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1105A - 폴리올레핀 피복 3겹강관 하도용 프라이머 도료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올레핀 피복 3겹강관 하도용 프라이머 도료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1105A
KR20010071105A KR1019990065751A KR19990065751A KR20010071105A KR 20010071105 A KR20010071105 A KR 20010071105A KR 1019990065751 A KR1019990065751 A KR 1019990065751A KR 19990065751 A KR19990065751 A KR 19990065751A KR 20010071105 A KR20010071105 A KR 20010071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poxy
bisphenol
polyolefin
epoxy resi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5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원
최승엽
심재현
Original Assignee
김충세
고려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충세, 고려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충세
Priority to KR1019990065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71105A/ko
Publication of KR20010071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110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9/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61/00 - C08L77/00
    • C08L79/02Poly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epoxy resin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09D163/10Epoxy resins modified by unsaturated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2Priming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 피복 3겹강관 하도용 프라이머 도료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크로메이트를 처리한 강재의 표면에 프라이머층, 변성폴리올레핀 접착층 및 폴리올레핀 수지층이 3겹으로 적층된 폴리올레핀 피복 강재에 있어서 상기한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도료조성물의 조성을 특이성 있게 설계함으로써 강관과의 부착 뿐만 아니라 내식성, 고온음극박리성, 내충격성이 우수하도록 하는 폴리올레핀 피복 3겹강관 하도용 프라이머 도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리올레핀 피복 3겹강관 하도용 프라이머 도료조성물{Liquid primer of three-layer polyolefin pipe coatings}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 피복 3겹강관 하도용 프라이머 도료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크로메이트를 처리한 강재의 표면에 프라이머층, 변성폴리올레핀 접착층 및 폴리올레핀 수지층이 3겹으로 적층된 폴리올레핀 피복 강재에 있어서 상기한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도료조성물의 조성을 특이성 있게 설계함으로써 강관과의 부착 뿐만 아니라 내식성, 고온음극박리성, 내충격성이 우수하도록 하는 폴리올레핀 피복 3겹강관 하도용 프라이머 도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올레핀수지를 표면에 피복한 강재는 해저, 극한냉지, 지하, 열대 등의 열악한 지역에서는 물론이고, 건축자재 또는, 원유, 중질유, 천연가스 등을 수송하기 위한 파이프 라인용 강관 등으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폴리올레핀 피복 강재가 방청성 및 내구력이 우수하여 폭넓게 적용되고는 있지만, 완전경화를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필요하고 또한 반응성을 빨리하면 응력이 발생하여 계면박리, 내고온수성, 내고온음극박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또한, 폴리올레핀 피복 강재가 내식성 및 방식성이 우수하다 할지라도 장시간 노출시에는 내후성과 내열성의 저하로 인하여 도막의 강도가 떨어지며 파이프 라인의 수명이 단축되는 단점이 있다.
강재 표면을 피복시키기 위한 폴리올레핀 피복조성물은 생산성, 내후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는 반면에, 고온 및 저온의 온도차가 심한 파이프 라인에서는 열가소성 피복 조성물의 열팽창계수가 철의 열팽창 계수보다 크기 때문에 열가소성 피복조성물의 수축 및 팽창에 의한 소지와 피복사이의 밀착성이 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내식성이 저하됨으로 인하여 박리, 들뜸 등의 현상이 발생하여 수명이 짧아지는 단점이 있다.
