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7294A - 기록 및 재생장치 및 방법, 단말장치, 송수신 방법 및기억매체 - Google Patents

기록 및 재생장치 및 방법, 단말장치, 송수신 방법 및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7294A
KR20010067294A KR1020000058670A KR20000058670A KR20010067294A KR 20010067294 A KR20010067294 A KR 20010067294A KR 1020000058670 A KR1020000058670 A KR 1020000058670A KR 20000058670 A KR20000058670 A KR 20000058670A KR 20010067294 A KR20010067294 A KR 20010067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nformation
storage medium
server
additio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8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5801B1 (ko
Inventor
쿠마가이타카시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20010067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7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5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58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22Electronic editing of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28Electronic editing of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with computer assistanc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4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1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not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03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radio receiv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2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3Read-only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25Magneto-optical [MO]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60Solid state media
    • G11B2220/61Solid state media wherein solid state memory is used for storing A/V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장된 기록매체 내에서 CD로부터 저장되고 복사된 많은 양의 음악데이터에 대한 검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뮤직서버는 내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내에서 CD로부터 재생된 많은 양의 음악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음악데이터를 기록할 때, 각 CD의 콘텐츠테이블(TOC) 정보가 CD로부터 독출되고 HDD에 기록되며, 동시에 연결라인을 통해 퍼스널컴퓨터로 보내진다. 퍼스널컴퓨터에는 CD-ROM 형태의 CD엘범정보 데이터베이스가 제공된다. 퍼스널컴퓨터 내에는, 전송된 TOC정보의 총 연주시간과 각 드라이브의 시간정보에 기초하여, 그 CD가 CD-ROM 상의 데이터베이스의 어느 쪽의 CD에 해당하는지가 검색된다. 이 검색결과가 서버에 전송된다. 서버에는, 관리데이터베이스에 의해 해당TOC정보와 관련된 HDD에 기록되며, CD앨범정보를 표시시키거나, CD앨범정보에 기초하여 재생한 음악CD의 선택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기록 및 재생장치 및 방법, 단말장치, 송수신 방법 및 기억매체{Recording and playback apparatus and method, terminal device, transmitting receiv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장치에 내장된 기록 또는 기록매체에 다수, 기억 또는 기록된 음악데이터의 검색을 용이하게 실시하도록 한 기록재생장치 및 방법, 단말장치, 송수신방법, 및 기억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다수의 CD(Compact Disc)를 수납하고, CD의 자동재생을 행하도록 된 소위 CD 체인저가 실용화되어 있다. 이 CD체인저에는 수십장 내지 수백장의 CD를 하나의 하우징에 수납하고, 소정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 CD의 재생을 자동적으로 실행한다. CD의 재생은 CD 마다 행할 수도 있으며, 복수장의 CD를 선택하여, CD단위 혹은 수록되어 있는 곡 단위로 랜덤재생을 행할 수도 있다. 이 CD체인저는 주로 고정적으로 즉 실내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이 CD체인저에서는, 자동재생 할 경우에도, CD의 교환시간이 생기기 때문에, 연속재생을 실현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또, 100장이나 200장의 CD를 수납하도록 한 CD체인저는 하우징이 크고, 또한 무겁기 때문에, 들고 운반하거나 설치하는데 매우 불편하였다.
그래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비교적 소형으로 기록용량이 큰 하드디스크드라이브 등의 기록매체를 이용한 오디오서버가 제안되었다. 오디오서버에서는 CD에 기록되어 있는 오디오데이터를 독출하고, 독출된 오디오데이터를 소정의 방법으로 압축부호화한다. 이 압축된 데이터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에 기록 및 축적된다. 6기가바이트 정도의 기록용량을 갖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를 이용함으로써, 1000곡 정도의 악곡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오디오서버에서는 상술한 CD체인저와 같이 CD를 교환할 필요가 없으므로, 연속재생이 용이하고, 1대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에 다수의 악곡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하우징을 소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오디오서버는 상술한 바와 같이 대량의 오디오데이터를 축적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사용자가 오디오서버에 축적된 오디오데이터 중에서 소망하는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도록, 어떠한 검색용 데이터를 오디오서버에 입력하고, 기록시켜 둘 필요가 있다. 검색용의 데이터로서는 CD의 타이틀이나 노래와 같은 악곡 등을 생각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청취하고 싶은 곡명을 오디오서버에 대하여 입력 또는 지정함으로써, 곡명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오디오데이터가 검색되고, 검색된 오디오데이터가 재생된다.
하지만, CD에는 예를 들면 연주자명이나 곡명, 그 CD의 타이틀 정보와 같은 CD에 관한 부수정보는 일반적으로 기록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CD에 기록되어 있는 오디오데이터를 오디오서버에 기록 및 축적하는 경우에, 그 CD에 관한 상술한 바와 같은 부수정보를 자력으로 오디오서버에 입력할 필요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부수정보를 텍스트데이터에 의해 수동으로 오디오서버에 입력하고, CD의 재킷화상을 이미지스케너 등으로 스케닝하여 입력할 필요가 있다. 특히, 한번에 대량의 CD에 대하여 부수정보를 기록 및 축적 한 경우, 입력하는데 많은 수고가 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CD에는 TOC(Table Of Contents)라 부르는 기록영역이 설정되어 있고, 이 TOC에, CD에 수록되어 있는 각 오디오데이터의 연주시간에 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이 TOC정보에 기초하여 CD의 타이틀을 특정 짓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래서, TOC정보와 CD타이틀정보를 대응시킨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오디오서버에 대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것과 같은 시스템을 고려 할 수 있다.
이 시스템을 실현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다음의 두가지 방법을 고려 할 수 있다. 제 1방법에서는, 네트워크, 예를 들면 인터넷의 서버 상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오디오서버를 공중전화회선 등을 거처서 인터넷에 접속한다. 그리고, CD에 기록된 오디오데이터를 오디오서버에 기록 및 축적하는 경우에, CD의 TOC정보에 기초하여 인터넷상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인터넷을 경유하여 CD타이틀정보를 입수한다. 제 2방법에서는, 오디오서버의 기록 또는 기록매체상에 상술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 오디오서버상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CD타이틀정보를 입수한다.
