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2687A - 하네스 요소를 픽업, 고정 및 분배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하네스 요소를 픽업, 고정 및 분배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2687A
KR20010072687A KR1020017001983A KR20017001983A KR20010072687A KR 20010072687 A KR20010072687 A KR 20010072687A KR 1020017001983 A KR1020017001983 A KR 1020017001983A KR 20017001983 A KR20017001983 A KR 20017001983A KR 20010072687 A KR20010072687 A KR 20010072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p wire
piston
drop
harness
pi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1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0341B1 (ko
Inventor
펠릭스 코블러
미카엘 바이벨
레안더 개히터
Original Assignee
추후제출
스타우블리 아게 패피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제출, 스타우블리 아게 패피콘 filed Critical 추후제출
Publication of KR20010072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2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0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03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14Apparatus for threading warp stop-motion droppers, healds, or re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 Auxiliary Weaving Apparatuses, Weavers' Tools, And Shuttles (AREA)
  • Constituent Portions Of Griding Lathes, Driving, Sensing And Control (AREA)
  • Forwarding And Storing Of Filamentary Material (AREA)
  • Structure Of Telephone Exchanges (AREA)
  • Manipulator (AREA)
  • Replacing, Conveying, And Pick-Finding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두 대향되는 고정표면사이에 제직기를 위한 하네스요소(LA, LI), 특히 드롭와이어(LA)를 픽업 및 고정하는 장치(23)에 관한 것으로, 제 1 실린더(28)내에서 움직일 수 있고 제 1 고정표면(24)을 가지는 제 1 피스톤(26)과 제 2 실린더(29)내에서 움직일 수 있고 제 2 고정표면(25)을 가지는 제 2 피스톤(27)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방법은 역시 일치하는 시스템(20)을 가지는 제직기를 위해 하네스 요소 특히 드롭와이어(LA)를 픽업, 고정 및 분배하기 위해 제안되며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헤드로 드롭와이어(LA)를 픽업, 정력, 고정, 이송하는 작업이 수행되고 분배캐리지로 드롭와이어의 이송 및 방출이 수행된다.

Description

하네스 요소를 픽업, 고정 및 분배하는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RECEIVING AND HOLDING OR DISTRIBUTING HARNESS ELEMENTS}
상술한 형태의 드롭와이어는 매거진 내에 다수가 보존되고 예를들어 CH 687 027에 공개된 바와 같이 정경기를 위한 드롭 와이어 분리장치로 도입된다.
상술한 형태의 분리특성은 맨앞의 드롭 와이어가 단순한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잇는 제 2 드롭와이어로부터 멀어지도록 중심영역에서 이동됨으로써 드롭와이어가 구부러지거나 팽창된다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네스 요소의 상단부영역에 형성된 접촉 레일 슬롯을 통하여 상기 드롭와이어의 실 아이(thread eye)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접촉레일슬롯은 하네스 요소 또는 드롭와이어를 이송하거나 매다는 데 사용된다. 제직기에서 사용되는 드롭와이어의 분배를 위한 일반적인 형태의 장치 및 방법으로 예를들어 CH 682 577에 공개된다.
상기 시스템은 분리점에서 상기 드롭와이어를 픽업하고 제 1 단계에서 이들을 드롭와이어를 고정하고 이들을 통경점으로 이송하는 이른바 캐러셀 또는 드로보아이어 분배 모듈(도 3 및 7 참조)에 고정한다. 여기서 실은 드롭와이어의 아이를 통해 통경된다. 이것은 예를들어 CH 679 598에 서술된 통경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 2 단계에서 상기 드롭 와이어들은 통경 사와 함께 분배점으로 이송되고 접촉 레일과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송수단상에 정렬된다.
커로셀의 사용이 유리하고 따라서 정경기의 개별부분사이의 폴트 인터페이스 및 자원의 수가 감소할지라도 상기 커로셀이 잘못된 통경의 위험이 있을 때, 특히 이른바 빠진 반복(skip repeat)이 수행될 때, 즉, 통경된 정경 스레드를 가지는 드롭와이어가 통상 많은 수가 서로 나란히 배치된 이송수단 또는 접촉 레일에 의도된 순서로 분배될 때, 이 경우 빠진 반복은 예를들어 드롭와이어가 1,4,2,5,3,6의 순서로 또는 3,4,2,5,1,6의 순서로 분배되고 예를들어 여기서 여섯 개의 연속되는 순서로 접촉레일이 서로 나란히 배치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의 제 1 특징은 하네스 요소 특히, 정경 기계(정경사 통경기)내의 제직기를 위한 드롭 와이어를 픽업 및 고정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특징은 제직기 내의 배치를 구성하는 운반수단에 상기 하네스 요소들을 분배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CH 682 577에 따른 정경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통경기의 통경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정경기의 부분으로 드롭와이어를 픽업, 고정 및 분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픽업 및 고정 하네스 요소를 위한 장치의 절개도이다.
