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1357A - 특히 자동차에서 실행할 수 있는 폐쇄 기능을 위한 폐쇄장치 - Google Patents
특히 자동차에서 실행할 수 있는 폐쇄 기능을 위한 폐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071357A KR20010071357A KR1020007013540A KR20007013540A KR20010071357A KR 20010071357 A KR20010071357 A KR 20010071357A KR 1020007013540 A KR1020007013540 A KR 1020007013540A KR 20007013540 A KR20007013540 A KR 20007013540A KR 20010071357 A KR20010071357 A KR 2001007135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ider
- lock
- spring
- adjustment
- hous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54—Fraction or shear lines; Slip-clutches, resilient parts or the like for preventing damage when forced or slammed
- E05B17/0058—Fraction or shear lines; Slip-clutches, resilient parts or the like for preventing damage when forced or slammed with non-destructive disengagement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4—Devices for coupling the turning cylinder of a single or a double cylinder lock with the bolt operating member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쇄 실린더(70)가 프리 부싱(20)과 폴로우어(15)가 제공된 실린더 코어(10)를 포함하고 있는 폐쇄 장치(71)에 관한 것이다. 상기 프리 부싱(20)은 하우징(30)에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정상적인 경우에는, 상기 부싱은 오버로드 인터록(60)의 스프링 하중을 받는 잠금-조정-부재(6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상기 폐쇄 기능은 동작 부재(50)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동작 부재는 상기 동작 부재(50) 안에 배열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이동가능한 슬라이더(40)와 함께 동작한다. 구조적으로 낮은 축방향 높이를 가지는 공간 절약형 장치(71)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잠금-조정-부재(61')는 반경방향으로 자유로운 위치에 있으며 판 형상의 스프링(37)으로부터 직접 하중을 받는다. 그런 경우, 상기 슬라이더(40)에 무관하게, 상기 폴로우어(15)도 배열되어 있는 실린더의 한 영역(12)으로 상기 잠금-조정-부재(61')가 이동할 수 있게된다. 축방향 연결부(80)는 상기 오버로드 인터록(60)으로부터 상기 슬라이더(40)로의 스프링 하중(33)의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실린더 코어에 적합한 키이를 완전히 삽입하여 돌리면, 상기 폐쇄 장치의 경우에 상기 회전은 동작 부재에 전달되고, 상기 동작 부재는 자물쇠에 작동하고 거기에서 폐쇄 기능을 실행하게 된다. 폐쇄 실린더를 절도 공구로 억지로 돌리면, 오버로드 인터록에 의해 상기 실린더 코어가 프리 부싱과 함께 회전하지만, 상기 회전이 상기 동작 부재에는 전달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폐쇄 기능이 실시되지는 않는다. 더 나아가서, 과하중이 걸리면 상기 동작 부재에서 어떠한 조작도 이루어질 수 없는데, 이는 상기 동작 부재가 차단 위치에 있기 때문이다; 상기 동작 부재가 하우징 안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과하중 안전 장치는 절도 공구로 억지로 개방하려는 시도가 있을 때 상기 폐쇄 장치가 손상되지 않도록 보장한다; 그러므로 상기 폐쇄 장치는 적합한 키이를 이용해 정해진대로 작동된다.
제 1 항의 전제부에 제시된 종류(DE 44 12 609 A)의 장치는 유용한 것으로 증명되었지만 구조적으로 축방향 길이가 비교적 크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상기 장치의 경우에, 상기 오버로드 인터록은 상기 폴로우어를 가지는 한 실린더 영역뒤에 배열되어 있는 상기 실린더 코어의 축방향 연장부에 배열될 수밖에 없다. 상기 슬라이더는 레버로서 형성된 동작 부재의 리세스 안에 배열되어 있다. 상기 리세스 안에는 압축 스프링도 배열될 수밖에 없으며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동작 부재 사이에 지지되고 거기에 있는 상기 오버로드 인터록의 잠금-조정-부재를 위한 반경 방향의 스프링 하중을 발생한다. 그러므로 상기 오버로드 인터록의 스프링 하중은 간접적으로, 상기 슬라이더에 의해 발생된다. 공간 상의 이유로 상기 압축 스프링은 작게만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그의 반경 방향의 스프링 하중은 제한을 받는다. 상기 스프링 하중이 효과적으로 설정되도록,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잠금-조정-부재에 지지되어 있는 축방향 탭을 갖는다. 상기 슬라이더의 지지작용 탭은 상기 잠금-조정-부재와 동일한 영역에 위치한다. 그 외에도 상기 동일한 축방향 영역에, 상기 슬라이더에 제공된 혀형상 볼트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 부싱 사이의 차단면이 위치하며 상기 잠금-조정-부재를 위한 반경방향 홈이 있는 하우징의 내부 부싱도 위치한다. 상기 종래의 장치는 상기 오버로드 인터록 외에 롤러로서 형성된 잠금 지지부도 가지며, 상기 잠금 지지부는 판스프링에 의해 상기 프리 부싱의 잠금 리세스 안으로 눌린다. 상기 잠금 지지부는 상기 오버로드 인터록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떨어져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에 대한 조정 작용을 할 수 없었다. 상기 종래의 장치가 공간을 많이 차지하였고 충분히 큰 스프링 하중을 오버로드 인터록에 가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제 1 항의 전제부에 제시된 종류의 폐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도 2에 도시된 키이를 빼고 도 2의 선 I - I을 따라서 절개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 1 실시예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2 는 적합한 키이를 삽입하고 도 1의 선 II - II을 따라서 절개한 상기 장치의 제 1 의 횡단면도,
