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3900A - Continuous Preflex Beam Bridg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Continuous Preflex Beam Bridg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3900A
KR20010073900A KR1020000003087A KR20000003087A KR20010073900A KR 20010073900 A KR20010073900 A KR 20010073900A KR 1020000003087 A KR1020000003087 A KR 1020000003087A KR 20000003087 A KR20000003087 A KR 20000003087A KR 20010073900 A KR20010073900 A KR 20010073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mounting member
preflex
continuous
preflex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30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374017B1 (en
Inventor
장승필
배두병
김선주
심창수
Original Assignee
이무일
삼표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무일, 삼표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무일
Priority to KR10-2000-0003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4017B1/en
Publication of KR20010073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39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4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4017B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 E01D2101/285Composite prestressed concrete-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3/10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prestressed

Abstract

PURPOSE: A continuous preflex beam bridge structure and a constructing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accomplish the complete continuity of the preflex beam and increase the ultimate strength of the bridge section at a point part through the complete continuity. CONSTITUTION: A continuous preflex beam bridge structure includes a connection insertion member(20) attached to a bottom surface(13) of a lower flange of each preflex beam(1) to be connected with each other oppositely, and inserted into a connection mounting member for being integrated with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wherein the connection insertion member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installed at a pier, so that the preflex beams are connected and integrated with each other.

Description

연속 프리플렉스 빔 교량구조물 및 그 연속화 시공방법{Continuous Preflex Beam Bridg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Continuous Preflex Beam Bridge and Constructing Method

본 발명은, 프리플렉스 빔(preflex beam) 빔 연속 교량구조물 및 이러한 연속 프리플렉스 빔 교량구조물의 프리플렉스 빔 연속화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프리플렉스 빔으로 이루어진 2경간 이상의 연속 교량구조물로서, 양측의 프리플렉스 빔이 마주하게 되는 지점의 연결부에서 프리플렉스 빔이 완전하게 연속화된 프리플렉스 빔 교량구조물과, 이러한 교량구조물에서의 프리플렉스 빔 연속화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lex beam continuous bridge structure and a method for preplex beam continuous construction of such a continuous preflex beam bridge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plex beam bridge structure in which a preflex beam is completely continuous at a connection point where two preplex beams face each other,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preflex beam continuity in such a bridge structure.

가장 단순한 교량의 형태는 직선의 단순 보로 교량을 구성하는 것이다. 도 4는, 직선 단순 보에 있어서 하중에 의하여 발생하는 휨모멘트도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의 중앙에서는 사하중 및 활하중에 의하여 정방향의 휨모멘트("정모멘트")가 발생하게 된다.The simplest form of bridge is to form a bridge with simple straight lines. Fig. 4 schematically shows the bending moment generated by the load in a straight simple beam. As shown in Fig. 4, the bending moment in the forward direction due to dead and live loads (" static moment ") is shown in the center of the beam. ) Will occur.

정모멘트에 의하여 보의 하부에 작용하게 되는 인장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최근에는 I형 강재로 이루어진 보의 중앙 부분을 미리 상부방향으로 휘어지도록 제작한 상태에 보의 하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므로써, 보가 거치되었을 때 미리 보의 하부 콘크리트에 압축력이 도입되도록 하여 사용상태에서 하부 콘크리트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상쇄하도록 제작한 프리플렉스 빔을 교량에 사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In order to reduce the tensile force acting on the lower part of the beam by the constant moment, the beam is mounted by placing concrete on the lower part of the beam in a state in which the center part of the beam made of I-type steel is bent in the upper direction in advance. Increasingly, there is an increasing number of bridges that use preflex beams designed to allow compressive forces to be introduced into the lower concrete of the beams to offset the tensile forces acting on the lower concrete.

도 5a에는 2경간 교량의 형상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도 5a에 예시된 바와 같은 2 경간 이상의 긴 길이의 교량을 시공함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단순보를 이용한 단순교로 시공하는 것보다는 각 경간이 연속된 연속교로 시공하는 것이 여러 가지 점에서 매우 유리하다.FIG. 5A schematically shows the shape of a two-span bridge. In constructing a long bridge of two or more spans as illustrated in FIG. 5A, each span is continuous rather than a simple bridge using a simple beam. It is very advantageous in many ways to construct it as a continuous bridge.

2경간 이상의 교량을 단순교로 시공하는 경우, 각각의 지점에 신축이음을 설치할 수밖에 없는데, 우수, 제설제 등이 신축이음부로 침투하게 되어 신축이음장치 및 지점부의 상부구조물에 부식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비하여, 각 경간이 연속된 연속교로 시공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지점이 연속되어 있으므로, 위와 같은 우수 등의 침투에 의한 신축이음장치 및 지점부 상부구조물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the case of constructing bridges with more than two spans, expansion joints are inevitably installed at each point, and rainwater, snow removing agent, etc. penetrate into expansion joints, and corrosion occurs in expansion joints and upper structure of branch. . On the other hand, when each span is constructed as a continuous bridge, since each point is continuous, it is possible to prevent corrosion of the expansion joint and the upper part of the branch structure due to the penetration of rainwater. The advantage is that the cost of maintenance can be reduced.

그 뿐만 아니라, 연속교로 시공하는 것이 각각의 지간을 단순보로 시공하는 것에 비하여 교량 단면 감소에 있어서 유리하다. 도 5b는 2경간 교량에 있어서의 휨모멘트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인데, 도 5b에서 실선은 두 개의 단순보로 이루어진 경우의 휨모멘트도이고, 점선은 2경간이 연속된 보로 이루어진 경우의 휨모멘트도이다.In addition, it is advantageous to construct a continuous bridge in reducing the cross section of the bridge as compared to constructing each section by a simple beam. FIG. 5B schematically shows a bending moment diagram in a two-span bridge. In FIG. 5B, a solid line is a bending moment diagram when two simple beams are used, and a dotted line is a bending moment when two spans are continuous beams. It is also.

도 5b로부터 알 수 있듯이, 2경간이 연속된 교량의 경우, 단순보로 이루어진 교량에 비하여, 각 경간의 중앙에 발생하는 정모멘트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므로, 그에 따라 교량의 단면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교량에 도입되는 프리스트레스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교량의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As can be seen from FIG. 5B, in the case of a bridge in which two spans are continuous, the size of the static moment occurring in the center of each span can be reduced as compared to a bridge composed of simple beams, thereby reducing the cross section of the bridge. Therefore, the size of the prestress introduced into the bridge can be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bridge.

프리플렉스 빔을 이용하여 위와 같은 2경간 이상의 연속교를 시공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점 중의 하나는 프리플렉스 빔의 완전한 연속화이다. 즉, 2경간 이상의 연속 교량에 프리플렉스 빔을 사용하는 경우, 각 지점의 연결부에서 프리플렉스 빔을 완전하게 연속하도록 만드는 것은 교량의 전체적인 구조적 거동 및 교량의 유지·보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사항이다.One of the most important points in constructing two or more continuous bridges using the preflex beam is the complete sequencing of the preflex beam. In other words, when the preflex beam is used for continuous bridges of two spans or more, making the preflex beam completely continuous at each point of connection has an important effect on the overall structural behavior of the bridge and the bridge maintenance.