도 4A는 고정장치가 열리고 펼쳐진 상태이다.
도 4B는 고정장치가 닫히고 펼쳐진 상태이다.
도 4C는 고정장치가 닫히고 접힌 상태이다.
* 부호설명
1: 베이스 프레임 2: 정경 빔 캐리지
3: 정경 빔 4: 상승장치
5: 프레임 6: 분리단계
7: 통경 니들 8: 모니터 스크린
9: 제어 캐비넷 11: 피드레일
12: 운반레일 16: 그리퍼 스트립
17: 클램핑 그리퍼 18: 가이드
19: 단부부분 24,25:고정표면
26,27: 피스톤 29: 실린더
31,31':회복요소 52: 이송점
본 발명의 목적은 드롭 와이어 및 이와 유사한 것이 픽업 및 고정될 수 잇고 상기 빠진 반복이 상기 드롭와이어가 분배되는 통한 관리될 수 잇는 하네스 요소를 가지는 장치 및 방법을 제한하기 것이다.
첫 번째 특징에 따르면, 이것은 청구 범위 제 1항의 특징인 하네스 요소를 픽업 및 고정하는 장치, 특히 두 대향되는 고정표면사이의 제직기를 위한 드롭와이어, 제 1 고정표면을 가지고 제 1 실린더 내에서 움직일 수 있는 제 1 피스톤, 및 제 2 실린더 내에서 움직일 수 있고 제 2 고정표면을 가지는 는 제 2 피스톤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또한 종속항 2 내지 13항에서 나타난다.
두 번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청구항 14항에 따라 하네스 요소를 픽업, 고정 및 분배하기 위해 제안된 방법에 의해 달성되는데 특히 제직기를 위한 드롭와이어는 다음 작동 단계를 포함한다.:
- 분리점에서 드롭 와이어를 픽업하고,
- 특정지점으로 픽업된 드롭와이어를 정렬하고,
- 통경지점으로 드롭와이어를 이송하고,
- 실이 통경되는 동안 드롭와이어를 고정하고,
- 이송지점으로 드롭와이어를 이송한다.;
드롭와이어를 픽업, 고정, 및 이송하기 위하여 청구항 1 내지 8항중 하나 또는 그 이상에 따른 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 15 내지 17항에 나타난다.
다음에서 장치와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형태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고 도면으로 표시된다.
도 1은 정경기를 도시한다. 이것은 각각 구조적인 모듈의 형태로 측면에 배치된 베이스프레임(1) 및 다양한 부조립체들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의 전면에서는 측면에 배치된 정경 빔(3)을 가지는 정경빔 캐리지(2)를 볼 수 있다. 상기 정경 빔 빔 캐리지(3)는 역시 정경사(KF)가 당겨지는 프레임(5)을 고정하는 상승장치(4)를 포함한다.
통경 작업을 위해 정경빔(3)과 상승장치(4)를 가지는 정경 빔 캐리지(2)는 통경기의 이른바 정경측면으로 이동하고 상기 프레임(5)은 상승장치(4)에 의해 위로 올려져서 매달리며 여기서 도시된 위치가 된다.
상기 프레임(5)과 정경빔(3)은 베이스프레임(1)의 세로방향에 배치된다. 이렇게 배치되는 동안 정경사(KF)는 실 분리단계(6)를 지나며 분리되고 나누어진다. 나누어진 뒤 상기 정경사는 잘리고 이른바 통경 모듈의 한 요소를 형성하는 통경 니들(7)로 간다.
데이터 입력과 마찬가지로 통경 니들(7)옆에는 기계 기능 및 기계 폴트 기능을 표시하는 데 사용되고 작동 스테이션에 속하는 모니터 스크린(8)이 보여진다.
상기 작동 스테이션은 이른바 프로그래밍 모듈의 부분이고 또한 특정 기능 및 시퀸스의 수동 입력을 위한 입력 단계를 포함한다. 통경기의 제어는 제어 캐비넷(9)내에 배치되고 제어 컴퓨터를 포함하는 제어 모듈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제어컴퓨터는 각각의 기능 모듈을 위한 개별 모듈러 컴퓨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컴퓨터는 제어 컴퓨터에 의해 제어되고 감시된다.
상술한 모듈에 더하여 통경기의 주모듈은 역시 종광 모듈, 드롭와이어 모듈 및 바디(reed)모듈을 포함한다.
정경사(KF)가 통경 니들(7)로 당겨지는 것을 나타내는 실분리단계(6)와 긴장된 정경사(KF)의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진행하는 통경 니들(7)의 운행통로는 통경기의 이른바 도핑측면으로부터 상술한 정경측면을 분리하는 평면을 결정한다.
