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3868A - 문화재 수장고용 기밀방화댐퍼 - Google Patents
문화재 수장고용 기밀방화댐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073868A KR20010073868A KR1020000003033A KR20000003033A KR20010073868A KR 20010073868 A KR20010073868 A KR 20010073868A KR 1020000003033 A KR1020000003033 A KR 1020000003033A KR 20000003033 A KR20000003033 A KR 20000003033A KR 20010073868 A KR20010073868 A KR 2001007386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uct
- gate
- damper
- closed
- seal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화재를 보관하거나 또는 전시를 겸하는 수장고의 기밀방화댐퍼에 관한 것으로, 건물의 내·외부를 구획하는 벽면에 매설되며, 상기 벽면 안쪽의 문화재 수장고와 연통하도록 설치되는 덕트와 연결되는 프런트덕트와 상기 구획벽면의 바깥쪽에 노출되는 리어덕트 및 상기 프런트 덕트와 리어 덕트 사이에 밀폐게이트의 개폐작동을 허용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이 큰 미들 덕트가 형성되어 있는 댐퍼와; 상기 댐퍼 케이스의 프런트 덕트와 미들 덕트 사이에 형성되며, 내부 중간에는 그릴이 설치된 채 상기 미들 덕트 내측을 향해 연장되어 제1 밀페게이트에 의하여 개폐되는 인너 덕트와; 상기 인너 덕트의 상부 프레임 양쪽과 상부 프레임과 마주하는 반대쪽 미들 덕트 내부 상단에 부착된 지지프레임 중앙에 고정 설치되는 동력원인 모터와; 상기 인너 덕트의 상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 각각의 양측에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되는 베어링 하우징에 회전가능하도록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상기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리드스크류축과; 상기 인너 덕트의 하부 프레임에 회전작동이 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상기 미들 덕트 내부로 연장된 인너 덕트의 개폐단에 설치된 기밀가스켓을 개폐하는 제1 밀폐게이트와; 상기 지지프레임 양측에 부착된 고정브라켓 각각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그에 형성된 장공에 설치되는 베어링축으로 상기 제1 밀폐게이트의 힌지브라켓과 연결되는 작동링크와; 상기 리드스크류축 각각을 감싸도록 나사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리드스크류축이 정·역방향으로 회전작동함에 따라 양쪽으로 왕복이동하는 왕복작동체와; 상기 작동링크와 왕복작동체 각각을 연결하며, 상기 왕복작동체가 왕복이동함에 따라 상기 작동링크를 각운동시켜 제1 밀폐게이트를 개폐작동시키는 연결링크를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수장고용 댐퍼의 개페작동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기밀력이 향상되어 수장고 내부의 온·습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나아가 위험인자로부터 문화재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문화재를 보관하거나 또는 전시를 겸하는 수장고의 기밀방화댐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문화재 수장고 내부의 온도와 습도에 따라 댐퍼의 개폐작동이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아울러 수장고 외부에서 화재가 발생되었을시 댐퍼가 자동으로 폐쇄되어 수장고 내부로 연기 및 화기의 유입현상을 신속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문화재는 특정한 장소 예를 들면, 박물관 등에서 보존하고 있으며, 또한 문화재는 온도 및 습도의 변동이 없는 환경에서 보존되어야 할 뿐 아니라 외부로부터 위험인자를 차단하는 시설과 함께 일정한 온·습도를 유지하고 있는 공간에서 놓여 있어야만 안전하게 보존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문화재를 보존하고 있는 수장고는 내부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하여 댐퍼를 설치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서의 문화재 수장고용 댐퍼는 개폐작동이 가능하고 또 방화기능과 방범기능을 담당할 수 있도록 금속재 철판을 이용하여 단일구조 또는 이중구조로 제작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수장고용 댐퍼는 댐퍼를 개폐조작하기 위하여 설치된 전원스위치박스의 개폐작동스위치를 수동으로 온/오프 조작해야만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수장고의 인접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되었을시 댐퍼가 자동으로 닫히지 않고 반드시 상기한 개폐작동스위치를 조작하여야만 댐퍼를 폐쇄작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인접 건물의 화재시 수장고 관리자가 전원스위치박스의 작동스위치를 조작하기 까지는 환기를 위해 개방시켰던 댐퍼를 통해 연기 및 화기가 수장고 내부로 침투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어 왔으며, 또한 종래 수장고의 댐퍼는 폐쇄작동시 환기통로에 대하여 직각상태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 개방작동시는 환기통로와 수평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댐퍼가 완전히 닫히고 열리는 개폐각도가 대략 90°각도로 크기 때문에 댐퍼가 열린상태에서 닫힐 때의 시간이 긴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고, 나아가 댐퍼의 내면이 평면상으로 되어 있어 상기 댐퍼의 폐쇄작동시 틀체에 장착된 가스켓에 평면상으로 접촉하게 되므로 기밀력의 우수성을 기대하기 곤란하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댐퍼는 방화기능과 방범기능을 겸하면서 수장고 내부의 온·습도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되면서 환기작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수장고 내부를 항온항습상태로 유지하여 문화재의 보존에 가장 바람직한 온·습도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댐퍼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또한 수장고와 수장고에 인접한 건물 등에서 화재가 발생되었을 경우 이를 신속하게 감지하여 화재현장으로부터 발생된 연기와 화기가 수장고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고, 또한 정전으로 인하여 항온항습장치가 가동되지 않을 때 수장고의 내부 온도 및 습도가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댐퍼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구성하여 수장고 내부에 연기 및 화기 등의 위험인자가 침입되는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 수장고 내부의 온·습도 환경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건물의 구획벽면에 매설된 덕트 내부에 평판상으로 설치되어 회전작동으로 상기의 덕트 내부를 개폐하는 환기용 또는 방화용 댐퍼에 있어서,
