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6434B1 - 흡연욕구 억제용 방향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흡연욕구 억제용 방향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6434B1
KR101866434B1 KR1020170170769A KR20170170769A KR101866434B1 KR 101866434 B1 KR101866434 B1 KR 101866434B1 KR 1020170170769 A KR1020170170769 A KR 1020170170769A KR 20170170769 A KR20170170769 A KR 20170170769A KR 101866434 B1 KR101866434 B1 KR 101866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cotine
smoking
composition
filtering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0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현
Original Assignee
김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현 filed Critical 김재현
Priority to KR1020170170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64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6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6434B1/ko
Priority to PCT/KR2018/014284 priority patent/WO201911749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2Acoraceae (Calamus family), e.g. sweetflag or Acorus calam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8Clusiaceae, Hypericaceae or Guttiferae (Hypericum or Mangosteen family), e.g. common St. Johnsw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9Polygalaceae (Milkwort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7Pulmonary tract; Aroma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7Extraction at elevated pressure or temperature, e.g. pressurized solvent extraction [PS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or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 Y10S514/813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0~36중량%의 비율로 포함되는 석창포(Acorus Gramineus Root/Stem Extract), 15~18중량%의 비율로 포함되는 당귀(Angelicae Gigantis Radix), 15~18중량%의 비율로 포함되는 원지(Polygala Tenuifolia Root Extract), 15~18중량%의 비율로 첨가되는 곽향(Agastache rugosa), 15~18중량%의 비율로 첨가되는 성요한초(St John's Wor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흡연욕구 억제용 방향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ROMATIC COMPOSITION FOR CONTROL SMOKING NEEDS AND MAK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흡연용구 억제용 방향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용하거나 흡입하지 않고 향기를 맡는 것만으로 금연 시에 발생되는 과잉행동 발달 현상을 억제할 수 있고, 금연에 따른 우울증, 조현병, 강박장애, 치매, 알츠하이머병, 레드 증후군, 헌팅턴병, 신경성 식욕부진증, 폭식증 및 뇌전증 등의 금단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흡연욕구 억제용 조성물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흡연욕구 억제용 방향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의 건강에 피해를 주는 물질 중에 담배가 차지하는 비중은 커지고 있는 추세이다.
흡연과 질병발생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1900년대 중반 이후 집중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했으며, 흡연으로 인한 폐암을 비롯한 각종 질병의 발생 증가와 다른 건강장애에 대한 증거가 지속적으로 쌓이고 있다. 실제로 담배연기는 주류연(mainstream smoke)과 부류연(sidestream smoke)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류연은 흡연자가 들이마신 후 내품는 연기이고, 부류연은 타고 있는 담배 끝에서 나오는 생담배연기를 말한다.
담배연기의 성분 분석 결과 약 4,000 여종의 성분이 확인 되었으며, 약 4,000 여종의 성분이 주류연 총중량의 약 95%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나머지 수천 종의 성분은 극히 미량으로 존재한다.
담배연기는 담배의 불완전 연소로 발생하며 완전연소가 되면 물과 이산화탄소가 발생하고, 불완전연소는 일부 담배잎 성분의 불완전 연소성, 불충분한 산소공급, 이외에도 담배가 탈 때 증류, 승화, 열분해, 열 합성, 휘발성의 과정을 거쳐 일어난다.
담배연기는 기체에 액체 또는 미세한 입자가 섞여 있는 혼합체인 연무질(aerosol)로서, 캠브리지 유리섬유필터(Cambridge glass fiber filter;입자의 직경이 0.1㎛ 보다 큰 입자를 99% 이상 걸러낼 수 효율을 가진 필터)를 통과한 물질을 가스 또는 증기 성분이라 한다.
가스 또는 증기 성분은 질소(59%), 산소(13.4%), 이산화탄소(13.5%), 일산화탄소(3.2%)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기관지 섬모 작용에 대해 독성을 나타내는 알데히드, 케톤, 알코올, 에스테르 등과 같은 저 분자량을 갖는 휘발성 성분이 포함된다.
