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1727B1 - Prestress combined beam for continuous bridge and its working - Google Patents
Prestress combined beam for continuous bridge and its work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60001727B1 KR960001727B1 KR1019930003796A KR930003796A KR960001727B1 KR 960001727 B1 KR960001727 B1 KR 960001727B1 KR 1019930003796 A KR1019930003796 A KR 1019930003796A KR 930003796 A KR930003796 A KR 930003796A KR 960001727 B1 KR960001727 B1 KR 9600017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ment
- point
- continuous
- beams
- prestressed composite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구조시스템 및 제작공정도.1 is a structural system and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restressed composite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2경간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교량의 시공 공정도.2 is a construction process chart of the two-span prestressed composite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4경간 연속보의 구조시스템 및 모멘트도.3 is a structural system and moment diagram of a four span continuous beam.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3경간이상의 프리스트레스트 연속합성보에서 내측경간보의 제작공정도.4 is a manufacturing process diagram of the inner span beam in the three-stage prestressed continuous composite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5도는 기존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공정.5 is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existing prestressed composite beam.
지금까지 널리 알려지고 시공되어온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는 단순보형으로서 교장(橋長)이 긴 경우에는 단순보형으로 제작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보와 보의 연결부는 일체화하는 대신 팽창조인트(expansion joint)로 처리하여 시공한다. 이 팽창조인트는 가격이 고가이고 주행감을 저하시킴은 물론 유지관리비가 소요된다. 또한, 차량의 통행시 팽창조인트부에서의 충격과 팽창조인트부를 통한 누수에 의해 교량의 열화현상을 촉진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기존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 교량에서 이러한 팽창조인트의 문제점들은 연결부를 일체화한 경우 자중 및 외력에 의해 내측지점에서 발생되는 부(負)모멘트에 대한 해결점을 찾지못하였기 때문에 상존하고 있다.Prestressed composite beams, which have been widely known and constructed so far, are simple beams, and in the case of long principals, prestressed composite beams made of simple beams are continuously installed to expand the joints instead of integrat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beams and the beams. To be installed. These expansion joints are expensive, reduce driving comfort and require maintenance costs. In addition, it is the cause of the deterioration of the bridge due to the impact in the expansion joint portion and the leakage through the expansion joint portion during the passage of the vehicle. In the existing prestressed composite beam bridges, the problems of such expansion joints exist because they have not found a solution to the negative moment generated at the inner point by self weight and external force.
직선형 I-형강으로 시공된 단순보 교량은 사하중 및 활하중이 작용될 때 발생되는 휨모멘트에 의해 I-형강보의 하부플랜지에 인장응력만이 발생하게 된다. 기존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는 I-형보를 중앙부분이 상부로 휘어지도록 제작한 후 프리플렉션(preflexion) 하중을 재료의 탄성범위내에서 하향(下向)으로 가한다(제5도 참조). 이 상태에서 압축응력에 유리한 콘크리트를 하부플랜지에 타설·양생시킨 후 프리플랙션 하중의 제거와 더불어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트 압축응력이 도입됨으로 사하중 및 활하중에 의한 I-형강보 하부플랜지에 발생되는 인장응력의 감소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연속보 교량의 경우 내측지점부에서는 기존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에서 보와 보의 연결부를 팽창조인트로 처리한 경우와는 달리 사하중 및 활하중에 의한 부모멘트에 의해 상부플랜지에 인장응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발생되는 인장응력은 기존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공법(제5도 참조)으로는 감소시킴이 불가능하다.In simple beam bridges constructed of straight I-beams, only the tensile stress is generated in the lower flange of I-beams due to the bending moment generated when dead and live loads are applied. Conventional prestressed composite beams are fabricated with an I-beam to bend upward in the center, and then a preflexion load is applied downward within the elastic range of the material (see FIG. 5). In this state, the concrete that is advantageous for compressive stress is poured into the lower flange, and then the prestressed stress is introduced into the concrete as well as the pre-fraction load is removed. Reduction is achieved. 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tinuous beam bridge, unlike the case where the connection between the beam and the beam connection portion in the existing prestressed composite beam is treated with the expansion joint, the tensile stress is generated in the upper flange by the parent load due to the dead load and the live load. The tensile stress generated at this time cannot be reduced by the conventional manufacturing method of prestressed composite beam (see FIG. 5).
