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4754B1 - 청미래덩굴을 이용한 담배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담배 - Google Patents

청미래덩굴을 이용한 담배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담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4754B1
KR101924754B1 KR1020180033749A KR20180033749A KR101924754B1 KR 101924754 B1 KR101924754 B1 KR 101924754B1 KR 1020180033749 A KR1020180033749 A KR 1020180033749A KR 20180033749 A KR20180033749 A KR 20180033749A KR 101924754 B1 KR101924754 B1 KR 101924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bacco
leaf
cigarette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3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기
Original Assignee
김선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기 filed Critical 김선기
Priority to KR1020180033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7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754B1/ko
Priority to PCT/KR2019/003161 priority patent/WO201918232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02Cigars; Cigarettes with additives, e.g. for flavou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24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extraction; Tobacco extracts
    • A24B15/241Extraction of specif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2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 A24B15/30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 A24B15/302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by natural substances obtained from animals or plants
    • A24B15/303Plant extracts other than tobacco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18Selection of materials, other than tobacco, suitable for smok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Manufacture Of Tobacco Products (AREA)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미래덩굴을 이용한 담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청미래덩굴 잎, 청미래덩굴 추출물 중 적어도 1종 이상이 혼합된 담뱃잎으로 궐련부를 형성하여, 흡연시 담뱃잎 고유의 맛과 향을 느끼면서 담배연기를 흡입하더라도 타르를 포함한 담배의 유해성분이 청미래덩굴에 함유된 사포닌을 포함한 유효성분과 결합되어 체내에 축적되지 않고 체외로 배출되어 흡연자의 기호도와 건강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청미래덩굴을 이용한 담배를 제공하기 위해, 청미래덩굴 잎, 청미래덩굴 추출물 중 적어도 1종 이상이 혼합된 담뱃잎을 포함한 주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청미래덩굴을 이용한 담배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담배{MANUFACTURING METHOD OF CIGARETTE USING Smilax china L. AND CIGARETTE MANUFACTURED THEREOF}
본 발명은 청미래덩굴을 이용한 담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청미래덩굴 잎, 청미래덩굴 추출물 중 적어도 1종 이상이 혼합된 담뱃잎으로 궐련부를 형성하여, 흡연시 담뱃잎 고유의 맛과 향을 느끼면서 담배연기를 흡입하더라도 타르를 포함한 담배의 유해성분이 청미래덩굴에 함유된 사포닌을 포함한 유효성분과 결합되어 체내에 축적되지 않고 체외로 배출되어 흡연자의 기호도와 건강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청미래덩굴을 이용한 담배에 관한 것이다.
통상 담배 연기에는 4천 종 이상의 유해성분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미 니코틴에 중독된 흡연자는 뇌신경이 요구하는 니코틴을 충족시키기 위해 전자담배라도 피우려 하고, 담배의 향미에 중독된 흡연자는 담배 대용 흡연재를 찾는 실정이며, 특히 타르는 점액물질로서 체내에 한번 축적되면 쉽게 배출되지 않아 계속해서 건강을 악화시키는 문제가 따랐다.
이에, 국내등록특허 10-0276416호는 청미래 잎과 소정량의 허브를 포함하는 담배 대용 흡연재로서, 니코틴 또는 타르 등의 유해물질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흡연 기능을 발휘하여, 담배로 인한 질병을 방지하는 기술이 선등록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은 기본적으로 담뱃잎의 사용을 배제하기 때문에 담배 고유의 맛과 향을 느낄 수 없어 이미 담배의 향미에 중독된 흡연자들의 기호를 충족시킬 수 없어 기피하게 되는 폐단이 따랐다.