또한, 유리섬유필터(cambridge glass fiber filter)에 의해 걸러진 물질을 입자상 물질(Particulates phase components)이라 하고 담배연기의 약 8%이고, 타르를 포함한 적어도 38개의 알려진 발암물질과 발암가능성 물질 및 니코틴이 있으며, 기타의 무기 및 유기화학 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21세기에 들어서도 담배는 여전히 인류의 건강에 가장 큰 피해를 주는 위험요인으로 남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담배 애호가는 끽연의 습관을 끊는다는 일은 쉬운 일이 아니며, 또 끽연을 계속하면 담배연기로 인한 체내에 니코틴과 타르성분 등이 축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흡연욕구 억제용 기능성 음료가 개발되었으며, 종래기술에 따른 흡연욕구 억제용 기능성 음료는, 500㎖의 미네랄이 함유된 수소수와, 70중량%의 천연 정제 박하유(Natural peppermint oil)와 1중량%의 유칼립투스 오일(Eucalyptus oil)과 5중량%의 엘 멘톨(L-menthol)과 20중량%의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와 2중량%의 담배잎엑기스와 1중량%의 1차가향(Casing)과 1중량%의 2차가향(Top Dressing)으로 이루어진 0.3㎖의 박하향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84409호(2006년 07월 24일 공고, 발명의 명칭 : 흡연욕구 억제용 기능성음료 및 그 제조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흡연욕구 억제용 기능성음료는, 사용자가 기능성음료를 음용해야만 흡연욕구를 억제하는 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에 사용자가 휴대하거나 보관하여 음용해야 하므로 사용자가 쉽게 접하여 정기적으로 음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복용하거나 흡입하지 않고 향기를 맡는 것만으로 금연 시에 발생되는 과잉행동 발달 현상을 억제할 수 있고, 금연에 따른 우울증, 조현병, 강박장애, 치매, 알츠하이머병, 레드 증후군, 헌팅턴병, 신경성 식욕부진증, 폭식증 및 뇌전증 등의 금단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흡연욕구 억제용 조성물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흡연욕구 억제용 방향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30~36중량%의 비율로 포함되는 석창포(Acorus Gramineus Root/Stem Extract), 15~18중량%의 비율로 포함되는 당귀(Angelicae Gigantis Radix), 15~18중량%의 비율로 포함되는 원지(Polygala Tenuifolia Root Extract), 15~18중량%의 비율로 첨가되는 곽향(Agastache rugosa), 15~18중량%의 비율로 첨가되는 성요한초(St John's Wor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석창포, 상기 당귀, 상기 원지, 상기 곽향 및 상기 성요한초를 포함하는 방향제 조성물은, 사용자가 금연하는 동안 니코틴에 노출되는 경우에 발생되는 과잉 행동반응을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석창포, 상기 당귀, 상기 원지, 상기 곽향 및 상기 성요한초를 포함하는 방향제 조성물은, 사용자의 뇌세포 내 뇌유래신경영양인자(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 BDNF) 발현을 증가시켜 금단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석창포, 당귀, 원지, 곽향 및 성요한초를 정량으로 측량하여 분쇄하고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혼합물을 제1설정크기로 필터링하여 거르는 단계; (c) 상기 혼합물을 350~450bar의 압력 및 섭씨55~65℃의 온도를 유지하며 7~9시간 동안 초임계 오일을 추출하는 단계; (d) 상기 초임계 오일을 섭씨45~55℃의 온도를 유지하며 20~40분 동안 중탕시킨 후에 상온에서 냉각시키는 단계; (e) 제2설정크기로 필터링하여 거르는 단계; 및 (f) 제3설정크기로 필터링 한 후에 한지를 통과시켜 2중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흡연욕구 억제용 방향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은, 석창포, 당귀, 원지, 곽향 및 성요한초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제조되므로 금연 후에 발생되는 과잉행동 발달을 억제하고, 사용자의 뇌세포 내부의 뇌유래신경영양인자(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 BDNF) 발현을 증가시켜 우울증, 조현병, 강박장애, 치매, 알츠하이머병, 레드 증후군, 헌팅턴병, 신경성 식욕부진증, 폭식증 및 뇌전증 등의 니코틴 금단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흡연욕구 억제용 방향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은, 석창포, 당귀, 원지, 곽향 및 성요한초를 포함하는 방향제 조성물로 제조되므로 별도의 보조제를 음용하지 않고도 흡연욕구 억제용 조성물을 사용자 인체에 공급할 수 있어 1회 복용을 위한 별도의 수납 용기가 요구되지 않고, 흡역욕구 억제용 조성물의 수납 및 포장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연욕구 억제용 방향제 조성물에 의한 과잉 행동 억제효과가 도시된 제1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연욕구 억제용 방향제 조성물에 의한 과잉 행동 억제효과가 도시된 제2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연욕구 억제용 방향제 조성물에 의한 뇌유래신경영양인자 발현 결과가 도시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흡연욕구 억제용 방향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연욕구 억제용 방향제 조성물에 의한 과잉 행동 억제효과가 도시된 제1그래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연욕구 억제용 방향제 조성물에 의한 과잉 행동 억제효과가 도시된 제2그래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연욕구 억제용 방향제 조성물에 의한 뇌유래신경영양인자 발현 결과가 도시된 그래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연욕구 억제용 방향제 조성물은, 30~36중량%의 비율로 포함되는 석창포(Acorus Gramineus Root/Stem Extract), 15~18중량%의 비율로 포함되는 당귀(Angelicae Gigantis Radix), 15~18중량%의 비율로 포함되는 원지(Polygala Tenuifolia Root Extract), 15~18중량%의 비율로 첨가되는 곽향(Agastache rugosa), 15~18중량%의 비율로 첨가되는 성요한초(St John's Wort)를 포함한다.