도 6a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종래의 프리플렉스 빔 연속화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도 6a는 두 개의 프리플렉스 빔(120, 121)이 중앙의 지점 즉, 중앙의 교각 위에 서로 마주하도록 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프리플렉스 빔(120, 121)은 교각 위에 거치되기 전에 소정의 곡률로 상부로 휘어져 있으며, 하부플랜지에는 하부 콘크리트보강층(122)이 형성되어 있다.With reference to Figs. 6A to 6B, a conventional preplex beam sequencing construc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FIG. 6A schematically illustrates two preplex beams 120 and 121 mounted so as to face each other on a center point, ie, a center pier. The preflex beams 120 and 121 are bent upward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before being mounted on the piers, and a lower concrete reinforcement layer 122 is formed on the lower flange.

위와 같은 프리플렉스 빔을 연속화시키기 위하여, 중앙의 지점이 되는 교각 위에 소정 높이의 가설지지대를 세워,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플렉스 빔의 단부를 지점보다 소정 높이에서 양측의 프리플렉스 빔(120, 121)의 단부를 상기 가설지지대 위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위치시킨다. 서로 마주하고 있는 프리플렉스 빔(120, 121) 전체에,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프리플렉스 빔(120, 121)의 상부플랜지, 복부 및 하부플랜지에 각각 상부 슬래브(123), 복부 콘크리트보강층(124) 및 하부 콘크리트보강층(122)을 형성한 후, 가설지지대를 제거하여 프리플렉스 빔(120, 121)을 교각 위에 영구히 거치한다.In order to continue the above-described preflex beam, a temporary support of a predetermined height is erected on a pier that is a central point, and as shown in FIG. The ends of 120 and 121 are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on the temporary support. The upper slab 123 is placed on the upper flange, the abdomen, and the lower flange of the preflex beams 120 and 121 by pouring concrete, as shown in FIG. 6B, in the entire preflex beams 120 and 121 facing each other. After forming the abdominal concrete reinforcement layer 124 and the lower concrete reinforcement layer 122, the temporary support is removed to permanently mount the preflex beams 120 and 121 on the piers.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연속화 시공방법에 있어서는, 양측의 프리플렉스 빔 자체를 완전하게 연결시키지 않고, 기존의 프리스트레스트 빔을 연속화하는 방법처럼, 프리플렉스 빔의 외부에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연결하게 되므로, 역학적인 연속화 정도(degree of continuity)가 저하되어 전체적인 교량의 구조적 거동이 양호하지 못하며, 연속화의 이점도 발휘할 수가 없게 된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continuous construction method, since the concrete is poured only on the outside of the preflex beam, as in the conventional method of continuous prestress beams, without connecting the preplex beams on both sides completely. Since the degree of continuity is lowered, the overall structural behavior of the bridge is not good, and the advantages of the continuity cannot be exhibited.

또한, 위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하여 연속화된 프리플렉스 빔 교량은, 단지 활하중에 대해서만 연속 구조물로 거동하게 되므로, 교량 단면의 감소 효과가 저하되며, 프리플렉션에 의하여 사전에 도입되는 프리스트레스트의 양도 작아진다.In addition, since the preflex beam bridge continued by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behaves only as a continuous structure for live loads, the reduction effect of the cross-section of the bridge is lowered, and the amount of prestress introduced by the preflection is also reduced. .

그 뿐만 아니라, 위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하여 연속화된 프리플렉스 빔 교량에 있어서는, 지점부에 작용하게 되는 부모멘트에 의한 인장응력이 발생하게 되어 연속화된 지점부의 콘크리트 바닥판 슬래브에 균열이 발생하게 되며, 그에 따라 내구성이 저하된다.In addition, in the pre-flex beam bridge continuo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ensile stress is generated by the parent moment acting on the point portion, and cracks occur in the concrete slab slab of the continuous point portion. Therefore, durability falls.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지점부에서의 프리플렉스 빔의 연속 상태가 확실하게 이루어지지 아니하므로, 부모멘트에 대한 지점부의 극한 강도가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since the continuous state of the preflex beam at the point portion is not reliably achiev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ltimate strength of the point portion with respect to the parent moment is reduced.

특히, 종래 기술에 의한 연속화 시공방법에 있어서는, 양측의 프리플렉스 빔을 지점에 거치할 때, 시공자가 인위적으로 양 프리플렉스 빔의 위치를 조정하여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서로 정확하게 마주 접하도록 거치하여야 하는데, 실질적으로 양 프리플렉스 빔을 정확하게 마주 접하도록 거치하는 작업은 매우 어려운 작업이 된다.In particular, in the continuous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when mounting the preplex beams on both sides to the point, the installer must artificially adjust the position of both preflex beams so as to face each other accurately in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In practice, mounting the two beams so that they are exactly opposite each other is a very difficult task.

또한, 위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연속화 시공방법에서는, 양측의 프리플렉스 빔을 거치하기 위하여 교각위에는 각각의 프리플렉스 빔을 지지할 수 있는 슈우와 같은 교량받침장치가 두 개 설치되어야 하며, 교각은 두 개의 교량받침장치를 설치할 수 있을 정도로 커야만 한다.In addition, in the continuous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mount the preplex beams on both sides, two bridge bearing devices such as a shoe which can support each preplex beam must be installed on the piers. It must be large enough to install two bridge bearings.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이 가지고 있던 위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프리플렉스 빔 교량구조물 지점의 연결부에서 프리플렉스 빔을 완전하게 연결하여 연속화할 수 있는 교량구조물과 그 시공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in order to overcome the above problems that the prior art had,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the bridge structure that can be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preflex beam completely connected 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preflex beam bridge structure point The purpose is to suggest the construction method.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양측의 프리플렉스 빔이 서로 일체로 연결되어 연속된 교량구조물을 이루는 연속 프리플렉스 빔 교량구조물로서, 서로 마주하여 연결될 상기 프리플렉스 빔 단부의 하부플랜지 바닥면에는 연결장착부재에 삽입 장착되어 상기 연결장착부재와 일체화되는 연결삽입부재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프리플렉스 빔의 하부플랜지 바닥면에 장착된 상기 연결삽입부재가, 교각에 설치된 교량받침장치보다 높이 설치되어 있는 상기 연결장착부재에 삽입 장착되어 일체로 연결되므로써 양측의 프리플렉스 빔이 서로 일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프리플렉스 빔 교량구조물이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a continuous preflex beam bridge structure in which both preplex beams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continuous bridge structure,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flange of the end of the preflex beam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connection insertion member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and is integrated with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and the connection insertion member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flange of the preflex beam is installed higher than the bridge support device installed in the bridge. A continuous preflex beam bridge structure is provided, wherein the preplex beams on both sides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being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연결삽입부재는 서로 십자형상으로 결합된 소정 두께의 종방향판과 횡방향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연결장착부재는 강재의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 위에 상기 연결삽입부재의 종방향판의 두께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직립하여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직립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연결삽입부재의 종방향판이 상기 연결장착부재의 직립판 사이에 삽입어 결합되므로써 상기 연결삽입부재와 상기 연결장착부재가 일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프리플렉스 빔 교량구조물이 제공된다.In addition,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insertion member is composed of a longitudinal plate and a transverse plate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coupled to each other crosswise,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bottom plate and the bottom plate of the steel It consists of an upright plate which is installed upright and integrally installed at an interval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longitudinal plate of the insertion member, the longitudinal insert of the connection insertion member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between the upright plate of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A continuous preflex beam bridge structure is provided, wherein the member and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are integrally connect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연결삽입부재가 연결장착부재와 일체화되므로, 양측 프리플렉스 빔의 기본적인 연속화가 이루어지게 되어 그 즉시 연속 구조물로서 거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결삽입부재를 연결장착부재에 삽입 장착하는 작업만으로도 양측 프리플렉스 빔의 종방향 및 횡방향 정렬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된다.As such,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nection insertion member is integrated with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the basic continuity of both preflex beams is achieved, and thus, the connection insertion member can be immediately acted as a continuous structure. In addition, only the operation of inserting the connection insertion member into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allows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alignment of the two preflex beams to be precisely performed.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삽입부재와 상기 연결장착부재의 연결은, 상기 연결삽입부재의 종방향판과 상기 연결장착부재의 직립판에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볼트공을 형성하여 볼트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연결장착부재의 직립판에 형성되는 볼트공을 타원형으로 형성하게 되면, 프리플렉스 빔의 곡률 등에 의한 볼트 연결작업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In the abov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insertion member and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forming a bolt hol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n a longitudinal plate of the connection insertion member and an upright plate of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It can be connected integrally by At this time, when the bolt hole formed in the upright plate of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is formed in an oval shap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difficulty of the bolt connection work due to the curvature of the preflex beam.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일 실시예로서, 상기 연결삽입부재와 상기 연결장착부재가 일체로 연결된 후, 상기 양측의 프리플렉스 빔의 상부플랜지, 복부 및 하부플랜지도 볼트 연결 등의 방법에 의하여 각각 서로 일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프리플렉스 빔 교량구조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와 같이 프리플렉스 빔 자체가 서로 일체로 연결되므로, 연결부에서의 극한 강도가 우수하며, 완전한 연속화를 이룰 수 있게 되어 전체 교량구조물이 연속 구조물로서 거동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connection inserting member and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are integrally connected, the upper flange, the abdomen and the lower flange of each of the preflex beam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method such as bolt connection. A continuous preflex beam bridge structure is provided that is integrally connec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replex beams themselves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ultimate strength at the connection portion is excellent and complete continuity can be achieved so that the entire bridge structure can behave as a continuous structure.

