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2580A - 암벽용 장치 - Google Patents

암벽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2580A
KR20010072580A KR1020007011984A KR20007011984A KR20010072580A KR 20010072580 A KR20010072580 A KR 20010072580A KR 1020007011984 A KR1020007011984 A KR 1020007011984A KR 20007011984 A KR20007011984 A KR 20007011984A KR 20010072580 A KR20010072580 A KR 20010072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bore hole
filling material
injection tube
return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1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2808B1 (ko
Inventor
해칸 에릭슨
Original Assignee
해칸 에릭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칸 에릭슨 filed Critical 해칸 에릭슨
Publication of KR20010072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2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2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28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20/00Setting anchoring-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21/00Anchoring-bolts for roof, floor in galleries or longwall working, or shaft-lining protection
    • E21D21/0026Anchoring-bolts for roof, floor in galleries or longwall working, or shaft-lining protec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bolts
    • E21D21/0046Anchoring-bolts for roof, floor in galleries or longwall working, or shaft-lining protec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bolts formed by a plurality of elements arranged longitudinally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20/00Setting anchoring-bolts
    • E21D20/02Setting anchoring-bolts with provisions for grouting
    • E21D20/028Devices or accesories for injecting a grouting liquid in a bore-hole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21/00Anchoring-bolts for roof, floor in galleries or longwall working, or shaft-lining protection
    • E21D21/0026Anchoring-bolts for roof, floor in galleries or longwall working, or shaft-lining protec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bolts
    • E21D21/0053Anchoring-bolts in the form of lost drilling rod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21/00Anchoring-bolts for roof, floor in galleries or longwall working, or shaft-lining protection
    • E21D21/008Anchoring or tensio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Consolidation Of Soil By Introduction Of Solidifying Substances Into Soil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Paper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벽을 밀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장치는 암벽의 보어 홀 내측으로 도입되게 하여, 주입관을 통하여 보어 홀 내측으로 충진 재료를 주입하게 하려는 주입관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또한 충진 재료를 위한 비귀환 밸브(4)를 포함하며, 시일 및 보강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장치가 보강 바(1)에 영구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Description

암벽용 장치{DEVICE FOR A ROCK WALL}
예컨대, 터털 또는 암벽 공동을 구성하는 암벽 작업의 경우, 강도를 증강시키기 위해 대부분의 경우 암벽 보강이 필요하며, 수증기 및 물이 터널 또는 공동을 관통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크랙(crack) 등을 밀봉하는 것이 필요하다. 공지된 보강 방법에는, 균일하게 분산된 보어 홀을 암벽에 제공하는 것이 있으며, 이러한 보어 홀은 약 1/2 데시미터(decimetre)의 직경, 및 약 1-6m의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종래의 암벽을 보강하는 방법의 하나는 상이한 직경을 가지는 두 개의 집중형으로 배열된 튜브를 보어 홀 내측으로 연속하여 삽입하는 것이다. 튜브의 벽 사이에 있는 공간을 시멘트 또는 콘크리트로 충진한 후, 충진 재료가 경화되기 전에상기 튜브를 뽑아 내어 보강 바를 중심홀 내측에 꽂아 넣을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의 큰 단점은, 보강을 완성하기 전에 보강이 여러 번 반복되기 때문에 충진 재료와 보강 바가 비교적 빈번하게 홀 외측으로 나오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보어 홀 내측으로 인도되는 크랙 내측으로 암석으로부터 누수가 있다면, 충진 재료가 경화되기 바로 전에 충진 재료가 휩쓸려 나가 버릴 수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암석은 대신 제 1 단계에서 밀봉되어야만 하며, 고무 플러그 또는 탭(tap)이 정상적으로 보어 홀 개구부에 배열되고, 고화되는 콘크리트 또는 시멘트로 상기 홀이 채워진다. 이 후,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보강된 콘크리트/시멘트에 홀을 뚫는다. 분명히 상기 방법은 여러 단계를 포함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강재가 본 위치에 유지되는 것이 완전히 확실하지 않다.
