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0650A - 승강기 다중입력 원격호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승강기 다중입력 원격호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0650A
KR20010070650A KR1020010029650A KR20010029650A KR20010070650A KR 20010070650 A KR20010070650 A KR 20010070650A KR 1020010029650 A KR1020010029650 A KR 1020010029650A KR 20010029650 A KR20010029650 A KR 20010029650A KR 20010070650 A KR20010070650 A KR 20010070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elevator
function
call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9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석
Original Assignee
박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석 filed Critical 박준석
Priority to KR1020010029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70650A/ko
Publication of KR20010070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065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1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rofi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7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8Call regist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일반적으로 기존의 승강기버튼은 손으로 누르기 쉬운 위치인 승강기옆면상단에 위치해있다. 일반적인 정상인의 경우 불편한점이 없으나 신체부자유자나 키가작은어린이, 손이 불편한 환자는 혼자서 이용하기에 불편한점이 있었다. 이를보완하기위해 추가로 손이 아닌 발로밟는 버튼을 설치하여 굳이 손으로 누를필요가 없어 발로도 사용이 가능해진다. 기존의 자동문이나 자동화장실소변기원리를 적용해 사람이 승강기앞에 설 경우 승강기가 현재의 자신의 층에 와서 문이 열리게 된다. 승강기안에탔을때도, 발로써 원하는 층을 선택 할 수있고 음성으로도 인식하여 사용자가원하는 층에 도달 할 수있다. 승강기 불도착 문개방으로 인한 추락사고 방지를 위한 안전선을 설치하고 문이열리기전에 사용자가 너무 가까이 안전선을 넘어와있을 경우 문이 열리지않거나 디스플레이부에서 경고를 한다. 자동감지와 음성인식을사용자가 사용유무를 선택할수있다. 보온이되는 실내에서 원격으로 승강기의 이동상태가표시되고 호출하여 여유롭고 재미있는 승강기 다중입력원격호출시스템이다.

Description

승강기 다중입력원격호출시스템{The elevator multiplex input remote call system}
기존의 승강기 버튼은 손으로 눌러야 작동할 수있었고 어린이를 위한 발판을얹거나 추가로 똑같은 기능과 형태의버튼이 키가낮게 추가로 옆면에 장착되어있었다. 또한 승강기의 출입구에 가야만 승강기호출을 할수있었다.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승강기의 버튼기능을 발,음성,자동감지기능만으로도 승강기를 사용할수있고 보온이되는 실내에서도 승강기의 위치를보며 호출 할 수 있게하여 재미있고 편리한 승강기로 나아가 추락사고도예방하는 널리 사람을 이롭게하는 문화를 제공하기 위한것이다.
도 1은 승강기 다중입력원격호출시스템을 적용한 승강기 출입구 예시도
도 2는 승강기 다중입력원격호출시스템을 적용한 승강기 내부 예시도
도 3은 실내에서 승강기의 이동상태를 볼 수있고 호출 할 수있는 디스플레이호출입력버튼보드기능을 넣은 실내의 인터폰 과 실내현관출입구에 디스플레이호출입력버튼보드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 2:발로 누르는 호출버튼 3:안전선
4:손으로 누르던버튼
5:감지센서기 기능사용을 필요시에따라 차단할수있는 선택스위치
6:디스플레이음성출력부
7:감지센서기 8:층표시부
10: 음성인식의 사용을 필요시에따라 차단할수있는 선택스위치
11:승강기 내부에 층선택부 발조작 층선택버튼
상기한바와 같은 목적을 제공하기위한 구성과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발명에 따른 예시도로써 승강기 출입구에 기존의 손으로 누르던버튼(4)외에 바닥에 우리가 흔히 볼 수있는 DDR의 밟으면 불이 켜지면서 기계에 입력이되는 발광버튼처럼 쉽게 발로 누르면 호출이 되는버튼(1)(2)을 설치하게된다. 굳이 발로 밟는 버튼을 발광으로 할 필요까지는 없다. 왜냐면 발로 밟는 버튼을 누르게 되면 손으로 터치하는 버튼(4)에도 당연히 선택되었음을 표시하기 때문이다. 쉽게 말하면 똑같은 기능을 하는 버튼을 다만 아래에 추가로 추가로 더장착이 되기 때문이다. 버튼(1)(2)을 보면 최하층의 버튼과 최상층의 버튼은 올라가고 내려가는버튼의 한개의 버튼만을 필요로 하기때문에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요철을 버튼과 일체로 있어도되고 그로인해점자판을 따로 설치해야하는 낭비도없어진다 중간층들은 각각의 버튼(1)(2)앞에 시각장애인이 인식하는 점자판을 설치한다. 감지센서기(7)는 우리가 흔히 볼수있는 자동문의 원리를 결합한 것이다. 자동문이나 자동소변기처럼 감지센서가 사람을 감지하여 승강기 호출신호를 입력하게되어 버튼기능을 대신하게된다. 그기능에 추가하여 사람이 너무출입구가까이 붙어 있을때 만에 있을 승강기 오작동으로인해 승강기불도착시 잘못 문이 개방될 경우 추락사고를 방지하기위해 감지센서(7)가 안전선(3) 안에 있는 사람을 감지 문의 개방을 보류하게 할수있게한다. 또한 안전선(3)의 경우 시각장애인과 휠체어사용자를 위해 둥글납작한 요철로 경계선을 표시한다.또한 안전선안으로 사람이나 물체가 감지되었을경우 감지신호가 승강기의 전자컨트롤장치에 입력이 되면 문의개방보류와 동시에 음성안내로 경고안내를 디스플레이음성출력부(6)의 스피커를 통해 음성안내와 경고등을 점등시킬 수 있다.이기능은 내리는 사람과 타는 사람과의 불필요한 맞대면이나 접촉을 방지하는 효과와 시각장애인이 승강기 앞에도달했다는인식을 제공하게된다. 도(2)를 보면 승강기 내부에 층선택부 밑을보면 발조작 층선택버튼(11)처럼 발로써 원하는 층의 위치를 화살표키로 조정하여 선택을 할수있다. 또한 음성인식시스템(9)을 추가하여 손과 발이 필요없어도 말로만 하면 시스탬이 인식 승강기전자컨트롤장치에 원하는 층의정보를 입력 선택이 되게한다. 도 1과 도 2의기능선택스위치(5)(10)는 감지센서기능이나 음성인식의 사용을 필요시에따라 차단할수있는 선택스위치이다. 도 3은 보온이되는 실내에서 차분하게 승강기의 이동상태를 볼 수있고 호출 할 수있는 디스플레이호출입력버튼보드기능을 실내의 인터폰()에 그기능을넣거나 실내현관출입구에 디스플레이호출입력버튼보드()를설치하게 되므로써 여름에 시원한 실내에서 겨울엔 따듯한 실내에서 선택을 하여 바쁠때 승강기가가까운층에있을때 빨리뛰어나가거나 멀리있을땐 옷매무새점검이나 신발끈을 묶을수있는 여유로움을 제공 할수 있다.
인구는 늘어가고 건물이나 주택공간이 좁아 고층건물이나 아파트가 늘어나고있다.그로인해 승강기의 사용수요도 많이 늘고있다. 본 등록의 효과는 발로 밟아서 키가 작은어린이도 편리하고 재미있게 층을 선택 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양손에 짐을 들고있을 경우 버튼입력을 위해 짐을 내려놓았다가 다시들어야하는 불편함도 없앨수있고 손이 불편한 환자나 신체부자유자들도 자신이 원하는 방식으로 선택하여 승강기 조작을 할 수있게되고 불필요한기능을 차단할 수 있으며 시각장애인의 승강기도달인식을 제공하고 승강기 오작동으로인한 추락사고를 방지하는 사고예방역활기능과 보온이되어있는실내에서 원격호출을 할수있어 일반인 뿐만아니라 특히 노약자나 환자 그리고 장애인에게 매우 이로우며빠르고 편리하고 여유로운 승강기문화를 제공한다.

