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5686A - 세정용 미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세정용 미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5686A
KR20010075686A KR1020017005683A KR20017005683A KR20010075686A KR 20010075686 A KR20010075686 A KR 20010075686A KR 1020017005683 A KR1020017005683 A KR 1020017005683A KR 20017005683 A KR20017005683 A KR 20017005683A KR 20010075686 A KR20010075686 A KR 200100756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weight
hair
carbon atoms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5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2249B1 (ko
Inventor
뮐러라이너
메륄미리암
Original Assignee
조지안느 플로
로레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지안느 플로, 로레알 filed Critical 조지안느 플로
Publication of KR20010075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5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2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22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61P5/1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posterior pituitary hormones, e.g. oxytocin, ADH
    • A61P5/12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posterior pituitary hormones, e.g. oxytocin, ADH for decreasing, blocking or antagonising the activity of the posterior pituitary horm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docrinology (AREA)
  • Diabet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용용으로 적합한 매질내에 (A) 세척 기재 및 (B) C4-C6카르복실산 에스테르 및 C12-C26알콜을 일종 이상 함유하는 새로운 모발 세정용 및 컨디셔너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모발 세척 및 보호에 유용하다.

Description

세정용 미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CLEANSING COSMETIC COMPOSITIONS AND USE}
음이온성, 특히 비온성 및/또는 양쪽성 형태, 보다 특별하게는 음이온성 형태의 표준 계면활성제를 필수적 기재로 한 세정용 조성물(예: 샴푸)을 사용하여 모발과 같은 케라틴 물질을 세정 및/또는 세척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조성물들은 젖은 모발에 적용되고, 손으로 마사지하거나 문지름에 의해 발생된 비누거품에 의해 초기의 모발에 존재했던 다양한 형태의 오물을 물로 헹군 후 제거한다.
상기 기재 조성물들은 명백히 좋은 세척력을 가지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들과 연관된 본질적인 미용 특성은 상당히 불량하게 되는데, 특히 그런 세정처리의 상대적으로 공격적인 성질이 결국에는 모발 섬유에 더한 또는 덜한 뚜렷한 손상을 입히기 때문이며, 상기 손상은 특히 이 섬유의 표면에 또는 섬유내에 함유된 지질 또는 단백질의 점진적인 제거와 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세정용 모발 성분의 미용 특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더욱 특히 민감한 모발에 적용되도록 하기 위해(즉, 손상되거나 부서진 모발, 특히 대기제의 화학 작용 및/또는 파마, 염색 또는 탈색과 같은 모발 처리), 이들 조성물에 컨디셔너로 알려진 부가적인 미용제를 도입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들 컨디셔너는 모발 섬유에 반복적으로 더하게 또는 덜하게 가해지는 다양한 처리 또는 침해에 의해 유도되는 해로운 효과 또는 바람직하지 않은 효과를 주로 회복하거나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이들 컨디셔너는 천연 모발의 미용 양태를 또한 증진시킬 수 있다.
이런 목적으로, 헹구는 동안 케라틴 물질상에 용착되는 실리콘, 및 더욱 특히 불용성 실리콘을 사용하는 것이 이미 제안되었다. 그러나, 실리콘은 매질내에 일정한 분산을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컨디셔너로서 식물성 오일 또는 동물성 오일 또는 지방산 에스테르와 같은 오일을 사용하는 것이 이미 제안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조성물은 불만족스러운 세정성 및 발포성을 갖는다. 또한, 이런 조성물로 처리된 케라틴 물질은 수용 불가능한 번들거리는 느낌을 준다.
본 발명은 모발과 같은 케라틴 물질을 세정 및 조정하기 위한 개선된 특성을 갖는 새로운 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이것은 미용용으로 수용가능한 수성의 담체내에, 세정력(detergent power)이 있는 계면활성제로 구성된 세척 기재(washing base)를 포함하며, 거기에는 C4내지 C6카르복실산 및 C12내지 C26알콜의 에스테르 일종 이상이 또한 컨디셔너로서 존재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에 언급된 미용용 적용에서의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컨디셔너 및 세정용 조성물을제안하였는데, 좋은 컨디셔너의 특성인 충분한 발포 및 특히 엉킴이 쉽게 풀리고, 번들거리는 성질없이 부드러우며 윤이 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이 문제에 대해 예의 연구한 결과, 출원인은 세척 기재 및 탄소수 4 내지 6 인 카르복실산 및 탄소수 12 내지 26 인 알콜의 액체 에스테르를 일종 이상 사용함으로써, 본질적으로 좋은 세척력 및 좋은 발포 특성(발포의 거품 풍부성 및 강도 및 개시)과 같은 우수한 기능적인 특성을 갖는 안정한 세정용 조성물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좋은 미용의 특성을 갖는데, 특히 처리된 모발의 스타일링, 고정, 유지 및 보디(body)의 용이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은 헹굼 후, 모발에 두드러진 처리 효과를 제공하는데, 이것은 번들거리는 느낌없이 보디, 광택, 매끄러움, 부드러움 및 유연성의 증가뿐만 아니라 엉킴의 풀림이 용이하다는 것이 특히 입증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제는 미용용으로 수용 가능한 수성 매질내에 (A) 세척 기재 및 (B) 탄소수 4 내지 6 인 카르복실산 및 탄소수 12 내지 26 인 알콜의 액체 에스테르를 일종 이상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세정용 및 컨디셔너용 미용 모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제는 또한 모발의 세정 및/또는 조정용의 상기 조성물의 미용 용도에 관한 것이다.