건물의 내·외부를 구획하는 벽면에 매설되며, 상기 벽면 안쪽의 문화재 수장고와 연통하도록 설치되는 덕트와 연결되는 프런트덕트와 상기 구획벽면의 바깥쪽에 노출되는 리어덕트 및 상기 프런트 덕트와 리어 덕트 사이에 밀폐게이트의 개폐작동을 허용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이 큰 미들 덕트가 형성되어 있는 댐퍼 케이스와;
상기 댐퍼 케이스의 프런트 덕트와 미들 덕트 사이에 형성되며, 내부 중간에는 그릴이 설치된 채 상기 미들 덕트 내측을 향해 연장되어 제1 밀페게이트에 의하여 개폐되는 인너 덕트와;
상기 인너 덕트의 상부 프레임 양쪽과 상부 프레임과 마주하는 반대쪽 미들 덕트 내부 상단에 부착된 지지프레임 중앙에 고정 설치되는 동력원인 모터와;
상기 인너 덕트의 상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 각각의 양측에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되는 베어링 하우징에 회전가능하도록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상기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리드스크류축과;
상기 인너 덕트의 하부 프레임에 회전작동이 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상기 미들 덕트 내부로 연장된 인너 덕트의 개폐단에 설치된 기밀가스켓을 개폐하는 제1 밀폐게이트와;
상기 지지프레임 양측에 부착된 고정브라켓 각각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그에 형성된 장공에 설치되는 가이드 베어링으로 상기 제1 밀폐게이트의 힌지브라켓과 연결되는 작동링크와;
상기 리드스크류축 각각을 감싸도록 나사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리드스크류축이 정·역방향으로 회전작동함에 따라 양쪽으로 왕복이동하는 왕복작동체와;
상기 작동링크와 왕복작동체 각각을 연결하며, 상기 왕복작동체가 왕복이동함에 따라 상기 작동링크를 회전운동시켜 제1 밀폐게이트를 개폐작동시키는 연결링크;
를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댐퍼 케이스의 미들 덕트를 리어 덕트 쪽으로 연장시킨 연장부의내부공간에 수직프레임과 상,하부프레임 및 양측프레임으로 형성되는 연장 덕트에 제2 밀폐게이트를 개폐가능하게 설치하는 구조로서 상기 제2 밀폐게이트는 제1 밀폐게이트와 함께 댐퍼 케이스가 이중으로 개폐하는 이중 밀폐게이트로 구성되게 한 것과, 상기 리드스크류축에 설치된 왕복작동체 각각에 일단이 고정 부착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자유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견인와이어의 타단을 상기 미들 덕트의 연장부 상단에 횡설된 축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축착된 견인로울러와 상기 연장 덕트의 양측프레임 양쪽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가이드로울러를 거쳐 상기 제2 밀폐게이트의 양측에 연결하는 구조로서 상기 왕복작동체가 리드스크류축을 타고 좌,우로 왕복이동하면서 제1 밀폐게이트를 개폐시킬 때 제2 밀폐게이트도 함께 개폐작동될 수 있도록 한 것과, 상기 제1·제2 밀폐게이트 각각의 개폐단 주연부와 상기 인너 덕트·연장덕트 각각의 개폐단 주연부들이 서로 대칭상으로 마주하는 계단형으로 형성하는 수단으로 상기 밀폐게이트들의 밀폐작동시 밀폐게이트 및 덕트 각각의 계단형 주연부들 내측에 부착되어 기밀작용을 하는 게이트용 가스켓과 덕트용 가스켓을 감싸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로서, 상기 실시예의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6은 도 5의 C-C선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도 5 실시예의 작동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댐퍼 2a,2b : 제1 및 제2 밀폐게이트
3 : 지지프레임 4 : 리드스크류축
5 : 모터 6 : 작동링크
7 : 왕복작동체 8 : 연장 덕트
9 : 견인와이어 9a : 온도감지센서
9b : 습도감지센서 9c : 연기감지센서
11 : 프런트 덕트 12 : 리어 덕트
13 : 미들 덕트 14 : 인너 덕트
15 : 계단형 기밀부재 16 : 덕트용 가스켓
17 : 그릴 21a,21b : 힌지
22a,22b : 힌지핀 23a,23b : 계단형 개폐단
24a,24b : 게이트용 가스켓 25a : 힌지브라켓
26a : 가이드 베어링 71 : 연결링크
72 : 고정돌기 83 : 계단형 기밀부재
84 : 덕트용 가스켓 85 : 스프링
86 : 축 87 : 견인로울러
88 : 가이드 로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로서 상기 실시예의 작동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C-C선 단면도이며, 도 7 및 도 8은 도 5 실시예의 작동상태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부호 1은 댐퍼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댐퍼(1)는 건물의 벽면 안쪽에 위치하여 도시하지 않은 문화재 수장고와 연통하도록 설치되는 덕트가 연결되는 프런트 덕트(11 : FRONT DUCT)와 벽면의 바깥쪽에 위치하여 외부에 노출되는 리어 덕트(12 : REAR DUCT) 및 상기한 프런트 덕트(11)와 리어 덕트(12)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미들 덕트(13 : MIDDLE DUCT) 및 인너 덕트(14 : INNER DUCT)로 구성되는데, 상기한 미들 덕트(13)는 프런트 덕트(11)와 미들 덕트(12)보다 큰 공간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인너 덕트(14)는 프런트 덕트(11)와 미들 덕트(13)를 연결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인너 덕트(14)의 일단은 프런트 덕트(11)에 직결된 상태로 연장되어 있으며, 타단은 미들 덕트(13) 내부로 진입된 상태로 돌출되게 설치되는데, 이와 같이 상기 미들 덕트(13) 내부로 진입되는 인너 덕트(14)의 상부프레임(14a)은 길게 연장된 상태인 반면 하부프레임(14b)은 짧게 연장된 상태가 되게 한 다음 상기 상,하부프레임 양측을 잇는 양측프레임(14c)의 연장단측을 15∼40°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인너 덕트(14)의 개폐단 자체가 15∼40°각도로 경사진 상태가 되게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프런트 덕트(11)에서부터 미들 덕트(13)쪽으로 연장되는 상기 인너 덕트(14)의 개폐단을 15∼40°각도로 경사지게 한 이유는 후술하는 제1 밀폐게이트(2a)의 개폐각도를 줄여서 개폐작동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인너 덕트(14)를 구성하는 상기한 상,하부프레임 및 양측프레임의 경사진 연장단 즉, 상기 인너 덕트(14)의 개폐단에는 금속재질로 되고 단면이 "ㄱ"자형으로 된 계단형 기밀부재(15)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계단형 기밀부재(15) 내측에 덕트용 가스켓(16)이 부착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의 인너 덕트(14) 내부에는 외부의 침입자가 댐퍼를 통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릴(17)을 설치하여 준다.