하지만, 상술한 제 1방법에서는, 인터넷상에 설치된 서버의 유지관리 등에 비용이 드는 점과, 오디오서버 측에도 모뎀 등 인터넷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설치하지 않으면 안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 인터넷을 거처서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된 서버에 접속된 경우,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회선사용료가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상술한 제 2방법에서는 오디오서버 내의 기록시스템에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기 때문에, 데이터베이스를 넓고 다양한 정보로 구축 해야 한다면, 필요로 하는 기록용량이 방대하게 되고, 기록 또는 기록매체의 용량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CD타이틀은 정기적으로 새로운 것이 발매되기 때문에,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끊임없이 갱신되어야 한다. 이 데이터베이스용량의 갱신도, 상술한 제 1방법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인터넷 등을 이용해야 되고,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CD에 기록되고, 그로부터 독출된 후 장치에 내장된 기억 또는 기록매체에 기억되는 많은 양의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검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록재생장치 및 방법, 단말장치, 송수신방법, 및 기억매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형태에 따른 기록 및 재생장치는 제 1기록매체를 재생하는 제 1재생장치와; 제 2기록매체를 재생하는 제 2재생장치와; 상기 제 1기록매체에 기록된 데이터의 인식정보를 독출하는 제 1독출장치와; 상기 인식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인식정보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기 제 2기록매체에 기록된 부가정보를 독출하는 제 2독출장치와; 상기 데이터 또는 상기 인식정보와 관련시켜 상기 부가정보를 기록하는 기록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 2형태에 따른 기록 및 재생장치는 제 1기록매체를 재생하는 제 1재생장치와; 상기 제 1기록매체에 기록된 데이터의 인식정보를 독출하는 제 1독출장치와; 상기 제 1독출장치에 의해 독출된 상기 인식정보를 전송하는 정송장치와; 상기 인식정보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기 제 2기록매체에 저장되고, 상기 전송장치에 의해 전송된 상기 인식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되는 부가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장치와; 상기 인식정보 또는 상기 데이터와 관련시켜 상기 수신장치에 의해 수신된 상기 부가정보를 기록하는 기록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 3형태에 따른 단말장치는 제 1기록매체를 재생하는 제 1재생장치와; 제 2기록매체에 기억된 데이터의 인식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장치와; 상기 수신장치에 의해 수신된 상기 인식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인식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제 1기억매체에 기억된 부가정보를 독출하는 독출장치와; 상기 독출장치에 의해 독출된 상기 부가정보를 전송하는 전송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 4형태에 따른 기록 및 재생방법은 제 1기억매체를 재생하는 제 1재생단계와; 제 2기억매체를 재생하는 제 2재생단계와; 상기 제 1기억매체에 기억된 데이터의 인식정보를 독출하는 제 1독출단계와; 상기 인식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인식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제 2기억매체에 기억된 부가정보를 독출하는 제 2독출단계와; 상기 데이터 또는 상기 인식정보와 관련시켜 상기 부가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 5형태에 따른 송수신방법은 제 1기억매체를 재생하는 제 1재생단계와; 상기 제 1기억매체에 저장된 데이터의 인식정보를 독출하는 제 1독출단계와; 상기 제 1독출단계에서 독출된 상기 인식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단계와; 상기 인식정보에 해당하는 것으로 제 2기억매체에 기억되고 상기 전송단계에서 전송된 상기 인식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독출된 부가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단계와; 상기 데이터 또는 상기 인식정보와 관련시켜 상기 수신단계에서 수신된 상기 부가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 6형태에 따른 송수신방법은 제 1기억매체를 재생하는 제 1재생단계와; 제 2기억매체에 기억된 데이터의 인식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단계와; 상기 수신단계에서 수신된 상기 인식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인식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제 1기억매체에 기억된 부가정보를 독출하는 독출단계와; 상기 독출단계에서 독출된 상기 부가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 7형태에 따라 또 다른 기억매체에 기억된 데이터의 인식정보에 해당하는 부가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1,2,4,5형태에 따르면, 제 1기억매체에 기억된 인식정보가 독출되며, 상기 인식정보에 기초하여 제 2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인식정보에 해당하는 부가정보가 독출되고, 상기 제 1기억매체에 기억된 상기 데이터 또는 상기 인식정보와 관련시켜 상기 부가정보가 기억된다. 따라서, 상기 기억된 부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기억매체에 기억된 상기 데이터 또는 상기 인식정보에 대한 검색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및 제 6형태에 따르면, 제 2기억매체에 기억된 인식정보가 수신되며, 수신된 인식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기억매체에 기억된 상기 인식정보에 따라 제 1기억매체에 기억된 부가정보가 독출된다. 이어서, 상기 독출된 부가정보는 전송된다. 따라서, 상기 부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처에서 상기 제 2기억매체에 기억된 상기 인식정보에 대한 검색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7형태에 의하면, 또 다른 기억매체에 기억된 데이터의 인식정보에 해당하는 부가정보를 기억매체가 기억하기 때문에, 상기 기억매체의 재생에 의해 얻어진 부가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또 다른 기억매체에 기억된 상기 데이터의 인식정보에 대한 검색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뮤직서버 및 뮤직서버를 이용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약선도이다.
도 2는 뮤직서버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CD-ROM드라이브에 의해 독출된 음악데이터가 하드디스크드라이브에 기록되는 처리에서의 신호플로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로부터 독출된 압축음악데이터가 재생처리되어 단자에 도출되는 처리에서의 신호플로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휴대기록재생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휴대기록재생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뮤직서버에서의 CD의 음악데이터를 하드디스크드라이브에 기록하는 경우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CD의 음악데이터를 하드디스크드라이브에 고속기록하는 경우의 비용청구처리의 일례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음악데이터의 이동처리의 일례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은 실시의 제 1형태에 적용가능한 정보검색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1은 퍼스널컴퓨터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2는 TOC정보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3은 파일관리의 일례를 나타낸 약선도이다.
도 14는 CD앨범정보데이터베이스의 일례의 구성을 나타낸 약선도이다.
도 15는 CD-ROM에 기록된 CD앨범정보를 HDD에 기록하는 경우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16은 관리데이터베이스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7은 ISRC를 설명하기 위한 약선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략한 설명
1. 입력조작부 8. CPU
9. CD-ROM드라이브 10. 하드디스크드라이브
11. DRAM 12. 압축엔코더
19. 통신회로 20. 모뎀
21. 압축디코더 26. LCD
34,35. 인터페이스 50. 뮤직서버
60. 인터넷서버 70. 휴대기록재생장치
106. 하드디스크드라이브 및 플러시RAM
107. DRAM 108. 압축엔코더
115. 압축디코더 120. LCD
130. 버스 200. 스위치회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제 1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뮤직서버 및 뮤직서버를 이용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뮤직서버(50)는 서버본체(51)와 좌우의 스피커유닛(52L,52R)으로 이루어진다. 서버본체(51)에는 예를 들면 LCD(Liquid Crystal Display)패널로 이루어진 표시부(53)와, CD를 서버본체(51)에 삽입하기 위한 CD삽입부(54)가 설치된다.
또, 도 1에는 생략되어 있지만, 서버본체(51)의 기능을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복수의 조작스위치로 이루어진 조작부가 서버본체(51)에 설치된다. 서버본체(51)의 기능을 리모트커멘더에 의해 원격조작을 하기 위한 예를 들면 적외선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를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서버본체(5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콘트롤러를 가지며, 서버본체(51)는 미리 예를 들면 ROM에 기억된 소정의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콘트롤러에 의해 각종동작이 제어된다.
사용자는 CD(55)를 CD삽입부(54)를 통하여 서버본체(51)에 장전하고, 도시되지 않은 조작부를 이용하여 소정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CD(55)를 재생하고, CD(55)에 의해 재생된 재생신호를 스피커유닛(52L,52R)으로 출력함으로써, CD(55)에 기록되어 있는 음악을 즐기는 것이 가능하다. CD(55)가 곡명 등의 텍스트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는 표시부(53)에 텍스트데이터에 기초하여 곡명 등이 표시된다.