더 현대식 공지 시스템에서, 긴 볼트(bolt)가 각각의 보어 홀 내측으로 도입되며, 보어 홀의 최상부에는 보어 홀에 고정시키는 익스팬더(expander)가 제공된다. 보어 홀 외부로 돌출하여 꽂혀 있는 볼트의 단부에는, 보어 홀 위에 커버식으로 놓여지며, 중심에 반구체가 배열되는 와셔가 있다. 이러한 볼트는 반구 외측으로 돌출하여 꽂혀서, 볼트 최상부의 익스팬더가 암석에 고정되게 되면 단단히 죄이는 너트에 의해 둘러싸인다. 고정한 후, 보어 홀 내측 내부를 시작으로 하여, 처음에는 볼트를 둘러싸는 플라스틱관 내부로, 그 다음 플라스틱관 외부로 진행하여 시멘트 반죽이 와셔의 홀을 통하여 유출될 때 까지, 반구 내측으로 시멘트 반죽을 주입한다. 본 시스템은 암벽의 보강을 확실히 제공하지만, 함수 크랙(water-bearing crack) 등에 대해 확실한 밀봉은 아니다. 공기 버블(bubbles)이 볼트에가장 가까운 시멘트에 형성된다면, 볼트에 부식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암벽의 밀봉에 관련하여, 보어 홀 내측에 충진되는 시멘트 또는 콘크리트를 이용하면, 암벽의 크랙을 통한 누수와 관련한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관하여, 충진 재료의 양압 하에서 보어 홀을 충진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현존 장치가 없다.
암벽을 밀봉하는 종래의 방법은, 예컨대 노동 집약적이며 고비용의 소위 암벽의 "라이닝(lining)", 즉 콘크리트 클래딩(cladding)을 포함한다. 다른 공지된 방법은 암벽 내측으로 주입되는 밀봉 재료를 이용한다. 밀봉 재료가 지하수 내에 분포될 수 있는 중독성 물질 아크릴아미드(acrylamide)를 포함하기 때문에, 매우 큰 환경적인 단점을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본 발명은 암벽 내의 보어 홀 내측으로 도입되게 한 주입관을 포함하는 암벽을 밀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며, 이러한 주입관을 통하여 보어 홀 내측으로 충진 재료가 주입되게 한다.
본 발명의 한 양상에 따라, 본 장치는 예컨대, 종래의 보강 바(reinforcement bar)와 같은 보강 로드를 포함할 수도 있어서, 밀봉 효과 및 보강 효과 모두를 본 장치를 이용하여 달성한다. 본 발명은 터널 및 다른 암석 공동(cavities)의 구조에 이용된다.
도 1은 보어 홀의 개구부에 근접 위치하며 비귀환 밸브를 포함하는 밀봉 장치 및 보강 장치의 일부분을 부분적으로 단면화한 측면도.
도 2는 보어 홀에 가장 근접하여 위치하며 암석을 고정하기 위한 익스팬더를 포함하는 장치의 일부분을 부분적으로 단면화한 측면도.
도 3은 암석 와셔가 응용 분야를 위해 형성되기 전, 도 2의 익스팬더용 암석 와셔의 평면도.
도 4는 충진 재료가 경화 단계에 있는 동안, 보어 홀 및 보강재를 부분적으로 단면화한 측면도.
도 5는 암석에 마무리된 보강재를 부분적으로 단면화한 측면도.
도 6은 충진 재료가 경화 단계에 있는 동안, 보어 홀 내부 장치를 나타내며, 보강 로드가 없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밀봉 장치를 부분적으로 단면화한 측면도.
다음에, 암벽을 밀봉하고 보강하는 장치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주로 기술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또한 암벽을 밀봉은 하지만 보강하지 않는 장치에 관한 것이며, 이 경우 보강 로드 또는 고정 수단을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암벽을 보강 및 밀봉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에 의해, 상기 단점을 방지하거나 적어도 최소화하여, 몇 단계만으로 암벽의 보강 및 밀봉을 실행할 수 있으며, 보어 홀 내측에 야기되는 함수 크랙을 밀봉할 수 있고 시멘트의 공기 버블을 방지함과 동시에 보강재가 자리에 확실히 유지됨을 의미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암벽을 보강 및 밀봉하는 장치에 의해 달성되며,보강 로드, 예컨대, 암벽의 보어 홀 내측으로 도입되어, 보어 홀 내측으로 충진 재료가 주입되게 하는 종래의 보강 바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는 또한 충진 재료를 위한 비귀환 밸브(non-return valve)를 포함한다. 이러한 비귀환 밸브는 보어 홀 내의 충진 재료의 양압에 지탱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충진 재료는 양압 하에서 주입되며, 보어 홀 내측에 야기되는 암석의 임의의 크랙이 밀봉된다. 상기 비귀환 밸브는 출구 개방부가 제공된 주입관을 둘러싸는 고무 슬리브(rubber sleeve)를 포함하며, 주입관은 상기 보강 바 또는 동등물과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본 발명의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양상이 분명해 질 것이다.