상기 정경사와 개별 하네스 요소는 즉, 정경사가 긴장되는 종광과 드롭와이어는 정경측면으로 공급된다. 도핑측면에서, 통경되는 정경사를 가지는 이른바 하네스(종광, 드롭와이어 및 바디)가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제직 종광(LI)밑의 정경사 멈춤 동작 드록 와이어(LA)는 정경사(KF) 평면 밑에 직접 배치되고 제직 바디 뒤에 배치된다. 상기 드롭와이어는 핸드 매거진 내에 적재되고 피드레일(11)에 걸리게 된다.
측면에서 종광 스택은 분리되는 분리점으로 공급되고 개별 종광은 통경되는 정경사를 위한 통경 니들(7)로 이송된다. 통경이 일어난 후 드롭와이어는 도핑측면상의 드롭와이어 운반 레일(12)을 통과한다.
종광(LI)은 레일(13)에 정렬되고 자동으로 분리점으로 측면에서 배치되며 각각 통경위치로 움직이고 정경사가 통경된 후, 도핑측면상의 적절한 제직샤프트(14)로 분배된다.
제직 바디는 마찬가지로 통경 니들을 지나 단계별로 움직이며 일치하는 바디 이는 통경공정을 위해 열린다. 통경이 수행된 후 제직 바디(WB)(제직샤프트 오른쪽 옆에 부분적으로 도시됨)는 마찬가지로 도핑측면에 위치한다. 이른바 하네스 캐리지(15)는 도핑측면상에 제공된다. 이에 고정된 운송수단과 함께-드롭와이어 운반 레일(12), 정경샤프트(14) 및 제직바디를 위한 홀더- 이것은 도시된 위치에서 베이스 프레임으로 가압되고 통경 작업에 따라 정경사를 가지는 하네스를 운반한다.
상술한 기능은 다수의 모듈에 분배되어 실제적으로 자율적인 기계 또는 시스템을 구성하며 공통적으로 제어컴퓨터에 의해 제어된다.
상술한 통경기의 주 모듈은 모듈 설계로 이루어지고 부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듈구조는 스위스 특허 CH 679 871호에 서술되어 있는데 본 명세서는 이를 참조한다.
도 1은 단순히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하네스요소를 픽업 및 고정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예를들어 모듈로 설치된 장치인 정경기는 도 1에 도시된 기계와는 전체적으로 또는 일부가 다를 수 있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에 따르면 통경기의 주요소를 형성하는 통경 니들(7)은 그리퍼 스트립(16)과 이것으로 운반되는 클램핑 그리퍼(17)를 포함한다.
상기 통경 니들(7)은 만곡된 단부부분(19)만큼 이격되고 프레임(5)으로부터 직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채널형상 가이드(18)내에서 상승방향(화살표 P)으로 안내된다.
상기 가이드(18)는 하네스요소들이 통경위치로 공급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정경사를 제직바디(WB)(reeding)로 당기는 것과 마찬가지로 통경이 일어난 후 이송수단(레일(12)또는 제직 샤프트(14)를 이송하는 드롭와이어)을 이송하는 한편 통경기를 통과하고 하네스요소(드롭와이어(LA), 종광(LI))와 제직바디(WB)의 영역에서 각각 방해된다.
통경위치로 드롭와이어(LA)와 종광(LI)을 공급하는 동작과 각각의 이송수단으로 이송할 때까지 이송하는 동작이 드롭와이어 분배부모듈(LD)과 종광분배부모듈(HD)에 의해 수행된다.
두 부모듈(LD,HD)은 이들이 정경사가 통경된후 통경점으로 단계적으로또는 연속하여 제공되는 하네스 요소를 수용한다는 점에서 기본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여기서 드롭와이어 접촉레일(12)또는 제직샤프트(14)과같은 이송수단으로 이송이 일어난다.
도 3은 정경기내의 부모듈과 같이 드롭와이어를 픽업, 고정 및 부내하는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회전축에 대해 움직이도록 배치된 헤드(22)와 특히 제직기를 위한 드롭와이어와 같은 이송 하네스요소는 회전축에 대칭으로 배치된 네 개의 장치(23)를 가진다. 특히 제직기를 위한 드롭와이어와 같이 하네스 요소를 픽업 및 고정하기위해 도시된 네 개의 장치는 각각 두 대향되는 고정표면(24)을 가진다.
제 1 고정표면(24)은 제 1 피스톤(26)에 연결되고 제 1 실린더(28)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된다.
제 2 고정표면(25)은 제 2 피스톤(27)에 연결되고 제 2 실린더(29)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실런더(28,29)는 각 경우 피스톤(26,27)이 유체에 의해 동작할 때 두 피스톤의 고정표면(24,25)이 서로 이격되어 움직이도록 배치된다.