본 발명의 주목적은 단경간으로 분리·제작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간의 연결부를 팽창조인트 없이 일체화시킴으로 기존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 교량에서 발생되는 팽창조인트의 문제점들을 완전·제거하는 시공법을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struction method that completely eliminates the problems of the expansion joint generated in the existing prestressed composite beam bridge by integrating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prestressed composite interpolation separated and manufactured in a short span without an expansion join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경간으로 분리·제작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연속처리하므로써 자중 및 활하중에 의한 경간내부의 최대휨모멘트를 기존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경우보다 현저히 감소시키므로써 자중의 감소효과와 더불어 경간장을 더욱 장대화할 수 있으며 경제적이고 안전한 단면을 갖는 직선 및 곡선형 프리스트레스트 연속 합성보 교량의 시공법을 제공함에 있다. 예로써 2경간 연속보의 경우 보내부의 최대휨모멘트는 기존방법에 의한 단순보형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경우보다 등분포하중하에서는 무려 78%, 집중하중하에서는 23%가 감소하게 된다. 2경간이상의 연속보의 경우에도 그 감소율은 비슷한 경향을 보인다. 본 발명의 합리성을 입증하기 위해 실제로 건설가능한 2경간 프리스트레스트 연속 합성보 교량을 모델로 선택하여 그 제작방법 및 시공순서에 따라 범용 유한요소 소프트웨어 팩키지 프로그램인 아디나(ADINA)를 이용하여 컴퓨터 가상실험(Computer Simulation)을 수행하였다. 그 가상실험결과로부터의 상세한 수치데이타는 본 설명서에는 생략하였고 그 처짐에 대한 거동은 첨부된 도면과 같다. 이 도면을 이용하여 프리스트레스트 연속 합성보의 제작 및 시공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self-weight by reducing the maximum bending moment in the span by the self-weight and live load than the conventional pre-stressed composite beam by continuous processing of prestressed composite beams separated and manufactured in a short span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constructing straight and curved prestressed continuous composite bridges with longer spans and economical and safe cross sections. For example, in the case of two span continuous beams, the maximum bending moment of the sending section is reduced by 78% under uniform load and 23% under concentrated load than in the simple beam prestressed composite beam by the conventional method. In the case of continuous beams longer than 2 spans, the reduction rate is similar. In order to prove the rationa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a virtually constructable two-span prestressed composite beam bridge was selected as a model, and a computer simulated experiment was carried out using ADINA, a general-purpose finite element software package program,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and construction procedure. Simulation). Detailed numerical data from the results of the virtual experiment are omitted in this manual, and the behavior of the deflection i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Referring to the manufacturing and construction method of prestressed continuous composite beam using this drawing in detail as follows.
제1도는 교량의 첫번째 경간에 해당하는 경간장(ℓ)인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구조시스템과 제작과정을 보이고 있다. 제1도의 (a)는 I-형강보를 상부로 휘어지도록 제작한 상태와 지점조건들 즉, 이동지점과 고정단(固定端)을 나타내고 있다.1 shows the structural system and fabrication process of prestressed composite beam, which is the span length (ℓ) corresponding to the first span of the bridge. (A) of FIG. 1 shows the state and point conditions of the I-shaped steel beams which are bent upward, that is, the point of movement and the fixed end.