(A) 세척 기재: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수성인 세척 기재를 필수적으로 포함한다.
세척 기재를 형성하는 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 양쪽성, 비이온성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부터 하나 또는 혼합물로 보통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세척 기재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혼합물 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바람직하게는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세척 기재는 최종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4 중량%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6 중량% 내지 3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8 중량% 내지 25 중량%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계면활성제는 특히 하기와 같다:
(i)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본 발명의 내용 중, 그들의 성질은 사실적으로 중요한 특징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내용 중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비-제한적 목록)로는, 특히 하기 화합물의 염(특히, 알칼리염, 더욱 특히 나트륨염, 암모늄염, 아민염, 아미노 알콜염 또는 마그네슘염)이 언급될 수 있다: 알킬 술페이트, 알킬 에테르 술페이트, 알킬아미도에테르 술페이트, 알킬아릴폴리에테르 술페이트, 모노글리세리드 술페이트, 알킬 술포네이트, 알킬 포스페이트, 알킬아미드 술포네이트, 알킬아릴 술포네이트, α- 올레핀 술포네이트, 파라핀 술포네이트, 알킬 술포숙시네이트, 알킬 에테르 술포숙시네이트, 알킬아미드 술포숙시네이트, 알킬 술포숙시나메이트, 알킬 술포아세테이트, 알킬 에테르 포스페이트, 아실 사르코시네이트, 아실 이세티오네이트, 아실 글루타메이트 및 N-아실타우레이트,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20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이런 다양한 화합물의 알킬 라디칼 또는 아실 라디칼, 및 바람직하게는 페닐기 또는 벤질기를 나타내는 아릴 라디칼이 언급된다. 또한 사용될 수 있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중에서 올레산, 리시놀산, 팔미트산 및 스테아르산, 코코넛 오일 산, 또는 수소화된 코코넛 오일산, 탄소수 8 내지 20 인 아실 라디칼에서 아실 락틸레이트의 염과 같은 지방산 염이 언급될 수 있다. 폴리옥시알킬레네이티드 알킬(C6-C24)에테르 카르복실산, 폴리옥시알킬레네이티드 알킬 (C6-C24) 아릴 에테르 카르복실산, 폴리옥시알킬레네이티드 알킬 (C6-C24)아미도 에테르 카르복실산 및 그들의 염, 특히 에틸렌 옥시드기 2 내지 50 을 함유하는 염 및 그들의 혼합물뿐만 아니라 알킬-D-갈락토시듀론산 및 그들의 염과 같은 약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중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알킬 술페이트 및 알킬 에테르 술페이트 염 및 그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i)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실질적으로 잘 알려진 화합물(특히 "Handbook of Surfactants" M.R. Porter 저자, Blackie & Son (Glasgow 및 London) 발행, 1991, pp. 116-178 참조)이며, 본 발명의 내용에서 그들의 성질은 중요한 특징은 아니다. 따라서, 특히 폴리에톡실화 지방산, 폴리프로폭실화 지방산 또는 폴리글리세롤화 지방산, 알킬페놀, 예를 들어 탄소수 8 내지 18 인 지방쇄를 갖는 α-디올 또는 알콜이(비-제한적 목록) 선택될 수 있고, 특히 에틸렌 옥시드기 또는 프로필렌 옥시드기의 수가 2 내지 50 범위, 및 글리세롤 기의 수가 특히 2 내지 30 범위가 가능하다. 에틸렌 옥시드 및 프로필렌 옥시드의 공중합체, 에틸렌 옥시드 축합물 및 프로필렌 옥시드와 지방 알콜의 축합물 또한 언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옥시드 2 내지 30 몰을 갖는 폴리에톡실화 지방 아미드, 평균 글리세롤기 1 내지 5, 특히 1.5 내지 4 를 함유하는 폴리글리세롤화 지방 아미드, 에틸렌 옥시드 2 내지 30 몰을 바람직하게는 갖는 폴리에톡실화 지방 아민, 에틸렌 옥시드 2 내지 30 몰을 갖는 소르비탄의 옥시에틸렌화 지방산 에스테르, 수크로스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알킬폴리글리코시드, N-알킬글루카민 유도체, (C10-C14)알킬아민 옥시드 또는 N-아실아미노프로필모르폴린 옥시드와 같은 아민 옥시드가 언급될 수 있다. 알킬폴리글리코시드는 특히 본 발명의 내용에 적합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구성한다고 알려져 있다.