본 발명에서는, 양측의 프리플렉스 빔이 연속화되어 이루어진 연속 프리플렉스 빔 교량구조물의 프리플렉스 빔 연속화 시공방법으로서, 연결할 지점이 되는 교각에 교량받침장치의 높이 보다 큰 소정의 설계 높이를 가진 가설지지대를 설치하고 상기 가설지지대 위에 연결장착부재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소정 설계 곡률에 따라 휘어져 있고 연결될 단부의 하부플랜지 바닥면에는 상기 연결장착부재에 삽입 장착되어 상기 연결장착부재와 일체화되는 연결삽입부재가 부착되어 있으며 그 이외의 하부플랜지에는 하부 콘크리트보강층이 형성되어 있는 양측의 프리플렉스 빔을 상기 연결장착부재의 위치로 이송하여 각각의 프리플렉스 빔 단부의 연결삽입부재를 연결장착부재에 삽입 장착하여 연결장착부재와 일체화시켜 서로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양측의 프리플렉스 빔의 상부플랜지, 복부 및 하부플랜지도 각각 서로일체로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삽입부재와 상기 연결장착부재가 연결된 부분에 보강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하부 콘크리트보강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양측의 프리플렉스 빔의 상부플랜지 및 복부에도 각각 보강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부 슬래브 및 복부 콘크리트보강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가설지지대를 제거하여 프리플렉스 빔의 연결부위를 교량받침장치에 내려놓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프리플렉스 빔 교량구조물의 프리플렉스 빔 연속화 시공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method of continuous preflex beam construction of a continuous preflex beam bridge structure in which both preflex beams are continuous, a temporary support having a predetermined design height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bridge support apparatus is provided for the bridge to be connected. And installing a connection mounting member on the temporary support, and a connection insertion member integrated with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by being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and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flange which is bent and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design curvature. In other lower flanges, the preplex beams on both sides of which the lower concrete reinforcement layers are formed are transferred to the position of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and the connection insertion members at each end of the preflex beam ar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Integrating with the member and connecting to each other, the amount Connecting the upper flange, the abdomen and the lower flange of each of the preflex beams to each other, and reinforcing reinforcement to the portion where the connection insertion member and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are connected, and cast the concrete to form a lower concrete reinforcement layer. And reinforcing the reinforcing bars in the upper flanges and the abdomen of the preplex beams on both sides, respectively, and placing concrete to form the upper slab and the abdominal concrete reinforcement layer; Provided is a method of preplex beam sequencing construction of a continuous preflex beam bridge structure comprising the step of laying down on a support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 프리플렉스 빔 교량구조물에 사용되는 프리플렉스 빔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a preflex beam used in a continuous preflex beam bridg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 프리플렉스 빔 교량구조물의 연속화를 위한 연속삽입부재 및 연속장착부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a continuous insertion member and a continuous mounting member for the continuation of the continuous preflex beam bridg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플렉스 빔 연속화 시공방법의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서, 도 3a는 프리플렉스 빔이 연결될 지점부가 되는 교각에 연속장착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형상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b는 상기 연속장착부재에 양측의 프리플렉스 빔이 거치된 형상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c는 거치된 양측 프리플렉스 빔이 서로 일체로 연결된 형상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d는 연속된 프리플렉스 빔의 하부플랜지에 하부 콘크리트보강층을 피복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e는 연속된 프리플렉스 빔의 상부플랜지와 복부에도 상부 슬래브와 복부 콘크리트보강층을 피복한 상태의 측면도 및 단면도이다.3A to 3E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the steps of the method for constructing a preflex beam continu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A is a side view showing a shape in which a continuous mounting member is installed in a pier to which a preflex beam is connected. 3B is a side view showing a shape in which both preflex beams are mounted to the continuous mounting member, and FIG. 3C is a side view showing a shape in which the mounted both side preflex beams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FIG. 3D is a continuous view. 3E is a sid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pper slab and the abdominal concrete reinforcement layer coated on the upper flange and the abdomen of the continuous preflex beam. .

도 4는 단순보에서의 휨모멘트도이다.4 is a bending moment diagram in a simple beam.

도 5a는 연속된 교량의 단순화된 측면도이고, 도 5b는 연속된 교량에서의 휨모멘트도이다.5A is a simplified side view of a continuous bridge, and FIG. 5B is a bending moment diagram of the continuous bridge.

도 6a 및 도 6b는 종래 기술에 의한 프리플렉스 빔의 연속화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서, 도 6a는 양측 프리플렉스 빔이 서로 마주 접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6b는 연속화 작업이 완료된 후 상승된 프리플렉스 빔을 교각에 내려놓은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6A and 6B are schematic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 sequential preflex beam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FIG. 6A shows a state in which two preflex beams face each other, and FIG. 6B is elevated after the sequencing operation is completed. It is a schematic side view which shows the state which put the prepreg beam on the pier.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 프리플렉스 빔 11 하부플랜지1 preflex beam 11 lower flange

12 하부 콘크리트보강층 13 바닥면12 Lower concrete reinforcement layer 13 Bottom

14 상부플랜지 15 복부14 Upper flange 15 Abdomen

20 연결삽입부재 30 연결장착부재20 Mounting member 30 Mounting member

32 교량받침장치 33 가설지지대32 Bridge Support 33 Temporary Support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configuration an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 프리플렉스 빔 교량구조물에 사용되는 프리플렉스 빔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프리플렉스 빔(1)은 I형 강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면에서는 상세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교량의 설계 곡률에 맞추어 사전에 소정 곡률로 구부러져 있다. 서로 연결되어 연속교량을 형성하게 되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플렉스 빔(1)에 있어서, I형 강재의 하부플랜지(11)는 단부로부터 소정 길이의 부분을 제외하고는 소정 두께의 하부 콘크리트보강층(12)으로 피복되어 있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a preflex beam used in a continuous preflex beam bridg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flex beam 1 is made of an I-type steel, which is not shown in detail in the drawing, but is bent to a predetermined curvature in advance in accordance with the design curvature of the bridge. In the preflex beam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continuous bridge, the lower flange 11 of the I-type steel is a lower concrete reinforcement layer 12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except for a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end. ) Is covered.

