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3231B1 - 휴대용 단말기의 플래쉬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플래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3231B1
KR101133231B1 KR1020110017715A KR20110017715A KR101133231B1 KR 101133231 B1 KR101133231 B1 KR 101133231B1 KR 1020110017715 A KR1020110017715 A KR 1020110017715A KR 20110017715 A KR20110017715 A KR 20110017715A KR 101133231 B1 KR101133231 B1 KR 101133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amp
headset jack
turned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7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규봉
Original Assignee
황규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규봉 filed Critical 황규봉
Priority to KR1020110017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3231B1/ko
Priority to PCT/KR2012/001330 priority patent/WO2012118291A2/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3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3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G06F9/44568Immediately runnable code
    • G06F9/44584Portable applications, i.e. making applications self-contained, e.g. U3 stand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03Built-in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플래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램프부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의 플래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플래쉬 장치는 본체부, 본체부의 일면에 배치되어 본체부에서 제공하는 전기신호를 음원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출력장치를 삽입할 수 있는 헤드셋잭부, 헤드셋잭부의 하단에 배치되되 본체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헤드셋잭부를 통해 외부로 발광하는 램프부 및 램프부를 턴 온하거나 턴 오프되도록 제어하는 램프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플래쉬 장치{A Device of Flashlight through the Headset Jack of Portable Terminal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플래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램프부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의 플래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의 플래쉬 장치인 이동통신 단말기 및 각종 휴대용 오디오 기기 등에 연결되는 이어폰 잭에는 이어폰만 삽입하여 사용하였다.
이와 같이, 이어폰 잭에 이어폰만 삽입하여 사용함으로써, 공간에 대한 활용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헤드셋잭부의 하단에 램프부를 형성하여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동시에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플래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플래쉬 장치는 본체부, 본체부의 일면에 배치되어 본체부에서 제공하는 전기신호를 음원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출력장치를 삽입할 수 있는 헤드셋잭부, 헤드셋잭부의 하단에 배치되되 본체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헤드셋잭부를 통해 외부로 발광하는 램프부 및 램프부를 턴 온하거나 턴 오프되도록 제어하는 램프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헤드셋잭부는 출력장치가 외부에서 삽입되거나 배출되는 삽입부, 삽입부의 하단에 배치되며, 출력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본체부에서 제공하는 전기신호를 출력장치에 전달하는 신호연결부 및 삽입부의 하단에 배치되어 램프부에서 발광하는 빛을 외부로 반사하는 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램프부는 제1 램프 내지 제3 램프를 포함하고, 제1 램프는 붉은 빛을 발광하는 RED 발광 다이오드로 형성되고, 제2 램프는 녹색 빛을 발광하는 GREEN 발광 다이오드로 형성되고, 제3 램프는 푸른 빛을 발광하는 BLUE 발광 다이오드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램프제어부는 램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본체부의 일면에 배치되며 소정의 높이로 본체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버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버튼부는 한번 클릭하면 램프부가 턴 온되며, 램프부가 턴 온된 이후에 한번 클릭할 때마다 램프부가 서로 다른 빛으로 발광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램프부가 턴 온된 상태에서 버튼부를 길게 클릭하면 램프부가 턴 오프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헤드셋잭부는 삽입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출력장치가 삽입부로부터 배출된 이후 또는 램프부가 발광하지 않을 경우에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마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버튼부를 통해 램프부가 턴 온되면, 본체부에 형성된 터치스크린에서 라이트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라이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램프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플래쉬 장치는 헤드셋잭부의 하단에 램프부를 형성함으로써, 제품의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플래쉬 장치는 헤드셋잭부의 하단에 램프부를 형성하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램프로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색으로 발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플래쉬 장치는 헤드셋잭부의 하단에 램프부를 형성하되, 반사부를 이용함으로써, 적은 전원으로도 광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플래쉬 장치는 헤드셋잭부에 마개부를 포함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할 수 있어 이물질에 의한 오동작과 이물질에 의해 난반사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플래쉬 장치는 다양한 색으로 발광함으로써, 제품의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플래쉬 장치에 관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플래쉬 장치를 블럭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헤드셋잭부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램프부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램프부에서 발광되는 빛이 헤드셋잭부를 관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플래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마개부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라이트 어플리케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플래쉬 장치에 관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플래쉬 장치를 블럭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플래쉬 장치(1000)는 본체부(100), 헤드셋잭부(200), 램프부(300) 및 램프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본체부(100)는 소정의 두께와 크기를 가지면서 형성하되 리시버(130), 카메라(140), 볼륨 버튼(160,170), 링/사일런트 스위치(150), 홈버튼(120), 슬립/웨이크 버튼, 터치스크린(110), 마이크로폰(180) 등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체부(100)의 내부에는 리시버(130), 카메라(140), 볼륨 버튼(160,170), 링/사일런트 스위치(150), 홈버튼(120) 슬립/웨이크 버튼, 터치스크린(110), 마이크로폰(180) 등을 동작시킬 수 있는 카메라 제어장치, 터치스크린 제어장치, 버튼/스위치제어장치 및 프로그램 제어장치(101)들이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치되며,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03)가 배치될 수 있다.
