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5394A - 식후 포만감을 연장시키기 위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식후 포만감을 연장시키기 위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5394A
KR20010075394A KR1020017003896A KR20017003896A KR20010075394A KR 20010075394 A KR20010075394 A KR 20010075394A KR 1020017003896 A KR1020017003896 A KR 1020017003896A KR 20017003896 A KR20017003896 A KR 20017003896A KR 20010075394 A KR20010075394 A KR 20010075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weight
satiety
dry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3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버트 포트만
Original Assignee
케민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민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케민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10075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539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4Mentha (mi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40Complete food formulations for specific consumer groups or specific purposes, e.g. infant formu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2Cucurbitaceae (Cucumb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5Ericaceae or Vacciniaceae (Heath or Blueberry family), e.g. blueberry, cranberry or bil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6Prunus, e.g. plum, cherry, peach, apricot or almo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1Solanaceae (Potato family), e.g. tobacco, nightshade, tomato, belladonna, capsicum or jimsonwe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7Vitaceae or Ampelidaceae (Vine or Grape family), e.g. wine grapes, muscadine or pepperv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55Protease inhibitors
    • A61K38/56Protease inhibitors from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besit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과 혼합되며, 식사전에 섭취되어 포만감을 연장시키므로써 식욕을 감소시키는 프로테이나제 억제제의 공급원을 제공하는 감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조 분말 형태의 영양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영양 조성물은 약 10중량% 내지 약 80중량%의 단백질, 약 10중량% 내지 약 40중량%의 중쇄 내지 장쇄 지방산, 약 2중량% 내지 약 5중량%의 칼슘 염 및 약 0.02중량% 내지 약 5중량%의 감자 추출물에 의해 제공된 프로테이나제 억제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식후 포만감을 연장시키기 위한 조성물 {COMPOSITION FOR EXTENDING POST MEAL SATIETY}
지난 40년간 식사 섭취 후 포만감을 연장시키는 메카니즘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발명의 이점은 체중 감소를 얻어내는데 있어 명백한 유용성을 갖는다. 체중 감소 연구는 세가지 분야로 집약된다. 뇌는 식욕의 제어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연구자들은 다양한 신경 전달 물질, 특히 세로토닌, 도파민 및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을 연구하였다. 이러한 신경 전달 물질에 영향을 미쳐 식욕을 감소시키는 다수의 처방 및 창구판매용 제품들이 개발되었다. 약물에 의해 식욕을 감소시키는 것은, 특정 기간에 걸친 효능 상실을 포함하여 많은 결점을 갖는다. 신경 전달 물질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은 중추신경계에 또한 영향을 미치며, 신경과민 및 불안감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agents)는 치명적이기까지 할 수 있는 심혈관 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
두번째 방법은 위 공복감을 늦추므로써 포만감을 창출시키는 것에 집중된다. 이 방법은 위장관을 통해 음식의 이동 시간을 늦추는 불용성 섬유를 활용한다. 섬유 사용의 단점은 효과를 일으키는데 요구되는 양이 맛이없는 다이어트하게 할 뿐만 아니라 팽만, 가스 및 설사를 포함하는 많은 위장관 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다.
세번째 방법은 인체의 포만 메카니즘 자극을 연구하는 것이다. 음식을 먹는 경우, 콜레시스토키닌 방출 프로테인(Cholecystokinin Releasing Protein, CCK-RP)으로 일컬어지는 펩티드가 방출된다. 콜레시스토키닌 방출 프로테인은 이후 장에서 콜레시스토키닌의 방출을 자극한다. 콜레시스토키닌은 포만감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콜레시스토키닌이 방출되면, 이는 또한 CCK-RP를 비활성화시키는 효소의 방출을 자극한다. CCK-RP가 비활성화되면, CCK 수준은 떨어지고, 포만감은 감소한다. 연구에서는 콜레시스토키닌이 식사 섭취 후의 포만감 연장에 매우 효과적임을 보여주었다. CCK가 포만감을 연장시키고, 음식 흡수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정맥내 투여되어야 한다는 큰 단점을 갖는다. 경구적으로 투여되는 경우, CCK는 장 효소에 의해 비활성화된다. 이는 효능있는 체중 감소제로서의 용도를 매우 제한시킨다.