청미래 잎과 담뱃잎을 혼합한 담배에 대한 연구는 진행된 바 없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만일 청미래 잎과 담뱃잎을 혼합하여 담배를 제조하더라도 담배의 연소과정에서 청미래 잎이 먼저 소진되어 버리면 담뱃잎 연소시 발생되는 타르를 포함하는 유해성분이 체내로 흡수되면서 기관지나 폐, 장 등의 점막에 흡착되어 질병을 유발하는 폐단이 따랐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된 것으로서, 청미래덩굴을 담배 제조에 접목하여 흡연시 담뱃잎 고유의 맛과 향을 느끼면서 담배연기를 흡입하더라도 타르를 포함한 담배의 유해성분이 청미래덩굴에 함유된 사포닌을 포함한 유효성분과 결합되어 체내에 축적되지 않고 체외로 배출되어 흡연자의 기호도와 건강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청미래를 이용한 담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청미래덩굴 잎, 청미래덩굴 추출물 중 적어도 1종 이상이 혼합된 담뱃잎으로 궐련부를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청미래덩굴 잎은 담뱃잎 기준 10~250 중량부로 혼합되고, 궐련부 연소방향으로 갈수록 담뱃잎과의 혼합비율이 증가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청미래덩굴 잎은 끓는 물에 데친 후 함수량이 30~35%가 되도록 건조하고, 담뱃잎 세절 사이즈 대비 10~50% 축소된 사이즈로 세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청미래덩굴 추출물은 청미래덩굴의 잎, 줄기, 열매, 뿌리 중에서 적어도 1종 이상을 기준으로 하여 물 800~1,000중량부를 넣고, 100~160℃에서 5~10시간 가열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청미래덩굴 추출물은 담뱃잎 함수율이 8~10%일 때 분사되어, 담뱃잎 함수율이 40~60%가 되도록 한 후, 담뱃잎 함수율이 8~10%가 되도록 건조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따라, 본 발명은 청미래덩굴을 담배 제조에 접목하여 흡연시 담뱃잎 고유의 맛과 향을 느끼면서, 담배연기를 흡입하더라도 타르를 포함한 담배의 유해성분이 청미래덩굴에 함유된 사포닌을 포함한 유효성분과 결합되어 체내에 축적되지 않고 체외로 배출되어 흡연자의 기호도와 건강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담배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담배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담배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관능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청미래덩굴을 이용한 담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청미래덩굴 잎, 청미래덩굴 추출물 중 적어도 1종 이상이 혼합된 담뱃잎으로 궐련부를 형성하여, 흡연시 담뱃잎 고유의 맛과 향을 느끼면서 담배연기를 흡입하더라도 타르를 포함한 담배의 유해성분이 청미래덩굴에 함유된 사포닌을 포함한 유효성분과 결합되어 체내에 축적되지 않고 체외로 배출되어 흡연자의 기호도와 건강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청미래덩굴을 이용한 담배를 제공하기 위해, 청미래덩굴 잎, 청미래덩굴 추출물 중 적어도 1종 이상이 혼합된 담뱃잎을 포함한 주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은 담배연기 속 타르를 포함하는 유해성분을 흡착, 제거시키는 기능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발현한다고 기대되는 물질 또는 물질군으로으로서 사포닌(saponin), 타닌(tannin), 수지(binder)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청미래덩굴을 이용한 담배는 청미래덩굴 잎, 청미래덩굴 추출물 중 적어도 1종 이상이 혼합된 담뱃잎으로 궐련부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궐련부는 흡연재를 겉재료(예컨대 궐련지)로 말아놓은 부분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청미래덩굴 잎, 청미래덩굴 추출물 중 적어도 1종이 혼합된 담뱃잎으로 구성되어 형성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통상 궐련은 궐련부와 필터부로 구분되며, 필터부가 없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청미래덩굴(Smilax china L.)은 백합과의 낙엽 덩굴 식물로서, 사포닌 뿐만 아니라, 타닌, 수지, 리놀렌산, 알칼로이드, 올레산을 포함하는 다양한 유효성분이 존재하는데, 이들은 타르를 포함하는 담배의 유해성분이 장점막과 접촉하는 시간을 감소시키거나, 유해성분과 흡착 결합되어 체외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청미래덩굴의 사포닌(saponin)은 물비누 역할을 하여 체내 장점막이나 기관지 등에 타르나 니코틴이 흡착되는 시간을 줄이고, 그 외에도 타닌(tannin), 수지(binder), 알칼로이드(alkaloid), 올레산(oleic acid) 등의 성분은 흡착제 역할을 하여 체내에 축적된 타르와 니코틴 등의 유해성분을 제거하여 체외로 배출시키며, 리놀렌산(linolenic acid)이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혈행을 개선시킨다.