첨부 도면에 대한 도면 부호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부가할 것이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장치의 부분을 형성하는 보강 바를 도면 부호 1로 나타낸다. 기술 도면인 관계로 보강 바의 최상부가 잘려있지만, 실제로 약 0.5-10m, 바람직하게 1-7m, 더 바람직하게 2-5m의 길이를 가진다. 도 1 및 도 2에서, 터널 또는 암석 공동(cavity)의 루프(roof)에 있는 수직, 상방으로 인도된 보어 홀에 장치가 배열되는 것을 도시하며, 위치는 다른 상세한 설명에 이용된다. 그러나, 수평 홀, 각도를 가지는 홀, 또는 수직, 하방으로 인도된 홀에도 상기 장치를 잘 이용할 수 있다. 보강 바(1)는, 이하에서 충진 재료라고 하는 시멘트 또는 콘크리트에 단단히 고정시키기 위한 강성 프로파일 표면을 가지며, 충진재료는 보강 바를 둘러싸게 될 것이다. 양 단부가 단단히 용접된 커플링 슬리브(coupling sleeve)(2)를 통하여 바닥에 배열된 보강 바의 연장부로서 주입관(3)이 결합되며, 따라서, 이러한 주입관(3)의 내부에는 길이 방향 공동을 가지며, 주입관(3)의 바닥은 충진 재료를 충진하기 위한 호스(hose) 연결을 위해 개방되어 있다.
보강 바(1) 및 주입관(3)에 대한 커플링 슬리브 아래에 거리를 두고 비귀환 밸브(4)가 배열된다. 충진 재료가 비귀환 밸브를 통하여 보어 홀 내측으로 양압 하에서 주입되는 경우, 이러한 비귀환 밸브(4)는 충진 재료의 양압을 지탱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비귀환 밸브에 의해, 양압에도 불구하고 충진 재료가 고화(solidifies)되기 전에 보어 홀 외부로 흘러 넘치지 않는다. 비귀환 밸브(4)는 주입관(3)의 일부를 둘러싸는 고무 슬리브(5)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무 슬리브 영역에서, 주입관은 충진 재료를 위한 다수의 출구 개구부(6)를 구비한다. 물론, 다소의 탄성을 가진 단단한 다른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는 고무 슬리브는 바닥에서 제 1 직경, 최상부에서 상대적으로 더 작은 제 2 직경을 가지는 원뿔대의 외피(envelope)와 같이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다. 제 1 직경에서, 고무 슬리브(5)는 내부적으로 홈을 낸 아이 너트(threaded eye nut)(7)에 단단히 경화되며, 차례로, 이러한 아이 너트는 외부적으로 홈을 낸 링 패스너(ring fastener)(8) 상에 단단히 조여진다. 링 패스너(8)는 주입관(3)을 둘러싸면서 주입관(3)에 단단히 용접된다. 링 패스너(8)는 또한 바닥에 플랜지(flange)(9)를 구비하며, 플랜지(9)의 상부면 상에 아이 너트(7)가 유지된다. 러브 슬리브(5) 상부의 더 작은 직경은 주입관(3) 주위로 끝밀봉(end sealing) 되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고무 슬리브 내측으로 세팅(setting)되는 오 링(O-ring)으로 이루어지는 2개의 내부 립 밀봉(internal lip seals)이 팁(tip) 부분의 고무 슬리브 내부에 있는 다소의 연속하는 돌출부에 의해 노우즈(nose)에 제공된다.