많은 영양제가 콜레시스토키닌의 방출을 자극할 수 있다. 연구자들은 단백질, 지방(특히, 중쇄 지방산) 및 칼슘이 CCK의 방출을 자극하는 것으로 평하였다.
미국 특허 제 4,491,578에는 콜레시스토키닌의 방출을 자극하므로써 포만감을 자극하는 트립신 억제제의 경구 투여에 대하여 교시하고 있다. 트립신 억제제는 콜레시스토키닌 분비를 위한 네가티브 피드백 시그날(negative feedback signal)을 억제시키므로써 작용하는 것으로 추론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트립신 억제제는 콜레시스토키닌의 수준을 유지시켜 포만감을 연장시킨다.
많은 연구에서는, 감자로부터 추출된 프로테이나제 억제제가 콜레시스토키닌의 방출을 자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구적으로 섭취되어, 식사 개시 전에 콜레시스토키닌 수준을 자극하고, 식사 섭취 후에 콜레시스토키닌 수준과 연장된 기간 동안의 포만감을 유지시킬 수 있는 영양 개입 조성물이 당해 명백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중요한 요소는 식사 개시 전에 특정 간격으로 섭취되는 생성물의 고안이다. 따라서, 포만감 수준이 식사 전에 미리 증진되어, 식사 동안에 섭취되는 음식의 양을 감소시킨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식사 섭취 후 포만감을 연장시키기 위한 건조 분말 형태의 영양 조성물을 제공한다.
건조 영양 조성물은 10 내지 80%의 단백질을 포함한다. 단백질은 간장(soy), 유장(whey), 카세인(casein) 또는 필수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특정 아미노산 혼합물의 형태로 또는 아미노산 페닐알라닌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건조 영양 조성물은 또한 2 내지 6%의 광물성 칼슘을 포함한다. 칼슘은 염화칼슘, 탄산칼슘, 칼슘 락테이트 등을 포함하는 염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건조 영양 조성물은 또한 10 내지 40%의 중쇄 및/또는 장쇄 지방산(C12-C22)을 포함한다.
건조 영양 조성물은 또한 프로테아제 억제제가 0.02 내지 5%로 존재하는 감자로부터 추출된 프로테이나제 억제제의 공급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식후 포만감을 연장시키기 위한 영양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영양 조성물은 위 펩티드인 콜레시스토키닌(cholecystokinin)의 분비를 자극하기 위한 단백질, 중쇄 및/또는 장쇄 지방산 및 칼슘, 및 콜레시스토키닌의 분해를 억제하는 감자로부터 추출된 프로테이나제 억제제의 공급원을 포함한다. 콜레시스토키닌의 수준을 증가시키고 유지시키므로써, 본 발명은 포만감을 연장시킨다.
도 1은 플라세보가 투여된 대상과 본 발명에 따른 영양 보조물이 투여된 대상 모두를 보여주는, 식후 3시간 반동안에 걸쳐 15분 간격으로 조사된 이들의 포만감에 따른 시험 대상의 반응을 그래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플라세보가 투여된 대상과 본 발명에 따른 영양 보조물이 투여된 대상 모두를 보여주는, 식후 3시간 반동안에 걸쳐 15분 간격으로 조사된 이들의 공복감에 따른 시험 대상의 반응을 그래프로 도시한 것이다.
