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0647A - 쑥을 이용한 담배 및 담배파이프의 필터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쑥을 이용한 담배 및 담배파이프의 필터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0647A
KR20010070647A KR1020010029646A KR20010029646A KR20010070647A KR 20010070647 A KR20010070647 A KR 20010070647A KR 1020010029646 A KR1020010029646 A KR 1020010029646A KR 20010029646 A KR20010029646 A KR 20010029646A KR 20010070647 A KR20010070647 A KR 20010070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tobacco
mugwort
auxiliary raw
bamboo s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9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1477B1 (ko
Inventor
이혜복
이근출
Original Assignee
이혜복
이근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혜복, 이근출 filed Critical 이혜복
Priority to KR10-2001-0029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1477B1/ko
Publication of KR20010070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0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1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14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2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 A24B15/30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 A24B15/302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by natural substances obtained from animals or plants
    • A24B15/303Plant extracts other than tobacco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3/00Preparing tobacco in the factory
    • A24B3/04Humidifying or drying tobacco bunches or cut tobacco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6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 A24D3/14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of organic materials as additiv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17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Tobacco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쑥을 이용한 담배 제조방법은 쑥의 엽체로부터 쑥액을 추출하는 주원료액 추출단계와, 굴껍질을 침적시킨 수산화마그네슘 용액으로부터 보조원료를 추출하는 보조원료액 추출단계와, 상기 주원료액 및 보조원료액을 혼합하는 추출액 혼합단계와, 공지된 담배제조공정의 가습 단계에 상기 혼합된 추출액을 첨가시키는 추출액 첨가단계의 순으로 구성되어, 담배 속에 포함된 니코틴 뿐 만 아니라 타르, 일산화탄소를 급격히 저하시켜 담배로 인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쑥을 이용한 담배 및 담배파이프의 필터 제조방법{METHOD FOR FABRICATING TOBACCO AND FILTER OF PIPE USING MUGWORT}
본 발명은 쑥을 주원료로 하는 쑥을 이용한 담배 및 담배파이프의 필터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담배 연기 속의 화학 물질 중 핵심 성분인 타르, 니코틴, 일산화탄소의 양을 급격히 저하시켜 담배로 인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쑥을 이용한 담배 및 담배파이프의 필터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담배 연기 속에는 약 4000 여종의 화학물질이 들어 있다. 이미 알려진 발암물질만도 43가지에 이르며, 이중에서 돌연변이를 유발하는 발암물질도 있다.
특히, 타르(tar), 니코틴, 일산화탄소는 해로운 성분으로 잘 알려져 있다. 타르는 일반적으로 담배진이라고 부르는 독한 물질로 담배의 독특한 맛은 바로 이 타르에서 나온다. 타르 속에는 약 43종의 발암 물질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독성 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타르는 적은 양으로도 동물이나 곤충을 죽일 수 있으며, 산에서는 뱀을 퇴치하는데 이용할 정도로 독한 물질이다.
니코틴은 아편과 같이 중독을 일으키는 물질이다. 담배에 한번 중독이 되면 끊기 어려운 이유가 바로 이 니코틴 때문이다. 니코틴은 뇌신경에 작용해서 안락감을 주고 각성효과가 있어 글을 쓰거나 작업을 할때 창의력을 일시적으로 향상시키기도 하고, 마음을 진정시키는 작용도 한다.
기체 성분 속에 들어 있는 물질 중에는 일산화탄소가 있다. 담배를 피우는 사람은 혈액의 산소 운반 능력이 떨어져 저 산소증을 갖게 되고, 이로 인해 머리가 아프고 정신이 멍해지게 된다. 이렇게 흡연을 하게 되면 담배 연기 속에 있는 화학물질이 호흡 기관에 직접 피해를 주고, 또한 폐에서 흡수되어 온몸을 돌면서 우리 몸의 모든 장기에 암을 포함한 각종 질병을 일으킬 뿐 아니라 모든 조직, 세포에 노화 현상을 일으켜 조기 사망할 확률이 높게 된다.
대체로 흡연에 의해 발생되는 질병으로 폐암, 심장 마비, 관상동맥질환, 뇌졸중, 동맥경화증, 불임증, 성기능장애, 치주질환, 구강암, 방광암, 소화성궤양, 골다공증, 임산부의 경우 선천성 기형아, 미숙아 출산 등의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타르, 니코틴, 일산화탄소를 제거하는 기술로서, 쑥을 주 성분으로 하고, 수산화마그네슘, 굴껍질, 죽염가루를 보조성분으로 하고 있다.