도 3 은 도 1의 선 III - III을 따라 절개한 상기 장치의 제 2 의 횡단면도,
도 4 는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은 절도 공구로 강제로 돌려서 오버로드 인터록이 프리러닝 위치로 가있는 상기 장치의 도 1에 상응하는 종단면도,
도 5 는 상기 장치가 프리러닝 위치에 있는 경우, 절도 공구가 삽입되어 있는 장치의, 도 4의 선 V - V을 따라 절개한 도 2에 상응하는 횡단면도,
도 6 은 도 4의 선 VI - VI을 따라서 절개한 프리러닝 위치에 있는 장치의 도 3과 유사한 제 2 의 횡단면도,
도 7 은 키이를 다시 빼고서 도 8의 선 VII - VII을 따라 절개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 2 의 실시예의 도 1과 유사한 종단면도,
도 8 은 적합한 키이를 다시 삽입하고 선 VIII - VIII을 따라서 절개한 도 7의 장치의 횡단면도,
도 9 는 도 7의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사시도,
도 10 은 도 7에 도시된 장치의 변형예로서 키이가 빠져 있는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제 3 의, 역시 개략적으로 도시된 장치의 종단면도.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구조적으로 낮은 축방향 길이를 특징으로 하는 제 1항의 전제부에 언급한 종류의 공간을 절약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라서 제 1 항의 특징부에 열거되고 다음과 같은 특별한 의미가 부여된 조치들을 통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잠금-조정-부재는 상기 슬라이더의 위치에 무관하게 배열되지만 상기 실린더 코어의, 상기 폴로우어도 위치하는 바로 그 실린더 영역에 배열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폐쇄 장치 안에서 축방향 공간이 절약된다. 상기 실린더 영역에서 상기 잠금-조정-부재는 반경방향으로 밖을 향해 자유로우며 판스프링으로 커버되고, 상기 판스프링에 의해 상기 오버로드 인터록의 반경방향 탄성력이 직접 상기 잠금-조정-부재에 작용한다.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잠금-조정-부재로부터 축방향으로 떨어져 있을 수 있다. 그런 경우 상기 슬라이더와 무관하게 작용하는 상기 오버로드 인터록의 스프링 하중은 상기 판스프링의 크기를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그 외에도 위와 같은 판스프링에 의해 또는 별도의 판스프링에 의해, 예를 들어 지름 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열된 한 쌍의 부재인 다수의 잠금-조정-부재가 상기 오버로드 인터록에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잠금-조정-부재에 직접 작용하는 상기 판스프링의 스프링 하중은 본 발명에서 상기 슬라이더의 조정에 이용된다. 이를 위해 축방향 연결부가 이용되며, 상기 축방향 연결부가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잠금-조정-부재 사이의 거리를 이어준다. 상기 축방향 연결부는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방법에는 본 발명의 고유 의미가 부여되어 있다.
상기 축방향 연결부를 위한 제 1 의 방법은 제 6 항에 열거되어 있다. 상기연결부는 상기 하우징밖에서 반경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잠금-조정-부재에 작용하는 판스프링과 단체로 형성되거나 다수의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유니트로 연결될 수도 있다. 과하중이 걸리는 경우 상기 잠금-조정-부재가 상기 프리 부싱의 반경방향 리세스로부터 들리면, 상기 조정 부재와 상기 스프링이 반경방향 운동을 함께 실시하고, 상기 운동은 상기 조정 부재를 거쳐서 상기 슬라이더에 전달된다.
상기 축방향 연결부를 위한 제 2 의 방법은 제 2 항에 열거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잠금-조정-부재와 상기 슬라이더 사이에 직접적인 형상 결합식 연결부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에, 상기 잠금-조정-부재에 작용하는 스프링이 이중 기능을 갖는다. 한 편으로, 이것은, 제 1 항과의 관계에서 이미 설명한 것처럼, 상기 오버로드 인터록의 반경 방향 스프링 하중으로서 이용된다. 그러나 상기 형상 결합을 통해 상기 스프링은 제 1 항의 전제부에 언급한, 상기 슬라이더를 눌러 그 결합 위치에 있게 유지하는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새로운 기능도 갖는다. 과하중이 걸리는 경우 상기 형상 결합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는 그의 차단 위치로 넘어가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차단 위치에 고정되고 그와 동시에 상기 동작 부재도 상기 하우징 안에 차단된다. 슬라이더와 잠금-조정-부재 사이의 형상 결합식 연결부의 특히 간단한 형성은 제 3 항에서 도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조치 및 장점은 종속항, 하기의 실시예 및 도면 설명에서 도출된다. 본 발명은 3개의 실시예의 형태로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3개의 장치(71, 72, 73)는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문에 설치되며 폐쇄 실린더(70)와 관련하여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폐쇄 실린더(70)는 프리 부싱(20)과 그 안에서 축방향으로 고정되고 지지되어 회전할 수 있는 실린더 코어(10)로 이루어진다. 축방향으로 고정되는 연결은 상기 부재들 사이에 내부 단차형 표면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실린더 코어에 단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 코어는 연장된 실린더 헤드(11), 스프링 하중을 받는 폴로우어(15)를 가지는 실린더 영역(12) 및 반경방향으로 단이 형성된 실린더 단부(13)를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 코어(10)는 도 2의 횡단면도에 도시된 키이(16)를 수납하기 위한 키이 통로(14)를 갖는다. 상기 키이(16)를 빼놓으면, 상기 폴로우어(15)는 그의 스프링 하중 때문에 반경방향으로 외부를 향해 밀려나고, 도 2에서 15'로 표시된 것처럼, 상기 프리 부싱(20)의 차단 통로(22)와 결합한다. 그 후, 상기 실린더 코어(10)는 상기 프리 부싱(20)으로 잠기게 된다.