플랜지(9) 아래에서, 플랜지(9)의 하부면에 근접해서 놓이는 상부 플랜지를 구비한 협관(narrow tube)(13)이 주입관을 둘러싼다. 고무로 이루어지는 것이 적합한 슬리브(10)의 형태로 시일(seal)의 상부 짧은 말단부가 플랜지(14)의 하부면에 대항하여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고무 슬리브(10)는 협관(13)에 의해 둘러싸인 주입관의 하부의 일부분을 둘러싸며, 너트(12)에 대하여 차례로 지지되는 와셔(11)에 대항하여 고무 슬리브(10)의 하부 짧은 말단부가 지지된다. 너트(12)와 고무슬리브(10) 아래 거리를 두고 떨어진 영역에서, 주입관(3) 및/또는 협관(13)이 너트(12)와 동일한 나사산(thread) 크기로 외부적으로 죄여 있다.
본 장치의 상부 부분에는 익스팬더를 형성하는 탑 피스(top piece)가 배열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익스팬더는 도 1에 나타낸 본 장치의 연장부를 형성하며, 보강 바(1)의 더 긴 피스(부분적으로만 도시)는 도 1에 따른 부분을 도 2에 따른 부분과 연결한다. 보강 바의 단부에 있는 바닥에서 단단히 용접되며 최상부에서 내부 나사산을 포함하는 슬리브형 공간 피스(sleeve-shaped spacing piece)(21)에 의해, 익스팬더가 보강 바에 결합된다. 적어도 바닥 및 최상부에서 거리를 두고 떨어져서 외부 나사산이 제공된 직선 핀(pin)을 포함하는 연결핀(22)이 이러한 나사산 내측으로 스크류(screw)된다. 코어(core) 부분(23)에 내부 나사산이 제공된 홀(hole) 내측으로-불확장 상태- 연결핀(22)이 최상부에서 부분적으로 스크류된다. 하기에 더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암석 내측으로 장치를 고정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경우, 더 스크류될 수 있도록 이러한 홀은 충분히 길다. 코어 부분(23)은 최상부에서 짧은 원추형 피스(24) 내측으로 점점 가늘어 지며, 이들 원추형 피스 위에 외부적으로 나사로 조여지고, 최상부 원추부(top cone)(25)는 원추형 피스, 및 코어 부분(23)의 상부 섹션의 일부분을 둘러싼다. 최상부 원추부(25)는 코어 부분(23)의 원추형 피스(24)에 따라 적합시킨 바닥에서 내부 경사를 가진다. 최상부 원추부를 단단히 유지하도록 상부 너트(top nut)(26)가 최상부 원추부 위에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1-10개, 적합하게는 2-6개의 잠금 와셔(lock washer)(27)가 최상부 원추부의 내부 경사와 코어 부분(23)의 원추형 피스(24) 사이에서 코어 부분(23)주위에 고정된다. 이러한 종류의 잠금 와셔를 도 3에서 레벨 상태로 나타내며, 잠금 와셔는 41개, 바람직하게는 2-10개, 적합하게는 4-7개의 슬릿이 제공된 와셔를 포함한다. 이들 잠금 와셔가 코어 부분의 원추형 피스(24) 위에 고정되는 경우, 잠금 와셔는 원뿔대의 외피 형태를 취한다. 바닥에 배열된 내부로 마주하는 플랜지(29)를 구비한 이완 슬리브(loose sleeve)(28)가, 연결핀(22)의 상부 부분과 코어 부분(23)의 하부 부분을 둘러싸면서, 이들 잠금 와셔 아래에 배열된다. 이러한 플랜지(29)가 공간 피스(21)의 상부 짧은 말단부에 대하여 지지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한 상세한 설명은 핫아연도금(hot-galvanized) 또는 표면을 보호할 수 있는 다른 방법으로 소위 캠 스틸(cam steel)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상술한 레벨 상태의 잠금 와셔(27)를 나타낸다. 슬릿이 와셔의 주변으로부터 돌출하여 연장하지만, 와셔의 내부 홀 직경을 향하여 완전히 연장하지는 않으며, 어느 정도 내부로 점점 가늘어지는 폭과 내부로 가장 가까운 반경을 가지는 것이 적합하다. 와셔가 코어 부분(23)에 놓이는 경우 와셔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와셔의 내부 보어 직경에는 더 짧은 직선 피스(42)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0.1-1mm, 바람직하게는 0.2-0.7mm, 더 바람직하게는 0.3-0.45mm의 두께를 가지는 냉간 압연, 연강으로 제조된 잠금 와셔가 적합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와셔는 약 60mm의 외경과 약 20mm의 내경 보어를 가진다.