석창포는, 사철 푸른 잎을 가진 여러해살이풀이고, 뿌리줄기는 굵고 딱딱하며 많은 마디가 있으며 잔뿌리를 내어 바위틈과 같은 자리에 붙어살며, 잎은 뿌리줄기로부터 밑동이 서로 겹친 상태로 자라난다.
좁은 줄 꼴로 질기며 윤기가 난다. 잎 끝은 칼처럼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항상 좋은 향기를 풍기고, 꽃은 잎과 같은 생김새를 가진 꽃대의 중간부에 둥근 막대기 모양으로 뭉쳐 피며, 꽃이 뭉친 막대기의 길이는 5cm 안팎이고 빛깔은 노란빛을 띤 푸른색이다.
뿌리줄기에 0.5~0.8%의 정유를 함유하고, 성분은 아사론(Asaron)과 팔미틴소레(Palmitinsaure), 페놀(Phenol) 등이며, 호흡을 조절해주고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주는 이외에 풍기를 흩어지게 해주며 건위, 거습, 소종 등의 효능을 가지고 있다.
적용질환은 속이 몹시 답답한 증세와 정신이 혼미한 증세, 건망증, 간질병 등을 치료하는 데에 쓰이고, 소화불량이나 위통, 복통, 악성종기, 타박상에 의한 멍, 눈이 붉게 충혈되는 증세 등에 사용한다.
당귀는, 관상동맥의 혈류량을 촉진시키고, 적혈구 생성을 왕성하게 하는 약재이다.
원지는, 쌍떡잎식물 무환자나무목 원지과의 여러해살이풀이며, 뿌리를 원지라고 하며 거담제, 강장제 또는 강정제로 쓰이고, 한국의 중부 이북과 중국 북부에 분포한다.
곽향은, 배초향(Agastache rugosa (Fisc.r et Mey.) Kuntze)의 지상부를 사용해 만든 약재로서, 비위에 습이 정체되어 복부창만, 식욕부진, 메스꺼움, 구토, 설사 등을 치료하고, 소화 장애를 동반한 감기, 여름철 식체로 인한 구토, 설사, 구취, 옴이나 버짐 등에 효과가 있으며, 약리작용으로 피부 진균, 대장균, 이질균, 폐렴균, 용혈성연쇄상구균 억제, 위액분비 촉진작용 등이 있다.
성요한초는, 유럽과 서아시아 등이 원산지인 허브의 하나이고, 주요 구성성분은 정유ㆍ히페리신(Hypericin)ㆍ히퍼포린(Hyperforin)ㆍ플라빈ㆍ타닌 등이며, 우울증 치료제로 옛 부터 이용되어 왔으며 불면증 치료, 스트레스 해소 등을 목적으로 허브차로 만들어 먹고, 꽃을 기름에 담궜다가 외용하면 수렴작용, 항균작용, 항염작용 등의 효과를 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효능을 구비하는 재료들을 분쇄하여 혼합하고, 초임계 오일을 추출한 후에 중탕으로 가열하여 3~4차에 걸쳐 필터링 작업을 행하여 냉각시키면 방향제 조성물을 이루게 된다.