상기 제1 밀폐게이트(2a)는 그 하단 양측에 부착된 힌지(21a)가 상기 인너 덕트(14)의 하부프레임(14b)에 힌지핀(22a)으로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제1 밀폐게이트(2a)의 계단형 개폐단(23a)은 상기한 인너 덕트(14)의 개폐단에 부착된 계단형 기밀부재(15)와 대칭을 이루면서 서로 합쳐지는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또한 상기한 계단형 개폐단(23a)의 내측에는 상기 인너 덕트(14)의 계단형 기밀부재(15) 내측에 설치된 덕트용 가스켓(16)과 기밀하게 밀폐작용을 하는 게이트용 가스켓(24a)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에서 제1 밀폐게이트(2a)의 계단형 개폐단(23a)과 인너 덕트(14)의 계단형 기밀부재(15) 각각을 서로 대칭되는 단면을 가지는 계단형구조로 형성한 것은 상기 제1 밀폐게이트(2a)를 폐쇄작동시켰을 때 상기한 계단형 개폐단(23a)과 계단형 기밀부재(15)들이 서로 합치되면서 그것들 내측에서 밀착되어 기밀작용을 하는 덕트용 및 게이트용 가스켓(16)(24a)을 감싸 보호할 수 있기 위함이다. 즉, 댐퍼(1)가 설치된 인접 건물에서 불의의 화재가 발생되어 화기가 댐퍼(1) 내부로 진입었을 때 계단형 기밀부재(15)와 계단형 개폐단(23a)이 화기로부터 덕트용 가스켓(16) 및 게이트용 가스켓(24a)을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다음 상기 미들 덕트(13)의 내상부 즉, 인너 덕트(14)의 상부프레임(14a) 상면 양측과, 상기 상부프레임(14a)와 마주하는 미들 덕트(13)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 지지프레임(3) 상면 양측 각각에는 서로 마주하는 두쌍의 베어링 하우징(41)들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한 두쌍의 베어링 하우징(41) 각각에는 서로 평행을 이루는 두개의 리드스크류축(4)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3)의 중앙에는 동력원인 모터(5)를 설치하여 상기한 양측 리드스크류축(4)을 회전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데, 상기 모터(5)의 회전출력을 양측 리드스크류축(4)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구조는 스프로켓과 체인으로 구성하거 또는 풀리와 벨트 등의 구조로 구성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타이밍풀리와 타이밍벨트로 구성하는 것을 실시예로 하고 있다.
즉, 상기 모터(5)의 출력축에는 더블 타이밍풀리(51)를 축착하고, 양측 리드스크류축(4) 각각에는 싱글 타이밍풀리(42)를 축착한 다음 상기 더블 타이밍풀리(51)에 연설되는 두개의 타이밍벨트(52)를 양측 싱글 타이밍풀리(42) 각각에 대칭상으로 연설하는 구조로서 상기 모터(5)의 구동시 양측 리드스크류축(4)이 동일한 방향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의 모터(5)는 양측 리드스크류축(4)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정·역구동용 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들 덕트(13) 상부에 설치된 지지프레임(3) 양측의 고정브라켓(31)과 상기 제1 밀폐게이트(2a)의 상단 양측에 형성된 힌지브라켓(25a)에 작동링크(6)의 양단을 연결하는데, 상기 작동링크(6)의 일단은 고정브라켓(3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한편, 타단에는 장공(61)을 형성하여 상기 제1 밀폐게이트(2a)의 힌지브라켓(25a)에 연결시키는 베어링축(26a)이 상기한 장공(61)을 관통하도록 하므로서 상기 작동링크(6)가 고정브라켓(31)을 기점으로 하여 회전작동할 때 상기한 베어링축(26a)이 장공(61)내에서 왕복이동을 허용하게 되어 제1 밀폐게이트(2a)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작동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작동링크(6)의 회전작동은 상기한 양측 리드스크류축(4)을 감싸는 상태로 나사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리드스크류축(4)의 회전작동에 따라 왕복이동하는 작동왕복체(7)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왕복작동체(7)와 작동링크(6)의 중간부분을 연결링크(71)로 연결하는 구조로서 상기 왕복작동체(7)가 리어 덕트(12)쪽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상기 연결링크(71)가 작동링크(6)를 하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며, 이와 반대로 상기 왕복작동체(7)가 프런트 덕트(11)쪽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상기 연결링크(71)어 작동링크(6)를 상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댐퍼(1)의 미들 덕트(13) 내부에 제1 밀폐게이트(2a) 즉, 싱글 밀폐게이트를 설치한 