헤드셋잭부(200)는 본체부(100)의 일면에 배치되어 본체부(100)에서 제공하는 전기신호를 음원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출력장치(미도시)를 삽입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헤드셋잭부(200)는 본체부(100)의 일면에 배치되되 일부 영역은 외부로 노출되고, 그외 나머지 영역은 본체부(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다. 여기서 출력장치가 헤드셋잭부(200)에 삽입됨으로써, 출력장치와 헤드셋잭부(200)가 물리적으로 연결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부(100)에서 제공하는 전기신호를 헤드셋잭부(200)를 통해 출력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출력장치는 이어폰, 해드폰, 휴대용 스피커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램프부(300)는 헤드셋잭부(200)의 하단에 배치되되 본체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헤드셋잭부(200)를 통해 외부로 발광하는 것이다. 이러한 램프부(3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LED)를 포함하며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램프제어부(400)는 램프부(300)를 턴 온(Turn on)하거나 턴 오프(Turn off)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이러한 램프제어부(400)는 본체부(100)의 내부에 배치되며, 램프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이때 램프제어부(400)는 본체부(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프로그램 제어장치(1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110)을 통해 전달되는 신호를 통해 램프부(300)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램프제어부(400)는 램프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본체부(100)의 일면에 배치되며 소정의 높이로 본체부(10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버튼부(4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버튼부(410)를 동작하여 램프부(300)를 더욱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헤드셋잭부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헤드셋잭부(200)는 본체부(100)의 일면에 배치되어 본체부(100)에서 제공하는 전기신호를 음원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출력장치를 삽입할 수 있으며, 삽입부(210), 신호연결부(192)(230a,230b,230c,230d) 및 반사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삽입부(210)는 출력장치가 외부에서 삽입되거나 배출되는 것이다. 이러한 삽입부(210)는 출력장치가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홈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출력장치는 플러그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이러한 플러그가 삽입부(210)에 삽입되는 것이다. 삽입부(210)의 반지름은 삽입되는 출력장치 중 플러그의 반지름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신호연결부(192)(230a,230b,230c,230d)는 삽입부(210)의 하단에 배치되며, 출력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본체부(100)에서 제공하는 전기신호를 출력장치에 전달하는 것이다. 이러한 신호연결부(192)(230a,230b,230c,230d)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신호연결부(192)(230a,230b,230c,230d)는 삽입부(210)를 통해 삽입된 출력장치의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러한 플러그는 제1 극부, 제2 극부, 제3 극부 및 제4 극부로 이루질 수 있다. 이때, 제1 극부는 접지부(GND) 역할을 하며 신호연결부(192)(230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극부는 스피커와 접속되어 출력장치의 오른쪽에 음원이 출력되도록 하고 신호연결부(192)(230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3 극부는 스피커와 접속되어 출력장치의 왼쪽에 음원이 출력되도록 하고 신호연결부(192)(230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4 극부는 콘덴서 마이크와 접속되고 신호연결부(192)(230d)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신호연결부(192)(230a,230b,230c,230d)는 플러그에 형성된 제1 극부, 제2 극부, 제3 극부 및 제4 극부에 대응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반사부(250)는 삽입부(210)의 하단에 배치되어 램프부(300)에서 발광하는 빛을 외부로 반사하는 것이다. 이러한 반사부(2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반사부(250)는 신호연결부(192)(230a,230b,230c,230d)와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반사부(250)가 신호연결부(192)(230a,230b,230c,230d)와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됨으로써, 램프부(300)에서 발광하는 빛을 외부로 더 많이 반사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헤드셋잭부(200)는 삽입부(210), 신호연결부(192)(230a,230b,230c,230d) 및 반사부(250)로 구성되어 램프부(300)에서 발광하는 빛을 반사하여 관통시킴으로써, 적은 광량으로도 빛을 효율적으로 집중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램프부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램프부에서 발광되는 빛이 헤드셋잭부를 관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램프부(3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램프로 구성되는 것이다.
램프부(300)는 제1 램프(310) 내지 제3 램프(330)를 포함하는 것이다.
