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6256A - 전원 회로 - Google Patents

전원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6256A
KR20010076256A KR1020010001769A KR20010001769A KR20010076256A KR 20010076256 A KR20010076256 A KR 20010076256A KR 1020010001769 A KR1020010001769 A KR 1020010001769A KR 20010001769 A KR20010001769 A KR 20010001769A KR 20010076256 A KR20010076256 A KR 200100762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converter
power
voltage
conver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1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카베노부유키
요코야마히데노리
아보쇼지
Original Assignee
사이토 아키히코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이토 아키히코,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사이토 아키히코
Publication of KR20010076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625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00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60L58/2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having different nominal voltag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H02J7/141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with a generator driven by a prime mover other than the motor of a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10DC to D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과제
고압 배터리를 사용하여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회로에 있어서, 부하 비작동 시에 있어서의 암전류를 공급한다.
해결수단
배터리(10)에 고전압 부하(20) 및 저전압 부하(22)가 설치되고, 저전압 부하(22)는 메인 DC-DC 컨버터(14) 및 서브 DC-DC 컨버터(16)를 개재시켜 전력이 공급된다. 이그니션 스위치(18)가 OFF된 경우에는, 서브 DC-DC 컨버터(16)만으로 저전압 부하(22)에 암전류를 공급하며, 메인 DC-DC 컨버터(14)는 OFF로 한다. 이그니션 스위치(18)가 ON된 경우에는, 메인 DC-DC 컨버터(14)에 의해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 저용량인 서브 DC-DC 컨버터(16)에 의해 암전류를 공급하기 때문에, 배터리(10) 정지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원 회로{Power supply circuit}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전원 회로, 특히 부하의 동작 시 및 비작동 시에 소정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부터, 차량 등에 있어서 밸브나 모터 등의 부하를 작동시키도록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하는 회로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평 9-289707 호 공보에 개시된 전기 자동차의 전원 시스템에 있어서는, 고압 배터리를 공통 전원으로 하여 복수의 전원 그룹으로 분산하여, 각 전원 그룹에 속하는 부하의 종류나 크기에 따른 DC-DC 컨버터를 설치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이 기술에 의하면, 각 부하를 작동시키기 위해 차량의 이그니션 스위치를 0N하면, 각 부하의 종류나 크기에 따른 각 전원 그룹의 DC-DC 컨버터가 작동하여, 부하에 적합한 전력이 공급된다.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그렇지만, 최근, 특히 차량에 있어서도 컴퓨터화가 진행하여, 부하로서 메모리 기능을 갖는 것도 많이 탑재되도록 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메모리 기능을 갖는 부하의 경우에는 메모리 내용을 유지하기 위해 비작동 시에 있어서도 일정 전력(암전류)을 공급할 필요가 있다. 또, 신속한 작동을 담보하기 위해 일정 암전류를 소비하는 대기 상태가 되는 부하도 있을 수 있다. 상기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이렇게 부하 비작동 시에 있어서의 전력 공급에 대해서는 하등 고려되어 있지 않으며,따라서, 가령 상기 종래 기술에 있어서 어느 부하에 비작동 시에 있어서의 소정 전력(암전류)을 공급하려 할 경우라도, 그 부하가 속하는 전원 그룹의 DC-DC 컨버터를 작동하지 않을 수 없으며, 암전류를 공급하는 용량 이상의 대용량을 갖는 DC-DC 컨버터에서의 전력 소비에 의해 배터리 용량이 저하해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상기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부하를 작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용량을 갖는 DC-DC 컨버터가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이상이 생겨 DC-DC 컨버터가 오작동해버린 경우에는, 부하에 그 용량에 따른 전력이 공급되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배터리 용량이 크게 감소해버리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과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배터리의 용량 감소를 억제하면서 부하의 비작동 시, 또는 작동 시라도 통상보다도 작은 전력이 필요해질 때에도 소정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또, 오동작에 의해 부하에 전력을 공급해도 배터리의 용량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실시예의 회로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처리 흐름도.
도 3은 다른 실시예의 회로 구성도.
도 4는 더욱 다른 실시예의 회로 구성도.
도 5는 도 4의 처리 흐름도.
도 6은 더욱 다른 실시예의 회로 구성도.
도 7은 더욱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
도 8은 도 7의 구성에 있어서의 타이밍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배터리 12 : 발전기
14 : 메인 DC-DC 컨버터 16 : 서브 DC-DC 컨버터
18 : 이그니션 스위치 20 : 고전압 부하
22 : 저전압 부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부하에 대해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차량용 전원 회로로,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 전압을 변환하여 상기 부하에 공급하는 전압 변환 수단을 가지며, 상기 전압 변환 수단은 상기 부하에 주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 1 변환 수단과, 상기 부하에 상기 부하의 비작동 시에 있어서의 부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 2 변환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변환 수단과는 별도로 암전류 등의 부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 2 변환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비작동 시에 있어서도 배터리 용량을 대폭 저하시키지 않고,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하는 제 1 및 제 2 부하로 구성되며, 제 1 변환 수단은 상기 제 1 부하에 상기 주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 2 변환 수단은 상기 제 2 부하에 상기 부전력을 공급하는 것이 적합하며, 또, 상기 제 1 변환 수단 및 상기 제 2 변환 수단은 상기 부하에 대해 병렬 접속되는 것도 적합하다.
