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2370A - 고도로 투명한 폴리에틸렌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도로 투명한 폴리에틸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2370A
KR20010072370A KR1020017001720A KR20017001720A KR20010072370A KR 20010072370 A KR20010072370 A KR 20010072370A KR 1020017001720 A KR1020017001720 A KR 1020017001720A KR 20017001720 A KR20017001720 A KR 20017001720A KR 20010072370 A KR20010072370 A KR 20010072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ecular weight
alpha olefin
lldpe
ethylene
weight dis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1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0964B1 (ko
Inventor
히치콕에이미브로셋
호지안드레드애릭
Original Assignee
해리 제이. 그윈넬
이스트만 케미칼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리 제이. 그윈넬, 이스트만 케미칼 캄파니 filed Critical 해리 제이. 그윈넬
Publication of KR20010072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2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0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09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0Transparent films; Clear coatings; Transpar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04Macromolecular compounds according to groups C08L7/00 - C08L49/00, or C08L55/00 - C08L57/00;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토클레이브 방법으로 제조된 넓은 분자량 분포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기상 방법으로 제조된 좁은 분자량 분포의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신규한 조성물 또는 블렌드를 제공하고, 이러한 조성물 또는 블렌드는 투명성 및 강도를 둘 다 갖는 필름의 제조에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Description

고도로 투명한 폴리에틸렌 조성물{HIGH CLARITY POLYETHYLENE COMPOSITIONS}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은 많은 용도에서, 특히 필름 제품에서 바람직한 특성을 나타낸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필름 등급의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잘 알려진 오토클레이브 또는 관 형태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저밀도 폴리에틸렌에 비해 인성이 개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기상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필름 등급의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의 투명성은 불량하다. 이것은 단점이 되는데, 그 이유는 다수의 패키징 용도에서 상기 필름이 투명성 및 인성 둘 다의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예를 들면 LDPE와 블렌딩함으로써 LLDPE의 광학 특성을 개선시키려는 여러 시도가 있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하고 개선된 폴리에틸렌 조성물 또는 블렌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신규한 폴리에틸렌 조성물 또는 블렌드는 특정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및 특정한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으로부터 형성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블렌드는 광학 특성이 개선된 신규한 폴리에틸렌 조성물 또는 블렌드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오토클레이브 방법으로 제조된 넓은 분자량 분포의 LDPE와 기상 방법으로 제조된 좁은 분자량 분포의 LLDPE를 혼합함으로써 상기 목적은 물론 추가의 목적이 달성됨이 밝혀졌다. 생성된 조성물 또는 블렌드는 고도의 광택 및 낮은 헤이즈 특성으로 예시되는 개선된 광학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은 특히 예상되지 못한 것이었는데, 그 이유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LLDPE 및 LDPE 중합체 둘 다는 비교적 불량한 필름 투명성을 가진 반면, 두 중합체로부터 생성된 조성물 또는 블렌드는 필름으로 제조시 고도의 투명성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라, (a) 밀도가 약 0.915 내지 약 0.925g/cc이고, 분자량 분포(Mw/Mn)가 약 9 내지 약 15이고, 용융 지수가 약 1 내지 약 4g/10분인, 오토클레이브 방법으로 제조된 에틸렌 단독중합체 약 1 내지 약 3중량%; 및 (b) 기상 방법으로 제조된 선형 에틸렌-알파 올레핀 공중합체 약 97 내지 약 99중량%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조성물이 제공되고, 이 때 상기 알파 올레핀 공단량체는 공중합체의 약 5 내지 약 12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약 3 내지 약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고, 상기 공중합체의 분자량 분포(Mw/Mn)는 약 6 이하이고, 밀도는 약 0.90 내지 약 0.925g/cc이고, 용융 지수는 약 0.3 내지 약 4.0g/10분이다. 본 발명은 또한 필름 및 제조품의 제조에서의 상기 폴리에틸렌 조성물 또는 블렌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도의 광택 및 낮은 헤이즈(haze)의 특성으로 표시되는 고도의 투명성을 갖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조성물 또는 블렌드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틸렌 조성물은 넓은 분자량 분포의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과 좁은 분자량 분포의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블렌드는 두 성분, 즉 특정한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및 특정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두 성분은 하기에 더욱 상세히 기재된다.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은 공중합체를 기준으로 약 5 내지 약 12중량%의 알파 올레핀 공단량체를 함유하는 선형 에틸렌-알파 올레핀 공중합체이다. 알파 올레핀 공단량체는 분자당 약 3 내지 약 20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적합한 공단량체의 예는 프로필렌, 부텐-1, 펜텐-1, 4-메틸-펜텐-1, 헵텐-1, 헥센-1, 옥텐-1, 3-에틸-1-헥센 및 이들의 혼합물(예컨대, 부텐-1/헥센-1 및 부텐-1/옥텐-1) 등이다. 공단량체로서 본원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것은 헥센-1이다.