장치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도 4의 홀(30)은 최소한 장치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암벽의 내측으로 관통한다. 와셔(11,12)가 보어 홀의 입구부에 위치하기까지 본 장치는 보어 홀 내측으로 인도된다. 이 후, 보어 외측으로 돌출하여 삽입된 주입관의 일부분을 파지하는 유압 장치에 의해 주입관(3)이 복수 회전한다. 이에 의해 회전이 보강 바(1)까지 연장하며, 보강 바의 상부 부분과 결합하는 슬리브형 공간 피스(21)까지 더 연장한다. 이 결과, 연결핀(22)의 상부 부분은 코어 부분의 나사산이 있는 홀 내측으로 더 조여지면서, 슬리브가 잠금 와셔(27)에 대항하여 상방으로 가압되도록 공간 피스의 상부 짧은 단부가 하부 플랜지(29) 상을 가압한다. 이 후, 적어도 원뿔대의 외피 형상이 다소 평평해지도록, 슬리브가 잠금 와셔 상에 가압 장치로서 작동한다. 이에 의해, 전체 장치가 암석에 고정되도록, 잠금 와셔의 둘레는 보어 홀의 벽 내측으로 단단히 가압될 것이다. 다음 단계는, 고무 슬리브(10)가 축방향으로 압축되도록, 너트(12)를 단단히 조임으로써 보어 홀 바닥에 포함된 장치에 의해 보어 홀을 밀봉하는 것이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입관(3)과 보어 홀의 하부벽 사이를 밀봉하도록 반경 방향으로 고무 슬리브가 확장한다. 파이프(도시 안함)를 이제 주입관에 연결할 수 있으며, 양압 하에서 충진 재료(31A)를 주입하면, 주입관의 출구 개구부(6) 외측으로 유동하여 고무 슬리브(5)의 상부 직경에 있는 보어 홀 내측을 통과한다. 충진 재료가 경화되기 전에, 양압 하에서도 불구하고 충진 재료가 보어 홀 밖으로 유동하지 않도록 장치 내에 구성된 비귀환 밸브로서 고무 슬리브(5)가 작용한다. 보어 홀(30)의 가장 먼 영역에 도달하는 예컨대, 유압 튜브식의 소경 콘딧(conduit)(35)이 배열되는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콘딧(35)은, 충진 재료가 도입되면서 보어 홀 밖으로 공기 또는 가스를 인도하는 가스 제거 콘딧으로서 작동하게 된다. 충진 재료를 도입하는동안, 충진 재료가 연속적으로 콘딧 외부로 유동하기 시작하는 경우, 보어 홀의 입구에 인접한 콘딧(35)의 개구단이 밀봉되며, 이 후, 보어 홀 내측으로 충진 재료의 도입을 양압 하에서 계속할 수 있다.
크랙이 함수층일 수도 있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양압으로 인해, 보어 홀 내측으로 인도되는 임의의 크랙(32)을 충진 재료가 또한 통과하게 된다. 약 100 바(bar) 양압 또는 적합하게는 약 50-80 바 양압에 이를 수도 있는, 원하는 양압이 얻어졌을 경우, 파이프 연결이 분리될 수 있으며, 비귀환 밸브(4)와 고무 슬리브(10)의 도움으로, 충진 재료(31A)가 양압 하에서 경화되도록 남을 수 있다. 충진 재료가 경화되는 경우, 너트(12)를 풀어서 와셔를 제거하고, 플랜지가 제공된 협관(13)에 의해 홀 밖으로 고무 슬리브(10)를 꺼낸다.