본 실시예의 석창포, 당귀, 원지, 곽향 및 성요한초를 포함하는 방향제 조성물은, 사용자가 금연하는 동안 니코틴에 노출되는 경우에 발생되는 과잉 행동반응을 억제시키는 효과를 나타내고, 사용자의 뇌세포 내 뇌유래신경영양인자(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 BDNF) 발현을 증가시켜 금단 증상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금연을 시작한 사용자가 주로 생활하는 공간에 본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 조성물을 비치시켜 향기를 맡게 되면 금연에 의한 과잉 행동반응 및 금단현상을 억제할 수 있게 되어 금연을 돕는 결과를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연욕구 억제용 방향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연욕구 억제용 방향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석창포, 당귀, 원지, 곽향 및 성요한초를 정량으로 측량하여 분쇄하고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공하는 단계와, 혼합물을 제1설정크기로 필터링하여 거르는 단계와, 혼합물을 350~450bar의 압력 및 섭씨55~65℃의 온도를 유지하며 7~9시간 동안 초임계 오일을 추출하는 단계와, 초임계 오일을 섭씨45~55℃의 온도를 유지하며 20~40분 동안 중탕시킨 후에 상온에서 냉각시키는 단계와, 제2설정크기로 필터링하여 거르는 단계와, 제3설정크기로 필터링 한 후에 한지를 통과시켜 2중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33.6중량%의 석창포와, 16.6중량%의 당귀와, 16.6중량%의 원지와, 16.6중량%의 곽향과, 16.6중량%의 성요한초를 분쇄하고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들고, 혼합물을 거름망에 걸러 100메시로 필터링한다.
이후에, 400bar의 압력과, 섭씨60℃의 온도를 유지하며 약8시간 동안 가열하여 초임계 오일을 추출하고, 초임계 오일을 섭씨50℃의 온도로 약30분 동안 중탕한 후에 상온에서 냉각시킨다.
상기한 공정에서 제공되는 중탕액을 200mm 필터페이터에 통과시켜 오일층을 1차 제가한 후에 400mm 필터페이퍼에 통과시켜 2차 필터링을 행하고, 다시 한지를 통과시켜 2중 여과를 진행하여 방향제 조성물을 제조한다.
상기한 방향제 조성물은, 액상으로 용기에 담겨져 일정한 시간 간격을 유지하며 실내에 분사될 수 있으며, 분체로 건조되어 공기가 잘 통하는 위치에 거치되어 향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인지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 조성물의 작용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실험이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실험의 내용은 후술하는 실험방법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실험동물
본 실험에 사용된 실험동물은 6주령 ICR 수컷 마우스로 ㈜샘타코에서 구입하였다. 실험쥐들은 12시간 명암주기의 25℃, 습도 60%로 조절되는 사육실에서 일주일간 적응시킨 후 각 실험군당 9마리씩 그룹화하여 본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동물은 먹이와 물의 자연스런 접근이 가능하게 하고 실험시작 전가지 물과 먹이를 충분히 제공하였다.
2. 실험 시료
본 실시예에 따른 흡연 욕구 억제 소재(No Smoking)시료를 실험동물에게 처리하기 위하여 향기를 충분히 흡입 할 수 있는 Isolated cage를 이용하였다. 향기의 발산을 방해하지 않는 용기에 흡연 욕구 억제 소재(No Smoking)시료를 넣은 후 실험동물 케이지에 고정하여 향기가 자유롭게 흘러나오도록 유지하였다.
이후 각 실험동물을 케이지에 넣고 상부를 필터가 장착된 뚜껑으로 덮어 향기의 손실 및 다른 케이지로의 영향을 최소화하였다. 실험동물은 실험기간 동안 매일 같은 시간에 1시간씩 흡연 욕구 억제 소재(No Smoking)시료의 향기를 흡입하도록 하였다. 향기요법을 처치하지 않는 군에게도 동일한 조건에서 1시간씩 유지시켰다.
3. 실험방법 (1차 실험 - 효능평가 시험 )
1) 보행성 활동의 측정(Locomotor activity)
실험동물의 활동을 정량화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비디오로 촬영하여 Image J를 이용하여 보행성 활동량을 측정하였다. 크기가 가로 세로 높이가 각각 48cm×48cm×40cm 인 검은색 아크릴 상자에서 실험동물의 움직임을 추적하였다.
9개의 상자에 약 2 meter 위에 설치된 디지털 카메라에서 얻어진 화상을 컴퓨터에 전달하고, 검정 배경에 흰색 피사체의 대조 원리를 이용하여 흰색 실험동물의 이미지의 중심점을 초당 인식하는 방식으로 실험동물의 움직임을 따라 추적하여 데이터화하고 그 거리를 정량하였다.
2) 실험절차
하루 두 번씩 7일 동안 연속적으로 nicotine hydrogen tartrate (0.4mg/kg, s.c.; Sigma, St. Louis, MO)를 처치하는 민감화 발달 단계(sensitization phase)와 3일 동안 니코틴을 철회하는 약물철회단계(withdrawal phase), 그리고 약물철회 기간이 끝난 다음날 다시 동일 용량의 니코틴을 한번 처치하는 검사 단계(testing phase)로 구성되었다.
