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0237A - 화상 기록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기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0237A
KR20010070237A KR1020000070612A KR20000070612A KR20010070237A KR 20010070237 A KR20010070237 A KR 20010070237A KR 1020000070612 A KR1020000070612 A KR 1020000070612A KR 20000070612 A KR20000070612 A KR 20000070612A KR 20010070237 A KR20010070237 A KR 20010070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ition
recording
size
recording medium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0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루끼도시노부
Original Assignee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노 야스아키
Publication of KR20010070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023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1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disk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7921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for more than one processing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기록 모드 전환 스위치(34)에 의해 동화상 기록 모드가 선택되고, 셔터 버튼(36)을 누르면, 복수 화면분의 카메라 신호가 이미지 센서(12)로부터 출력된다. 신호 처리 회로(20)는, 이 복수 화면분의 카메라 신호에 신호 처리를 실시하고, 압축 YUV 신호를 생성한다. 생성된 압축 YUV 신호는, 버퍼 메모리(22)를 거쳐 디스크 제어 회로(24)에 주어진다. 디스크 제어 회로(24)는, 광 픽업(26) 및 자기 헤드(28)를 구동하고, 압축 YUV 신호를 최대의 빈 영역으로부터 순서대로 광자기 디스크(30)에 기록해 간다.
빈 영역이 클수록, 광 픽업 및 자기 헤드를 점프시키는 빈도가 적어지기 때문에, 실효 기록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기록되는 압축 YUV 신호에 누락이 생기는 것을 강력히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 기록 장치{IMAGE RECORD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 기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에 적용되며, 정지 화상 신호 및 동화상 신호를 광픽업이나 자기 헤드와 같은 가동 기록 부재에 의해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화상 기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록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으로는 MS-DOS 포맷의 FAT(File Allocation Table) 방식이 잘 알려져 있다. 이 FAT 방식으로는 기록 신호가 클러스터 단위로 취급된다. 이 때문에, 기록 및 소거의 반복에 따라 빈 영역이 미세하게 분산했을 때라도 빈 영역의 합계가 신호 사이즈를 상회하는 한 신호는 문제없이 기록할 수 있다.
이러한 FAT 방식을 채용하는 종래의 화상 기록 장치에서는 기록하려고 하는 화상 신호를 일시적으로 보유하는 버퍼 메모리를 설치함과 함께 화상 신호의 실효 기록 속도를 빨리하도록 용량이 큰 빈 영역으로부터 순서대로 기록을 행하였다. 즉, 가동 기록 부재를 이동시키는 빈도가 많아질수록 실효 기록 속도는 저하하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서는 최대 빈 영역으로부터 순서대로 기록을 행하였다.
그러나, 정지 화상 신호와 같이 신호량이 버퍼 메모리의 용량을 하회하는 신호를 기록하는 경우, 실효 기록 속도를 고속으로 하지 않아도 신호는 적절하게 기록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동화상 신호와 같이 신호량이 버퍼 메모리의 용량을 상회하는 신호를 기록할 때는 실효 기록 속도를 고속으로 하지 않으면 기록되는 신호가 부분적으로 누락한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정지 화상 신호 및 동화상 신호 모두 적절하게 기록할 수 있는 화상 기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빈 영역이 이산적으로 분포한 기록 매체에 가동 기록 부재에 의해 동화상 신호 및 정지 화상 신호를 기록하는 화상 기록 장치에 있어서, 동화상 기록 모드 및 정지 화상 기록 모드 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는 선택 수단, 동화상 기록 모드가 선택되었을 때, 위치 및 사이즈 중 적어도 한쪽에 관한 제1 조건을 만족하는 빈 영역을 검출하는 제1 검출 수단, 제1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빈 영역에 동화상 신호를 기록하는 제1 기록 수단, 정지 화상 기록 모드가 선택되었을 때, 위치 및 사이즈 중 적어도 한쪽에 관하고 또한 제1 조건과 다른 제2 조건을 만족하는 빈 영역을 검출하는 제2 검출 수단, 및 제2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빈 영역에 정지 화상 신호를 기록하는 정지 화상 기록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이다.