이 후, 큰 와셔(도시 안함)를 갖춘 보어 홀의 개구부를 제공함으로써, 충진 재료로 충진하기 위한 한쪽의 홀과 함께 플랜지(9) 아래 공간을 충진 재료(31B)(도 5)로 충진하며, 공기 파이프를 통하여 홀의 공기가 빠져나간다. 그러나, 부식의 위험이 크지 않다면, 고무 슬리브(10), 와셔(11) 및 너트(12)의 경우에 상기 장치를 보어 홀에 적용한 후, 자리에 영구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보어 홀의 개구부 및 그 중간 주변물은 주입관의 돌출하는 부분까지 조여지는 너트(34)에 의해 암벽에 대항하여 가압되는 판, 디스크 또는 와셔(33)로써 종래의 방법으로 보어 홀 개구부 및 그 중간 주변물을 덮는다.
본 발명에 의해, 충진 재료가 보어 홀 내측으로 주입되어 유리한 양압 하에서 경화되게 하는 시일 및 비귀환 밸브의 기능에 의해, 비교적 단순하고 저렴한 구성이 달성된다. 비교적 단순하고 저렴한 구성은 시일, 비귀환 밸브 및 익스팬더가 보어 홀 내에 캐스팅(casting)될 수 있게 하며, 이에 의해, 너무 많은 비용을 초래하지 않고 가능한 영구적이지만 제거가능한 재료를 형성한다. 보강 바에 근접한 부식을 촉진하는 공기 버블이 양압으로 인해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다른 장점은, 주변물과 선택물에 따라 점성 또는 건성 콘탠츠(content)를 변화시킨 재료를 충진하기 위해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암벽을 보강하지 않고 밀봉하는 장치인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 1,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장치의 하부 부분과 완전히 대응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도 6의 실시예에 있는 장치는 보강 로드 또는 고정 수단을 포함하지 않는다. 대신에, 주입관(3)은 블라인드 단부 벽(blind end wall)(3A)을 구비한 비귀환 밸브(4) 하류로 종결된다.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에 의해, 양압 하에서 충진 재료를 보어 내측으로 도입할 수 있으며, 유지된 양압 하에서 경화시키고, 따라서, 보어 홀에 형성된 크랙(32)을 양호하게 밀봉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비교적 강하지만 누수가 있는 암석에 이용하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 청구범위의 권리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암석에 장치를 고정하는 익스팬더는 종래 기술에 속하는 다소의 것을 포함한 다수의 상이한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인지할 것이다. 시일 및 보강 장치는 고정하지 않고 전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비귀환 밸브(4) 및 고무 슬리브(10)는 다른 방식으로 다른 재료로 실행될 수 있다.

Claims (20)

  1. 암벽 내의 보어 홀(30) 내측으로 도입시키는 주입관(3)을 포함하며, 상기 주입관(3)을 통하여 상기 보어 홀로 충진 재료(31)를 주입시키는, 암벽을 밀봉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진 재료를 위한 비귀환 밸브(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귀환 밸브(4)는 상기 보어 홀 내의 충진 재료(31)의 양압을 지탱하게 하며, 상기 장치의 주입관(3)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귀환 밸브(4)는, 상기 주입관(3)을 둘러싸는, 바람직하게 질긴 탄성 재료의 슬리브(5)를 포함하며,
    상기 주입관(3)에는 슬리브(5) 영역 내의 출구 개구부(6)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5)는 고무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5)는 원뿔대의 외피 형상을 가지며, 상기 슬리브의 가장 좁은 폭의 짧은 말단부에 있는 원주는 상기 주입관(3) 둘레에 밀봉되어 배열되고, 상기 슬리브의 가장 넓은 폭의 짧은 말단부에 있는 원주는 상기 주입관(3)에 단단히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어 홀(30)의 개구부에 근접하게 배열되어 있는 부분에, 상기 보어 홀의 벽에 대항하여 작용하도록 배열된 시일(10)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10)은, 상기 비귀환 밸브(4)의 상류 위치에서 주입관(3)을 둘러싸는, 바람직하게 고무 또는 다른 질긴 탄성 재료의 슬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가 축방향으로 압축되는 경우 반경 방향으로 확장함으로써 상기 보어 홀의 벽에 대항하여 밀봉 효과를 달성하도록 배열되며, 바람직하게, 상기 슬리브에 의해 차지된 공간이 대신 충진 재료로 더 충진될 수 있도록, 충진 재료가 경화되었을 경우 상기 슬리브(10)가 제거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스 제거 콘딧(35)이 상기 장치와 관련하여 배열되며, 상기 충진 재료(31)가 상기 보어 홀 내측으로 주입되는 경우, 상기 보어 홀(30)로부터 공기 및 가스를 배출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암벽 내의 보어 홀(30) 