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4181A - 배터리 충전시스템 및 배터리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충전시스템 및 배터리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4181A
KR20010074181A KR1020010018147A KR20010018147A KR20010074181A KR 20010074181 A KR20010074181 A KR 20010074181A KR 1020010018147 A KR1020010018147 A KR 1020010018147A KR 20010018147 A KR20010018147 A KR 20010018147A KR 20010074181 A KR20010074181 A KR 20010074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ower
voltage
signal
su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8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6643B1 (ko
Inventor
이은수
김헌수
Original Assignee
이은수
(주) 잉카 시스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수, (주) 잉카 시스템스 filed Critical 이은수
Priority to KR10-2001-0018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6643B1/ko
Publication of KR20010074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4181A/ko
Priority to PCT/KR2001/001369 priority patent/WO2002015320A1/en
Priority to AU2001277807A priority patent/AU2001277807A1/en
Priority to TW090119615A priority patent/TW533646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6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66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12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using magnetic devices having controllable degree of saturation, i.e. trans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Circuit arrangements for transfer of electric power between ac networks and dc netwo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02J50/40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the two or more transmitting or the two or more receiving devices being integrated in the same unit, e.g. power mats with several coils or antennas with several sub-antenna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7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reduction of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leakage fiel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10/4257Smart batteries, e.g. electronic circuits inside the housing of the cells or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도된 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 출력하며, 전기장에 의해 전압이 유도되도록 하는 유도코일과, 유도된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전력 수신부; 상기 직류전압에 의해 충전되는 배터리;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적정한 충전을 위해 정전압과 정전류가 배터리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어부; 신호 발생부로 구성된 배터리팩과;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교류전원에 포함된 노이즈 제거를 위한 필터; 공급된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정류기; 상기 필터를 통해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이용하여 전원전압을 발생하는 전원전압 발생부; 상기 정류기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원을 이용하여 충전용 스위칭 전원을 발생시키는 스위칭 전원부; 상기 스위칭 전원부로부터 공급되는 스위칭 전원에 의해 유도 전압이 발생되도록 하기 위한 전력 송신부; 외부로부터의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신호 수신부; 상기 신호 수신부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칭 전원부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전력제어부;로 구성된 배터리 충전장치; 로 이루어져 배터리팩과 배터리 충전장치와의 상호 통신에 의하여 충전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시스템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배터리 충전시스템 및 배터리 충전장치{Battery charging system and an apparatus for charging a battery}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되는 배터리 충전시스템 및 그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터리 팩과 충전 장치의 단자접촉 없이 유도전압을 이용하여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배터리 충전시스템 및 그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및 정보 처리 기술이 발달됨에 따라 휴대폰, 캠코더, 노트북 등과 같이 휴대하기 편리한 개인용 단말기들의 사용이 점차적으로 증가되는 추세이며, 기술의 발달에 따라 성능이 향상된 새로운 모델의 단말기가 계속적으로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달말기들은 휴대가 간편하도록 대개 내부 또는 외부에 소형의 배터리 팩이 부착되며, 충전에 의해 재 사용 가능한 배터리의 전원에 의해 동작된다. 따라서 배터리 팩 및 이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장치는 각 단말기의 특성과 외형에 맞도록 제작된다.
그런데 종래의 배터리 팩은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의 단자와 충전 장치의 단자가 직접적으로 접촉된 상태에서만 충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각 단말기의 배터리 팩에 적합한 충전 장치만 사용되어야 했다. 그러므로 새로운 단말기를 구입하게 된 사용자는 전에 사용하던 단말기의 배터리 팩과 충전 장치를 모두 사용할 수 없게 되고, 새로 구입한 단말기의 배터리 팩에 적합한 충전 장치를 추가로 구입해야 하기 때문에 경제적 부담을 가져야 하며, 대부분의 사용하지 않는 배터리 팩과 충전 장치는 버려지거나 폐기 처리되기 때문에 국가적으로 경제적 손실을 입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배터리 팩과 충전 장치의 상호 단자접촉이 없이 유도전압을 이용하여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써 상기한 단점을 해소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시스템 및 그 충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시스템은 외부로부터 유도된 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전기장에 의해 외부로부터의 전압이 유도되도록 하는 유도 코일과, 유도된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평활회로로 이루어진 전력 수신부; 상기 전력 수신부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압에 의해 충전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로 공급되는 전압 및 전류를 모니터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적정한 충전을 위해 정전압과 정전류가 배터리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알고리즘이 프로그램된 마이크로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 신호의 입력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발생부로 구성된 배터리팩과;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교류전원에 포함된 노이즈 제거 및 과도전류의 흐름을차단하기 위한 필터; 상기 필터를 통해 공급된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정류기; 상기 필터를 통해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이용하여 전원전압을 발생하는 전원전압 발생부; 상기 정류기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원을 이용하여 충전용 스위칭 전원을 발생시키는 스위칭 전원부; 상기 스위칭 전원부로부터 공급되는 스위칭 전원에 의해 유도 전압이 발생되도록 하기 위한 전력 송신부; 외부로부터의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신호 수신부; 상기 신호 수신부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칭 전원부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적정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알고리즘이 프로그램된 마이크로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력제어부;로 구성된 배터리 충전장치; 로 이루어져 배터리팩과 배터리 충전장치와의 상호 통신에 의하여 충전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시스템에서 상기 신호 발생부와 신호 수신부는 발광형 광센서와 수광형 광센서, 혹은 발광형 초음파 센서와 수광형 초음파 센서, 혹은 RF 송신회로 및 RF 수신회로를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시스템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시스템에서 상기 스위칭 전원부는 스우칭 모드 전원 공급 장치로 구성된 것을 배터리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이 휴대폰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과 충전 장치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2의 전력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도.