동화상 기록 모드가 선택되면 위치 및 사이즈 중 적어도 한쪽에 관한 제1 조건을 만족하는 빈 영역이 제1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다. 제1 기록 수단은, 제1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빈 영역에 동화상 신호를 가동 기록 부재에 따라 기록한다. 한편, 정지 화상 기록 모드가 선택되면, 위치 및 사이즈 중 적어도 한쪽에 관한 또한 제1 조건과 다른 제2 조건을 만족하는 빈 영역이 제2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다. 제2 기록 수단은 제2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빈 영역에 정지 화상 신호를 가동 기록 부재에 의해 기록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복수의 빈 영역이 이산적으로 분포한 기록 매체에 동화상 신호 및 정지 화상 신호가 기록된다.
본 발명의 어느 한 예에서는, 제1 조건은 사이즈가 최대라고 하는 조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예에서는, 기록 매체에 M개의 빈 영역이 이산적으로 분포하고, 제2 조건은 사이즈가 큰 것에서부터 N(1<N<M)번째라고 하는 조건이다.
본 발명의 그 밖의 예에서는, 기록 매체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이고, 제1 조건은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가장 내측에 위치한다고 하는 조건이다. 이 때, 제2 조건은 바람직하게는 사이즈가 최대라고 하는 조건이다.
본 발명의 그 밖의 예에서는, 기록 매체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이고, 제1 조건은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가장 외측에 위치한다고 하는 조건이다. 이 때, 제2 조건은 바람직하게는 사이즈가 최대라고 하는 조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예에서는, 제1 조건은 사이즈가 최대이고 또한 제1 소정치를 상회한다고 하는 조건이다.
이 때, 제2 조건은 바람직하게는 제1 소정치를 하회하는 빈 영역 중에서 사이즈가 최대라고 하는 조건이다. 또한, 제2 조건은 제1 소정치를 하회할 때 빈 영역의 수가 소정수 이상이라고 하는 조건을 더욱 포함해도 좋다. 이 경우, 제2 조건은 제1 소정치를 하회하는 빈 영역의 수가 소정수 미만이면, 사이즈가 최대라고 하는 조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록 매체에는 M 개의 빈 영역이 이산적으로 분포할 때, 제2 조건은 사이즈가 큰 것에서부터 N(1 < N < M)번째라고 하는 조건이라도 좋다.
본 발명의 그 밖의 예에서는, 제2 조건은 합계 사이즈가 제2 소정치를 초과할 때까지 작은 것에서부터 순서대로 사이즈를 적산한 복수의 빈 영역 중에서 사이즈가 최대라고 하는 조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광 디스크에 형성된 빈 영역의 일례를 나타낸 도해도.
도 3은 빈 영역 리스트의 일례를 나타낸 도해도.
도 4는 도 1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도.
도 6은 본 발명의 그 밖의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도.
도 7은 본 발명의 그 밖의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도.
도 9는 본 발명의 그 밖의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도.
도 12는 본 발명의 그 밖의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디지털 카메라
12 : CCD 이메이져
20 : 신호 처리 회로
22 : 버퍼 메모리
24 : 메모리 제어 회로
26 : 디스크 제어 회로
32 : 시스템 컨트롤러
도 1을 참조하여, 이 실시예의 디지털 카메라(10)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이미지 센서(12)를 포함한다. 이미지 센서(12)는 수광면에 조사된 피사체의 광상에 광전 변환을 실시하고, 피사체상에 대응하는 전하(카메라 신호)를 생성한다.
기록 모드 전환 스위치(34)에 의해 정지 화상 기록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셔터 버튼(36)이 눌러지면, 시스템 컨트롤러(32)는 TG(14)에 1화면분의 카메라 신호의 전화소 판독을 명령한다. TG(14)는, 1 화면에 상당하는 기간 만큼, 이미지 센서(12)를 전화소 판독 방식으로 구동한다. 이에 따라, 수광면에서 생성된 고해상도의 카메라 신호가 이미지 센서(12)로부터 출력된다.
한편, 기록 모드 전환 스위치(34)에 의해 동화상 기록 모드가 설정되고, 셔터 버튼(36)을 누르면 TG(16)는 카메라 신호의 추출 판독을 TG(14)에 명령한다. TG(14)는 이미지 센서(12)를 추출 방식으로 구동하고, 이 결과 이미지 센서(12)로부터 저해상도의 카메라 신호가 출력된다. 또, 추출 판독은 셔터 버튼(36)을 재차누른 시점에서 중지된다.
