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7358A - 키 버튼 조광 장치 및 키 버튼 조광 장치가 부착된 무선통신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키 버튼 조광 장치 및 키 버튼 조광 장치가 부착된 무선통신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7358A
KR20010067358A KR1020000063300A KR20000063300A KR20010067358A KR 20010067358 A KR20010067358 A KR 20010067358A KR 1020000063300 A KR1020000063300 A KR 1020000063300A KR 20000063300 A KR20000063300 A KR 20000063300A KR 20010067358 A KR20010067358 A KR 200100673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button
light emitting
emitting element
shield case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3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6362B1 (ko
Inventor
기타무라토시야스
고니시가즈히로
타바타타이치
야마모토고우이치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Publication of KR20010067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7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6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63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36Light emitting elements
    • H01H2219/04Attachments;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7Actuators transpar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 H04M1/656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Transmitter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케이스(18), 금속계의 표면처리가 된 실드케이스(10), 키버튼(7), 및 발광소자(22)가 설치된 프린트 기판(8)으로 구성된 키버튼 구조이며, LED등의 상기 발광소자는 상기 실드케이스(10) 상에 수직으로 배치된 리브(21)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인다. 이러한 구조는 발광효율의 향상뿐만 아니라 공간 문제를 해결해준다.

Description

키 버튼 조광 장치 및 키 버튼 조광 장치가 부착된 무선 통신 단말 장치{KEY BUTTON ILLUMINATING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EQUIPPED WITH THE SAME}
본 발명은 고 주파 전자 부품들과 실드 케이스가 있는 휴대 전화 장치 등의 무선 통신 단말 장치용 키 버튼 조광 장치 및 키 버튼 조광 장치가 부착된 무선 통신 단말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광 소자로부터 발광된 빛을 실드케이스 벽에반사시킴으로써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정한 구성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 장치 등의 많은 종래의 무선 통신 단말 장치들은 조작 시 및 착신 시에 텐-키(ten key) 부분에 발광 소자의 빛을 조광한다. 종래의 키 버튼 조광 방법은 프린트 기판(PCB) 위에 장착된 발광 소자의 빛을 집광시키기 위해 전용 부품을 사용하거나, 반사 시트로 빛을 반사 및 전파하는 방법이 채택되어 왔다. 그러나 기기 본체의 소형화 및 경량화와 함께 장치 내부의 여유 공간이 없어지면, 경량화를 시키기 위한 부품 수 감소의 설계 방침에서는 상기 전용 부품과 반사 시트의 사용이 어렵게 되었다.
어떤 발광소자가 프린트 기판 상에 제공되더라도 빛은 실드 케이스로부터 나올 수 없다는 것이 명백하여, 실드 케이스로 덮여있는 부분에 조광 가능한 키 버튼을 배치하는 경우가 없었다 하더라도 기능 증가를 위하여 상기 실드 케이스로 덮여 있는 부분에 배치된 조광 가능한 키 버튼들의 사용이 최근에 새롭게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기 본체의 소형화 및 경량화와 함께 상기 공간 문제를 해결할 뿐만 아니라 상기 실드 케이스의 소정 부분에 구멍부를 형성하고 이러한 구멍부에 키 버튼을 배치하고, 상기 키 버튼 아래에 배치된 발광 소자로부터 발광된 빛을 실드 케이스 벽에 반사시킴으로써 발광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키 버튼 조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제 1 목적이고, 상기 서술된 키 버튼 조광 장치를 장착함으로써 규정된 디스플레이를 가능케 하는 무선 통신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제2 목적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전화 장치의 외부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상기 휴대 전화 장치의 외부 사시도.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상기 휴대 전화 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상기 휴대 전화 장치의 블럭도.