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1773A - 수막형성 방화문틀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수막형성 방화문틀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21773A KR20140121773A KR20140033894A KR20140033894A KR20140121773A KR 20140121773 A KR20140121773 A KR 20140121773A KR 20140033894 A KR20140033894 A KR 20140033894A KR 20140033894 A KR20140033894 A KR 20140033894A KR 20140121773 A KR20140121773 A KR 2014012177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cover
- water
- door frame
- fra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이 있는 화장실에 수막형성 방화문틀을 설치하여 화재시 화염과 유독가스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인명을 구조할 수 있는 대피공간의 수막형성 방화문틀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문틀을 덮도록 설치되는 수막형성 방화문틀로서, 가문틀의 일측면 단부 덮는 측면커버부 및 가문틀의 상면을 덮는 상면커버부로 형성되는 제1단부커버부와, 상기 상면커버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문짝수용부와, 상기 문짝수용부의 측부에서 상방으로 단차지도록 형성되는 문짝지지부와, 상기 문짝지지부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가문틀의 대향 측면 단부를 덮는 측면커버부 및 가문틀의 대향 측면 상면을 덮는 상면커버부로 형성되는 제2단부커버부를 구비하며, 상기 문짝지지부의 내부에는 폐쇄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제1물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물수용부의 저면에는 문짝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1노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문틀을 덮도록 설치되는 수막형성 방화문틀로서, 가문틀의 일측면 단부 덮는 측면커버부 및 가문틀의 상면을 덮는 상면커버부로 형성되는 제1단부커버부와, 상기 상면커버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문짝수용부와, 상기 문짝수용부의 측부에서 상방으로 단차지도록 형성되는 문짝지지부와, 상기 문짝지지부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가문틀의 대향 측면 단부를 덮는 측면커버부 및 가문틀의 대향 측면 상면을 덮는 상면커버부로 형성되는 제2단부커버부를 구비하며, 상기 문짝지지부의 내부에는 폐쇄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제1물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물수용부의 저면에는 문짝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1노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막형성 방화문틀 및 그 시공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주택등 모든 건축물의 공사시 예를 들어 세대 화장실 등과 같이 물이 있고 가연성 소재가 없는 공간에 수막형성 방화문틀을 설치하여 화재시에 화염과 유독가스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급기장치와 살수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장애자나 노약자를 비롯 인명을 구제할 수 있는 수막형성 방화문틀에 대한 것이다.
근래, 아파트와 주상복합건물 등이 고층화 추세로 많이 건축되고 있다.
그러나, 고층아파트와 고층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소방차의 고가사다리도 화재진압을 위해 접근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최근 고층건물에는 화재시 대피구역을 별도로 설정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규정이 제정되기 이전에 건축된 고층 아파트나 건물에는 이 규제가 적용되지 않아 고층임에도 불구하고 대피소가 정해져 있지 않아 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규정에 따라 대피소가 설치된 건물이라 하더라도 실내의 건축자재가 대부분 가연성 소재로 이루어져 화염에 쉽게 연소되어 불길에 휩싸이게 되므로 실내에서 탈출하여 대피소로 이동하기조차도 어려움이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실용 20-0331768에서는 합판 사이에 불연시트를 삽입하는 목재로 이루어진 방화도어가 개시되어 있다.