또, 상기 부하를 작동시키는 시스템 스위치가 ON된 경우에 상기 제 1 변환 수단이 작동하고, 상기 시스템 스위치가 OFF된 경우에 상기 제 2 변환 수단이 작동하는 것이 적합하다. 시스템 스위치가 ON된 경우에 제 1 변환 수단에 의해 주전력을 공급하고, 시스템 스위치가 OFF된 경우에 제 2 변환 수단에 의해 부전력을 공급함으로써, 부하 작동 시 뿐만 아니라 부하 비작동 시에 있어서도 확실하게 부하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어, 배터리의 정지를 방지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시스템 스위치가 ON에서 OFF로 변화한 경우에, 상기 제 1 변환 수단은 소정 지연을 가지고 작동에서 비작동으로 변화하는 것이 적합하다. 시스템 스위치를 OFF해도 잠시 동안은 주전력을 공급하여 부하를 작동시킬 필요가 생기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며, 제 1 변환 수단을 OFF하는 타이밍을 지연시킴으로써, 이러한 요구에도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소정 지연을 가지고서는 시스템 스위치가 OFF됨과 동시가 아니라, 유한 시간 경과 후에 제 1 변환 수단을 OFF하는 것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일정 시간 후에 OFF하는 또는 소정 조건을 채운 경우에 OFF하는등의 양태가 존재할 수 있다.
또, 상기 부하를 작동시키는 시스템 스위치가 OFF된 경우에 상기 제 2 변환 수단이 작동하여, 상기 시스템 스위치와는 독립으로 상기 부하를 작동시킬 경우에 상기 제 1 변환 수단이 작동하는 것이 적합하다. 시스템 스위치가 OFF인채로 상기 부하를 작동시킬 필요가 생긴 경우에, 제 1 변환 수단을 OFF에서 ON으로 함으로써, 부하를 신속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 스위치가 OFF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변환 수단은 상기 작동 후 소정 지연을 가지고 비작동이 되는 것이 적합하다. 부하를 작동시킨 후에 다시 제 1 변환 수단이 OFF로 돌아감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방지하여, 배터리의 용량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압 변환 수단의 출력 전류를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출력 전류가 일정 시간 계속하여 소정치 이하가 된 경우에 상기 제 1 변환 수단을 비작동으로 하는 수단을 갖는 것이 적합하다. 부하가 비작동 상태가 되면 출력 전류가 저하하며, 이것을 트리거로 하여 제 1 변환 수단을 비작동으로 함으로써 제 1 변환 수단에 의한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방지하면서 제 2 변환 수단에 의해 부하에 대해 암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출력 전류가 일정 시간 계속하여 소정치 이하가 된 것을 조건으로 함으로써, 예를 들면 노이즈에 의한 일시적인 출력 전류 저하나, 또는 예를 들면 헤저드 라이트 점등과 같이 단주기로 작동/비작동을 반복하는 부하의 경우에도 안정되게 제 1 변환 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압 변환 수단의 출력 전압을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출력 전압이 소정치 이하가 된 경우에 상기 제 1 변환 수단을 작동시키는수단을 갖는 것이 적합하다. 제 2 변환 수단이 작동하고 있을 때에 부하가 작동 상태가 되면 출력 전압이 저하한다. 이 전압 저하를 트리거로 하여 제 1 변환 수단을 작동시키고, 제 1 변환 수단을 개재시켜 부하에 주전력을 공급함으로써, 부하를 확실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변환 수단은 상기 제 2 변환 수단보다도 대용량으로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전원 회로를 차량에 탑재한 경우, 상기 시스템 스위치는 차량의 이그니션 스위치로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변환하여 상기 부하에 공급하는 전압 변환 수단을 가지며, 상기 전압 변환 수단은 상기 부하에 주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 1 변환 수단과, 상기 부하에 부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 2 변환 수단을 가지고, 상기 제 1 변환 수단과 상기 제 2 변환 수단은 서로 병렬 접속되어 상기 부하에 접속되며, 상기 부하의 작동 상황에 따라서 교대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서로 병렬 접속된 제 1 변환 수단 및 제 2 변환 수단을 부하에 접속하며, 부하의 작동 상황에 따라서, 즉 부하가 비교적 대전력을 필요로 할 경우에는 제 1 변환 수단을 작동시켜 주전력을 공급하며, 부하가 비교적 소전력을 필요로 할 경우에는 제 2 변환 수단을 작동시켜 