흡착이란 흡착질 및 흡착제 표면의 물리·화학적 결합력에 의하여 흡착질이 흡착제에 붙어서 결합되는 현상으로, 청미래덩굴에 함유된 사포닌이나 수지를 포함하는 유효성분은 흡착제의 역할을 하고, 흡연시 발생되는 담배 연기 속 타르를 포함하는 유해성분이 흡착질의 역할을 하게 되어 양 성분이 하나로 결합되어, 타르를 포함하는 유해성분이 체내에 흡착되지 않고 체외로 배출된다.
예컨대, 흡연시 담배연기를 흡입하여 타르나 니코틴이 유입되더라도 사포닌-타르 혹은 사포닌-니코틴 결합 상태가 되어 기관지나 장 점막 등 체내에 흡착되지 않고 체외로 배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타닌-타르, 수지-타르 등의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청미래덩굴 잎, 청미래덩굴 추출물 중 적어도 1종 이상이 혼합된 담뱃잎으로 궐련부를 형성하여 구성된 담배를 연소 시키면, 담뱃잎 고유의 맛과 향은 그대로 느끼면서 담배연기를 흡입하더라도 청미래덩굴에 함유된 사포닌이나 수지를 포함하는 유효성분에 타르를 포함하는 담배의 유해성분이 흡착되어 양 성분이 하나로 결합된 상태로 체외로 배출되어, 흡연자의 체내에 담배의 유해성분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따른다.
[ 실시예 1. 청미래덩굴 잎과 담뱃잎을 혼합한 담배 ]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도 1과 같이 청미래덩굴 잎과 담뱃잎을 혼합하여 궐련부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청미래덩굴 잎은 표피 바깥부분에 있는 큐티클 층이 두꺼워서 윤기가 돌고 잎이 전체적으로 단단하며 두껍기 때문에, 잎을 데치거나 증숙시키는 열처리를 거쳐서 잎을 연화시키는 전처리공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미래덩굴 잎을 데치기 전에는 통상 담뱃잎 보다 연소 속도가 더디지만, 데친 후에는 잎이 연화되면서 담뱃잎의 연소 속도와 유사하게 개선된다. 뿐만 아니라 떫고 신맛이 저감되며, 연소시 부드러운 맛을 내어 기관지에 자극을 주지 않아 흡연자의 만족감이 상승된다.
여기서 청미래덩굴 잎을 데칠 때는, 청미래덩굴 잎 100 중량부를 기준하여 물은 9~10배가 첨가되고, 100~110℃에서 50~80초 동안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미래덩굴 잎 대비 물의 비율이 10배를 초과하거나, 데치는 온도가 100℃ 미만이거나, 시간이 50초 미만일 경우에는 청미래덩굴 잎이 충분히 연화되지 않아 떫고 신맛이 나고 연소속도가 개선되지 않으며, 청미래덩굴 잎 대비 물의 비율이 9배 미만이거나 데치는 온도가 110℃ 초과이거나, 시간이 80초를 초과할 경우에는 청미래덩굴 잎의 조직이 파괴되며, 사포닌을 포함한 유효성분이 손실된다.
상기 청미래덩굴 잎은 함수율이 30% 미만이면 잎맥이나 결대로 잘 분쇄되지 않고 가루나 분진이 발생하며, 함수율이 39%를 초과하면 수분 과다로 잎끼리 뭉쳐져서 작업 효율이 나빠지므로, 청미래덩굴 잎은 함수율이 30~39%가 되도록 건조시킨 상태에서 세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청미래덩굴 잎과 담뱃잎이 혼합된 궐련부가 연소될 때, 담배 연기 속에서 타르를 포함하는 담배의 유해성분과 청미래덩굴의 사포닌을 포함하는 유효성분이 접촉하는 표면적을 넓혀서 흡착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청미래덩굴 잎을 세절할 때는 담뱃잎 세절 사이즈 대비 10~50% 축소된 사이즈로 세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청미래덩굴 잎과 담뱃잎의 혼합율로서, 청미래덩굴 잎은 담뱃잎 100중량부 기준 10~250 중량부 혼합될 수 있고, 궐련부의 연소방향으로 갈수록 담뱃잎과의 혼합비율이 증가되도록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청미래덩굴 잎이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사포닌을 포함하는 유효성분(흡착제)과, 담뱃잎이 연소하면서 발행하는 타르를 포함하는 유해성분(흡착질)이 하나로 결합되는 흡착 현상을 지속적으로 발휘하기 위해서는, 타르를 포함하는 유해성분(흡착질)이 체내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궐련부가 모두 소진되어 흡연이 종료될 때 까지 지속적으로 흡착제를 발생시켜야 하므로, 궐련부의 연소방향으로 갈수록 담뱃잎 대비 청미래덩굴 잎의 잔여량이 더 많도록 혼합비율을 증가시킨다.