(iii) 양쪽성 계면활성제:
본 발명의 내용상 계면활성제의 성질이 중요한 특성이 아닌, 양쪽성 계면활성제로는 특히 지방족 라디칼이 8 내지 22 탄소 원자를 함유하고 하나 이상의 수용성 음이온성기(예를 들어 카르복실화, 술포네이트, 술페이트, 포스페이트 또는 포스포네이트)를 함유한 직쇄 또는 분쇄인 지방족 라디칼에서 2급 또는 3급 아민 유도체(비-제한적 목록)가 있다. (C8-C20)알킬베타인, 술포베타인, (C8-C20)알킬아미도(C1-C6)알킬베타인 또는 (C8-C20)알킬아미도(C1-C6)알킬술포베타인이 또한 언급될수 있다.
아민 유도체 중에서, 하기의 구조식을 갖는 미합중국 특허 2,528,378 및 2,781,354 에 설명된 것과 같은 미라놀(Miranol,상표명)이라는 이름으로 시판되는 제품이 언급될 수 있다:
R2-CONHCH2CH2-N(R3)(R4)(CH2COO-) (2)
[식 중, R2는 가수분해된 코코넛 오일, 헵틸 라디칼, 노닐 라디칼 또는 운데실 라디칼내에 존재하는 산 R2-COOH 로부터 유도된 알킬 라디칼을 나타내며, R3은 β-히드록시에틸기를 나타내고, R4는 카르복시메틸기를 나타낸다]
R2'-CONHCH2CH2-N(B)(C) (3)
[식 중, B 는 -CH2CH2OX', C 는 z=1 또는 2 인 -(CH2)z-Y' 을 나타내고, X' 은 -CH2CH2-COOH 기 또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며, Y' 은 -COOH 또는 -CH2-CHOH-SO3H 라디칼을 나타내고, R2'은 코코넛 오일 또는 가수분해된 아마인유에 존재하는 산 R9-COOH의 알킬 라디칼, 및 알킬 라디칼, 특히 C7, C9, C11또는 C13알킬 라디칼, C17알킬 라디칼 및 그것의 이소(iso)형, 또는 불포화된 C17라디칼을 나타낸다].
이들 화합물은 CTFA 사전(5판, 1993)에서, 디소듐 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 디소듐 라우로암포디아세테이트, 디소듐 카프릴암포디아세테이트, 디소듐 카프릴로암포디아세테이트, 디소듐 코코암포디프로피오네이트, 디소듐 라우로암포디프로피오네이트, 디소듐 카프릴암포디프로피오네이트, 디소듐 카프릴로암포디프로피오네이트, 라우로암포디프로피온산, 코코암포디프로피온산 이라는 이름으로 분류되어진다. 예를 들어, 로디아 쉬미(Rhodia chimie)사에 의해 미라놀 C2M 농축물(상표명)이라는 이름으로시판되는 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가 언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계면활성제의 혼합물, 특히 음이온성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혼합물, 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혼합물이 바람직하게는 사용된다. 특히 바람직한 하나의 혼합물은 일종 이상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일종 이상의 양쪽성 계면활성제로 구성되는 혼합물이다.
소듐, 트리에탄올아민 또는 암모늄 (C12-C14) 알킬 술페이트, 2.2 몰 에틸렌 옥시드로 옥시 에틸렌화된 소듐 (C12-C14) 알킬 에테르 술페이트, 소듐 코코일 이세티오네이트 및 소듐 알파-(C14-C16) 올레핀 술포네이트 및 그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38% 활성 물질을 함유한 수용액 "미라놀 C2M 농축물"과, 미라놀 C32 라는 이름으로특히 로디아 쉬미사에 의해 시판되는 디소듐 코코암포디프로피오네이트, 또는 소듐 코코암포디프로피오네이트로 알려진 아민 유도체와 같은 양쪽성 계면활성제, 또는 특히 헨켈(Henkel)사에 의한 32% AM을 함유하는 수성 용액과 같은 "데히톤 AB 30(Dehyton AB 30)" 이라는 이름으로시판되는 코코일베타인, 또는 골드슈미트(Goldschmitd)사에 의해 시판되는 테고베타인 F50(Tegobetaine F50)과 같은 알킬아미도알킬베타인 등과 같은 알킬베타인, 양성이온형의 양쪽성 계면활성제가 함께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v)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중에서 임의적으로 폴리옥시알킬렌화 1급, 2급 또는 3급 지방 아민염, 테트라알킬암모늄, 알킬아미도알킬트리알킬암모늄, 트리알킬벤질암모늄, 트리알킬히드록시알킬암모늄 또는 알킬피리디늄 클로리드 또는 알킬피리디늄 브로미드와 같은 4급 암모늄염, 이미다졸린 유도체, 또는 양이온성의 아민 옥시드(비-제한적 목록)가 특히 언급될 수 있다.