도 7은 도 1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도.
도 8(a),(b)는 본 발명에 따른 2차측 코어와 코일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전력 수신부 2: 배터리
3: 제어부 4: 신호 발생부
11: 필터 12: 정류기
13: 스위칭 전원부 14: 전력 송신부
15: 전원전압 발생부 16: 전력 제어부
17: 신호 수신부 100: 배터리 팩
200: 충전 장치 201: 조절 부재
202: 표시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전력 수신부(1)를 통해 유도되는 전압은 예를들어, 리튬 이온 전지로 이루어진 충전용 배터리(2)로 공급되며, 배터리(2)로 공급되는 전압 및 전류는 제어부(3)에 의해 모니터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3)는 상기 배터리(2)의 충전 상태에 따라 신호 발생부(4)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입력받은 신호 발생부(4)는 예를들어, 광센서의 발광소자로 이루어져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광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전력 수신부(1)는 전기장에 의한 폐회로 형성에 의해 전압이 유도되도록 하는 유도 코일과, 유도된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평활회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3)는 상기 배터리(2)로 공급되는 전압 및 전류를 모니터하여 상기 배터리가 정전압 및 정전류로 충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며, 이를 위해 예를들어, 마이크로 콘트롤러(Micro controller)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적정한 충전을 위해 정전압과 정전류가 배터리에 공급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에 프로그램시켜 놓으면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제어신호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신호 발생부(4)는 광신호를 발생한다.
충전시에는 반드시 정전압과 정전류가 공급되어야 하는데, 배터리의 전압이 예를들어, 4.2V일 때까지는 정전류가 흐르도록 하고, 4.2V에 도달되면 정전압 방식으로 전한되어 충전 전류가 점차적으로 감소되도록 한다. 충전시 공급되는 전압은 4.2±0.05V 이내, 전류는 0.35 내지 1.0 CA 정도가 적정하다.
충전이 시작되기 전에는 배터리의 개방회로 전압이 측정되도록 하고, 보호회로에 의해 배터리의 방전이 허용된 상태이면 고속 충전이 실시되도록 한다. 한편, 방전이 금지된 상태이면 약간의 전류가 흐르도록 하여 방전 허용 상태가 되도록 하므로써 배터리의 전압 측정이 가능해 지도록 한다. 이때, 측정된 전압이 1.5V 이상이면 지정된 시간(예를들어 30분)동안 소량의 전류가 흐르도록 하여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 후 다시 개방회로 전압을 측정하는데, 측정이 가능해지면 충전되도록 하고, 측정이 불가능하거나 전압이 1.5V 이하이거나 전류가 흐르지 않으면 비정상적인 배터리로 간주하여 충전이 중단되도록 한다. 또한, 배터리의 충전 여부는 흐르는 전류의 량에 따라 결정되는데, 93 내지 94%의 충전이 이루어졌을 때 0.1CA의 전류가 흐르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상기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팩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외부로부터 예를들어, AC90 내지 230V 및 50/60Hz의 교류전원이 공급되면 필터(11)에 의해 노이즈 제거 및 과도전류의 차단이 이루어진다. 상기 필터(11)를 통해 공급된 교류전원은 정류기(12)에서 직류전원으로 변환된 후 스위칭 전원부(13)로 공급되고, 스위칭 전원부(13)는 상기 직류전원을 이용하여 충전에 필요한 스위칭 전원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발생된 스위칭 전원은 전력 송신부(14)로 공급되고, 전력 송신부(14)에 의해 유도 전압이 발생된다.