하네스 요소를 픽업 및 고정하기위한 상기 장치(23)의 기능적인 원리는 도 4에 상세히 설명된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 1 피스톤(26)이 동시에 제 2 피스톤(27)을 위한 제 2 실린더(29)가 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제 1 실린더(28)와 제 2 실린더(29)는 동일한 유체에 의해 제 1 피스톤(26)이 제 2 피스톤(27)에 압력을 적용하는(작은 화살표)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압력 라인(30)에 연결된다.
제 1 및 제 2 피스톤(26,27)은 압력(작은 및 큰 화살표)하에서 두 고정표면(24,25)이 서로 크게 이격되도록 가스 또 액체 유체에 의해 동작한다.
드롭와이어(LA)는 분리된 위치로 있다; 아직 분리된 드롭 와이어는 제 1 고정표면(24)(도시되지 않음)을 고정하는 각(36)의 우측에 위치한다. 헬리컬 스프링으로 설계된 회복 요소(31,31')는 긴장된 위치로 있게된다.
도 4B를 참조하면, 피스톤(26,27)에 유체를 적용하는 것이 제거되면 서로를 향해 두 고정표면을 움직이기 위해 회복요소가 제공되는 것이 도시된다.
실제로, 여기서 유체로 사용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이 감소된다. 그러나 압축공기는 선택적인 것이기 때문에 예를들어 호스의 형태인 적절한 귀환요소가 역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실린더와 두 고정표면(24,25)은 역시 예를들어, 서로 또는 서로 관련되어 축상으로 배치될 수 있는 두 피스톤을 통하여, 전자기 또는 기계적 구동(예을들어 캠 디스크를 통해)에 의해 움직일 수 있다.
적은 질량 덕택으로, 제 2 고정표면(250을 가지는 더 작은 제 2 피스톤(작은 화살표)이 드롭와이어(LA)가 두 고정표면들사이에 잡히도록 더 무거운 제 2 피스톤(26)의 제 1 고정표면을 향하여 먼저 움직인다.
제 2 피스톤(27)을 위한 나선 스프링(31')이 이미 단부위치에 있는 한편, 제 1 피스톤(26)을 위한 나선 스프링(31)이 실제로 아직 해제되지 않는다.
픽업된 하네스 요소를 정렬하기 위해 러그(32)를 위치시키는 것이 특정위치에서 부가적으로 제공되는 것은 도 4에서는 보여지지 않는다. 상기 러그(32)(마찬가지로 가이드 러그(39)같은)를 위치시키는 것은 도 3에서 도시되고 드롭와이어(여기서 실 아이)의 높이를 위치시키는 것을 도우며 이것은 필수적으로 수직으로 정렬되어야 한다.
드롭와이어의 높이는 이 경우 위치된 러그(32)의 후방(41)위로 슬라이드되는 가로웹에 의해 레일슬롯(42)으로부터 실아이(38)를 분리하는 가로웹(35)과 위치된 러그(32)를 구성하는 더 낮은 센터링요소사이의 기계적 접촉에 의해 관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시에 상부 센터링요소는 도 3의 가이드 러그(39)로 설계되고 위치된 러그(32)는 드롭와이어(LA)의 두 세로웹(40)사이를 연결하도록 기능하며 따라서 세로웹은 필수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위치 및 수직배치는 드롭와이어가 먼저 두 고정표면(24,25)에 의해 고정된 후 즉시 일어나며 오직 스프링 또는 제 2 피스톤(27)을 위한 회복요소(31')에 의해 가해지는 더 낮은 고정력에 의해 가능하게된다.
따라서, 여기서 드롭와이어는 적절한 위치로 배치될 수 있고 손실되지 않도록 단단하게 고정된다.
본 발명에서 드롭와이어의 안전한 고정 및 이송에 더하여, 실아이를 센터링하는 것도 역시 중요한 부분이며, 실아이를 센터링하는 부가적인 또는 선택적인 실시예는- 위치 러그(32)또는 가이드러그(39)(간접 위치시킴)의사용에 더하여- 실아이(직접 위치시킴)로 센서를 도입하는 것을 역시 포함한다.:
따라서, 비접촉 실아이 센터링의 경우, 광선 또는 빛 광선 다발은 실아이를 통하여 유도되고 종광의 다른 측면의 탐지기는 광선이 실아이를 통과하는지 하지않는지를 감시한다. 실아이 센터링의 기계적인 실시예에서, 핀은 실아이를 연결하고 탐지기는 상기 핀의 위치를 감시한다.
두 실시예에서, 높이가 (손상되지 않은)드롭와이어의 다수를 정밀하게 정정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정경사를 통경하기 위해 최적인 정밀한 높이에서 경사를 엄저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실아이가 예를들어 소모적 사용의 결과로 다소(일반적으로 상방으로) 넓어진다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드롭와이어가 고정되고 살아이의 하부단부가 의도한 높이가 되도록 다소 상승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다.:도 4A 및 4B에서 분명히 도시되는 제 2 고정표면(25)은 플레이트(55)에 의해 형성되며 제 2 피스톤(27)에 연결되고 하우징(56)위 까지 도달한다.