상기 프리 부싱(20)은 고정형 원통 하우징(30)에 지지되어 회전될 수 있지만, 이는 상기 하우징(30) 안에 있는 오버로드 인터록(60)을 통해 억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므로 상기 프리 부싱(20)은 상기 하우징(30)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실린더 단부(13)에 동작 부재(50)가 지지되어 회전한다. 상기 제 1 의 장치(71)에서 상기 동작 부재(50)는 도 1에서 파악가능한 장착 수단(65)을 통해 상기 실린더 단부(13)에 축방향으로 고정 배치되어 있는 샤프트로 이루어진다. 상기 동작 부재(50)의 탭(66)은 그 의미 및 작용이 상술되어 있으며 도 3에서 가장 잘 파악되는 슬라이더(40)의 리세스(67)와 결합한다. 그 때문에,도 3에서 파악되는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연결이 상기 동작 부재(50)와 상기 슬라이더(40) 사이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실린더 코어(10)는 도 1과 도 2에서 파악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펄스 스프링(75)을 통해 정해질 수 있는 중립 지점에 위치한다. 상기 펄스 스프링(75)의 코일은 상기 동작 부재(50)와 그의 양 레그를 에워싸고 있으며 상기 슬라이더(40) 또는 상기 하우징(30)에 의해 2개의 축방향 탭(68, 74)이 그들 사이에 고정하고 있다. 상기 중립 지점에서 적합한 키이(16)를 상기 키이 통로(14)에 삽입하거나 다시 뺄 수 있다. 상기 키이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폴로우어(15)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실린더 코어(10)의 둘레에 정돈되어 있다. 그런 경우, 상기 실린더 코어(10)는 상기 프리 부싱(20) 안에서 상기 화살표(18)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키이(16)를 조작할 때 상기 실린더 코어는 다양한 각도 위치로 넘어갈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각도 위치는 상기 치차(50) 및 이 치차와 결합하는 자물쇠의 일정한 동작 위치에 일치한다. 상기 실린더 코어(10)의 회전(18)은 일반적인 경우 다음과 같이 상기 동작 부재(50)에 전달된다.
이미 언급한 상기 슬라이더(40)는 상기 실린더 영역(12)과 상기 프리 부싱(20)의 실린더 단부(13)와 상기 하우징(30) 사이의 단 표면의 내측 정면에 위치하므로, 반경방향 가이드(54)가 상기 슬라이더(4)를 위해 제공된다. 상기 슬라이더(40)가 도 3의 화살표(44)의 방향으로 힘을 받으며, 이는 상기 장치(71)에서 특수하게 이루어지고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이 때 도 1에서 파악할 수 있는결합면(17, 47)이 서로 결합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더(40)에 속하는 결합면(47)은 상기 리세스(67)를 가리키는 노즈로 이루어지고, 상기 노즈는 상기 실린더 단부(13)의 영역에서 반경 방향 홈(17)에 결합한다. 그 때문에, 상기 실린더 코어(10)의 중립 지점에서 상기 동작 부재(50)의 출력 회전 위치도 규정되어 있다. 키이에 의해 상기 실린더 코어(10)가 회전(18)될 때, 결합이 이루어지는 커플링(17, 47 및 66, 67)에 의해 상기 동작 부재(50)는 상기 실린더 코어(10)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자물쇠 부재들에서 바라던 폐쇄 기능을 실시한다.
앞서 언급한 오버로드 인터록(60)은 도 1과 도 2에서 파악가능한 다음과 같은 특별한 구조를 갖는다. 이 경우에 2개의 잠금-조정-부재(61, 61')가 상기 구조에 속하며, 상기 잠금-조정-부재의 수는 필요한 경우 늘어날 수도 있으며 또는 단 하나의 부재로 대체될 수도 있다. 이 예에서 상기 양 부재는 도 2에서 가장 잘 파악할 수 있는 것처럼, 서로 대향하여 지름 방향으로 배열되고 대칭적으로 정렬되어 있다. 이들은 화살표(33, 33')의 방향으로 도 1에서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실린더 축(19) 쪽으로 스프링 하중을 받는다. 그들 양 구조가 같기 때문에 상기 잠금-조정-부재(61)를 살펴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상기 잠금-조정-부재(61)는 이 경우 회전체, 즉 롤러로 이루어진다. 상기 롤러(61)는 그의 외적 크기에 맞게 상기 하우징(30)의 반경방향 홈(31)에 헐겁게 위치한다. 상기 프리 부싱(20)의 둘레 영역에 있는 반경방향 리세스(21) 역시 상기 오버로드 인터록(60)에 속하며, 도 2에 따른 상기 롤러(61)의 반경방향으로 안쪽에 있는 둘레 영역(62)은 정상적인 경우에 상기 반경방향 리세스와 결합한다.