폴리올레핀 피복강재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서, 일본특허공개 소54-120681호 및 평1-28054호에는 강재와 변성 폴리올레핀수지 접착제층 사이에 크로메이트 처리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일본특허공개 소56-143223호 및 소59-222275호에는 에폭시 프라이머층을 형성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크로메이트 처리를 가한 방법 또는 에폭시 프라이머를 행한 방법은 60 ℃ 이하의 환경하에서는 만족한 성능을 얻을 수 있지만, 60 ℃를 초과한 조건에서는 내온수성 및 내고온음극박리성에 있어서는 만족한 성능이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급격한 온도변화 즉, -70 ℃로부터 50 ℃의 온도변화를 수반하는 경우 만족할만한 성능이 얻어지지 않는다. 특히, 폴리올레핀 수지층-강재간의 밀착력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장기간의 방식성을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폴리올레핀 피복강재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크로메이트를 처리한 강재의 표면에 프라이머층, 변성폴리올레핀수지로 된 접착층 및 폴리올레핀 수지층이 3겹으로 적층된 폴리올레핀 피복 강재에 있어서 상기한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도료조성물중에, 특정의 에폭시 실리카 분산액과 폴리아민 경화제를 소정의 함량비로 배합하게 되면 폭넓은 온도환경이나 고온 환경하에서도 폴리올레핀수지층과 강재간의 밀착성을 양호하게 유지하고, 내온수성이나 내고온음극박리성에 우수한 폴리올레핀 피복강재를 얻을 수 있음을 알게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85 ℃를 초과한 고온조건의 환경하에서도 내온수성, 내고온음극박리성 및 방식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 피복 3겹강관 하도용 프라이머 도료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 피복 3겹강관 하도용 프라이머 도료조성물에 있어서,
(1) 에폭시 당량이 170 ∼ 300인 비스페놀 A형 에폭시수지와 에폭시 당량이 150 ∼ 280인 비스페놀 F형 에폭시수지의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친수성 실리카 1 ∼ 10 중량부를 분산시킨 에폭시 실리카 분산액과,
(2) 에폭시 당량이 170 ∼ 300 g/eq인 비스페놀 A형 에폭시수지 100 중량부와, 아미노에틸 피페라진 단독 또는 아미노에틸 피페라진과 메타자이렌디아민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아민 화합물 120 ∼ 340 중량부를 부가반응시켜 얻어진 폴리아민 경화제를 필수성분으로 하고,
상기 에폭시 실리카 분산액(1)과 폴리아민 경화제(2)가 2/1 ∼ 3/1 중량비를 이루고 있는 폴리올레핀 피복 3겹강관 하도용 프라이머 도료조성물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크로메이트 처리된 강재의 표면에 프라이머층, 변성 폴리올레핀 접착층 및 폴리올레핀수지층이 차례로 적층된 폴리올레핀 피복강재에 있어서의 프라이머층을 구성하는 도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도용 프라이머 도료조성물을 좀더 구체화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수지 또는 비스페놀 F형 에폭시수지의 구조는 다음 화학식 1과 같다.
상기 화학식 1에서 :
R는(비스페놀 A형 에폭시수지) 또는(비스페놀 F형 에폭시수지)이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에폭시수지는 대칭성이 높고, 강직한 비스페놀 골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고온에서 안정하므로 고온음극박리 및 내온수성이 우수하다. 또, 골격중에 에테르 결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적당한 가소성을 갖으며, 에폭시기는 반응 후 수산기를 생성시키므로 크로메이트층과 수지층간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만약, 상기한 에폭시수지를 대신하여 비스페놀 A형의 디글리시딜 에테르를 단독 사용하게 되면, 반응성이 적고 경화반응에서 충분히 가교되지 않으므로 고온 음극박리성이 떨어진다. 또한, 금속관의 하지처리제로서 비스페놀 F형의 디글리시딜 에테르를 단독 사용하는 경우, 반응성이 너무 크고 과도한 경화반응이 진행되어 수지층과 크로메이트층간의 계면에서 응력이 발생되어 밀착성이 저하한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비스페놀 A형 수지와 비스페놀 F형 수지를 각각 10 : 90 ∼ 90 : 10 중량비, 바람직하기로는 90 : 10 ∼ 70 : 40 중량비 범위로 조합하여 사용하므로써 고온에서도 음극박리가 양호한 프라이머를 제조할 수 있었다. 만약, 비스페놀 A형 수지와 비스페놀 F형 수지의 중량비가 10 : 90 미만이면 도막의 내열성이 저하하여 고온에서의 음극박리성이 떨어지고, 90 : 10 중량비를 초과하면 경화반응에서 충분히 가교되지 않아 반응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수지로는 에폭시당량 170 ∼ 300 g/eq, 바람직하기로는 에폭시당량 180 ∼ 194 g/eq의 것을 사용하며, 시판 제품으로는 R8827, R8828(고려화학 제품)을 사용한다. 또한 비스페놀 F형 에폭시수지로는 에폭시당량 150 ∼ 280 g/eq, 바람직하기로는 160 ∼ 180 g/eq의 것을 사용하며, 시판 제품으로는 R8130(고려화학 제품)을 사용한다. 만약 사용되는 에폭시수지의 에폭시당량이 상기 범위보다도 작아진다면 내화학적 물성이 저하되어 만족한 성능을 얻을 수 없고, 또 커진다면 취급 및 작업성이 나빠진다.