이미지 센서(12)로부터 출력된 카메라 신호는, CDS/AGC 회로(16)에 의해 주지의 노이즈 제거 및 레벨 조정을 실시하고, 이러한 처리를 실시된 카메라 신호가 A/D 변환기(18)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A/D 변환된 카메라 신호는 신호 처리 회로(20)에 의해 YUV 신호로 변환되고, 또한 YUV 신호에 JPEG 압축이 걸린다. 정지 화상 기록 모드에서는 1 화면분의 YUV 신호밖에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이 1 화면분의 YUV 신호에 기초하여 1 화면분의 압축 YUV 신호가 생성된다. 이에 대해, 동화상 기록 모드에서는 복수 화면분의 YUV 신호를 얻을 수 있다. 이 때는 1 화면마다 JPEG 압축이 실시되고, 결과적으로, 복수 화면분의 압축 YUV 신호가 생성된다. 생성된 압축 YUV 신호는 동일 신호 처리 회로(20)에 의해 버퍼 메모리(22)에 기입된다.
또, 버퍼 메모리(22)는 고해상도의 압축 YUV 신호를 적어도 1 화면분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을 갖고, 정지 화상 모드에 있어서 생성된 1 화면분의 압축 YUV 신호는, 전부 버퍼 메모리(22)에 저장된다.
버퍼 메모리(22)에 저장된 압축 화상 신호는 디스크 제어 회로(24)에 의해 판독되고, 광 픽업(26) 및 자기 헤드(28)에 의해 MS-DOS 포맷에 따라 광자기 디스크(30)에 기록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디스크 제어 회로(24)는 우선 광자기 디스크(28)로부터 빈 영역을 검출하며, 검출한 빈 영역에 광픽업(26) 및 자기 헤드(28)를 이동시킨다. 계속해서, 버퍼 메모리(22)로부터 압축 YUV 신호를 판독하고, 광 픽업(26)에 설치된 반도체 레이저(26a)에 레이저광을 출력시킴과 함께 판독한 압축 YUV 신호에 대응하는 기록 전류를 자기 헤드(28)에 흘린다. 이에 따라, 압축 YUV 신호가 빈 영역에 기록되어 간다. 빈 영역이 가득찼어도 아직 압축 YUV 신호가 버퍼 메모리(22)에 남아 있는 경우, 디스크 제어 회로(24)는 빈 영역을 재차 검출하고, 검출한 빈 영역에 광픽업(26) 및 자기 헤드(28)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남은 압축 YUV 신호를 버퍼 메모리(22)로부터 판독하고, 반도체 레이저(26a) 및 자기 헤드(28)에 의해 압축 화상 신호를 빈 영역에 기록해 간다. 이 결과, 복수의 빈 영역이 이산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경우라도 압축 YUV 신호는 각 빈 영역에 적절하게 기록된다.
여기서, 빈 영역의 검출 형태는 정지 화상 기록 모드와 동화상 기록 모드에서 차이가 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정지 화상 기록 모드로 생성된 1 화면분의 압축 YUV 신호는 빠짐없이 버퍼 메모리(22)에 저장된다. 이 때문에, 정지 화상 기록 모드에서는 광 픽업(26) 및 자기 헤드(28)의 점프에 따라 실효 기록 속도가 다소 저하했다고 해도 압축 YUV 신호는 누락하지 않고 기록된다.