한편, 상기 정류기(12)를 통해 공급된 교류전원을 입력받는 전원전압발생부(15)는 상기 스위칭 전원부(13) 및 전력 제어부(16)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전압(Vcc)을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배터리 팩의 신호 발생부(4)로부터 발생된 광신호를 입력받는 신호 수신부(17)는 수신된 신호를 상기 전력 제어부(16)로 공급하는데, 상기 전력 제어부(16)는 상기 신호 수신부(17)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적정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스위칭 전원부(13)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필터(11)는 상기 교류전원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노이즈 필터(Noise Filter)와 과도전류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퓨즈(Fuse)로 이루어지며, 상기 정류기(12)는 예를들어, 브릿지 다이오드(Bridge Diode)와 전해 콘덴서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위칭 전원부(13)는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데 필요한 충전용 스위칭 전원을 발생시키는 장치로써, 플라이 백(Fly Back) 방식의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장치(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로 구성되며, 수신측의 부하 변동율에 적용될 수 있도록 전류 증폭기(Current Amplifier)가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전력 제어부(16)로부터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방식으로 제공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충전에 적합한 스위칭 전원(100KHz 이상)을 상기 전력 송신부(14)로 공급한다.
상기 전력 송신부(14)는 상기 스위칭 전원부(13)로부터 공급되는 스위칭 전원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장에 의해 유도 전압이 발생되도록 하는데, 이를 위해 유도 코일이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전력 송신부(14)의 유도 코일(1차측)에 공급되는스위칭 전원에 의해 상기 배터리 팩의 전력 수신부(1)의 유도 코일(2차측)에 전압이 유도된다.
상기 신호 수신부(17)는 예를들어, 광센서의 수광소자로 이루어져 상기 배터리의 신호 발생부(4)로부터 발생된 광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력 제어부(16)는 상기 신호 수신부(17)를 통해 공급되는 신호 즉, 상기 배터리 팩의 제어부(3)로부터 발생되는 제어신호가 가지는 명령에 따라 적정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알고리즘이 내장된 마이크로 콘트롤러로 이루어지며, 프로그램된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스위칭 전원부(13)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들어, 350 내지 1000㎃의 전류로 충전되도록 하기 위하여 소비되는 전류를 일정한 주기로 검출하여 필요 이상의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최소한의 전류가 흐르는 상태에서 대기하고 있다가 전력 전송 위치가 80% 이상 전송할 수 있는 위치에 도달되면 배터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정전류로 충전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전력 제어부의 마이크로 콘트롤러는 주기적으로 충전 상태를 감시하며 배터리가 완충되면 전력의 소모가 최소화되도록 한다. 그리고 충전시 배터리의 안정성과 원활한 전력 전송을 위하여 마그네트에 의해 배터리 팩이 충전 장치에 부착되도록 하고 완충되면 자력이 감소되어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일반적인 휴대폰에 사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배터리 팩(100)을 도시하는데, 예를들어 "A" 부분에 상기 전력 수신부(1)가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충전 장치(200)의 외형을 도시하는데, "B" 부분에 상기 전력 송신부(14)가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배터리 팩의 전력 수신부(1)와의 접촉 면적이 확보되도록 할 수 있으며, 조절 부재(201)를 설치하여 배터리의 크기에 따라 장착이 편리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충전 장치(200)에 예를들어,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표시부(202)를 설치하여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용이하게 모니터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과 충전 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데, 전극간의 접촉이 아닌 유도 코일에 의해 유도되는 전압으로 충전되도록 하므로써 패터리 팩과 충전 장치간의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아 단말기의 종류에 관계없이 충전이 가능해 진다.
도 6은 도 2의 전력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전원 공급에 따라 시스템이 초기화(101)된 후 전력제어부는 배너리팩이 장착되었는지, 즉 충전부를 검출하여(102) 배터리팩이 장착되어 있지 않으면 전원절약 모드 동작 단계(108)로 진입하고, 배터리팩이 장착되어 있으면 전력송신을 준비한다.(103) 배터리팩으로부터 광 신호를 검출(104)하여 송신할 전력을 산출(105)하고 송신 전력이 제로(0)인지를 판단한다.(106) 산출된 송신전력이 제로이면 전력제어 신호의 출력을 중지하여 전력 송신을 차단하고(109) 전원절약모드 동작 단계(108)로 진입한다. 송신전력이 제로가 아니면 전력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전력 송신 동작을 수행하고(107) 다시 상기 광 신호 검출단계(104)로 복귀한다. 송신 전력량은 배터리팩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신호에 따라 달라진다.