앞서 언급한 스프링 하중(33)은 상기 장치(71)의 경우에 슬롯이 형성된 링 스프링(37)으로부터 시작하며, 상기 링 스프링은 도 2에 도시된 횡단면도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반경방향 평면에서, 즉 도 1의 II - II의 단면에서 상기 하우징(30)을 에워싸며 슬롯을 통해 분리된, 반경방향으로 탄성작용을 하는 링 세그먼트가 상기 양 잠금-조정-부재(61, 61')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에서 해당 반경방향 홈(31)은 도 2에 도시된 하우징 외면(77) 쪽으로 개방되어 있으므로, 상기 양 잠금-조정-부재(61, 61')의 각각의 반경방향 홈 단부(63)가 자유로우며 슬롯이 제공된 링 스프링(37)의 레그 단부로 덮혀있다. 그러므로 상기 링 스프링은 상기 잠금-조정-부재(61 또는 61')에 직접 영향을 주며 상기 오버로드 인터록(60)의 반경방향 스프링 하중(33)을 가한다. 상기 양 잠금-조정-부재(61, 61')는 상기 폴로우어(12)를 가지는 축방향 영역 옆에 반경방향으로 위치한다. 이는 상기 장치(71)에 적용될뿐만 아니라 도 7 또는 도 10에 도시된 다른 양 장치(72, 73)에도 적용된다. 3가지 경우 모두(71 내지 73)에 상기 슬라이더(40)는, 도 1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폐쇄 실린더(70)의 축에서 오프셋된 영역(69)에 배열되지만, 상기 양 부재(61' 또는 61) 중 하나와 슬라이더(40) 각각 사이에 축방향 연결이 이루어지고, 이것은 상기 장치(71 내지 73)에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의 장치의 실시예에서 상기 잠금-조정-부재(61')와 상기 슬라이더(40) 사이에 형상 결합식 연결이 제공된다. 도 3에서 가장 잘 파악할 수 있는 바처럼, 상기 연결부(80)는 상기 슬라이더(40)의 연결 가이드(82)에 결합하는 축방향 핀(8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 가이드(82)의 길이에는 상기 실린더코어(10)의 회전 운동(18)의 크기가 고려되어 있다. 상기 형상 결합부(80)를 통해 도 2에 따른 상기 잠금-조정-부재(61')에 직접 작용할 수 있는 스프링 하중(33')은 상기 슬라이더(40)에 간접적으로도 작용한다; 거기에서 이미 언급한, 도 3에서 파악가능한 복원력이 발생하며, 이 때 상기 복원력은 일반적으로 결합을 통해 이루어지는 결합 위치에 이미 언급한 결합면(17, 47)을 있게 한다.
그러나 상기 잠금-제어 부재(61')에 의한 상기 슬라이더(40)의 조정은 정상적인 경우에도 적용될 뿐만아니라, 도 4내지 도 6에서 알 수있는바처럼, 과하중이 걸리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절도 공구(16')에 의해 도 5에 따른 상기 실린더 코어(10)에서 강제적인 회전(18')이 있게되면, 이미 언급하였던 것처럼, 상기 폴로우어(15)는 상기 프리 부싱(20)의 차단 통로(22)에 걸리게 된다. 그 때문에, 상기 폐쇄 실린더(70)의 양 부재들, 즉 상기 실린더 코어(10)는 상기 프리 부싱(20)과 함께 상기 하우징(30) 안에서 회전된다(18'). 이는 가능한데, 강제로 돌릴 때(18') 일정한 한계값을 넘어가는 토크가 발생하면 상기 오버로드 인터록(60)이 도 5에서 파악할 수 있는 프리러닝 지점에 도달하기 때문이다. 상기 한계값은 상기 스프링 하중(33, 33') 및 도 5에서 파악할 수 있는 상기 양 반경방향 리세스(21 또는 21')의 프로화일을 통해 상기 프리 부싱(20)에서 정해진다. 상기 반경방향 리세스(21, 21')는 적절한 리프팅 프로화일을 가지며, 상기 리프팅 프로화일로부터 상기 롤러(61, 61')은, 상기 한계-토크를 넘어가면, 회전된다. 그런 경우, 상기 롤러(61)는 정상적인 경우 존재하는 도 2에 따른 결합 지점으로부터 도 5에서 파악할 수 있는 과하중이 걸리는 리프팅 지점으로 넘어간다. 슬롯이 형성된링 스프링(37)의 양 단부는 벌어져 있으므로, 상기 부재(61, 61')에서 스프링 하중(33, 33')은 커진다. 상기 부재(61, 61')는 회전 시에(18') 상기 프리 부싱(20)의 둘레 영역(64)에서 회전하게 된다.