뮤직서버(50)는 내부에 예를 들면 하드디스크에 의한 대용량의 기록매체를 가지고 있다. 도시되지 않은 조작부를 이용하여 소정의 조작을 함으로써, CD삽입부(54)를 통해 서버본체(51)에 장전된 CD(55)로부터 재생된 재생데이터를 이 하드디스크로 이루어진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CD(55)의 표준 재생속도와 같은 전송속도로 기록하는 방법과, CD(55)의 표준 재생속도보다 고속인 전송속도로 기록을 행하는 고속기록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고속의 전송속도로 기록을 행하는 경우에는 CD의 선택 또는 CD에 기록되어 있는 곡의 선택과, CD로부터 재생된 음악데이터로서의 재생속도보다도 빠른 전송속도로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뮤직서버(50)에 있어서, CD(55)로부터 재생된 음악데이터는 상술한 ATRAC 등의 소정의 방법으로 압축부호화된 압축음악데이터로 되어 기록된다. 이 방법으로, 예를 들면 6기가바이트의 용량을 갖는 하드디스크에 1000곡 정도를 기록 또는 저장할 수 있다. 하드디스크에 기록 또는 저장된 곡목의 리스트가 예를 들면 표시부(53)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표시부(53)에 표시되어 있는 곡명리스트에 기초하여, 하드디스크에 기억 또는 저장되어 있는 곡 중 임의의 곡을 선택하여 재생시킬 수 있다. 하드디스크는 랜덤억세스가 가능하기 때문에, 여러개의 기록 또는 저장된 음악데이터를 임의의 순서로 독출하고, 연속재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압축부호화에서는 여러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본 실시의 제 1형태의 예에서는, 예를 들면 미국특허5717821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ATRAC2(Adaptive Transform Acoustic Coding 2)라 불리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이것은 상술한 휴대용 오디오데이터재생장치에서 이용된 압축부호화방식인, ATRAC를 발전시킨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청각의 성질에 기초한 마스킹효과 및 최소가청한계 주파수 의존성을 이용하고, 변환부호화와 엔트로피-코딩을 병용하여 음성데이터의 압축부호화를 행한다. 비교적 소규모인 하드웨어로 고음질을 유지하는 동시에, 고속으로 엔코드/디코드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뮤직서버(50)는 예를 들면 공중전화회선인 통신회로(61)를 통하여 외부의 시스템, 예를 들면 인터넷에 접속된 서버인 인터넷서버(60)에 접속할 수 있다. 뮤직서버(50)로부터 통신회선(61)을 통하여 이 인터넷서버(60)에 접속하는 것으로, 인터넷상에 있는 여러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인터넷서버(60)는 예를 들면 시판되는 음악CD의 타이틀정보 등의 데이터베이스를 갖는다. 사용자가 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기 위한 고유키가 주어진다.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경우에 고유키를 조작함으로써, CD에 부수한 데이터, 예를 들면 CD타이틀정보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소정의 인터페이스에 의해 뮤직서버(50)와 예를 들면 퍼스널컴퓨터에접속하고, CD-ROM 등의 기억 혹은 기록매체로 퍼스널컴퓨터에 제공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CD에 부수한 데이터를 얻도록 할 수 있다.
인터넷서버(60)에서는, 사용자에 제공한 서비스에 따라 뮤직서버(50)에 대한 비용청구처리도 행한다. 상술한 CD(55)의 상술한 고속기록을 행한 경우는, 인터넷서버(60)로 뮤직서버(50)가 고속기록을 행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데이터의 통신을 한다. 이에 따라, 고속 기록을 행하는 사용자에 대한 비용청구처리가 행해진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한 CD의 선택이나 곡의 선택, 혹은 고속기록의 실행이 가능하게 된다.
또, 여기에서는, 비용청구처리를 CD의 부가정보를 여러개 갖는 인터넷서버(60)로 행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것은 상술한 예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인터넷에 접속한 별도의 서버로 상술한 비용청구처리를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인터넷과 분리된 별도의, 예를 들면 전용 네트워크로 하여금 상술한 비용청구처리를 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휴대기록재생장치(70)는 하드디스크 혹은 플래시메모리로 이루어진 기억매체를 갖는다. 음악 재생속도를 따라갈 수 있는 것이라면, 다른 기억매체 또는 기록매체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휴대기록재생장치(70)를 접속선(71)에 의해 뮤직서버(50)와 접속함으로써, 뮤직서버(50)에 기억되어 있는 음악데이터를 휴대기록재생장치(70)에 전송하고, 휴대기록재생장치(70)의 기억매체에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뮤직서버(50)측에서는, 장치(70)로 전송된 음악데이터가 하드디스크나 플러시메모리의 기억매체상에는 존재하지만 재생이 불가능한 상태로된다. 휴대기록재생장치(70)에서 이용된 기억매체 또는 기록매체는 예를 들면 200메가바이트 정도의 용량이 되고, 수십곡 정도의 음악데이터를 기억 또는 저장할 수 있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플러시메모리 등의 반도체메모리로 이루어진 기억소자 또는 기억매체와, 하드디스크 등의 디스크형태의 기록매체 등의 기록매체를 모두 총칭하여, 기억매체로 칭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용되는 상술한 전송방법, 즉, 음악데이터를 전송한 경우, 전송처의 기억매체에 음악데이터가 기록되는 동시에, 전송원의 기억매체에 있어서는, 전송된 음악데이터가 기억매체상에는 존재하지만 재생불가능한 상태로 된 것을 "이동"으로 칭한다. 이와 같이 이동하는 것으로, 음악데이터의 무제한 복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예에서는, 뮤직서버(50)와 휴대기록재생장치(70)가 접속선(71)에 접속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것은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뮤직서버(50) 및 휴대기록재생장치(70)로, 서로에 대응하는 장착부를 설치하고, 뮤직서버(50)에 휴대기록재생장치(70)를 직접 장착하여 서버(50)와 장치(70) 사이에 데이터의 주고받는 것을 행하도록 할 수 있다. 전기적인 접속 대신에, 예를 들면 적외선신호에 의해 데이터의 주고받는 것을 행하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에 대응한 인터페이스를 서버(50)와 장치(70)의 쌍방에 설치하고, 적외선신호에 의해 음악데이터의 전송을 서버(50)와 장치(70)의 사이에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뮤직서버(50)에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설치함으로써, 여러 가지 메모리와 정보교환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서버(50)에 PC카드(80)에 대응한 인터페이스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PC카드(80)에서 제공된 음악데이터를 뮤직서버(50)에 입력하거나, 퍼스널컴퓨터와 뮤직서버(50) 사이에서 데이터의 주고받는 것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서버(50)에 광케이블 등에 의한 시리얼 디지털인터페이스를 설치함으로써, 예를 들면 직경이 64mm인 소형의 광자기디스크를 이용한 디스크레코더(81)와 같은 다른 디지털음악데이터 기록재생장치와의 음악데이터 교환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예에서는, 디스크레코더(81)에 상술한 소형의 광자기디스크가 수납된 디스크카트리지(82)가 장착되고, 디스크카트리지(82)의 광자기디스크로부터 재생된 음악데이터가 뮤직서버(50)에 공급된다. 같은 방식으로, 서버(50)에 IEEE1394 등의 인터페이스를 설치하여, 예를 들면 CATV(Cable Television)이나 위성방송 등을 위한 셋탑박스(83)를 접속하도록 할 수도 있다.
PC카드는 미국의 PCMCIA(Personal Memory Card International Association)과 일본의 JEIDA(일본전자공업진흥회)의 공동 재정에 의한 퍼스널컴퓨터용의 카드형 주변기기의 규격이다. IEEE1394는 전기전자기술자협회에 의해 채택된 인터페이스규격이다.
뮤직서버(50)는 내장 어플리케이션으로서, WWW(World Wide Web) 브라우저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WWW(World Wide Web) 브라우저를 통하여 뮤직서버(50)와 인터페이스서버(60)를 접속함으로써, 인터넷상에 있는 예를 들면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에 의해 기술된 여러 가지 콘텐츠를 검색하고, 표시부(53)상에 표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사용자는 예를 들면 뮤직서버(50)에 기억 또는 저장되어 있는 음악데이터를 재생하여 스피커유닛(52L,52R)으로 들을 수 있는 동시에, CD(55)를 CD삽입부(54)를 통하여 서버(50)에 장전하고, CD(55)를 재생할 수 있다.
