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6623A - 휴대폰의 이어피스 착신램프 - Google Patents

휴대폰의 이어피스 착신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6623A
KR20010056623A KR1019990058171A KR19990058171A KR20010056623A KR 20010056623 A KR20010056623 A KR 20010056623A KR 1019990058171 A KR1019990058171 A KR 1019990058171A KR 19990058171 A KR19990058171 A KR 19990058171A KR 20010056623 A KR20010056623 A KR 20010056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mobile phone
earpiece
incoming
cas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8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상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58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56623A/ko
Publication of KR20010056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662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8Arrangements providing optical indication of the incoming call, e.g. flasher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휴대폰의 무선신호 착신상태를 이어피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는 휴대폰의 이어피스 착신램프에 관한 것이다. 상기 휴대폰의 이어피스 착신램프는 상기 휴대폰의 인쇄회로기판을 내장하는 휴대폰 케이싱 프레임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회로적으로 연결되며 착신에 따라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빛을 발산하는 착신램프와, 상기 휴대폰 케이싱 프레임의 내측 일면에 장착되어 상기 착신램프를 지지하는 착신램프 홀더와, 상기 휴대폰 케이싱 프레임에 상기 착신램프와 대응되게 설치되어 상기 착신램프의 빛을 상기 휴대폰의 외부로 확산시키는 이어피스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Description

휴대폰의 이어피스 착신램프{EAR-PIECE RECEIVING LAMP IN MOBILE PHONE}
본 발명은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폰의 착신램프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폰(10)에는 착신상태를 사용자에게 통보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신램프(12)가 설치된다. 사용자는 벨소리나 진동뿐만 아니라 이러한 착신램프(12)와 벨소리에 의해 착신상태를 인지하게 된다.
상기 착신램프(12)는 일반적으로 휴대폰(10)내의 인쇄회로기판상에 설치된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한다. 발광다이오드에서 발산된 빛은 리플렉터를 통과하여 산란된 후, 외부로 발산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휴대폰은 착신램프의 장착 위치에 따라 케이싱 프레임의 생산원가나 조립 공정이 증가되며, 종래의 케이싱 프레임은 발광다이오드에서 발산되는 빛을 모아주는 구조를 만들어 주어야 했기 때문에 금형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착신램프의 장착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휴대폰의 이어피스 착신램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폰의 램프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의 인쇄회로기판을 내장하는 휴대폰 케이싱 프레임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회로적으로 연결되며 착신에 따라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빛을 발산하는 착신램프와, 상기 휴대폰 케이싱 프레임의 내측 일면에 장착되어 상기 착신램프를 지지하는 착신램프 홀더와, 상기 휴대폰 케이싱 프레임에 상기 착신램프와 대응되게 설치되어 상기 착신램프의 빛을 상기 휴대폰의 외부로 확산시키는 이어피스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착신램프가 장착된 종래의 휴대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피스 착신램프가 장착된 휴대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피스 착신램프의 구성을 도시한 휴대폰의 부분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으나, 이들 특정 상세들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그들에 한정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피스 착신램프가 장착된 휴대폰(20)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20)의 이어피스 착신램프의 구성을 도시한 휴대폰(20)의 부분 절개도이다. 도 2는 플립타입 휴대폰에 본 발명의 이어피스 착신램프를 적용한 예로서, 상기 플립타입 휴대폰(20)은 통상적으로 휴대폰(20) 본체 최상단에 안테나부(10)가 위치하고, 상기 안테나부(10) 하측으로 스피커(SPK)(26)를 포함하는 이어피스(22)가 위치하며, 상기 이어피스(22) 하측에 표시장치인 LCD(Liquid Crystal Display)(12)가 위치한다. 그리고, LCD(12) 하측으로 다수개의 키를 포함하는 키패드(도시되지 않음)가 위치하며, 휴대폰(20) 본체의 최하단에 마이크(MIC)장치가 위치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20)에는 착신상태를 사용자에게 통보하기 위하여 채용되는 종래의 착신램프 기능이 부가된 이어피스(22)가 설치된다. 상기 이어피스(22)에 내장되는 착신램프(32)는 통상적으로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며, 상기 이어피스(22)는 상기 착신램프(32)로부터 발산되는 광원을 외부로 확산시키도록 반투명 아크릴 재질로 구성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 사용자는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착신램프(32)의 점등상태를 보고 상기 휴대폰(20)의 무선신호 수신 상태를 인지하게 된다. 휴대폰(20)은 발신측으로부터 호출신호가 착신되고 있음을 알리기 위해 착신램프(32)를 점등시킨다. 여기서 본 발명의 착신램프(32) 점등상태 제어방법은 통상적인 휴대폰과 동일하다.
상기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이어피스 착신램프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SPK)(26)를 포함하는 이어피스(22)는 통화시에 사용자의 귀와 접촉하는 부분이며, 이러한 이어피스(22)의 내부에는 스피커(26)가 위치된다. 상기 스피커(26)의 와이어(27)는 휴대폰(20) 본체에 내장된 인쇄회로기판(24)의 오디오회로에 연결된다. 상기 스피커(26)는 원통형의 스피커 홀더(28)에 끼워져 결합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26) 하부에 착신램프(32)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착신램프(32)의 장착위치는 다양한 설계변경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20)의 이어피스 착신램프는 휴대폰 케이싱 프레임(34)과, 상기 휴대폰 케이싱 프레임(34)에 설치되어 착신램프(32)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외부로 확산시키는 이어피스(22)와, 상기 휴대폰 케이싱 프레임(22)의 소정위치에 구비되는 착신램프 홀더(30)와, 상기 착신램프를 인쇄회로기판(24)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하네스(36)로 구성된다. 상기 착신램프 홀더(30)는 상기 착신램프(32)를 감싸 발산되는 빛을 이어피스(22)외부로 확산시키며, 외부 충격으로부터 강하게 저항할 수 있도록 탄성재질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예를 들어 상기 착신램프의 장착위치를 달리하거나 상기 이어피스의 재질을 투명한 소재로 설계 변경하여 착신램프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신램프의 빛을 상기 휴대폰에 수신되는 호출신호에 따라 다르게 하여 상기 착신램프의 색깔로 상기 휴대폰에 수신되는 호출신호를 구분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임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이어피스 착신램프는 휴대폰 외부 케이스에 노출되지 않으며, 착신램프의 실장공간을 최소화하고, 휴대폰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고, 휴대폰의 조립성이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휴대폰 케이스의 제작시 소요되는 금형비용을 절감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휴대폰의 램프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의 인쇄회로기판을 내장하는 휴대폰 케이싱 프레임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회로적으로 연결되며 착신에 따라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빛을 발산하는 착신램프와,
    상기 휴대폰 케이싱 프레임의 내측 일면에 장착되어 상기 착신램프를 지지하는 착신램프 홀더와,
    상기 휴대폰 케이싱 프레임에 상기 착신램프와 대응되게 설치되어 상기 착신램프의 빛을 상기 휴대폰의 외부로 확산시키는 이어피스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이어피스 착신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피스의 내부에는 원통형의 스피커 홀더에 끼워지는 스피커가 결합되며, 상기 스피커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오디오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이어피스 착신램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피스는 상기 착신램프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상기 외부로 확산시키도록 반투명 아크릴 재질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이어피스 착신램프.
KR1019990058171A 1999-12-16 1999-12-16 휴대폰의 이어피스 착신램프 KR200100566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8171A KR20010056623A (ko) 1999-12-16 1999-12-16 휴대폰의 이어피스 착신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8171A KR20010056623A (ko) 1999-12-16 1999-12-16 휴대폰의 이어피스 착신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6623A true KR20010056623A (ko) 2001-07-04