쑥은 씨네올(synaol), 쎄 퀘데르펜(she-ketalupane)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상기 씨네올, 쎄 퀘데르펜은 조직 세포의 부활력을 강화시키고, 혈액 중의 항독소, 면역체 등을 증강시켜 질병의 치료를 높이는 효능이 있으며, 혈액의 백혈구와 적혈구를 증가시키고 헤모글로빈, 옵소닌, 칼슘 등을 생성시켜 원기를 보강하며, 장내 세균층에 대한 항균성뿐 만 아니라 독소 제거 역할도 한다.
한방에서는 애엽이라하여, 복통, 지혈, 소화불량, 만성간염, 부인병 등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쑥의 씨네올과 쎄 퀘데르펜은 니코틴 및 일산화탄소의 제거 역할을 한다.
이외에 항독소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는 보조 성분으로 수산화 마그네슘, 굴껍질, 죽염가루를 사용하는데, 이중 수산화마그네슘은 환경 정화제로 사용되고 있으며, 식품첨가제, 의약품으로도 활용되고 있는데, 호수나 강의 인 제거, 중금속 제거, 황산염 환원균 증식 억제의 효과를 나타내고, 대기오염방지를 위한 배연탈황공정에도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수산화마그네슘은 타르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독소를 제거하게 된다.
굴껍질은 다량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CaCO38.6%, N 0.3%, P2O50.3%, K2O 0.2%, MgO 0.7% 가 함유되어 있고, 미량 요소로서 Mn 300 ppm, B 224 ppm, Zn 90 ppM, Fe 343 ppm, Cu 16 ppm 이 함유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사용된 굴껍질의 MgO 는 해수내에서 이온 결합에 따라 수산화마그네슘을 형성시키는 원료가 되며 해수의 정화작용에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굴 껍질은 타르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독소의 제거 역할을 하게 된다.
죽염은 염을 대나무에 넣고 1000℃ 이상의 고온으로 구운 것으로, 이는 새 새포를 생성시키고, 독소를 제거하는 비약(秘藥)으로 알려져 왔다.
죽염에 사용된 재료는 대나무와 소금으로서 대나무는 시아닌, 패오닌, 시아니딘, 패오니딘, 갈락토스 등의 성분을 함유하며, 종양, 세포 생신력에 효과가 탁월한 것으로 동의보감, 본초강목, 신농본초경, 원생한국약용식물도감에 기재되어있고, 소금은 소독, 살균 작용을 하며, 구취를 소실시키고, 풍치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죽염의 주요 성분으로 나트륨, 마그네슘, 망간, 아연 등이 포함되어 있는데, 상기 성분들은 담배 연기로 인한 치주 질환 예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 기술은 쑥을 주성분으로 하고 수산화마그네슘, 굴껍질, 죽염가루를 보조성분으로 하는데 각 성분들은 실시예에서 보듯 각각 독자적으로 사용해도 효과가 있다.
이 분야의 종래 기술은 주로 니코틴제거에 맞추어져 있었다. 니코틴은 C10H14N2의 분자식을 갖고 있으며, 유상(油狀)의 담황색 액체로 실온에서는 휘발성을 나타낸다. 담배의 니코틴은 인체 내에서 나이트로사민(Nitrosamine)으로 전환 축적되어 폐암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아비에틱산 등을 이용해 니코틴을 코틴으로 전환시켜 소변으로 배출하는 정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담배 속에 포함된 니코틴 뿐 만 아니라 타르, 일산화탄소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쑥을 이용한 담배 및 담배파이프의 필터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쑥의 엽체로부터 쑥액을 추출하는 주원료액 추출단계, 굴껍질을 침적시킨 수산화마그네슘 용액으로부터 보조원료를 추출하는 보조원료액 추출단계, 상기 주원료액 및 보조원료액을 혼합하는 추출액 혼합단계, 공지된 담배제조공정의 가습 단계에 상기 혼합된 추출액을 첨가시키는 추출액 첨가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주원료액 추출단계는 쑥의 엽체를 에칠 알콜과 일정시간 혼합하여 교반하는 교반단계, 물을 첨가하고 일정시간 가열하여 에칠 알콜을 증발시키는 가열단계, 0℃ 이하의 온도에서 동결 건조하여 수분을 증발시켜 쑥액을 추출하는 건조단계의 순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조원료액 추출단계는 죽염을 물에 