뮤직서버(50)와 인터넷서버(60)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함으로써, CD삽입부(54)를 통하여 서버(50)에 장전된 CD(55)의 타이틀정보 등을 통신회선(61)을 통하여 서버(60)로부터 자동적으로 얻을 수 있다. 서버(60)로부터 얻어진 정보는 뮤직서버(50) 내에 보존되는 동시에 보존된 타이틀정보는 필요에 따라 서버(50)의 표시부(53)에 표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뮤직서버(50)로부터 인터넷서버(60)로, 서버(50)의 사용자ID데이터 등의 사용자 고유정보(이하, 사용자정보로 칭함)가 전송된다. 인터넷서버(60)측에서는 수취된 사용자정보에 기초하여 검사(checking)처리나 비용청구처리가 행해진다. 또, 뮤직서버(50)로부터 인터넷서버(60)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CD 또는 재생하고 있는 CD의 미디어정보가 전송된다. 인터넷서버(60)에서는 수취된 미디어정보에 기초하여, 예를 들면 곡의 타이틀, 연주자명, 작곡자나 작사자명, 가사, 재킷이미지 등의 음악데이터에 대한 부가정보의 검색이 행해진다. 그리고, 인터넷서버(60)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요구된 CD에 관한 소정의 정보를 뮤직서버(50)에 전송한다.
예를 들면, 미디어정보로서 CD(55)의 TOC(Table Of Contents)정보를 인터넷서버(60)로 전송한다. 인터넷서버(60)에는 이 TOC정보에 기초하여 상술한 음악데이터에 대한 부가정보의 검색이 가능한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다. 인터넷상의 다른 WWW서버를 검색하여 부가정보를 얻도록 하여도 좋다. 인터넷서버(60)는 수취된 TOC정보를 미디어정보로서 이용하여 음악데이터의 해당 부가정보의 검색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TOC정보에 포함된 CD(55)에 수록되어 있는 악곡 각각에 대한 시간정보에 기초하여 검색하는 것이 가능하다.
검색하여 얻어진 부가정보는 인터넷서버(60)로부터 뮤직서버(50)에 전송된다. 뮤직서버(50)에서는 수신된 부가정보가 표시부(53)에 표시되는 동시에, 후술하는 CPU(8)에 의해, 예를 들면 하드디스크드라이브에 CD(55)의 TOC정보와 함께 기입된다. 또한, 검색된 부가정보를 HTML파일의 형태로 서버(60)로부터 전송함으로써, 뮤직서버(50)에 내장된 WWW브라우저소프트웨어에 의해 부가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부가정보에 인터넷상의 다른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 기술되어 있다면, 이 뮤직서버(50)로부터 그 다른 URL에 표시된 인터넷상의 홈페이지 등에 억세스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서버(60)와 서버(50) 사이에서 데이터의 통신을 행하도록 함으로써, CD삽입부(54)를 통하여 서버(50)에 장전된 CD(55)의 음악데이터를 뮤직서버(50)의 기억매체에, CD(55)의 규정되어 있는 표준 재생속도보다도 고속으로 예를 들면 CD(55)의 각장만큼의 음악데이터를 2분 정도내에 기록할 수 있다. 인터넷서버(60)와 서버(50)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지 않을 때에는 CD(55)의 규정되어 있는 표준 재생속도와 같은 속도, 1배속으로 서버(50)의 기억매체에 기록된다.
서버(50)는 휴대기록재생장치(70)와 접속선(71)에 의해 접속함으로써, 뮤직서버(50)에 기억 또는 저장되어 있는 음악데이터를 휴대기록재생장치(70)에 전송하여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동된 음악데이터는 서버(50)와 장치(70)가 접속선(71)에 의해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휴대기록재생장치(70)에서 재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헤드폰(72)으로 들을 수 있다. 전송되고 이동된 음악데이터는 뮤직서버(50)에서는 재생이 불가능한 상태로 된다.
도 2는 뮤직서버(5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먼저, 이 뮤직서버(50)에 있어서, 통상의 퍼스널컴퓨터의 구성과 같은 방식으로, 서로 버스로 결합된 RAM(5), ROM(6), 플러시메모리(7), 및 CPU(8)가 설치된다. CPU(8)는 버스(40)에 접속된다. CPU(8)는 콘트롤러로서 기능을 하여, 뮤직서버(50)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ROM(6)에는, 이 뮤직서버(5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미리 기록된다. 뮤직서버(50)에서, 이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CPU(8)에 의해 후술하는 입력조작부(1)의 조작에 대응한 동작이 실행된다. RAM(5), 플러시메모리(7)에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기에 필요한 데이터영역, 테스크영역이 일시적으로 확보된다. ROM(6)에는 프로그램 로더(loader)가 기억되어 있고, ROM(6)의 프로그램로더에 의해 플러시메모리(7)에 프로그램 자체가 로드되는 것도 가능하다.
입력조작부(1)는 예를 들면 복수의 푸쉬식 및 회동식의 키동작키와, 이들의 조작키에 의해 각각 조작되는 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진다. 입력조작부(1)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조그다이얼 등의 회동푸쉬식 조작키, LCD 상의 터치패널 등을 이용한 것이어도 상관없다. 물론 누르는 것에 반응하는 스위치 구조도 이용할수 있다. 입력조작부(1)의 조작에 응한 신호가 버스(40)를 통하여 CPU(8)에 공급된다. CPU(8)에서는, 입력조작부(1)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뮤직서버(5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생성된다. 뮤직서버(50)는 CPU(8)에서 생성된 제어신호에 응하여 동작된다.
버스(40)에는 적외선인터페이스(Ir DA I/F) 드라이버(3) 및/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드라이버(4)가 접속된다. 이들의 드라이버(3,4)에 키보드(2)가 통신 혹은 전기접속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키보드(2)를 이용함으로써, 예를 들면 기록된 음악데이터에 대응하는 곡명, 아티스트명 등의 입력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적외선인터페이스드라이버(3) 혹은 USB드라이버(4)를 통하여 데이터전송을 행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 이들 적외선인터페이스 및 USB드라이버(3,4)는 생략할 수 있다.
CD-ROM드라이브(9)가 버스(40)에 접속되며, CD-ROM드라이브(9)에, 상술한 바와 같은 디스크삽입부(54)에 삽입된 CD(55)가 장전된다. 이 CD-ROM드라이브(9)에서는 세트된 CD(55)로부터 규정되어 있는 표준재생속도에 따라 음악데이터가 독출된다. 또, 이 CD-ROM드라이브(9)에서는, 규정되어 있는 표준재생속도보다도 고속인 예를 들면 규정되어 있는 표준재생속도의 16배나 32배 등의 속도로, CD(55)의 음악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다.
또, CD-ROM드라이브(9)는 상술한 예에 한정하지 않고, 음악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다른 디스크 형태의 기록매체, 예를 들면 광자기디스크나 DVD(Digital Versatile Disc)에 대응하도록 하여도 좋다. 메모리카드 등, 외부에 접속하여이용되는 반도체메모리에 대응한 드라이브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CD-ROM드라이버(9)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는 음악데이터에 한정되지 않는다. 화상데이터나 텍스트데이터, 프로그램데이터 등을 독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버스(40)에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이하, HDD라 약칭함)(10)가 접속된다. HDD(10)에는 CD-ROM드라이브(9)로부터 독출된 음악데이터가 기록된다. 또한, 본 실시의 제 1형태에서는, HDD(10)으로의 기록을 위해서 CD-ROM드라이브(9)로부터 음악데이터를 독출하는 경우에, CD-ROM드라이브(9)에 장전된 CD(55)의 TOC정보가 독출된다. 예를 들어 관리데이터베이스 안에는 파일 관리테이블의 첫번째 어드레스 포인터 또는 파일번호 및 CD앨범정보의 앨범타이틀 또는 첫번째 어드레스 포인터를 서로 관련시키는 방식으로 저장한다. 상세히 후술하겠지만, 독출된 TOC정보는 CD(55)로부터 독출된 음악데이터와 관련시켜 HDD(10)에 기록된다.