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상기 음성 메모 녹음 키 버튼 근방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전화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키 버튼 구조용 키 버튼 조광 장치는 케이스, 금속계의 표면 처리가 된 실드 케이스, 키 버튼 및 발광 소자가 장착된 프린트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실드 케이스 상에 수직으로 배치된 리브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인다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공간 문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르면, 키 버튼 구조용 키 버튼 조광 장치는 케이스, 금속계의 표면 처리가 된 실드 케이스, 키 버튼 및 발광 소자가 장착된 프린트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발광 소자는 프린트 기판에 당접한 면이 완전히 밀착한 방식으로 상기 실드 케이스상에 수직으로 제공된 리브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인다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발광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공간 문제를 해결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실드 케이스상에 수직으로 제공된 리브는 대략 타원형상으로 상기 발광 소자를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발광 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르면, 키 버튼 조광 장치에 있어서, 프린트 기판 상에 장착된 발광 소자의 양면 상에 인쇄 배선된 접점 패턴들의 스위치 작동을 위한 키 버튼은 이 키 버튼 상에 배치된 접점 부재를 누름으로써 동작되고, 상기 키버튼의 스커트 부를 유지하기 위한 실드 케이스는 상기 발광 소자와 접점 패턴을둘러싸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프린트 기판 상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실드케이스의 벽에 의하여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반사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공간문제를 해결하고 발광 효율을 향상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실드케이스의 발광 소자로부터의 빛을 반사시키는 벽은 반사경 끝마무리를 위해 도금된다. 이 구성은 상기 발광 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제 4 측면에 따르면, 키 버튼 구조용 키 버튼 조광 장치가 부착된 무선 통신 단말 장치는 케이스, 금속계의 표면 처리가 된 실드 케이스, 키 버튼 및 발광 소자가 장착된 프린트 기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실드 케이스 상에 수직으로 배치된 리브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인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공간 문제를 해결하고 더욱 개선된 발광 효율을 갖는 키 버튼 조광 장치가 부착된 무선 통신 단말 장치를 제공케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키 버튼은 현재 말하는 통화내용을 녹음하기 위해 음성 메모 작동이 필요할 때 동작될 수 있고, 이 때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음성 메모 작동의 시작에 점등이나 점멸 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발광 소자의 점등이나 점멸로 상기 음성 메모 작동의 시작을 알 수 있게 한다.
더욱이, 상기 키 버튼은 통화중에 지속적으로 점등, 점멸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발광소자의 점등이나 점멸로써 통화 작동중인 상태임을 통지한다.
더 더욱, 상기 키 버튼은 통화중에 지속적으로 점등이나 점멸하고 있기도 하지만, 현재 말하고 있는 대화 내용을 녹음하는 음성 메모 작동의 시작시 키버튼을 누름으로써 통화중의 점등이나 점멸과는 다른 방식으로 점등이나 점멸이 시작된다.이러한 구성은 단 하나의 키 버튼으로 통화와 음성메모녹음의 두 개의 작동 상태를 각각 통지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관하여, 본 발명의 상기 키 버튼 조광 장치가 장착된 상기 무선 통신 단말 장치의 전체 구성이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이후 설명되고 상기 키 버튼 조광 장치의 구성이 다음과 같이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무선 통신 단말 장치로서 휴대 전화 장치의 작동 면을 위로 한 외부 사시도이며, 수화부(2), 송화부(3), 키조작부(4), 표시부(5), 및 안테나부(6)가 본체케이스(1)상에 배치된다.
도 1b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관련된 상기 무선 통신 단말 장치의 배면을 위로 한 외부 사시도이고, 누름으로써 현재 말하는 통화내용을 레코드하기 시작하기 위한 메모 녹음용 키 버튼(7)이 상기 본체케이스(1)의 상기 안테나부(6) 근처에 배치되어 있다.
도 1c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관련된 상기 무선 통신 단말 장치의 단면도이고, 프린트 기판(8)이 상기 본체케이스(1)의 내부에 제공되고,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회로부(9)가 안테나부(6) 근처에 있는 상기 프린트기판(8) 상에 배치된다.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부품들을 갖는 상기 무선통신회로부(9)는 불필요한 방사에 대한 대책으로서 실드케이스(10)로 덮여진다. 금속을 증착한 플라스틱 실드케이스(10)가 최근에 경량화 목적으로 휴대 전화 장치에 사용된다. 상기 메모 녹음용 키 버튼(7)이 상기 프린트기판(8) 상의 상기 실드케이스(10)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구멍부(11)속에 배치된다. LED같은 발광소자(22)는 상기 프린트기판(8) 상에 배치된다.