Family

ID=19626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8171A KR20010056623A (ko) 1999-12-16 1999-12-16 휴대폰의 이어피스 착신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5662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231B1 (ko) * 2011-02-28 2012-04-05 황규봉 휴대용 단말기의 플래쉬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231B1 (ko) * 2011-02-28 2012-04-05 황규봉 휴대용 단말기의 플래쉬 장치
WO2012118291A2 (ko) * 2011-02-28 2012-09-07 Hwang Gyoo-Bong 휴대용 단말기의 플래쉬 장치
WO2012118291A3 (ko) * 2011-02-28 2012-11-01 Hwang Gyoo-Bong 휴대용 단말기의 플래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77782B2 (ja) 携帯端末用のキーパッドアセンブリ
EP1294161B1 (en) Electronic device
CN1738326A (zh) 便携式终端装置
KR100666362B1 (ko) 키 버튼 조광 장치 및 키 버튼 조광 장치가 부착된 무선통신 단말 장치
GB2332119A (en) Antenna unit for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incorporates a visual call warning device
JP3746985B2 (ja) 携帯機器のキー照明構造
KR20010056623A (ko) 휴대폰의 이어피스 착신램프
JP4980570B2 (ja) 電子機器及び照光部材
JP4496963B2 (ja) 携帯通信機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315676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착신램프 장치
KR20160107968A (ko) 스마트폰의 발광케이스
JP2001292206A (ja) 携帯型無線通信装置
JPH0346608Y2 (ko)
KR200296695Y1 (ko) 점등기능을 갖는 핸드폰
KR200356015Y1 (ko) 램프 기능이 구비된 휴대폰용 목걸이
KR100286433B1 (ko) 유선전화기
KR200266091Y1 (ko) 이엘 시트(el sheet)가 장착되어 있는 휴대폰 악세서리
KR100392380B1 (ko) 스위칭기능이 부가된 단말기의 점멸장치
KR200243639Y1 (ko) 장식용 발광체를 갖는 핸즈프리
KR200226363Y1 (ko) 액자형 송신기를 이용한 휴대용 무선 핸즈프리
KR200268093Y1 (ko) 유/무선 전화기의 다기능 안테나
KR200227903Y1 (ko)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마이크 안테나 장치
KR20000016593U (ko) 랜턴기능을 가지는 휴대폰
JP2007259254A (ja) 電話機
KR100356200B1 (ko) 휴대폰용 통화상태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