HDD에 음악데이터가 기록되기 전 처리로서, CD-ROM드라이브(9)에서 독출된 음악데이터는 버스(40) 및 오디오용의 DRAM(11)을 통하여 압축엔코더(12)에 공급된다.
압축엔코더(12)에서는, 예를 들면 상술한 미국특허 5717821호 등에 개시되어 있는 압축방법에 의해 음악데이터의 압축부호화처리가 행해진다. 또, 압축엔코더(12)에 의한 음악데이터의 압축속도는 CPU(8)의 제어에 기초하여 저속 및 고속의 2가지 속도에서 선택된다. 저속압축속도는 CD-ROM드라이브(9)에서 CD(55)에 규정되어 있는 표준재생속도에 대응한다. 압축속도는 예를 들면 CD-ROM드라이브(9)에 의한 CD(55)의 재생속도에 응하여 전환된다.압축엔코더(12)에 있어서, 예를 들면, 압축속도에 응한 엔코더알고리즘이 구동된다.
또, 압축엔코더(12)에서의 압축속도의 변경은 상술한 방법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압축엔코더(12)의 클럭주파수를 바꾸는 것에 의하여 행하여도 좋고, 각각 다른 하드웨어를 준비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고속압축이 가능한 압축엔코더(12)에 있어서, 처리의 씨닝(thinning; 간인(間引); 속아냄)에 의해 저속압축속도에 대응하도록 하여도 좋다.
압축엔코더(12)에서 압축부호화된 압축음악데이터는 DRAM(11)을 통하여 HDD(10)에 기록되고 축적된다.
여기에서, 압축엔코더(12)에 의해 압축부호화된 압축음악데이터가 HDD(10)에 축적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CD-ROM드라이브(9)로부터 독출된 음악데이터를 직접 HDD(10)에 공급하여 HDD(10)의 하드디스크 즉 HDD의 플레터(platter)에 기록 혹은 축적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예에서는, 단자(13)에 접속된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엠프(14)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신호나, 라인입력단(15)으로 입력된 음성신호가 A/D변환기(16)를 거쳐서 압축엔코더(12)에 공급된다. 이들의 음성신호를 엔코더(12)에서 압축부호화하여 HDD(10)에 기록할 수 있다. 또한, 광디지털신호가 광디지털입력단(17)으로부터 IEC958(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958)엔코더(18)를 통하여 압축엔코더(12)에 공급된다. 광디지털로서 공급된 음성신호를 엔코더(12)에서 압축부호화한 후 HDD(10)의 하드디스크에 기록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 압축엔코더(12)는 예를 들면 미국특허 571782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엔코드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압축엔코더(12)에서는 정보로 압축할 수 있는 엔코드알고리즘이라면, 다른 것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압축엔코더(12)는 예를 들면 MPEG(moving picture coding experts group), PASC(precision adaptive sub-band coding), RealAudio(상표), liquidAudio(상표) 등의 엔코드알고리즘을 이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버스(40)에 모뎀(20)이 접속된다. 모뎀(20)에는 예를 들면 공중전화회선이나 CATV, 혹은 무선통신 등의 외부네트워크(19)가 접속된다. 이 뮤직서버(50)는 모뎀(20)에 의해 외부네트워크(19)와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외부네트워크(19)를 통하여, 뮤직서버(50)가 예를 들면 인터넷에 접속되고, 뮤직서버(50)와 원격지의 인터넷서버(60)와의 사이에 통신이 행해진다. 뮤직서버(50)로부터 인터넷서버(60)로, 리퀘스트신호나, CD-ROM드라이브(9)에 장착되어 있는 CD(55)에 관련한 정보인 미디어정보, 뮤직서버(50)의 각각에 미리 부여된 사용자ID데이터 혹은 사용자정보, 또한, 사용자에 대한 비용청구 등의 각종정보가 전송된다.
미디어정보 사용자정보 등의 각종정보가 인터넷서버(60)에 송신되며, 서버(60)는 송신된 사용자ID데이터 등의 사용자정보에 기초하여, 검사처리(checking process)나 비용청구처리가 수행하는 동시에, 수신된 미디어정보에 기초하여 음악데이터의 부가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부가정보를뮤직서버(50)로 보낸다.
여기에서는, 음악데이터의 부가정보를 송신하는 예를 나타내었으나, 사용자의 요구에 기초하여 음악데이터가 외부네트워크(19)로부터 직접 공급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사용자는 뮤직서버(50)를 이용하여 인터넷서버(60)로부터 음악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따라서, 미디어정보에 대응하여 음악데이터가 송신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소정의 CD(55)의 보너스트랙이 통신에 의해 취득되도록 할 수 있다.
압축엔코더(12)에 의해 압축부호화되어 HDD(10)에 기록되고 축적된 압축음악데이터는 재생을 위해 HDD(10)로부터 독출되고, 버스(40)를 통하여 압축디코더(21)에 공급된다. HDD(10)로부터 독출된 압축음악데이터는 압축디코더(21)에서 압축부호화를 해제하고, D/A변환기(22)와 엠프(23)를 통하여 단자(24)로 제공된다. 이어서, 이 음악데이터는 단자(24)로부터 스피커유닛(52L,52R)에 공급되고, 음악이 재생된다. 또, 도 2에서는 생략되어 있지만, D/A변환기(22)로부터 엠프(23)를 통하여 단자(24)에 달하는 경로는 스피커출력에 대응하여 2개의 라인이 설치된다. 이와 비슷하게, 단자(24)도, 스테레오출력에 대응하여 2개가 설치된다.
압축디코더(21)에서는 압축엔코더(12)에서의 엔코드알고리즘에 대응한 디코드알고리즘이 이용된다. 이 압축디코더(21) 및 상술한 압축엔코더(12)는 하드웨어에 의하지 않고, CPU(8)에 의한 소프트웨어에 의해 그들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표시부(53)를 구성하는 액정표시소자(이하, LCD라 약칭한다)(26)가 LCD구동회로(25)를 통하여 버스(40)에 접속된다. CPU(8)로부터 버스(40)를 통하여 LCD구동회로(25)에 묘화제어신호가 공급된다. 공급된 묘화제어신호에 기초하여 LCD구동회로(25)에 의해 LCD(26)가 구동되고, 표시부(52)에 소정의 표시가 나타난다.
LCD(26)에는, 예를 들면, 뮤직서버(50)의 조작메뉴가 표시된다. LCD(26)에는 HDD(10)에 기록되고 축적된 압축음악데이터인 예를 들면 타이틀리스트가 표시된다. LCD(26)에서의 타이틀리스트의 표시는, 인터넷서버(60)로부터 송신되어 온 부가정보를 디코드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데이터가 HDD(10)에 공급되어 있으므로, HDD(10)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에 기초하여서 수행된다. 또한, LCD(26)에는 예를 들면 재생을 위해 선택된 압축음악데이터에 대응하는 폴더나 재킷이미지가 인터넷서버(60)로부터 송신되어 온 부가정보에 기초하여서 표시된다.