사용이 배제되지 않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본 발명을 수행하는데 바람직한 계면활성제를 구성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다.
B-액체 에스테르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은 탄소수 4 내지 6 인 카르복실산 및 탄소수 12 내지 26 인 알콜의 액체 에스테르 일종 이상을 필수적으로 포함한다. 이들 에스테르는 25℃ 에서 0.1% 를 초과하는 농도에서는 물에 불용성이다. 그들은 30 ℃ 미만의 상온에서 액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에스테르는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I)을 갖는다:
R1COOR2(I)
[식 중, R1은 선형 또는 분지이며, 탄소수 3 내지 5 인 임의의 모노히드록실화 탄화수소- 또는 폴리히드록실화 탄화수소-기재 라디칼일 수 있으며, R2는 선형 또는 분지형이고, 탄소수 12 내지 26 및 바람직하게는 16 내지 22 인 임의의 모노히드록실화 탄화수소- 또는 폴리히드록실화 탄화수소-기재 라디칼일 수 있다.R1은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3 내지 5 인 분지의 알킬 라디칼, 및 더욱 특히 tert-부틸 라디칼이고, R2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2 내지 26 인 포화 또는 불포화 알킬 라디칼이며, 이것은 더욱 특히 트리데실 라디칼, 이소세틸 라디탈, 이소스테아릴 라디칼, 옥틸도데실 라디칼 및 이소아라키딜 라디칼로부터 분지되고 선택된 것이다.].
특히 바람직한 액체 에스테르는 이소스테아릴 네오펜타노에이트(R1= tert-부틸 및 R2= 이소스테아릴인 식(I)), 트리데실 네오펜타노에이트, 이소세틸 네오펜타노에이트 및 이소아라키딜 네오펜타노에이트이다.
상기에서 정의된 액체 에스테르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1 중량%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2 중량% 내지 10 중량%, 더욱 특히 0.5 중량% 내지 5 중량%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사용된다.
미용용으로 수용가능한 수성 매질은 물 단독, 또는 물과 C1내지 C4의 저급 알콜, 예를 들어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tert-부탄올 또는 n-부탄올, 알킬렌 글리콜, 예를 들어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글리콜 에테르와 같은 미용용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용매와의 혼합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세정용 조성물은 최종 pH 가 일반적으로 3 내지 10 을 갖는다. 상기 pH 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8 이다. 상기 pH 는 통상적으로 조성물에 염기(유기 또는 무기)를 첨가하여 원하는 값으로 조절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수성 암모니아, 또는 예를 들어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이소프로판올아민 또는 1,3-프로판디아민과 같은 1급, 2급 또는 3급 (폴리)아민, 또는 대안적으로 무기산 또는 유기산을 첨가하며,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시트르산과 같은 카르복실산을 첨가한다.