스프링 하중이 큰 경우 표면 압력에 견딜 수 있기 위해, 상기 프리 부싱(20)에서 상기 반경방향 리세스(21, 21')에 강 강화요소(78)가 제공된다. 과하중이 걸리면 형상 결합식 연결부(80)의 핀(81)을 통해 상기 차단 부재(61')의 확장 운동은, 도 6에서 파악할 수 있는 것처럼, 상기 슬라이더(40)에 전달된다. 이 때 상기 슬라이더(40)에 제공된 차단면(42)들은 상기 하우징(30)의 상대 차단면(32)과 결합한다. 상기 상대 차단면(32)은 상기 축방향 탭(74)의 도 3에서 파악할 수 있는 슬롯(76)으로 이루어진다. 그에 반해 상기 슬라이더(40)의 차단면(42)은 상기 슬라이더(40)의 반경방향 노즈(79)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과하중이 걸리면 상기 슬라이더(40)는 차단된다. 이미 언급한 탭(66)에 의해 상기 동작 부재(50)와 상기 슬라이더(40) 사이에 전술한 형상 결합식 연결을 통해 상기 동작 부재(50)도 도 6에 따라 과하중이 걸리면 차단된다. 상기 차단 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더(40)와 상기 실린더 코어(10) 사이의 결합면(17, 47)이 풀어진다. 그러므로 과하중이 걸리면 상기 실린더 코어(10)는 프리러닝에서 회전한다. 그러나 상기 동작 부재(50)는 함께 움직이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기 장치(71)는 상기 실린더 코어(10)의 회전(18')에도 불구하고 차량에서 폐쇄 기능을 실시하지 않는다.
상기 장치(71)의 장점으로는 이미 언급한 것처럼 상기 오버로드 인터록(60)의 스프링 하중(33, 33')에 의해 자동적으로 상기 슬라이더(40)를 위한 복원력이함께 발생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슬라이더(40)를 복원시키는 별도의 스프링을 절약할 수 있다. 상기 장치(71)의 경우에 판 형상의 링 스프링(37)은 이중 기능을 갖는다. 그 외에도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상기 장치(71)의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80)를 통해 도 2의 상기 결합 지점과 도 5의 리프팅 지점 사이의 상기 잠금-조정-부재(61')의 전술한 조정 운동이 도 3의 그 결합 위치와 도 5의 그 차단 위치 사이에서 상기 슬라이더(40)의 완벽한 조정 운동에 이용된다는 것이다. 상기 양 다른 장치(72, 73)의 경우에 상기 슬라이더(40)는 거기에 있는 잠금-조정-부재(61)를 통해 부분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그 구조가 같기 때문에 상기 장치(72, 73)의 경우에 그 차이만을 설명하는 것으로 충분할 것이다. 나머지에 대하여는 상기 장치(71)의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장치(72, 73)의 경우에 상기 동작 부재(50')는 치차로 이루어지고, 이는 도 9에서 가장 잘 파악된다. 상기 치차(50)는 상기 하우징(30)의 후방 정면 단부에 지지되어 있으며, 클립 연결부(51) 등은 상기 부재들의 축방향 결합을 가능하게 있다. 상기 치차(50)는 여기에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다른 자물쇠 부재와의 치합이 이루어지는 톱이(52)를 가지며, 그 위치는 도 7에서 화살표(53)를 통해 파악될 수 있다. 도 9에서 가장 잘 알 수 있는 것처럼, 상기 치차(50)에 슬라이더(40)를 위한 반경방향 가이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54)에서, 도 7에서 가장 잘 알 수 있는 것처럼, 압축 스프링(45)을 위한 수납부(55)가 위치한다. 상기 압축 스프링(45)은 상기 슬라이더(40)와 상기 가이드(54)의 마주하는 반경방향 숄더(46, 56)에 지지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슬라이더(40)는 도 7의화살표(44)의 방향으로 하중을 받는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제 2 의 장치의 경우에 간접적인 축방향 연결부(83)는 거기에 있는 잠금-조정-부재(61)와 상기 슬라이더(40) 사이에서 이용되며, 그를 위해 조정 부재(23)가 이용된다. 상기 조정 부재는 상기 실시예에서 혀형상 스프링(23)으로 이루어지고, 이 때 상기 혀형상 스프링은 상기 하우징(30)밖에서 반경방향에 배열되고 상기 오버로드 인터록(60)에 이미 전술한 스프링 하중(33)을 발생시킨다. 이는 자체의 혀형상 스프링(23')을 가지는 지름 방향으로 마주하는 잠금-조정-부재(61')에도 적용된다. 상기 혀형상 스프링(23 또는 23')의 한쪽 단부(24)는 상기 하우징(30)의 둘레 영역에 고정되고 그 마주하는 스프링 자유단(25)은 상기 폐쇄 실린더의 반경방향 평면에서 회전할 수 있으며, 이것은 도 8의 절개선 VII - VII을 통해 도시되어 있다. 그 하나의 혀형상 스프링(23)은 연장부(35)를 가지며, 상기 연장부는 이 경우에도 조정 기능을 상기 슬라이더(40)에 발휘한다. 상기 슬라이더(40)는 상기 원통형 하우징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며 반경방향 숄더(41)를 가지므로, 상기 반경방향 숄더는 상기 조정 부재(23)의 연장부(35)와 결합한다. 이미 언급한 압축 스프링(45)을 통해 41에서 상기 조정 부재(23)의 연장부(35)와 슬라이더(40) 사이의 지속적인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도 마찬가지로 롤러(61 또는 61')로서 형성된 잠금-조정-부재의 조정 운동은 도 7과 도 8의 결합 위치와 여기에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5와 유사한 리프팅 위치 사이에서 이루어지며 이 경우에도 상기 축방향 연결부(83)를 지나 상기 숄더(40)에 전달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롤러(61)의 외부 단부(63)에 지지된 혀형상 스프링(23)에 작용한다. 이 때 여기에도 제공된, 상기 슬라이더(40)와 상기 하우징(30) 사이의 차단면(32, 42)이 그의 걸림 위치로 간다. 그 후, 상기 치차(50')는 회전에 대해 차단된다. 그러한 차단 위치로부터 도 7의 결합 위치로 상기 슬라이더(40)의 복원 운동은 상기 압축 스프링(45)에 의해 능동적으로 이루어지지만 상기 혀형상 스프링(23)의 리턴 운동에 일치하게 이루어진다.