또한, 에폭시수지 혼합물에 친수성 실리카를 분산시키면 반응성기 일부가 프라이머와 반응하므로써 보다 높은 내열성을 갖는 프라이머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 친수성 실리카는 사염화규소를 산소와 수소에 연소하여 얻은 친수성 흄드실리카로서 비표면적이 200 ∼ 380 ㎡/g인 에어로질을 사용하도록 하며, 비표면적 200 ㎡/g 미만의 것을 사용하면 투명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분산력도 떨어진다. 본 발명에 적용하기에 적절한 친수성 실리카는 시판제품으로서 QS-102, QS-20, QS-30, QS-40(일본, 도쿠야마), A-200, A-300, A-380(일본, 에어로질) 등이다. 또한 에어로질의 분산시간은 약 1 ∼ 2시간 정도(하이스피드 디졸버 1000 rpm ∼ 2000 rpm)가 적당하며, 분산시간이 1 시간 미만이면 분산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고, 3 시간 이상이 되면 오히려 실리카의 성분이 분해하여 점도가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에폭시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친수성 실리카 1 ∼ 10 중량부를 분산시켜 얻은 에폭시 실리카 분산액을 프라이머 도료조성물중에 함유시키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폭시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친수성 실리카가 1 중량부 미만 사용되면 고온내수성의 효과 및 접착력의 효과가 없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프라이머의 점도가 너무 높아서 도막의 평활성이 떨어져 양호한 도막을 얻을 수가 없다. 에폭시수지 혼합물에 실리카에 분산한후의 입도분포는 0.1 ∼ 20 ㎛, 바람직하게는 1 ∼ 15 ㎛ 정도의 것이 적당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경화제로서 비스페놀 A형 에폭시수지와 특정 아민 화합물로 구성된 폴리아민 경화제를 함유시킨다. 이때, 아민 화합물은 비스페놀 A형 에폭시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20 ∼ 340 중량부 범위로 사용하는데, 그 함량이 120 중량부 미만이면 도료의 점도가 너무 높아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340 중량부를 초과하면 반응이 너무 빨라 접착제와의 접착력이 떨어질 수 있다.
일반적인 경화제로 사용되고 있는 화합물로서, 지방족계 아민화합물은 내염수성이 떨어지고, 방향족계 아민화합물은 밀착성이 떨어지며, 폴리아마이드계 화합물은 속경화성에서 문제가 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에서는 아민화합물로서 지환구조를 가지는 아미노에틸피페라진 단독 또는 아미노에틸피페라진과 벤젠구조를 가지는 메타자이렌디아민의 혼합물을 사용하고, 이를 에폭시수지와 반응시켜 얻은 폴리아민 경화제를 프라이머 도료조성물중에 함유시키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폴리아민 경화제는 분자내에 열안정성이 양호한 지환구조 및 벤젠구조를 함유하고 있으므로 경화도막의 내열성, 고온음극박리성 및 내수성이 양호하다. 그러나, 폴리아민 경화제 제조시 아민화합물로서 메타자이렌디아민을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점도가 너무 많이 상승하여 작업성의 문제가 발생하고, 경화시에 도막이 너무 브리틀하고 경화성의 변화가 너무 커서 도막과 크로메이트층과의 계면에서 박리가 일어날 수 있다. 즉, 고온음극박리성이 저하한다. 또한, 폴리아민 경화제 제조시 아민화합물로서 지방족계 아민을 사용할 경우에는 경화제의 분자구조내에 열안정성이 양호한 지환 및 벤젠구조의 성분이 부족하기 때문에 내열성의 저하가 발생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폴리아민 경화제는 아민가가 450 ∼ 800 mgKOH/g 이고, 활성수소당량은 45 ∼ 90 정도가 된다. 이때, 활성수소당량이라 함은 분자량을 반응에 관여한 활성수소로 나눈 값을 일컫는다. 만약, 제조된 폴리아민 경화제의 아민가가 800 mgKOH/g을 초과하면 반응이 너무 빠르고, 450 mgKOH/g 미만일 경우에는 도막의 점도가 너무 높아 작업성의 저하가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에폭시 실리카 분산액(1)과 폴리아민 경화제(2)의 혼합비는 2 : 1 ∼ 3 : 1 중량비가 적당하다. 만약, 그 혼합비가 2 : 1 미만이면 가교도가 너무 높아 도막이 브리털하게 되어 도막과 크로메이트층과의 계면에서 박리가 일어날 수가 있고, 또한 혼합비가 3 : 1을 초과하면 충분한 경화가 일어나지 않고 가교밀도가 떨어져 내식성 및 화학적 물성이 저하한다. 일반적으로 강관용 프라이머로 적용될 수 있는 도료조성물의 유리전이온도는 60 ∼ 120 ℃ 범위 이어야 하는 바, 본 발명의 프라이머 도료조성물은 유리전이온도가 90 ∼ 115 ℃ 범위로 상기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도료조성물은 에어리스 스프레이, 롤러도장 등의 방법으로 도장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한다. 이때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30 ∼ 100 ㎛ 정도, 통상 40 ∼ 80 ㎛ 정도가 적당하며, 그 두께가 100 ㎛를 초과하면 열사이클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다음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머 도료조성물을 강관피복에 적용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한다.