제1 램프(310)는 적색 빛을 발광하는 RED 발광 다이오드로 형성되고, 제2 램프(320)는 녹색 빛을 발광하는 GREEN 발광 다이오드로 형성되고, 제3 램프(330)는 청색 빛을 발광하는 BLUE 발광 다이오드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제1 램프(310), 제2 램프(320) 및 제3 램프(330)는 서로 이웃하며 배치되며, 동시에 동작하거나 순차적으로 동작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램프부(3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램프를 포함하되 다양한 색을 가지는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됨으로써, 발광되는 빛의 색깔을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램프부(300)를 통해 발광되는 빛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는 반사부(250)를 통해 적어도 한번 이상 반사되어 외부로 발광하며, 나머지는 반사부(250)에 반사되지 않고 외부로 발광하는 것이다.
즉, 램프부(300)에서 발광된 일부 빛이 헤드셋잭부(200)에 배치되는 반사판을 통해 적어도 한번 이상 반사됨으로써, 램프부(300)에서 발광하며 분산되는 빛을 한 곳으로 집중하여 비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량에 대한 효율도 개선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빛을 한곳으로 집중적으로 비춤으로써, 먼 거리까지 효율적으로 조명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플래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플래쉬 장치(1000)에서 버튼부(410)를 이용하여 램프부(300)가 동작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즉, 본체부(100)의 일면에 배치되며, 소정의 높이로 본체부(10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버튼부(410)를 클릭(Click)하여 램프부(300)를 제어하는 것이다.
먼저, 사용자가 버튼부(410)를 한번 클릭(Click)하면 램프부(300)가 턴 온(Turn on)되는 것이다. 이때 제1 램프(310), 제2 램프(320), 제3 램프(330)가 모두 턴 온(Turn on)됨으로써, 헤드셋잭부(200)를 통해 흰색 빛이 발광되는 것이다. 즉, RED 발광 다이오드, GREEN 발광 다이오드 및 BLUE 발광 다이오드가 모두 턴 온(Turn on)되기 때문에 흰색 빛이 발광되는 것이다.
이후, 램프부(300)가 턴 온(Turn on)된 상태에서 버튼부(410)를 한번 더 클릭(Click)하면, 제1 램프(310)는 턴 온(Turn on)된 상태를 유지하고, 제2 램프(320)와 제3 램프(330)가 턴 오프(Turn off)됨으로써, 헤드셋잭부(200)를 통해 적색 빛이 발광되는 것이다. 즉, RED 발광 다이오드만 턴 온(Turn on)되고, 나머지 GREEN 발광 다이오드와 BLUE 발광 다이오드가 턴 오프(Turn off)되기 때문에 적색 빛이 발광되는 것이다.
이후, 램프부(300)가 턴 온(Turn on)된 상태에서 버튼부(410)를 한번 더 클릭(Click)하면, 제1 램프(310)는 턴 오프(Turn off)되고, 제2 램프(320)는 턴 온(Turn on)되고, 제3 램프(330)는 턴 오프(Turn off)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헤드셋잭부(200)를 통해 녹색 빛이 발광되는 것이다. 즉, GREEN 발광 다이오드만 턴 온(Turn on)되고, 나머지 BLUE 발광 다이오드와 RED 발광 다이오드가 턴 오프(Turn off)되기 때문에 녹색 빛이 발광되는 것이다.
이후, 램프부(300)가 턴 온(Turn on)된 상태에서 버튼부(410)를 한번 더 클릭(Click)하면, 제1 램프(310)는 턴 오프(Turn off)된 상태를 유지하고, 제2 램프(320)는 턴 오프(Turn off)되고, 제3 램프(330)는 턴 온(Turn on)됨으로써, 헤드셋잭부(200)를 통해 청색 빛이 발광되는 것이다. 즉, BLUE 발광 다이오드만 턴 온(Turn on)되고, 나머지 RED 발광 다이오드와 GREEN 발광 다이오드가 턴 오프(Turn off)되기 때문에 청색 빛이 발광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램프부(300)는 서로 다른 색의 빛을 발광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램프부(300)가 턴 온(Turn on)된 상태에서 버튼부(410)를 길게 클릭(Click)하면 램프부(300)가 턴 오프(Turn off)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부(410)를 길게 클릭(Click)하면 제1 램프(310), 제2 램프(320), 제3 램프(330)는 일정한 시간동안 턴온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일정한 시간동안 계속해서 버튼부(410)가 클릭(Click)된 상태가 유지되고 있으면 제1 램프(310), 제2 램프(320), 제3 램프(330)는 모두 턴 오프(Turn off)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램프부(300)가 턴 오프(Turn off)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마개부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헤드셋잭부(200)는 마개부(190)를 구성할 수 있다.