그러나, 동화상 기록 모드에서는 복수 화면분의 압축 YUV 신호 모두 버퍼 메모리(22)에 빠짐없이 저장된다는 보증은 없다. 이 때문에, 동화상 기록 모드에 있어서 실효 기록 속도가 저하하면 기록되는 압축 YUV 신호에 누락이 생긴다. 즉, 광 픽업(26) 및 자기 헤드(28)의 점프에 따라 판독이 빈번히 중단되고, 버퍼 메모리(22)가 가득차면, 후속의 압축 YUV 신호의 기록을 할 수 없고, 이 결과 광자기 디스크(30)에 기록되는 압축 YUV 신호에 누락이 생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 실시예에서는 정지 화상 기록 모드와 동화상 기록 모드에서 빈 영역의 검출의 형태를 전환하도록 하고 있다. 즉, 정지 화상 기록 모드에서는 최소의 빈 영역으로부터 순서대로 압축 YUV 신호를 기록하고, 동화상 기록 모드에서는 최대의 빈 영역으로부터 순서대로 압축 YUV 신호를 기록한다. 빈 영역이 클수록 광픽업(26) 및 자기 헤드(28)를 점프시키는 빈도가 적어지기 때문에 동화상 기록 모드에 있어서 실효 기록 속도를 빨리할 수 있다. 이 결과, 기록되는 압축 YUV 신호(동화상 신호)에 누락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디스크 제어 회로(24)는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도시된 플로우도를 처리한다. 우선, 스텝 S1에서 광자기 디스크(30)의 FAT 영역으로부터 파일 관리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한 파일 관리 데이터에 기초하여 빈 영역 리스트를 작성한다. 도 2의 사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에 빈 영역①∼⑦이 형성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빈 영역 리스트가 작성된다. 도 3에 따르면, 어드레스 "3" 이후에 사이즈가 320K 바이트의 빈 영역①이 형성되고, 어드레스 "48" 이후에 사이즈가 5030K 바이트의 빈 영역②이 형성된다. 또한, 어드레스 "71" 이후에 사이즈가 2450K 바이트의 빈 영역③이 형성되고, 어드레스 "96" 이후에 사이즈가 2680K 바이트의 빈 영역④이 형성된다. 또한, 어드레스 "132" 이후에 사이즈가 7020K 바이트의 빈 영역⑤이 형성되고, 어드레스 "155" 이후에 사이즈가 3410K 바이트의 빈 영역⑥이 형성되고, 어드레스 "174" 이후에 사이즈가 1200K 바이트의 빈 영역⑦이 형성된다.
빈 영역 리스트가 작성되면, 디스크 제어 회로(24)는 스텝 S3에서 현재의 기록 모드를 판별한다. 선택되어 있는 기록 모드가 정지 화상 기록 모드의 경우, 디스크 제어 회로(24)는 스텝 S3에서 YES라고 판단하고, 스텝 S5에서 사이즈가 최소의 빈 영역을 빈 영역 리스트로부터 검출한다. 한편, 동화상 기록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디스크 제어 회로(24)는 스텝 S3으로부터 스텝 S7로 진행하며, 사이즈가 최대인 빈 영역을 빈 영역 리스트로부터 검출한다.
계속되는 스텝 S9에서는 스텝 S5 또는 스텝 S7에서 검출된 빈 영역에 대한 기록 처리를 행한다. 우선, 광픽업(26) 및 자기 헤드(28)를 검출한 빈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다음에 버퍼 메모리(22)로부터 소정량의 압축 YUV 신호를 판독한다. 그 후, 반도체 레이저(26a) 및 자기 헤드(28)를 구동하여, 판독한 압축 YUV 신호를 빈 영역에 기록한다. 스텝 S11에서는 모든 압축 YUV 신호의 기록이 완료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YES이면 처리를 종료한다. 이에 대해, 기록해야 할 압축 YUV 신호가 버퍼 메모리(22)에 남아 있으면 스텝 S11로부터 스텝 S13으로 진행하고, 기록처의 빈 영역이 가득찼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가득차지 않으면 스텝 S9로 복귀하지만, 가득차면 스텝 S15로 진행하고 빈 영역이 더욱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빈 영역 리스트로부터 판별한다. 빈 영역이 아직 존재할 때는 스텝 S1로 복귀하지만, 빈 영역이 없어지면 처리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기록해야 할 압축 YUV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가득찰 때까지 동일한 빈 영역에의 기록이 실행된다. 빈 영역이 가득차고 또한 다른 빈 영역이 존재할 때는 재차 빈 영역 리스트가 작성되고,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빈 영역이 다시 검출된다. 그리고, 검출된 빈 영역에 남은 압축 YUV 신호가 소정량씩 기록되어 간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빈 영역이 분포하고 있을 때에 정지 화상기록만을 행했을 때는, ①→⑦→③→④→⑥→②→⑤의 순으로 각각의 빈 영역에 정지 화상을 형성하는 압축 YV 신호가 저장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빈 영역의 분포 상태로부터 동화상 기록만을 행했을 때는, ⑤→②→⑥→④→③→⑦→①의 순서대로 각각의 빈 영역에 동화상을 형성하는 압축 YUV 신호가 저장된다.