강재는 탄소강, 저합금강 등으로 구성된 강관으로 강판, 봉강, 강관항, 강널판, 원유, 중질유 수송용, 천연가스 수송용의 강관 등에 가공한 것 등이고, 옥외, 지중, 해수중 등으로 사용된 것을 대상으로 한다. 또한, 강재 표면의 산화피막층을 샌드브라스트, 쇼트브라스트의 방법으로 제거한 후, 적당한 가열수단(예를들면 가열로, 버너 등)을 이용하여 금속표면을 150 ∼ 250 ℃, 적당하게는 180 ∼ 210 ℃의 온도범위에서 예열할 수도 있다. 예열온도가 낮을 경우에는 에폭시수지 조성물의 밀착력이 저하하고, 반대로 너무 높으면 열화하여 마찰력 및 내온수성이 떨어진다.
다음에 크로메이트 층의 형성에 이용한 크로메이트 처리제는 통상의 것을 이용한 것이 가능하지만, 고분자 유기질의 환원제로 전크롬에 대한 6 값의 크롬의 중량비가 0.35 ∼ 0.65의 범위가 되도록 부분 환원한 크롬산 수용액에 실리카 미분말을 첨가한 실리카계 크로메이트 처리제를 이용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 밖에 변성 폴리올레핀 접착층 및 폴리올레핀 수지층은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조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변성 폴리올레핀 접착층의 두께는 0.1 ∼ 2 ㎜ 바람직하기로는 0.2 ∼ 1 ㎜ 정도가 적당하고, 폴리올레핀 수지층의 두께는 1.0 ∼ 5.0 ㎜ 바람직하기로는 1.5 ∼ 3.5 ㎜ 정도가 적당하다.
예컨대,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층 구성을 위해 사용되는 폴리올레핀은 저밀도 폴리올레핀, 중밀도 폴리올레핀, 고밀도폴리올레핀, 직쇄상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브록락탐공중합체, 에틸렌-부텐-1 브록락탐공중합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원공중합체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 사용한다. 폴리올레핀수지층에 내후성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상기 폴리올레핀수지에 카본블랙, 무기계 안료 혹은 유기계 안료 등의 내후성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변성 폴리올레핀 접착층 구성을 위한 변성폴리올레핀 접착제는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층 구성에 사용된 폴리올레핀을 말레인산,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하이믹산 등의 불포화 카르본산과 그의 무수물으로 변성하였다. 그 밖에도 변성폴리올레핀을 폴리올레핀에 적절히 희석하거나, 폴리올레핀에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등의 불포화실란 화합물을 그라프트화하여 실리콘그라프트화 폴리올레핀 또는 그의 실리콘그라프트화 폴리올레핀을 폴리올레핀에 적당히 희석한 것 등이 이용된다. 또한, 폴리올레핀 접착층이 내열성 혹은 고강도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상기의 변성올레핀수지에 일반 시판되는 실리카 가루, 산화티탄 가루, 그라스 가루, 마이카 가루, 삼산화몰리브덴 가루, 규석모리브덴 가루, 삼산화텅스텐분, 규소텅스텐산분 등의 무기 충진제 혹은 유리섬유, 탄소섬유 등의 섬유상 충진제 등의 강화제를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에 의하여, 본 발명에서는 종래 폴리올레핀 피복 3겹강관에 비교하여 충분한 접착강도, 방식성 및 내온수성을 유지하는 폴리올레핀 금속피막체를 얻을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 에폭시 실리카 분산액의 제조