이 LCD(26)의 표시에 기초하여, 입력조작부(1)의 포인팅디바이스나, 키보드(2)를 조작함으로써, CPU(8)는 지시된 음악데이터의 재생제어를 행한다. 선택된 음악데이터의 소거나, 선택된 음악데이터의 외부기기로의 복제나 이동의 제어도, LCD(26)의 표시에 기초하여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입력조작부(1)가 LCD(26) 상에 설치된 터치패널인 경우, LCD(26)의 표시에 따라 터치패널을 접촉함으로써, 뮤직서버(50)의 조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LCD(26)를 인터페이스로서 이용하여, HDD(10)에 기록되고 축적된 음악데이터가 사용자에 의해 관리 및 제어된다.
본 실시의 제 1형태는 뮤직서버(50)와 외부의 일반적인 정보기기와의 인터페이스로서 IEEE1394와 PC카드에 적용된다. 버스(40)에, IEEE1394드라이버(29)를통하여 IEEE1394인터페이스(28)가 접속된다. 같은 방식으로, 버스(40)에, PC카드드라이버(30)를 통하여 PC카드스롯(31)이 접속된다.
IEEE1394인터페이스(28)에 의해, 뮤직서버(50)와 예를 들면 퍼스널컴퓨터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교환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IEEE1394인터페이스(28)에 의해, 위성방송용 IRD(Integrated Receiver/Decoder)나, 직경이 약 64mm인 소형 광자기디스크나 광디스크, DVD(Digital Versatile Disc: 상표), 디지털비디오테이프 등으로부터 음악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PC카드슬롯(31)에 PC카드를 장착함으로써, 외부기억장치나 다른 미디어드라이브, 혹은, 모뎀, 터미널어뎁터, 켑쳐보드 등의 여러 가지 주변기기의 확장이 용이하다.
인터페이스(34)는 이 뮤직서버(50)와, 대응하는 다른 기록재생장치와의 사이에서 음악데이터 등의 교환을 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역할을 한다. 다른 기록재생장치에는, 예를 들면 상술한 도 1에 나타낸 휴대기록재생장치(70)일 수 있다.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기록재생장치는 다른 뮤직서버(50)이어도 좋다.
버스(40)에는, 인터페이스드라이버(33)를 통하여 인터페이스(34)가 접속된다. 대응하는 다른 기록재생장치에는, 인터페이스(34)와 쌍이 되는 인터페이스(35)가 설치되어 있다. 인터페이스(34,35)를 소정의 접속선(71)으로 전기적으로 접속함으로써, 예를 들면, HDD(10)에 기록되고 축적된 음악데이터를 뮤직서버(50)로부터 다른 기록재생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또, 위 설명에서는, 뮤직서버(50)에 있어서 압축부호화된 음악데이터가HDD(10)에 기록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음악데이터의 기록매체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뮤직서버본체(51)에 착탈가능하게 된 반도체메모리를 음악데이터의 기록매체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도 3은 CD-ROM드라이브(9)에서 독출된 음악데이터가 HDD(10)에 기록되는 처리 중에서의 신호흐름을 개략적으로 표시한다. CD-ROM드라이브(9)로부터 독출된 음악데이터는 버스(40)를 통하여, 일단 버퍼메모리로서의 DRAM(11)에 기록된다. DRAM(11)으로부터 음악데이터가 소정의 타이밍으로 독출되고, 버스(40)를 통하여 압축엔코더(12)에 공급된다. 압축엔코더(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CD-ROM드라이브(9)의 재생속도에 대응한 소정의 압축속도를 갖는다. 음악데이터는 압축엔코더(12)에서 압축부호화되고, 다시 버퍼메모리로서의 DRAM(11)에 일단 기억된다. DRAM(11)으로부터 소정의 타이밍으로 독출된 압축음악데이터가 버스(40)를 통하여 HDD(10)에 공급되고, HDD(10)의 하드디스크에 기록된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인터넷서버(60)로 CD-ROM드라이브(9)에서 재생되고 있는 CD(55)의 정보를 송신하고, 서버(60)로부터 송신되어 온 CD(55)의 부가정보도 HDD(10)의 하드디스크에 기록되며, CD(55)로부터 독출된 음악데이터에 기초한 압축음악데이터와 함께, 하나의 데이터로서 CPU(8) 등에 의해 관리된다.
도 4는 HDD(10)로부터 독출된 압축음악데이터가 재생처리되어 단자(24)로 출력될 때의 신호흐름을 간략하게 나타낸다. HDD(10)로부터 독출된 압축음악데이터는 버스(40)를 통하여 버퍼메모리로서의 DRAM(11)에 일단 기억된다. 그리고, DRAM(11)으로부터 압축음악데이터가 소정의 타이밍으로 독출되며, 버스(40)를 통하여 압축디코더(21)에 공급된다. 압축음악데이터는 압축디코더(21)에서 압축부호화를 해제하고, 음악데이터로 되어 D/A변환기(22)에 공급된다. 그리고, 음악데이터는 D/A콘버터(22)에서 아날로그음성신호로 변환되며, 엠프(23)에서 증폭되어 단자(24)에 재생출력으로서 출력된다. 단자(24)에 스피커가 접속되어 있으면, 스피커에서 재생된 음악을 즐길 수 있다. 이 경우, HDD(10)의 디스크로부터 압축음악데이터와 함께 독출된 부가정보는 CPU(8) 등에 의해 디코드되고, 표시부(53)에 곡명 등이 표시된다.
도 5는 이 다른 기록재생장치로서 이용되며, 휴대기록재생장치(7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 휴대기록재생장치(70)는 기본적으로 상술한 도 2에 나타낸 뮤직서버(50)와 동등한 구성을 갖는다. 이 휴대기록재생장치(70)는 통상 뮤직서버(50)측의 인터페이스(34)와 휴대기록재생장치(70)측의 인터페이스(35)가 격리되고, 단일체로서 휴대용으로 이용한다.
우선, 이 휴대기록재생장치(70)에는, 통상의 퍼스널컴퓨터의 구성과 같은 방식으로, 서로 버스로 결합된 RAM(103), ROM(104), 및 CPU(105)가 설치된다. 물론, 상술한 뮤직서버(50)의 구성과 같은 방식으로, 플러시메모리를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CPU(105)는 버스(130)에 접속된다. CPU(105)는 콘트롤러로서 기능하고, CPU(105)에 의해 휴대기록재생장치(70)의 전체의 동작이 제어된다.
ROM(104)에는 이 휴대기록재생장치(7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미리 기록된다. 휴대기록재생장치(70)에는, 이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입력조작부(102)의 조작에 대응한 동작이 이루어진다. RAM(103)에는 프로그램을실행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영역, 태스크영역이 일시적으로 확보된다.
입력조작부(102)는 예를 들면 복수의 푸시식 및 회동식의 조작키와, 이들의 조작키에 의해 조작되는 복수의 스위치로 이루어진다. 입력조작부(102)는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조그다이얼 등의 회동푸시식 조작자, 후술하는 LCD 상의 터치패널 등으로 해도 상관없다. 물론 누루는 것에 응답하는 기계적 스위치구조도 이용할 수 있다. 이 입력조작부(102)의 조작에 대응한 신호는 버스(130)를 통하여 CPU(105)에 공급된다. CPU(105)는 입력조작부(102)의 조작키를 조작함으로써 발생하는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휴대기록재생장치(7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휴대기록재생장치(70)는 CPU(105)에서 생성된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동작이 절환(switch over)되며, 동작이 제어된다.