다른 실시예의 디지털 카메라(10)에서는, 디스크 제어 회로(24)는 도 5에 도시된 플로우도를 처리한다. 단, 이 플로우도는, 스텝 S25를 제외하고 도 4에 도시된 플로우도와 동일하다. 즉, 스텝 S21 및 S23은 스텝 S1 및 S3과 동일하고, 스텝 S27∼S35는 스텝 S1∼S15와 동일하다. 이 때문에,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광자기 디스크(30)에 M개의 빈 영역이 형성되는 경우, 스텝 S25에서는 사이즈가 큰 쪽에서 N(1<N<M)번째의 빈 영역을 검출한다. 즉, 정지 화상 기록 모드에서는 N 번째로 큰 빈 영역이 검출되고, 이 빈 영역에 압축 YUV 신호가 기록된다. 예를 들면 N=4이면, 빈 영역④이 스텝 S25에서 검출된다. 이러한 처리를 행함으로써, 정지 화상 기록 모드라도 도 4에 나타낸 실시예에 비해 실효 기록 속도를 빨리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예의 디지털 카메라(10)에서는 디스크 제어 회로(24)는 도 6에 도시된 플로우도를 처리한다. 이 플로우도도 또한 스텝 S35 및 S37을 제외하고 도 4에 나타낸 플로우도와 동일하다. 즉, 스텝 S31 및 S33은 스텝 S1 및 S3과 동일하고, 스텝 S39∼S45는 스텝 S9∼S15와 동일하다. 이 때문에,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 S35에서는 사이즈가 최대의 빈 영역을 검출하고, 스텝 S37에서는 최내주에 위치하는 빈 영역을 검출한다. 즉, 정지 화상 기록 모드에서는 사이즈가 큰 빈 영역으로부터 순서대로 압축 YUV 신호가 기록되어 가고, 동화상 기록 모드에서는 최내주의 빈 영역으로부터 순서대로 압축 YUV 신호가 기록되어 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빈 영역이 분포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동화상의 기록을 개시한 경우, 압축 YUV 신호는 ①→②→③→④→⑤→⑥→⑦의 순서로 각각의 빈 영역에 기록되어 간다. 동화상 기록 모드에 있어서 최내주로부터 순서대로 기록하는 경우 점프하는 빈도는 감소하지 않지만, 점프하는 방향은 항상 안에서 밖으로 한방향이다. 이 때문에, 실효 기록 속도는 종래 기술에 비해 빨라진다. 또한, 정지 화상 기록 모드에 있어서 최대 빈 영역이 검출됨으로써, 이 모드에 있어서의 실효 기록 속도도 고속으로 된다.
또한 그 밖의 실시예의 디지털 카메라(10)에서는 디스크 제어 회로(24)는 도 7에 도시된 플로우도를 처리한다. 이 플로우도는 스텝 S57에서 최외주의 빈 영역을 검출하는 점을 제외하고 도 6에 도시된 플로우도와 동일하다. 즉, 스텝 S51∼S55는 스텝 S31∼S35와 동일하고, 스텝 S59∼S65는 스텝 S39∼S45와 동일하다. 이 때문에,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에서도, 동화상 기록 모드가 선택된 경우 점프하는 빈도는 감소하지 않지만, 점프하는 방향은 항상 외주로부터 내주의 한방향이다. 즉, 압축 YUV 신호는 ⑦→⑥→⑤→④→③→②→①의 순으로 각각의 빈 영역에 기록되어 간다. 따라서, 실효 기록 속도는 종래 기술에 비교하여 빨라진다.
다른 실시예의 디지털 카메라(10)에서는 디스크 제어 회로(24)는 도 8에 도시된 플로우도를 처리한다. 단, 스텝 S71∼S77은 도 4에 도시된 스텝 S1∼S7과 동일하고, 스텝 S83∼S89는 동일한 도 4의 스텝 S9∼S15와 동일하다. 이 때문에,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스텝 S79에서는 스텝 S77에서 검출된 빈 영역의 사이즈가 4M 바이트를 하회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사이즈≥4M 바이트이면 스텝 S83으로 진행하고, 사이즈<4M 바이트이면 스텝 S81에서 용량 부족을 나타내는 경고를 발하고 나서 처리를 종료한다. 따라서, 어느 한 빈 영역도 4M 바이트 미만이면 동화상의 기록은 불가능해진다. 환언하면, 4M바이트 미만의 빈 영역은 정지 화상의 기록을 위해 확보되어, 정지 화상 모드에서 생성된 압축 YUV 신호는 4M 바이트 미만의 빈 영역 중 작은 빈 영역으로부터 순서대로 저장되어 간다.