도 7은 도 1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도이다.
배터리팩은 충전장치에 장착함에 따라 시스템이 초기화(201)된 후 배터리팩의 상태를 검사(202)한다. 배터리가 충전 가능 상태인지를 판별(203)하여 충전 상태가 아니면 충전 가능 여부를 테스트하고(210), 배터리가 불량인가(211)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불량이면 충전 금지(213) 상태로 판단하여 충전을 정지한다. 불량이 아니면 상태 검사(202)후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204)하여 완충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데(205), 예를들어, 4.2V 이상이 아니면 정전류 충전, 즉 1단계 충전 및 광신호를 출력하고(206), 전류치를 광신호를 전송하고 계속해서 배터리의 전압이 4.2V일때까지 정전류로 충전한다. 배터리 전압이 4.2V 이상이면 정전압 충전, 즉 2단계 충전 및 광신호를 출력하고(207)하고 배터리 상태를 검사하여(208)하여 완충상태여부(209)를 판단하여 그 이상이면 계속 2단계 충전 및 광신호를 출력하고(207)으로 충전하고 이하이면 충전을 완료한다. 이때도 정전류 충전때와 같은 광신호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 특히 충전기와 배터리팩은 상호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충전기와 배터리팩의 통신방법중 첫째, 광센서에 의한 통신을 설명하면,
배터리팩 내부에 발광형 광센서를 장착하고 충전기에 수광형 광센서를 장착한 후 배터리팩 내부의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송신할 데이터를 발광형 광센서를 통하여 충전기로 송신한다. 충전기는 수광형 광센서를 통해 광신호를 수신하고 필터 회로 및 증폭회로를 통과한 후 충전기 내부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신호를 입력한다. 송수신하는 데이터의 형태는 송신데이터의 디지털 형태(적외선의 방출 유무로 0과 1을 판단) 그대로 송수신할 수도 있고 송신데이터를 소정의 주파수로 변조해서 송신하고 충전기에서 필터회로 및 복조회로를 구성하여 수신할 수도 있다. 광센서로는 IR(Infrared:적외선) 센서, 가시광선 센서, 레이저 센서등을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충전기와 배터리팩의 통신이 가능하다.
배터리팩 내부에 송신형 초음파 센서를 장착하고 충전기에 수신형 초음파 센서를 장착한 후 배터리팩 내부의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송신할 데이터를 송신형 초음파 센서를 통하여 충전기로 송신한다. 충전기는 수신형 초음파 센서를 통해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고 필터 회로 및 증폭회로를 통과한 후 충전기 내부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신호를 입력한다. 송수신하는 데이터의 형태는 송신 데이터의디지털 형태를 초음파의 방출유무로 1과 0으로 인식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RF(Radio Frequency)를 이용한 통신이 가능하다.
배터리팩 내부에 RF를 송신할 수 있는 회로를 구성 장착하고 충전기에 이 RF를 수신할 수 있는 회로를 구성 장착한 후 배터리팩 내부의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송신할 데이터를 RF 회로로 보내면 RF 회로는 이 데이터를 변조 및 증폭해서 RF의 형태로 충전기로 송신한다. 충전기는 RF 수신회로를 통하여 RF 신호를 수신하고 필터회로, 증폭회로 및 복조회로를 통과한 후 충전기 내부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신호를 입력한다. 송수신 시 사용하는 변복조 방법은 기존의 디지털 신호와 RF 신호사이의 변복조 방법 즉 FSK등을 사용한다.
다음은 본 발명에서 배터리의 인식방법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광형 및 수광형 광센서에 의한 인식방법에 있어서는, 충전기에 장착되어 있는 발광형 광센서와 적외선 통신용으로 사용하는 수광형 광센서를 이용하여 충전기 내부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하여 주기적으로 발광형 광센서가 광신호를 방출하고 배터리팩이 충전기에 근접하면 반사되어 돌아오는 광신호를 수신하여 배터리팩을 인식한다. 또는 충전기에 있는 수광형 광센서와 배터리팩에 있는 발광형 광센서를 이용하여 충전기의 1차 코일에서 항상 미소 전력을 흐르게 하여 배터리팩이 충전기에 근접하면 배터리팩이 전력 수신을 감지하여 배터리팩 내부의 발광형 광센서를 이용하여 배터리팩의 근접을 광통신을 이용하여 충전기 내부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알리게 된다.