부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소전력으로 부하가 작동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대응할 수 있으며, 또, 배터리의 용량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예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차량용 전원 회로를 예로서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실시예의 회로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배터리(10)가 설치되며, 이 배터리(10)로부터 차량의 고전압 부하(20) 및 저전압 부하(22)에 소정 전력을 공급한다. 배터리(10)는, 예를 들면 고전압 배터리(36V)로 할 수 있으며, 고전압 부하(20)로서는 스타터 회로, 저전압 부하(22)로서는 파워 윈도우 회로나 도어 록 회로로 할 수 있다. 배터리(10)에는 발전기(12)가 접속되며, 발전기(12)를 작동시킴으로써 배터리(1O)를 필요에 따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발전기(12)는 전동기로서 기능시킬 수도 있으며, 배터리(10)로부터의 전력을 공급하여 모터로서 기능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고전압 부하(20)는 배터리(10)에 직접 접속되며, 배터리(10)로부터의 고전압(36V)에 의해 작동한다. 한편, 저전압 부하(22)는 DC-DC 컨버터를 개재시켜 배터리(10)에 접속되며, DC-DC 컨버터에서 배터리 전압을 강압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배터리(10)와 저전압 부하(22) 사이에 설치되는 DC-DC 컨버터는 복수의 DC-DC 컨버터, 즉 메인 DC-DC 컨버터(14)(제 1 변환 수단)와 서브 DC-DC 컨버터(16)(제 2 변환 수단)로 구성된다. 메인 DC-DC 컨버터(14)는 서브 DC-DC 컨버터(16)에 비해 대용량이며, 예를 들면 메인 DC-DC 컨버터(14)는 1kw 정도의 용량으로 하고, 서브 DC-DC 컨버터(16)는 1w 정도의 용량으로 할 수 있다. 도 1의 구성에 있어서는, 메인 DC-DC 컨버터(14) 및 서브 DC-DC 컨버터(16)는 서로 병렬 접속되어 저전압 부하(22)에 접속되며, 저전압 부하의 메모리나 파워계 부하에 전력을 공급한다. 메인 DC-DC 컨버터(14) 및 서브 DC-DC 컨버터(16)에는 이그니션(IG) 스위치(18)가 접속되며, 양 컨버터의 작동, 비작동은 차량의 이그니션 스위치(18)의 ON, OFF로 연동한다. 메인 DC-DC 컨버터(14)는 저전압 부하(22)의 작동 시에 필요한 파워계 전력(주전력)을 공급하며, 서브 DC-DC 컨버터(16)는 저전압 부하(22)의 비작동 시에 있어서의 메모리계 전력(부전력), 구체적으로는 암전류를 공급한다. 따라서, 기본적인 동작으로서는, 이그니션 스위치(18)가 ON되며, 저전압 부하(22)를 작동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메인 DC-DC 컨버터(14)가 ON하며, 이그니션 스위치(18)가 OFF되어, 저전압 부하(22)가 비작동 상태가 되어 메모리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암전류를 공급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서브 DC-DC 컨버터(16)가 ON한다.
도 2에는, 본 실시예의 처리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조작자(통상은 차량 운전자)가 이그니션 스위치(18)를 OFF하면(S1O1), 서브 DC-DC 컨버터(16)가 ON하며(S1O2), 이 서브 DC-DC 컨버터(16)에 의해 배터리(10)의 고전압(36V)을 암전류 공급용 소전압으로 변환하여 저전압 부하(22)에 공급한다. 이그니션 ON 시에는 메인 DC-DC 컨버터(14)는 ON하고 있으며, 이그니션 스위치(18)를 ON에서 OFF로 해도, 메인 DC-DC 컨버터(14)는 바로 OFF되지 않고, ON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메인 DC-DC 컨버터(14)가 ON 상태대로 일정 시간 경과했는지의 여부, 또는 메인 DC-DC 컨버터(14)의 전류치가 소정치 이하가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O3). 일정 시간 경과한 경우, 또는 소정 전류치 이하가 된 경우에는, 메인 DC-DC 컨버터(14)를 OFF로 하여(S104), 서브 DC-DC 컨버터(16)만으로 저전압 부하(22)에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이그니션 스위치(18)를 OFF해도 메인 DC-DC 컨버터(14)를 OFF로 하지 않으며, 소정 지연을 가지고 OFF하는 것은, 예를 들면 이그니션 스위치(18)를 OFF한 후라도 파워 윈도우 모터를 작동시켜 차량의 윈도우를 승강시킬 필요가 있는 것 등을 고려한 것이다. 이러한 경우, 서브 DC-DC 컨버터(16)만으로는 소용량이기 때문에 파워 윈도우 모터 등을 구동시킬 수 없으며, 메인 DC-DC 컨버터(14)의 대전력이 필요해지기 때문이다.