도 2는 도 1에서 보여진 본 발명의 상기 실시 예에 관련된 상기 휴대 전화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에서 보여지듯이, 상기 안테나부(6)에 수신된 전기 신호는 상기 무선통신회로부(9)의 신호수신부(도면에는 예시되지 않음)에 전송되고, 상기 수신된 정보는 제어부(12)에 전송된다. 상기 제어부(12)는 수신된 전화 번호 등의 수신된 정보를 액정표시장치 등의 표시부(5) 상에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수신된 정보를 음성 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수화부(2)(스피커)에 상기 음성을 출력한다. 이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면, 상기 송화부(3)(마이크로폰)는 이것을 상기 제어부(12)에 전송하고, 그리고 그때 상기 무선통신회로부(9)의 신호전송부(도면에는 예시되지 않음)와 상기 안테나(6)는 이것을 무선으로 상기 무선 통신의 상대방에게 전송한다.
상기 메모 녹음용 키 버튼(7)이 작동될 때, 상기 제어부(12)는 현재 말하는 통화내용 등의 음성정보를 메모리(13)속에 저장하거나 저장된 정보를 읽는다. 상기 메모 녹음용 키 버튼(7)은 두 가지 기능으로 작동한다: 하나는 눌러졌을 때 상기 대화 내용을 레코드하기 시작하기 위한 메모녹음스위치(15)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어부(12)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발광소자(22)의 점등으로 통화의 존재함을 가리키는 통화상태 표시기(16)이다.
텐 키 등의 상기 키 조작부(14)는 상기 제어부(12)에 상기 신호를 입력하고 전자 전화 번호부 같은 개인 정보를 상기 키들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제어부(12)를거쳐 상기 메모리(13)에 저장한다.
도 3은 상기 언급된 발명의 상기 실시 예에 관련된 상기 키 버튼 조광 장치인 상기 메모 녹음 키버튼(7) 근처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에서 보여지듯이, 상기 키 버튼 조광 장치는 상기 본체케이스(1)의 케이스(18)에 의해 스커트부(19)같은 부분이 지지될 뿐만 아니라 눌러졌을 때 상기 프린트 기판(8) 상에 배치되는 상기 도전패턴(20)에 접속되는 상기 도전막(17)을 갖는 접점을 포함하는 상기 메모 녹음 키버튼(7)과, 이 메모녹음키버튼(7)의 스커트부(19)를 지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프린트기판(8) 상에 장착된 상기 부품들을 실드하기 위하여 금속계 표면 처리되고 상기 도전패턴(20)을 둘러싸는 구멍부(11)를 갖고 상기 구멍부(11)의 벽으로서 기능하는 리브(21)를 갖고 상기 프린트기판(8)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실드케이스(10)와, 상기 프린트기판 상에 납땜되고 상기 통화중일 동안 점등되는 LED등의 발광소자(22)로 구성되어있다.
위치결정용의 보스들(23)의 각각은 상기 실드케이스(10)의 구멍부(11)의 리브(21)의 바닥에서 돌출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프린트기판(8)내의 위치결정구멍(24)에 맞추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22)와 상기 실드케이스(10)의 상기 구멍부(11)의 상대적 위치결정을 정확하게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실드케이스(10)의 상기 발광소자 쪽의 벽은 도금(반사경으로 끝마무리)된다(25). 부가적으로, 상기 실드케이스(10)는 상기 본체케이스(1)의 상기 케이스(18)에 의해 상기 키버튼의 상기 스커트부(19)를 거쳐 상기 프린트기판(8)에 밀착 접촉되도록 압박하여, 보다 발광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도 3b는 도 3a에서 표시된 상기 메모녹음키버튼(7)을 제외하고 상기 리브(21)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인 상기 조광부의 구성을 보여준다. 도 3b에 있어서, 상기 리브(21)는 대략적으로 타원형상을 갖고 LED등의 상기 발광소자(22)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어떻게 상기 벽에 반사되는지를 보여준다. 프린트기판(8) 상에 배치된 도전패턴(20)은 상기 기기 본체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목적으로 도전부분이 빗의 이(comb teeth)같이 놓여지고 도 3a에 표시된 상기 도전막(17)을 갖는 상기 접점 부분을 누름으로써 상기 키버튼으로서 상기 스위치 기능을 달성하는 구성을 갖는다.