뮤직서버(50)에서, HDD(10)로부터 독출되고, 이 휴대기록재생장치(70)으로 전송이 지시된 음악데이터는 인터페이스(34), 인터페이스(35), 및 인터페이스(34)와 인터페이스(35)를 접속하는 접속선을 통하여, 이 휴대기록재생장치(70)에 전송 또는 공급된다. 이와 동시에, 전송을 지시한 음악데이터와 함께, 전송을 지시한 음악데이터의 부가정보도 장치(70)에 송신된다. 또, 뮤직서버(50)와 휴대기록재생장치(70)에 서로 대응하는 장치부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경우는, 인터페이스(34)와 인터페이스(35)가 직접 접속되고, 서버(50)와 장치(70)와의 사이에서 음악데이터의 전송이 행해진다. 또한, 장치(70)와 서버(50)의 쌍방에 IrDA에 의한 인터페이스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는, 적외선신호에 의해 서버(50)와 장치(70)와의 사이에서 음악데이터의 전송이 행해진다.
서버(50)로부터 장치(70)로 전송되고 공급된 데이터는 인터페이스드라이버(101)로부터 버스(130)를 통하여, 이 휴대기록재생장치(70)의 음악데이터 기록매체인 HDD(106)로 공급되고, HDD(106)의 하드디스크에 기록된다.
또, 이 휴대기록재생장치(70)의 음악데이터기록매체로서는 HDD(106)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플러시메모리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음악데이터의 재생속도를 따라갈 수 있다면, 음악데이터의 기록매체로서, 예를 들면 광자기디스크 등의 다른 기록매체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장치(70)의 음악데이터기록매체로서는 예를 들면 200메가바이트 정도의 기억용량인 것을 이용함으로써, 수 십곡을 기록할 수 있다. 장치(70)의 HDD(106)의 디스크에는 서버(50)로부터 송신되어온 음악데이터와 해당 음악데이터의 부가정보도 기록된다.
이 예에서는, 전송되고 HDD(106)에 기록된 음악데이터는 이미 뮤직서버(50)에서 압축부호화된 압축음악데이터이다. 이 휴대기록재생장치(70)에서는, 이 예에 한정하지 않고, 압축부호화되어 있지 않은 음악데이터를 공급하고, HDD(106)의 하드디스크에 기록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뮤직서버(50)의 CD-ROM드라이브(9)에 장착된 CD(55)로부터 재생되고 독출된 음악데이터를 인터페이스드라이버(101)를 통하여 직접 휴대기록재생장치(70)에 공급한다. 다만, 직접장치(70)에 공급된 경우에는 기록가능한 음악데이터의 수가 큰폭으로 제한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HDD(106)의 하드디스크에 음악데이터가 기록되기 이전처리로서, 공급된 음악데이터는 버스(130)에 접속된 오디오용 DRAM(107)에 대하여 일시적으로 기록된다.DRAM(107)로부터 독출된 음악데이터는 버스(130)를 통하여 압축엔코더(108)에 공급된다. 압축엔코더(108)는 뮤직서버(50)에서의 압축엔코더(12)와 동등한 엔코드알고리즘에 의해 음악데이터의 압축부호화처리를 행한다. 압축엔코더(108)에서 압축부호화된 압축음악데이터는 DRAM(107)에 공급되고, 다시 DRAM(107)에 일시적으로 기록된다. 최종적으로, 이 DRAM(107)에 기억된 압축음악데이터가 독출되고, HDD(106)의 하드디스크에 기록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뮤직서버(50)에서 HDD(10)에 축적되어 있는 압축데이터의 이동이 지시되어 이 휴대기록재생장치(70)에 송신, 전송된 때에는, HDD(10)의 압축음악데이터는 HDD(10) 상에 데이터로서 존재하지만 HDD(10)로부터 독출되어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은 상태로 된다. 장치(70)에 이동된 압축음악데이터는 다시 이동원의 기록매체, 즉, 서버(50)의 HDD(10)에 되돌아갈 때만, 이동원, 즉, 서버(50)에서 재생하는 가능하다. 이 때, 이동처의 기록매체로서의 장치(70)의 HDD(106)의 하드디스크에서는, 서버(50)로 되돌아간 압축음악데이터가 삭제된다.
이 예에서는, 단자(109)에 접속된 마이크로폰으로 앰프(110)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신호와, 라인입력단(111)으로 입력된 음성신호가 A/D변환기(112)를 통하여 압축엔코더(108)에 공급된다. 압축엔코더(108)에서 A/D변환기(112)로부터 공급된 음성신호에 압축부호화처리를 행하여 HDD(106)에 기록할 수 있다. 또한, 광디지털신호가 광디지털입력단(113)으로부터 IEC958엔코더(114)를 통하여 압축엔코더(108)에 공급된다. 광디지털신호로서 공급된 음성신호를 엔코더(108)에서 압축부호화처리를 행하여 HDD(106)의 하드디스크에 기록할 수 있다. 장치(70)가압축된 음악데이터를 재생만 하는 재생전용의 휴대재생장치이라면, 상술한 A/D변환기(112), 엔코더(108) 등을 모두 생략할 수도 있다.
HDD(106)로부터 압축음악데이터가 재생을 위하여 독출되고, 버스(130)를 통하여 압축디코더(115)에 공급된다. 압축디코더(115)로 공급된 압축음악데이터에 대한 압축해제처리가 행해지고 압축부호화가 해제된 음악데이터는 D/A변환기(116) 및 엠프(117)를 통하여 단자(118)로 출력된다. 단자(118)에는, 예를 들면 헤드폰(72)이 접속된다. 사용자는 이 헤드폰(72)을 장착함으로써, 재생된 음악을 들을 수 있다. 또, 도 5에는 생략되어 있지만, D/A변환기(116)로부터 엠프(117)를 통하여 단자(118)에 이르는 신호경로에는 L-채널, R-채널의 스테레오 출력에 대응하여 2개의 신호라인이 설치된다. 같은 방식으로, 단자(118)도, L-채널, R-채널의 스테레오에 대응하여 2개 설치되어 있다.
LCD(120)는 LCD구동회로(119)를 통하여 버스(130)에 접속된다. CPU(105)로부터 버스(130)를 통하여 LCD구동회로(119)로 묘화(drawing)제어신호가 공급되고, LCD(120)는 공급된 묘화제어신호에 기초하여 구동되어 LCD(120)에 소정의 표시가 이루어진다. LCD(120)에는 휴대기록재생장치(70)의 조작메뉴나 HDD(106)에 기억된 음악데이터의 타이틀리스트 등이 표시된다. LCD(120)에는, 예를 들면 HDD(106)에 기억되어 있는 음악데이터로부터 선택되고 재생된 음악데이터에 대응하는 폴더나 재킷이미지를 HDD(106)에 기억되어 있는 부가정보에 기초하여서 표시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 LCD(120)의 표시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입력조작부(102)의 포인팅디바이스를 조작함으로써, HDD(106)에 기억되어 있는 압축음악데이터 중의 하나의 압축음악데이터가 선택되고, 재생된다. 선택된 압축음악데이터의 소거나 복제 및 이동의 제어도, LCD(120)의 표시에 기초하여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LCD(120)의 표시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조작부(102)의 터치패널을 접촉함으로써, 휴대기록재생장치(70)의 조작입력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LCD(120)를 인터페이스로서 이용하여, HDD(106)에 기록된 압축음악데이터가 사용자에 의해 관리 및 기록, 재생 등이 제어된다.