상기에 정의된 조합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전해질 또는 농축기와 같은 점도 조절인자를 함유할 수 있다. 특히 염화 나트륨, 소듐 크실렌술포네이트, 스클레로글루칸, 잔탄검, 지방산 알카놀아미드, 최대 5 몰의 에틸렌 옥시드로 임의적으로 옥시에틸렌화된 알킬 에테르 카르복실산 알카놀아미드, 예를 들어 가교된 폴리아크릴산 및 가교된 아크릴산/C10내지 C30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와 같이 Chem Y 사에 의해 "아미놀 A15(Aminol A15)"라는 이름으로시판되는 제품이 있다. 이런 점도 조절인자는 본 발명에 따라 조성물의 총 중량의 최대 10% 까지의 비율로 조성물에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당업계에서 잘 알려진 진주층제 또는 불투명화제, 예를 들어 C16이상의 지방 알콜, 소듐 팔미테이트 또는 마그네슘 팔미테이트, 소듐 스테아레이트 또는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또는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지방쇄 아실 유도체, 예를 들어 에틸렌 글리콜의 모노스테아레이트 또는 디스테아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모노스테아레이트 또는 디스테아레이트, 및 지방쇄 에테르 예를 들어, 디스테아릴 에테르 또는 1-(헥사데실록시)-2-옥타데카놀을 또한 최대 5% 까지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의 안정성에 영향을 주는 것 없이, 모발 또는 피부의 미용적 특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는 다른 제재를 또한 임의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중합체, 비이온성 중합체, 양이온성 중합체 또는 양쪽성 중합체, 단백질, 단백질 가수분해물, 세라마이드, 슈도세라마이드, 직쇄 또는 분쇄의 C16내지 C40을 함유하는 지방산, 예를 들어 18-메틸레이코사노산, 히드록시산, 비타민, 판테놀, 매질에 용해성이거나 또는 비용해성의 휘발성 실리콘 또는 비휘발성 실리콘, 식물유 및 합성유, 및 이들의 혼합물이 언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양이온성 중합체 형태의 컨디셔너는 세정용 조성물과 함께 처리된 모발의 미용 특성을 개선시킨다고 이미 알려진 것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데, 즉 특히 특허 출원 EP-A-0 337 354 및 프랑스 특허 출원 FR-A-2 270 846, FR-A-2 383 660, FR-A-2 598 611, FR-A-2 470 596 및 FR-A-2 519 863에 게시된 것들이다.
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에 있어서 "양이온성 중합체"라는 표현은 양이온기 및/또는 양이온성 기로 이온화 될 수 있는 기를 함유한 임의의 중합체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내용에서 사용될 수 있는 모든 양이온성 중합체 중에서, 4차 셀룰로스 에테르 유도체, 예를 들어 유니온 카르비드 코포레이션사(Union Carbide Corporation)에 의해 "JR 400" 이라는 이름으로시판되는 제품, 고리중합체, 특히디알릴디메틸암모늄 염 단일중합체 및 디알릴디메틸암모늄 염 및 아크릴아미드, 특히 염소와의 공중합체, 예를 들어 메르크사(Merck)에 의해 "메르쿠엇 100(Merquat 100)", "메르쿠엇 550(Merquat 550)" 및 "메르쿠엇 S(Merquat S)" 라는 이름으로시판되는 제품, 및 양이온성 폴리사카리드 및 더욱 특히 2,3-에폭시-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 클로리드에 의해 개질된 구아르 검, 예를 들어 메이홀사(Meyhall)에 의해 "자규어 C13S(Jaguar C13S)"라는 이름으로 시판되는 제품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양이온성 중합체는 최종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01 중량%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0.005 중량% 내지 5 중량%, 더욱 특히 0.01 중량% 내지 3 중량%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C10내지 C181,2-알카네디올 또는 모노에탄올아민 또는 디에탄올아민으로부터 유도된 지방 알카놀아미드와 같은 발포 상승제를 또한 함유할 수 있다.
물론, 당업자는 이것 또는 이들 임의의 상보적 화합물 및/또는 그들의 양을 선택하는데 주의를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합(세척 기재 + 본 발명에 따른 에스테르)과 본질적으로 연관된 유리한 특성이 실질적으로 첨가 또는 직시된 첨가로 인하여 역으로 영향받지 않게 한다.
이들 조성물은 대체로 더한 또는 덜한 농축된 액체, 크림 또는 젤이며, 주로 모발의 세척 및 보호에 적합한 형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표준적인 샴푸로 사용될 때, 그것들은 단순히 젖은 모발에 적용되어 당분간 모발상에서 정지된 채로 둔 후, 추가로 손에 의한 마사지 및 마찰이 있은 후 물로 헹구어져 제거되며, 이것은 한번 이상 반복되는 조작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주제는 세척 및 컨디셔닝 방법이며, 언급된 젖은 물질에 상기에서 정의된 대로 조성물의 유효량을 적용하여, 당분간 물질상에서 정지된 채로 둔 후 조성물을 임의적으로 헹구어 상기 물질에서 제거되도록 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이지만 비제한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실시예가 주어질 것이다.
실시예 1
하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조성물 A)이며, 나머지 하나는 비교 조성물(조성물 B)인 두 개의 샴푸 조성물이 하기와 같이 제조되었다:
A(본 발명) B(비교)
2.2 몰 에틸렌 옥시드를 함유한 소듐 라우릴 12.6 gAM 12.6 gAM
에테르 술페이트(70/30 C12/C14)(70% AM을
함유한 수성 용액)(AM=활성물질)
디소듐 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미라놀 C2M 농 2.7 gAM 2.7 gAM
축물. NP(*))(38% AM을 함유한 수성 용액)
이소스테아릴 네오펜타노에이트 1 g 1 g
양이온성 셀룰로스 검(유니온 카르비드사의 0.2 g 0.2 g
중합체 JR 400)
에틸렌 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 1.5 g 1.5 g
NaCl 1.1 g 1.1 g
소듐 세테아릴 술페이트(90% AM) 0.7 gAM 0.7 gAM
코코넛산 모노이소프로판올아미드 1.5 g 1.5 g
방향, 보존제 qs qs
시트르산 0.6 g 0.6 g
탈염수 qs 100 g 100 g
(*)로디아 쉬미사에 의해 시판되는 미라놀 C2M 농축물:
[식 중, R 은 코코넛 기재 C8내지 C18알킬 라디칼의 혼합물을 나타내며, M 은 Na 를 나타낸다].