도 3a의 상기 단면도에서, 상기 메모녹음키버튼(7)이 아래로 눌러졌을 때 상기 스커트부(19)와 접한 부분은 상기 도전막(17)이 상기 프린트기판(8) 상의 도전패턴(20)에 접속되도록 변형되고 낙하된다. 그때, 상기 LED(22)는 상기 메모녹음키버튼(7)이 점등되어 있는 동안 상기 도면에는 표시되지 않은 발광회로로 점등이나 점멸한다.
도 3c는 도 3b에 있는 화살표 A의 방향에서의 단면도이고, 이는 상기 메모녹음키버튼(7)은 상기 메모녹음키버튼(7)이 눌러진 후에 상기 스커트부(19)의 힘으로 올라가고 이는 상기 본체케이스(1)의 케이스(18)를 접촉하기 위해 상기 위치로 리턴하고, 상기 조광된 LED(22)는 상기 메모녹음키버튼(7)을 계속 점등하는 상태를 보여준다. 도 2의 설명에서 서술되듯이, 도 3c에서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메모녹음키버튼(7)의 점등으로 상기 통화 상태를 알려줄 목적으로 통화하는 동안 상기 제어부(12)가 상기 LED(22)를 점등이나 점멸하는 것은 역시 가능하다.
도 4는 상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통화중의 상기 통화상태표시의 동작과 통화 도중에 메모녹음을 행할 때의 동작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다. 우선, 상기 파워스위치가 턴온 될 때, 상기 휴대용 전화 장치는 수신대기 상태로 들어가고(단계 1) 전화가 왔음을 알려주기 위해 벨을 울리기 시작하고(단계 2); 상기 이용자가 통화 버튼을 눌렀을 때(단계 3) 상기 무선 통신은 시작한다(단계 4). 상기 무선 통신의 시작으로 상기 제어부(12)는 제 1 점등색깔 예를 들면 청색으로 상기 통화상태표시기(16)로서의 상기 LED(22)를 점멸한다(단계 5). 이 상태에서 상기 통화가 종료되면 수신대기상태로 돌아간다(단계 6).
통화 중에 상기 메모녹음키버튼(7) 즉 메모녹음스위치가 눌러 졌을 때(단계 7) 상기 메모녹음키버튼(7)의 상기 LED(22)는 제 2 점등 색깔, 예를 들면 적색으로 점멸한다(단계 8). 소정의 시간이 만료된 후 상기 메모녹음이 완료되거나 상기 메모 녹음을 끝내기 위해 다시 상기 메모녹음키버튼(7)을 누름으로써 상기 메모녹음을 끝내면(단계 9) 상기 LED(22)는 상기 통화 상태표시기(16)으로서의 제 1 점등색깔인 청색으로 점멸한다(단계 10). 마지막으로, 상기 수신 대기상태는 상기 통화의 종료 때 재개된다(단계 11).
위에 기술된 작동들은 사용자의 부근에 있는 사람들에게 통화상태 표시기( 16)로서, 본체-케이스체의 뒤 표면에 제공되는 메모 녹음 키버튼(7)의 점멸이나 점등으로 통화 작동상태 임을 알려주거나, 메모녹음스위치(15)로서 이것을 기능시키기위해 메모녹음키버튼(7)을 눌렀을 때, 점멸이나 점등으로 현재 말하는 통화내용의 메모녹음 중임을 확신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멍부에 프린트기판 상의 발광소자를 배치하고 또한 발광소자위치실드케이스 상에 키버튼을 배치하도록 상기 실드케이스에 구멍부가 제공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상기 실드케이스의 구멍의 내벽을 발광소자로부터의 빛의 반사면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왜냐하면 실드케이스는 프린트기판에 대하여 매우 정확히 위치되어 프린트기판 상의 발광소자와 실드케이스 간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정확히 유지되고, 실드케이스표면의 특성에 금속계 표면처리가 제공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독점적인 사용을 위한 반사경이나 반사시트를 추가하지 않고서 발광효율의 향상을 통해서 키버튼의 보다 밝은 점등이 가능해 진다.