방화도어의 경우 화염에 대한 내화성 측면에서는 유효하나 유독가스에 대한 내밀성에 대해서는 여전히 취약하여 문제점으로 남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설치가 용이하며 화재시 화염을 방어하고 유독가스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밀성능을 가지는 수막형성 방화문틀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문틀을 덮도록 설치되는 수막형성 방화문틀로서, 가문틀의 일측면 단부 덮는 측면커버부 및 가문틀의 상면을 덮는 상면커버부로 형성되는 제1단부커버부와, 상기 상면커버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문짝수용부와, 상기 문짝수용부의 측부에서 상방으로 단차지도록 형성되는 문짝지지부와, 상기 문짝지지부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가문틀의 대향 측면 단부를 덮는 측면커버부 및 가문틀의 대향 측면 상면을 덮는 상면커버부로 형성되는 제2단부커버부를 구비하며, 상기 문짝지지부의 내부에는 폐쇄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제1물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물수용부의 저면에는 문짝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1노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문틀을 덮도록 설치되는 수막형성 방화문틀로서, 가문틀의 일측 단부를 덮도록 고정되는 제1커버와, 가문틀의 대향 타측 단부를 덮도록 고정되는 제2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제1커버는, 가문틀의 일측 단부의 측면을 덮는 측면커버부 및 가문틀의 일측 단부의 상면을 덮는 상면커버부로 이루어지는 제1단부커버부로 형성되고, 상기 제2커버는, 상기 상면커버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문짝수용부와, 상기 문짝수용부의 측부에서 상방으로 단차지도록 형성되는 문짝지지부와, 상기 문짝지지부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가문틀의 대향 측면 단부를 덮는 측면커버부 및 가문틀의 대향 측면 상면을 덮는 상면커버부로 형성되는 제2단부커버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문짝지지부의 내부에는 폐쇄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제1물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물수용부 저면에는 문짝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1노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문틀을 덮도록 설치되는 수막형성 방화문틀로서, 가문틀의 일측 단부를 덮도록 고정되는 제1단부커버와, 상기 제1커버를 덮도록 고정되는 중앙커버와, 상기 중앙커버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가문틀의 대향 타측 단부를 덮도록 고정되는 제2단부커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단부커버는, 가문틀의 일측 단부의 측면을 덮는 측면커버부 및 가문틀의 일측 단부의 상면을 덮는 상면커버부로 이루어지는 제1단부커버부로 형성되고, 상기 중앙커버는, 상기 상면커버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문짝수용부와, 상기 문짝수용부의 측부에서 상방으로 단차지도록 형성되는 문짝지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단부커버는, 가문틀의 대향 타측 단부의 측면을 덮는 측면커버부 및 가문틀의 일측 단부의 상면을 덮는 상면커버부로 이루어지는 제2단부커버부로 형성되며, 상기 문짝지지부의 내부에는 폐쇄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제1물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물수용부 저면에는 문짝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1노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막형성 방화문틀에서, 상기 단부커버부와, 문짝수용부, 문짝지지부가 모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막형성 방화문틀에서, 상기 제1단부커버부의 수평으로 연장된 상면커버부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문짝지지부의 상단부에 제1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막형성 방화문틀에서, 상기 제1단부커버부의 수평으로 연장된 상면커버부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문짝지지부의 상단부에 제1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단부커버부의 수평으로 연장된 상면커버부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문짝수용부의 상단부에 제2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막형성 방화문틀에서, 상기 문짝지지부에서 상기 문짝수용부에 인접한 단차진 단부에는 가스켓을 수용하기 위한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막형성 방화문틀에서, 상기 제1물수용부에는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로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막형성 방화문틀에서, 상기 수로에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가 조절되는 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막형성 방화문틀에서, 상기 제1단부커버부 내측방향으로 가문틀에 요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1단부커버부에는 상기 요홈에 수용되며 내부가 폐쇄공간으로 형성되는 제2물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물수용부의 저면에는 문짝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2노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막형성 방화문틀은, 일측 단부에 문짝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문짝수용부와,상기 문짝수용부에 대해 상방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문짝지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문짝지지부의 내부에는 폐쇄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제1물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물수용부의 저면에는 문짝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1노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막형성 방화문틀 시공방법에서는 수막형성 방화문틀의 문짝의 상단부 및 측단부의 어느 일방이나 양방에 수막형성 방화문틀을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막형성 방화문틀 시공방법에서는, 문짝의 측단부에 시공되는 수막형성 방화문틀의 제1노즐의 중심선의 연장선이 문짝의 상부에 시공되는 수막형성 방화문틀의 제1노즐의 중심선의 연장선과 서로 교차하도록 수막형성 방화문틀을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막형성 방화문틀 시스템에서, 상기 수막형성 방화문틀이 설치된 공간에는 급기장치가 추가로 설치되고, 상기 급기장치는, 외부공기를 유입하여 상기 공간으로 공급하기 위한 급기 팬과, 상기 급기 팬을 구동하기 위한 비상 동력부를 구비하며, 상기 급기 팬은 상기 밸브가 개방되는 경우 동시에 작동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막형성 방화문틀은 물이 있는 화장실을 대피공간으로 활용하여 아파트 등모든 건축물에 설치한다. 기존의 주택이나 건축물의 문틀도 개, 보수공사로 기존문틀을 이용하여 수막형성 방화문틀설치가 가능하므로 인명피해를 줄이고 비용과 시간이 절약되는 장점을 가진다.