도 2에 도시된 빈 영역의 분포 상태로부터 동화상의 기록을 개시하면, 압축 YUV 신호는 빈 영역⑤ 및 ②에 이 순서대로 기록되어, 빈 영역②이 가득차게 되면 기록 불능이 된다. 빈 영역⑤ 및 ②가 가득찬 후에도 4M 바이트 미만의 빈 영역①, ③, ④, ⑥ 및 ⑦은 남아 있기 때문에 정지 화상은 이들 빈 영역에 기록되어 간다.
그 밖의 실시예의 디지털 카메라(10)에서는 디스크 제어 회로(24)는 도 9에 도시된 플로우도를 처리한다. 단, 이 플로우도는 스텝 S95를 제외하고 도 8에 도시된 플로우도와 동일하다. 즉, 스텝 S91 및 S93은 스텝 S71 및 S73과 동일하고, 스텝 S97∼S109는 스텝 S77∼S89와 동일하다.
스텝 S95에서는 4M 바이트 미만의 빈 영역 중에서 최대의 빈 영역을 검출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4M 바이트 미만의 빈 영역은 정지 화상의 기록을 위해 확보되고, 이 영역에 동화상이 기록되는 일은 없다. 이러한 정지 화상 기록 전용의 빈 영역에 대해 사이즈가 큰 것으로부터 순서대로 정지 화상을 기록해 가면 정지 화상 기록 모드에 있어서도 실효 기록 속도가 고속화된다.
또한 그 밖의 실시예의 디지털 카메라(10)에서는 디스크 제어 장치(24)는 도 10에 도시된 플로우도를 처리한다. 단, 스텝 S111 및 S113은 도 9에 도시된 스텝 S91 및 S93과 동일하고, 스텝 S121∼S125는 도 9에 도시된 스텝 S97∼S101과 동일하고, 그리고 스텝 S127∼S133은 도 8에 나타낸 스텝 S103∼S109와 동일하다. 이 때문에,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스텝 S115에서는, 빈 영역 리스트를 참조하여 4M 바이트 미만의 빈 영역의 수를 판별한다. 그리고, 4M 바이트 미만의 빈 영역의 수가 "5"로 만족하지 못하면, 스텝 S117에서 모든 빈 영역 중에서 최대의 빈 영역을 검출한다. 이에 대해, 4M 바이트 미만의 빈 영역의 수가 "5" 이상이면 스텝 S119에서 4M 바이트 미만의 빈 영역 중에서 최대의 빈 영역을 검출한다.
도 9 실시예와 같이 4M 바이트 미만의 빈 영역만을 정지 화상의 기록에 할당하도록 하면 4M 바이트 이상의 빈 영역이 많이 존재하는 상태로서, 즉 광자기 디스크(30)의 빈 용량이 충분한 상태이고, 정지 화상을 기록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이 실시예에서는, 4M 바이트 미만의 빈 영역의 수가 소정수에 미치지 않을 때에 모든 빈 영역 중에서 최대 빈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한 빈 영역에 정지 화상을 기록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빈 영역의 사이즈에 따라서는 동화상 기록을 위해 할당되는 빈 영역에 정지 화상이 기록된다.
다른 실시예의 디지털 카메라(10)에서는 디스크 제어 회로(24)는 도 11에 도시된 플로우도를 처리한다. 단, 스텝 S141 및 S143은 도 8에 도시된 스텝 S71 및 S73과 동일하고, 스텝 S147∼S159는 동일한 도 8의 스텝 S77∼S89와 동일하다. 이 때문에,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M개의 빈 영역이 형성되는 경우, 스텝 S145에서는 사이즈가 큰 것으로부터 N(1 < N < M)번째의 빈 영역을 검출한다. 이 처리는 도 5의 스텝 S25와 동일하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N=5이면 빈 영역③이 검출된다. 이에 따라, 정지 화상 기록 모드에 있어서의 실효 기록 속도가 고속화된다.