송신형 및 수신형 초음파 센서에 의한 인식방법에 있어서는, 충전기에 장착되어 있는 송신형 초음파 센서와 초음파 통신용으로사용하는 수신형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충전기 내부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하여 주기적으로 송신형 초음파 센서가 초음파 신호를 방출하고 배터리팩이 충전기에 근접하면 반사되어 돌아오는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여 배터리팩을 인식한다. 또는 충전기에 있는 수신형 초음파 센서와 배터리팩에 있는 송신형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충전기의 1차 코일에서 항상 미소전력을 흐르게 하여 배터리팩이 충전기에 근접하면 배터리팩이 전력수신을 감지하여 배터리팩 내부의 송신형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배터리팩의 근접을 초음파 통신을 이용하여 충저기 내부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알린다.
송신 RF 및 수신 RF 회로에 의한 인식방법에 있어서는 송신 RF 및 수신 RF회로와 배터리팩에 있는 송신 RF 회로를 이용하여 충전기의 1차 코일에서 항상 미소전력을 흐르게 하여 배터리팩이 충전기에 근접하면 배터리팩이 전력 수신을 감지하여 배터리팩 내부의 송신 RF 회로를 이용하여 배터리팩의근접을 RF통신을 이용하여 충전기 내부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알린다.
자석식 스위치를 이용한 인식방법에서는 충전기와 배터리팩에 각각 자석과 자석식 스위치 혹은 그 반대의 조합을 장착하여 충전기에 배터리팩이 근접하면 자석식 스위치가 작동하여 배터리팩이 근접함을 감지하고 배터리팩 내부의 발광형 적외선 센서, 송신형 초음파 센서, 송신 RF 회로 중 한가지를 이용하여 배터리팩의 근접을 적외선통신, 초음파 통신, RF통신중 한가지를 이용하여 충전기 내부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알린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2차측 코어와 코일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a)는 일반 에나멜 동선형이고 (b)는 플렉시블 PCB형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특히 2차측 코어의 형태는 기존의 트랜스포머나 유도기전력을 이용한 전력 송수신시 아용하는 코어의 형태는 '??' 혹은 '??'의 형태가 대부분이나 본 발명의 경우에서 코어는 'I'의 형태의 코어를 얇게 가공한 박막형태를 가진다. 또한 기존의 2차측 코일은 '??' 혹은 '??' 형태의 코어에 직접 감는 적층방식을 사용하나 본 발명에서는 2차측 코일을 에나멜선등을 사용할때에는 평면으로 감은 후 박막형태의 코어에 부착하고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등을 사용시에는 FPCB에 직접 코일 형태를 구성하여 박막 형태의 코어에 부착한다.
즉, 2차측 코어를 박막형태의 'I' 코어를 사용하고 에나멜선이나 FPCB등으로평면적으로 구성하여 코어에 부착함으로써 배터리팩 내에서의 코어와 코일의 점유면적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FPCB를 이용한 코일은 FPCB 상에 배터리팩 내의 다른 전자회로를 구성 장착할 수 있으므로 전체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터리 팩과 충전 장치가 서로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써 단말기의 종류 및 형태에 관계없이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해 진다. 따라서 단말기 구입시 충전 장치의 구입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이 제거되며, 충전 장치의 폐기처분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도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장치를 공공장소(터미널, 역, 공항, 관공소 등)에 설치하거나, 자판기 등에 설치할 경우 단말기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충전기는 배터리팩에서 요구하는 전력을 실시간으로 제어 및 송신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팩 내의 회로를 장착한 모든 휴대기기의 충전 배터리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한 충전기를 이용하여 휴대용 통신 장비, PDA, 휴대용 오디오 기기등 휴대할 수 있는 모든 전기기기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팩 내의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배터리의 종류, 특성, 충전방법을 모두 기억하고 있으므로 리튬이온전지, 리튬폴리머 전지 이외에도 모든 2차전지에 적용 가능하다.

Claims (10)

  1. 외부로부터 유도된 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전기장에 의해 외부로부터의 전압이 유도되도록 하는 유도 코일과, 유도된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평활회로로 이루어진 전력 수신부; 상기 전력 수신부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압에 의해 충전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로 공급되는 전압 및 전류를 모니터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적정한 충전을 위해 정전압과 정전류가 배터리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알고리즘이 프로그램된 마이크로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 신호의 입력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발생부로 구성된 배터리팩과;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교류전원에 포함된 노이즈 제거 및 과도전류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필터; 상기 필터를 통해 공급된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정류기; 상기 필터를 통해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이용하여 전원전압을 발생하는 전원전압 발생부; 상기 정류기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원을 이용하여 충전용 스위칭 전원을 발생시키는 스위칭 전원부; 상기 스위칭 전원부로부터 공급되는 스위칭 전원에 의해 유도 전압이 발생되도록 하기 위한 전력 송신부; 외부로부터의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신호 수신부; 상기 신호 수신부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칭 전원부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적정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알고리즘이 프로그램된 마이크로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력제어부;로 구성된 배터리 충전장치; 로 이루어져 배터리팩과 배터리 충전장치와의 상호 통신에 의하여 충전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리튬 이온 및 리튬 폴리머 전지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부와 신호 수신부는 발광형 광센서와 수광형 광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부와 신호 수신부는 발광형 초음파 센서와 수광형 초음파 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부와 신호 수신부는 RF 송신회로 및 RF 수신회로를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전원부는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배터리 충전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송신부와 전력수신부는 유도코일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시스템.