본 수막형성 방화문틀은 화재발생시에 문틀에서 문짝의 표면에 물을 분사함으로써 분사된 물이 문짝의 아래로 내려가면서 문짝표면에 수막을 형성하여 문짝이 연소되지 않게 함으로 문짝의 연소로 인한 화염과 유독가스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문짝에 분사된 물은 문짝과 문틀 사이의 틈새에도 스며들게 되어 수막을 형성하고, 급기장치와 살수장치로 인하여 외부에서 발생한 유독가스가 틈새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을 가진다.
물 분사구를 문틀의 상부 뿐만 아니라 문틀의 양측 상단부에도 설치하여 문짝의 상단부 모서리부분에도 물 분사로 문짝의 내화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수막형성 방화문틀에는 가스켓이 부착되어있어서 평상시에는 문짝의 충격음을 흡수하고, 화재시에는 기밀을 형성하여 유독가스의 유입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한편, 문짝의 외측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문짝의 내측에도 제2물수용부가 설치되어 물을 분사할 수 있는 구조로서 문짝의 내, 외측에 모두 수막을 형성시켜 방화성능을 더욱 개선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기술의 특성은 방화문틀자체의 구조가 물을 저장하는 역할을 하므로 별도의 물을 저장하는 물배관공사가 필요치 않아 비용절감과 공사의 편리성을 가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수막형성 방화문틀의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수막형성 방화문틀와 수로의 연결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수막형성 방화문틀의 작용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수막형성 방화문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수막형성 방화문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수막형성 방화문틀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 는 본 발명의 수막형성 방화문틀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수막형성 방화문틀의 제2실시예의 다른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 은 본 발명의 수막형성 방화문틀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수막형성 방화문틀의 제4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수막형성 방화문틀와 수로의 연결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수막형성 방화문틀의 작용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수막형성 방화문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수막형성 방화문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수막형성 방화문틀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 는 본 발명의 수막형성 방화문틀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수막형성 방화문틀의 제2실시예의 다른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 은 본 발명의 수막형성 방화문틀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수막형성 방화문틀의 제4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1 은 본 발명의 수막형성 방화문틀의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수막형성 방화문틀(10)은 목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실시예는 제1단부커버부(100)와, 문짝수용부(200)와, 문짝지지부(300), 및 제2단부커버부(400)가 일체로 구성되는 경우이다.
제1단부커버부(100)는 가문틀(F)의 측면 단부를 덮는 측면커버부(110) 및 가문틀(1000)의 상면을 덮는 상면커버부(120)로 형성되며, 가문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다.
상면커버부(120)의 내측으로는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문짝수용부(200)가 형성된다.
문짝수용부(200)는 문짝(D)의 측단부나 상단부를 지지 및 수용하는 작용을 한다.
문짝수용부(200)의 측부에는 상방으로 단차지도록 문짝지지부(300)가 형성된다.
문짝지지부(300)의 내부에는 폐쇄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제1물수용부(310)가 형성되어 있다. 제1물수용부(310)의 양측 단부는 물을 수용하기 위해 폐쇄된 형태로 형성된다.
제1물수용부(310)의 하측 저면부에는 문짝을 향하는 방향으로 관통되는 형태의 제1노즐(320)이 형성되어 있다.
문짝지지부(300)에서 문짝수용부(200)에 인접한 단차진 측면에는 가스켓(500)의 삽입을 위한 요홈(330)이 형성되어 있다.
문짝지지부(300)에 인접하여 제2단부커버부(400)가 형성되며, 가문틀(F)의 측면 단부를 덮는 측면커버부(410) 및 가문틀(1000)의 상면을 덮는 상면커버부(420)로 형성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수막형성 방화문틀과 수로의 연결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1물수용부(310)의 측부나 상부에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로(600)가 연결되며, 수로(600)에는 밸브(610)가 설치된다.
밸브(610)는 수동조작되거나 또는 건물 내의 화재감시센서(미도시) 등을 통해 자동조작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수막형성 방화문틀은 화장실에 설치하는데 그 이유는 화장실은 환기시설이 있어서 유독가스 배출에 비교적 용이하고 물이 있으므로 화재에 대한 대비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수막형성 방화문틀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수막형성 방화문틀의 작용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제어부(700)에서 수동조작 또는 건물에 설치된 화재감지센서(710)에 의해 자동으로 밸브(610)가 개방된다.