한편 니코틴의 반복적인 처치에 의한 활동량의 점진적인 증가로 표현되는 행동적 민감화 현상이 일어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통제군은 생리식염수(0.5ml/kg, s.c.)을 반복적으로 투여하였다. 약물(흡연 욕구 억제 소재(No Smoking))처리는 실험개시일로부터 시작하였다.
3) 발달단계
동물을 사육장에서 외부소음이 차단된 실험실로 옮겨 9개의 활동량 측정상자에 개별적으로 넣었다. 향기를 충분히 포화시킨 Isolation cage에 쥐들을 60분간 향기를 맡게 하였다. 그 후 아크릴 상자 내에서 60분간의 적응기간(adaption)을 거친 후, 다시 60분간의 기저활동량(baseline)을 측정하였다. 측정이 끝난 후 니코틴(0.4mg/kg, s.c.)을 투여한 다음 60분간 활동량(after treatment)을 측정하였다.
4) 실험군의 구성
정상군(Normal Group)에서는 실험동물에게 하루에 두 번씩 7일 동안 연속적으로 생리식염수를 투여하고 3일간 약물 중단 기간을 거쳐 11일째 생리식염수를 투여, 대조군(Control Group)은 실험동물에게 하루에 두 번씩 7일동안 니코틴을 투여하고 3일간 약물 중단 기간을 거쳐 11일째 니코틴을 투여하여 활동량 변화를 투여한다. 향기 흡입 후 60분간 적응 후 기저활동을 측정하고 니코틴을 투여한 후 60분 후 행동변화 정도를 측정하였다.
4. 실험방법 (2차 실험 - 약물 효능 기전연구)
1) 실험절차
2차 실험은 약물의 효능이 나타나게 된 기전을 탐색하기 위해 계획하였다. 약물(흡연 욕구 억제 소재(No Smoking))을 매일 1시간 동안 흡입하게 한 군과 동일한 환경에 1시간 동안 유지시킨 군으로 크게 분류하였고, 각각의 군을 4일째 되는 날 향기요법 또는 동일한 환경에 유지한 후 각각을 니코틴 또는 생리식염수 투여군으로 나누어 총 4개 군(대조군, 향기요법군, 대조군+니코틴, 향기요법군+니코틴)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3일째 니코틴 1회 투여 후 기저활동량(baseline)을 측정하였고 이후 대뇌 해마부위를 적출하여 추후 실험을 위해 동결보관하였다.
2) RNA 추출
유전자 발현량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TRIzol 방법을 이용하여 조직으로부터 total RNA를 추출하였다. 적출된 해마 부위 조직을 취하여 Trizol 용액에 넣고 분쇄한 후 chloroform을 첨가하여 잘 섞어주고 4℃, 12,000xg에서 15분간 원심분리 하였다. 이후 상층액을 취하여 isopropanol과 혼합한 뒤 다시 4℃, 12,000xg에서 15분간 원심분리 하였다. 상층액을 제거한 후 75% DEPC-treated water를 첨가하여 4℃, 7,500xg에서 5분간 원심분리 하고 다시 상층액을 제거한 뒤 상온에서 10분간 건조시켰다. 완전히 건조된 튜브에 RNase-Free water를 50 μl 넣어 RNA를 녹인 후 정량하여 -80℃에서 보관하였다.
3) Realtime PCR
추출된 total RNA는 Qiagen사의 QuantitectTM RT kit (Qiagen, USA)를 이용하여 제조사의 프로토콜에 따라 cDNA로 합성하였다. 12 μl의 RNA에 2 μl의 gDNA wipeout buffer를 첨가한후 42℃에서 2분간 반응시켰다. 이후 reverse transcriptase 1 μl와 RT buffe 4 μl, RT primer mix 1 μl를 첨가하여 42℃에서 15분간 반응시킨 후 95℃에서 3분간 반응시켰다. 이렇게 합성된 cDNA에서 뇌유래신경영양인자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mRNA 발현을 동사의 QuantiTectTM SYBR® Green PCR kit를 이용하여 제조사의 프로토콜에 따라 측정하였다. Primer 서열은 표 1에 표시한대로 합성하였으며, cDNA template (1 μl)와 forward, reverse primer (10 μM, 각 1 μl), Kit에서 제공된 master mix (10 μl) 및 H2O (7 μl)를 혼합한 후 95℃에서 10분간 Polymerase를 활성화 시켰다. 이후 denaturing 95℃ 10초, annealing 60℃ 15초, polymerization 72℃ 20초씩 40 cycle을 반복하고, post-polymerization은 72℃ 2분을 수행하였다.