두 피스톤(26,27)이 복귀요소(31,31')를 해제함으로써 단부위치로 움직이면, 플레이트(55)는 하우징(56)상에 있게된다. 이것의 효과로 두 회복요소(31(큰 화살표), 31'(작은 화살표))에 의해 가해진 힘이 더 안전하게 하네스 요소(LA)를 고정하도록 이용가능하다. 이것은 정렬된 드롭와이어의 이송시 하네스요소의 고정을 더욱 안전하게 하는 한편, 이송점(52)으로 이송하고 역시 이탈점(53)으로 이송가능한 동안 정경사가 통경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공기와 같은 유체를 가지는 실시예에 따르면 유압오일이 사용될 때 복귀라인은 예를들어 해제 포트(54)의 영역에서 하우징(56)외부로 맞추어지게된다.
또한 도 3에서는 네 개의 장치(23)를 가지는 로터리헤드(22)에 더하여-시스템이 이송수단에 하네스요소를 분배하고 로터리헤드로부터 하네스요소를 수용하기위한 이송훅(34)을 가지는 분배캐리지(33)를 가진다.
이송훅을 드롭와이어로부터 이탈시키기위한 이젝터는 도 3에서 도시되지 않는다. 상기 시스템(20)은 분배 캐리지(33)와 로터리 헤드(22)의 기능을 규정하기위한 전자제어기를 포함하면 상기 제어기는 공통의 제어컴퓨터에 연결되고 이것으로 제어되고 감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에서는 하네스요소, 특히 제직기를 위한 드롭와이어를 픽업, 고정 및 분배하는 방법의 절차를 예제적인 유체로 압축공기를 사용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분리점(50)에서 제공된 드롭와이어의 최단부는 CH 687 257에서와 같이 구부러지거나 팽창된다. 장치(23)의 제 1 및 제 2 고정표면(24,25)은 이들에 적용되는 압력을 가지는 압축된 공기를 가진 압력하의 유체로 채워진 제 1 및 제 2 피스톤(25,26)으로 인하여 서로 이격되어 움직인다.
상기 장치(23)의 고정장치(37)는 도 4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헬리컬 스프링으로 설계된 회복 요소(31,31')의 저항에 반대로 연속적으로 열린다.
열린 요정장치(37)를 가지는 장치(23)는 회전축(21)주위를 최단부 드롭와이어가 중심영역에서 고정되어 팽창하는 방법으로 회전한다.
상기 단부에는 각도(36)로 맞추어진 제 1 고정표면(24)이 제 1 및 제 2 드롭와이어(LA) 사이에서 제 1 드롭와이어가 두 고정표면(24,25)사이의 위치로 오도록움직인다.(도 4A 참조).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한 잇점은 다음과 같다.: 고정장치(37)내의 넓은 개구부가 기대되는 위치로부터 큰 벗어남이 없이 드롭와이어를 고정하는 문제해결하도록 한다. 따라서 팽창된 드롭와이어상의 과도한 위치를 허용하더라도 드롭와이어(LA)의 안전한 고정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제 1 및 제 2 피스톤(26,27)상의 압력은 - 회복요소(31(큰 화살표), 31'(작은화살표))에 의해 구동된 고정장치(24,25)가 서로를 향하여 움직이는 방법으로 감소된다. 제 2 피스톤(27)의 질량이 확실히 적기 때문에, 이것은 동시에 제 2 실린더로 설계된 제 1 피스톤(26)에서보다 전면으로(도 4B에서 도시된 작은화살표 방향으로) 더욱 빠르게 움직인다.
이것은 드롭와이어(LA)가 장치(23)에 의해 먼저 고정되고 그후 분리위치로부터 제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오직 고정장치가 닫히고 제 1 피스톤(26)이 역시 (도 4C에서 도시된 화살표방향으로)후방으로 가속된 후, 드롭와이어는 분리점으로부터 제거되고 동시에 장치내의 특정위치로 움직인다.
특정위치로 정렬하는 것은 상기 방법으로 드롭와이어(LA)내의 실아이(38)의 정확한 위치가 통경니들(7)의 레벨 또는 높이로 움직이기 때문에 중요하다.
드롭와이어의 정렬은 제 1 실린더에 맞추어진 두 위치 러그(32)와 가이드 러그(39)에 의해 가능하다. 스프링(31)의 회복력은 드롭와이어를 하방으로 당기고 접촉 레일슬롯(42)이 하부 변부상에서 경사진 평면을 구성하는 러그의 후방(41)을 가지고 위치러그(32)가 동작하며 제 1 실린더가 완전히 후퇴하면 상기 드롭와이어의위치가 역시 교정되는 효과를 가지게한다.