내측으로 도입시키는 보강바(1)를 포함하며, 상기 보어 홀로 충진 재료(31)를 주입시키는, 암벽을 보강 및 밀봉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진 재료를 위한 비귀환 밸브(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비귀환 밸브(4)는 상기 보어 홀 내의 충진 재료(31)의 양압을 지탱하게 하며, 상기 장치가 상기 보어 홀(30) 내측으로 도입되기 전에, 이미 상기 보강 바(1)에 영구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 재료는 양압 하에서 주입되도록 배열되며, 상기 보어 홀 내측으로 인도되는 상기 암석 내의 임의의 크랙(32)이 충진 재료에 의해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귀환 밸브(4)가, 바람직하게 질긴 탄성 재료의 슬리브(5)를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가 상기 슬리브(5)의 영역에 출구 개구부(6)가 제공된 주입관을 둘러싸고, 상기 주입관은, 바람직하게 상기 보강 바(1)에 영구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5)는 고무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장치.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5)는 원뿔대의 외피 형상을 가지며, 상기 슬리브(5)는 원뿔대의 외피 형상을 가지며, 상기 슬리브의 가장 좁은 폭의 짧은 말단부에 있는 원주는 상기 주입관(3) 둘레에 밀봉되어 배열되고, 상기 슬리브의 가장 넓은 폭의 짧은 말단부에 있는 원주는 상기 주입관(3)에 단단히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9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어 홀(30)의 개구부에 근접하게 배열되어 있는 부분에, 상기 보어 홀의 벽에 대항하여 작용하도록 배열된 시일(10)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10)은 바람직하게 고무 또는 다른 질긴 탄성 재료의 슬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는 상기 비귀환 밸브(4)의 상류 위치에서 주입관(3)을 둘러싸고, 상기 슬리브가 축방향으로 압축되는 경우 반경 방향으로 확장함으로써 상기 보어 홀의 벽에 대항하여 밀봉 효과를 달성하며, 바람직하게, 상기 슬리브에 의해 차지된 공간이 대신 충진 재료로 더 충진될 수 있도록, 충진 재료가 경화되었을 경우 상기 슬리브(10)가 제거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 9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스 제거 콘딧(35)이 상기 장치와 관련하여 배열되며, 상기 충진 재료(31)가 상기 보어 홀 내측으로 주입되면서, 상기 보어 홀(30)로부터 공기 및 가스를 배출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9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보어 홀에 가장 멀리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부분에 암석을 고정하는 익스팬더가 제공되며, 바람직하게 상기 익스팬더는 보강 바(1)의 회전에 의해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익스팬더는 슬릿이 제공된 잠금 와셔(27)를 포함하며, 상기 슬릿은 상기 보강 바(1), 또는 상기 보강 바에 연결된 탑 피스(23) 둘레에 배열되며, 상기 잠금 와셔는 확장 전에 원뿔대의 외피 형상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익스팬더는, 상기 잠금 와셔의 원뿔대 외피 형상이 적어도 다소 평평해지기 위해, 익스팬더의 확장에 대해 상기 잠금 와셔(28)에 대항하여 가압되도록 배열되는 가압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 장치는 보어 홀 벽의 원주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07011984A 1998-04-27 1999-04-20 암벽을 밀봉시키는 장치 및 암벽을 보강 및 밀봉시키는 장치 KR1005928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801476-4 1998-04-27
SE9801476A SE510418C2 (sv) 1998-04-27 1998-04-27 Anordning för armering och tätning av bergväg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2580A true KR20010072580A (ko) 2001-07-31
KR100592808B1 KR100592808B1 (ko) 2006-09-11

Family

ID=20411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1984A KR100592808B1 (ko) 1998-04-27 1999-04-20 암벽을 밀봉시키는 장치 및 암벽을 보강 및 밀봉시키는 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EP (1) EP1075587B1 (ko)
JP (1) JP4504563B2 (ko)
KR (1) KR100592808B1 (ko)
AT (1) ATE252682T1 (ko)
AU (1) AU746551B2 (ko)
CA (1) CA2330044C (ko)