미리 습윤된 민감한 모발에 조성물 A 약 12g 을 적용하여 샴푸를 수행했다. 샴푸는 거품이 일어나도록 하고, 물로 철저하게 헹구어졌다.
상기와 동일한 절차가 비교 조성물B 에도 수행되었다.
전문가 위원회가 두 조성물의 발포 특성 및 미용 특성을 평가하였다.
전문가들은 발포의 개시가 매우 쉬우며, 거품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A가더욱 가볍다고 지적하였다.
조성물 A 로 처리된 젖은 모발은 더욱 쉽게 엉킴이 풀리고 더욱 유연하다. 건조된 모발은 더욱 부드럽고 더욱 보디하며 다루기 쉬웠다.
실시예 2
본 발명에 따른 샴푸 조성물이 제조되었다:
2.2 몰 에틸렌 옥시드를 함유한 소듐 라우릴 12.6 gAM
에테르 술페이트(70/30 C12/C14)(70% AM을
함유한 수용성 용액)(AM=활성물질)
디소듐 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미라놀 C2M 2.7 gAM
농축물. NP(*))(38% AM을 함유한 수성 용액)
트리데실 네오펜타노에이트 1.5 gAM
양이온성 세룰로스 검(유니온 카르비드사 0.2 gAM
제조 중합체 JR 400)
에틸렌 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 1.5 gAM
소듐 세테아릴 술페이트(90% AM) 0.7 gAM
코코넛산 모노이소프로판올아미드 4 g
방향, 보존제 qs
NaOH 0.1 g
시트르산 0.55 g
탈염수 qs 100 g
(*)로디아 쉬미사에 의해 시판되는 미라놀 C2M 농축물:
[식 중, R 은 코코넛-기재 C8내지 C18알킬 라디칼의 혼합물을 나타내며, M 은 Na 를 나타냄].
샴푸 세척은 조성물 A 약 12 g 을 미리 젖어 있는 민감한 모발에 도포하여 수행하였다. 샴푸는 거품으로 만든 후 물로 철저하게 헹구어진다.
거품의 개시가 매우 쉽고 거품이 더욱 가볍다.
본 조성물로 처리된 젖은 모발은 쉽게 엉킴이 풀리고 유연하다. 건조된 모발은 부드럽고 보디하며 다루기가 쉬웠다.

Claims (13)

  1. 미용용으로 수용가능한 수성 매질내에 (A) 세척 기재 및 (B) 탄소수 4 내지 6 인 카르복실산 및 탄소수 12 내지 26 인 알콜의 액체 에스테르를 일종 이상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용 및 컨디셔닝용 미용 모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기재는 음이온성, 양쪽성,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기재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4 중량%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6 중량% 내지 3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8 중량% 내지 25 중량% 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는 하기 화학식(I)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R1COOR2(I)
    [식 중, R1은 선형 또는 분지형이며, 탄소수 3 내지 5 인 임의의 모노히드록실화 또는 폴리히드록실화된 탄화수소-기재 라디칼일 수 있으며;
    R2는 선형 또는 분지형이며, 탄소수 12 내지 26 인 임의의 모노히드록실화 또는 폴리히드록실화된 탄화수소-기재 라디칼일 수 있다].
  5. 제 4 항에 있어서, R1은 탄소수 3 내지 5 인 분지형 알킬 라디칼이고, R2는 탄소수 12 내지 26 인 알킬 라디칼이며, 더욱 특별하게는 분지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R1은 tert-부틸 라디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는 트리데실, 이소세틸, 이소스테아릴, 옥틸도데실 및 이소아라키딜 라디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1 중량%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2 중량% 내지 10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비이온성, 양이온성, 또는 양쪽성 중합체, 단백질, 세라마이드, 슈도세라마이드, 실리콘, 식물 오일, 합성 오일, 히드록시 산, 비타민 및 판테놀,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보조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양이온성 중합체는 4차 셀룰로스 에테르 유도체, 디알릴디메틸암모늄염 단일중합체, 디알릴디메틸암모늄염 및 아크릴아미드의 공중합체, 및 양이온성 폴리사카리드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중합체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01 중량%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5 중량% 내지 5 중량%, 및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 내지 3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모발의 세정 및/또는 컨디셔닝을 위한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된 조성물의 용도.