추가로, 본원 조성물의 LLDPE 성분은 용융 지수(M.I.)가 약 0.3 내지 약 4.0g/10분, 바람직하게는 약 0.25 내지 약 3.5g/10분인 것으로 특징된다. 추가로, LLDPE 성분은 밀도가 약 0.90 내지 약 0.925g/cc, 바람직하게는 약 0.904 내지 약 0.922g/cc인 것으로 특징된다. 또한, LLDPE 성분은 분자량 분포(Mw/Mn) 값이 약 6.0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3.0 내지 약 5.0,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5 내지 약4.0인 것으로 특징된다.
본원 조성물의 LLDPE 성분은 기상 유동층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산업 분야에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기상 유동층 방법은 일반적으로 금속 할라이드 또는 활성화된 금속 산화물과 혼합된 전이금속을 촉매로서 사용하는 저압 방법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원에 사용된 LLDPE 공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기상 유동층 방법은 약 300psi 및 100℃ 미만의 온도에서 작동하는 유동층 반응기에서 발생하는 중합 방법을 필요로 한다. 반응기 체류 시간은 약 4시간이다. 상기 층은 공급 기체를 압축기에 의해 순환시킴으로서 계속 유동화된다. 이러한 순환 기체 고리에서 교환된 기체는 반응의 열을 제거한다. 중합체 과립은 순환적 제거 시스템에 의해 소량의 회분식으로 유동층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제거된다. 잔여 단량체는 탈기되고 과립은 처리되어 촉매를 불활성화시킨다. 중합체 과립 및 다양한 첨가제는 이축 스크류 배합 압출기로 공급된다. 압출기는 고형물에 충분한 일을 공급하여 고형물을 용융시키고 혼합시킨다. 상기 용융물은 수중의 다이 면(die face)의 절단기를 통해 밀어 넣어져서 통상적인 펠렛을 형성한다. 이어서, 펠렛은 건조되고 패키징된다.
본원 조성물의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성분은 에틸렌 단독중합체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LDPE 성분은 용융 지수값이 약 1 내지 약 4g/10분,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약 2.5g/10분인 것으로 특징된다. 본원의 LDPE의 밀도는 약 0.915 내지 약 0.925g/cc, 바람직하게는 약 0.915 내지 약 0.920/cc의 범위이다. 본원의 LDPE 성분은 분자량 분포값(Mw/Mn)이 약 9 내지 약 15,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약 14이다.