것을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며, 다음의 실시예(도 5 내지 도 8 참조)에서는 댐퍼(1) 내부에 제1 및 제2 밀폐게이트가 함께 구성된 더블 밀폐게이트를 설치한 것을 실시예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더블 밀폐게이트의 실시예는, 댐퍼(1)의 중간부분에 형성되는 미들 덕트(13)의 내부공간을 리어 덕트(12)쪽으로 연장시킨 연장부(13a) 내부에 수직프레임(81a)과 상·하부프레임(81b)(81c) 및 양측프레임(81d)으로 구성되는 연장덕트(8)를 설치한 다음 이를 제2 밀폐게이트(2b)가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연장 덕트(8)의 수직프레임(81a)에 부착된 상태에서 리어 덕트(12)쪽으로 연장되는 상부프레임(81b)은 길고 하부프레임(81c)는 짧게 형성하여 상·하부프레임 양측을 커버하는 양측프레임(81d)의 연장단이 15∼40°각도로 경사진 상태가 되게 하여 상기 연장 덕트(8)의 개폐단 역시 15∼40°각도로 경사지게 하는데, 이는 전술한 싱글 밀폐게이트의 실시예와 같이 연장 덕트(8)의 하부프레임(81c)에 힌지(21b)로 부착되어 연장 덕트(8)를 밀폐하는 제2 밀폐게이트(2b)가 제1 밀폐 게이트(2a)와 같이 개폐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연장 덕트(8)의 상·하부프레임 및 양측프레임의 연장단에도 단면이 "ㄱ"자형으로 된 계단형 기밀부재(83)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기밀부재(83) 내측에 덕트용 가스켓(8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 밀폐게이트(2a)의 하단 양측에 부착된 힌지(21b)는 힌지핀(22b)에 의하여 상기 연장 덕트(8)의 하부 프레임(81c)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밀폐게이트(2a)의 계단형 개폐단(23b)은 상기한 연장 덕트(8)의 경사진 개폐단에 부착된 계단형 기밀부재(83)와 대칭을 이루면서 서로 합쳐지는 단면을 가지는 구조로 형성되며, 또한 상기한 계단형 개폐단(23b)의 내측에는 상기 연장 덕트(8)의 계단형 기밀부재(83) 내측에 설치된 덕트용 가스켓(84)과 기밀하게 밀폐작용을 하는 게이트용 가스켓(24b)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제2 밀폐게이트(2b)의 개폐작동은 전술한 실시예의 제1 밀폐게이트(2a)를 개폐작동시키기 위하여 양측 리드스크류축(4)를 타고 왕복이동하는왕복작동체(7)에 의하여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의 왕복작동체(7) 각각의 외측에 돌출된 고정돌기(72)에 일단이 연결되는 코일상의 스프링(85)의 타단에 견인와이어(9) 일단을 연결한 다음 상기 견인와이어(9) 타단은 상기 연장부(13a) 내상부에 횡설된 축(86)의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축착된 견인로울러(87)와 상기 연장 덕트(8)의 양측프레임(81d) 각각의 외측에 부착된 가이드로울러(88)를 거쳐 제2 밀폐게이트(2b) 중간부분에 고정되는 구조로서 상기 왕복작동체(7)가 프런트 덕트(11)쪽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견인와이어(9)가 당겨지는 상태가 되어 제2 밀폐게이트(2b)가 연장 덕트(8)의 개폐단을 밀폐하게 되며, 이와 반대로 상기 왕복작동체(7)가 리어 덕트(12)쪽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상기 견인와이어(9)를 놓아주는 상태가 되어 제2 밀폐게이트(2b)가 개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 밀폐게이트(2b)가 폐쇄작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미들 덕트(13)와 연장부(13a)는 연장 덕트(8) 및 제2 밀폐게이트(2b)에 의하여 밀폐된 상태가 되도록 상기 연장 덕트(8)의 사방과 미들 덕트(13) 내면을 밀폐시키는 구조로 구성한다.
한편, 상기한 제1 및 제2 밀폐게이트 각각은 금속재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단열성이 우수하고 불에 타지 않는 난연성 재질의 내화재(27)가 충진되어 있으므로 화재시 화염을 차단함과 더불어 수장고 내부의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며, 또한 인너 덕트와 연장 덕트 각각에 설치되는 가스켓들도 기밀성이 우수하고 내열성의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상기와 같이 미들 덕트(13)에 제1 밀폐게이트(2a) 하나만을 설치한 싱글 밀폐게이트 실시예 및 미들 덕트(13)와 연장 덕트(8) 각각에 제1 및 제2 밀폐게이트(2a)(2b) 두개를 동시에 설치한 더블 밀폐게이트 실시예 각각은 프런트 덕트(11)의 요입부(11a)에 온도와 습도및 연기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9a)와 습도감지센서(9b) 및 연기감지센서(c)가 설치되어 있는데, 뜨거운 공기는 위쪽에서 유동하게 되므로 상기한 요입부(11a)를 프런트 덕트(11) 위쪽에 형성한 다음 상기의 요입부(11a)에 온도감지센서(9a), 습도감지센서(9b), 연기감지센서(9c)를 설치한다.