  13.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해 정의된 조성물의 유효량을 젖은 모발에 적용한 후, 임의적으로는 일정 시간동안 모발상에서 조성물을 방치한 후, 그리고나서 물로 헹구는 것으로 구성되는 모발의 세척 및 컨디셔닝 방법.
KR10-2001-7005683A 1998-11-04 1999-10-26 세정용 미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04622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8/13865 1998-11-04
FR9813865A FR2785181B1 (fr) 1998-11-04 1998-11-04 Compositions cosmetiques detergentes et utilis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5686A true KR20010075686A (ko) 2001-08-09
KR100462249B1 KR100462249B1 (ko) 2004-12-17

Family

ID=9532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5683A KR100462249B1 (ko) 1998-11-04 1999-10-26 세정용 미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2) US6726902B1 (ko)
EP (1) EP1126817B1 (ko)
JP (1) JP3807483B2 (ko)
KR (1) KR100462249B1 (ko)
CN (1) CN1184950C (ko)
AT (1) ATE363924T1 (ko)
AU (1) AU748347B2 (ko)
BR (1) BR9914763B1 (ko)
CA (1) CA2345374A1 (ko)
DE (1) DE69936266T2 (ko)
DK (1) DK1126817T3 (ko)
ES (1) ES2288027T3 (ko)
FR (1) FR2785181B1 (ko)
PL (1) PL199430B1 (ko)
PT (1) PT1126817E (ko)
RU (1) RU2204985C2 (ko)
WO (1) WO20000257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29772B2 (en) * 2001-12-21 2011-10-04 Rhodia Inc. Stable surfactant compositions for suspending components
JP4116918B2 (ja) 2003-04-17 2008-07-09 花王株式会社 毛髪化粧料
US8147813B2 (en) * 2005-03-30 2012-04-03 L'oreal S.A. Detergent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three surfactants and at least one fatty ester, and use thereof
FR2883744B1 (fr) * 2005-03-30 2009-07-03 Oreal Compositions cosmetiques detergentes comprenant trois tensioactifs et un ester gras et utilisation
US20070104669A1 (en) * 2005-10-26 2007-05-10 Rainer Muller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ester, at least one acrylic polymer, at least one cyclodextrin and at least one surfactant, and uses thereof
FR2900336B1 (fr) * 2006-04-28 2008-07-18 Oreal Composition de lavage des matieres keratiniques et procede de traitement cosmetique mettant en oeuvre ladite composition
FR2920974B1 (fr) * 2007-09-14 2010-02-12 Oreal Compositions cosmetiques contenant un copolymere cationique acrylique, un ester gras liquide et un polymere cationique et leurs utilisations
FR2933612B1 (fr) 2008-07-08 2010-11-12 Oreal Compositions cosmetiques detergentes comprenant une silicone aminee et utilisation
FR2933613B1 (fr) 2008-07-08 2010-11-12 Oreal Compositions cosmetiques detergentes comprenant une silicone aminee et utilisation
EP2737892A4 (en) * 2011-07-28 2015-05-13 Kao Corp AQUEOUS HAIR CLEANSING AGENT
EP3556344A1 (en) 2018-04-16 2019-10-23 Kao Corporation, S.A. Cosmetic composition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28378A (en) 1947-09-20 1950-10-31 John J Mccabe Jr Metal salts of substituted quaternary hydroxy cycloimidinic acid metal alcoholates and process for preparation of same
US2781354A (en) 1956-03-26 1957-02-12 John J Mccabe Jr Imidazoline derivatives and process
US5196189A (en) 1974-05-16 1993-03-23 Societe Anonyme Dite: L'oreal Quaternized polymer for use as a cosmetic agent in cosmetic compositions for the hair and skin
IT1050562B (it) 1974-05-16 1981-03-20 Oreal Agente cosmetico a base di polimeri quaternizzati
GB1555796A (en) * 1976-10-15 1979-11-14 Unilever Ltd Composition for treating acne
LU76955A1 (ko) 1977-03-15 1978-10-18
FR2470596A1 (fr) 1979-11-28 1981-06-12 Oreal Composition destinee au traitement des fibres keratiniques a base de polymeres amphoteres et de polymeres cationiques
LU83876A1 (fr) 1982-01-15 1983-09-02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destinee au traitement des fibres keratiniques et procede de traitement de celles-ci
US5139037A (en) 1982-01-15 1992-08-18 L'oreal Cosmetic composition for treating keratin fibres, and process for treating the latter
LU86429A1 (fr) 1986-05-16 1987-12-16 Oreal Compositions cosmetiques renfermant un polymere cationique et un polymere anionique comme agent epaississant
US5013763A (en) * 1987-11-30 1991-05-07 The Andrew Jergens Company Wash-off-resistant skin preparation
MY105119A (en) 1988-04-12 1994-08-30 Kao Corp Low irritation detergent composition.