본원에 사용된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은 오토클레이브 반응기에서의 잘 알려진 고압 촉매 중합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에틸렌은 오토클레이브 반응기중의 온도 및 압력하에 중합되어 폴리에틸렌을 형성한다. 상기 반응은 반응을 개시하고 유지시키기 위한 촉매를 사용하는 자유 라디칼 기상 반응이다. 제조된 폴리에틸렌의 바람직한 특성은 특정한 작동 조건(예컨대, 공급 기체의 속도, 온도 및 조성; 반응기의 압력 및 온도; 및 사용되는 특정 촉매)을 설정하고 유지시킴으로써 결정된다. LDPE 합성 설비는 일련의 반응기로 이루어진다. 다단계의 압축은 반응기로 도입되기 전에 에틸렌의 압력을 약 1500기압 이하로 증가시킨다. 반응기의 공급 기체는 반응기로 도입되기 전에 냉각된다. 용융된 중합체는 압출기 호퍼(hopper)로부터 다이 면을 통해 절단기 캐비넷으로 펌핑되고, 여기서 상기 중합체는 고화되어 펠렛으로 절단된다. 이어서, 펠렛은 건조되고 패키징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a)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약 97 내지 약 99중량%, 및 (b)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약 1 내지 약 3중량%를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 또는 블렌드가 제공되고, 이 때 상기 중량%는 폴리에틸렌 블렌드 조성물을 기준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조성물 또는 블렌드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LLDPE 약 98중량% 및 LDPE 약 2중량%를 포함한다. LDPE의 양이 약 3중량%를 초과하여 혼입하는 것은, 하기에 제시되는 바와 같이 필름으로서 사용될 때 조성물의 전체적인 특성이 만족스럽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에 유용하지 않다.
다수의 목적으로 위해서, 다른 통상적인 첨가제를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조성물에 혼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산화 방지제, 열 및 광 안정제, 염료, 대전방지제, 윤활제, 방부제, 가공 보조제, 슬립제(slip agent), 점착방지제, 안료, 난연제, 발포제 등이 첨가될 수 있다.
본원에 정의된 LLDPE 및 LDPE의 폴리에틸렌 조성물 또는 블렌드는 당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된다. 예를 들면, 조성물의 성분들은 밀 롤(mill roll), 압출기 또는 연속 믹서(mixer)와 같은 통상적인 혼합 기계상에서 함께 혼합될 수 있다. 본원 실시예의 조성물 또는 블렌드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LLDPE 및 LDPE 성분은 섬유 드럼(drum)에 담아져서 INS 플라스틱 텀블링(Plastic Tumbling) 장치상에서 5분 동안 혼합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블렌드는 당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기술에 의해 필름으로 제조될 수 있고, 취입 필름 기술에 의해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하기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취입 필름은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조성물 및 다른 비교물을 2.5in 에간(Egan) 압출기의 공급 호퍼로 도입함으로써 제조된다. 필름은 이중 립(lip) 공기냉각고리를 갖는 원형의 사노(Sano) 다이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6in 직경의 다이는 88mil의 개구부, 및 다이 원주 1in당 4.9lb/1hr의 공급 속도를 갖는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를 참조하여 더욱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물론, 일단 본 발명이 완전히 개시되었을 때 당업자에게 명백할 본 발명의 다수의 많은 형태가 존재하고,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는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 제공되는 것으로 인지될 것이고, 본 발명의 범주를 어떠한 방식으로도 한정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하기 시험 절차는 본원의 폴리에틸렌의 분석적 특성을 평가하고 실시예의 필름의 물리적 특성을 평가하는데 사용되었다.
용융 지수-ASTM D1238(190℃의 온도에서)
밀도-ASTM D4888
분자량 분포(Mw/Mn)는 중량 평균 분자량 대 수평균 분자량의 비율로서 결정하고, 상기 두 값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로부터 수집된 자료로부터 결정한다. 선형 폴리에틸렌 표준 NBS-1475에 의해 검량되는 워터스(Waters) 150 GPC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본원에 사용된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헤이즈-ASTM D1003
다트(Dart)-ASTM D1709A
광택-ASTM D2457
인열-ASTM D1922
LLDPE 및 LDPE의 조성물 또는 블렌드를 제조하는 하기 실시예의 각각에서, 하기 절차를 사용하였다. 이전에 기재된 오토클레이브 방법에 의해 제조된 예정된 양의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펠렛을 톨레도(Toledo) 저울을 사용하여 칭량하고섬유 드럼에 담았다. 여기에 이전에 기재된 기상 중합 방법에 의해 제조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펠렛의 예정된 양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LLDPE 및 LDPE 펠렛 둘 다를 담은 섬유 드럼을 INS 플라스틱 텀블링 장치상에 두고 5분 동안 혼합하여 목적한 폴리에틸렌 조성물 또는 블렌드를 수득하였다.