여기서의 휨곡선 형태의 제1b도에서는 I-형강보 구조시스템에 하중크기 및 위치를 동일하게 하고 하중방향을 정반대로 작용시키므로써 결정되어지고 하중재하위치는 두 하중의 중심이 20m 이상이 연속보 교량에서 활하중보다 휨모멘트에 영향이 더 큰 사하중에 의해 최대휨모멘트가 발생되는 3/8이 되도록 그리고 두 하중은 3/8ℓ의 위치에서 좌우로 각각 1/8ℓ이 되도록 하였다.Here, in Figure 1b of the bending curve shape, it is determined by equalizing the load size and position in the I-shaped steel beam structural system and acting the load direc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the bridge, the maximum bending moment is generated by 3/8 due to the dead weight which has more influence on the bending moment than the live load, and the two loads are each 1 / 8l at the position of 3 / 8ℓ.
I-형강보의 우측단부는 제2의 보와 연속적으로 연결이 용이하게 수평이 유지되도록 그리고 보와 보의 연결과 경우에 따라 강성보강을 위하여 우측단으로부터 충분한 여유길이(제2도(a))를 두고 고정단을 설치해야 한다. 기존 프리스트레스트 단순보형 합성보의 경우 우측단부를 절점지점으로 처리한 것과는 달리 고정단으로 처리한 또 다른 이유는 두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연속처리할 때 연결부에서 사하중 및 활하중에 의한 내부지점부의 부(負)모멘트에 대하여 역행되는 휨률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즉, 사하중 및 활하중에 의한 연결부에서의 부모멘트는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하부플랜지에 압축응력을 유발시키기 때문에 부모멘트 발생부에서는 프리스트레스트에 의하여 하부플랜지에 최소의 프리스트레스트 압축력이 도입됨이 유리하다. 프리스트레싱 도입을 위한 외력(p)가 가해질 때 고정단이 완전한 고정단으로서의 역학적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I-형강보의 우측단을 제2의 I-형강보와 체결 및 해체가 용이한 볼트로 체결, 연장하고 필요에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제2형강보의 좌측단부를 고정시켜야 한다.The right end of the I-shaped beam has a sufficient clearance from the right end so that it can be easily leveled continuously with the second beam, and for the connection of the beam and the beam, and in some cases, the rigid reinforcement (Fig. 2 (a) The fixed end should be installed. In contrast to the conventional prestressed simple beam composite beams, the right end is treated as a nodal point. Another reason for treating the prestressed composite beams as a fixed point is that when the two prestressed composite beams are processed continuously, the part of the internal point caused by dead and live loads is This is to minimize the bending rate against the moment. That is, since the parent moment at the joint by the dead load and the live load causes the compressive stress on the lower flange of the prestressed composite beam, it is advantageous that the minimum prestress compressive force is introduced to the lower flange by the prestress at the parent moment generator. When the external force (p) for prestressing is applied, the right end of the I-beam can be fastened with the second I-beam and fastened with bolts for easy disassembly. The left end of Type 2 beams is to be extended and fixed at regular intervals as necessary.
제1b도는 휘어진 I-형강보에 탄성범위내에 프리플랙션(preflextion) 하중(p)을 가한 상태이고 제1도의 (c)는 프리플랙션하중하에서 I-형강의 하부플랜지에 프리스트레스트 압축응력을 도입하기 위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한 상태를 보이고 있다. 하중재하위치는 두 하중의 중심이 연속보에서 사하중에 의한 최대휨모멘트가 작용되는 I-형강보의 좌측으로부터 3/8ℓ이 되도록 한다. 그리고, 두 하중의 위치는 두 하중 중심으로부터 좌우로 1/8ℓ만큼의 간격을 둠이 유리하고 하중재하 방법은 기존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제5도 참조)와 동일하게 처리된다.FIG. 1b is a state in which a preflexion load (p) is applied to the curved I-beams in the elastic range, and (c) of FIG. 1 shows the prestress compressive stress on the lower flange of the I-beam under the pre-fraction load. The concrete is being poured for introduction. The loading position is such that the center of the two loads is 3/8 l from the left side of the I-shaped steel beam, in which the maximum bending moment due to dead load is applied in the continuous beam. In addition, the location of the two loads is advantageously spaced by 1/8 l from the center of the two loads, and the loading method is treated the same as the existing prestressed composite beam (see FIG. 5).