mRNA Forward Reverse
GAPDH 5'-GCC ATT TGC AGT GGC AAA GTG G-3' 5'-GAT GGG CTT CCC GTT GAT GAC AAG C-3'
BDNF 5'-TGG CTG ACA CTT TTG AGC ACG TC-3' 5'-GCT CCA AAG GCA CTT GAC TGC TGA-3'
Primer 서열
Sequence, 5' to 3', GAPDH, glyceraldehyde 3-phosphate dehydrogenase; BDNF,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분석은 Rotor-gene Q Realtime PCR (Qiagen, USA)을 이용하여 수행하였으며, 유전자 발현 값은 동사의 Rotor-gene Q series software 1.7을 이용하여 ΔΔ CT 방법에 기초하여 계산하였다.
5. 통계 처리
통계처리는 SPSS(Ver 10.1)를 이용하였고 ANOVA test와 Dunnett's post hoc test로 통계분석하였으며, 유의성 한계는 p<0.05 수준으로 정하였다.
Result
1. 니코틴 민감화에 대한 측정 결과
7일간 매일 2회 니코틴을 투여하여 민감화 발달단계(sensitization phase)와 3일간 니코틴을 철회하는 약물철회단계(withdrawal phase), 그리고 약물철회기간이 끝난 다음날 1회 니코틴을 투여하는 검사단계(testing phase)를 진행하였고, 마지막 검사단계에 니코틴 중독으로 인한 과잉 행동반응에 약물의 억제, 진정효과를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생리식염수를 처치한 대조군은 활동량이 3,948±685 cm이였고, 니코틴을 반복적으로 처치하고 3일간의 철회기간을 거친 다음 11일째 니코틴 재투여한 니코틴투여군의 경우 활동량은 5,909±587 cm로 측정되었다. 니코틴투여군과 동일하게 니코틴을 투여하고, 흡연 욕구 억제 소재(No Smoking)를 매일 흡입시킨 향기요법군은 니코틴을 반복 처치한 후 3일간의 철회기간을 거친 다음 11일째 니코틴 재투여한 결과 3,987±499 cm로 보행성 활동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p<0.05, Fig. 1). 따라서 흡연 욕구 억제 소재(No Smoking)의 반복적인 처치는 니코틴 약물 중독 모델에서 니코틴 중독 및 금단 증상 완화에 효과가 있음이 관찰되었다.
도 1에 도시된 그래프는, 니코틴 중독으로 유발된 과잉 행동에 대한 향기시료처치의 억제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7일간 니코틴 투여 후 3일간 투여하지 않은 후 11일째 니코틴 1회 투여 후에 실험동물이 움직인 거리를 측정한 결과이다.(Results are means±SEM of the distance, *: p<0.05)
2. 약물의 작용 기전 연구 결과
향기요법 시료(흡연 욕구 억제 소재(No Smoking))의 니코틴 중단으로 인한 과잉행동 발달 억제효능의 작용 기전을 탐색하기 위해 향기요법을 매일 1회 수행한 후 4일째 되는 날 니코틴 1회 투여 후 과잉 행동반응을 측정한 결과, 향기요법 대신 동일한 환경에 놓아둔 대조군은 활동량이 6,718±405 cm이였고, 향기요법을 4일간 처치한 향기요법군의 경우 6,537±545 cm이였고, 4일째 날 니코틴을 1회 투여한 대조군+니코틴군의 경우 활동량은 8,223±646 cm로 측정되어 대조군, 향기요법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활동량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p<0.05, 도 2 참조)
향기요법을 4일간 처치하고 4일째 날 니코틴을 1회 투여한 향기요법군+니코틴군의 경우 활동량은 6,314±784 cm로 측정되어 대조군+니코틴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활동량을 감소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p<0.05, 도 2 참조)
도 2는 향기 시료의 작용기전을 알아보기 위해 향기시료를 4일간 처치한 후, 니코틴 1회 투여 후 움직인 거리를 측정한 결과이다.(Results are means±SEM of the distance, *: p<0.05).