도 7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상기 하우징(30)에서 상기 슬라이더(40)를 위한 상기 차단 지점(32)은 상기 슬라이더(40)와 혀형상 자유단(25) 사이의 전술한 접촉 지점(41)보다 반경방향으로 상기 실린더 축(19)에 근접하게 배열되어 있다. 상기 치차(50')는, 도 9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상기 실린더 코어(10)의 내부 단부(27)에 위치한다; 이것은 상기 실린더 축(19)에 대해 동축에 있으며 거기에 있는 실린더 저널(13)에 지지되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혀형상 스프링(23)의 고정 지점(34)은 마주하는 외부 단부 영역(28)에 위치한다. 거기에 위치하는 실린더 헤드(11)는 더스트 캡(29)으로 덮혀있다. 상기 실린더 헤드(11)와 상기 하우징(30) 사이의 환형 홈 안에 탄성의 링 패킹(39)은 오물 침투를 방지한다.
상기 한계-토크를 정하는 롤러(61, 61')와 그에 속하는 혀형상 스프링(23, 23')의 수는 임의적일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러한 혀형상 스프링(23, 23')의 다수는 슬롯이 축방향으로 형성된 스프링 링을 통해서도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며, 상기 스프링 링은 상기 하우징(30)의 둘레 영역에서 모든 혀형상 스프링을 공동으로 고정시킨다. 탄성의 혀형상 스프링(23) 대신에 회전가능한 암이 이용될 수도 있으며, 상기 암은 스프링 수단을 통해 상기 실린더 축(19)의 방향으로 스프링 하중을 받으며 상기 화살표(33 또는 33')를 통해 그려지는 스프링 하중을 발생시킨다.
도 10에 도시된 제 3의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73)는 부분적으로는 도 7의 제 2 의 실시예에 일치하게 형성되며 부분적으로는 도 1 내지 도 6에 따른 제 1 의 실시예에 일치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같은 도면 부호가 이용된 경우에는 전술한 설명이 적용된다. 그 차이만을 상술하는 것으로 충분할 것이다. 상기 반경방향 탄성력(33, 33')은 이 경우 슬롯이 형성된 링 스프링(37)에 의해 발생되며, 상기 링 스프링은 상기 지지 지점(43, 43')을 지나 상기 양 부재(61, 61')에 전달되고, 이들 중 그 하나(61)는 다시 조정 기능을 실시한다.
과하중이 걸리면 상기 링 스프링(37)이 반경방향으로 벌어진다; 상기 링 스프링은 정상 경우로부터 과하중 발생 경우로 넘어갈 때 "숨을 쉰다". 상기 링 스프링(37)은 그의 환형 내면(57)에서,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개별 차단 부재(61, 61')를 위한 몇 개의 지지 지점(43, 43')을 갖는다. 그 외에도 상기 링 스프링(37)에 축방향 돌출부(48)가 제공되고, 상기 돌출부는 선행하는 실시예와의 관계에서 이미 설명한 유사한 방식으로 상기 접촉 지점(41)에서 상기 슬라이더(40)와 함께 작용한다; 상기 프리 부싱(20)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원주 홈(49)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30)의 반경방향 수납부(59)에 위치하는 스냅 링(58) 등이 상기 원주 홈에 결합한다. 상기 스냅 링(58)은 고정형 하우징(30)과 거기에서 과하중이 걸리면 회전하는 프리 부싱(20) 사이의 축방향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Claims (16)
- 특히 차량에서 실행가능한 폐쇄 기능을 위해, 폐쇄 실린더(70), 고정형 하우징(30), 차량에서 상기 폐쇄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동작 부재(50) 및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지만 이동가능하게 상기 동작 부재(50; 50')에 연결된 슬라이더(40)를 포함하며, 상기 폐쇄 실린더(70)는 프리 부싱(20) 및 그 안에서 축에 고정되고 지지되어 회전가능하며 폴로우어(15)가 제공된 실린더 코어(10)를 포함하며, 상기 폴로우어(15)는 키이(16)의 삽입을 통해 조정될 수 있으며 키이(16)를 빼면 상기 실린더 코어(10)를 상기 프리 부싱(20)으로 걸며, 상기 하우징(30)은 상기 프리 부싱(20)을 회전가능하게 수납될 수 있지만 상기 하우징 안에서 상기 프리 부싱(20)은 일반적으로 오버로드 인터록(60)의 반경방향으로 스프링 하중을 받는(33) 잠금-조정-부재(61; 61')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잠금-조정-부재(61; 61')는 상기 하우징(30)의 반경방향 홈(31; 31') 안에서 헐겁게 있으며 - 정상적인 경우 - 그 반경방향 내부 단부(62)는 반경방향 스프링 하중(33) 때문에 리프팅 프로화일을 가지는 상기 프리 부싱(20)의 반경방향 리세스(21; 21')에 결합하지만, - 과하중이 걸리면 - 그 스프링 하중(33)에 대해 결합 위치로부터 상기 프리 부싱(20)의 전이 영역(64)의 리프팅 위치에 도달하며, 상기 슬라이더는 일반적인 경우 복원력(44) 때문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결합 위치에 상기 실린더 코어(10)와 함께 위치하지만 과하중이 걸리면 상기 잠금-조정-부재(61; 61')에 의해 풀리며 상기 하우징(30)에서 회전가능하게 고정된차단 위치에 도달하며, 그 위치에서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동작 부재(50; 50')가 차단되는(32, 42) 폐쇄 장치(71, 72, 73)에 있어서,상기 잠금-조정-부재(61; 61')를 위한 상기 반경방향 리세스(31; 31')는 상기 하우징 외면(77) 쪽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잠금-조정-부재(61; 61')는 반경방향으로 밖을 향해 자유롭지만 판 형상의 스프링(37; 23, 23')으로 덮혀있고, 상기 스프링(37; 23, 23')은 상기 