추가로, 폴리에틸렌 조성물 또는 블렌드로부터 또는 대조용 샘플로부터 필름을 제조하는 하기의 실시예 각각에서, 하기의 절차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결과로부터 발생된 효과를 증명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필름을 제조하였다. 특히, 폴리에틸렌 성분 또는 조성물을 공기에 의해 2.5in 에간 압출기의 공급 호퍼로 운반하고 취입 필름을 이중 립 공기냉각고리를 갖는 원형의 사노 다이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6in 직경의 다이는 88mil의 개구부, 및 다이 원주 1in당 4.9lb/hr의 공급 속도를 갖는다.
실시예 1 내지 7
이들 실시예에서, LLDPE-1은 기상 방법에 의해 제조된 고강도의 LLDPE 표준물이다. LLDPE-1의 용융 지수는 0.85g/10분이고, 밀도는 0.917g/cc이고, 분자량 분포(Mw/Mn)가 4이었다. LDPE-1은 8중량%의 1-헥센을 함유하는 에틸렌-헥센-1 공중합체이었다. LLDPE-2 성분은 8중량%의 1-헥센을 함유하는, 기상 방법에 의해 제조된 보통 강도의 에틸렌-헥센-1 공중합체이었다. LLDPE-2의 용융 지수는 0.9g/10분이고, 밀도는 0.920g/cc이고, 분자량 분포(Mw/Mn)가 3.9이었다. 실시예 3 내지 7의 LDPE-1 성분은 용융 지수가 1.7g/10분이고, 밀도가 0.918g/cc이고, 분자량 분포(Mw/Mn)가 12.2인 에틸렌 단독중합체이었고, 본원에 기재된 오토크레이브 방법에의해 제조되었다. LLDPE-1 및 LLDPE-2 성분은 본원에 기재된 기상 중합 방법에 의해 제조되었다. 실시예 1 내지 7에서, LLDPE-1 및 LDPE 성분의 양을 조성물 또는 블렌드의 총량을 기준으로 중량%로서 기록하였고, 성분들을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혼합하고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필름으로 제조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번호 실시예 1100% LLDPE-1 실시예 2100% LLDPE-2 실시예 399% LLDPE-11% LDPE-1 실시예 498% LLDPE-12% LDPE-1 실시예 597% LLDPE-13% LDPE-1 실시예 696% LLDPE-14% LDPE-1 실시예 795% LLDPE-15% LDPE-1
광택도 % 65.2 64.0 75.7 77.5 75.5 76.7 76.5
헤이즈 % 7.6 7.0 6.2 5.4 5.2 5.0 5.3
다트 g 290 200 320 266 216 189 192
인열-MD g 427 390 427 392 325 330 313
인열-TD g 581 625 664 625 661 658 628
두께 mil 0.8 0.8 0.8 0.8 0.8 0.8 0.8
표 1의 자료를 검토하는 경우, 모든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중합체 필름 제품의 투명성 및 강도가 많은 패키징 용도에서 유용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자료로부터 명백하듯이, 각각 LDPE-1을 1, 2 및 3중량%를 함유하는 실시예 3, 4 및 5의 폴리에틸렌 조성물은 100% 고강도 LLDPE-1로부터 제조된 필름과 비교할 때 광학 특성과 강도 특성의 최적의 균형을 제공하였다. 광학 특성이 상당히 개선되었다. 또한, 강도가 감소된 경향이 있지만, 실시예 3, 4 및 5의 필름 강도가 실시예 2의 보통 강도의 LLDPE-2의 필름 강도 수준에 비해 여전히 높다는 것은 주목할만하다. 그러나, 실시예 6 및 7에 대해서는, 이들로부터 제조된 필름의 광학 특성은 실시예 1 및 2의 LLDPE-1 및 LLDPE-2로부터 제조된 필름 둘 다에 비해 개선되었지만, 강도 수준면에서 불리함을 수반하였다. 실제로, 4 및 5중량%의 LDPE-1를 각각 함유하는 실시예 6 및 7의 폴리에틸렌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필름의 강도 수준은 실시예 1의 고강도 LLDPE-1에 비해 상당히 뒤떨어졌을 뿐만 아니라, 실시예 2의 보통 강도의 LLDPE-2의 강도 수준에 비해서도 낮았다. 또한, 1, 2 및 3중량%의 LDPE-1를 각각 함유하는 실시예 3, 4 및 5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전형적인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필름의 강도 수준은 실시예 6 및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4 및 5중량%의 LDPE-1를 함유하는 폴리에틸렌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필름보다 상당히 크다. 따라서, 표 1의 자료는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블렌드 및 필름에서의 LLDPE 및 LDPE의 비율 임계점을 뒷받침한다.