고정표면들(24,25)사이에 드롭와이어를 위치시키는 것은 스프링(31')에 의해 가해진 회복력이 스프링(31)의 회복력보다 작기 때문에 가능하다. 그러나, 위치 러그(32)와 실제로 동일한 시간에 세로웹(40)사이의 가이드러그(39)가 역시 접촉레일슬롯(42)에 실제로 고정된 드롭와이어의 평행한 하방 배치가 발생하도록 연결되기 때문에 하방으로 제어된다.
고정된 드롭와이어가 정렬되는 것과 동시에 로터리 헤드(22)는 90도로 회전하여 고정된 드롭와이어가 통경위치 또는 통경점(51)으로 이송되게 한다.
로터리 헤드(22)가 네 개의 동일한 장치(23)를 포함하기 때문에, 다음에 열린 고정장치(37)(도 4A에 일치)는 동시에 다음드롭와이어의 위치로 움직이고 역시 구부러진다. 한번 드롭와이어가 통경점(51)에 위치하면 정경사는 드롭와이어(LA)내에서 아이(38)를 통하여 당겨진다.
통경작동동안, 그리고, 이송점(52)으로 이송되는 동안 드롭와이어는 세로웹(40)사이에 두 러그(32,39)를 가지고 두 고정표면(24,25)사이에 안전하게 고정된다. 회전축(21)사이의 1/4정도로 헤드를 회전시킴으로서 다시 이송점(52)으로 이송된다. 이송점에서 드롭와이어(LA)는 이송훅(34)에 의해 픽업되고 분배캐리지(33)에 배치되며 장치(23)의 고정장치(37)가 열린다.
이송훅(34)은 분배 캐리지(33)에 의해 화살표방향에서 고정장치(37)밖으로 움직이며 드롭와이어가 이젝터의 도움으로 이전에 결정된 이송수단으로 이송될 수 있을때까지 이송된다.
오직 하나의 이송수단만이 이송레일 또는 드롭와이어 접촉레일(12) 또는 제직샤프트(14)(만약 종광이 분배된다면)의 형태로 하네스요소를 픽업하기 위해 제공된다. 분배 캐리지(33)에 의해 하네스요소를 수용함으로써 상기 드롭와이어는 의도하는 이송수단으로 어디든 이송될 있으며 물론 의도하는 순서 또는 절차로 스킵 반복(skip repeat)될 수 있다.
장비는 네번째 위치로 역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장치는 축(21)주위를 단계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방출위치(53)로 설계된다. 따라서 상기 목적으로 사용된 제어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감시되는 형상을 가지는 드롭와이어가 가능하며, 예를들어 과도하게 큰 변형으로 인하여 상기 방출위치에서 컨테이너(도시되지 않음)로 배치되는 사용하기에 적절하지 않을 수 도 있다.
네 개의 장치(23)를 가지는 로터리 헤드(22)는 따라서 장치(23)가 동시에 네 개의 정의된 지점- 분리점(50), 통경점(51), 이송점(52) 및 방출점(53)-에 각각 동시에 위치하기 때문에 바람직한 실시예가 된다. 그러나 상기 방출가능성없이 셋, 둘 또는 오직 하나의 장치(23)를 가지는 로터리헤드(22)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만약 상기 방출점(53)이 필요하지 않다면 오직 세 개의 장치를 가지는 로터리 헤드(22)가 사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다른 방법으로 적절하거나 회전축(210에 대칭인 세 개의 장치를 배치하는 것을 당업자에게 달려있다.
로터리헤드(22), 피스톤(26,27)의 운송 동기화; 분배캐리지(33), 이송훅(34) 및 이젝터는 역시 통경 니들을 감시하는 전자유닛을 통하여 제어되거나 규정된다.만약 제어기 및 분배 캐리지(33)의 기계적 특징에 의해 허용된다면 처리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네 개의 장치(23)보다 많을 것을 가지는 로터리헤드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회전반경(고정된 종광과 회전축사이의 거리)을 선택하고 장치가 축(21)주위로 그룹화되는 방법을 결정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달려있다.
시스템(20)의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제 2 분배 캐리지(33)가 제동되는 것도 역시 가능하다. 제어기의 설계와 마찬가지로 분배캐리지와 로터리헤드의 구동특성은 절절한 기술적영역에서 당업자가 이용가능하므로 여기서는 상술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과 장치의 잇점은 그중에서도 특히, 통경되는 동안과 이들이 분배캐리지에의해 수용되기까지 분리점(50)에서 픽업된 후, 정의된 위치가 된후에 드롭와이어들이 클램핑에 의해 안전하게 고정되고 통경장치가 드롭와이어가 주의깊게 처리되도록 드롭와이어의 아이와 접촉하지 않는 다는 사실이다.