메모 녹음 키버튼(7)이 본체케이스(1)의 후면 상에 안테나(6)의 부근에 배치되더라도,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유사한 키버튼 조광장치가 실드케이스로 덮여있는 부분에, 본체케이스(1)의 전면에, 또한 본체케이스(1)의 전면상의 텐-키부분에 실드케이스가 사용되는 케이스안에 있는 본체케이스(1)의 후면 위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설명의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키 버튼 구조용 키 버튼 조광 장치이고, 그것은 케이스, 금속계의 표면 처리가 된 실드 케이스, 키 버튼 및 발광 소자가 장착된 프린트 기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실드 케이스 상에 수직으로 배치된 리브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인다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공간 문제를 해결하는데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키 버튼 구조용 키 버튼 조광 장치이고, 그것은 케이스, 금속계의 표면 처리가 된 실드 케이스, 키 버튼 및 발광 소자가 장착된 프린트기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발광 소자는 프린트 기판에 당접한 면이 완전히 밀착한 방식으로 상기 실드 케이스상에 수직으로 제공된 리브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인다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발광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공간 문제를 해결하는데 효과적이다.
더욱이, 상기 키버튼 조광 장치에서, 상기 실드 케이스상에 수직으로 제공된 리브는 대략 타원형상으로 상기 발광 소자를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발광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제 3 측면은 키 버튼 조광 장치이고, 프린트 기판 상에 장착된 발광 소자의 양면 상에 인쇄 배선된 접점 패턴들의 스위치 작동을 위한 키 버튼은 이 키 버튼 상에 배치된 접점 부재를 누름으로써 동작되고, 상기 키버튼의 스커트 부를 유지하기 위한 실드 케이스는 상기 발광 소자와 접점 패턴을 둘러싸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프린트 기판 상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실드케이스의 벽에 의하여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반사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공간문제를 해결하고 발광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다.
더욱이, 상기 키버튼 조광 장치에서, 상기 실드케이스의 발광 소자로부터의 빛을 반사시키는 벽은 반사경 끝마무리를 위해 도금된다. 이 구성은 상기 발광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제 4 측면은 키 버튼 구조용 키 버튼 조광 장치가 부착된 무선 통신 단말 장치이고, 이것은 케이스, 금속계 표면 처리된 실드 케이스, 키 버튼 및 발광 소자가 장착된 프린트 기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실드 케이스 상에 수직으로 배치된 리브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인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공간 문제를 해결하고 더욱 개선된 발광 효율의 상기 키 버튼 조광 장치가 부착된 무선 통신 단말 장치를 제공케 하는데 효과적이다.
더욱이, 상기 무선통신단말장치에서, 상기 키 버튼은 현재 말하는 통화내용을 레코드하기 위해 음성 메모 작동이 필요할 때 동작되고, 이 때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음성 메모 작동의 시작에 점등이나 점멸 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발광 소자의 점등이나 점멸로 상기 음성 메모 작동의 시작을 알 수 있게 하는데 효과적이다.
더욱이, 상기 무선통신단말장치에서, 상기 키 버튼은 통화중에 지속적으로 점등, 점멸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발광소자의 점등이나 점멸로써 통화 작동중인 상태임을 통지하는데 효과적이다.
더 더욱, 상기 무선통신단말장치에서, 상기 키 버튼은 통화중에 지속적으로 점등이나 점멸하고 있기도 하지만, 현재 말하고 있는 대화 내용을 녹음하는 음성 메모 작동의 시작시 키버튼을 누름으로써 통화중의 점등이나 점멸과는 다른 방식으로 점등이나 점멸이 시작된다. 이러한 구성은 단 하나의 키 버튼으로 통화와 음성메모녹음의 두 개의 작동 상태를 각각 통지하는 것을 가능케 하는데 효과적이다.