  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코일에서 코어는 I 의 형상의 박막형태이며, 2차측 코일을 평면으로 감은 후 상기 박막형태의 코어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코일에서 코일을 FPCB에 직접 구성하여 박막형태의 코어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충전장치는,
    배터리를 안착하기 위한 몸체부의 사이에 좌우 슬라이딩 가능한 이동부재를 구비토록 하여 배터리의 크기에 관계없이 충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장치.
KR10-2001-0018147A 2000-08-16 2001-04-06 배터리 충전장치 KR100426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8147A KR100426643B1 (ko) 2000-08-16 2001-04-06 배터리 충전장치
PCT/KR2001/001369 WO2002015320A1 (en) 2000-08-16 2001-08-10 Battery charging system and battery charging apparatus thereof
AU2001277807A AU2001277807A1 (en) 2000-08-16 2001-08-10 Battery charging system and battery charging apparatus thereof
TW090119615A TW533646B (en) 2000-08-16 2001-08-10 Battery charging system and battery charging apparatu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47076 2000-08-16
KR1020000047076 2000-08-16
KR10-2001-0018147A KR100426643B1 (ko) 2000-08-16 2001-04-06 배터리 충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4181A true KR20010074181A (ko) 2001-08-04
KR100426643B1 KR100426643B1 (ko) 2004-04-08

Family

ID=26638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8147A KR100426643B1 (ko) 2000-08-16 2001-04-06 배터리 충전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0426643B1 (ko)
AU (1) AU2001277807A1 (ko)
TW (1) TW533646B (ko)
WO (1) WO2002015320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36717A1 (en) * 2002-10-14 2004-04-29 Chungpa Emt Co., Ltd. Non-contact type battery pack charging apparatus
KR20040045131A (ko) * 2002-11-22 2004-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터리 팩과 이를 이용한 휴대용기기
WO2004088816A1 (en) * 2003-04-04 2004-10-14 Hanrim Postech Co., Ltd. Non-contact battery pack equipped with battery information processing unit
KR100853889B1 (ko) * 2005-07-29 2008-08-2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무 접점 충전 배터리 및 충전기, 이들을 포함하는 배터리충전 세트, 및 충전제어 방법
KR100902522B1 (ko) * 2006-02-16 2009-06-15 서미트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인코퍼레이티드 스위칭 배터리 충전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30368A (ko) * 2013-03-26 2015-11-23 쥬코쿠 덴료쿠 가부시키 가이샤 충방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충방전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38425B2 (en) 2003-12-15 2006-05-02 Qqe Technology Co., Ltd. Method of measuring and displaying actual quantity of electricity of rechargeable battery being charged by external power source via charger
US10499465B2 (en) 2004-02-25 2019-12-03 Lynk Labs, Inc. High frequency multi-voltage and multi-brightness LED lighting devices and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same
US10575376B2 (en) 2004-02-25 2020-02-25 Lynk Labs, Inc. AC light emitting diode and AC LED drive methods and apparatus
WO2010138211A1 (en) 2009-05-28 2010-12-02 Lynk Labs, Inc. Multi-voltage and multi-brightness led lighting devices and methods of using same
WO2011143510A1 (en) 2010-05-12 2011-11-17 Lynk Labs, Inc. Led lighting system
JP4466656B2 (ja) * 2005-01-06 2010-05-26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端末の充電制御装置及び充電制御方法
US7735996B2 (en) * 2005-05-24 2010-06-15 Varibel B.V. Connector assembly for connecting an earpiece of a hearing aid to glasses temple
JP2006353042A (ja) 2005-06-17 2006-12-28 Ntt Docomo Inc 送電装置、受電装置、認証課金代行装置、充電システム、送電方法、受電方法、充電方法
WO2008093334A2 (en) 2007-01-29 2008-08-07 Powermat Ltd Pinless power coupling
US7793121B2 (en) * 2007-03-01 2010-09-07 Eastman Kodak Company Charging display system
CA2681613C (en) 2007-03-22 2017-10-31 Powermat Ltd. Signal transfer system
AU2008303118A1 (en) 2007-09-25 2009-04-02 Powermat Technologies Ltd. Inductive power transmission platform
US10068701B2 (en) 2007-09-25 2018-09-04 Powermat Technologies Ltd. Adjustable inductive power transmission platform