DE (1) DE69912267T2 (ko)
DK (1) DK1075587T3 (ko)
ES (1) ES2209508T3 (ko)
NO (1) NO315135B3 (ko)
PT (1) PT1075587E (ko)
SE (1) SE510418C2 (ko)
WO (1) WO19990560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14084C2 (sv) * 1999-04-21 2000-12-18 Gurlita Maskin Ab Anordning och metod för armering och tätning av bergvägg innefattande en expander för förankring
FI110540B (fi) 1999-12-02 2003-02-14 Sandvik Tamrock Oy Sovitelma juotosaineen syöttämiseksi
SE527424C2 (sv) * 2004-07-08 2006-02-28 Atlas Copco Rocktech Ab Anordning och förfarande vid injektering och fastsättning av armerings- och/eller förankringselement i bergvägg
FI125339B (fi) * 2012-12-10 2015-08-31 Suomen Metallityö Oy Kallioankkuripultti
FI20175091L (fi) * 2017-02-02 2018-08-03 Ferramill Oy Injektiotyökalu ja injektiomenetelm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1800A (en) * 1988-08-08 1993-01-26 Jennmar Corporation Mine roof anchor having adjustable resin retaining washer
NO176069C (no) * 1992-09-09 1999-06-25 Irsta Stolindustri As Anordning for forankring og gysing av bergbolt
SE509139C2 (sv) * 1997-04-10 1998-12-07 Skanska Anlaeggning Ab Sätt att samtidigt täta sprickor runt borrhål och förankra en bergbult, samt bergbul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252682T1 (de) 2003-11-15
JP2002533590A (ja) 2002-10-08
AU746551B2 (en) 2002-05-02
EP1075587A1 (en) 2001-02-14
PT1075587E (pt) 2004-03-31
NO315135B1 (no) 2003-07-14
NO20005456D0 (no) 2000-10-27
CA2330044A1 (en) 1999-11-04
AU4298799A (en) 1999-11-16
EP1075587B1 (en) 2003-10-22
DE69912267D1 (de) 2003-11-27
DE69912267T2 (de) 2004-08-26
CA2330044C (en) 2008-01-22
WO1999056001A1 (en) 1999-11-04
KR100592808B1 (ko) 2006-09-11
SE9801476D0 (sv) 1998-04-27
ES2209508T3 (es) 2004-06-16
DK1075587T3 (da) 2004-02-09
JP4504563B2 (ja) 2010-07-14
SE9801476L (sv) 1999-05-25
NO20005456L (no) 2000-12-27
NO315135B3 (no) 2003-07-14
SE510418C2 (sv) 1999-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78418B2 (ja) ロックアンカーボルト
US5636945A (en) Rockbolt
FI104844B (fi) Menetelmä betoniseinien rakentamiseksi käyttämällä laudoitusta sekä putkituki ja laite menetelmän soveltamiseksi
US20090052995A1 (en) Arrangement for injecting and affixing a reinforcing or anchoring element in a rock wall
US3222873A (en) Groutable rock anchor
KR20010072580A (ko) 암벽용 장치
JP4656797B2 (ja) パイプラインへのシェル組立体の固定方法
AU722633B2 (en) Injection device and injection method
WO2000068544A1 (en) Device and method in connection with a rock wall
CN110778028A (zh) 灌浆套筒组件及其施工方法
JP3400221B2 (ja) グラウンドアンカー
JPH09143965A (ja) 上向き孔用扉体固定アンカー
JP3053221U (ja) 先付け防水地下壁の構築に適用されるセパレータ装置
JPH0427096A (ja) 圧力式岩石破壊装置
GB2342369A (en) Tunnel sealing method and bolt therefor
JPH0354215B2 (ko)
KR19980050022U (ko) 구축용 기초볼트(Founclation Bolt)
JPS6153519B2 (ko)
JPH055989B2 (ko)
KR20020018528A (ko) 프리케스트 앙카 공법 및 장치
JPH063117B2 (ja) シ−ルド工法用止水具
KR20010109388A (ko) 터널 라이닝 콘크리트의 시공장치 및 방법
JPH09143966A (ja) 下向き孔用扉体固定アンカ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