포만감을 연장시키기 위한 영양 개입을 위한 영양 조성물은 단백질인 영양제, 중쇄 및/또는 장쇄 지방산, 칼슘, 프로테이나제 억제제를 함유하는 감자 추출물 및 바람직한 형태의 착향제 및 착색제를 포함한다. 프로테이나제 억제제는 감자 및 감자로부터의 추출물에 존재하는 열안정성 단백질이며, 분자량이 약 21,000이다. 트립신 및 키모트립신 억제제 둘 모두는 콜레시스토키닌의 방출을 자극하는 중요한 작용성을 갖는다. 바람직한 활성을 갖는 프로테아제 억제제가 감자에, 그리고 감자 조분 및 감자 섬유와 같은 시판되는 감자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보다농축된 형태로 존재한다. 특히, 논파리엘 컴퍼니(Nopariel Company)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감자 조분은 그램당 약 0.49mg의 감자 프로테아제 억제제 II(POT 2)를 함유하고, 네덜라드에 소재하는 아베베 컴퍼니(Avebe Company)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파셀리(Paselli) PPC 감자 분말은 그램당 약 1.35mg의 감자 프로테아제 억제제 II(POT 2)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활성을 갖는 비교적 순수한 프로테이나제 억제제를 추출하는 방법은 문헌에 기술되어 있다[참조: Bryant, J., Green, T.R., Gurusaddalah, T., and Ryan, C.A.(1976),Biochem. 15, 3418].
실험 1
본 연구는 평균 BMI가 31.2kg/㎡(범위 27.0 내지 35.8)이고, 평균 연령이 30.9세(범위 22 내지 45세)인 21명의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이 연구는 2 파트로 이루어진 고안을 교차 시험하였다. 제 1 단계에서, 대상에게 동칼로리 조성물이 음용 영양 조성물과 동등한 플라세보, 또는 음용 영양 조성물을 투여하였다. 이 두 처리에서는 식사 15분 전에 8온스의 물을 투여하였다. 식사는 460칼로리로 이루어졌다. 대상에게 15분내에 식사를 섭취하도록 요구하였다. 식사 섭취 후에, 대상에게 3시간 30분에 걸쳐 15분 마다 6개의 가시적 아날로그 규모로 공복감 및 포만감에 대한 등급을 매길 것을 요청하였다.
음용 영양 조성물이 하기에 기재된다:
음용 영양 조성물
성분 그램 %
유장 단백질 13.00 71.5
50% 올레산을 함유하는 비유제품 크림 4.00 22.0
칼슘 락테이트 0.635 3.5
0.19 1.0
0.05 0.3
POT 21 0.30 1.7
1POT 2는 약 10중량%의 프로테이나제 억제제를 포함한다.
음용 영양 조성물의 섭취 후 공복감 등급이 식후 측정 기간에 걸쳐 현저히 감소하여 식사 3시간 후까지 30% 감소에 이르렀다(p=0.033). 이러한 발견에 일관되어, 포만감 등급은 식사 3시간에 개시하여 현저히 증가하였다(37% 증가, p=0.043). 이외의 공복 관련 항목의 자가 보고 등급, 또는 갈증에서의 차이가 이러한 조건 사이에서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점은 식사 종료 후, 포만감을 연장시키고, 공복감을 감소시키는 영양 개입 조성물을 제공한다.
실험 2
본 연구는 평균 BMI가 31.2kg/㎡(범위 27.0 내지 35.8)이고, 평균 연령이 30.9세(범위 22 내지 45세)인 21명의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규정식 기간 동안에, 대상은 매일 2회 점심 및 저녁 식사 15분 전에 실험 1의 음용 영양 조성물 8온스(80kcal)를 마셨다. 포만감에 대한 음용 영양 조성물의 효과를 규정식의 4주 전과 4주째에 실험실에서 측정하였다. 다른 날에, 대상들은 350kcal의 식사를 하기 15분 전에 음용 영양 조성물 음료 또는 플 라세보 음료(부피 및 에너지면에서 서로 매칭됨)를 섭취하였다. 대상을 3시간 30분 동안 15분 마다 가시적 아날로그규모로 공복감 및 포만감의 등급을 매겼다.
연구 결과에서는, 규정식 4주 후, 점심 식사 후의 포만감 등급이 플라세보 음료보다 음용 영양 조성물의 섭취 후에 높았다(모든 시간 간격에 대한 평균 ±SD = 71.0 ± 17.3 대 65.5 ± 16.7, p < 0.05). 공복감 등급은 플라세보 음료보다 프로테아제 억제제의 섭취 후에 낮았다(10.5 ± 12.0 대 15.4 ± 13.3, p < 0.01). 음용 영양 조성물에 대한 부작용은 없었으며, 음용 영양 조성물이 대상으로부터 음식물의 섭취를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중 감소는 현저하였다(4주 후 2.0 ±1.1kg, p < 0.001).