Claims (3)

  1. 다중입력승강기원격호출기능에있어서 승강기의 입력버튼(상승호출버튼,하강호출버튼,내부층수입력버튼)에대하여 발로밟는 족동식버튼과 자동감지센서기장착으로 감지검출신호로 호출버튼입력기능, 안전선안의 사물감지로 개방보류와 함께 음성안내와 경고표시기능, 승강기 출입구앞의 요철 안전선 설치, 승강기내부의 음성인식장치를추가하여 음성으로 읽어진층수를 인식하는기능, 자동감지기능과 음성인식기능을 차단할수있는 선택스위치,실내에서원격호출과 승강기위치를 알수있는 디스플레이입력버튼기능이 실내에 설치되어 연결되어있는 디스플레이호출입력버튼보드와 디스플레이호출입력버튼을장착하여 전자컨트롤 장치에 연결하는 인터폰. 이상 위에열거한 각각의 기능을 갖는 승강기 시스템
  2. 제 1항에있어서 시각장애인을 위한 버튼 표면에 요철을 일체형으로 형성함을특징으로하는버튼
  3. 발로밟는 버튼의 오조작방지를 위해 출입구의 좌우 코너에 분리하여 설치한 상승하강호출버튼
KR1020010029650A 2001-05-29 2001-05-29 승강기 다중입력 원격호출 시스템 KR200100706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9650A KR20010070650A (ko) 2001-05-29 2001-05-29 승강기 다중입력 원격호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9650A KR20010070650A (ko) 2001-05-29 2001-05-29 승강기 다중입력 원격호출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8295U Division KR200343077Y1 (ko) 2003-12-09 2003-12-09 승강기 다중입력원격호출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0650A true KR20010070650A (ko) 2001-07-27