비스페놀 A형 에폭시수지로서 R-8828(에폭시 당량 184 ∼ 194 g/eq, 고려화학 제품)와 비스페놀 F형 에폭시수지로서 R-8130(에폭시 당량 172 g/eq, 고려화학 제품)를 혼합한 후, 하이스피드 디졸버를 사용하여 500 rpm ∼ 800 rpm으로 교반하면서 실리카로서 에어로질-380(비표면적 380 ㎡/g, 일본 에어로질사 제품) 또는 에어로질-200(비표면적 200 ㎡/g, 일본 에어로질사 제품)를 약 10분간에 걸쳐 투입하면서 분산시켰다. 에어로질의 투입이 완료되면 1,000 rpm에서 약 1 ∼ 2 시간동안 계속 교반하였다. 분산액중의 수지의 입도분포는 대략 15 ㎛ 이하 이었다
제조예 2 : 폴리아민 경화제의 제조
4구 플라스크에 아민화합물로서 아미노에틸 피페라진, 메타크실렌 디아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투입한 후 비스페놀 A형 에폭시수지(R-8828, 에폭시 당량 184 ∼ 194 g/eq, 고려화학 제품)를 약 30분 ∼ 1 시간에 걸쳐 적하하였다. 이때 반응온도는 70 ∼ 80 ℃ 로 유지하였다. 배합에 따라 발열이 심하게 날우려가 있으므로 주의한다. 적하가 완료되면 약 100 ∼ 110℃ 로 유지하면서 약 2 ∼ 3시간 숙성한 후 아민가 및 점도가 규격에 들면 냉각하였다.
실시예 : 3겹강관의 제조방법
파이프의 외경이 4 ∼ 60 인치인 파이프 강관을 쇼트볼 또는 그리트볼을 이용하여 표면의 거칠기가(프로파일) 50 ∼ 100 ㎛가 되도록 하였다. 이때 표면에 이물질(녹, 유분, 수분 등)이 남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국제규격 SSPC-PC10에 의거하여 강관표면 처리하였다.
표면에 크로메이트 처리를 실시한 강관을 직접가열 또는 유도가열 장치를 사용하여 강관의 표면온도를 160 ∼ 220 ℃가 되도록 예열하였고, 예열된 강관에 다음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비로 에폭시 실리카 분산액 및 폴리아민 경화제를 핫에어리스 도장기로 도장처리하였으며 예열된 열로 경화시켰다. 이때, 에폭시 실리카 분산액 및 폴리아민 경화제를 각각 60 ∼ 80 ℃로 유지하였다. 경화가 80 ∼ 90% 진행되면, 접착필름(LE149V, LE100A, S.K 사; MB 158D, MB206D, DUPONT 사; ME0420, Borealis 사; A3110M, BASF사)을 용융 압출 성형하였고, 냉각시 물리적인 수축에 의한 물리적인 힘으로 접착되도록 하였다. 그 다음에 압출 성형방법으로 0 다이 방법과 T 다이방법을 사용하여, 최외부층에는 내후성과 내습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358P HDPE, MDPE, NOVA 사; ET509B, S.K사; ME6060 Borealis 사; 2452D, 3821D, BASF사), 폴리프로필렌(EP Bianco, 몬텔사; PT900W, S.K사)을 같은 방법으로 압출 성형하여 3겹강관을 제조하였다.
또한, 제조된 3겹강관을 사용하여 층간부착력시험과 음극박리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 4에 나타내었다. 도료의 물성 측정은 널리 사용되는 규격인 DIN 30670(독일규격), CAN/CSA-245.21(캐나다 강관협회 규격), NFA 49-711(프랑스 규격)으로 실시하되, 열경화성 프라이머층과 열가소성 접착층과의 층간 부착력은 DIN 30670(독일규격) Method Ⅱ 방법으로 측정하였고, 음극박리시험은 소지면과 프라이머층과의 촉진박리시험으로서, ASTM G8, 42 방법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해 알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피복 3겹강관 하도용 에폭시 프라이머 도료조성물의 경우에는 주제로서 비스페놀 A형 에폭시수지와 비스페놀 F형 에폭시수지를 혼합물을 친수성 실리카에 분산시켜 사용하고, 경화제로서 지환족 아민인 아미노에틸 피페라진을 단독 또는 지방족 아민인 메타자이렌디아민과 소량 혼합 사용하여 제조한 폴리아민 경화제를 사용하고, 주제 및 경화제를 적정한 비로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소지와 도막 사이의 부착력이 우수하며 또한 내식성 및 내고온음극박리성이 우수한 3겹강관을 얻을 수 있었다.

