코어부에 비셀룰로오스계 섬유를 많이 배합하면, 섬유 덩어리의 부피 회복력이 높아진다. 따라서 질에 간극이없이 꼭 맞기 쉬워진다
그 외, 본 발명에서는 섬유 웹 중에 밀도가 높은 섬유 덩어리를 점재시킴으로써, 탐폰 전체로서의 흡수 속도를 높이고 또한 회복 복원력을 크게 할 수 있다.

Claims (10)

  1. 흡수체가 투수성 시트로 피복되어 있는 생리용 탐폰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는 압축된 복수의 섬유 덩어리의 집합체이며, 적어도 흡수체의 주위 부분에 위치하는 섬유 덩어리가 서로 밀착하여 수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용 탐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상기 섬유 덩어리의 밀도가 주위부에 위치하는 상기 섬유 덩어리의 밀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용 탐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섬유 덩어리는 비셀룰로오스계 섬유만으로 또는 셀룰로오스계 섬유와 비셀룰로오스계 섬유로 형성되고, 주위부에 위치하는 상기 섬유 덩어리는 셀룰로오스계 섬유만으로 또는 셀룰로오스계 섬유와 비셀룰로오스계 섬유로 형성되어 있으며, 중심부에 위치하는 섬유 덩어리는 주위부에 위치하는 섬유 덩어리보다도 많은 비셀룰로오스계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용 탐폰
  4. 제1항에 있어서, 코어부의 밀도가 외장부의 밀도보다 높은 섬유 덩어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용 탐폰.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코어부는 비셀룰로오스계 섬유만으로 또는 셀룰로오스계 섬유와 비셀룰로오스계 섬유로 형성되고, 외장부는 셀룰로오스계 섬유만으로 또는 셀룰로오스계 섬유와 비셀룰로오스계 섬유로 형성되어 있으며, 코어부는 외장부보다도 많은 비셀룰로오스계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용 탐폰.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잇어서, 섬유 덩어리는 셀룰로오스계 섬유와 비셀룰로오스계 섬유를 함유하고, 섬유 덩어리에 있어서의 셀룰로오스계 섬유와 비셀룰로오스계 섬유의 배합 비율이 0.5∼4: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용 탐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수체의 평균 섬유 밀도가 0.2∼0.9 g/cm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용 탐폰.
  8. 흡수체가 투수성 시트로 피복되어 있는 생리용 탐폰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는 압축되어 수소 결합한 섬유를 갖는 웹 내에 상기 웹보다도 높은 밀도로 압축된 복수의 섬유 덩어리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용 탐폰.
  9. 흡수체가 투수성 시트로 피복되어 있는 생리용 탐폰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는 압축되어 수소 결합한 셀룰로오스계 섬유만을 또는 셀룰로오스계 섬유와 비셀룰로오스계 섬유를 갖는 웹 내에 상기 비셀룰로오스계 섬유만으로 또는 비셀룰로오스계 섬유와 셀룰로오스계 섬유로 형성된 섬유 덩어리가 복수 포함되어 있고, 상기 섬유 덩어리의 비셀룰로오스계 섬유의 함유율이 웹 내에서의 비셀룰로오스계 섬유의 함유율보다도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용 탐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덩어리는 섬유를 감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용 탐폰.
KR1020010004790A 2000-02-02 2001-02-01 섬유 덩어리를 갖는 생리용 탐폰 KR1006957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24663A JP3725388B2 (ja) 2000-02-02 2000-02-02 繊維塊を有する生理用タンポン
JP2000-24663 2000-02-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8232A true KR20010078232A (ko) 2001-08-20
KR100695701B1 KR100695701B1 (ko) 2007-03-19