US10986714B2 (en) 2007-10-06 2021-04-20 Lynk Labs, Inc. Lighting system having two or more LED packages having a specified separation distance
US11297705B2 (en) 2007-10-06 2022-04-05 Lynk Labs, Inc. Multi-voltage and multi-brightness LED lighting devices and methods of using same
US11317495B2 (en) 2007-10-06 2022-04-26 Lynk Labs, Inc. LED circuits and assemblies
US8283812B2 (en) 2007-10-09 2012-10-09 Powermat Technologies, Ltd. Inductive power providing system having moving outlets
US8193769B2 (en) 2007-10-18 2012-06-05 Powermat Technologies, Ltd Inductively chargeable audio devices
US8536737B2 (en) 2007-11-19 2013-09-17 Powermat Technologies, Ltd. System for inductive power provision in wet environments
US7945295B2 (en) * 2007-12-03 2011-05-17 Motorola Solutions, Inc. Portable radio and battery pack configuration
TWI489731B (zh) * 2008-01-14 2015-06-21 Ind Tech Res Inst 充電裝置
KR100976161B1 (ko) * 2008-02-20 2010-08-16 정춘길 무접점충전시스템 및 그의 충전제어방법
CN102084442B (zh) 2008-03-17 2013-12-04 鲍尔马特技术有限公司 感应传输系统
US9331750B2 (en) 2008-03-17 2016-05-03 Powermat Technologies Ltd. Wireless power receiver and host control interface thereof
US9960642B2 (en) 2008-03-17 2018-05-01 Powermat Technologies Ltd. Embedded interface for wireless power transfer to electrical devices
US9337902B2 (en) 2008-03-17 2016-05-10 Powermat Technologies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wireless power transfer functionality to an electrical device
US9960640B2 (en) 2008-03-17 2018-05-01 Powermat Technologies Ltd. System and method for regulating inductive power transmission
US8320143B2 (en) 2008-04-15 2012-11-27 Powermat Technologies, Ltd. Bridge synchronous rectifier
WO2009147664A1 (en) 2008-06-02 2009-12-10 Powermat Ltd. Appliance mounted power outlets
US8188619B2 (en) 2008-07-02 2012-05-29 Powermat Technologies Ltd Non resonant inductive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US11979201B2 (en) 2008-07-02 2024-05-07 Powermat Technologies Ltd. System and method for coded communication signals regulating inductive power transmissions
US8981598B2 (en) 2008-07-02 2015-03-17 Powermat Technologies Ltd. Energy efficient inductive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CA2730194A1 (en) 2008-07-08 2010-01-14 Powermat Ltd. Display device
WO2010035256A2 (en) 2008-09-23 2010-04-01 Powermat Ltd. Combined antenna and inductive power receiver
US9130394B2 (en) * 2009-02-05 2015-09-08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power for charging devices
USD611898S1 (en) 2009-07-17 2010-03-16 Lin Wei Yang Induction charger
USD611899S1 (en) 2009-07-31 2010-03-16 Lin Wei Yang Induction charger
USD611900S1 (en) 2009-07-31 2010-03-16 Lin Wei Yang Induction charger
FI20095973A0 (fi) * 2009-09-22 2009-09-22 Powerkiss Oy Induktiivinen tehonsyöttö
US8541117B2 (en) * 2009-11-11 2013-09-24 Blackberry Limited Low noise battery with a magnetic compensation structure for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9438063B2 (en) 2010-07-09 2016-09-06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harge apparatus
US10211664B2 (en) 2010-07-09 2019-02-19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for transmission of wireless energy
US8692505B2 (en) 2010-07-09 2014-04-08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harge apparatus
TWI423500B (zh) * 2010-10-14 2014-01-11 Nat Univ Chin Yi Technology 使用印刷電路板電路整合鋰離子電芯模組化之結構
WO2013026053A1 (en) 2011-08-18 2013-02-21 Lynk Labs, Inc. Devices and systems having ac led circuits and methods of driving the same
WO2013082609A1 (en) 2011-12-02 2013-06-06 Lynk Labs, Inc. Color temperature controlled and low thd led lighting devices and systems and methods of driving the same
TWI462428B (zh) 2012-09-13 2014-11-21 Quanta Comp Inc 電源轉換系統與方法
CN104124766B (zh) * 2013-04-28 2018-03-16 海尔集团技术研发中心 无线电能传输系统、接收端、发射端及其唤醒方法
US11079077B2 (en) 2017-08-31 2021-08-03 Lynk Labs, Inc. LED lighting system and installation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08151A (en) * 1977-10-14 1983-10-04 Justice Donald S Electric power apparatus