덧붙여, 이그니션 스위치(18)가 ON하고 있을 경우에는, 메인 DC-DC 컨버터(14)는 ON하고 있으며, 서브 DC-DC 컨버터(16)는 OFF로 되어 있다. 물론, 이그니션 스위치(18)가 ON하고 있을 경우에, 메인 DC-DC 컨버터(14) 및 서브 DC-DC 컨버터(16)를 모두 0N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소비 전력 억제 관점에서는 메인 DC-DC 컨버터(14)만을 ON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렇게,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그니션 스위치(18)를 OFF한 경우에 메인 DC-DC 컨버터(14)가 아니라 서브 DC-DC 컨버터(16)에 의해 저전압 부하(22)에 암전류를 공급하기 때문에, 종래 기술과 같이 암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대용량의 메인 DC-DC 컨버터(14)를 작동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배터리(1O)의 용량 저하를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그니션 스위치(18)가 OFF되어 있을 경우는 기본적으로 서브 DC-DC 컨버터(16)만이 ON하며, 메인 DC-DC 컨버터(14)는 0FF가 되기 때문에, 이상에 의해 부하가 작동해도 서브 DC-DC 컨버터(16)만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때문에, 배터리(10) 용량이 대폭 저하하는 경우는 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공통의 저전압 부하(22)에 대해 서로 병렬 접속된 메인 DC-DC 컨버터(14) 및 서브 DC-DC 컨버터(16)가 접속되는 구성이지만, 메인 DC-DC 컨버터(14) 및 서브 DC-DC 컨버터(16)를 다른 부하에 접속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에는 이러한 경우의 구성예가 도시되어 있다. 메인 DC-DC 컨버터(14)는 저전압 부하(22)의 파워계 부하에 접속되고, 서브 DC-DC 컨버터(16)는 저전압 부하(22)의 파워계 부하와는 다른 부하인 메모리(22a)에 접속된다. 이그니션 스위치(18)가 OFF된 경우, 저전압 부하(22)의 파워계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메인 DC-DC 컨버터(14)는 OFF가 되며, 저전압 부하(22)의 메모리(22a)에 전력을 공급하는 서브 DC-DC 컨버터(16)가 ON하며, 메모리(22a)에 암전류를 공급한다. 이그니션 스위치(18)가 ON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메인 DC-DC 컨버터(14)가 ON하고, 서브 DC-DC 컨버터(16)는 OFF가 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회로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도 1에 도시된 구성과 마찬가지로 고전압 부하(20) 및 저전압 부하(22)가 설치되며, 고전압 부하(20)에는 배터리(10)로부터 직접 전력을 공급하며, 저전압 부하(22)에는 2개의 컨버터인 메인 DC-DC 컨버터(14) 및 서브 DC-DC 컨버터(16)에 의해 전력을 공급하는 구성이지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더욱이 키리스 ECU(전자 제어 장치)(24) 및 제어 ECU(26)가 설치되어 있다. 키리스 ECU(24) 및 제어 ECU(26)는 대기 상태에 있어서 서브 DC-DC 컨버터(16)로부터 전력 공급을 받아, 이그니션 스위치(18)의 ON 시에는 메인 DC-DC 컨버터(14)로부터 전력 공급을받지만, 도면에서는 간략화를 위해 생략하고 있다.
키리스 ECU(24)는 조작자가 휴대하는 송신기 조작(도어 록 해제 조작)을 비접촉으로 검지하는 것이며, 이로써 차량의 도어 록 해제를 검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송신기 조작에 의한 도어 록 해제 신호를 적외선으로 송신하여, 적외 검지기를 갖는 키리스 ECU(24)에서 검지한다. 서브 DC-DC 컨버터(16)로부터의 전력에 의해 대기 상태에 있을 때에 키리스 ECU(24)가 도어 록 해제를 검지하면, 검지 신호를 제어 ECU(26)에 공급한다. 한편, 이그니션 스위치(18)의 0N, OFF 신호도 제어 ECU(26)에 공급되며, 제어 ECU(26)는 이들 2개의 검지 신호에 근거하여 메인 DC-DC 컨버터(14) 및 서브 DC-DC 컨버터(16) 동작을 제어한다.
도 5에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처리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서브 DC-DC 컨버터(16)로부터의 전력에 의해 대기 상태에 있는 제어 ECU(26)가 키리스의 도어 록 해제(키리스 언록) 신호를 수신하면(S2O1), 메인 DC-DC 컨버터(14)에 제어 신호를 공급한다. 이그니션 스위치(18)가 OFF되어 있을 경우는,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서브 DC-DC 컨버터(16)는 저전압 부하(22)에 암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ON되어 있으며, 메인 DC-DC 컨버터(14)는 OFF되어 있다. 그래서, 제어 ECU(26)는 제어 신호를 공급하여 OFF로 되어 있는 메인 DC-DC 컨버터(14)를 OFF에서 ON으로 하는 것이다(S202). 그리고, 메인 DC-DC 컨버터(14)에 의해 배터리(10)의 고전압(36V)을 강압하여 저전압 부하(22)에 공급하여, 도어 록을 해제한다(S2O3).
메인 DC-DC 컨버터(14)를 ON하여 도어 록 해제한 후, 제어 ECU(26)는 더욱이 이그니션 스위치(18)가 ON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204). 통상, 도어 록을 해제한 경우에는, 그 후 조작자는 차량에 승차하여 이그니션 스위치(18)를 ON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이그니션 스위치(18)가 ON된 경우에는, 서브 DC-DC 컨버터(16)에 제어 신호를 공급하여 OFF함과 동시에, 메인 DC-DC 컨버터(14)의 ON을 유지한다(S205).