Claims (9)

  1. 케이스, 금속계의 표면처리가 된 실드케이스, 키 버튼, 및 발광소자가 설치된 프린트기판을 포함하는 키버튼 구조용 키 버튼 조광 장치로서,
    상기 발광소자는 상기 실드케이스 상에 수직으로 배치된 리브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버튼 조광 장치.
  2. 케이스, 금속계의 표면처리가 된 실드케이스, 키버튼 및 발광소자가 설치된 프린트기판을 포함하는 키버튼 구조용 키 버튼 조광 장치로서,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프린트기판에 당접한 면이 완전히 밀착한 방식으로 상기 실드케이스 상에 수직으로 제공된 리브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버튼 조광 장치.
  3. 제 1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케이스상에 수직으로 제공된 상기 리브는 대략 타원형상으로 상기 발광소자를 둘러싸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버튼 조광 장치.
  4. 키 버튼 조광 장치로서,
    프린트기판, 상기 프린트기판 상에 설치된 발광소자, 키 버튼 상에 배치된 접점 부재를 누름으로써 동작되고 상기 발광소자의 양면 상에 인쇄 배선된 접점 패턴들의 스위치 작동을 위한 상기 키 버튼, 및 상기 발광 소자와 상기 접점 패턴들을 둘러싸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프린트 기판 상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상기 키버튼의 스커트부를 유지하기 위한 실드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실드케이스의 벽에 의하여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버튼 조광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케이스의 발광 소자로부터의 빛을 반사시키는 벽은 반사경 끝마무리를 위해 도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버튼 조광 장치.
  6. 케이스, 금속계의 표면 처리가 된 실드 케이스, 키 버튼 및 발광 소자가 설치된 프린트 기판을 포함하는 키 버튼 조광 장치가 부착된 무선 통신 단말 장치로서,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실드 케이스 상에 수직으로 배치된 리브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버튼 조광 장치가 부착된 무선 통신 단말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키버튼은 현재 말하는 통화내용을 녹음하기 위해 음성 메모 작동이 필요할 때 동작되고,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음성 메모 작동의 시작에 점등이나 점멸 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버튼 조광 장치가 부착된 무선 통신 단말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키 버튼은 통화중에 지속적으로 점등이나 점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버튼 조광 장치가 부착된 무선 통신 단말 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키 버튼은 통화중에 지속적으로 점등이나 점멸동작하는 이외에, 현재 대화 내용을 녹음하는 음성 메모 작동의 시작시 키버튼을 누름으로써 상기 통화중의 점등이나 점멸과는 다른 방식으로 점등이나 점멸이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버튼 조광 장치가 부착된 무선 통신 단말 장치.
KR1020000063300A 1999-10-26 2000-10-26 키 버튼 조광 장치 및 키 버튼 조광 장치가 부착된 무선통신 단말 장치 KR1006663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304597 1999-10-26
JP30459799A JP4282184B2 (ja) 1999-10-26 1999-10-26 キーボタン照光装置およびキーボタン照光装置付き無線通信端末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7358A true KR20010067358A (ko) 2001-07-12
KR100666362B1 KR100666362B1 (ko) 2007-01-09

Family

ID=17934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3300A KR100666362B1 (ko) 1999-10-26 2000-10-26 키 버튼 조광 장치 및 키 버튼 조광 장치가 부착된 무선통신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868259B1 (ko)
EP (1) EP1096841B1 (ko)
JP (1) JP4282184B2 (ko)
KR (1) KR100666362B1 (ko)
CN (1) CN1169334C (ko)
DE (1) DE60028502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38440B2 (en) 2010-09-14 2014-09-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Generating parser combination by combining language processing parser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09560A1 (en) * 2000-12-29 2004-06-10 Frank Nuovo Method of producing a telephone device
US20040077391A1 (en) * 2000-12-29 2004-04-22 Frank Nuovo Casing for a mobile telephone
US7375973B2 (en) * 2000-12-29 2008-05-20 Vertu Limited Casing for a communication device
US7830671B2 (en) * 2000-12-29 2010-11-09 Vertu Limited Casing
US7693557B2 (en) * 2000-12-29 2010-04-06 Nokia Corporation Method of producing a telephone device