밸브(610)가 개방되면 수로(600)를 통해 물이 제1물수용부(310)로 유입되어 복수의 제1노즐(320)를 통해 문짝을 향해 분사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제1노즐(320)에서 분사되는 물은 문짝의 상부로 분사되므로 문짝을 따라 흘러 내리면서 문짝 전체에 걸쳐 수막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문짝에 형성된 수막으로 인해 문짝이 연소되는 것이 방지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문짝에 분사된 물은 문짝을 따라 흐르면서 문짝과 수막형성 방화문틀(10) 사이의 틈새에도 스며들어 기밀을 형성하여 유독가스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수막형성 방화문틀(10)에서는 가스켓(500)이 형성되어 있는 바, 평소에는 문짝의 충격을 완충하는 작용을 하게 되며, 화재시에는 틈새로 스며들어 형성된 수막이 유독가스가 틈새를 통해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이중적으로 방지되는 작용을 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방화문틀 자체의 구조에서 제1물수용부(310)가 물을 저장하는 역할을 하므로 별도의 물을 저장하는 물배관공사가 필요치 않아 비용절감과 공사의 편리성을 가진다.
도 4 는 본 발명의 수막형성 방화문틀의 다른 실시예의 작용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수막형성 방화문틀이 문짝의 상단부에만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문짝의 측단부에도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수막형성 방화문틀이 문짝의 상단부에만 설치되는 경우 문짝의 상단부의 중앙에서는 양측으로 이웃하는 제1노즐(320)에서 분사되는 물이 서로 충돌하면서 튀게 되어 문짝의 표면에 수막이 형성되므로 내화성에서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문짝의 상단부의 양 모서리부(a)에서는 문짝의 중앙측으로만 제1노즐(320)이 존재하고 문짝의 단부측으로는 제1노즐(320)이 존재하지 않아 물분사가 충분하지 못하게 되어 내화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문짝의 측단부에도 수막형성 방화문틀(10)을 설치하는 경우 측단부의 수막형성 방화문틀(10)에서 분사되는 물과 문짝의 상단부에서 분사되는 물이 서로 충돌하여 튀게 되어 문짝의 상단부 모서리(a)에도 물이 공급되어 수막을 형성함으로써 내화성을 가지게 되는 작용을 한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짝의 측단부에 시공되는 수막형성 방화문틀의 제1노즐(320)의 중심선의 연장선이 문짝의 상부에 시공되는 수막형성 방화문틀의 제1노즐(320)의 중심선의 연장선과 서로 교차하도록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할 경우 문짝의 상단부 수막형성 방화문틀의 노즐(320)에서 분사된 물과 문짝의 측단부 수막형성 방화문틀의 노즐(320)에서 분사된 물의 충돌작용이 더욱 활발하게 되어 문짝의 상단부 모서리(a)에 대한 냉각효과가 더욱 확실하게 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수막형성 방화문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문짝의 외측뿐만 아니라 문짝의 내측에도 수막이 형성되게 할 수 있다.
문짝지지부(300)의 대향단부에서 가문틀(1000)의 내측으로 요홈(1010)을 형성하고, 요홈(1010)을 덮는 제1단부커버부(100)는 상기 요홈(1010)에 수용될 수 있으며 내부에 폐쇄공간으로 형성되는 제2물수용부(130)를 형성한다.
제2물수용부(130)의 저면부에도 문짝을 향하는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제2노즐(140)이 형성되어 있다.
제2물수용부(130)에도 제1물수용부(3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수로(600)를 통해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화재발생시 제1물수용부(310)는 문짝의 외측에 수막을 형성하는 작용을 하며 제2물수용부(130)는 문짝의 내측에 수막을 형성하는 작용을 함으로써 문짝의 내외측에서 수막을 형상하여 내화성능 및 유독가스 기밀작용이 더욱 배가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도 6 은 본 발명의 수막형성 방화문틀이 설치된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수막형성 방화문틀은 세대 화장실과 공간(R)에 설치될 수 있는 데, 이때 외부공기를 공간(R)으로 유입하기 위한 급기장치(80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급기장치(800)는 외부공기를 유입하여 공간(R)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급기 팬(810)과, 상기 급기 팬(810)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공급하는 비상동력부(820)로 이루어진다.