제1d도의 하중(p)를 제거함에 따라 I-형강 하부플랜지에 타설된 콘크리트에 압축응력이 도입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로 변환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제1도(d)에서 알 수 있듯이 2보를 일체화할 경우 사하중에 의해 부(負)모멘트가 발생되는 보의 우측으로부터 1/4ℓ까지는 휨곡률이 완만한 상태를 보이고 있다. 이는 사하중 및 활하중에 의해 부모멘트를 받는 구간에서는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하부플랜지의 프리스트레스트 압축응력이 그다지 크지 않음을 의미한다.As the load p of FIG. 1d is removed, the compressive stress is introduced into the prestressed composite beam in which the concrete placed on the lower flange of the I-beam is introduced. As can be seen from FIG. 1 (d), when the two beams are integrated, the bending curvature is gentle from the right side of the beam, in which the negative moment is generated by dead weight, to 1/4 l. This means that the prestressed compressive stress of the lower flange of the prestressed composite beam is not very large in the section receiving the parent by dead and live loads.
제2도는 제1도에서의 순서에 따라 제작된 단경간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2경간 연결시공하는 순서 및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제2도의 (a)는 제1도(d)에서 보인 I-형강하부플랜지에 타설된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트 압축응력이 도입된 두개의 합성보를 교각상에서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두개보의 연결은 강구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볼트체결 및 용접에 의해 시공된다. 여기서, 연결부는 필요한 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보강(stiffner)판을 사용할 수 있다.FIG. 2 shows a procedure and a method for two-stage connection between short span prestressed composite beams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in FIG. FIG. 2 (a) shows a state in which two composite beams in which prestress compressive stress is introduced to concrete placed on the I-shaped descent flange shown in FIG. The two beams are connected by bolting and welding, which are commonly used in steel structures. Here, the connecting portion may use a stiffner plate to secure the required rigidity.
제2b도는 두개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가 교각상에 설치·일체화된 연속보 상태와 사하중 및 활하중에 의한 부모멘트가 발생되는 구간의 I-형강상부플랜지에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에 의한 프리스트레스트 압축력을 도입하기 위해 중앙지점을 탄성범위내에서 상승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2도의 (c)는 중앙지점의 상승상태에서 사하중 및 활하중에 의해 부모멘트가 발생되는 구간에 상판 및 복부(web)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2b is to introduce the prestressing compressive force by concrete casting and curing to the I-shaped steel upper flange of the section where two prestressed composite beams are installed and integrated on the piers, and the parent moment due to dead and live loads is generated. The center point is raised in the elastic range. (C) of FIG. 2 shows a state in which the top plate and the web concrete are placed in the section where the parent moment is generated by the dead load and the live load in the rising state of the central point.
이때의 지점상승작업은 유압잭키를 이용하여 손쉽게 수행될 수 있다. 물론 이 공정에서 횡보(diaphram)의 콘크리트 타설도 동시에 수행되어야 한다.At this time, the point rising operation can be easily performed using the hydraulic jack key. In this process, of course, concrete pouring of the diaphram must also be performed simultaneously.
제2d도는 두 개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가 중앙연결부의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에 의해 완전히 일체화된 상태(제2도(c) 참조)에서 지점을 원상복귀한 그림이다. 사하중 및 활하중에 의해 부모멘트가 발생되는 중앙부의 상부플랜지에 타설된 콘크리트에는 부모멘트에 의한 인장응력을 상쇄시킬 수 있는 압축응력이 도입됨과 동시에 중앙지점 상승에 의해 전구간의 하부플랜지에 일시적으로 도입된 압축응력은 중앙지점의 원상 및 부분적 복구와 더불어 소멸 및 감소된다. 상승시켰던 중앙지점을 부분적으로 하강시키는 경우(제2도(f) 연속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 교량은 중앙부가 볼록한 곡선형 교량이 될 수 있다(제2도(g)).FIG. 2d is a drawing in which two prestressed composite beams are returned to their original point in a state where the two prestressed composite beams are completely integrated by concrete casting and curing of the central connection (see FIG. 2 (c)). Concrete placed in the upper flange of the central part where the parent moment is generated by dead load and live load is introduced into the lower flange of the entire area by the rise of the center point at the same time as compressive stress is introduced to offset the tensile stress caused by the parent moment. Compressive stress is reduced and reduced with the original and partial recovery of the central point. In the case of partially lowering the raised center point (Fig. 2 (f), the continuous prestressed composite beam bridge may be a curved bridge having a central convex shape (Fig. 2 (g)).