한편, 도어 록이 해제된 후, 이그니션 스위치(18)가 ON되지 않은 경우에는, 소정 지연을 가지고, 구체적으로는 일정 시간 후에 메인 DC-DC 컨버터(14)를 0N에서 OFF로 한다(S206). 소정 지연을 허용하는 것은 조작자의 이그니션 조작 시간을 고려한 것이다. 또한, 이 경우에도 서브 DC-DC 컨버터(16)는 ON인채로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렇게,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그니션 스위치(18)와는 독립으로 부하를 작동시킬 필요가 생긴 경우에 메인 DC-DC 컨버터(14)를 OFF에서 ON으로서 부하에 소정 전력을 공급하기 때문에, 부하를 신속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또, 그 후 이그니션 스위치(18)가 ON되지 않을 경우에는, 메인 DC-DC 컨버터(14)는 다시 OFF로 돌아가기 때문에, 배터리(1O) 용량이 불필요하게 저하하는 경우도 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메인 DC-DC 컨버터(14) 및 서브 DC-DC 컨버터(16)가 서로 병렬 접속되어 저전압 부하(22)에 접속되어 있지만, 도 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메인 DC-DC 컨버터(14) 및 서브 DC-DC 컨버터(16)를 각각 다른 부하에 접속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에는, 이러한 경우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며, 메인 DC-DC 컨버터(14)는 저전압 부하(22)의 파워계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고, 서브 DC-DC 컨버터(16)는 저전압 부하(22)의 메모리(22a)에 암전류를 공급한다. 이그니션 스위치(18)가 OFF되어 있는 동안은 서브 DC-DC 컨버터(16)에 의해 메모리(22a)에 암전류가 공급되어 메모리 내용이 보존되며, 조작자가 도어 록 해제를 소망할 경우에는 메인 DC-DC 컨버터(14)가 OFF에서 ON으로 변화하여, 저전압 부하(22)의 파워계 부하에 소정 전력을 공급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DC-DC 컨버터를 사용하여 배터리의 전압을 강압하여 부하에 공급할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배터리의 전압에 따라 승압할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서브 DC-DC 컨버터(16)에서 부하 비작동 시에 암전류를 공급할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암전류가 아니라, 통상의 작동 전력보다도 소전력을 부하에 공급하기 위해 ON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1의 구성에 있어서 메인 DC-DC 컨버터(14)와 서브 DC-DC 컨버터(16)가 서로 병렬 접속되어 저전압 부하(22)에 접속되어 있지만, 저전압 부하(22)의 작동 상황이 변화하여 통상보다도 낮은 전력으로 작동할 필요가 생긴 경우에는, 제어 ECU(26)가 이것을 검지하여 메인 DC-DC 컨버터(14)를 ON에서 OFF로 함과 동시에, 서브 DC-DC 컨버터(16)를 OFF에서 ON으로 하는 것도 적합하다. 물론, 부하의 작동 상황이 소전력에서 대전력으로 변화한 경우에는, 반대로 메인 DC-DC 컨버터(14)를 OFF에서 ON으로 하고, 서브 DC-DC 컨버터(16)를 ON에서 OFF로 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교대로 작동/비작동을 전환할 때, 기술한 실시예와 같이 일정 지연을 가지고 전환, 양 DC-DC 컨버터 모두 ON이 되는 시간을 설치해도 된다.
도 7에는, 다른 실시예의 구성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36V의 배터리(10)에 대해, 서로 병렬로 대용량 DC-DC 컨버터(또는 메인 DC-DC 컨버터)(14) 및 소용량 컨버터(16)(또는 서브 DC-DC 컨버터)가 접속되어 있다. 대용량 DC-DC 컨버터(14)는 예를 들면 1O0A의 용량을 가지며, 소용량 DC-DC 컨버터(16)는 예를 들면 100mA의 용량으로 할 수 있다. 대용량 DC-DC 컨버터(14) 및 소용량 DC-DC 컨버터(16)는 모두 부하(31)에 접속되어, 각각 구동용 전류 및 암전류를 공급한다.
대용량 DC-DC 컨버터(14) 및 소용량 DC-DC 컨버터(16)와 부하(31) 사이에는 저전류 검출 회로(30) 및 전압 저하 검출 회로(32)가 접속되어 있으며, 각각 컨버터의 출력 전류가 소정치(예를 들면 100mA) 이하가 된 것 및 출력 전압이 소정치(예를 들면 12V) 이하가 된 것을 검출하여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저전류 검출 회로(30)로부터의 검출 신호는 지연 처리 회로(34)에 공급되며, 지연 처리 회로(34)에서 소정 처리가 행해진 후 RS 플립 플롭(36)의 R(리셋)단자에 공급된다. 한편, 전압 저하 검출 회로(32)로부터의 검출 신호는 RS 플립 플롭(36)의 S(셋)단자에 공급된다.