또한 상기한 각 센서는 도면에서 도시하지 않은 콘트롤장치와 전기 또는 전자회로로 구성되어 수장고 내부의 공기를 환기시킬 때 수장고 내부의 온도 및 습도의 변화폭이 설정치보다 클 경우에는 모터(5)를 구동시켜 각 밀폐게이트의 개폐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 각 밀폐게이트를 개방시켜 수장고 내부를 환기시키는 도중 인접한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되어 연기 또는 열기(화기)가 댐퍼(1) 내부로 역류하여 침투하게 될 경우 연기감지센서(9c)와 온도감지센서(9a) 및 습도감지센서(9b)가 작동하여 각 밀폐게이트를 폐쇄작동시켜 인너 덕트(14)와 연장덕트(8) 모두가 밀폐되게 하여 외부로부터 위험인자가 댐퍼(1)를 통해 수장고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각 실시예의 제1 및 제2 밀폐게이트(2a)(2b) 각각은 자동제어를 해제한 다음 수동으로 개폐조작이 가능하게 설치하는 수단으로 수장고 내부를 소독할 경우 등에 수동으로의 환기작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 원리로 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상기 댐퍼(1)의 미들 덕트(13) 내부에 싱글구조로 된 제1 밀폐게이트(2a) 하나만을 설치한 실시예를 먼저 설명한다.
도 3과 같이 제1 밀폐게이트(2a)가 인너 덕트(14)를 밀폐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왕복작동체(7)가 프런트 덕트(11)쪽(도면상 우측)으로 완전히 이동한 상태로서, 이때에는 상기 왕복작동체(7)와 작동링크(6)에 연결된 연결링크(71)가 상기한 작동링크(6)를 잡아당겨 상향으로 회전시킨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제1 밀폐게이트(2a)는 힌지(22a)를 기점으로 하여 상향으로 회전된 상태(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로서 인너 덕트(14)를 밀폐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즉, 상기 제1 밀폐게이트(2a)의 계단형 개폐단(23a)과 인너 덕트(14)의 계단형 기밀부재(15)들이 서로 대칭상으로 합치하는 상태가 되면서 그것들 각각의 내측에 부착된 게이트용 가스켓(24a)과 덕트용 가스켓(16)은 은폐된 상태에서 서로 밀착되어 밀폐작동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댐퍼(1)의 제1 밀폐게이트(2a)를 폐쇄하였을 경우 문화재 수장고의 인접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되었을시에는 화재에서 발생되는 연기 또는 화기가 수장고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완전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화기가 댐퍼(1)의 리어 덕트(12)를 통해 내부로 침입하게 되더라도 댐퍼(1)를 밀폐하고 있는 덕트용 및 게이트용 가스켓(16)(24a) 각각은 제1 밀폐게이트(2a)의 계단형 개폐단(23a)과 계단형 기밀부재(15)에 은폐된 상태로 보호되고 있으므로 화기로부터 열변형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항시 댐퍼(1)를 기밀하게 밀폐하게 되는 특징이 있으며, 이에 따라 수장고 내부는 설정된 온·습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 수장고 내부의 공기를 환기시키고자 할 때에는 콘트롤장치의 작동스위치를 조작하여 제1 밀폐게이트(2a)를 개방시키는데, 이때 모터(5)의 구동방향은 프런트 덕트(11)쪽으로 이동된 왕복작동체(7)를 리어 덕트(12)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방향 예를 들어, 더블 타이밍풀리(51)이 역방향(또는 정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자동 제어되게 구성되어 있는 바, 이와 같이 상기 모터(5)가 구동하여 더블 타이밍풀리(51)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더블 타이밍풀리(51)에 대칭상으로 연설되어 있는 두개의 타이밍벨트(52)가 양측 리드스크류축(4) 각각의 일단에 축착되어 있는 양측 싱글 타이밍풀리(42)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한 양측 리드스크류축(4)도 함께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프런트 덕트(11)쪽(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했던 왕복작동체(7)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리드스크류축(4)을 타고 리어 덕트(12)쪽(도면상 좌측)을 향해 신속하게 이동하게 되며, 상기 왕복작동체(7)가 리어 덕트(12)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연결링크(71)는 작동링크(6)를 하향으로 회전시키는 상태가 되며, 또한 상기 작동링크(6)의 일단이 고정브라켓(31)을 기점으로 하여 하향으로 회전하게 될 때에는 제1 밀폐게이트(2a)의 힌지브라켓(25a)에 연결된 작동링크(6)의 타단은 제1 밀폐게이트(2a)를 개방시키는 작동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작동링크(6)를 하향으로 회전작동시켜서 제1 밀폐게이트(2a)를 개방시키는 왕복작동체(7)가 리어 덕트(12)쪽(도면상 좌측)에 위치한 베어링 하우징(41)까지 이동을 완료한 상태가 되면 모터(5)는 자동을 정지하게 되는 것이며,또한 상기 왕복작동체(7)가 리어 덕트(12)쪽으로의 이동작동을 완료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밀폐게이트(2a)는 완전히 개방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제1 밀폐게이트(2a)가 완전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미들 덕트(13)도 완전히 개방된 상태가 되므로 환기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 양측 리드스크류축(4)가 정·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왕복이동하는 왕복작동체(7)가 프런트 덕트(11)쪽(도면상 우측)에 위치한 베어링 하우징 또는 리어 덕트(12)쪽(도면상 좌측)에 위치한 베어링 하우징으로 이동을 완료하는 상태가 되면 모터(5)가 정지되어 리드스크류축(4)과 왕복작동체(7) 그리고 연결링크(71)와 작동링크(6) 및 제1 밀폐게이트(2a) 각각의 구성요소가 손상 내지 파손되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도록 제어하는 콘트롤장치가 구비되어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와 같이 제1 밀폐게이트(2a)를 개방시켜 수장고 내부를 환기시키는 도중 댐퍼(1)의 리어 덕트(12) 주변의 외부공기에 위험인자가 발생될 경우 예를 들면, 인접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되어 연기와 열기가 리어 덕트(12)를 통해 개방된 인너 덕트(14)로 유입될 경우에는 프런트 덕트(11)의 요입부(11a)에 설치한 