따라서, 본 발명의 이점은 30일 기간에 걸쳐 지속적인 효능을 제공하며, 연장된 포만감으로 인해 상당한 체중 감소를 유도한다.
프로테아제 억제제의 공급원은 본 발명의 포만감 연장 생성물을 위한 특정 적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자 조분은 상당량의 프로테아제 억제제를 함유하나, 물에 분산되기는 어렵다. 당해 통상의 기술자들은, 상기 언급된 본 발명의 설명에 따라 프로테아제 억제제의 적합한 공급원뿐만 아니라, 조성물에 첨가되어 입맛, 맛 등과 같은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다른 성분들을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내용은 많은 특이성을 포함하나, 이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중 일부를 예시하는 것으로서 의도된다.

Claims (5)

  1. 물과 혼합되며, 식사전에 섭취되어 포만감을 연장시키므로써 식욕을 감소시키는 건조 분말 형태의 영양 조성물로서,
    (a) 건조 조성물 중 약 10중량% 내지 약 80중량%로 포함되는 단백질;
    (b) 건조 조성물 중 약 10중량% 내지 약 40중량%로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지방산;
    (c) 건조 조성물 중 약 2중량% 내지 약 5중량%로 포함되는 칼슘 염; 및
    (d) 건조 조성물 중 약 0.02중량% 내지 약 5중량%로 포함되는 프로테이나제 억제제 공급원을 제공하는 감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지방산이 올레산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천연 추출물 및 사과, 바나나, 체리, 계피, 크랜베리, 포도, 단물(honeydew), 꿀, 키위, 레몬, 라임, 오렌지, 복숭아, 페퍼민트, 파인애플, 나무딸기, 귤, 수박 및 산딸기의 인공 제조 추출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수용성 착향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청색, 녹색, 오렌지색, 적색, 보라색 및 황색의 수용성 천연 또는 인공 염료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착색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산화철 염료, 청색, 분홍색, 적색 및 보라색의 감청색 안료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착색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017003896A 1999-07-27 2000-07-25 식후 포만감을 연장시키기 위한 조성물 KR200100753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589299P 1999-07-27 1999-07-27
US60/145,892 1999-07-27
PCT/US2000/020157 WO2001017541A1 (en) 1999-07-27 2000-07-25 Composition for extending post meal satie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5394A true KR20010075394A (ko) 2001-08-09

Family

ID=22515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3896A KR20010075394A (ko) 1999-07-27 2000-07-25 식후 포만감을 연장시키기 위한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1115409A4 (ko)
JP (2) JP2003508490A (ko)
KR (1) KR20010075394A (ko)
AU (1) AU779377C (ko)
BR (1) BR0006959A (ko)
CA (1) CA2348067A1 (ko)
MX (1) MXPA01003054A (ko)
WO (1) WO20010175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86456B2 (en) 2001-07-06 2004-02-03 Kemin Foods, L.C. Method for the elimination of Kunitz and Bowman-Birk trypsin inhibitors and carboxypeptidase inhibitor from potato proteins
JP2005015358A (ja) * 2003-06-25 2005-01-20 Pharma Design Inc 摂食障害の治療に供される医薬組成物
EP1888086A4 (en) * 2005-04-11 2009-09-16 Univ Tennessee Res Foundation STABLE MILK PRODUCT COMPONENTS WITH FAT REDUCING EFFECT
JP2010094085A (ja) * 2008-10-17 2010-04-30 Pola Chem Ind Inc ダイエット用の食品組成物
JP5691105B2 (ja) * 2009-01-30 2015-04-01 株式会社東洋新薬 ジャガイモ抽出物を含有する食品の呈味改善方法
DK2227966T3 (en) * 2009-02-25 2016-09-12 Coöperatie Avebe U A Spice
JP5672588B2 (ja) * 2009-05-26 2015-02-18 株式会社東洋新薬 ダイエット用組成物
WO2011068150A1 (ja) * 2009-12-04 2011-06-09 株式会社東洋新薬 グルカゴン様ペプチド-1分泌促進剤
CN107334875A (zh) * 2017-08-30 2017-11-10 南宁学院 一种治疗腹泻的药酒及其制备方法
CN111493254A (zh) * 2020-04-10 2020-08-07 苏州绿叶日用品有限公司 一种含有马铃薯提取物的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1578A (en) * 1982-06-14 1985-01-01 Peikin Steven R Method of stimulating satiety in mammals
US4833128A (en) * 1984-12-28 1989-05-23 Neil Solomon Dietary supplement