RS 플립 플롭(36)의 Q출력 단자로부터는 대용량 DC-DC 컨버터(14)의 작동을 제어하는 허가 신호가 공급되며, 구체적으로는 Q단자로부터 Hi 신호가 출력되면 대용량 DC-DC 컨버터(14)가 작동하며, Q단자로부터 Low 신호가 출력되면 대용량 DC-DC 컨버터(14) 동작이 정지한다. 따라서, 지연 처리 회로(34)로부터 R단자에 신호가 공급되면 Q단자로부터 Low 신호가 출력되어 대용량 DC-DC 컨버터(14) 동작이 정지하여 소용량 DC-DC 컨버터(16)만을 작동시켜 부하(31)에 전력을 공급하며, 전압저하 검출 회로(32)로부터 S단자에 신호가 공급되면 Q단자로부터 Hi 신호가 출력되어 대용량 DC-DC 컨버터(14)가 작동하며, 대용량 DC-DC 컨버터(14)와 소용량 컨버터(16) 2개의 컨버터에서 부하(31)에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지연 처리 회로(34)는 저전류 검출 회로(30)에서 출력 전류가 소정치 이하로 저하한 것을 도시하는 검출 신호가 공급된 경우에, 그 검출 신호를 소정 시간 지연하여 출력하는 것이지만, 보다 상세하게는, 저전류 검출 회로(30)로부터 일정 시간만큼 검출 신호가 출력되는, 즉 일정 시간만큼 계속하여 출력 전류가 소정치 이하가 된 경우에 그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회로이다. 이러한 회로는 스위칭 트랜지스터, 콘덴서 및 컴퍼레이터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일정 시간 계속하여 저전류 검출 회로(30)로부터 검출 검출 신호가 출력된 경우에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OFF하여 콘덴서를 충전하여, 콘덴서의 단자 전압 상승에 의해 임계치 이상이 된 경우에 컴퍼레이터로부터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하면 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이하, 도 8의 타이밍도를 사용하여 본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8에 있어서, (a)는 컨버터의 출력 전압을 도시한다. 또, (b)는 컨버터의 출력 전류를 도시한다. 운전자가 이그니션 키를 OFF로 한 경우, 출력 전류는 급격하게 감소하며, 예를 들면 30A에서 10mA로 감소하면, 이 전류치의 저하를 저전류 검출 회로(30)에서 검출하며,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출력 전류가 10mA로 저하한 기간만큼 Hi가 되는 검출 신호를 지연 처리 회로(34)에 출력한다.
지연 처리 회로(34)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저전류 검출 회로(30)로부터일정 시간 계속하여 검출 신호가 공급된 경우에 Hi가 되는 신호를 출력하기 때문에, 지연 처리 회로(34)로부터는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c)에 대해 일정 시간만큼 늦어 Hi 신호가 RS 플립 플롭(36)에 출력된다. 지연 처리 회로(34)에서 일정 시간만큼 계속하여 검출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Hi 신호를 출력하는 것은 본래 대용량 DC-DC 컨버터(14)를 작동시켜야 할 타이밍에 있어서 일시적으로 노이즈에 의해 전류치가 저하했기 때문에 잘못하여 대용량 DC-DC 컨버터(14)를 비작동으로 해버리는 사태를 확실하게 방지하기 때문이다. 지연 처리 회로(34)로부터 RS 플립 플롭(36)의 R단자에 Hi 신호가 공급되면, (f)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RS 플립 플롭(36)의 Q단자는 Hi에서 Low로 바뀌며, 이로써 이그니션 키의 OFF에서 일정 시간 후에 대용량 DC-DC 컨버터(14) 동작이 정지한다. 이로써, 부하로의 암전류 공급은 소용량 DC-DC 컨버터(16)를 개재시켜 행해지게 된다.
이그니션 키 OFF 상태에서 부하(31)의 하나인 라이트(예를 들면 헤드 라이트)를 점등한 경우, 출력 전류가 10A로 증대함과 동시에, 소용량 DC-DC 컨버터(16)의 출력 범위를 넘기 때문에 출력 전압이 12V 이하로 저하한다. 출력 전류가 1OA로 상승함으로써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전류 검출 회로(30)로부터의 신호는 Hi에서 Low가 되며,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연 처리 회로(34)로부터의 신호도 Hi에서 Low가 된다. 또한, 지연 처리 회로(34)에서는 Low에서 Hi에 상승할 때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정 지연 시간이 존재하지만, Hi에서 Low로 하강할 때에는 지연은 없다. 또, 전압 저하 검출 회로(32)에서는 출력 전압 저하를 검출하여 (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검출 신호를 출력하여, RS 플립 플롭(36)의 S단자에 공급한다.이 신호 입력에 의해, (f)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RS 플립 플롭(36)의 Q단자로부터 Hi 신호가 출력되며, 대용량 DC-DC 컨버터(14)가 작동하여 라이트 점등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
다음으로, 운전자가 라이트를 다시 소등한 경우, 출력 전류가 다시 10mA로 저하하기 때문에, 이그니션 키를 OFF로 한 경우와 같이 일정 시간 후에 대용량 DC-DC 컨버터(14)가 OFF가 되어, 소용량 DC-DC 컨버터(16)만이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운전자가 다시 이그니션 키를 ON한 경우에는,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연 처리 회로(34)로부터 Low 신호가 RS 플립 플롭(36)의 R단자에 공급되며, (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압 저하 검출 회로(32)로부터 Hi 신호가 RS 플립 플롭(36)의 S단자에 공급되기 때문에 Q단자가 Low에서 Hi로 바뀌며, 대용량 DC-DC 컨버터(14)가 다시 작동하여 배터리(10)로부터의 전압을 변환하여 부하(31)에 공급한다.