온도감지센서(9a)는 열기를, 연기감지센서(9c)는 연기를, 그리고 습도감지센서(9b)는 화기 또는 열기유입으로 인한 습도의 급격한 변화를 각각 개별적으로 감지하고 그 감지된 신호를 콘트롤장치에 보내게 되면 상기 콘트롤장치는 모터(5)를 구동시켜 개방된 제1 밀폐게이트(2a)를 신속하게 폐쇄시키도록 하는데, 이때의 모터(5)는 제1 밀폐게이트(2a)를 개방시킬 때와는 반대방향 예를 들면, 정방향으로 구동하고 그 정방향으로의 회전출력을 대칭상으로 연설된 두개의 타이밍벨트(52)롤 통하여 양측 리드스크류축(4)에 전달하여 왕복작동체(7)를 프런트 덕트(11)쪽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왕복작동체(7)가 프런트 덕트(11)쪽으로 이동할 때에는 연결링크(71)가 작동링크(6)를 잡아당겨 상향으로 회전작동시키는 상태가 되므로 이에 따라 제1 밀폐게이트(2a)는 힌지핀(22a)를 기점으로 하여 상향으로 회전(도면상 시계방향)하면서 인너 덕트(14)를 밀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인너 덕트(14)의 개폐단측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들 덕트(13) 내부를 향해 상부프레임(14a)은 길게 연장되고 하부프레임(14b)은 짧게 연장된 상태로서 15∼40°각도로 경사지게 구성되어 있어 상기한 경사각도 만큼 제1 밀폐게이트(2a)의 폐쇄각도를 줄일 수 있으므로 제1 밀폐게이트(2a)의 폐쇄작동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 상기 댐퍼(1)에 제1 및 제2 밀폐게이트(2a)(2b) 두개를 설치한 더블 밀폐게이트 실시예의 경우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들 덕트(13) 내부에는 제1 밀폐게이트(2a)가 인너 덕트(14)를 개폐하도록 하고, 리어 덕트(12)쪽으로 연장시킨 연장부(13a) 내부에는 제2 밀폐게이트(2b)가 연장 덕트(8)를 개폐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상기한 제1 및 제2 밀폐게이트(2a)(2b)의 개폐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과 같이 제1 및 제2 밀폐게이트(2a)(2b)가 인너 덕트(14)와 연장 덕트(8)를 밀폐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양측 리드스크류축(4)에 설치된 왕복작동체(7)가 프런트 덕트(11)쪽으로 이동한 상태로서, 전술한 싱글 밀폐게이트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밀폐게이트(2a)는 상기 왕복작동체(7)에 일단이 연결된 연결링크(71)가 작동링크(6)를 상향으로 잡아당긴 상태이므로 이에 따라 인너덕트(14)를 밀폐하고 있는 상태이며, 한편 연장 덕트(8)를 개폐하는 제2 밀폐게이트(2b) 역시 프런트 덕트(11) 쪽으로 이동된 왕복작동체(7)가 견인와이어(9)를 잡아당기고 있는 상태이므로 이에 따라 제2 밀페게이트(2b)가 연장 덕트(8)를 밀폐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제1 및 제2 밀폐게이트(2a)(2b)가 인너 덕트(14)와 연장 덕트(8)를 밀폐하고 있는 상태에서 수장고 내부를 환기시키기 위해 댐퍼(1)를 개방시키고자 할 때에는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콘트롤장치의 작동스위치를 조작하여 모터(5)를 구동시키는데, 이때 모터(5)의 구동방향은 각 밀폐게이트를 폐쇄작동시킬 때와는 반대방향으로서 상기 왕복작동체(7)를 리어 덕트(12)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방향(역방향)으로 구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5)가 역방향(또는 정방향)으로 구동하게 되면 이에 따라 리드스크류축(4)도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왕복작동체(7)가 리어 덕트(12)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와 같이 상기 왕복작동체(7)가 리어 덕트(12)쪽으로 이동하게 될 때에는 왕복작동체(7)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링크(71)가 작동링크(6)를 하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며, 이렇게 하향으로 회전하는 작동링크(6)는 다시 제1 밀폐게이트(2a)를 개방시키게 되는 것이며(이와 같은 작용은 전술한 싱글 밀폐게이트 실시예와 동일함), 이와 때를 같이 하여 리어 덕트(12) 쪽으로 이동하는 상기 왕복작동체(7)의 고정돌기(72)에 스프링(85)과 함께 일단이 연결되어 있던 견인와이어(9)를 놓아주게 되는 상태가 되므로 이에 따라 제2 밀폐게이트(2b)도 개방되는 것이다.(도 8 참조)
상기 제2 밀폐게이트(2b)가 개방되는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2 밀폐게이트(2b) 역시 전술한 실시에의 제1 밀폐게이트(2a)와 마찬가지로 폐쇄작동시의 제2 밀폐게이트(2b) 자체는 하단의 힌지핀(22b)를 기점으로 하여 그 상단이 리어 덕트(12)쪽을 향해 15∼40°각도로 경사진 상태에서 연장 덕트(8)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제2 밀폐게이트(2b)는 연장 덕트(8)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무게 중심이 개방되려는 쪽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상기 제2 밀폐게이트(2b)를 견인와이어(9)가 당기고 있는 상태에서는 제2 밀폐게이트(2b)가 연장 덕트(8)를 폐쇄하고 있게 되지만 상기 견인와이어(9)의 당김력이 작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제2 밀폐게이트(2b)는 자중에 의해 스스로 개방작동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왕복작동체(7)가 리어 덕트(12)쪽으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견인와이어(9)를 놓아주는 상태가 되므로 상기 제2 밀폐게이트(2b) 자체는 자중에 의하여 개방작동을 개시하게 되며, 상기 왕복이동체(7)가 리어 덕트(12)쪽으로 완전히 이동하였을 때에는 제2 밀폐게이트(2b)도 개방작동을 완료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왕복작동체(7)가 리어 덕트(12)쪽으로의 이동을 완료한 상태가 되면 제1 및 제2 밀폐게이트(2a)(2b)는 완전히 개방된 상태가 되며, 이와 같이 개방되어 있는 제1 및 제2 밀폐게이트(2a)(2b)를 폐쇄작동시키는 작동은, 전술한 싱글 밀폐게이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모터(5)가 상기한 제1 및 제2 밀폐게이트를 개방작동시킬 때와는 반대방향(정방향)으로 구동하게 되면 더블 타이밍풀리(51)에 대칭상으로 연결된 두개의 타이밍벨트(52)에 의하여 회전력을 전달받는 양측 리드스크류축(4)이 동일한 회전속도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왕복작동체(7)는 프런트 덕트(11)쪽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왕복작동체(7)에 연결된 연결링크(71)는 작동링크(6)를 상향으로 회전작동시키는 