하우징(77)의 외곽에 배열되어 있으며 직접 상기 잠금-조정-부재(61; 61')에 작용하며, 상기 잠금-조정-부재(61; 61')는 상기 폴로우어(15)를 가지는, 상기 실린더 코어(10)의 실린더 영역(12) 옆에 반경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슬라이더(40)는 상기 폐쇄 실린더(70)에서 상기 잠금-조정-부재(61)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된 영역(69)에 위치하며 축방향 연결부(80; 83)는 상기 잠금-조정-부재(61; 61')와 상기 슬라이더(40) 사이의 거리를 이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잠금-조정-부재(61')와 상기 슬라이더(40) 사이에 직접적인 형상 결합식 연결부(80)가 있으며, 상기 오버로드 인터록(60)의 스프링(37)이 상기 잠금-조정-부재(61')에 영향을 주며 그와 동시에 상기 형상 결합부(80)를 통해 복원력(44)을 발생시키므로, 상기 복원력은 실린더 코어(10)를 밀어 상기 슬라이더(40)를 결합 지점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71).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형상 결합식 연결부(80)는 상기 잠금-조정-부재(61')에서 축방향 핀(81)과 상기 슬라이더(40)에서의 연결 가이드(82)로 이루어지며, 상기 핀(81)은 상기 연결 가이드(82)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71).
- 제 1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 항에 있어서,상기 잠금-조정-부재(61; 61')와 상기 슬라이더(40) 사이의 축방향 연결부(80; 83)는 상기 슬라이더(40)와 상기 실린더 코어(10) 사이의 결합 수단(17, 47) 및/또는 상기 슬라이더(40)와 상기 하우징(30) 사이의 차단 수단과 동일한, 상기 폐쇄 실린더(10)의 영역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71, 72, 73).
-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 항에 있어서,상기 오버로드 인터록(60)의 스프링(37)으로부터 상기 잠금-조정-부재(61; 61')로 작용하는 표면 압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프리 부싱(20) 안에서 상기 반경방향 리세스(21)에 강 강화요소(78)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71, 72, 73).
- 제 1항에 있어서,조정 부재(23)가 상기 잠금-조정-부재와 상기 슬라이더(40) 사이에 간접적인축방향 연결부(83)를 형성하며, 상기 조정 부재(23)가 상기 하우징(30)밖에 반경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잠금-조정-부재(61)에 작용하는 상기 오버로드 인터록(60)의 스프링(23)에 연결되고 상기 스프링과 함께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72, 73).
- 제 6항에 있어서,상기 슬라이더(40)가 상기 원통형 하우징(30)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며, 상기 조정 부재(23)는 상기 슬라이더(40)의 반경방향 숄더(41)에 결합하며, 상기 슬라이더(40)는 그의 접촉 지점(41)의 접촉 방향으로 상기 조정 부재(23)로 힘을 받는(44)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72, 73).
-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상기 슬라이더(40)와 상기 하우징(30) 사이에서 상기 차단 지점(42, 32)은 상기 슬라이더(40)와 상기 조정 부재(23) 사이에 접촉 지점(41)보다 반경방향으로 상기 실린더 축(19)에 더 근접해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72, 73).
- 제 6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 항에 있어서,상기 조정 부재(23)는 혀형상 스프링(23)의 일부재형 또는 다부재형 연장부(35)로 이루어지며, 상기 혀형상 스프링(23)은 상기 폐쇄 실린더(70)의 반경방향 평면에서 회전가능하며 상기 실린더 축(19) 쪽으로 스프링 하중을 받는(33)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72, 73).
-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 항에 있어서,상기 오버로드 인터록(60)의 스프링은 반경방향 평면에서 상기 하우징(30)을 에워싸며 특히 슬롯이 형성된 링 스프링(37)이며, 상기 링 스프링(37)은 링 세그먼트로 상기 잠금-제어-부재(61; 61')에 지지되고 반경방향의 탄성력(38)을 상기 잠금-조정-부재(61; 61')에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71, 73).
- 제 10항에 있어서,상기 링 스프링(37)은 상기 슬라이더(40)와 함께 작용하는 축방향 돌출부(48)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73).
-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항에 있어서,상기 오버로드 인터록(60)은 상기 하우징(30)에 있는 자체의 반경방향 홈(31, 31')과 상기 프리 부싱(20)에 있는 자체의 반경방향 리세스(21, 21')가 제공된 2개 또는 그 이상의 잠금-조정-부재(61; 61')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71, 72, 73).
- 제 12항에 있어서,상기 개별 차단 부재(61, 61')가 상기 폐쇄 실린더의 둘레에 균일하게 배분되어 배열되고 2개의 차단 부재(61, 61')의 경우 상기 차단 부재들은 서로 지름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71, 72, 73).