DE69203095T2 (de) * 1991-10-07 1996-02-29 Nephin Westport Hautreinigungsstück.
US5635469A (en) * 1993-06-10 1997-06-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oaming cleansing products
US5656280A (en) 1994-12-06 1997-08-12 Helene Curtis, Inc. Water-in-oil-in-water compositions
GB9507130D0 (en) * 1995-04-06 1995-05-31 Unilever Plc Hair treatment composition
FR2740331B1 (fr) * 1995-10-25 1997-12-19 Sederma Sa Nouvelles compositions cosmetiques pour le traitement des cheveux et du cuir chevelu
FR2755851B1 (fr) * 1996-11-15 1998-12-24 Oreal Compositions cosmetiques detergentes et utilisation
US5916575A (en) * 1997-01-27 1999-06-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products
US5882661A (en) * 1997-03-12 1999-03-16 Elizabeth Arden Co., Division Of Conopco, Inc. Composition and method for topical application to skin, hair and nails
US6143286A (en) * 1998-08-05 2000-11-07 Revlon Consumer Products Corporation Method for improving the fade resistance of hair and related com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347227A1 (en) 2002-03-25
DE69936266T2 (de) 2008-02-28
JP3807483B2 (ja) 2006-08-09
CA2345374A1 (fr) 2000-05-11
FR2785181B1 (fr) 2006-06-02
BR9914763B1 (pt) 2010-09-08
ATE363924T1 (de) 2007-06-15
US7179452B2 (en) 2007-02-20
WO2000025735A1 (fr) 2000-05-11
JP2002528478A (ja) 2002-09-03
PT1126817E (pt) 2007-07-27
AU748347B2 (en) 2002-06-06
EP1126817A1 (fr) 2001-08-29
FR2785181A1 (fr) 2000-05-05
PL199430B1 (pl) 2008-09-30
CN1325295A (zh) 2001-12-05
US20040170593A1 (en) 2004-09-02
US6726902B1 (en) 2004-04-27
EP1126817B1 (fr) 2007-06-06
DE69936266D1 (de) 2007-07-19
RU2204985C2 (ru) 2003-05-27
AU6346299A (en) 2000-05-22
DK1126817T3 (da) 2007-07-02
CN1184950C (zh) 2005-01-19
KR100462249B1 (ko) 2004-12-17
ES2288027T3 (es) 2007-12-16
BR9914763A (pt) 2001-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23412T3 (es) Composiciones cosmeticas que contienen un agente tensioactivo hidroxialquileter anionico y un polimero cationico y sus utilizaciones.
KR100397204B1 (ko) 세정 미용 조성물 및 용도
US5576279A (en) Stable conditioning shampoo containing an anionic surfactant a fatty alcohol, and polyethyleneimine
AU699221B2 (en) Detergent cosmetic compositions and use thereof
US6150311A (en) Detergent cosmetic compositions and their use
MXPA06003257A (es) Composiciones cosmeticas detergentes que comprenden tres tensioactivos y un ester graso y sus utilizaciones.
JP2000038336A (ja) コンディショニング・洗浄用組成物及びその用途
JP6153928B2 (ja) パーソナルケア組成物
KR100462249B1 (ko) 세정용 미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US6290944B1 (en)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an hydroxylalkyl ether surfactant and a cationic guar gum
US8470754B2 (en) Detergent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at least one amino silicone, and uses thereof
CA2015397A1 (en) Hair treatment composition
KR100296168B1 (ko) 모세관이용을위한미용세정조성물
ES2218078T3 (es) Composiciones cosmeticas detergentes que contienen un agente tensioactivo hidroxialquileter anionico y una silicona y sus utilizaciones.
JP2001031536A (ja) 脂肪鎖を有する両性ポリマーとエステルを含有する洗浄用化粧品組成物及びそれらの用途
US20040180029A1 (en)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at least one alkylamphohydroxyalkylsulphonate amphoteric surfactant and at least one ceramide, and uses thereof
JP2004196807A (ja) 両性界面活性剤とセラミドを含有する化粧品用組成物とその用途
US20040185025A1 (en)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alkylamphohydroxyalkylsulphonate amphoteric surfactant and at least one hydroxy acid, and uses thereof
JP2004196808A (ja) 両性界面活性剤とヒドロキシ酸を含有する化粧品組成物とその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