실시예 8 내지 14
이들 실시예에서는, 넓은 분자량 분포의 LDPE 및 좁은 분자량 분포의 LDPE를 이용함으로써 발생되는 효과를 나타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넓은 분자량 분포(Mw/Mn)는 약 9 내지 약 15의 비율이고, 좁은 분자량 분포(Mw/Mn)는 6 이하의 비율이다. 폴리에틸렌 조성물 또는 블렌드, 및 이들로부터 제조된 필름은 본원에 상세히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대조용 실험인 실시예 8은, 8중량%의 1-헥센을 함유하는 에틸렌/헥센-1의 공중합체이고 상기 기재된 기상 중합 방법에 의해 제조된 LLDPE-3을 이용하였다. 또한, LLDPE-3의 용융 지수는 0.85g/10분, 밀도는 0.918g/cc, 분자량 분포(Mw/Mn)는 4인 것으로 특징된다. LLDPE-3을 또한 실시예 9 내지 14의 조성물 또는 블렌드의 기본 성분으로서 사용하였고, 이 때 LLDPE-3은 전체 폴리에틸렌 조성물을 기준으로 98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LDPE 성분은 2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편리함을 위하여, 실시예 9 내지 14에서 사용되고 본원에 기재된 오토클레이브 방법에 의해 제조된 LDPE 성분의 특징을 표 2에 기록하였다.
실시예 번호 & 참고 실시예 9LDPE-2 실시예 10LDPE-3 실시예 11LDPE-4 실시예 12LDPE-5 실시예 13LDPE-6 실시예 14LDPE-7
용융 지수,g/10분 20 20 7 7.4 1.7 1.7
밀도,g/cc 0.916 0.919 0.917 0.921 0.918 0.920
분자량 분포Mw/mn 11 4 11 3.6 12.2 3.5
좁은 분자량 분포(Mw/Mn)의 LLDPE를 갖는 조성물의 성분으로서, 좁은 분자량 분포의 LDPE보다는 넓은 분자량 분포의 LDPE를 사용하는 임계점을 나타내는 자료를 표 3에 기록하였다.
실시예 번호 실시예 8100% LLDPE-3 실시예 998%LLDPE-32% LDPE-2 실시예 1098% LLDPE-32% LDPE-3 실시예 1198% LLDPE-32% LDPE-4 실시예 1298% LLDPE-32% LDPE-5 실시예 1398% LLDPE-32% LDPE-6 실시예 1498% LLDPE-32% LDPE-7
광택도 % 64.2 81.9 74.9 75.6 79.7 81.7 79.0
헤이즈 % 7.6 5.1 6.4 4.6 6.7 4.3 5.2
다트 g 450 567 220 305 119 330 375
인열-MD g 542 403 527 456 485 354 511
인열-TD g 617 673 609 625 6.2 672 685
표 2 및 3의 자료와 관련하여, 실시예 9와 10, 실시예 11과 12, 및 실시예 13과 14를 쌍으로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각 쌍의 실시예에서 LDPE 성분의 용융 지수 및 밀도는 유사한 반면, 폴리에틸렌 조성물의 LDPE 성분의 분자량 분포(Mw/Mn)는 좁거나(즉, 6 이하) 또는 넓었기(즉, 약 9 내지 약 15) 때문에 비교가 용이하게 이루어졌다. 자료를 검토할 때, 특성들의 균형이 필름 제조시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모든 특성을 고려하는 것은 중요하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필름의 투명성 및 강도 둘 다는 다수의 패키징 용도에서 중요하다. 따라서, 표 3의 자료는 균형의 면에서, 좁은 분자량 분포의 LLDPE 및 좁은 분자량 분포의 LDPE를 함유하는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필름에 비해, 넓은 분자량 분포를 갖는 LDPE와 좁은 분자량 분포의 LLDPE 공중합체의 조성물 또는 블렌드로부터 필름을 제조함으로써 뛰어난 특성이 달성됨을 나타낸다. 결국, 표 2 및 3의 자료부터, 좁은 분자량 분포의 LLDPE를 갖는 조성물의 LDPE 성분의 분자량 분포는 수득될 뛰어난 필름 특성을 위해서 넓어야 하고, 즉 약 9 내지 약 15이어야 함이 명백하다.