이러한 시공과정을 통해 2경간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는 완전일체화되고 사하중 및 활하중에 의해 연속보에서 발생되는 정 및 부모멘트에 의해 유발되는 응력을 대폭 감쇄시킬 수 있는 프리스트레스트 응력이 전 구간을 통해 도입되므로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게 된다.Through this construction, two-span prestressed composite beams are fully integrated and prestressed stresses are introduced throughout the entire section which can greatly attenuate the stresses caused by the static and parental moments generated in continuous beams by dead and live load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제2e도는 연속보 전 구간에 상판 및 복부의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와 자중에 의해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가 거의 수평을 이루고 있는 상태를 보이고 있다. 만일 이때 상승시켰던 중앙부 지점을 부분적으로만 복귀시키는 경우 연속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 교량은 미관이 수려하고 교고(橋高)에 유리한 곡선형 합성교가 된다(제2도(g) 참조).2e shows the state where the concrete of the upper plate and the abdomen is poured in the continuous preservation section and the prestressed composite beam is almost horizontal due to its own weight. If only the partially rebounded central point is returned, the continuous prestressed composite bridge becomes a curved composite bridge that is beautiful in appearance and advantageous to bridges (see Figure 2 (g)).
제3도는 4경간의 교량구조시스템과 휨모멘트를 보이고 있다. 3경간 이상의 연속보 구조시스템에서 외측경간은 2경간 연속보의 프리스트레싱의 도입을 위한 제작공정(제1도 참조)과 동일하나 내측경간의 공정은 보의 양단부에서 부모멘트가 발생되므로 이에 대응하는 제1도와 다른 제작공정이 필요하다.3 shows the bridge structure system and bending moment between four spans. In the continuous beam structure system of more than 3 spans, the outer span is the same as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introducing the prestressing of the continuous span between 2 spans (see Fig. 1). Another degree of fabrication is required.
제4도는 3경간이상의 프리스트레스트 연속 합성보 구조시스템에서 내측보의 제작공정을 나타내고 있다. 제4도(a)는 3경간이상의 I-형강연속보에서 사하중 및 활하중에 의해 내측보 발생되는 정(正)모멘트에 상응되도록 보중앙이 상향으로 휘어져있고 양단이 고정된 구조시스템을 보이고 있다. 휨곡선 형태는 2경간연속보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4도(b)의 하중을 정반대로 가함으로써 얻어진다. 제4도(b)는 보중앙부에 2개의 집중하중을 탄성한계내에서 가한상태를 보이고 있고 이 때의 두 하중은 1/4ℓ의 간격을 유지함이 좋다. 이 이후의 제작 및 연속처리를 위한 시공방법은 2경간 프리스트레스트 연속보(제2도 참조)의 경우와 같다. 여러 경간을 연속으로 처리함으로 발생될 수 있는 온도에 대한 수축 및 팽창에 의한 구속력은 첫번째 지점을 제외하고 모든 연속보의 지점을 롤러(roller)지점으로 처리하므로 어려움없이 해결된다.4 shows the fabrication process of the inner beam in the prestressed continuous composite beam structure system of more than three spans. FIG. 4 (a) shows a structural system in which the beam center is bent upward and fixed at both ends so as to correspond to the positive moment generated from the inner beam by the dead load and the live load in the I-shaped continuous beam having more than three spans. The shape of the bending curve is obtained by applying the load in Fig. 4 (b) in the opposite way as in the case of the two span continuous beams. FIG. 4 (b) shows a state in which two concentrated loads are applied to the beam central part within the elastic limit, and the two loads at this time maintain the interval of 1 / 4L. The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ubsequent fabrication and continuous processing is the same as in the case of two span prestressed continuous beam (see FIG. 2). The constraining force caused by shrinkage and expansion with respect to temperature, which can be generated by processing several spans in succession, is solved without difficulty by treating all points of the continuous beam as roller points except the first point.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30003796A KR960001727B1 (en) | 1993-03-13 | 1993-03-13 | Prestress combined beam for continuous bridge and its work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30003796A KR960001727B1 (en) | 1993-03-13 | 1993-03-13 | Prestress combined beam for continuous bridge and its working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30009244A Division KR960009654B1 (en) | 1993-03-11 | 1993-03-11 | Syring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01727B1 true KR960001727B1 (en) | 1996-02-03 |