헤드셋잭부(200)는 삽입부(210)의 상단에 형성되어 출력장치가 삽입부(210)로부터 배출된 이후 또는 램프부(300)가 발광하지 않을 경우에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마개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마개부(190)는 마개부(190)의 하단에 형성되되 일정한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191)를 포함하고 이러한 돌출부(191)는 삽입부(210)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이다. 헤드셋잭부(200)가 배치되는 본체부(100)의 일면에 형성되며, 연결부(192)를 통해 본체부(100)와 체결되는 것이다.
도 7의 (a)는 마개부(190)가 헤드셋잭부(2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마개부(190)는 헤드셋잭부(200)와 분리되되, 본체부(100)와는 연결부(192)에 의해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마개부(190)는 마개부(190)의 상단에 배치되는 마개꼭지(193)를 이용하여 마개부(190)를 헤드셋잭부(2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개부(190)가 헤드셋잭부(200)와 분리되면 출력장치가 삽입부(210)에 삽입하거나 램프부(300)가 발광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의 (b)는 마개부(190)가 헤드셋잭부(200)에 체결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마개부(190)가 헤드셋잭부(200)에 체결되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할 수 있다. 이물질이 헤드셋잭부(200)에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함으로써, 반사부(250)와 램프부(300)에 이물질이 형성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램프부(300)에서 발광하는 빛을 더욱 선명하게 발광시킬 수 있다.
또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함으로써, 이물질에 의해 신호연결부(192)(230a,230b,230c,230d)와 헤드셋잭부(200) 간에 발생할 수 있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동시에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라이트 어플리케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8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버튼부(410)를 통해 램프부(300)가 턴 온(Turn on)되면, 본체부(100)에 형성된 터치스크린(110)에서 라이트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이다.
즉, 버튼부(410)가 클릭(Click)되면 램프부(300)가 턴 온(Turn on)되고, 터치스크린(110)에 라이트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터치스크린(110)에 라이트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되면 사용자는 버튼부(410) 뿐만 아니라 라이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램프부(300)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라이트 어플리케이션은 휴대용 라이트(111)로 형성되며, 휴대용 라이트(111)에는 램프부(300)를 턴 온(Turn on) 또는 턴 오프(Turn off)시킬 수 있는 전원터치부(112)와 램프부(300)를 깜빡거리게 할 수 있는 깜빡이터치부(116)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라이트(111)의 일측 공간에는 제1 램프(310)를 턴 온(Turn on) 시킬 수 있는 적색터치부(113), 제2 램프(320)를 턴 온(Turn on) 시킬 수 있는 녹색터치부(114), 제3 램프(330)를 턴 온(Turn on) 시킬 수 있는 청색터치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라이트(111)의 타측 공간에는 본체부(110)의 배터리(103)의 용량을 디스플레이하는 배터리부(117)가 형성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라이트 어플레케이션은 도 8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터치부를 형성하여 램프부(300)를 빠르고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본체부 101: 프로그램 제어장치
103: 배터리 110: 터치스크린
111: 휴대용 라이트 112: 전원터치부
113: 적색터치부 114: 녹색터치부
115: 청색터치부 116: 깜빡이터치부
117: 배터리부 120: 홈버튼
130: 리시버 140: 카메라
150: 링/사일런트 스위치 160,170: 볼륨 버튼
180: 마이크로폰 190: 마개부
191: 돌출부 192: 연결부
193: 마개꼭지 200: 헤드셋잭부
210: 삽입부 230a,230b,230c,230d: 신호연결부
250: 반사부 300: 램프부
310: 제1 램프 320: 제2 램프
330: 제3 램프 400: 램프제어부
410: 버튼부

Claims (9)

  1.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부에서 제공하는 전기신호를 음원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출력장치를 삽입할 수 있는 헤드셋잭부;
    상기 헤드셋잭부의 하단에 배치되되 상기 본체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상기 헤드셋잭부를 통해 외부로 발광하는 램프부; 및
    상기 램프부를 턴 온하거나 턴 오프되도록 제어하는 램프제어부;
    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플래쉬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셋잭부는
    상기 출력장치가 외부에서 삽입되거나 배출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출력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에서 제공하는 상기 전기신호를 상기 출력장치에 전달하는 신호연결부; 및
    상기 삽입부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램프부에서 발광하는 빛을 외부로 반사하는 반사부;
    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플래쉬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부는 제1 램프 내지 제3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램프는 적색 빛을 발광하는 RED 발광 다이오드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램프는 녹색 빛을 발광하는 GREEN 발광 다이오드로 형성되고, 상기 제3 램프는 청색 빛을 발광하는 BLUE 발광 다이오드로 형성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플래쉬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제어부는 상기 램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 배치되며 소정의 높이로 상기 본체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버튼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플래쉬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한번 클릭하면 상기 램프부가 턴 온되며, 상기 램프부가 턴 온된 이후에 한번 클릭할 때마다 상기 램프부가 서로 다른 빛으로 발광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플래쉬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부가 턴 온된 상태에서 상기 버튼부를 길게 클릭하면 상기 램프부가 턴 오프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플래쉬 장치.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셋잭부는
    상기 삽입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출력장치가 상기 삽입부로부터 배출된 이후 또는 상기 램프부가 발광하지 않을 경우에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마개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플래쉬 장치.