예컨대, 궐련부에서 연소가 시작되는 부분은 담뱃잎 기준 청미래덩굴 잎이 10~50 중량부 혼합되고, 궐련부의 연소 방향으로 갈수록 청미래덩굴 잎의 혼합률이 증가되어 담뱃잎 기준 청미래덩굴 잎이 50~250 중량부로 혼합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청미래덩굴 잎 50~70 중량부 및 담뱃잎 30~50 중량부를 혼합하여 궐련부의 연소 방향으로 갈수록 청미래덩굴 잎의 혼합 비율이 증가되도록 구비하여, 흡연시 담배 고유의 향미가 마스킹되지 않으면서도 타르를 포함하는 유해성분의 흡착제거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경우 연소가 시작되는 시점에서는 담뱃잎 고유의 향미를 느낄 수 있어 흡연자의 만족도가 상승하며, 궐련부가 연소되어 갈수록 흡착제(예컨대 청미래덩굴의 사포닌)의 발생량이 증가하면서 연소되지 않은 궐련부를 거쳐서 체내 흡입되기까지 흡착질(예컨대 담배연기 속 타르)과 결합되는 흡착현상이 지속된다. 특히 연소 시작부에서 발생되는 담배연기 즉, 훈증기에 의해 궐련부에 포함된 청미래덩굴 잎이 증숙되면서 유효성분이 방출되어 유해성분의 흡착제거율이 더욱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만일 상기 궐련부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청미래덩굴 잎이 먼저 소진되고, 담뱃잎만 남아 있을 경우에는 타르를 포함하는 유해성분(흡착질)이 발생되어도 이를 흡착시키는 흡착제(예컨대 청미래덩굴의 사포닌)가 없어서 구강 뿐 체내 곳곳에 흡수되어 각 기관의 점막에 흡착, 축적되는 문제가 따르기 때문에 궐련부의 연소방향으로 갈수록 담뱃잎 대비 청미래덩굴 잎의 혼합비율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상기 청미래덩굴 잎과 담뱃잎의 혼합율로서, 청미래덩굴 잎이 담뱃잎 100중량부 기준 10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흡착질(예컨대 담배의 타르)에 대응되는 흡착제(예컨대 청미래덩굴의 사포닌)의 양이 부족하여, 흡착되지 못한 타르를 포함하는 담배의 유해성분이 체내로 유입되어 내부 기관에 흡착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청미래덩굴 잎이 250 중량부 초과일 경우에는 흡착효율은 증가할지라도, 청미래덩굴 함량이 높아 쓰고, 시고, 떫은 맛이 담배의 향미를 마스킹하여 불쾌감을 유발하기 때문에, 흡착효율과 관능적 기호도 까지 모두 고려한다면 청미래덩굴 잎은 담뱃잎 100중량부 기준 10~250 중량부 혼합되고, 궐련부의 연소방향으로 갈수록 담뱃잎과의 혼합비율이 증가되도록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실시예 2. 청미래덩굴 추출물과 담뱃잎을 혼합한 담배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2와 같이 청미래덩굴 추출물과 담뱃잎을 혼합하여 궐련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청미래덩굴 추출물은 청미래덩굴의 잎, 줄기, 열매, 뿌리 중에서 적어도 1종 이상을 100중량부 기준하여 물 800~1,000중량부를 넣고, 100~160℃에서 5~10시간 가열하여 열수추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청미래덩굴은 줄기나 열매와 대비하여 뿌리 쪽에 사포닌, 타닌 함량이 더 많고, 잎에 사포닌, 수지 함량이 더 높기 때문에, 되도록 청미래덩굴의 잎이나 뿌리를 포함하여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열수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청미래덩굴의 열수추출을 통해 생성된 추출물은 사포닌 뿐만 아니라, 타닌, 수지, 리놀렌산, 