용해시켜 죽염 용액을 만드는 죽염 용해단계, 상기 죽염 용액에 수산화마그네슘을 침적시켜 혼합 용액을 만드는 수산화마그네슘 용해단계, 상기 혼합 용액에 굴껍질 분말을 침적시키고 일정 시간 가열하여 보조원료를 추출하는 가열 단계의 순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굴껍질을 침적시킨 수산화마그네슘 용액으로부터 보조원료를 추출하는 보조원료액 추출단계, 쑥의 엽체에 보조원료액을 도포하고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건조된 쑥의 엽체로 구(球) 형태의 쑥환(丸)을 제조하여 담배 파이프의 필터부에 삽입하는 필터부 삽입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조원료액 추출단계는 죽염을 물에 용해시켜 죽염 용액을 만드는 죽염 용해단계, 상기 죽염 용액에 수산화마그네슘을 침적시켜 혼합 용액을 만드는 수산화마그네슘 용해단계, 상기 혼합 용액에 굴껍질 분말을 침적시키고 일정 시간 가열하여 보조원료를 추출하는 가열 단계의 순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쑥을 이용한 담배 및 담배파이프의 필터 제조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제조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쑥을 이용한 담배 및 담배파이프의 필터 제조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제조 공정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담배파이프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3a는 담배파이프의 필터부에 쑥환(丸)을 넣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b는 담배파이프의 필터부에 쑥환(丸)을 넣은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110 ; 주원료액 추출단계 S120 ; 보조원료액 추출단계
S130 ; 추출액 혼합단계 S140 ; 1차 추출액 첨가단계
S150 ; 2차 추출액 첨가단계 S210 ; 보조원료액 추출단계
S220 ; 쑥의 엽체에 보조원료액 도포단계
S230 ; 건조단계 S240 ; 쑥환(丸) 제조단계
S250 ; 필터부 삽입단계 10 ; 담배 파이프
11 ; 필터부 13 ; 쑥환(丸)
본 발명의 이들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참조함으로서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위해 예시적으로 기재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일반적인 담배의 제조 방법은, 잎담배를 평량한 후, 약 20분간 수증기를 통하여 포화시켜 습윤케 하는 1차 가습 단계를 수행한 다음, 약 30℃로 냉각하고 담배 잎의 줄기를 빼 낸다. 이때 정선된 잎담배 및 담배의 각초 85kg에 제조된 낭탕근 판상엽 각초 15kg을 배합하고 과포화상태의 증기에 순환시켜 수분 17±1%로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조화(調和)시키는 2차 가습 단계를 수행한 다음, 보습제인 글리세린과 플로피렌 글리콜을 각각 1.5kg 가하여 30℃ 정도가 되도록 유지시키고, 수분 19%∼21%로 조절한 다음 0.9mm의 각초로 제각하여 수분이 13∼14%가 되도록 냉각한 후, 필요에 따라 가향제를 첨가하고 수분 12%∼13%로 유지하여 담배를 제조한다.
본 발명은 쑥으로부터 추출된 쑥액과, 그 외 보조원료액을 상기 담배 제조단계 중 가습 단계에 포함시켜 제조한다. 즉, 도 1과 같이 쑥의 엽체로부터 쑥액을 추출하는 주원료액 추출단계(S110)를 수행하고, 굴껍질을 침적시킨 수산화마그네슘 용액으로부터 보조원료를 추출하는 보조원료액 추출단계(S120)를 수행한다. 그런 다음, 상기 주원료액 및 보조원료액을 혼합하는 추출액 혼합단계(S130)를 수행하고, 공지된 담배제조공정의 1차 가습 단계에 상기 혼합된 추출액을 첨가하는 1차 추출액 첨가 단계(S140)와, 담배제조공정의 2차 가습 단계에 상기 혼합된 추출액을 첨가하는 2차 추출액 첨가단계(S150)를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이를 좀더 상술하면, 쑥의 엽체 100g을 쑥의 양 1∼2 배 되는 순도 90% 이상의 에칠 알콜과 3시간 이상 혼합하여 교반한 후, 여기에 다시 쑥의 양 1∼2 배의 물을 첨가하여 80∼85℃의 온도로 30∼40분간 가열하여 에칠 알콜을 증발시킨 다음, 영하의 온도에서 동결 건조하여 수분을 증발시켜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쑥액인 주원료액을 얻는다.