본 발명에 있어서, 하부 콘크리트보강층(12)이 피복되지 않은 프리플렉스 빔(1) 단부의 하부플랜지(11)에는, 프리플렉스 빔의 연결을 위한 연결삽입부재(20)가 장착된다. 상기 연결삽입부재(20)는 후술하는 연결장착부재에 삽입 결합되어일체로 연결되므로써, 양 프리플렉스 빔간의 기본적인 연속화를 이루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flange 11 at the end of the preflex beam 1, which is not covered with the lower concrete reinforcing layer 12, is equipped with a connection insertion member 20 for connecting the preflex beam. The connection insertion member 20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to be described later as a whole, thereby achieving basic continuity between the two preflex beams.

도 1에는 상기 연결삽입부재(20)의 일 실시예의 형상이 도시되어 있는데,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삽입부재(20)는, 소정 두께의 종방향판(21)과 횡방향판(22)이 서로 결합하여 이루어진 십(十)자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연결삽입부재(20)는, 하부 콘크리트보강층(12)이 피복되지 않은 프리플렉스 빔(1) 단부의 하부플랜지(11) 바닥면(13)에 부착되어 하부플랜지(11)와 일체로 된다. 미려하고 안정적인 연결을 위해서는, 연결삽입부재(20)의 높이를 하부플랜지(11)의 바닥면(13)으로부터 하부 콘크리트보강층(12)의 바닥면까지의 높이와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상기 연결삽입부재(20)의 종방향판(21)에는 후술하는 연결장착부재(30)와의 볼트연결을 위하여 소정 개수의 볼트공(23)이 형성되어 있다.1 shows the shape of one embodiment of the connection insertion member 20.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the connection insertion member 20 includes a longitudinal plate 21 and a transverse plate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22) consists of a cross-shaped member formed by joining each other. The connection inserting member 20 is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13 of the lower flange 11 at the end of the preflex beam 1, which is not covered with the lower concrete reinforcement layer 12, and is integrated with the lower flange 11. For a beautiful and stable connection, it is preferable to match the height of the connection insertion member 20 with the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13 of the lower flange 11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oncrete reinforcement layer 12. A predetermined number of bolt holes 23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plate 21 of the connection insertion member 20 illustrated in FIG. 1 for bolt connection with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30 described later.

본 발명에 있어서, 프리플렉스 빔(1)은 지점의 연결부에서 서로 연결되기 전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도록 현장에서 미리 제작된 후, 연결될 지점으로 이송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plex beams 1 are prefabricated in the field to have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before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point of connection, and then transported to the point to be connected.

다음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연결삽입부재와 연결되어 양 프리플렉스 빔(1)의 기본적인 연속화를 이루게 되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착부재의 구체적인 구성과 그 구체적인 연결 관계를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ure 2,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insertion member to achieve the basic continuity of both preflex beams 1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있어서, 연결장착부재는 프리플렉스 빔이 연결되는 지점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삽입부재(20)와 일체로 연결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착부재(30)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서, 부재번호 20으로 표시된 것은, 프리플렉스 빔(1)의 하부플랜지(11)에 부착되어 있는 도 1에 도시된 연결삽입부재(20)를 도시한 것인데, 설명을 위하여 하부플랜지(11)의 형상은 생략하고 연결삽입부재(20)만을 도시하였다. 또한, 설명을 위하여 도 2에서 좌측은 연결삽입부재(20)가 연결장착부재(30)와 볼트(37)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된 형상을 도시하였고, 우측은 연결되기 전의 형상을 도시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is installed at the point where the preflex beam is connected is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connection insertion member (20). 2 shows an embodiment of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2, the reference numeral 20 denotes the connection insertion member 20 shown in FIG. 1 attached to the lower flange 11 of the preflex beam 1, and the lower flange 11 is illustrated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 Only the connection insertion member 20 is illustrated. In addition, in FIG. 2, the left side illustrates a shape in which the connection insertion member 20 is integrally connected by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30 and the bolt 37, and the right side illustrates the shape before the connection.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연결장착부재(30)는 강재 판로 이루어진 바닥판(34)과, 상기 바닥판(34) 위에 직립되어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직립판(35)으로 구성된다. 상기 직립판(35)은 소정 높이의 두 개의 판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직립판(35)의 높이는 상기 연결삽입부재(20)의 종방향판(21) 높이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장착부재(30)와 상기 연결삽입부재(20)는 고장력 볼트(37)를 이용하여 일체로 연결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볼트 연결을 위해서는, 상기 연결장착부재(30)에 연결삽입부재(20)에 형성된 볼트공(23)과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공(36)이 형성된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2,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30 is composed of a bottom plate 34 made of a steel plate, and an upright plate 35 is installed upright integrally on the bottom plate 34. The upright plate 35 is composed of two plates of a predetermined height, the height of the upright plate 35 is preferably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longitudinal plate 21 of the connection insertion member 20.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30 and the connection insertion member 20 may be integrally connected by using a high tension bolt 37. For such a bolt connection, the connection insertion member 2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30. The bolt hole 36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olt hole 23 formed in the).

일반적으로, 프리플렉스 빔(1)은 서로 연결되기 전에 교량의 종단구배에 따라 소정의 곡률로 휘어져 있으며, 프리플렉스 빔(1)에는 연결현장에서의 온도변화에 따른 캠버량의 변화 등이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연결장착부재(30)와 연결삽입부재(20)의 연결시에 양 부재의 볼트공(23, 36)을 정확히 일치시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 이러한 연결삽입부재(20)와 연결장착부재(30)의 볼트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결장착부재(30)의 볼트공(36)을 세로가 장변이 되는 타원형으로 형성하였다. 연결삽입부재(20)와 연결장착부재(30)의 연결을 위하여 사용되는 볼트에는 제한이 없으나, 고장력의 마찰볼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general, the preflex beam 1 is bent at a predetermined curvature according to the longitudinal gradient of the bridge before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the change in the amount of camber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at the connection site occurs in the preflex beam 1 For this reason, it is a very difficult task to exactly match the bolt holes 23 and 36 of both members at the time of connecting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30 and the connection insertion member 20. In order to facilitate the bolt connection of the connection insertion member 20 and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3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lt hole 36 of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30 is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with a long side.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bolt used for the connection insertion member 20 and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30, it is preferable to use a high-friction friction bolt.

본 발명에서는, 교량의 지점이 되는 교각 위에 상기 프리플렉스 빔(1)의 연결을 위한 연결장착부재(30)를 설치하고, 프리플렉스 빔(1) 각각의 단부에 장착된 상기 연결삽입부재(20)를 상기 연결장착부재(30)에 삽입하여 일체로 연결시키므로써 양 프리플렉스 빔(1)의 기본적인 연결이 이루어진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30 for connecting the preflex beam 1 is provided on the bridge that is the point of the bridge, and the connection insertion member 20 mounted at each end of the preflex beam 1. )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30 and connected integrally, thereby making basic connection of both preflex beams 1 possible.