급기 팬(810)은 세대 화장실에 설치된다. 급기 팬(810)은 세대화장실이 외부로 노출된 경우 세대화장실의 창문에 설치하여 외부 공기가 바로 공간(R)으로 유입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세대 화장실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기팬(810)이 세대 화장실에 설치되기는 하나 세대 화장실이 설치된 건물의 외벽과 급기팬(810)의 사이에 별도의 흡입덕트(830)를 통해 공간(R)으로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급기 팬(810)을 구동하기 위한 비상동력부(820)는 화재나 지진 등의 자연재해로부터 정상적인 전원공급이 중지된 경우에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급기팬(810)의 송풍부에는 복수의 출구(841)를 구비하는 송풍덕트(840)를 추가로 설치하여 공간(R)의 내부에 여러 방향으로 외부공기를 송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화재발생 등으로 인해 제어부(700)를 수동조작 또는 화재감지센서(710)에 의해 밸브(610)가 개방되면, 동시에 제어부(700)에서는 급기팬(810)도 작동시키게 된다.
급기팬(810)의 작동에 의해 외부 공기가 공간(R)의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공간(R) 내부의 압력이 증가되는 바, 화재발생에 의해 공간(R)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유입되려는 유해가스의 유입이 차단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문짝과 문틀 사이로 외부 유해가스가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제2실시예]
도 7 는 본 발명의 수막형성 방화문틀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일체로 형성되는 제1실시예의 경우와 달리 수막형성 방화문틀이 2개의 커버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즉, 제2실시예의 수막형성 방화문틀(10)은 제1단부 가문틀의 일측 단부를 덮도록 고정되는 제1커버(20)와, 가문틀의 대향 타측 단부를 덮도록 고정되는 제2커버(30)로 이루어진다.
제1커버(20)는 제1실시예의 제1단부커버부(100)와 동일한 구성이며 다만 상면커버부(120)가 제1실시예의 경우보다 더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점만이 상이하다.
제2커버(30)는 제1실시예의 문짝수용부(200)와, 문짝지지부(300), 및 제2단부커버부(400)가 일체로 형성된다.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제1커버(20)의 상면커버부(120)를 수용하기 위해 문짝지지부(200)의 상단부에서 제1커버(20)측에 제1홈부(210)가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 제1실시예의 경우와 상이하다.
나머지, 문짝지지부(300) 및 제2단부커버부(400)의 구성은 제1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또한, 제1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1물수용부(310)의 단부에는 수로(600)가 연결되며, 수로(600)에는 밸브(610)가 설치된다.
제1실시예에서의 살수를 통한 문짝연소방지 및 유독가스유입방지 작용효과도 동일하다.
제1실시예와 다른 작용효과로서, 제1실시예의 경우 가문틀의 폭이 상이한 경우 폭의 크기에 따라 수막형성 방화문틀을 제작하여야 하는 반면, 제2실시예의 경우에는 2개의 커버로 형성되므로 가문틀의 폭이 상이한 경우에도 동일한 제품으로 설치되는 폭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설치가 가능하게 되는 바, 별도의 폭 치수를 가지는 수막형성 방화문틀을 제작하지 않아도 되는 점이 상이하다.
도 8 은 본 발명의 수막형성 방화문틀의 제2실시예의 다른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 은 수막형성 방화문틀이 2개로 형성되면서 도 5 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문짝의 내부 및 외부에 모두 물분사부가 형성된 경우에 대한 것이다.
즉, 문짝지지부(300)의 대향단부에서 가문틀(1000)의 내측으로 요홈(1010)을 형성하고, 요홈(1010)을 덮는 제1커버(20)는 상기 요홈(1010)에 수용될 수 있으며 내부에 폐쇄공간으로 형성되는 제2물수용부(130)를 형성한다.
제2물수용부(130)의 저면부에도 문짝을 향하는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제2노즐(140)이 형성되어 있다.
제2물수용부(130)에도 제1물수용부(3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수로(600)를 통해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작용효과도 도 5 의 실시예 경우와 마찬가지로 화재발생시 제1물수용부(310)는 문짝의 외측에 수막을 형성하는 작용을 하며 제2물수용부(130)는 문짝의 내측에 수막을 형성하는 작용을 함으로써 문짝의 내외측에서 수막을 형상하여 내화성능 및 유독가스 기밀작용이 더욱 배가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제3실시예]
도 9 은 본 발명의 수막형성 방화문틀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제2실시예의 제2커버(30)에서 제2단부커버부(400)가 별개로 형성됨으로써 수막형성 방화문틀이 3개의 커버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제3실시예의 수막형성 방화문틀(10)은 가문틀의 일측 단부를 덮도록 고정되는 제1단부커버(40), 중앙커버(50), 및 가문틀의 대향 타측 단부를 덮도록 고정되는 제2단부커버(60)로 이루어진다.