계속해서, 죽염을 죽염의 양 2∼5배 되는 물, 약 1리터 정도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죽염과 같은 양의 수산화마그네슘을 약 3∼4시간 수중 침적시켜 용해시킨다. 이렇게 만든 용액 약 1리터에 굴껍질을 분쇄하여 가루로 만든 다음, 적당량(100∼200g)을 용액에 침적시켜 100℃의 온도로 5∼10분간 가열하여 굴껍질에서 함유하고 있는 유효 성분을 추출하여 보조원료액을 얻는다.
이와 같이 추출된 주원료액 및 보조원료액을 혼합한 후 담배제조공정의 가습 단계에 상기 혼합된 추출액을 첨가시켜 담배를 제조한다. 상기 주원료액과 보조원료액의 구성비율은 약 4∼5:1 정도로 한다. 실험의 예에서 보조원료의 비율을 5:1로 하였다.
(실시예2)
도 3a 및 도 3b와 같이, 담배 파이프(10)의 필터부(11)에 지름 1cm 정도의 구(球) 형태로 제조된 쑥환(13)을 넣어서 담배 연기 속의 화학물질을 흡수 제거하는 역할을 하도록 한다.
도 2와 같이, 굴껍질을 침적시킨 수산화마그네슘 용액으로부터 보조원료를 추출하는 보조원료액 추출단계(S210)을 수행하고, 쑥의 엽체에 보조원료액을 도포하는 단계(S220)를 수행한다. 그런 다음 건조시키는 건조단계(S230)를 수행하고, 건조된 쑥의 엽체로 구(球) 형태의 쑥환(丸)(13)을 제조하는 쑥환 제조단계(S240)를 수행한 후, 담배 파이프(10)의 필터부(11)에 상기 쑥환(13)을 삽입하는 필터부 삽입단계(S250)를 수행한다.
즉, 쑥의 엽체(100g)에 보조 원료에서 추출한 액(실시예1과 동일)을 4∼5:1의 비율로 첨가한 후 쑥 엽체를 건조시키고, 건조한 쑥을 지름 10cm 정도의 구 형태로 담배 파이프에 넣어서 담배 연기에 함유된 독성물질을 제거하는 것이다.
상기 실시예 1,2에 대해서 아래 표 1과 같이 주원료, 보조원료, 주원료+보조원료로 구분하여 각각 일반제품에 대해 30명의 피시험자에게 테스트를 실시하여 1∼5점의 평점을 매겨 평균을 내었다.
일반제품 실 시 예 1 실 시 예 2
주원료 보조원료 주원료+보조원료 주원료 보조원료 주원료+보조원료
맛의 부드러움 3.1 4.7 4.4 4.8 4.6 4.5 4.6
담배의 질 3.5 4.5 4.6 4.7 4.7 4.6 4.7
담배의 향 4.5 4.6 4.5 4.6 4.6 4.5 4.6
입 냄새 3.3 4.7 4.6 4.5 4.6 4.6 4.7
흡연후 피로감 3.2 4.7 4.6 4.8 4.5 4.4 4.5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쑥을 이용한 담배 및 담배파이프의 필터 제조방법은 담배 속에 포함된 니코틴 뿐 만 아니라 타르, 일산화탄소를 급격히 저하시켜 담배로 인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쑥의 엽체로부터 쑥액을 추출하는 주원료액 추출단계,
    굴껍질을 침적시킨 수산화마그네슘 용액으로부터 보조원료를 추출하는 보조원료액 추출단계,
    상기 주원료액 및 보조원료액을 혼합하는 추출액 혼합단계,
    공지된 담배제조공정의 가습 단계에 상기 혼합된 추출액을 첨가시키는 추출액 첨가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을 이용한 담배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원료액 추출단계는
    쑥의 엽체를 에칠 알콜과 일정시간 혼합하여 교반하는 교반단계,
    물을 첨가하고 일정시간 가열하여 에칠 알콜을 증발시키는 가열단계,
    0℃ 이하의 온도에서 동결 건조하여 수분을 증발시켜 쑥액을 추출하는 건조단계의 순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을 이용한 담배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원료액 추출단계는
    죽염을 물에 용해시켜 죽염 용액을 만드는 죽염 용해단계,
    상기 죽염 용액에 수산화마그네슘을 침적시켜 혼합 용액을 만드는 수산화마그네슘 용해단계,
    상기 혼합 용액에 굴껍질 분말을 침적시키고 일정 시간 가열하여 보조원료를추출하는 가열 단계의 순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을 이용한 담배 제조방법.