알칼로이드, 올레산을 포함하는 유효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데, 청미래덩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물이 800 중량부 미만이거나 가열 온도가 160℃를 초과하거나 가열시간이 10시간을 초과할 경우 추출물의 농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쓰고, 시고, 떫은 맛을 내어 흡연시에 담배 고유의 향미를 마스킹하여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고, 청미래덩굴 대비 물의 양이 800 중량부 미만이거나 가열 온도가 100℃ 미만이거나 가열시간이 5시간에 미달할 경우 사포닌 등의 유효성분의 추출 효율이 낮아서, 흡연시에 흡착질(예컨대 담배의 타르)에 대응되는 흡착제(예컨대 청미래덩굴의 사포닌)의 양이 부족하게 되므로, 유효성분의 추출 효율과 관능적 기호도를 동시에 고려하여, 상기 청미래덩굴을 기준하여 물 800~1,000 중량부를 넣고, 100~160℃에서 5~10시간 가열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청미래덩굴 추출물은 상기 담뱃잎에 분사하여 흡수시킨 뒤 건조시키는 공정을 통해 청미래덩굴 추출물이 코팅된 담뱃잎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담뱃잎 함수율이 10%를 초과하면 청미래덩굴 추출물 흡수율이 낮아지고, 8%에 미달하면 수분 부족으로 담뱃잎 고유의 향미를 잃게 되므로, 담뱃잎 고유의 향미를 유지하면서 청미래덩굴 추출물 흡수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담뱃잎 함수율이 8~10%인 상태로 준비하여 청미래덩굴 추출물을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청미래덩굴 추출물은 담뱃잎 함수율이 40~60%가 될 때까지 분사한 후 담뱃잎 함수율이 8~10%가 되도록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 담뱃잎 기준 청미래덩굴 추출물이 30~52중량부 코팅된 담뱃잎을 형성하게 된다.
만일 청미래덩굴 추출물 분사 후 담뱃잎 함수율이 40% 미만이면 최종 청미래덩굴 추출물의 코팅량이 30중량부에 미달하고, 60%를 초과하면 최종 청미래덩굴 추출물의 코팅량이 52중량부를 초과한다. 또한, 최종 담뱃잎 함수율이 10%를 초과하면 수분이 과다하여 흡연시 연기 발생량이 감소하고, 담배 고유의 맛보다 청미래덩굴 추출물로 인한 신맛, 떫은맛이 더 많이 느껴지게 되고, 최종 담뱃잎 함수율이 8%에 미달할 경우에는 담뱃잎이 건조하여 흡연시 목이 따갑고 담배 연소속도가 지나치게 빨라져 타르를 포함하는 유해성분(흡착질)이 발생되어도 이를 흡착시키는 흡착제(예컨대 청미래덩굴의 사포닌)와 결합하는 시간이 부족하여 흡착되지 못한 성분들이 각각 개별적으로 체내에 흡수되어 흡착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상기 청미래덩굴 추출물은 담뱃잎 함수율이 8~10%일 때 분사되어, 담뱃잎 함수율이 40~60%가 되도록 한 후, 담뱃잎 함수율이 8~10%가 되도록 건조하여 청미래덩굴 추출물이 코팅된 담뱃잎을 이용해서 담배를 제조하면, 흡연시 담뱃잎 고유의 향미를 느낄 수 있으면서, 궐련부가 연소되어 흡연을 종료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담뱃잎에 코팅된 청미래 덩굴 추출물로부터 흡착제(예컨대 청미래덩굴의 사포닌)의 발생량이 증가하면서 연소되지 않은 궐련부를 거쳐서 체내 흡입되기까지 흡착질(예컨대 담배연기 속 타르)과 결합되는 흡착현상을 지속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담뱃잎은 청미래덩굴 추출물을 코팅시키기 전이나 후에 담뱃잎을 세절하는 공정을 실시할 수 있다.