제1단부커버(40)는 제2실시예의 제1커버(20)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중앙커버(50)는 문짝수용부(200) 및 문짝지지부(300)만으로 이루어지며 제2실시예의 경우와 달리 제2단부커버부(400)는 포함되지 않는다.
제3실시예에서 중앙커버(50)의 문짝수용부(200)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제1단부커버(40)의 상면커버부(120)를 수용하기 위해 문짝지지부(200)의 상단부에서 제1단부커버(40)측에 제1홈부(210)가 형성되어 있다는 점은 제2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제2단부커버부(60)는 제2실시예에서 제2단부커버부(400)가 분리되어 형성된 구성인데 상면커버부(420)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중앙커버(50)의 문짝수용부(200)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제2단부커버(60)의 상면커버부(420)를 수용하기 위해 문짝지지부(200)의 상단부에서 제2단부커버(60)측에 제2홈부(340)가 형성되어 있다.
나머지, 문짝지지부(300)의 내부에 물을 수용하기 위한 제1물수용부(310)가 폐쇄된 형태로 형성되고, 제1물수용부(310)에 문짝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1노즐(320)이 형성되는 구성은 제1,2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또한, 제1,2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문짝지지부(300)에서 문짝수용부(200)에 인접한 단차진 측면에는 가스켓(500)의 삽입을 위한 요홈(33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2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1물수용부(310)의 단부에는 수로(600)가 연결되며, 수로(600)에는 밸브(610)가 설치된다.
살수를 통한 문짝연소방지 및 유독가스유입방지 작용효과도 제1,2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3개의 커버로 수막형성 방화문틀을 형성하는 제3실시예는 2개의 커버로 수막형성 방화문틀을 형성하는 제2실시예에 비해 가문틀의 폭이 더 큰 경우에도 적용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제4실시예]
도 10 은 본 발명의 수막형성 방화문틀의 제4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는 문짝이 문틀의 단부에 설치되는 경우로서, 문틀의 배면공간을 물 수용부로 활용하여 문틀에서 문짝으로 물이 분사되도록 노즐을 형성하여 수막형성 방화문틀로 사용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라는 점에서, 문짝이 문틀의 중앙에 설치되며 수막형성 방화문틀이 가 문틀에 설치되는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와 실시예가 상이하다.
제4실시예의 수막형성 방화문틀은 가문틀 자체를 문짝수용부(200)와 문짝지지부(300)로 이루어지도록 형성한다.
문짝수용부(200)는 문짝(D)의 측단부나 상단부를 지지 및 수용하는 작용을 한다.
문짝수용부(200)의 측부에는 상방으로 단차지도록 문짝지지부(300)가 형성된다. 문짝지지부(300)의 내부에는 폐쇄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제1물수용부(310)가 형성되어 있다. 제1물수용부(310)의 양측 단부는 물을 수용하기 위해 폐쇄된 형태로 형성된다.
제1물탱크 수용부(310)의 하측 저면부에는 문짝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1노즐(320)이 형성되어 있다.
밸브(610)가 설치된 수로(600)를 제1물수용부(310)에 연결하는 구성은 제1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제4실시예에서도 제1실시예에서의 살수를 통한 문짝연소방지 및 유독가스유입방지 작용효과는 동일하다.