또한, 이그니션 키를 OFF로 한 후에 운전자가 헤저드 라이트를 점등한 경우에는, 약 1초 정도 간격으로 출력 전류가 증감하게 되지만, 지연 처리 회로(34)에서의 계속 시간을 이 시간보다도 길게 설정함으로써, 헤저드 라이트의 점멸에 따라 대용량 DC-DC 컨버터(14)가 ON, OFF를 반복해버리는 사태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일정 계속 시간으로 출력 전류가 소정치 이하가 되지 않는 한, Q단자는 Low가 되지 않는다), 출력 전압의 변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이그니션 키를 OFF로 한 경우에는 대용량 DC-DC 컨버터(14)를 일정 시간 후에 0FF로 하여 소용량 DC-DC 컨버터(16)에 의해 암전류를 공급하여 대용량DC-DC 컨버터(14)에 의한 전력 소비를 방지함과 동시에, 이그니션 OFF 시에 부하를 구동할 경우 및 이그니션 0N 시에는 대용량 DC-DC 컨버터(14)를 ON하여 구동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암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저압(예를 들면 12V) 배터리를 별도 구비할 필요가 없어져, 차량에 탑재한 경우에는 탑재 중량 경감을 도모하는 것도 가능해진다(저압 배터리와 비해 소용량 DC-DC 컨버터(16)의 중량은 현저하게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대용량 DC-DC 컨버터(14)의 동작동안은 소용량 DC-DC 컨버터(16)는 동작, 비동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배터리 용량 감소를 억제하면서 부하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Claims (12)

  1. 부하에 대해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차량용 전원 회로로서,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변환하여 상기 부하에 공급하는 전압 변환 수단을 가지며,
    상기 전압 변환 수단은,
    상기 부하에 주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 1 변환 수단과,
    상기 부하에 상기 부하의 비작동 시에 있어서의 부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 2 변환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는 제 1 및 제 2 부하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변환 수단은 상기 제 1 부하에 상기 주전력을 공급하며, 상기 제 2 변환 수단은 상기 제 2 부하에 상기 부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변환 수단 및 상기 제 2 변환 수단은 서로 병렬 접속되어 상기 부하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회로.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를 작동시키는 시스템 스위치가 ON된 경우에 상기 제 1 변환 수단이 작동하고, 상기 시스템 스위치가 OFF된 경우에 상기 제 2 변환 수단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회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스위치가 ON에서 OFF로 변화한 경우에, 상기 제 1 변환 수단은 소정 지연을 가지고 작동에서 비작동으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회로.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를 작동시키는 시스템 스위치가 OFF된 경우에 상기 제 2 변환 수단이 작동하고,
    상기 시스템 스위치와는 독립으로 상기 부하를 작동시키는 경우에 상기 제 1 변환 수단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회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스위치가 OFF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변환 수단은 상기 작동 후 소정 지연을 가지고 비작동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회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변환 수단의 출력 전류를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출력 전류가 일정 시간 계속하여 소정치 이하가 된 경우에 상기 제 1 변환 수단을 비작동하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회로.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변환 수단의 출력 전압을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출력 전압이 소정치 이하가 된 경우에 상기 제 1 변환 수단을 작동시키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회로.
  10.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8 항,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변환 수단은 상기 제 2 변환 수단보다도 대용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회로.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스위치는 차량의 이그니션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회로.
  12. 부하에 대해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차량용 전원 회로로서,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변환하여 상기 부하에 공급하는 전압 변환 수단을 가지며,
    상기 전압 변환 수단은,
    상기 부하에 주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 1 변환 수단과,
    상기 부하에 부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 2 변환 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 1 변환 수단과 상기 제 2 변환 수단은 서로 병렬 접속되어 상기 부하에 접속되며, 상기 부하의 작동 상황에 따라서 교대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회로.