즉, 두 개의 프리플렉스 빔을 연결할 때, 상기 연결장착부재(30)의 직립판(35) 사이로 상기 연결삽입부재(20)의 종방향판(21)을 삽입하고, 고장력 볼트(37)를 볼트공(23, 36)을 관통하여 장착하므로써 연결삽입부재(20)와 연결장착부재(30)를 일체로 연결한다. 상기 연결삽입부재(20)는 프리플렉스 빔(1)과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연결삽입부재(20)와 연결장착부재(30)의 연결에 의하여 양측의 프리플렉스 빔(1) 간의 기본적인 연결이 이루어진다.That is, when connecting two preflex beams, the longitudinal plate 21 of the connection insertion member 20 is inserted between the upright plates 35 of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30, and the high tension bolt 37 is bolted. The connection insertion member 20 and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30 are integrally connected by mounting through the balls 23 and 36. Since the connection insertion member 20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preflex beam 1, the basic connection between the preflex beams 1 on both sides is established by the connection insertion member 20 and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30. Is done.

다음에서는, 도 3a 내지 도 3e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리플렉스 빔의 연속 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s. 3A to 3E, the continuous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flex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플렉스 빔을 연결할 지점이 되는 교각(31)에, 교량받침장치(32)의 높이 보다 큰 소정의 설계 높이를 가진 가설지지대(33)를 설치하고, 그 가설지지대(33) 위에 연결장착부재(30)를 위치시킨다.As shown in FIG. 3A, a temporary support 33 having a predetermined design height larger than the height of the bridge support device 32 is installed at the bridge 31 which is a point to connect the preflex beam, and the temporary support Position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30 on the 33.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I형 강재로 이루어진 프리플렉스 빔(1)을 교량의 설계의 곡률에 맞추어 미리 소정 곡률로 구부린 후, 프리플렉스 빔(1)의 단부로부터 소정 길이 부분을 제외하고는 프리플렉스 빔(1)의 하부플랜지(11)를 소정 두께의 콘크리트보강층(12)으로 피복한다. 콘크리트보강층(12)이 양생된 후, 연결삽입부재(20)를 콘크리트보강층(12)이 피복되지 않은 하부플랜지(11)의 바닥면(13)에 일체로 부착한다.As shown in Fig. 1, the preflex beam 1 made of I-type steel is bent to a predetermined curvature in advance in accordance with the curvature of the bridge design, and then, except for a predetermined length portion from the end of the preflex beam 1 The lower flange 11 of the preflex beam 1 is covered with a concrete reinforcement layer 12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fter the concrete reinforcement layer 12 is cured, the connection insertion member 20 is integrally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13 of the lower flange 11 that is not covered with the concrete reinforcement layer 12.

위와 같이 준비된 프리플렉스 빔(1)을, 현장으로 이송하여,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 접하도록 거치한다. 즉, 프리플렉스 빔(1)을 연결장착부재(30)의 위치로 이송하여, 각각의 프리플렉스 빔(1) 단부에 장착되어 있던 연결삽입부재(20)를 연결장착부재(30)에 삽입 장착하여 일체화시킨다.The preplex beam 1 prepared as described above is transported to the site and mounted to face each other, as shown in FIG. 3B. That is, the preflex beam 1 is transferred to the position of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30 so that the connection insertion member 20 mounted at each end of the preflex beam 1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30. To integrate.

구체적으로, 프리플렉스 빔(1)에 부착된 연결삽입부재(20)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십자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고, 교각(31) 위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연결장착부재(30)가 소정 높이의 직립판(35)으로 구성된 실시예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플렉스 빔(1)의 하부플랜지(11)에 부착된 연결삽입부재(20)의 종방향판(21)을 연결장착부재(30)의 직립판(35) 사이로 삽입시킨다.Specifically, the connection insertion member 20 attached to the preflex beam 1 consists of a cross member as shown in FIG. 1, and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30 previously installed on the bridge 31 is predetermined.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consisting of the upright plate 35 of the height, as shown in Figure 2, the longitudinal plate 21 of the connection insertion member 20 attached to the lower flange 11 of the preflex beam 1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30 is inserted between the upright plates 35.

종방향판(21)을 직립판(35) 사이로 삽입한 후, 볼트(37)를 서로 관통되어 있는 볼트공(23, 36)에 삽입하여 체결하므로써 연결삽입부재(20)와 연결장착부재(30)를 일체로 연결시킨다.After inserting the longitudinal plate 21 between the upright plates 35, the bolt 37 is inserted into and fastened to the bolt holes 23 and 36, which penetrate each other, so that the connection inserting member 20 and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30 are inserted into each other. ) Are integrally connect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두 개의 프리플렉스 빔을 교각 위에서 연결시킬 때, 프리플렉스 빔의 장착된 연결삽입부재(20)와 연결장착부재(30)를 우선 연결시키므로, 양측의 프리플렉스 빔이 완전히 연결되기 전이라도, 일정 정도의 연속화가 가능하게 된다.Thu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wo preflex beams are connected on the piers, the pre-attached connection insertion member 20 and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30 of the preflex beam are first connected, so that the preplex beams on both sides are completely Even before being connected, some degree of sequencing is possible.

또한, 위와 같이 프리플렉스 빔에 장착된 연결삽입부재가 연결장착부재에 의하여 안내되어 서로 연결되므로, 프리플렉스 빔의 연결 위치가 변하지 않게 된다. 즉, 일반적인 연결에서는 양측의 프리플렉스 빔을 정확한 위치에 마주 접하도록 위치시키는 것이 매우 어려운 작업이나, 본 발명에서는, 연결삽입부재를 연결장착부재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양측의 프리플렉스 빔을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정확하게 정렬할 수 있게 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프리플렉스 빔의 하부플랜지, 복부 및 상부플랜지의 연결 작업시에도 양 프리플렉스 빔의 정렬상태가 유지된다.In addition, since the connection insertion member mounted to the preflex beam as described above is guided by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and connected to each other,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preflex beam does not change. That is, in a general connection, it is very difficult to position the two sides of the preflex beams to face each other at the correct position.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 sides of the preflex beams are inse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by simply inserting the connection insertion member into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It is possible to align accurately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alignment state of both preflex beams is maintained even during the connection operation of the lower flange, the abdomen and the upper flange of the preflex beam.

연결장착부재와 연결삽입부재를 일체로 연결한 후,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프리플렉스 빔(1)의 하부플랜지(11), 상부플랜지(14) 및 복부(15)를 각각 연결시켜, 양측 프리플렉스 빔(1) 자체를 서로 연속화시킨다. 양 프리플렉스 빔(1)의 하부플랜지(11), 상부플랜지(14) 및 복부(15)를 서로 연결시키는 방법으로는 강재 판(16)을 볼트(17)로 연결하는 방법이 있으며, 강재 판(16)을 용접에 의하여 부착하므로써 양 프리플렉스 빔(1)을 연결시킬 수도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양 프리플렉스 빔(1)의 단면을 직접 용접하여 연결할 수도 있다.After connecting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and the connection insertion member integrally, as shown in Figure 3c, by connecting the lower flange 11, the upper flange 14 and the abdomen 15 of the two preflex beams 1, respectively The two preplex beams 1 themselves are continuous with each other. As a method of connecting the lower flange 11, the upper flange 14 and the abdomen 15 of both preflex beams 1, there is a method of connecting the steel plate 16 with a bolt 17, the steel plate Both preflex beams 1 can be connected by attaching 16 by welding. Alternatively, the cross sections of both preplex beams 1 may be directly welded and connected.