제4실시예의 경우 내부가 채워진 가문틀의 내부에 중공형상을 형성함으로써 무게 및 재료절감을 도모하는 동시에 이러한 중공공간을 폐쇄형상으로 형성하여 물수용부로 활용하는 데 장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4실시예에서도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문짝의 측부에 수막형성 방화문틀을 형성하여 문짝의 상단모서리부에 대한 내화성을 확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3실시예에서도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단부커버부에 문짝지지부(300)의 대향단부에서 가문틀(1000)의 내측에 형성된 요홈(1010)에 삽입되도록 단부커버부(100)에 제2물수용부(130)의 구성을 형성함으로써, 문짝의 내측 및 외측에 모두 수막을 형성하는 작용도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는 수막형성 방화문틀을 1개 내지 3개로 형성하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직접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4개나 그 이상의 복수의 커버로 형성되는 경우도 본 발명과 동일한 작용효과를 가지는 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수막형성 방화문틀 20:제1커버
30:제2커버 40:제1단부커버
50:중앙커버 60:제2단부커버
100:제1단부커버부 200:문짝수용부
300:문짝지지부 400:제2단부커버부
30:제2커버 40:제1단부커버
50:중앙커버 60:제2단부커버
100:제1단부커버부 200:문짝수용부
300:문짝지지부 400:제2단부커버부
Claims (14)
- 가문틀을 덮도록 설치되는 수막형성 방화문틀로서,
가문틀의 일측면 단부 덮는 측면커버부 및 가문틀의 상면을 덮는 상면커버부로 형성되는 제1단부커버부와,
상기 상면커버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문짝수용부와,
상기 문짝수용부의 측부에서 상방으로 단차지도록 형성되는 문짝지지부와,
상기 문짝지지부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가문틀의 대향 측면 단부를 덮는 측면커버부 및 가문틀의 대향 측면 상면을 덮는 상면커버부로 형성되는 제2단부커버부를 구비하며,
상기 문짝지지부의 내부에는 폐쇄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제1물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물수용부의 저면에는 문짝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1노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막형성 방화문틀. - 가문틀을 덮도록 설치되는 수막형성 방화문틀로서,
가문틀의 일측 단부를 덮도록 고정되는 제1커버와,
가문틀의 대향 타측 단부를 덮도록 고정되는 제2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제1커버는,
가문틀의 일측 단부의 측면을 덮는 측면커버부 및 가문틀의 일측 단부의 상면을 덮는 상면커버부로 이루어지는 제1단부커버부로 형성되고,
상기 제2커버는,
상기 상면커버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문짝수용부와,
상기 문짝수용부의 측부에서 상방으로 단차지도록 형성되는 문짝지지부와,
상기 문짝지지부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가문틀의 대향 측면 단부를 덮는 측면커버부 및 가문틀의 대향 측면 상면을 덮는 상면커버부로 형성되는 제2단부커버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문짝지지부의 내부에는 폐쇄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제1물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물수용부 저면에는 문짝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1노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막형성 방화문틀. - 가문틀을 덮도록 설치되는 수막형성 방화문틀로서,
가문틀의 일측 단부를 덮도록 고정되는 제1단부커버와,
상기 제1커버를 덮도록 고정되는 중앙커버와,
상기 중앙커버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가문틀의 대향 타측 단부를 덮도록 고정되는 제2단부커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단부커버는,
가문틀의 일측 단부의 측면을 덮는 측면커버부 및 가문틀의 일측 단부의 상면을 덮는 상면커버부로 이루어지는 제1단부커버부로 형성되고,
상기 중앙커버는,
상기 상면커버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문짝수용부와,
상기 문짝수용부의 측부에서 상방으로 단차지도록 형성되는 문짝지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단부커버는,
가문틀의 대향 타측 단부의 측면을 덮는 측면커버부 및 가문틀의 일측 단부의 상면을 덮는 상면커버부로 이루어지는 제2단부커버부로 형성되며,
상기 문짝지지부의 내부에는 폐쇄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제1물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물수용부 저면에는 문짝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1노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막형성 방화문틀. -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단부커버부와, 문짝수용부, 문짝지지부가 모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막형성 방화문틀. -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제1단부커버부의 수평으로 연장된 상면커버부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문짝지지부의 상단부에 제1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막형성 방화문틀. -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제1단부커버부의 수평으로 연장된 상면커버부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문짝지지부의 상단부에 제1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단부커버부의 수평으로 연장된 상면커버부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문짝수용부의 상단부에 제2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막형성 방화문틀. -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문짝지지부에서 상기 문짝수용부에 인접한 단차진 단부에는 가스켓을 수용하기 위한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막형성 방화문틀. -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물수용부에는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로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막형성 방화문틀. - 청구항 8 에 있어서,