이때 담뱃잎은 세절하기 용이하도록 담뱃잎 함수율이 10~30%가 되도록 건조시킨 상태로 준비하며, 담뱃잎의 세절 사이즈는 제한적이지 않으나, 청미래덩굴 추출물이 담뱃잎에 코팅되는 표면적을 증가시켜서 흡연시 담뱃잎이 연소하면서 담뱃잎에 코팅된 추출물로부터 유효성분이 방출되는 양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담뱃잎을 가로, 세로 길이 각각 1~5mm로 잘게 세절하여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미래덩굴 추출물을 혼합한 담뱃잎을 이용한 담배는 청미래덩굴 잎과 담뱃잎을 혼합한 담배 보다 흡착효율이 높으며, 더욱 숙성되고 풍성한 향미를 구성하여 흡연자의 만족감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청미래덩굴 추출물은 담뱃잎 뿐 아니라, 담배 필터에도 접목시켜서 흡착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 실시예 3. 청미래덩굴 잎과 청미래덩굴 추출물과 담뱃잎을 혼합한 담배 ]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도 3과 같이 청미래덩굴 잎과 청미래덩굴 추출물이 혼합된 담뱃잎을 혼합하여 궐련부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청미래덩굴의 잎은 실시예 1의 구성과 동일하고, 청미래덩굴 추출물이 혼합된 담뱃잎은 실시예 2에서 청미래덩굴 추출물이 코팅된 담뱃잎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청미래덩굴 잎과 담뱃잎의 혼합 비율로서, 청미래덩굴 잎은 청미래덩굴 추출물이 코팅된 담뱃잎 100중량부 기준 10~250 중량부 혼합될 수 있고, 궐련부의 연소방향으로 갈수록 담뱃잎과의 혼합비율이 증가되도록 구비할 수 있다.
< 관능평가 >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3에 따른 담배의 관능적 기호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청미래덩굴 잎과 담뱃잎의 향미를 모두 숙지시킨 관능평가요원 30명을 상대로 4개 항목(청미래덩굴의 떫은 맛, 담뱃잎 향끽미, 자극성, 전체적인 기호도)에 대하여 관능평가를 10점 척도법으로 수행하였다.
상기 항목 중 담뱃잎 향끽미는 구강, 인후부 및 흉부에서 느껴지는 생리적 감각으로 담뱃잎 고유의 맛에 대한 강도의 감각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 느낌이 클수록 10점이고, 자극성은 코, 구강, 인후부, 기관지 등에서 가시로 쿡쿡 찌르는 느낌이나 얼얼하며 매케한 감각이 1초 이상 지속되는 느낌 혹은 그러한 강렬함이 급격하게 느껴진 후 서서히 사라지는 감각으로, 이 느낌이 강할수록 10점이다.
궐련부의 구성요소를 달리하여, 비교예 1은 담뱃잎 단독, 비교예 2는 청미래 잎 단독, 실시예 1은 담뱃잎 100중량부 기준 청미래덩굴 잎 10~250 중량부를 혼합하되, 궐련부의 연소방향으로 갈수록 담뱃잎과의 혼합비율이 증가되도록 구성하고, 실시예 2는 청미래덩굴 추출물이 혼합된 담뱃잎, 실시예 3은 청미래덩굴 추출물이 코팅된 담뱃잎 기준 청미래덩굴 잎 10~250 중량부로 구성된 담배로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 및 도 2와 같다.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구성 담뱃잎 청미래덩굴 잎 담뱃잎
+청미래덩굴 잎
담뱃잎
+청미래덩굴 추출물
담뱃잎
+청미래덩굴 추출물
+청미래덩굴 잎
청미래덩굴의
떫은 맛
0.0 10.0 4.0 2.3 1.8
담뱃잎 향끽미 10.0 0.0 8.0 8.5 9.0
자극성 7.5 6.3 4.3 1.5 0.5
전체적인 기호도 8.0 2.5 7.6 8.3 8.6
상기 표 1 및 도 2에 따르면, 청미래덩굴의 떫은 맛은 실시예 1에서 3으로 갈수록 저감되고, 담뱃잎 고유의 향끽미는 실시예 1에서 3으로 갈수록 증가하였으며, 특히 청미래덩굴 추출물이 코팅된 담뱃잎과 청미래덩굴 잎이 혼합된 실시예 3은 담뱃잎 단독으로 사용된 담배와 유사한 향끽미를 구사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자극성은 비교예 1 및 2보다 실시예 1에서 3 모두 현저하게 저감되어 특히 실시예 2, 3은 자극이 거의 없고 맛과 향뿐아니라 목넘김까지 부드러운 것으로 나타났다.