실시예 15 및 16
이들 실시예에서, 저밀도의 LLDPE를 사용하는 효과를 예시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15 및 16에서는, 본원에 기재된 기상 중합 방법에 의해 제조된, 1-헥센 20중량%를 함유하는 에틸렌/헥센-1의 공중합체인 LLDPE-4를 사용하였다. 또한, LLDPE-4는 용융 지수가 0.5g/10분이고, 밀도가 0.906g/cc이고, 및 분자량 분포 지수(Mw/Mn)가 4인 것으로 특징된다. 실시예 15 및 16에서는, 이전에 상세히 기재된 바와 같이 조성물 및 이로부터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6의 조성물을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LLDPE-4 98중량% 및 LDPE-8 2중량%로 구성하였다. LDPE-8 성분은, 용융 지수가 1.7g/10분, 밀도 0.918g/cc, 분자량 분포(Mw/Mn)가 12.2인 것으로 특징되는, 상기 기재된 오토클레이브 방법에 의해 제조된 에틸렌 단독중합체이었다. 수득된 결과를 하기 표 4에 기록하였다.
실시예 번호 실시예 15100% LLDPE-4 실시예 1698% LLDPE-42% LDPE-8
광택도 % 55.4 67.5
헤이즈 % 12.5 8.4
다트 g 2000 초과 1522
인열-MD g 568 374
인열-TD g 560 597
표 4의 자료를 검토해보면, 넓은 분자량 분포(Mw/Mn)의 LDPE를 갖는 LLDPE의 조성물 또는 블렌드를 제공함으로써 LLDPE 필름의 광학 특성이 상당히 개선되었음이 명백해진다. 표 4의 자료에서는 본 발명이 이전에 사용된 LLDPE 성분의 밀도에 비해 더 낮은 밀도를 갖는 LLDPE를 사용하기에 적합함을 나타낸다.
본원에 기재된 본 발명의 형태는 단지 예시된 것이고,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은 아님이 명확히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하기 청구의 범위의 범주내에 속하는 모든 변형을 포함한다.

Claims (15)

  1. (a) 밀도가 0.915 내지 0.925g/cc이고, 분자량 분포(Mw/Mn)가 9 내지 15이고, 용융 지수가 1 내지 4g/10분인, 오토클레이브 방법으로 제조된 에틸렌 단독중합체 1 내지 3중량%; 및 (b) 기상 중합 방법으로 제조된 선형 에틸렌-알파 올레핀 공중합체 97 내지 99중량%를 포함하고(여기서, 상기 중량%는 상기 에틸렌 단독중합체(a)와 상기 선형 에틸렌-알파 올레핀 공중합체(b)의 총량을 기준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알파 올레핀 공단량체가 공중합체를 기준으로 5 내지 12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며 3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고, 공중합체의 분자량 분포(Mw/Mn)가 6 이하이고, 밀도가 0.90 내지 0.925g/cc이고, 용융 지수가 0.3 내지 4.0g/10분인,
    중합체 블렌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알파 올레핀 공단량체가 프로필렌, 부텐-1, 펜텐-1, 4-메틸-펜텐-1, 헵텐-1, 헥센-1, 옥텐-1, 3-에틸-1-헥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알파 올레핀 공단량체가 헥센-1인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선형 에틸렌-알파 올레핀 공중합체의 용융 지수가 0.25 내지 3.5g/10분인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선형 에틸렌-알파 올레핀 공중합체의 밀도가 0.904 내지 0.922g/cc인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선형 에틸렌-알파 올레핀 공중합체의 분자량 분포(Mw/Mn)가 3.0 내지 5.0인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선형 에틸렌-알파 올레핀 공중합체의 분자량 분포(Mw/Mn)가 3.5 내지 4.0인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선형 에틸렌-알파 올레핀 공중합체의 용융 지수가 0.25 내지 3.5g/10분, 밀도가 0.904 내지 0.922g/cc, 분자량 분포(Mw/Mn)가 3.0 내지 5.0이고, 선형 에틸렌-알파 올레핀 공중합체가 에틸렌-헥센-1인 조성물.