상기 수로에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가 조절되는 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막형성 방화문틀. -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부커버부 내측방향으로 가문틀에 요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1단부커버부에는 상기 요홈에 수용되며 내부가 폐쇄공간으로 형성되는 제2물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물수용부의 저면에는 문짝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2노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막형성 방화문틀. - 일측 단부에 문짝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문짝수용부와,
상기 문짝수용부에 대해 상방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문짝지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문짝지지부의 내부에는 폐쇄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제1물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물수용부의 저면에는 문짝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1노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막형성 방화문틀. -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막형성 방화문틀을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수막형성 방화문틀의 문짝의 상단부 및 측단부의 어느 일방이나 양방에 수막형성 방화문틀을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막형성 방화문틀 시공방법. - 청구항 12 에 있어서,
문짝의 측단부에 시공되는 수막형성 방화문틀의 제1노즐의 중심선의 연장선이 문짝의 상부에 시공되는 수막형성 방화문틀의 제1노즐의 중심선의 연장선과 서로 교차하도록 수막형성 방화문틀을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막형성 방화문틀 시공방법. - 청구항 9 에 기재된 수막형성 방화문틀을 포함하는 수막형성 방화문틀 시스템으로서,
상기 수막형성 방화문틀이 설치된 공간에는 급기장치가 추가로 설치되고,
상기 급기장치는,
외부공기를 유입하여 상기 공간으로 공급하기 위한 급기 팬과,
상기 급기 팬을 구동하기 위한 비상 동력부를 구비하며,
상기 급기 팬은 상기 밸브가 개방되는 경우 동시에 작동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막형성 방화문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33537 | 2013-03-28 | ||
KR20130033537 | 2013-03-2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21773A true KR20140121773A (ko) | 2014-10-16 |
KR101597890B1 KR101597890B1 (ko) | 2016-02-25 |
Family
ID=51993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33894A KR101597890B1 (ko) | 2013-03-28 | 2014-03-24 | 수막형성 방화문틀 및 그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97890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075710A (zh) * | 2022-07-15 | 2022-09-20 | 江苏凯奥净化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具有应急填充保护的防火门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63178B1 (ko) | 2019-12-05 | 2021-06-10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노유자 거주공간의 화재대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대피 방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61842A (ja) * | 1999-12-06 | 2001-06-19 | Kajima Corp | 排煙システム併用火災煙制御装置 |
KR200417461Y1 (ko) * | 2006-03-17 | 2006-05-29 | 박동섭 | 문틀 커버 |
KR20100079313A (ko) * | 2008-12-31 | 2010-07-08 | (주) 에이에이치씨 시스템창 | 화재시 유리창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창호 냉각장치 |
-
2014
- 2014-03-24 KR KR1020140033894A patent/KR10159789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61842A (ja) * | 1999-12-06 | 2001-06-19 | Kajima Corp | 排煙システム併用火災煙制御装置 |
KR200417461Y1 (ko) * | 2006-03-17 | 2006-05-29 | 박동섭 | 문틀 커버 |
KR20100079313A (ko) * | 2008-12-31 | 2010-07-08 | (주) 에이에이치씨 시스템창 | 화재시 유리창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창호 냉각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075710A (zh) * | 2022-07-15 | 2022-09-20 | 江苏凯奥净化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具有应急填充保护的防火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97890B1 (ko) | 2016-02-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97891B1 (ko) | 수막형성 방화문틀 및 그 시공방법 | |
KR102026629B1 (ko) | 건축물의 층간 화재 확산 차단장치 | |
KR100757575B1 (ko) | 창호용 화재 확산방지장치 | |
KR101932622B1 (ko) | 방화문 | |
KR20070071802A (ko) |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방화판 | |
WO2015177874A1 (ja) | 室内設備の冠水を防止する防火扉 | |
KR101597890B1 (ko) | 수막형성 방화문틀 및 그 시공방법 | |
US20150174433A1 (en) | Life-saving system for fire in multi-storey building | |
KR20120120607A (ko) | 배수로를 구비한 바닥 설치형 화재피난장치 | |
KR20110082277A (ko) | 급기가압 제연장치 | |
CN111255288B (zh) | 高层建筑火灾避难安全间 | |
KR20090126972A (ko) | 창호용 방화장치 및 방법 | |
KR102069294B1 (ko) | 건축물의 화재 확산 방지 외벽구조 | |
CN112459681A (zh) | 一种具备阻隔有害气体流通功能的高阻燃钢木质防火门 | |
KR102117090B1 (ko) | 소방용 축전식 배연시스템 | |
KR101511607B1 (ko) | 가정용 방화스크린의 개폐장치 | |
KR101932620B1 (ko) | 차압조절 기능을 갖는 방화문 | |
KR20050119839A (ko) | 방화문 | |
JP3941588B2 (ja) | アトリウムの防災システム | |
JP2019196704A (ja) | 建物 | |
CN214403306U (zh) | 一种具备阻隔有害气体流通功能的高阻燃钢木质防火门 | |
JP2907201B1 (ja) | 中・高層の共同住宅 | |
KR102680369B1 (ko) | 고층 건물의 방화벽 소방층 구조물 | |
KR102504640B1 (ko) | 연소세대의 쉘터용 수막 형성장치 | |
CN218177080U (zh) | 一种安全性高的防火系统门窗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