그 밖의 실시예의 디지털 카메라(10)에서는 디스크 제어 장치(24)는 도 12에 도시된 플로우도를 처리한다. 단, 스텝 S161 및 S163은 도 8에 나타낸 스텝 S71 및 S73과 동일하고, 스텝 S171∼S175는 도 8에 나타낸 스텝 S77∼S81과 동일하고, 그리고 스텝 S177∼S183은 도 8에 나타낸 스텝 S83∼S89와 동일하다. 이 때문에,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스텝 S165에서는 사이즈가 작은 빈 영역으로부터 순서대로 빈 영역 사이즈를 1개씩 적산한다. 1회의 적산이 완료되면 스텝 S167에서 적산치가 10M 바이트를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적산치≤10M 바이트이면 스텝 S165로 되돌아가고, 적산치>10M 바이트가 되면 스텝 S175로 진행한다. 스텝 S175에서는 마지막으로 적산한 빈 영역을 검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빈 영역이 분포하고 있을 때에 정지 화상 기록 모드가 선택되면, ①→⑦→③→④→⑥의 순서대로 각 빈영역의 사이즈가 적산된다. 그리고, 빈 영역⑥의 사이즈(3410K 바이트)가 적산된 시점에서 적산치가 10060K 바이트가 되어 10M 바이트를 초과한다. 스텝 S169에서는 빈 영역⑥이 검출된다.
이러한 처리에 따라, 정지 화상 기록을 위한 빈 영역 사이즈가 항상 10M 바이트 확보되고, 또한 이 10M 바이트를 형성하는 빈 영역 중 사이즈가 가장 큰 빈 영역에 정지 화상이 기록된다. 이 때문에, 정지 화상의 실효 기록 속도를 빨리할 수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광자기 디스크로서는, AS-MO (Advanced Storage Magneto Optical disk), DVD (Digital Versatile Disk), MD (Mini Disk) 등이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은 빈 영역이 이산적으로 분포한 기록 매체에 화상 신호를 기록하는 모든 화상 기록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의 화상 신호의 관리 방식으로서 MS-DOS의 FAT 방식을 채용하고 있지만, 관리 방식으로는 UDF (Universal Disc Format) 방식을 채용해도 좋다.
또한, 도 8∼도 12 실시예에서는 동화상 기록을 행할 때의 조건에 최대 빈 영역의 사이즈가 4M 바이트를 상회한다고 하는 조건을 설치하고 있지만, 이 수치가 4M 바이트에 한정되지 않은 것은 물론이다. 단, 이 수치와 도 10 실시예의 스텝 S95 및 도 10 실시예의 스텝 S115 및 S119에서 이용하는 수치와는 상호 일치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도 10 실시예에서는 4M 바이트 미만의 빈 영역이 5개이상 존재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다른 처리를 행하도록 하고 있지만, 처리를 분기시키는 판단에 이용하는 갯수가 "5" 한정되지 않은 것은 물론이다. 또한, 도 12 실시예에서는 빈 영역 사이즈의 적산치가 10M 바이트를 초과했을 때에 마지막으로 적산된 빈 영역을 검출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 수치도 물론 10M 바이트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화상 기록 모드와 정지 화상 기록 모드에서, 빈 영역을 검출할 때의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정지 화상 신호 및 동화상 신호 모두 적절하게 기록할 수 있다.

Claims (12)

  1. 복수의 빈 영역이 이산적으로 분포하는 기록 매체에 가동 기록 부재에 의해 동화상 신호 및 정지 화상 신호를 기록하는 화상 기록 장치에 있어서,
    동화상 기록 모드 및 정지 화상 기록 모드 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는 선택 수단,
    상기 동화상 기록 모드가 선택되었을 때, 위치 및 사이즈 중 적어도 한쪽에 관한 제1 조건을 만족하는 빈 영역을 검출하는 제1 검출 수단,
    상기 제1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빈 영역에 상기 동화상 신호를 기록하는 제l 기록 수단,
    상기 정지 화상 기록 모드가 선택되었을 때, 상기 위치 및 상기 사이즈 중 적어도 한쪽에 관하고 또한 상기 제1 조건과 다른 제2 조건을 만족하는 빈 영역을 검출하는 제2 검출 수단, 및
    상기 제2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빈 영역에 상기 정지 화상 신호를 기록하는 제2 기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건은 사이즈가 최대인 조건인 화상 기록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에는 M 개의 빈 영역이 이산적으로 분포하고,
    상기 제2 조건은 사이즈가 큰 것으로부터 N(1 < N < M)번째인 조건인 화상 기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이고,
    상기 제1 조건은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 중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조건인 화상 기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이고,
    상기 제1 조건은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 중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조건인 화상 기록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건은 사이즈가 최대인 조건인 화상 기록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건은 사이즈가 최대이고 또한 제1 소정치를 상회인 조건인 화상 기록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건은 상기 제1 소정치를 하회하는 빈 영역 중에서 사이즈가 최대인 조건인 화상 기록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건은 상기 제1 소정치를 하회하는 빈 영역의 수가 소정수 이상인 하는 조건을 더 포함하는 화상 기록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건은 상기 제1 소정치를 하회하는 빈 영역의 수가 상기 소정수 미만이면 사이즈가 최대인 조건인 화상 기록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에는 M 개의 빈 영역이 이산적으로 분포하고,
    상기 제2 조건은 사이즈가 큰 것으로부터 N(1 < N < M)번째인 조건인 화상 기록 장치.