양측 프리플렉스 빔(1)의 하부플랜지(11), 상부플랜지(14) 및 복부(15)의 연결이 완료된 후, 연결삽입부재(20)와 연결장착부재(30)의 연결부와, 하부플랜지(11)의 연결부에 보강 철근(도시되지 아니함)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하부 콘크리트보강층(12)이 피복되어 있지 않았던 두 프리플렉스 빔(1)의 하부플랜지(11)에도 다른 하부플랜지(11) 부분과 같이 하부 콘트리트보강층(12)으로 피복시킨다. 도 3d에는, 위와 같은 하부 콘크리트보강층(12) 피복 작업이 완료된 상태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After the connection of the lower flange 11, the upper flange 14 and the abdomen 15 of the both sides of the preflex beam 1 is completed,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connection insertion member 20 and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30, and the lower flange ( 11) the reinforcing bars (not shown)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connection, and the concrete is poured, so that the lower flange 11 of the two preflex beams 1, in which the lower concrete reinforcing layer 12 is not covered, is also provided with another lower flange ( 11) The lower concrete reinforcement layer 12 is covered with the portion. In FIG. 3D, a state in which the lower concrete reinforcing layer 12 covering operation is completed is schematically illustrated.

프리플렉스 빔(1)의 복부(15)에도 보강 철근(도시되지 않음)을 배근한 후 소정 두께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프리플렉스 빔(1)의 전체 복부에 복부 콘크리트보강층(18)을 형성한다. 프리플렉스 빔(1)의 상부플랜지(14)에도 소정의 보강 철근을 배근한 후 소정 두께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부 슬래브(19)를 형성한다. 도 3e에는 하부 콘크리트보강층(12), 복부 콘크리트보강층(18) 및 상부 슬래브(19)의 타설이 완료된 상태의 프리플렉스 빔(1)의 단면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The reinforcing bars (not shown) are also placed on the abdomen 15 of the preflex beam 1 and the concrete is poured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to form the abdominal concrete reinforcement layer 18 on the entire abdomen of the preflex beam 1. The upper flange 14 of the preflex beam 1 is also placed in a predetermined reinforcing reinforcement and then cast concrete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to form the upper slab 19. 3E schematically shows a cross section of the preflex beam 1 with the lower concrete reinforcement layer 12, the abdominal concrete reinforcement layer 18 and the upper slab 19 being cast.

위와 같은 하부 콘크리트보강층(12), 복부 콘크리트보강층(18) 및 상부 슬래브(19)의 형성이 완료된 후에는, 교각(31) 위에 설치되어 연결장착부재(30)를 지지하고 있던 가설지지대(33)를 제거한다.After the formation of the lower concrete reinforcement layer 12, the abdominal concrete reinforcement layer 18 and the upper slab 19 is completed, the temporary support 33 was installed on the bridge 31 to support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30). Remove it.

가설지지대(33)가 제거되면, 연속된 프리플렉스 빔(1)이 영구히 교량받침장치(32) 위에 놓여지게 되는데, 가설지지대(33)의 높이가 교량받침장치(32)의 높이 보다 더 높았으므로, 연속된 프리플렉스 빔(1)은 가설지지대(33)와 교량받침장치(32)의 높이 차만큼 내려오게 되어, 연결부(지점부)의 상부 슬래브(19)에 압축력이 도입된다.When the temporary support 33 is removed, the continuous preflex beam 1 is permanently placed on the bridge support 32, since the height of the temporary support 33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bridge support 32. , The continuous preflex beam 1 is lowered by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temporary support 33 and the bridge support device 32, and a compressive force is introduced into the upper slab 19 of the connection portion (point portion).

이와 같이, 사전에 미리 상부 슬래브(19)에 압축력을 도입하므로써, 사용상태에서 부모멘트에 의하여 상부 슬래브(19)에 발생하게 되는 인장력을 상쇄시키게 되므로, 상부 슬래브(19)의 균열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교량의 설계 단면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by introducing the compressive force to the upper slab 19 in advance, the tension force generated in the upper slab 19 due to the parent in the use state is offset, there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cracks in the upper slab 19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esign cross section of the bridg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리플렉스 빔 교량의 연속화 시공방법에 의하면, 프리플렉스 빔 자체를 용접, 볼트 연결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연속화시키므로써, 종래의 연속화에 비하여 프리플렉스 빔 자체의 완전한 연속화를 이룰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완전한 연속화를 통하여 지점부에서의 교량 단면 극한 강도를 증가시키게 되고, 교량 구조물이 연속 구조물로서 거동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ntinuous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flex beam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flex beam itself is continuous by using a method such as welding, bolt connection, etc. The complete continuity can be achieved, and this complete continuity increases the bridge section ultimate strength at the point, and the bridge structure can behave as a continuous structure.

또한, 본 발명에서는 프리플렉스 빔 자체가 연속화되므로, 사용상태에서의 활하중뿐만 아니라, 프리플렉스 빔의 복부와 상부플랜지에 형성된 복부 콘크리트보강층 및 상부 슬래브에 의한 하중에 대해서도 연속 구조물로서 저항하게 되어, 교량의 단면 및 도입해야할 프리스트레스트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므로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reflex beam itself is continuous, not only the live load in the use state but also the load by the abdominal concrete reinforcement layer and the upper slab formed on the abdomen and the upper flange of the preflex beam as a continuous structure, the bridge Sinc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ross section of the and the amount of prestress to be introduced, economical construction is possible.

본 발명에서는, 양측의 프리플렉스 빔을 교각의 가설지지대 위에 설치한 연결장착부재에 거치하여 연결하게 되므로, 연결 작업시 안정성이 확보되며, 연결장착부재와 연결삽입부재의 일체화를 통하여 양측 프리플렉스 빔의 기본적인 연속화가 이루어지게 되어, 후속하는 프리플렉스 빔 연속화 공정시 발생하는 하중에 대해서 연속 구조물로서 저항할 수 있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replex beams on both sides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installed on the temporary support of the piers, the stability is ensured during the connection operation, and both side preflex beams are integrated through the integration of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and the connection insertion member. The basic sequencing of is achieved, allowing it to resist as a continuous structure against the loads generated during the subsequent preplex beam sequencing process.

또한, 연결삽입부재를 연결장착부재에 삽입 장착하는 작업만으로도 양측 프리플렉스 빔의 종방향 및 횡방향 정렬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므로, 종래 기술에 비하여 양측 프리플렉스 빔의 종방향 및 횡방향 정렬을 위한 시공상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alignment of the two preflex beams is accurately performed only by inserting and mounting the connection insertion member into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the constructional construction for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alignment of the two preflex beams is performed. The difficulties can be solved.

나아가, 일반적으로, 프리플렉스 빔은 서로 연결되기 전에 교량의 종단구배에 따라 소정의 곡률로 휘어져 있으며, 프리플렉스 빔에는 연결현장에서의 온도변화에 따른 캠버량의 변화 등이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연결장착부재와 연결삽입부재의 연결시에 양 부재의 볼트공을 정확히 일치시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작업이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결장착부재의 볼트공을 세로가 장변이 되는 타원형으로 형성하므로써 상기 연결삽입부재와 상기 연결장착부재의 볼트 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였다.Further, in general, the preflex beams are bent at a predetermined curvature according to the termination gradient of the bridge before the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preflex beams are changed in the amount of camber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at the connection site. It is very difficult to exactly match the bolt holes of both members at the time of connection of the mounting member and the connection insertion member,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lt hole of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is formed into an elliptical shape having a long side and the connection insertion member and the connection insertion member. The bolt connection of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is to be made easily.