작동과 고정돌기(72)에 설치된 스프링(84)은 견인와이어(9)를 잡아당기는 작동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므로 상기 작동링크(6)의 자유단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제1 밀폐게이트(2a)와 견인와이어(9)에 연결되어 있는 제2 밀폐게이트(2b) 각각은 동시에 폐쇄작동을 개시하여 인너 덕트(14)와 연장 덕트(8)를 동시 밀폐하게 되는 것이며, 또한 왕복작동체(7)가 리어 덕트(12)쪽으로 이동시킬 때에는 제1 및 제2 밀폐게이트(2a)(2b)들은 똑같이 개방작동을 개시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1 및 제2 밀폐게이트가 설치된 더블 밀폐게이트의 실시예 역시 환기작동 중 수장고의 인접 건물에서 예기치 않은 화재가 발생되어 연기 및 화기 등의 위험인자가 댐퍼(1) 내부로 통해 유입될 경우에는 전술한 싱글 밀폐게이트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프런트 덕트(11)의 요입부(11a)에 설치한 온·습도 감지센서(9a)(9b) 및 연기감지센서(9c)가 상기한 위험인자 또는 수장고 내부의 온·습도와 상이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감지하고 그 신호를 콘트롤장치에 보내어 상기 모터(5)를 구동시켜 제1 및 제2 밀폐게이트(2a)(2b)를 신속하게 폐쇄작동시켜 댐퍼(1)를 이중으로 밀폐할 수 있게 되므로 외부의 위험인자가 수장고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인너 덕트(14) 안쪽에 철판으로 제작된 그릴(17)은 댐퍼를 통해 외부침입자가 침입하지 못하게 하므로서 수장고에 보존되는 문화재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문화재를 수장하고 있는 수장고의 내부를 환기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댐퍼 내부에 단일(Single) 또는 이중(Double)으로 설치되는 밀폐게이트의 밀폐작동이 기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므로서 수장고 내부의 온·습도가 외부로 방출되거나 또는 외부의 공기가 침투하는 현상을 완벽하게 방지하여 수장고 내부의 온·습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져다주며, 또한 환기작동 중 인접 건물에서 예기치 않은 화재가 발생되어 댐퍼로 연기나 화기가 유입될 경우에는 이를 온·습도감지센서 및 연기감지센서가 감지하여 싱글 또는 더블 밀폐게이트가 신속하게 폐쇄작동되어 밀폐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수장고 내부의 온·습도와 상이한 공기의 유입현상을 방지함과 동시 인접 건물의 화재에서 발생된 연기나 열기 등의 위험인자가 수장고 내부로 침투하는 현상을 완벽하게 방지하는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제1 밀 제2의 밀폐게이트의 폐쇄작동시에는 각 밀폐게이트의 계단형 개폐단과 인너 덕트 및 연장 덕트의 개폐단에 설치된 계단형 기밀부재가 덕트용 및 게이트용 가스켓을 감싸 보호하고 있으므로 리어 덕트를 통해 화기가 댐퍼 내부로 진입하게 되더라도 은폐된 상기의 각 가스켓들이 화기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져다주어 수장고에 수장되고 있는 문화재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6)
- 건물의 구획벽면에 매설된 덕트 내부에 날개상으로 설치되어 회전작동으로 상기의 덕트 내부를 개폐하는 환기용 또는 방화용 댐퍼에 있어서,건물의 내·외부를 구획하는 벽면에 매설되며, 상기 벽면 안쪽의 문화재 수장고와 연통하도록 설치되는 덕트와 연결되는 프런트덕트와 상기 구획벽면의 바깥쪽에 노출되는 리어덕트 및 상기 프런트 덕트와 리어 덕트 사이에 밀폐게이트의 개폐작동을 허용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이 큰 미들 덕트가 형성되어 있는 댐퍼와;상기 댐퍼 케이스의 프런트 덕트와 미들 덕트 사이에 형성되며, 내부 중간에는 그릴이 설치된 채 상기 미들 덕트 내측을 향해 연장되어 제1 밀페게이트에 의하여 개폐되는 인너 덕트와;상기 인너 덕트의 상부 프레임 양쪽과 상부 프레임과 마주하는 반대쪽 미들 덕트 내부 상단에 부착된 지지프레임 중앙에 고정 설치되는 동력원인 모터와;상기 인너 덕트의 상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 각각의 양측에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되는 베어링 하우징에 회전가능하도록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상기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리드스크류축과;상기 인너 덕트의 하부 프레임에 회전작동이 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상기 미들 덕트 내부로 연장된 인너 덕트의 개폐단 개폐하는 제1 밀폐게이트와;상기 지지프레임 양측에 부착된 고정브라켓 각각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 밀폐게이트의 힌지브라켓에서 돌출되는 베어링축을 수용하는 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작동링크와;상기 리드스크류축을 감싸도록 나사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리드스크류축이 정·역방향으로 회전작동함에 따라 양쪽으로 왕복이동하는 왕복작동체와;상기 작동링크와 왕복작동체 각각을 연결하며, 상기 왕복작동체가 왕복이동함에 따라 상기 작동링크를 상,하로 회전운동시켜 제1 밀폐게이트를 개폐작동시키는 연결링크;를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화재 수장고용 기밀방화댐퍼.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댐퍼 케이스의 미들 덕트를 리어 덕트 쪽으로 연장시킨 연장부의 내부공간에 수직프레임과 상,하부프레임 및 양측프레임으로 형성되는 연장 덕트에 제2 밀폐게이트를 개폐가능하게 설치하는 구조로서 상기 제2 밀폐게이트는 제1 밀폐게이트와 함께 댐퍼 내부를 이중으로 개폐하는 이중 밀폐게이트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화재 수장고용 기밀방화댐퍼.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리드스크류축에 설치된 왕복작동체 각각에 일단이 고정 부착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자유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견인와이어의 타단을 상기 미들 덕트의 연장부 상단에 횡설된 축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축착된 견인로울러와 상기 연장 덕트의 양측프레임 양쪽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가이드로울러를 거쳐 상기 제2 밀폐게이트의 양측에 연결하는 구조로서 상기 왕복작동체가 리드스크류축을 타고 좌,우로 왕복이동하면서 제1 밀폐게이트와 제2 밀폐게이트도 함께 개폐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화재 수장고용 기밀방화댐퍼.