  9.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용융 지수가 1.5 내지 2.5g/10분, 밀도가 0.915 내지 0.920g/cc, 분자량 분포(Mw/Mn)가 10 내지 14인 조성물.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선형 에틸렌-알파 올레핀 공중합체의 용융 지수가 0.25 내지 3.5g/10분, 밀도가 0.904 내지 0.922g/cc, 분자량 분포(Mw/Mn)가 3.0 내지 5.0이고,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용융 지수가 1.5 내지 2.5g/10분, 밀도가 0.915 내지 0.920g/cc, 분자량 분포(Mw/Mn)가 10 내지 14인 조성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선형 에틸렌-알파 올레핀 공중합체가 에틸렌-헥센-1인 조성물.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틸렌 단독중합체(a)가 2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선형 에틸렌-알파 올레핀 공중합체(b)가 98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조성물.
  13. 제 10 항에 있어서,
    에틸렌 단독중합체가 2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선형 에틸렌-알파 올레핀 공중합체가 98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며, 선형 에틸렌-알파 올레핀 공중합체가 에틸렌-헥센-1인 조성물.
  14. 제 1 항, 제 10 항 및 제 13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필름.
  15. 제 1 항, 제 10 항 및 제 13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품.
KR1020017001720A 1998-08-11 1999-07-27 고도로 투명한 폴리에틸렌 조성물 KR1006109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132,203 US6130293A (en) 1998-08-11 1998-08-11 High clarity polyethylene compositions
US09/132,203 1998-08-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2370A true KR20010072370A (ko) 2001-07-31
KR100610964B1 KR100610964B1 (ko) 2006-08-10

Family

ID=22452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1720A KR100610964B1 (ko) 1998-08-11 1999-07-27 고도로 투명한 폴리에틸렌 조성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130293A (ko)
EP (1) EP1115775B1 (ko)
KR (1) KR100610964B1 (ko)
AU (1) AU5231799A (ko)
BR (1) BR9912916B1 (ko)
CA (1) CA2340041A1 (ko)
DE (1) DE69933782T2 (ko)
MY (1) MY133986A (ko)
WO (1) WO20000095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41617B2 (en) * 2004-01-09 2006-05-09 Chevron Phillips Chemical Company, L.P. Catalyst compositions and polyolefins for extrusion coating applications
EP1333044B2 (en) * 2002-02-04 2011-06-15 Borealis Technology Oy Film with high impact strength
US20040086874A1 (en) * 2002-10-31 2004-05-06 Parker Russell A. Devices and methods for holding a biopolymeric array
KR101094556B1 (ko) 2009-08-21 2011-12-19 호남석유화학 주식회사 수가교 전선용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와 이를 이용한 전선용 수지 조성물 및 수가교 전선
US20110160403A1 (en) 2009-12-30 2011-06-30 Equistar Chemicals, Lp Films of polyethlene blends
US9029478B2 (en) 2011-02-07 2015-05-12 Equistar Chemicals, Lp High clarity polyethylene films
CN103635525B (zh) 2011-07-08 2016-09-14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适合用于吹塑膜的聚乙烯共混物组合物,生产它的方法,和由其制备的膜
EP2785786B1 (en) 2011-12-01 2018-05-30 Ineos Europe AG Polymer blends
ES2587740T3 (es) * 2012-06-26 2016-10-26 Dow Global Technologies Llc Una composición mezcla de polietileno adecuada para películas sopladas y películas obtenidas a partir de la misma
WO2014003926A1 (en) * 2012-06-26 2014-01-03 Dow Global Technologies Llc A polyethylene blend-composition suitable for blown films, and films made therefrom
US9828495B2 (en) * 2014-12-19 2017-11-28 Dow Global Technologies Llc Low haze polyethylene polymer compositions