향기요법 시료(흡연 욕구 억제 소재(No Smoking))의 니코틴 중단으로 인한 과잉행동 발달 억제효능의 작용 기전을 탐색하기 위해 향기요법을 매일 1회 수행한 후 4일째 되는 날 니코틴 1회 투여 후 과잉 행동반응을 측정하고 대뇌 해마부위를 적출하여 뇌유래신경영양인자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mRNA 발현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대조군의 BDNF mRNA 발현비율을 1.00±0.10 으로 환산하여 계산한 결과, 향기요법을 4일간 처치한 향기요법군의 경우 1.32±0.12 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도 3 참조)
그러나 4일째 날 니코틴을 1회 투여한 대조군+니코틴군과 향기요법을 4일간 처치하고 4일째 날 니코틴을 1회 투여한 향기요법군+니코틴군의 경우 각각 1.03±0.10 및 0.97±0.13으로 유의한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도 3 참조)
도 3은 향기 시료의 작용기전을 알아보기 위해 향기시료를 3일간 처치한 후, 니코틴 1회 투여 후 대뇌 해마 부위의 뇌유래신경영양인자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mRNA 발현을 측정한 결과이다.(Results are means±SEM, *: p<0.05)
본 연구에서 관찰한 BDNF는 BDNF 유전자에 의해 생성되는 뇌세포 내 단백질로 기본적인 신경성장과 깊은 관련이 있고, 그의 결핍 및 과잉에 따른 병리적인 변화와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고, 우울증, 조현병, 강박장애, 치매, 알츠하이머병, 레트 증후군, 헌팅턴병, 신경성 식욕부진증, 폭식증, 뇌전증과 관련된다는 연구가 다수 발표된 바 있다.
특히 우울증과 관련해서 BDNF의 발현량과 항우울효과 간의 상관관계는 잘 알려져 있다. 현재 임상에서 금연 치료 의약품으로 허가 받은 부프로피온 약물은 항우울제로 니코틴 금단 증상인 신경과민, 우울증, 불안, 두통, 갈증, 집중력 감소, 소화장애 등 여러 증상 중 우울증 등 증상을 완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실험에서는 향기요법 시료(흡연 욕구 억제 소재(No Smoking))의 니코틴 중단으로 인한 금단증상에 대한 효능을 평가하고자 동물의 과잉행동을 평가하여 금단증상 완화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향기요법 시료(흡연 욕구 억제 소재(No Smoking))의 니코틴 중단으로 인한 금단증상 완화에 대한 작용 기전을 탐색하고자 향기요법을 시행한 후 대뇌 해마부의의 BDNF 발현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BDNF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향기시료 처치가 BDNF 발현을 증가시킨 작용 경로에 대한 연구가 앞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하지만 본 연구결과로 미루어 보아, 향기요법 시료(흡연 욕구 억제 소재(No Smoking))는 뇌세포 내 BDNF 발현을 증가시켜 니코틴 금단 증상을 완화시켰음을 알 수 있다.
이로써, 복용하거나 흡입하지 않고 향기를 맡는 것만으로 금연 시에 발생되는 과잉행동 발달 현상을 억제할 수 있고, 금연에 따른 우울증, 조현병, 강박장애, 치매, 알츠하이머병, 레드 증후군, 헌팅턴병, 신경성 식욕부진증, 폭식증 및 뇌전증 등의 금단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흡연욕구 억제용 조성물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흡연욕구 억제용 방향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흡연욕구 억제용 방향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흡연욕구 억제용 방향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방향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30~36중량%의 비율로 포함되는 석창포(Acorus Gramineus Root/Stem Extract), 15~18중량%의 비율로 포함되는 당귀(Angelicae Gigantis Radix), 15~18중량%의 비율로 포함되는 원지(Polygala Tenuifolia Root Extract), 15~18중량%의 비율로 첨가되는 곽향(Agastache rugosa) 및 15~18중량%의 비율로 첨가되는 성요한초(St John's Wor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욕구 억제용 방향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창포, 상기 당귀, 상기 원지, 상기 곽향 및 상기 성요한초를 포함하는 방향제 조성물은, 사용자가 금연하는 동안 니코틴에 노출되는 경우에 발생되는 과잉 행동반응을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욕구 억제용 방향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창포, 상기 당귀, 상기 원지, 상기 곽향 및 상기 성요한초를 포함하는 방향제 조성물은, 사용자의 뇌세포 내 뇌유래신경영양인자(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 BDNF) 발현을 증가시켜 금단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욕구 억제용 방향제 조성물.