KR950005819B1 (ko) * 1991-09-19 1995-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화기의 무접점 충전 시스템
JPH0646531A (ja) * 1992-07-23 1994-02-18 Mitsubishi Electric Home Appliance Co Ltd 充電装置
JP3907723B2 (ja) * 1995-08-30 2007-04-18 東芝電池株式会社 電池パック
JPH09190938A (ja) * 1996-01-09 1997-07-22 Tdk Corp 非接触型充電装置
GB2314470A (en) * 1996-06-18 1997-12-24 Tien Chung Lung Battery charging arrangement with inductively coupled charging device and rechargeable battery device
TW398087B (en) * 1997-07-22 2000-07-11 Sanyo Electric Co Pack cell
JPH11168837A (ja) * 1997-10-01 1999-06-22 Casio Comput Co Ltd 携帯通信機器用充電装置
KR100301430B1 (ko) * 1998-01-19 2001-10-27 어수곤 배터리및그를충전하기위한배터리충전시스템
JP2984643B2 (ja) * 1998-02-20 1999-11-29 日本電気移動通信株式会社 携帯電話バッテリー自動充電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36717A1 (en) * 2002-10-14 2004-04-29 Chungpa Emt Co., Ltd. Non-contact type battery pack charging apparatus
US7417402B2 (en) * 2002-10-14 2008-08-26 Jin-Sun Kim Non-contact type battery pack charging apparatus
KR20040045131A (ko) * 2002-11-22 2004-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터리 팩과 이를 이용한 휴대용기기
WO2004088816A1 (en) * 2003-04-04 2004-10-14 Hanrim Postech Co., Ltd. Non-contact battery pack equipped with battery information processing unit
KR100853889B1 (ko) * 2005-07-29 2008-08-2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무 접점 충전 배터리 및 충전기, 이들을 포함하는 배터리충전 세트, 및 충전제어 방법
US8013568B2 (en) 2005-07-29 2011-09-06 Ls Cable & System Ltd. Contact-less chargeable battery and charging device, battery charging set, and charging control method thereof
KR100902522B1 (ko) * 2006-02-16 2009-06-15 서미트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인코퍼레이티드 스위칭 배터리 충전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30368A (ko) * 2013-03-26 2015-11-23 쥬코쿠 덴료쿠 가부시키 가이샤 충방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충방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33646B (en) 2003-05-21
WO2002015320A1 (en) 2002-02-21
AU2001277807A1 (en) 2002-02-25
KR100426643B1 (ko) 2004-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6643B1 (ko) 배터리 충전장치
US11133696B2 (en) Wireless power system
US10903695B2 (en) Power reception device and power reception method for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US9142999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small device wireless charging modes
US9281709B2 (en) Power receiving device for wireless charging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101246693B1 (ko)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그 전력 제어 방법
US20070069687A1 (en) Charging apparatus and charging system
US20080174267A1 (en) Power transmission control device, power reception control device,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system, power transmission device, power reception device and electronic instrument
US20080211455A1 (en) Rechargeable Power Supply, Battery Device, Contactless Charger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Rechargeable Battery Cell
JP2017509296A (ja) 動的なインピーダンス変化測定によるデバイス検出
JP2008206231A (ja) 受電制御装置、送電制御装置、無接点電力伝送システム、受電装置、送電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H1014124A (ja) 非接触電力伝送装置
US11756719B2 (en) Wireless power system
KR100896104B1 (ko) 부하변조 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 배터리 및 이를 구비한배터리 충전 세트
WO2021082907A1 (zh) 无线充电系统、充电线缆、电子设备及其无线充电方法
JP2012070566A (ja) 非接触充電式の電気機器およびその充電システム
KR20140141964A (ko) 충전 상태의 시인성을 높인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이를 장착한 무선 충전 기능을 구비한 가구
KR100903461B1 (ko) 무 접점 충전기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충전 세트
JP4428261B2 (ja) 無停電電源装置
KR100301430B1 (ko) 배터리및그를충전하기위한배터리충전시스템
CN218569860U (zh) 无线充电装置
CN103595389A (zh) 控制电源和感应电能出口的连接的系统和方法
KR20240033273A (ko) 무선 전력 모드 스위칭
JP2003259559A (ja) 携帯端末機の電池充電方式
JP2004274857A (ja) 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