KR102652841B1 (ko) 2016-02-23 2024-04-01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에틸렌계 중합체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N111269485B (zh) * 2018-12-05 2023-03-17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高阻隔性聚乙烯组合物以及制备方法和薄膜与应用
EP4284643A1 (en) 2021-01-29 2023-12-06 Dow Global Technologies LLC Coated film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ZA791365B (en) * 1978-03-31 1980-11-26 Union Carbide Corp Process for making film from low density ethylene hydrocarbon copolymer
US4243619A (en) * 1978-03-31 1981-01-06 Union Carbide Corporation Process for making film from low density ethylene hydrocarbon copolymer
SE422070B (sv) * 1980-09-04 1982-02-15 Unifos Kemi Ab Streckt polyetenbaserat termoplastmaterial och forfarande for dess framstellning
ZA832777B (en) * 1982-04-27 1984-11-28 Bp Chem Int Ltd Polyethylene blend and film
CA2146003A1 (en) * 1992-10-02 1994-04-14 Oscar Trini Garza, Jr. Improved shrink film and methods relating thereto
CA2103401C (en) * 1992-11-19 2002-12-17 Mamoru Takahashi Ethylene copolymer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933782T2 (de) 2007-02-08
BR9912916A (pt) 2001-10-09
DE69933782D1 (de) 2006-12-07
EP1115775B1 (en) 2006-10-25
EP1115775A1 (en) 2001-07-18
KR100610964B1 (ko) 2006-08-10
BR9912916B1 (pt) 2009-05-05
WO2000009594A1 (en) 2000-02-24
AU5231799A (en) 2000-03-06
MY133986A (en) 2007-11-30
US6130293A (en) 2000-10-10
CA2340041A1 (en) 2000-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75974A (en) Extruded gloss improvement in pipe blends with low pressure low density polyethylene
US5455303A (en)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based compositions with improved optics
EP0095253B1 (en) Polyethylene blend and film
EP0607342B1 (en) Polyethylene films exhibiting low blocking force
US3998914A (en) Film from a blend of high density polyethylene and a low density ethylene polymer
EP0853549B1 (en) Films comprising metallocene catalyzed polyethylene
KR100610964B1 (ko) 고도로 투명한 폴리에틸렌 조성물
US5102955A (en) Broad distribution, high molecular weight low density polyethylene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AU7996298A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a composition comprising ethylene polymers
GB2097324A (en) Shrink films of ethylene/ alpha - olefin copolymers
EP3234005B1 (en) Low haze polyethylene polymer compositions
WO2002055601A1 (en) High shrink polyethylene films
JPS6210150A (ja) インフレ−シヨンフイルム用樹脂組成物
US5922800A (en) Blends of calcium carbonate and LLDPE
CN114573902A (zh) 聚乙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0563482B1 (ko) 고충격특성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조성물
JPH0519448B2 (ko)
KR20190062899A (ko) 농업용 필름 제조를 위한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JP3544872B2 (ja) 液体添加剤含浸グラニュラー状エチレン−α−オレフィン共重合体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樹脂組成物並びにこれら組成物からなる成形物
KR101812887B1 (ko) 일반 공업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JPS6069105A (ja) 結晶性ポリプロピレンの変性方法
US3157612A (en) Reducing die swell of extruded ethylene polymers with an additive of iron phthalocyanine and zinc pentachlorothiophenol
JPH0848827A (ja) 透明性の改良されたエチレン系樹脂組成物
KR20040110114A (ko) 고충격특성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조성물
JPH0543503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