  4. (a) 석창포, 당귀, 원지, 곽향 및 성요한초를 정량으로 측량하여 분쇄하고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혼합물을 거름망에 걸러 100메시로 필터링하여 거르는 단계;
    (c) 상기 혼합물을 350~450bar의 압력 및 섭씨55~65℃의 온도를 유지하며 7~9시간 동안 초임계 오일을 추출하는 단계;
    (d) 상기 초임계 오일을 섭씨45~55℃의 온도를 유지하며 20~40분 동안 중탕시킨 후에 상온에서 냉각시키는 단계;
    (e) 200mm 필터페이터에 통과시켜 필터링하여 거르는 단계; 및
    (f) 400mm 필터페이퍼에 통과시켜 필터링 한 후에 한지를 통과시켜 2중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욕구 억제용 방향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70170769A 2017-12-12 2017-12-12 흡연욕구 억제용 방향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66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0769A KR101866434B1 (ko) 2017-12-12 2017-12-12 흡연욕구 억제용 방향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CT/KR2018/014284 WO2019117491A1 (ko) 2017-12-12 2018-11-20 흡연욕구 억제용 방향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0769A KR101866434B1 (ko) 2017-12-12 2017-12-12 흡연욕구 억제용 방향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6434B1 true KR101866434B1 (ko) 2018-07-04

Family

ID=62912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0769A KR101866434B1 (ko) 2017-12-12 2017-12-12 흡연욕구 억제용 방향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66434B1 (ko)
WO (1) WO201911749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17491A1 (ko) * 2017-12-12 2019-06-20 주식회사 굿바이오랩 흡연욕구 억제용 방향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041B1 (ko) 2014-03-31 2015-01-23 주식회사 자연인 기억력 증진 한방 방향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1850B1 (ko) * 2004-09-09 2006-04-18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당귀로부터 추출분리되는 정유 분획물을 포함하는 니코틴중독 및 금단증상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224070B1 (ko) * 2010-07-16 2013-01-18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한방 방향제 및 그 제조 방법
KR101490114B1 (ko) * 2013-04-29 2015-02-10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석창포 정유 추출물과 비자나무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향료 조성물
KR101580267B1 (ko) * 2013-07-18 2015-12-24 (주)바이오믹스 구기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의력 및 집중력 향상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866434B1 (ko) * 2017-12-12 2018-07-04 김재현 흡연욕구 억제용 방향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041B1 (ko) 2014-03-31 2015-01-23 주식회사 자연인 기억력 증진 한방 방향제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이재철. 만성 니코틴 투여로 인한 흰쥐 측핵내 도파민유리 및 행동적 민감화에 대한 당귀 정유향의 효과. 2004년, 동국대학교 학위논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17491A1 (ko) * 2017-12-12 2019-06-20 주식회사 굿바이오랩 흡연욕구 억제용 방향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17491A1 (ko) 2019-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9872B1 (ko) 녹차를 주성분으로 한 담배대용품 및 그 제조방법
CN104126865B (zh) 香烟降毒液、其制备方法及降低烟草毒性的方法
CN100569225C (zh) 食欲抑制剂和减肥用空气调节装置
CN105795503A (zh) 一种中药保健型含橘红提取物的电子烟烟液
WO2002047494A1 (fr) Cigarette a base de phytomedicaments obtenue selon la medecine traditionnelle chinoise
CN102793264A (zh) 玉兰花果实提取物的制备方法及其在卷烟中的应用
CN111418892A (zh) 一种卷烟滤棒添加剂及其应用
KR101866434B1 (ko) 흡연욕구 억제용 방향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25122B1 (ko)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 보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3662234B (zh) 抑菌抗菌的雾化液及其制备方法
WO2002066041A1 (en) Natural composition
KR101968890B1 (ko) 호흡기능 개선을 위해 청미래덩굴을 함유한 마스크 조성물의 제조 방법
CN103549651B (zh) 一种具有镇咳功效的减毒香烟
CN101133899A (zh) 一种健康香烟
CN106509978A (zh) 一种卷烟用崖柏配方
CN106900962A (zh) 一种戒烟糖及其制备方法
CN111642786A (zh) 一种具有防疫和保健功效的中草药茶烟及其应用
JP7303969B2 (ja) 電子タバコ用液体組成物及びそれを有する電子タバコ
CN103272196B (zh) 解毒的药物组合物和药物制剂及其制备方法
CN100542413C (zh) 熊胆茶及其制备方法
CN104473268A (zh) 含金银花的饮料及其制备方法
KR100851254B1 (ko) 뽕잎을 주성분으로 한 담배 및 그 제조방법
KR101724825B1 (ko) 치커리와 가공 부자가 함유된 금연보조제
KR20160037040A (ko) 두충엽을 이용한 금연초와 그 제조방법
JP7162818B2 (ja) 抗ウイルス作用を有するヨモギ抽出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マスク又はフィル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