-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인너 덕트 및 연장 덕트의 개폐단에 계단형 기밀부재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제1 및 제2 밀폐게이트 각각의 개폐단은 상기 계단형 기밀부재와 대칭상태로 합치되는 계단형으로 형성하여 상기 각 밀폐게이트의 폐쇄작동시 서로 접촉하여 기밀작용을 하는 덕트용 가스켓과 게이트용 가스켓들이 상기 계단형 기밀부재와 계단형 개폐단에 의해 은폐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화재 수장고용 기밀방화댐퍼.
-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제1 및 제2 밀폐게이트는 내부가 빈 철판구조물로 제작한 다음 상기 철판구조물 내부에 내화성능을 강화하는 기능을 갖는 내화재를 충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화재 수장고용 기밀방화댐퍼.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인너 덕트의 내부에 철판으로 제작되어 외부의 침입자의 침입을 방지하는 그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화재 수장고용 기밀방화댐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03033A KR100315214B1 (ko) | 2000-01-22 | 2000-01-22 | 문화재 수장고용 기밀방화댐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03033A KR100315214B1 (ko) | 2000-01-22 | 2000-01-22 | 문화재 수장고용 기밀방화댐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73868A true KR20010073868A (ko) | 2001-08-03 |
KR100315214B1 KR100315214B1 (ko) | 2001-11-26 |
Family
ID=19640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03033A KR100315214B1 (ko) | 2000-01-22 | 2000-01-22 | 문화재 수장고용 기밀방화댐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315214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659057A (zh) * | 2019-02-01 | 2019-04-19 | 中国原子能科学研究院 | 具备放射性包容的研究堆密封厂房及封闷方法 |
KR102223143B1 (ko) * | 2020-08-27 | 2021-03-05 | (주)월드에너지 | 배기가스 흡수 냉동기용 열원 차단 밸브 |
-
2000
- 2000-01-22 KR KR1020000003033A patent/KR10031521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659057A (zh) * | 2019-02-01 | 2019-04-19 | 中国原子能科学研究院 | 具备放射性包容的研究堆密封厂房及封闷方法 |
KR102223143B1 (ko) * | 2020-08-27 | 2021-03-05 | (주)월드에너지 | 배기가스 흡수 냉동기용 열원 차단 밸브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315214B1 (ko) | 2001-11-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97891B1 (ko) | 수막형성 방화문틀 및 그 시공방법 | |
KR102055095B1 (ko) | 방화구획시스템 | |
KR100315214B1 (ko) | 문화재 수장고용 기밀방화댐퍼 | |
KR20050007868A (ko) | 문화재 수장고용 기밀방화댐퍼 | |
KR200428452Y1 (ko) | 방화 스크린 장치 | |
KR20060116144A (ko) | 도어의 열림각을 조정 및 제어할 수 있는 경첩 | |
JPH0626265A (ja) | 扉の開閉装置 | |
KR101511607B1 (ko) | 가정용 방화스크린의 개폐장치 | |
JPH11200722A (ja) | 通風機能付きドア | |
KR200391475Y1 (ko) | 도어의 열림각을 조정 및 제어할 수 있는 경첩 | |
KR101893348B1 (ko) | 차압조절장치를 구비하는 방화문 | |
KR100717137B1 (ko) | 방화셔터의 비상도어 구조 | |
KR200300570Y1 (ko) | 방화용 셔터에 설치되는 비상탈출문의 처짐방지장치 | |
JP2003120141A (ja) | 防火扉 | |
JP6204402B2 (ja) | 室内設備の冠水を防止する防火扉 | |
JP4334257B2 (ja) | 開閉体装置 | |
KR101591231B1 (ko) | 대피공간이 형성되는 비상문 | |
KR0120468Y1 (ko) | 방화셔터의 비상문 경첩 | |
KR20140121773A (ko) | 수막형성 방화문틀 및 그 시공방법 | |
KR200154820Y1 (ko) | 비상구 일체형의 방화셔터 | |
JP7565596B2 (ja) | 防火戸 | |
JP3491594B2 (ja) | ダンパ機能付き屋外フード | |
KR102478625B1 (ko) | 방화 개폐 장치 | |
EP1288390A1 (en) | Safety device for opening in slanting roofs | |
KR0124251Y1 (ko) | 비상구 일체형의 방화 셔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1102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