Claims (17)

  1. 두 대향되는 고정표면사이에 제직기를 위한 하네스요소(LA, LI), 특히 드롭와이어(LA)를 픽업 및 고정하는 장치(23)에 있어서, 제 1 실린더(28)내에서 움직일 수 있고 제 1 고정표면(24)을 가지는 제 1 피스톤(26)과 제 2 실린더(29)내에서 움직일 수 있고 제 2 고정표면(25)을 가지는 제 2 피스톤(27)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실런더(28,29)가 피스톤(26,27)이 유체에 의해 동작할 때 두 피스톤의 고정표면(24,25)이 서로 이격되어 움직이는 방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피스톤(26)이 상기 제 2 피스톤(27)을 위한 제 2 실린더(29)가 되도록 동시에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전항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항에 있어서, 제 1 실린더(28)와 제 2 실린더(29)가 압력라인(30)에 상기 제 1 피스톤(26)에 압력을 적용하는 것이 동일한 유체에 의해 제 2 피스톤(27)에 압력을 적용하는 것과 같은 효력을 발생하는 방법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전항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26,27)에 적용된 유체가 제거될 때 서로를 향하여 두 고정표면(24,25)이 움직이도록 회복요소(31,31')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전항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항에 있어서, 제 2 고정표면(25)이 제 2 피스톤(27)에 연결되고 하우징(56)위에 도달하며 피스톤의 단부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에 머무는 플레이트(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전항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항에 있어서, 위치러그(32)가 특정높이에서 픽업된 하네스 요소들(LA, LI)을 정렬하도록 더 형성되거나 가이드 러그(39)가 수직으로 하네스 요소들을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1항내지 제 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센서가 특정높이에서 픽업된 하네스 요소들(LA,LI)을 정렬하도록 실아이의 위치를 더 결정하도록 제공되거나 가이드러그(39)가 수직으로 하네스 요소들을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직기를 위해 하네스 요소들(LA,LI), 특히 드롭와이어(LA)를 픽업, 고정 및 이송하는 헤드에 있어서, 상기 헤드가 회전축에 대해 움직이도록 배치되고 청구항제 1항 내지 8항중 하나에 따른 다수 장치 또는 장치(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10. 제 9항에 있어서, 네 개의 장치(23)가 회전축(21)에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헤드.
  11. 제직기를 위해 하네스 요소, 특히 드롭와이어(LA)를 픽업, 고정 및 분배하기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청구항 제 9항 또는 10항에 따른 로터리 헤드를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로터리헤드(22)로부터 하네스요소들(LA,LI)을 수용하기 위한 이송훅(34)을 가지는 분배 캐리지(33)와 하네스요소들을 운송수단(12,14)에 분배하기 위한 이젝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헤드(22)와 분배 캐리지(33)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전자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4. 제직기를 위해 하네스 요소(LA,LI), 특히 드롭와이어(LA)를 픽업, 고정 및 이송하기 위해,
    - 분리점(50)에서 드롭 와이어(LA)를 픽업하고,
    - 특정지점으로 픽업된 드롭와이어(LA)를 정렬하고,
    - 통경지점으로 드롭와이어(LA)를 이송하고,
    - 실이 통경되는 동안 드롭와이어(LA)를 고정하고,
    - 이송지점으로 드롭와이어(LA)를 이송하는; 단계를 가지는 방법에 있어서,
    드롭와이어를 픽업, 고정, 및 이송하기위해 청구범위 제 1 항 내지 8항중 하나 또는 그 이상에 따른 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드롭와이어를 픽업, 고정 및 이송하기 위해 청구범위 제 9항 및 제 10항중 하나에 따른 로터리 헤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드롭와이어를 픽업, 고정 및 이송하기 위해 청구범위 제 11항에 따른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4항 내지 1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송점(52)에서 드롭와이어를 수용하고 미리 설정된 이송수단(12)에 드롭와이어를 이송하며 상기 이송수단으로 드롭와이어(LA)를 방출하기 위해 청구항 12항에 따른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1-7001983A 1998-08-17 1999-07-09 하네스 요소를 픽업, 고정 및 분배하는 장치 및 시스템과 이를 수행하는 방법 KR1004603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168998 1998-08-17
CH1689/98 1998-08-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2687A true KR20010072687A (ko) 2001-07-31
KR100460341B1 KR100460341B1 (ko) 2004-12-08

Family

ID=4216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1983A KR100460341B1 (ko) 1998-08-17 1999-07-09 하네스 요소를 픽업, 고정 및 분배하는 장치 및 시스템과 이를 수행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1) EP1105558B1 (ko)
JP (1) JP2002523639A (ko)
KR (1) KR100460341B1 (ko)
CN (1) CN1102970C (ko)
AT (1) ATE225423T1 (ko)
AU (1) AU4495499A (ko)
CZ (1) CZ2001579A3 (ko)
DE (1) DE59902971D1 (ko)