JP4172968B2 (ja) * 2002-08-19 2008-10-29 ソニー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JP3827082B2 (ja) * 2002-10-24 2006-09-27 株式会社中川研究所 放送システム及び電球、照明装置
JP2005039037A (ja) * 2003-07-14 2005-02-10 Tanaka Kikinzoku Kogyo Kk 摺動子
US7345250B2 (en) 2003-10-23 2008-03-18 Nokia Corporation Keyboard with key supporting structure for portable electronics devices
JP4533786B2 (ja) * 2005-04-08 2010-09-01 株式会社ケンウッド ボタン防水構造
KR100754587B1 (ko) * 2006-03-03 2007-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의 키패드 어셈블리
KR100807157B1 (ko) 2006-03-28 2008-02-27 노키아 코포레이션 포터블 전자장치들을 위한 키지지구조를 가진 키보드
KR101243669B1 (ko) * 2006-10-18 2013-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US20100327774A1 (en) * 2009-06-30 2010-12-30 Duncan Robert Kerr Housing Illumination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8105206B2 (en) * 2009-06-30 2012-01-31 Crazy Train LLC Exercise machine
WO2011066647A1 (en) * 2009-12-03 2011-06-09 Omron Dualtec Automotive Electronics Inc. Electrical switch assembly comprising a 5-way toggle mechanism and illuminated flexible lay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52388A (ja) * 1984-05-29 1985-12-13 株式会社東芝 表示装置
JP2546535B2 (ja) * 1994-05-06 1996-10-23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機
KR970007438U (ko) * 1995-07-03 1997-02-21 전화기의 조광 버튼장치
US5661279A (en) * 1995-10-26 1997-08-26 Sunarrow Co., Ltd. Pushbutton switch
US5797482A (en) * 1996-11-25 1998-08-25 Metro-Mark, Inc. Electroluminescent keypad
JP2001119458A (ja) * 1999-10-19 2001-04-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無線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38440B2 (en) 2010-09-14 2014-09-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Generating parser combination by combining language processing pars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96841A2 (en) 2001-05-02
US6868259B1 (en) 2005-03-15
JP2001126567A (ja) 2001-05-11
DE60028502D1 (de) 2006-07-20
KR100666362B1 (ko) 2007-01-09
JP4282184B2 (ja) 2009-06-17
CN1169334C (zh) 2004-09-29
EP1096841B1 (en) 2006-06-07
DE60028502T2 (de) 2006-10-19
CN1294461A (zh) 2001-05-09
EP1096841A3 (en) 2002-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6362B1 (ko) 키 버튼 조광 장치 및 키 버튼 조광 장치가 부착된 무선통신 단말 장치
KR100697156B1 (ko) 외부 장식 덮개
KR20000056837A (ko) 조명램프를 가지는 휴대용 무선전화기
EP1294161B1 (en) Electronic device
EP3591498B1 (en) Camera decoration frame and mobile terminal
WO2002103442A1 (en) Electronic appliance
GB2332119A (en) Antenna unit for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incorporates a visual call warning device
JP3269996B2 (ja) 携帯無線電話機
JP3746985B2 (ja) 携帯機器のキー照明構造
US6926451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light accessory port
JP2002239197A (ja) 遊技機
KR100392380B1 (ko) 스위칭기능이 부가된 단말기의 점멸장치
JP2008054137A (ja) 通信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1292206A (ja) 携帯型無線通信装置
JPH0595395A (ja) 携帯無線電話装置
JP3877515B2 (ja) 携帯電話機
KR200356015Y1 (ko) 램프 기능이 구비된 휴대폰용 목걸이
KR100315676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착신램프 장치
KR20020032677A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키패드 어셈블리를 위한 백라이팅장치
KR20010056623A (ko) 휴대폰의 이어피스 착신램프
KR200296695Y1 (ko) 점등기능을 갖는 핸드폰
KR920011069B1 (ko) 무선전화기에서 다이알시 키패드 점등방법
KR200392048Y1 (ko) 핸드폰 연결용 전화기
KR20030061483A (ko) 비상등을 가지는 휴대용 무선전화기
KR20030028036A (ko) 발광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