즉, 표 1 및 도 2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청미래덩굴을 이용한 담배는 통상적인 담배와 유사한 향끽미를 즐길 수 있으면서, 청미래덩굴 고유의 떫은 맛과 자극성이 저하되고, 더욱 숙성된 맛과 향을 내어 관능적 기호도가 크게 향상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청미래덩굴을 이용한 담배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습관적 중독으로 매일 담배를 피우는 성인 흡연자 10명을 대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1~3에 따른 담배를 매일 한 개비씩 1년간 흡연하는 실험을 진행한 결과, 실시예 1~3 모두 일산화탄소가 제거되어 두통이 거의 사라졌고, 체내 축적된 니코틴이 제거되면서 점점 담배에 거부반응이 나타나 흡연률이 60~95%나 감소하였다.
뿐만 아니라, 흡연 실험 후 흡연자의 옷과 방안에서 담배 냄새가 현저히 줄어들어 12~24시간 내로 담배냄새가 사라졌으며, 실시예 3의 경우에는 흡연 과정에서도 담배 냄새가 거의 나지 않는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청미래덩굴을 이용한 담배는 흡연과정에서 발생되는 청미래덩굴의 유효성분(예컨대 사포닌)이 담배의 유해성분(예컨대 타르)과 결합하는 흡착제거율이 높기 때문에 냄새 제거에도 탁월한 것으로 확인된다.
또다른 실험으로서, 하나의 실험실(비교예)에서는 흰색 벽지를 설치한 후 시중에서 판매되는 일반 담배를 하루 1개비 씩 1주일간 연소시키고, 다른 실험실에서는 흰색 벽지를 설치한 후 본 발명의 실시예 1~3에 따른 청미래덩굴을 이용한 담배를 하루 1개비 씩 1주일간 연소시켜서, 실험실의 벽지색의 변색정도를 통해 타르 흡착율을 비교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비교예 실험실의 벽지는 타르 등의 담배 성분이 흡착되어 누런 색으로 변색된 반면, 실시예 1~3의 실험실에서는 벽지의 백색이 그대로 유지된 것으로 보아, 청미래덩굴의 유효성분이 타르와 결합되어 외부 환경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도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청미래덩굴을 이용한 담배는 흡연시 담뱃잎 고유의 맛과 향을 느낄 수 있어 관능적 기호도가 향상될 뿐 아니라, 담배연기를 흡입하더라도 타르를 포함한 담배의 유해성분이 청미래덩굴에 함유된 사포닌을 포함한 유효성분과 결합되어 체내에 흡착되지 않고 체외로 배출되므로 유해성분이 축적될 염려가 없고, 오히려 청미래덩굴에 함유된 사포닌을 포함한 유효성분이 체내에 축적되어 있던 유해성분까지 흡착, 제거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청미래덩굴 잎 100중량부 기준 물 900~1,000중량부를 첨가하여 100~110℃에서 50~80초간 가열한 후 함수율이 30~39%가 되도록 건조시키는 연화 단계;
    상기 연화된 청미래덩굴 잎은 담뱃잎 세절 사이즈 대비 10~50% 축소된 사이즈로 자르는 세절 단계;
    상기 세절된 담뱃잎 100중량부 기준, 세절된 청미래덩굴 잎 10~250중량부를 혼합하여 권련부를 형성하는 혼합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미래덩굴을 이용한 담배의 제조방법.
  2. 청미래덩굴의 잎, 줄기, 열매, 뿌리 중에서 적어도 1종 이상을 100중량부로 기준하여 물 800~1,000중량부를 넣고, 100~160℃에서 5~10시간 가열하여 청미래덩굴 추출물을 준비하는 단계;
    함수율이 8~10%인 담뱃잎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청미래덩굴 추출물을 담뱃잎 함수율이 40~60%가 될 때까지 분사한 후, 담뱃잎 함수율이 8~10%가 되도록 건조하는 방식으로 담뱃잎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미래덩굴을 이용한 담배의 제조방법.