-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상기 다양한 차단 부재(61, 61')가 상기 폐쇄 실린더에서 축방향 이동거리(36)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72, 73).
-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 항에 있어서,상기 동작 부재는 상기 실린더 코어(10)의, 단이 형성된 내측 단부(13)에 지지되어 회전할 수 있는 치차(50')이며, 상기 슬라이더(40)를 위한 반경방향 가이드(54)가 상기 치차(50')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72, 73).
- 제 1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 항에 있어서,상기 잠금-조정-부재(61; 61')는 롤러(61) 또는 볼과 같은 회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9824398 | 1998-05-30 | ||
DE19824398.7 | 1998-05-30 | ||
DE19853543A DE19853543C2 (de) | 1998-05-30 | 1998-11-20 | Schließvorrichtung für insbesondere an Fahrzeugen vollziehbare Schließfunktionen |
DE19853543.0 | 1998-11-2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71357A true KR20010071357A (ko) | 2001-07-28 |
KR100602301B1 KR100602301B1 (ko) | 2006-07-14 |
Family
ID=7869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7013540A KR100602301B1 (ko) | 1998-05-30 | 1999-05-20 | 차량에서 실행 가능한 폐쇄 기능을 위한 폐쇄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0602301B1 (ko) |
DE (2) | DE19853543C2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7097B1 (ko) * | 2008-05-02 | 2010-05-1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도난 방지용 도어록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9959833C1 (de) * | 1999-12-10 | 2001-05-03 | Huf Huelsbeck & Fuerst Gmbh | Schließvorrichtung für insbesondere an Fahrzeugen vollziehbare Schließfunktionen |
DE10162201A1 (de) * | 2000-12-20 | 2002-07-11 | Tokai Rika Co Ltd | Schlüsselzylinder und Verfahren zum Zusammenbau eines Schlüsselzylinders |
DE10326717B4 (de) * | 2003-06-06 | 2014-08-14 | Volkswagen Ag | Einrichtung zur Sicherung eines Kraftfahrzeuges vor unbefugtem Öffnen, insbesondere der Fahrzeugtür |
DE102004032138B3 (de) * | 2004-07-01 | 2006-02-02 |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 Verschluss für Türen oder Klappen an Fahrzeugen |
DE102004032157A1 (de) * | 2004-07-01 | 2006-01-19 |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 Verschluss für Türen oder Klappen an Fahrzeugen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4304873A1 (de) * | 1993-02-18 | 1994-08-25 | Ymos Ag Ind Produkte | Schließvorrichtung |
DE4412609A1 (de) * | 1994-04-13 | 1995-10-19 | Huelsbeck & Fuerst | Verschlußvorrichtung für insbesondere an Kraftfahrzeugen vollziehbare Schließfunktionen |
-
1998
- 1998-11-20 DE DE19853543A patent/DE19853543C2/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9
- 1999-05-20 KR KR1020007013540A patent/KR10060230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9-05-20 DE DE59901071T patent/DE59901071D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7097B1 (ko) * | 2008-05-02 | 2010-05-1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도난 방지용 도어록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59901071D1 (de) | 2002-05-02 |
DE19853543A1 (de) | 1999-12-02 |
KR100602301B1 (ko) | 2006-07-14 |
DE19853543C2 (de) | 2001-08-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439016B1 (en) | Closing device for closing functions in vehicles in particular | |
DE69417530T2 (de) | Gegen Einbruch widerstandsfähiges Zylinderschloss | |
US5775147A (en) | Locking device, especially for motor vehicle locking | |
KR100400534B1 (ko) | 차량용클로져장치 | |
CA2120194C (en) | Cylinder lock device resistible against unauthorized unlocking | |
RU2268978C2 (ru) | Запорный цилиндр,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автомобилей | |
JP4704935B2 (ja) | シリンダ錠装置及び係合解除機構 | |
US5799520A (en) | Combined lock and linear actuator | |
US6601270B2 (en) | Fitting for a window or door | |
KR20030077587A (ko) | 고강도 레버 핸들 로크 기구 | |
CA2530431A1 (en) | Freewheeling lock apparatus and method | |
KR100602301B1 (ko) | 차량에서 실행 가능한 폐쇄 기능을 위한 폐쇄 장치 | |
JP5274545B2 (ja) | ドアロック | |
US6415637B1 (en) | Closing device with a key operable closing cylinder which simultaneously serves as a hand operated pushing device for operating locking elements | |
US5411337A (en) | Axially guided locking ring assembly | |
CA2103953C (en) | Universal adaptor for deadbolt | |
JP2002526699A (ja) | とくに車両用の閉鎖シリンダ | |
US5511400A (en) | Lock mechanism for use in a securing device | |
EP2150664A1 (de) | Schliesszylinder für insbesondere in einem fahrzeug ausführbare funktionen | |
JPH0535977U (ja) | シリンダ錠 | |
US4018069A (en) | Key-actuated barrel-type locks | |
US3774423A (en) | Retaining means for a lock cylinder plug | |
KR20000022161A (ko) | 회전캐치(swivel)를 가진 도아를 위한 힌지(hinge) | |
KR100560651B1 (ko) | 열쇠 작동식 실린더 코어를 가진 잠금 장치 | |
US3792886A (en) | Two way door latch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27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12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