TR (1) TR200100465T2 (ko)
TW (1) TW475014B (ko)
WO (1) WO20000112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91161B (zh) * 2012-06-08 2013-10-30 烟台宋和科技股份有限公司 停经片移动装置分离方法
CN102747519A (zh) * 2012-07-16 2012-10-24 烟台宋和宋科学技术应用工程有限责任公司 停经片移动装置
CN103924365B (zh) * 2014-04-21 2015-04-22 深圳市海弘装备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综丝转移的装置和方法
CN105220326B (zh) * 2015-10-20 2017-03-29 东丽酒伊织染(南通)有限公司 一种自动穿综机及其穿综方法
CN105442161B (zh) * 2015-12-28 2017-04-19 永旭晟机电科技(常州)有限公司 一种旋转四工位抓取、释放停经片装置
CN105692190B (zh) * 2016-03-11 2018-01-19 常州信息职业技术学院 一种全自动停经片分离设备
CN107740214B (zh) * 2017-11-21 2023-06-06 广东溢达纺织有限公司 自动分综丝机构
CN108221148A (zh) * 2017-12-30 2018-06-29 机械科学研究总院江苏分院 一种停经片快速夹持方法及装置
CN109879018B (zh) * 2019-02-18 2021-12-10 福建伟易泰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综丝自动选取装置和选取方法
ES2951844T3 (es) * 2019-06-17 2023-10-25 Groz Beckert Kg Dispositivo y procedimiento para manejar elementos de marco de lizos
PT3754073T (pt) 2019-06-19 2022-03-23 Groz Beckert Kg Dispositivo e processo para manusear elementos de jogo de liços
EP3754074B1 (de) * 2019-06-19 2024-01-03 Groz-Beckert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andhabung von webgeschirrelementen
CN116497510B (zh) * 2023-05-30 2023-11-03 无锡长江精密纺织有限公司 一种自动穿经机的高密钢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79871A5 (ko) * 1989-10-04 1992-04-30 Zellweger Uster Ag
CH680076A5 (en) * 1989-12-22 1992-06-15 Zellweger Uster Ag Assembly to draw warp yarns into harness sections of loom - comprises oscillating warp drawing-in unit of flexible strip carrying gripper with interrupted channel guide
CH682577A5 (de) * 1990-09-17 1993-10-15 Zellweger Uster Ag Vorrichtung zur Handhabung von Litzen oder Lamellen in einer Kettfadeneinziehmaschine.
CH687027A5 (de) * 1992-03-11 1996-08-30 Staeubli Ag Zweigwerk Sargans Lamellensepariervorrichtung fuer Kettfadeneinziehmaschinen.
JPH09158009A (ja) * 1995-12-01 1997-06-17 Hamamatsu Photonics Kk 通糸方法及び通糸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Z2001579A3 (cs) 2006-06-14
KR100460341B1 (ko) 2004-12-08
TR200100465T2 (tr) 2001-07-23
EP1105558B1 (de) 2002-10-02
CN1102970C (zh) 2003-03-12
EP1105558A1 (de) 2001-06-13
DE59902971D1 (de) 2002-11-07
AU4495499A (en) 2000-03-14
TW475014B (en) 2002-02-01
ATE225423T1 (de) 2002-10-15
WO2000011252A1 (de) 2000-03-02
JP2002523639A (ja) 2002-07-30
CN1312869A (zh) 2001-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0341B1 (ko) 하네스 요소를 픽업, 고정 및 분배하는 장치 및 시스템과 이를 수행하는 방법
JP3213813B2 (ja) ドローイングインマシンでヘルド及びドロツパーを取り扱う装置
US5475906A (en) Heald-separation apparatus for warp-thread drawing-in machines
RU209263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деления галев для проборной машины
US5180269A (en) Yarn package supply and empty bobbin removing apparatus for warper creel
US5249339A (en) Apparatus for drawing in warp threads
US5174000A (en) Apparatus for singularizing drop-wires in warp-thread drawing-in machines
US4905737A (en) Method for separating a broken warp thread at the warp stop motion from the warp sheet on a weaving machine, and a device which uses this method
AU675156B2 (en) Heald Transfer Station Having Locks Positioned to Control Movement of Healds
KR20010075061A (ko) 잉아 또는 드로퍼 피이드
US5287895A (en) Equipment for transporting and handling weft-yarn stock bobbins
AU675155B2 (en) Heald Carrier Rails Having Control Clamps For Holding Rails and Limiting Movement of Healds
US5148585A (en) Device for manipulating drop wires for warp-thread drawing-in machines
US5448811A (en) Drop-wire separation device for warp drawing-in machines
KR20020003245A (ko) 개별의 분리된 오르내리 요소를 이송장치로 이동시키기위한 장치 및 방법
JPH05125641A (ja) 経糸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