  4. 굴껍질을 침적시킨 수산화마그네슘 용액으로부터 보조원료를 추출하는 보조원료액 추출단계,
    쑥의 엽체에 보조원료액을 도포하고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건조된 쑥의 엽체로 구(球) 형태의 쑥환(丸)을 제조하여 담배 파이프의 필터부에 삽입하는 필터부 삽입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을 이용한 담배 파이프의 필터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원료액 추출단계는
    죽염을 물에 용해시켜 죽염 용액을 만드는 죽염 용해단계,
    상기 죽염 용액에 수산화마그네슘을 침적시켜 혼합 용액을 만드는 수산화마그네슘 용해단계,
    상기 혼합 용액에 굴껍질 분말을 침적시키고 일정 시간 가열하여 보조원료를 추출하는 가열 단계의 순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을 이용한 담배 파이프의 필터 제조방법.
KR10-2001-0029646A 2001-05-29 2001-05-29 쑥을 이용한 담배 및 담배파이프의 필터 제조방법 KR100401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9646A KR100401477B1 (ko) 2001-05-29 2001-05-29 쑥을 이용한 담배 및 담배파이프의 필터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9646A KR100401477B1 (ko) 2001-05-29 2001-05-29 쑥을 이용한 담배 및 담배파이프의 필터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0647A true KR20010070647A (ko) 2001-07-27
KR100401477B1 KR100401477B1 (ko) 2003-10-10

Family

ID=19710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9646A KR100401477B1 (ko) 2001-05-29 2001-05-29 쑥을 이용한 담배 및 담배파이프의 필터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14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957B1 (ko) * 2002-08-26 2005-02-22 임선 담배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3398A (ko) * 1992-12-15 1994-07-15 우용수 약쑥담배의 제조
KR100296868B1 (ko) * 1998-12-04 2001-10-26 김은영 니코틴이없는담배
KR20010000080A (ko) * 2000-02-10 2001-01-05 송윤강 니코틴및타르등유해물질을용이하게제거하도록한담배필터
KR20010016224A (ko) * 2000-11-23 2001-03-05 송윤강 니코틴 및 타르 등 유해물질의 제거가 용이한 담배필터
KR20010074561A (ko) * 2001-05-04 2001-08-04 전창호 담배의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957B1 (ko) * 2002-08-26 2005-02-22 임선 담배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1477B1 (ko) 200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ing et al. King's American dispensatory
DE3332429T1 (de) Arzneipraeparat mit antinikotinwirkung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CN101856144B (zh) 一种改善卷烟烟丝品质的方法
US6772769B2 (en) Preparation of tobacco having reduced contents of nicotine and tar
KR100401477B1 (ko) 쑥을 이용한 담배 및 담배파이프의 필터 제조방법
CN102423137A (zh) 一种烟用滇橄榄提取物及其在香烟滤棒上的应用
US4600026A (en) Tobacco composition with bluish dogbane and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KR101227091B1 (ko) 발효 쑥초액 및 탄화 쑥초액을 이용한 식품첨가물
WO1999020131A1 (fr) Cigarettes a base de feuilles de ginkgo
CN111642786B (zh) 一种具有防疫和保健功效的中草药茶烟及其应用
KR100286473B1 (ko) 흡연시 비타민과 향기가 발생되는 담배의 조성물
Lander Veterinary toxicology
KR101057898B1 (ko) 쑥뜸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66434B1 (ko) 흡연욕구 억제용 방향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60022214A (ko) 연(蓮)을 이용한 뜸과 선향의 연소재와 입욕재 제조법
CN1069027C (zh) 新型混合性无毒保健香烟及其制作工艺
KR100828180B1 (ko) 편백나무 피톤치드를 함유한 담배필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24754B1 (ko) 청미래덩굴을 이용한 담배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담배
KR20010001890A (ko) 두충과 쑥을 이용한 끽연물 제조방법
CN100496310C (zh) 一种制备烟叶发酵sod液体制剂的方法
Wythes The Physician's Dose and Sympton Book
Lander Veterinary toxicology
KR20030065925A (ko) 참솔굴비제조방법
KR101212176B1 (ko) 조미 고등어 제조방법
KR20020060671A (ko) 폐질환 예방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사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