  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를 통해 상기 램프부가 턴 온되면, 상기 본체부에 형성된 터치스크린에서 라이트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플래쉬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라이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램프부를 제어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플래쉬 장치.
KR1020110017715A 2011-02-28 2011-02-28 휴대용 단말기의 플래쉬 장치 KR101133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715A KR101133231B1 (ko) 2011-02-28 2011-02-28 휴대용 단말기의 플래쉬 장치
PCT/KR2012/001330 WO2012118291A2 (ko) 2011-02-28 2012-02-22 휴대용 단말기의 플래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715A KR101133231B1 (ko) 2011-02-28 2011-02-28 휴대용 단말기의 플래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3231B1 true KR101133231B1 (ko) 2012-04-05

Family

ID=46143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7715A KR101133231B1 (ko) 2011-02-28 2011-02-28 휴대용 단말기의 플래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33231B1 (ko)
WO (1) WO2012118291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47836A1 (ko) * 2014-09-23 2016-03-31 크레신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
WO2016175434A3 (ko) * 2015-04-29 2016-12-22 (주)하이소닉 휴대단말기용 발광 액세서리 및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발광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6623A (ko) * 1999-12-16 2001-07-04 윤종용 휴대폰의 이어피스 착신램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6593U (ko) * 1999-02-04 2000-09-25 허주원 랜턴기능을 가지는 휴대폰
KR100398473B1 (ko) * 2003-03-07 2003-09-19 김성수 조명램프를 갖는 휴대용 이동통신기기
KR200317844Y1 (ko) * 2003-03-25 2003-06-27 서희조 후레쉬 겸용 핸드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6623A (ko) * 1999-12-16 2001-07-04 윤종용 휴대폰의 이어피스 착신램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47836A1 (ko) * 2014-09-23 2016-03-31 크레신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
WO2016175434A3 (ko) * 2015-04-29 2016-12-22 (주)하이소닉 휴대단말기용 발광 액세서리 및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발광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18291A2 (ko) 2012-09-07
WO2012118291A3 (ko) 201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64457B2 (ja) 照明装置及びこれを含む照明制御システム
RU2631663C2 (ru)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адаптируемого осветительного блока, предназначенные для того, чтобы принимать данные управления от внешнего источника
US9112958B2 (en) Wireless headset and battery status indication method thereof
US20170187154A1 (en) Apparatus configured to provide to a light socket, a power outlet for a consumer electronics device
KR101516662B1 (ko) 휴대용 led 조명기구
US8797174B2 (en) Extension cord with environmental condition sensing ability
EP3352530A1 (en) Automatic light control devices and sockets
US9832297B2 (en) Device including interface
KR10113323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플래쉬 장치
CN112511944B (zh) 多功能耳机充电盒
TW201616493A (zh) 動態隨機存取記憶體發光控制系統
TW201616494A (zh) 固態硬碟發光控制系統
KR20160121241A (ko) 멀티기능이 구비된 무드등
US11651774B2 (en) LED light with replaceable module and intelligent connectivity
WO2016011890A1 (zh) 智能灯泡
JP3181918U (ja) 発光アセンブリ及びこれを備えた移動通信装置
KR20110050142A (ko) Led 스탠드
CN205299201U (zh) 一种变色灯串
US8405315B2 (en) Energy-saving lamp
TWI576697B (zh) 動態隨機存取記憶體發光控制系統
CN210629560U (zh) 一种电子设备
TWM448860U (zh) 背部帶有發光裝飾燈發光方式可調節的電視機
JP7108939B2 (ja) 照明装置
TWI630479B (zh) Pci-e插排發光控制系統
KR101483761B1 (ko) 스마트폰 발광 충전 케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