Claims (4)

  1. 폴리올레핀 피복 3겹강관 하도용 프라이머 도료조성물에 있어서,
    (1) 에폭시 당량이 170 ∼ 300인 비스페놀 A형 에폭시수지와 에폭시 당량이 150 ∼ 280인 비스페놀 F형 에폭시수지의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친수성 실리카 1 ∼ 10 중량부를 분산시킨 에폭시 실리카 분산액과,
    (2) 에폭시 당량이 170 ∼ 300 g/eq인 비스페놀 A형 에폭시수지 100 중량부와, 아미노에틸 피페라진 단독 또는 아미노에틸 피페라진과 메타자이렌디아민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아민 화합물 120 ∼ 340 중량부를 혼합한 폴리아민 경화제가 필수성분으로 함유되고,
    상기 에폭시 실리카 분산액(1)과 폴리아민 경화제(2)가 2/1 ∼ 3/1 중량비를 이루고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피복 3겹강관 하도용 프라이머 도료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실리카 분산액(1)을 구성하는 에폭시수지가 비스페놀 A형 에폭시수지와 비스페놀 F형 에폭시수지가 10 : 90 ∼ 90 : 10 중량비로 혼합되어 있는 혼합물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피복 3겹강관 하도용 프라이머 도료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실리카 분산액(1)을 구성하는 친수성 실리카는 비표면적이 200 ∼ 380 ㎡/g인 에어로질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피복 3겹강관 하도용 프라이머 도료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민 경화제(2)의 아민가가 450 ∼ 800 mg/KOH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피복 3겹강관 하도용 프라이머 도료조성물.
KR1019990065751A 1999-12-30 1999-12-30 폴리올레핀 피복 3겹강관 하도용 프라이머 도료조성물 KR200100711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5751A KR20010071105A (ko) 1999-12-30 1999-12-30 폴리올레핀 피복 3겹강관 하도용 프라이머 도료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5751A KR20010071105A (ko) 1999-12-30 1999-12-30 폴리올레핀 피복 3겹강관 하도용 프라이머 도료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1105A true KR20010071105A (ko) 2001-07-28

Family

ID=19632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5751A KR20010071105A (ko) 1999-12-30 1999-12-30 폴리올레핀 피복 3겹강관 하도용 프라이머 도료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7110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67983B2 (ja) 防錆顔料含有多官能性エポキシ樹脂系塗料組成物、その塗膜、その塗膜で被覆された基材および防食方法
JPS622870B2 (ko)
EP4169985A1 (en) Water-based anticorrosive coating composition
JP4560284B2 (ja) ガス輸送鋼管用防食塗料組成物及びガス輸送鋼管
KR102505190B1 (ko) 에폭시 분체도료와 이로 도장된 수도용 코팅강관 및 강관말뚝
JPH036191B2 (ko)
JP2002105393A (ja) 鋼材用防食性粉体塗料組成物並びにこの塗料を被覆した鋼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505301B2 (ja) 重防食被覆鋼材
KR20010071105A (ko) 폴리올레핀 피복 3겹강관 하도용 프라이머 도료조성물
KR20040071493A (ko) 유리전이온도가 높은 하도용 열경화성 에폭시 분체도료조성물
JPH0373340A (ja) 耐熱塩水性に優れたポリオレフィン被覆鋼材
JP2988302B2 (ja) ポリオレフィン被覆鋼管とその製造方法
JPH0811258A (ja) 二次密着性に優れた被覆鋼材
JP3787047B2 (ja) 鋼材用防食塗料組成物
KR100616527B1 (ko) 3겹 강관 하도용 열경화성 분체도료 조성물
JP5547364B2 (ja) 鋼材用エポキシ粉体塗料組成物及び被覆鋼材
KR102570647B1 (ko) 내식성과 내구성이 향상된 에폭시 분체도료와 이로 도장된 수도용 코팅강관 및 강관말뚝
JP5359098B2 (ja) 水配管用内面被覆鋼管
JP2690190B2 (ja) 塗装鋼材
JP3111908B2 (ja) ポリエチレン樹脂被覆鋼材
JPH11279481A (ja) 鋼材用防食塗料組成物
JPH09299878A (ja) 管内面の塗装方法
JP3163908B2 (ja) ポリオレフィン樹脂被覆鋼材
KR100710503B1 (ko) 3겹강관 하도 도장용 열경화성 분체도료 조성물
JPS5815571A (ja) 送電鉄塔用塗料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