그 뿐만 아니라, 연결장착부재를 교량받침장치의 높이 보다 더 높이 위치시킨 상태에서 양측 프리플렉스 빔을 연결하여 상부 슬래브를 형성한 후, 이를 교량받침장치에 내려놓아 미리 상부 슬래브에 압축력을 도입시키므로써, 지점부에서 발생하는 부모멘트로 인한 인장력을 상쇄시키게 된다.In addition, by connecting the two preflex beams to form the upper slab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bridge support device, the lower slab is placed on the bridge support device to introduce a compressive force to the upper slab in advance. Therefore, the tensile force due to the parent moment occurring at the point is canceled out.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양측의 프리플렉스 빔을 각각 지지하기 위하여 두 개의 교량받침장치가 필요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단 하나의 교량받침장치만이 사용되므로, 사용되는 교량받침장치의 개수를 줄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교량받침장치를 구비하기 위한 비용 및 유지 보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prior art, two bridge supporting apparatuses are required to support each of the preplex beams on both sides,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only one bridge supporting apparatus is used, the number of bridge supporting apparatuses used can be reduc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of providing the bridge support device and the cost of maintenance.

그 뿐만 아니라, 종래 기술에서는 두 개의 교량받침장치를 설치하기 위하여 교각의 크기가 커야 하나, 본 발명에서는 사용되는 교량받침장치의 개수를 하나로 줄일 수 있으므로, 종래 기술에 비하여 필요한 교각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교각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prior art, in order to install two bridge support devices, the size of the bridge should be large,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number of bridge support devices used can be reduced to one, the required size of the bridge can be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prior art. As a result,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piers can be reduc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자유로운 변형과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free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can be made within the spirit and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7)

양측의 프리플렉스 빔(1)이 서로 일체로 연결된 연속 프리플렉스 빔 교량구조물로서,As a continuous preflex beam bridge structure in which both preplex beams 1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서로 마주하여 연결될 상기 프리플렉스 빔(1) 단부의 하부플랜지 바닥면(13)에는, 연결장착부재(30)에 삽입 장착되어 연결장착부재(30)와 일체화되는 연결삽입부재(20)가 부착되어 있으며;On the bottom surface 13 of the lower flange of the end of the preflex beam 1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a connection insertion member 2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30 and is integrated with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30. And; 상기 프리플렉스 빔(1)의 하부플랜지 바닥면(13)에 장착된 상기 연결삽입부재(20)가, 교각(31)에 설치된 상기 연결장착부재(30)에 삽입 결합되어 연결되므로써 양측의 프리플렉스 빔(1)이 서로 연결되어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프리플렉스 빔 교량구조물.The connection insertion member 20 mounted on the lower flange bottom surface 13 of the preflex beam 1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30 installed on the pier 31 so that both sides of the preflex beam are connected. Continuous preflex beam bridg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beam (1) i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integr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삽입부재(20)는, 서로 십자형상으로 결합된 소정 두께의 종방향판(21)과 횡방향판(22)으로 이루어져 있으며;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nection inserting member (20) comprises a longitudinal plate (21) and a transverse plate (22)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coupled to each other crosswise; 상기 연결장착부재(30)는, 강재의 바닥판(34)과, 상기 바닥판(34) 위에 상기 연결삽입부재(20)의 종방향판(21)의 두께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직립하여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직립판(35)으로 이루어져 있으며;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30 is integrally formed upright at an interval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bottom plate 34 of steel and the longitudinal plate 21 of the connection insertion member 20 on the bottom plate 34. It consists of an upright plate 35 is installed; 상기 연결삽입부재(20)의 종방향판(21)이 상기 연결장착부재(30)의 직립판(35) 사이에 삽입 결합되므로써 상기 연결삽입부재(20)와 상기연결장착부재(30)가 일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프리플렉스 빔 교량구조물.The connection insertion member 20 and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30 are integrally formed by inserting and coupling the longitudinal plate 21 of the connection insertion member 20 between the upright plates 35 of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30. Continuous preflex beam bridg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삽입부재(20)의 종방향판(21)에는 소정 개수의 볼트공(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장착부재(30)의 직립판(30)에도 상기 종방향판(21)의 볼트공(23)에 대응하는 위치에 볼트공(3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삽입부재(20)와 상기 연결장착부재(30)는 상기볼트공(23, 36)을 관통하여 장착되는 볼트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프리플렉스 빔 교량구조물.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longitudinal plate 21 of the connection inserting member 20 is formed with a predetermined number of bolt holes 23, the vertical plate 30 of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30 in the longitudinal plate A bolt hole 36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olt hole 23 of the direction plate 21, and the connection insertion member 20 and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30 are the bolt holes 23 and 36. Continuous preflex beam bridg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integrally by a bolt mounted through.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삽입부재(20)와 상기 연결장착부재(30)가 일체로 연결된 후, 상기 양측의 프리플렉스 빔(1)의 상부플랜지(14), 복부(15) 및 하부플랜지(11)도 각각 서로 일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프리플렉스 빔 교량구조물.The upper flange 14 of any one of claims 1 to 3, after the connection insertion member 20 and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30 are integrally connected, A continuous preflex beam bridg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abdomen (15) and the lower flange (11) are also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플렉스 빔의 상부플랜지(14), 복부(15) 및 하부플랜지(11)는, 강재 판(16)과 볼트(17)를 이용한 볼트연결에 의하여 서로 일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플렉스 빔 연속 교량 구조물.5. The upper flange 14, the abdomen 15 and the lower flange 11 of the preflex beam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bolt connection using a steel plate 16 and a bolt 17. Preflex beam continuous bridg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양측의 프리플렉스 빔(1)이 연속화되어 이루어진 연속 프리플렉스 빔 교량구조물의 프리플렉스 빔 연속화 시공방법으로서,Preflex beam continuous construction method of a continuous preflex beam bridge structure in which both preflex beams 1 are continuous, 연결할 지점이 되는 교각(31)에, 교량받침장치(32)의 높이 보다 큰 소정의 설계 높이를 가진 가설지지대(33)를 설치하고, 상기 가설지지대(33) 위에 연결장착부재(30)를 위치시키는 단계;In the bridge 31 to be a connection point, a temporary support 33 having a predetermined design height larger than the height of the bridge support device 32 is installed, and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30 is positioned on the temporary support 33. Making a step; 소정 설계 곡률에 따라 휘어져 있고 연결될 단부의 하부플랜지 바닥면(13)에는 연결장착부재(30)에 삽입 장착되어 상기 연결장착부재(30)와 일체화되는 연결삽입부재(20)가 부착되어 있으며 그 이외의 하부플랜지에는 하부 콘크리트보강층(12)이 형성되어 있는 양측의 프리플렉스 빔(1)을, 상기 연결장착부재(30)의 위치로 이송하여 각각의 프리플렉스 빔(1) 단부의 연결삽입부재(20)를 연결장착부재(30)에 삽입 결합하여 연결장착부재(30)와 서로 연결함으로써 일체화시키는 단계;The lower flange bottom surface 13 of the end portion to be bent and connected to the predetermined design curvature is attached with a connection insertion member 20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30 and integrated with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30. In the lower flange of the lower concrete reinforcement layer 12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reflex beam (1) is transferred to the position of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30, the connection insertion member at the end of each preflex beam ( Inserting and coupling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30 to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30 so as to be integrated with each other; 상기 양측의 프리플렉스 빔(1)의 상부플랜지(14), 복부(15) 및 하부플랜지(11)도 각각 서로 일체로 연결하는 단계;Connecting the upper flanges (14), the abdomen (15), and the lower flanges (11) of the preplex beams (1) on both sides integrally with each other; 상기 연결삽입부재(20)와 상기 연결장착부재(30)가 연결된 부분에 보강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하부 콘크리트보강층(12)을 형성하는 단계;Forming a lower concrete reinforcement layer 12 by reinforcing reinforcing bars and placing concrete at a portion where the connection insertion member 20 and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30 are connected; 상기 양측의 프리플렉스 빔(1)의 상부플랜지(14) 및 복부(15)에도 각각 보강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부 슬래브(19) 및 복부콘크리트보강층(18)을 형성하는 단계; 및Reinforcing reinforcement bars and placing concrete on the upper flanges 14 and the abdomen 15 of the preplex beams 1 on both sides, respectively, to form the upper slab 19 and the abdominal concrete reinforcement layer 18; And 가설지지대(33)를 제거하여 프리플렉스 빔의 연결부위를 교량받침장치(32)에 내려놓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프리플렉스 빔 교량구조물의 프리플렉스 빔 연속화 시공방법.Removing the temporary support (33) and laying down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preflex beam on the bridge receiving device (3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삽입부재(20)는 서로 십자형상으로 결합된 소정 두께의 종방향판(21)과 횡방향판(22)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연결장착부재(30)는, 강재의 바닥판(34)과 상기 바닥판(34) 위에 상기 연결삽입부재(20)의 종방향판(21)의 두께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직립하여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직립판(35)으로 이루어져 있으며;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connection inserting member 20 is composed of a longitudinal plate 21 and a transverse plate 22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coupled to each other crosswise, the connection mounting member 30, steel It consists of an upright plate (35) which is installed on the bottom plate 34 and the bottom plate (34) upright at an interval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longitudinal plate 21 of the connection inserting member (20). ; 상기 연결삽입부재(20)와 상기 연결장착부재(30)를 연결하여 일체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연결삽입부재(20)의 종방향판(21)을 상기 연결장착부재(30)의 직립판(35) 사이에 삽입하고, 상기 종방향판(21)과 직립판(35)을 볼트로 연결하므로써 행해지는 것을 연속 프리플렉스 빔 교량구조물의 프리플렉스 빔 연속화 시공방법.The connecting inserting member 20 and the connecting mounting member 30 by connecting and integrating, the longitudinal plate 21 of the connecting inserting member 20, the upright plate 35 of the connecting mounting member 30 The preflex beam continuous construction method of the continuous preflex beam bridge structure which is performed by inserting in between) and connecting the said longitudinal plate (21) and an upright board (35) with a bolt.
KR10-2000-0003087A 2000-01-22 2000-01-22 Continuous Preflex Beam Bridg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03740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3087A KR100374017B1 (en) 2000-01-22 2000-01-22 Continuous Preflex Beam Bridg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3087A KR100374017B1 (en) 2000-01-22 2000-01-22 Continuous Preflex Beam Bridg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3900A true KR20010073900A (en) 2001-08-03
KR100374017B1 KR100374017B1 (en) 2003-02-26