  3. 청미래덩굴의 잎, 줄기, 열매, 뿌리 중에서 적어도 1종 이상을 100중량부로 기준하여 물 800~1,000중량부를 넣고, 100~160℃에서 5~10시간 가열하여 청미래덩굴 추출물을 준비하는 단계;
    별도로 함수율이 8~10%인 담뱃잎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청미래덩굴 추출물을 상기 담뱃잎에 함수율이 40~60%가 될 때까지 분사한 후, 담뱃잎 함수율이 8~10%가 되도록 건조하는 방식으로 담뱃잎을 코팅하는 단계;
    별도로 청미래덩굴 잎 100중량부 기준 물 900~1,000중량부를 첨가하여 100~110℃에서 50~80초간 가열한 후 함수율이 30~39%가 되도록 건조시키는 연화 단계;
    상기 연화된 청미래덩굴 잎은 담뱃잎 세절 사이즈 대비 10~50% 축소된 사이즈로 자르는 세절 단계;
    상기 청미래덩굴 추출물을 담뱃잎에 코팅하여 세절한 담뱃잎 100중량부 기준으로 상기 연화 후 세절한 청미래덩굴 잎을 10~250중량부를 혼합하여 권련부를 형성하는 혼합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미래덩굴을 이용한 담배의 제조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청미래덩굴을 이용한 담배.
  5. 삭제
KR1020180033749A 2018-03-23 2018-03-23 청미래덩굴을 이용한 담배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담배 KR101924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749A KR101924754B1 (ko) 2018-03-23 2018-03-23 청미래덩굴을 이용한 담배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담배
PCT/KR2019/003161 WO2019182320A1 (ko) 2018-03-23 2019-03-19 청미래덩굴을 이용한 담배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담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749A KR101924754B1 (ko) 2018-03-23 2018-03-23 청미래덩굴을 이용한 담배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담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4754B1 true KR101924754B1 (ko) 2018-12-03

Family

ID=64743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3749A KR101924754B1 (ko) 2018-03-23 2018-03-23 청미래덩굴을 이용한 담배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담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24754B1 (ko)
WO (1) WO201918232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6416B1 (ko) 1998-10-31 2000-12-15 김준태 담배 대용 흡연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9635B1 (ko) * 2000-03-17 2002-03-21 장철규 담배 대용 끽연재
KR20020024114A (ko) * 2002-01-25 2002-03-29 손영석 약이되는 물질을 함유한 담배
KR20040105190A (ko) * 2003-06-05 2004-12-14 강왕수 인삼잎을 혼합한 담배 및 그 제조방법
KR100619508B1 (ko) * 2004-09-06 2006-09-12 배삼훈 연(蓮)을 이용한 뜸과 선향의 연소재와 입욕재 제조법
KR20150082799A (ko) * 2014-01-08 2015-07-16 장철희 청미래잎 및 연잎을 포함하는 훈증제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6416B1 (ko) 1998-10-31 2000-12-15 김준태 담배 대용 흡연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82320A1 (ko) 2019-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31606C (zh) 一种绿茶替代烟草的香烟的制备方法
KR100296868B1 (ko) 니코틴이없는담배
KR20010020746A (ko) 담배 대용 조성물
CN104983066A (zh) 一种银杏叶芦荟烟草替代品及其制备方法
JP3718200B2 (ja) 黄土含有タバコおよびその製法
US4813438A (en) Non-tobacco smoking composition and process for making same
KR20180068236A (ko) 전자담배용 액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6772769B2 (en) Preparation of tobacco having reduced contents of nicotine and tar
KR20030010166A (ko) 은행잎 성분을 이용한 권련용 여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924754B1 (ko) 청미래덩굴을 이용한 담배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담배
KR102575957B1 (ko) 케나프 잎을 이용한 담배 및 이의 제조방법
WO1999020131A1 (fr) Cigarettes a base de feuilles de ginkgo
KR19990055875A (ko) 담배 필터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700977B1 (ko) 엽연초 분말을 이용한 담배의 제조 방법
KR100294985B1 (ko) 니코틴이중화되는담배의제조방법
KR101193900B1 (ko) 전자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0353876C (zh) 烟草水浸溶降焦油脱毒工艺
KR20010089850A (ko) 니코틴과 타르를 포함한 유해물질의 제거가 우수한담배필터 제조방법
KR20160037040A (ko) 두충엽을 이용한 금연초와 그 제조방법
CA3118793A1 (en) New tobacco substitutes
KR100851254B1 (ko) 뽕잎을 주성분으로 한 담배 및 그 제조방법
KR100480428B1 (ko) 두충엽을 주원료로한 끽연물 제조방법
KR100499288B1 (ko) 니코틴 함량이 낮은 담배의 제조방법
CN1557176A (zh) 一种茶叶吸品
CN1468606A (zh) 杜仲戒烟香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