Family

ID=18550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4790A KR100695701B1 (ko) 2000-02-02 2001-02-01 섬유 덩어리를 갖는 생리용 탐폰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533771B2 (ko)
EP (2) EP1121915B1 (ko)
JP (1) JP3725388B2 (ko)
KR (1) KR100695701B1 (ko)
CN (1) CN1160032C (ko)
AU (1) AU776490B2 (ko)
BR (1) BR0100319B1 (ko)
CA (1) CA2332741C (ko)
DE (1) DE60122399T2 (ko)
ID (1) ID29119A (ko)
MY (1) MY126106A (ko)
SG (1) SG101952A1 (ko)
TW (1) TW497412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14722B2 (en) * 2000-03-06 2004-11-09 Playtex Products, Inc. Pre-expanded tampon pledget
US20020120246A1 (en) * 2000-12-20 2002-08-29 Herve Buzot Bag-type tampon containing compressed fibrous material
US20020143303A1 (en) * 2001-03-30 2002-10-03 Antoinette Intravartolo Removal string attachment for intravaginal devices
DE10163114B4 (de) * 2001-12-24 2005-03-31 Johnson & Johnson Gmbh Tampon, insbesondere für die Frauenhygiene
JP4520780B2 (ja) * 2004-07-09 2010-08-11 クリエーティブカミヤ株式会社 吸収帯
US7713253B2 (en) * 2004-07-28 2010-05-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eformable tampon comprising an inner wrap and outer wrap
US7517321B2 (en) * 2005-01-31 2009-04-14 C. R. Bard, Inc. Quick cycle biopsy system
JP2008543520A (ja) * 2005-06-28 2008-12-04 エスセーアー・ハイジーン・プロダクツ・アーベー タンポン
DE102005042012B4 (de) * 2005-09-02 2010-06-10 Drescher, Rüdiger Tampon
DE102007050750B4 (de) * 2007-10-22 2009-11-19 Schlote, Manfred F. Körper zum Spreizen von Körperabschnitten und Aufnehmen von Ausscheidungen
US20090281474A1 (en) * 2008-05-07 2009-11-12 Playtex Products, Inc. Tampon pledget having improved expans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DE102008061536A1 (de) 2008-12-03 2010-06-10 Aesculap Ag Medizintechnischer Saugkörper, insbesondere zur Entfernung von Wundflüssigkeiten aus menschlichen und/oder tierischen Körperhöhlen
US20190099303A1 (en) * 2017-09-11 2019-04-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RU2763679C2 (ru) * 2017-10-03 2021-12-30 Као Корпорейшн Абсорбент и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JP6524189B2 (ja) * 2017-10-03 2019-06-05 花王株式会社 吸収体及び吸収性物品
JP6990095B2 (ja) * 2017-11-28 2022-01-12 花王株式会社 吸収体及び吸収性物品
CN107802407A (zh) * 2017-11-30 2018-03-16 大连欧派科技有限公司 卫生棉条
JP7143438B2 (ja) * 2018-10-29 2022-09-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タンポン
CN114246734A (zh) * 2020-09-24 2022-03-29 祯佶祥实业股份有限公司 具有泡绵吸收体的垫体及卫生棉条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0378A (en) * 1971-11-01 1975-08-19 Union Carbide Corp Hydrogels from radiation crosslinked blends of hydrophilic polymers and fillers
US3815601A (en) * 1972-05-17 1974-06-11 Procter & Gamble Catamenial aggregate absorbent body
DE2503276C2 (de) * 1975-01-28 1978-08-31 Vereinigte Papierwerke Schickedanz & Co, 8500 Nuernberg Beuteltampon
US4239043A (en) * 1978-11-29 1980-12-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means for catamenial devices
US4278088A (en) * 1979-10-22 1981-07-14 Kimberly-Clark Corporation Bag tampon containing discrete pieces of absorbent
US4341215A (en) * 1980-09-04 1982-07-27 Tampax Incorporated Absorbent device
US4475911A (en) * 1981-04-13 1984-10-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devices
US4543098A (en) * 1982-12-23 1985-09-24 Kimberly-Clark Corporation Tampon with resilient component and microfiber insert
NZ209483A (en) * 1983-09-23 1987-08-31 Personal Products Co Compressed absorbent aggregate; superabsorbent material with hydrophilic filler
JPS62236547A (ja) 1986-04-09 1987-10-16 花王株式会社 タンポン
JPH01146548A (ja) 1987-12-02 1989-06-08 Kao Corp タンポン
DE3934153A1 (de) 1989-10-12 1991-04-18 Johnson & Johnson Gmbh Tampon, insbesondere fuer die frauenhygiene, sow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desselben
JP3112726B2 (ja) 1991-09-12 2000-11-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タンポン
SE508626C2 (sv) * 1994-12-30 1998-10-19 Sca Hygiene Prod Ab Ett material med hög absorptionskapacitet samt en absorberande struktur och ett absorberande alster innefattande materialet ifråg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32741A1 (en) 2001-08-02
US20010012929A1 (en) 2001-08-09
SG101952A1 (en) 2004-02-27
EP1121915A2 (en) 2001-08-08
CN1160032C (zh) 2004-08-04
EP1121915A3 (en) 2003-03-19
JP2001212173A (ja) 2001-08-07
EP1121915B1 (en) 2006-08-23
AU776490B2 (en) 2004-09-09
ID29119A (id) 2001-08-02
TW497412U (en) 2002-08-01
DE60122399D1 (de) 2006-10-05
MY126106A (en) 2006-09-29
EP1649844A2 (en) 2006-04-26
EP1649844A3 (en) 2010-03-03
KR100695701B1 (ko) 2007-03-19
US6533771B2 (en) 2003-03-18
DE60122399T2 (de) 2007-08-23
AU1677501A (en) 2001-08-09
CN1313073A (zh) 2001-09-19
BR0100319B1 (pt) 2009-05-05
CA2332741C (en) 2008-07-29
JP3725388B2 (ja) 2005-12-07
BR0100319A (pt) 2001-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5701B1 (ko) 섬유 덩어리를 갖는 생리용 탐폰
CN101166493B (zh) 双模式吸收卫生棉
CN1222259C (zh) 具有改善早期膨胀特性的塞条及其制备方法
CA2312666C (en) Sanitary tampon
CN101193615B (zh) 卫生棉条
US3986511A (en) Intravaginal sanitary device
US4475911A (en) Absorbent devices
US4335722A (en) Wrapped superabsorbent core tampon
CA2436038A1 (en) Signal tampon
US20080154174A1 (en) Absorbent tampon having outer petals
US4239043A (en) Absorbent means for catamenial devices
KR20030093293A (ko) 질강내 삽입용 흡수 기구
MXPA03005746A (es) Tampon tipo bolsa que contiene un material fibroso comprimido.
KR20050044635A (ko) 사전확장 탐폰 거즈
GB2153229A (en) Wound dressing
JP2003052751A (ja) 吸収体及び吸収性物品
CA2240590C (en) Tampon having improved early expansion characteristics
AU2007201844A1 (en) Bag-type tampon containing compressed fibrous material
AU2002245147A1 (en) Bag-type tampon containing compressed fibrous material
JPS6274361A (ja) タンポン
MXPA98004879A (en) Tampon with improved characteristics of rapida exp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