Family
ID=19352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30003796A KR960001727B1 (en) | 1993-03-13 | 1993-03-13 | Prestress combined beam for continuous bridge and its work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60001727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74017B1 (en) * | 2000-01-22 | 2003-02-26 | 삼표산업 주식회사 | Continuous Preflex Beam Bridg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KR100391713B1 (en) * | 2000-09-08 | 2003-07-16 | 삼표산업 주식회사 | Continuous Preflex Beam Structures Using External Tendon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1993
- 1993-03-13 KR KR1019930003796A patent/KR960001727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74017B1 (en) * | 2000-01-22 | 2003-02-26 | 삼표산업 주식회사 | Continuous Preflex Beam Bridg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KR100391713B1 (en) * | 2000-09-08 | 2003-07-16 | 삼표산업 주식회사 | Continuous Preflex Beam Structures Using External Tendon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20011037A1 (en) | Device for limiting the relative movement of two elements of a civil engineering structure and structure including said device | |
KR20090068526A (en) | Construction method of bridge structure and steel composite girder using the same | |
JP2948909B2 (en) | Construction method of prestressed composite beam structure and prestressed composite beam for continuous beam | |
KR960001727B1 (en) | Prestress combined beam for continuous bridge and its working | |
US3460446A (en) | Bridge type highway of reinforced or prestressed concrete | |
KR19980071920A (en) | Construction method of preflex composite type by factory production | |
CN112069584B (en) | Design method of ductile structural pier for railway | |
KR960009273B1 (en) | P.s composite beam for making continuous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by p.s composite baem | |
KR101734304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Efficient Steel-Concrete Composite Girder, Construction Method of Continuous Bridges using such Composite Girder, and Continuous Bridges constructed by such Method | |
KR100548046B1 (en) | Reinforcing Method of Structures with Opposite Loading | |
KR0158296B1 (en) | Method of maufacturing prestressed composite beam | |
KR101578637B1 (en) | Prestressed Concrete Girder for Continuous Composite Girder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reof | |
KR19980025917A (en) | Multi-span prestressed steel composite continuous member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0555253B1 (en) | The bridge construction method of having used composition double girder and this which connected and manufactured i beam by the upper and lower sides | |
KR20020067078A (en) | The method of preflex composite beam made by using the hunch concrete represtressing the lower casing concrete | |
KR100416217B1 (en) | Composite structural material | |
KR20020031603A (en) | Preflex Beam Bridge Structures Using Fiber Reinforced Concrete | |
KR960010181A (en) | Manufacturing method of prestressed composite beam (preflex beam) | |
KR100478561B1 (en) | continued prestressed composite beam having a slanted cross-section portion formed in steel and method for continuously constructing the composite beam | |
KR960009274B1 (en) |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i-beam for assembling p.c upper plate and p.s composite beam | |
KR100514405B1 (en) | Preflex continuous steel girder | |
KR102051320B1 (en) | I beam Concrete Composite Girder | |
KR960003436B1 (en) | Segment manufacturing method of prestressed continuous composite beam | |
KR20000041822A (en) | Complex bridge composed of represtressed box girder | |
KR200306938Y1 (en) | continued prestressed composite beam having a slanted cross-section portion formed in stee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J206 |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 ||
J121 |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18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