Family

ID=19710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9650A KR20010070650A (ko) 2001-05-29 2001-05-29 승강기 다중입력 원격호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70650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85562A (zh) * 2011-07-28 2011-12-21 马传辉 电梯用脚踏手按双输入装置
KR20160085066A (ko) * 2015-01-07 2016-07-15 최희정 시각장애인용 욕실 장치
KR101643665B1 (ko) * 2015-02-13 2016-08-0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엘리베이터 호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CN105858371A (zh) * 2016-05-21 2016-08-17 上海新时达电气股份有限公司 电梯的信息输入装置
KR101689399B1 (ko) * 2016-06-09 2016-12-23 주식회사 포엠일렉트로옵틱 엘리베이터용 금속감지 방식의 발판식 점자블록
CN108928688A (zh) * 2017-05-24 2018-12-04 住友富士电梯有限公司 一种电梯智能召唤装置
KR102366532B1 (ko) * 2020-10-13 2022-02-23 성보경 발전수단을 구비하며, 발버튼을 이용한 이동층을 선택할 수 있는 승강기
KR102519189B1 (ko) * 2022-02-28 2023-04-07 강종용 엘리베이터의 진보된 안정성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75579A (ja) * 1988-09-08 1990-03-15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かご呼び登録装置
JPH0781855A (ja) * 1993-09-14 1995-03-28 Ohbayashi Corp 指示ペダル付エレベータ
JPH0797148A (ja) * 1993-09-27 1995-04-11 Ohbayashi Corp 指示ペダル付エレベータ
JPH0840677A (ja) * 1994-07-27 1996-02-13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ーのドア安全装置
JPH09100075A (ja) * 1995-10-03 1997-04-15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装置
JPH09202542A (ja) * 1996-01-25 1997-08-05 Otis Elevator Co 集合住宅用エレベーター
KR20010008169A (ko) * 2000-11-03 2001-02-05 우기원 시각장애인용 엘리베이터 음성출력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75579A (ja) * 1988-09-08 1990-03-15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かご呼び登録装置
JPH0781855A (ja) * 1993-09-14 1995-03-28 Ohbayashi Corp 指示ペダル付エレベータ
JPH0797148A (ja) * 1993-09-27 1995-04-11 Ohbayashi Corp 指示ペダル付エレベータ
JPH0840677A (ja) * 1994-07-27 1996-02-13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ーのドア安全装置
JPH09100075A (ja) * 1995-10-03 1997-04-15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装置
JPH09202542A (ja) * 1996-01-25 1997-08-05 Otis Elevator Co 集合住宅用エレベーター
KR20010008169A (ko) * 2000-11-03 2001-02-05 우기원 시각장애인용 엘리베이터 음성출력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85562A (zh) * 2011-07-28 2011-12-21 马传辉 电梯用脚踏手按双输入装置
KR20160085066A (ko) * 2015-01-07 2016-07-15 최희정 시각장애인용 욕실 장치
KR101643665B1 (ko) * 2015-02-13 2016-08-0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엘리베이터 호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CN105858371A (zh) * 2016-05-21 2016-08-17 上海新时达电气股份有限公司 电梯的信息输入装置
KR101689399B1 (ko) * 2016-06-09 2016-12-23 주식회사 포엠일렉트로옵틱 엘리베이터용 금속감지 방식의 발판식 점자블록
CN108928688A (zh) * 2017-05-24 2018-12-04 住友富士电梯有限公司 一种电梯智能召唤装置
KR102366532B1 (ko) * 2020-10-13 2022-02-23 성보경 발전수단을 구비하며, 발버튼을 이용한 이동층을 선택할 수 있는 승강기
KR102519189B1 (ko) * 2022-02-28 2023-04-07 강종용 엘리베이터의 진보된 안정성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6290B1 (ko) 비접촉 선택 스위치
AU2005201476B2 (en) Elevator with car operating panel
KR20010070650A (ko) 승강기 다중입력 원격호출 시스템
KR20180115437A (ko) 센서 제어가 가능한 비접촉식 엘리베이터 승강장 호출입력버튼
JP2016003136A (ja) エレベータのかご
WO2001096224A1 (fr) Tableau de commande pour ascenseur
JP4237876B2 (ja) エレベータ
KR200343077Y1 (ko) 승강기 다중입력원격호출시스템
JP4385889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1139240A (ja) エレベータ
CN115461289A (zh) 具有两个在乘客侧分开布置的呼叫输入装置的电梯操作装置
JP2002037552A (ja) エレベータの操作ボタンによる登録装置
JP2009274820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200234019Y1 (ko) 엘리베이터용 선택층 음성안내장치
JPH1179576A (ja) エレベーターの乗場呼びおよびかご呼び登録装置
CN215755787U (zh) 电梯呼叫系统和包含该电梯呼叫系统的电梯
JPH09194150A (ja) エレベーターの運転装置
CN113086784A (zh) 电梯呼叫系统和包含该电梯呼叫系统的电梯
EP3702307A1 (en) Destination call arrangement for elevator
KR20010008169A (ko) 시각장애인용 엘리베이터 음성출력장치
KR20160015847A (ko) 셀프 엘리베이터
JPH0754221Y2 (ja) 呼釦誤操作防止装置
JPH07125956A (ja) エレベータ
JP2021178697A (ja) エレベータおよびエレベータ制御方法
KR20050011916A (ko) 승강기 원격조종 입력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