KR1020010001769A 2000-01-13 2001-01-12 전원 회로 KR200100762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04944 2000-01-13
JP2000-4944 2000-01-13
JP2000-156547 2000-05-26
JP2000156547A JP2001268787A (ja) 2000-01-13 2000-05-26 電源回路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6256A true KR20010076256A (ko) 2001-08-11

Family

ID=26583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1769A KR20010076256A (ko) 2000-01-13 2001-01-12 전원 회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120880A3 (ko)
JP (1) JP2001268787A (ko)
KR (1) KR20010076256A (ko)
CN (1) CN130591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19985A1 (de) * 2001-04-24 2002-10-31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r Energieeinspeisung in ein Mehrspannungsbordnetz eines Kraftfahrzeugs
JP3860484B2 (ja) 2002-02-15 2006-12-20 株式会社東芝 電源管理装置
JP2005059712A (ja) * 2003-08-11 2005-03-10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電源供給装置、ヒューズボックス、リレーボックス、コネクタ
JP4708817B2 (ja) * 2005-03-08 2011-06-2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車両用電源システム
JP4279854B2 (ja) * 2006-06-28 2009-06-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電源制御装置
DE102006036425A1 (de) * 2006-08-04 2008-02-07 Bayerische Motoren Werke Ag System zur Spannungsversorgung von elektrischen Verbrauchern eines Kraftfahrzeugs
DE102007001673A1 (de) * 2007-01-11 2008-07-1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Bordnetz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JP5125155B2 (ja) * 2007-03-07 2013-01-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源制御装置および電源制御方法
JP5487817B2 (ja) * 2009-09-04 2014-05-1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補助バッテリ給電システムおよび補助バッテリ給電方法
CN101860071B (zh) * 2010-05-11 2013-09-04 江苏宗申三轮摩托车制造有限公司 一种常电电源模块
CN102229327B (zh) * 2011-04-27 2014-03-19 北京启明精华新技术有限公司 汽车供电系统
CN103091632A (zh) * 2011-10-27 2013-05-08 现代摩比斯株式会社 汽车用电池传感器及其控制方法
KR101315773B1 (ko) * 2012-05-03 2013-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정션박스의 암전류 차단 장치 및 방법
JP6234127B2 (ja) * 2012-10-11 2017-11-22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
US10981524B2 (en) * 2016-07-13 2021-04-20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Electronic control unit
JP6673138B2 (ja) * 2016-10-19 2020-03-25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車両用のバックアップ装置
JP6690560B2 (ja) * 2017-01-19 2020-04-2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車載用電源装置
JP6826462B2 (ja) * 2017-02-28 2021-02-03 株式会社デンソー 制御装置、制御装置を備える制御システム
WO2018159463A1 (ja) 2017-02-28 2018-09-07 株式会社デンソー 制御装置、制御装置を備える制御システム
JP7028672B2 (ja) * 2018-02-20 2022-03-02 株式会社三社電機製作所 電源装置
KR102532312B1 (ko) * 2018-03-06 2023-05-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전원 공급 시스템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CN114475253A (zh) * 2022-02-22 2022-05-13 山东丽驰新能源汽车有限公司 一种动力电池内部控制器的供电系统及供电方法
DE102022210178A1 (de) * 2022-09-27 2024-03-28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Gleichspannungswandleranordnung, Elektrofahrzeu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Gleichspannungswandleranordnung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58620A (ja) * 1984-06-05 1985-12-20 Canon Inc 電源装置
JPH0433522A (ja) * 1990-05-30 1992-02-04 Fujitsu Ltd Dc/dcコンバータ装置
JP3761966B2 (ja) * 1996-04-22 2006-03-29 富士重工業株式会社 電気自動車の電源システム
GB2332105B (en) * 1997-12-03 2000-0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supp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20880A3 (en) 2004-06-09
CN1305912A (zh) 2001-08-01
JP2001268787A (ja) 2001-09-28
EP1120880A2 (en) 2001-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76256A (ko) 전원 회로
US6400589B2 (en) Control apparatus for a power supply circuit including plural converter
US7095137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supplying quiescent current to a vehicle having a multi-voltage on-board electrical system
CN109416122B (zh) 备用电源装置及备用系统
US7180205B2 (en) Dual-voltage vehicle electric system
US6762945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ducing a supply voltage during a first and second operating mode
JP5408352B2 (ja) 電源制御回路及び電源制御装置
US6509767B2 (en) Wake-up circuit
US10000168B2 (en) Vehicle electrical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vehicle electrical system
US6762595B2 (en) Power distribution system
US20100308647A1 (en) Power Supply Circuit for a Vehicle
JP4708817B2 (ja) 車両用電源システム
JP6528129B2 (ja) バックアップ電源装置およびバックアップ電源装置を用いた車両
EP3879704B1 (en) Apparatus for driving a switch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2001204137A (ja) 車両の給電回路
US20210253050A1 (en) In-vehicle power source control device and in-vehicle power source system
EP3157151B1 (en) Electronic control device
JP2010088180A (ja) 蓄電装置
US20190103759A1 (en) Power supply system
US11929661B2 (en) In-vehicle power supply device
JP6604312B2 (ja) 電力制御装置
US11299115B2 (en) Power storage unit control device
JP3613927B2 (ja) 車両用ecu電源システム
CN215042611U (zh) 一种双直流电源隔离、并联切换装置
CN113085551B (zh) 一种整车系统和电机控制器的电源管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