Family

ID=19640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3087A KR100374017B1 (en) 2000-01-22 2000-01-22 Continuous Preflex Beam Bridg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4017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5455A (en) * 2002-03-19 2003-09-26 동양종합건업 주식회사 Method for constructing multi-span continuous preflex composite bridge or represtressed preflex composite bridge using single shoe device
KR100461000B1 (en) * 2002-11-18 2004-12-09 주식회사 노빌테크 Longitudinal Connecting Method of Composite Beam Stiffened with Prestressed Concrete Panel having Novel Connecting Structure
KR100467046B1 (en) * 2002-05-27 2005-01-24 동양종합건업 주식회사 Prestressed concrete bridge using thereof and method for connecting prestressed concrete beam using connecting plates
KR100500212B1 (en) * 2002-05-03 2005-07-12 주식회사 동양피에스씨 Multi-span P.S.C. - I beam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0682795B1 (en) * 2005-11-17 2007-02-1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Continuous construction method for prestressed steel composite gird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3335B1 (en) * 2002-07-22 2004-10-15 주식회사 하이콘엔지니어링 Bracket for connecting prestressed concrete beam, prestressed concrete bridge using thereof and method for connecting prestressed concrete beam using thereof
KR100889857B1 (en) 2007-07-05 2009-03-24 박기태 Steel beam stiffness reinforcing method
KR100891933B1 (en) 2007-11-20 2009-04-08 (주)크로스구조연구소기술사사무소 Composite beam making method using t-typed channel beam and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1727B1 (en) * 1993-03-13 1996-02-03 구민세 Prestress combined beam for continuous bridge and its working
JP2813107B2 (en) * 1993-07-01 1998-10-22 新日本製鐵株式会社 Bridg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5455A (en) * 2002-03-19 2003-09-26 동양종합건업 주식회사 Method for constructing multi-span continuous preflex composite bridge or represtressed preflex composite bridge using single shoe device
KR100500212B1 (en) * 2002-05-03 2005-07-12 주식회사 동양피에스씨 Multi-span P.S.C. - I beam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0467046B1 (en) * 2002-05-27 2005-01-24 동양종합건업 주식회사 Prestressed concrete bridge using thereof and method for connecting prestressed concrete beam using connecting plates
KR100461000B1 (en) * 2002-11-18 2004-12-09 주식회사 노빌테크 Longitudinal Connecting Method of Composite Beam Stiffened with Prestressed Concrete Panel having Novel Connecting Structure
KR100682795B1 (en) * 2005-11-17 2007-02-1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Continuous construction method for prestressed steel composite gir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4017B1 (en) 2003-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57156B1 (en) Modular bridge structure construction and repair system
US6588160B1 (en) Composite structural member with pre-compression assembly
US20050144890A1 (en) Structure and method of connecting I-type prestressed concrete beams using steel brackets
KR102009134B1 (en) Construction Method of Long Span Girder Bridge
KR101693256B1 (en) Construction method of prefabricated psc bridge
JP3331202B2 (en) Construction method of truss structure bridge
KR100374017B1 (en) Continuous Preflex Beam Bridg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JP3701250B2 (en) Cable stayed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0398021B1 (en) Prestressed concrete slab reinforced by various section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of simple and continuous supported slab bridge using the same
KR101705002B1 (en) Prefabricated double composite plate girder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JP2005256341A (en) Corrugated steel-plate web u component bridge
KR101013009B1 (en) Apparatus having a girder connection anchor plate and the continuous construction method for a psc girder bridge by using the same apparatus
KR100785634B1 (en) Continuation structure of 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beam bridge and method thereof
KR20140125754A (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for forming continuous point part of pier using copping for connecting girder
KR100565384B1 (en) Structure of continuous PSC beam with connection member and steel cross beam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20080099061A (en) Psc beam for connection steel width step of psc bridges
KR101824963B1 (en) Hybrid composite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KR102433658B1 (en) Hinge-type Point Connector and Construction method of Composite Frame Bridge
KR20030094195A (en) Improved prestressed steel reinforced concrete beam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beam
KR20040101919A (en) Joining method of precast concrete pillar and girder in concrete structure
JPH05340031A (en) Prestressed concrete girder and its manufacture
KR102151046B1 (en) High Strength Segment Girder with Enlarged Joint Se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of High Strength Segment Girder
KR102033052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truss bridge support with infilled tube using src girder
KR102207785B1 (en) PSC Decked bulb tee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2003138523A (en) Construction method for tension string girder brid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1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