  12.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건은, 합계 사이즈가 제2 소정치를 초과할 때까지 작은 것으로부터 순서대로 사이즈를 적산한 복수의 빈 영역 중에서 사이즈가 최대인 조건인 화상 기록 장치.
KR1020000070612A 1999-11-26 2000-11-25 화상 기록 장치 KR200100702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9-336252 1999-11-26
JP33625299 1999-11-26
JP2000082328A JP3403142B2 (ja) 1999-11-26 2000-03-23 画像記録装置
JP2000-082328 2000-03-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0237A true KR20010070237A (ko) 2001-07-25

Family

ID=26575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0612A KR20010070237A (ko) 1999-11-26 2000-11-25 화상 기록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876433B1 (ko)
EP (1) EP1104187B1 (ko)
JP (1) JP3403142B2 (ko)
KR (1) KR20010070237A (ko)
DE (1) DE60037931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49176B2 (ja) 2007-09-10 2012-06-0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記録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38583C (en) * 1990-03-20 1996-03-12 Shigemi Maeda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JPH0779403A (ja) * 1993-06-25 1995-03-20 Nikon Corp 電子スチルカメラ
US5740435A (en) * 1994-10-31 1998-04-14 Sony Corporation Data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ata of variable lengths recorded on a record medium
JPH1051722A (ja) * 1996-08-05 1998-02-20 Hitachi Ltd ディスクを記録媒体とするカメラ
JPH10234002A (ja) * 1997-02-21 1998-09-02 Hitachi Ltd ディジタル映像音声記録再生装置
DE69809461T2 (de) * 1997-09-17 2003-05-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ufzeichnungsgerät für optische Platte, computerlesbares Aufzeichnungsmedium zur Aufzeichnung eines Datenverwaltungsprogramms sowie optische Platte
JP2000339854A (ja) 1999-05-24 2000-12-08 Sony Corp ディス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04187B1 (en) 2008-01-30
EP1104187A3 (en) 2003-11-05
DE60037931T2 (de) 2009-01-29
DE60037931D1 (de) 2008-03-20
EP1104187A2 (en) 2001-05-30
US6876433B1 (en) 2005-04-05
JP3403142B2 (ja) 2003-05-06
JP2001218153A (ja) 2001-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51889B2 (ja) データ記録システム、データ記録方法およびデータ記録プログラム
US20100008649A1 (en) Information record/reproduction apparatus and information record/playback method
JP4506832B2 (ja) 画像処理装置、インデックス生成装置、撮像装置、インデックス生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213763B2 (en) Video data copying apparatus, video data copying method, recording medium, and integrated circuit
EP1786204B1 (en) File structure for optimised search and delete commands in a DVD camcorder.
JP3733061B2 (ja) 画像記録装置
KR20010070237A (ko) 화상 기록 장치
KR101063635B1 (ko) 정보 기록 장치 및 정보 기록 방법
CN1918658B (zh) 图像记录设备和图像记录控制方法
JP5207943B2 (ja) 撮像装置
JP4297073B2 (ja) 画像生成装置、これらの装置の処理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
JP3857210B2 (ja) 情報記録装置、情報再生装置、情報記録用プログラム、情報再生用プログラム、記録媒体及び情報記録媒体
JP5523081B2 (ja) 記録装置
JP3806604B2 (ja) 画像記録装置
KR100758080B1 (ko) 디지털 기록 장치 및 방법
JP2007124178A (ja) 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
US20050265190A1 (en) Recording apparatus
US20070263988A1 (en)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thod
JP2004320154A (ja) チャプタ位置設定方法およびディスク記録装置
JP2001283525A (ja) 画像記録再生方法および画像記録再生装置
JP2007323767A (ja) 記録装置、記録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60239133A1 (en)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JP2005174372A (ja) データ記録装置
JP2006108742A (ja) 画像撮像装置
JP2009094790A (ja) 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