JPH0699321B2 (ja) * 1990-01-22 1994-12-07 不二製油株式会社 食欲抑制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食品
US5468727A (en) * 1990-12-13 1995-11-21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Methods of normalizing metabolic parameters in diabetics
US5221668A (en) * 1992-02-26 1993-06-22 Abbott Laboratories Nutritional product for trauma and surgery patients
NZ260933A (en) * 1993-07-16 1996-07-26 Hercules Inc Cation-complexed polysaccharides; use in foods and pharmaceuticals
US5340603A (en) * 1993-08-30 1994-08-23 Abbott Laboratories Nutritional product for human infants having chronic lung disease
ATE238810T1 (de) * 1994-08-05 2003-05-15 Wisconsin Alumni Res Found Cck-antikörper zur verbesserung der futterverwertung
US5595772A (en) * 1995-06-07 1997-01-21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Composition and methods for losing weight
EP1310173B2 (en) * 1997-06-23 2014-12-31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Composition for providing nutrition to diabetics
US6475539B1 (en) * 1998-05-07 2002-11-05 Abbott Laboratories Nutritionally complete low pH enteral formula
US6051236A (en) * 1998-11-12 2000-04-18 Pacifichealth Laboratories, Inc. Composition for optimizing muscle performance during exercise
US6025363A (en) * 1998-11-17 2000-02-15 Giles, Jr.; James A. Composition for suppressing appeti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336208A (ja) 2005-12-08
AU779377B2 (en) 2005-01-20
BR0006959A (pt) 2001-06-26
AU6370400A (en) 2001-04-10
CA2348067A1 (en) 2001-03-15
EP1115409A1 (en) 2001-07-18
AU779377C (en) 2005-06-30
JP2003508490A (ja) 2003-03-04
MXPA01003054A (es) 2003-07-14
WO2001017541A1 (en) 2001-03-15
EP1115409A4 (en) 2005-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119915A1 (en) Nutritional intervention composition containing a source of proteinase inhibitor extending post meal satiety
JP2005336208A (ja) 食後飽満を延長するための組成物
US5290571A (en) Biologically active whey protein concentrate
JP2002051732A (ja) 食事による植物性化学物質欠乏症を矯正する組成物及び方法
WO1997014422A1 (en) Multiple vitamin supplement composition
GB2323531A (en) Serenoa Repens
US8388949B2 (en) Compositions comprising pantothenic acid and their use for stimulating appetite
CA2627314C (en) Composition for treating obesity comprising extract from white kidney beans, red kidney beans, and green tea leaves
US6265391B1 (en) Method for preventing peripheral nerve damage
KR20150101458A (ko) 육체적 활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상승적 식이 보조제
AU2002305703B2 (en) Carbohydrate modifying agent and drinks containing the modifying agent
AU2002305703A1 (en) Carbohydrate modifying agent and drinks containing the modifying agent
RU2591728C2 (ru) Молочный смузи для стимулирования роста детей
US20040077530A1 (en) Composition for reducing caloric intake
WO2009154280A1 (ja) 過食防止剤
EP1082122A1 (en) Isoflavonoids for treatment and prevention of migraine headaches
Hillman et al. Absorption of ingested vitamin A
US20030017219A1 (en) Carbohydrate modifying agent and drinks containing the modifying agent
WO2002096451A1 (en) Carbohydrate modifying agent and drinks containing the modifying agent
US20090123606A1 (en) Carbohydrate modifying agent and drinks containing the modifying agent
JP2020002156A (ja) 血流改善組成物
Wattanapenpaiboon Thiamin, riboflavin and vitamin B6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