또, 도 5에서는 생략되어 있지만, 이 휴대기록재생장치(70)는 배터리에 의해 구동된다. 그 때문에, 장치(70)는 일반적인 2차전지나 건전지를 전원공급원으로 하는 전원부가 설치되는 동시에, 충전부가 설치된다. 충전부에서는 뮤직서버(50)와 휴대기록재생장치(70)가 접속선 혹은 장치부에 의해 직접 접속된 경우, 음악데이터의 전송과 함께, 뮤직서버(50)로부터 전력이 공급되고 장치(70)의 2차전지의 충전이 행해진다. 물론, 외부의 충전전원에 의해 장치(70)의 2차전지의 충전을 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전원의 공급원으로서는, 건전지에 의한 전원 및 2차전지를 이용하는 충전전원 중 어느 쪽이든지 한쪽만을 이용하거나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6은 상술한 휴대기록재생장치(70)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또, 이 도 6에 있어서, 상술한 도 5와 공통인 부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술한 구체적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나타낸 휴대기록재생장치(170)는 상술한 도 5의 구성과 달리, HDD(혹은 플러시메모리)(106a)와 버스(130)와의 사이에 스위치회로(200)가 삽입된다. 스위치회로(200)의 한쪽의 선택단(200a)은 버스(130)와 접속되고, 다른 한쪽의 선택단(200b)은 인터페이스(35)와 접속된다. 스위치회로(200)에 의해서, HDD(106a)는 버스(130)와 분리 가능하다.
뮤직서버(50)로부터의 압축음악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는 스위치회로(200)에 있어서 선택단(200b)으로 절환되거어 선택단(200b)을 통해 닫힌 회로가 형성된다. 인터페이스(34,35)를 통하여, HDD(106a)와 뮤직서버(50)의 버스(40)가 직접 접속된다. HDD(106a)는 서버(50)의 CPU(8)에서 보면, 흡사 뮤직서버(50)의 기록매체인 것 같이 보인다. 따라서, 뮤직서버(50)의 CPU(8)에 의해서, HDD(106a)의 직접적인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뮤직서버(50) 및 휴대기록재생장치(70)와의 사이에서의 압축음악데이터의 이동이나 복사 등을 용이하게 행한다.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뮤직서버(50) 단독으로 실행되는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CD-ROM드라이브(9)에 장착된 CD(55)의 음악데이터를 뮤직서버(50)의 HDD(10)의 디스크에 기록하는 경우의 처리인 일례의 프로우차트이다.
최초의 단계(S10)에서는, CPU가 사용자에 의한 CD(55)의 음악데이터의 HDD(10)로의 기록요구를 기다린다.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해 입력조작부(1)를 이용하여 기록요구가 입력되면, 처리는 단계(S11)로 이동한다. 단계(S11)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요구된 기록이 "고속기록"인지 "1배속 기록"인지가 판단된다. 예를 들면, 상술한 단계(S10)에서 기록요구가 나온 경우에, 기록방법, 즉, 기록을 고속으로 행하는지 1배속으로 행하는지가 동시에 지정된다. 여기에서 칭하는 "1배속의 기록"이란 CD(55)를 규정되어 있는 표준속도로 독출하여 HDD(10)의 디스크에 기록하는 동작을 지칭하고, "고속기록"이란 CD(55)에 지정되어 있는 표준속도의 2배 이상의 속도로 독출하여 HDD(10)의 디스크에 기록하는 동작을 지칭한다.
만약, 단계(S11)에서, "고속기록"을 행하도록 지정된 경우, 처리는 단계(S12)로 이동하고, 서버(50,60)의 비용청구시스템이 기동된다. 서버(50,60)의 비용청구시스템에 의한 처리는 이후에 기술한다. 서버(50)의 비용청구시스템에 의한 비용청구처리가 행해지고, 인터넷서버(60) 등의 장치로부터 고속기록이 허가되면, 처리는 단계(S13)로 이동하고, 압축엔코더(12)에 의해 고속압축처리가 기동되고, 처리는 단계(S15)로 이동한다.
한편, 단계(S11)에서 1배속으로 기록을 행하는 것이 지정된 경우, 처리는 단계(S14)로 이동하고, 압축엔코더(12)에서, 저속압축처리가 기동된다. 이어서, 처리는 단계(S15)로 이동한다.
단계(S15)에서는 CPU(8)의 제어에 기초하여, 소정의 속도에 따라 CD-ROM드라이브(9)가 구동되고, CD-ROM드라이브(9)에 장전된 CD(55)에 기록된 음악데이터가 독출된다. 독출된 음악데이터는 압축엔코더(12)에서 압축부호화되고, HDD(10)의 디스크에 전송되어 기록된다.
단계(S16)에서는, HDD(10)에 CD(55)로부터 독출된 압축음악데이터의 전송이 종료된 것으로 되면, 다음의 단계(S17)에서 CD-ROM드라이브(9)로부터 HDD(10)로의 데이터의 전송이 금지되고, 또한 다음의 단계(S18)에서 압축엔코더(12)의 압축처리가 정지된다.
도 8은 상술한 도 7의 플로우차트의 단계(S12)에서의 비용청구시스템의 비용청구처리의 일례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비용청구처리는 뮤직서버(50)와 인터넷서버(60)와의 사이에서 데이터통신이 행해짐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8A는 뮤직서버(50)에서의 비용청구처리시스템의 비용청구처리를 나타내고, 도 8B는 인터넷서버(60)에서의 비용청구처리시스템의 비용청구처리를 나타낸다.
비용청구처리가 개시되면, 먼저, 도 8A의 단계(S20)에서, 뮤직서버(50)와 인터넷서버(60)와의 사이에서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이 개시된다. 단계(S21)에서, 서버(50)와 서버(60)와의 사이에서 통신가능한 것이 확인되면, 처리는 단계(22)로 이동한다.
단계(S22)에서는, CD-ROM드라이브(9)에 장전되고 HDD(10)에 전송하고 기록한 CD(55)의 TOC정보와 사용자 ID가 뮤직서버(50)로부터 인터넷서버(60)에 대하여 송출된다. CD(55)의 TOC정보와 사용자 ID와 함께, 고속기록을 행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고속기록정보가 뮤직서버(50)로부터 인터넷서버(60)에 송출된다.
한편, 도 8B에 있어서, 인터넷서버(60)에는 뮤직서버(50)로부터 고속기록정보, 사용자 ID 및 TOC정보의 공급 또는 송신되어 올 때까지 기다린다(단계 S30). 서버(60)에서 그들의 고속기록정보, 사용자 ID 및 TOC정보가 수신되면, 단계(S31)에서 송신되어 온 TOC정보에 기초하여 서버(60) 내의 데이터베이스 또는 외부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송신되어 온 TOC정보의 검색이 행해진다. TOC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검색함으로써 CD(55)가 특정지어진다.
다음 단계(S32)에서 비용청구처리가 이루어진다. 고속기록이 행해진 곡수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비용청구하는 금액이 산출되는 동시에, 비용청구는 예를 들면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신용카드번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은행의 구좌로부터 인출되는 것으로 행해질 수 있다. 비용청구방법은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뮤직서버(50)에 선불카드를 독취하는 기능을 설치해 놓고, 설정된 비용청구액이 뮤직서버(50)에 대하여 송출되고, 사용자가 선불카드로부터 비용청구된 금액을 감액함으로써 비용청구액을 지불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다. 또, TOC정보에 기초하여, CD(55)의 내용에 의해 비용청구액을 변화시키기도 하고, CD(55)로부터 독출된 음악데이터를 HDD(10)의 디스크에 기록하는 것을 금지할 수도 있다.
단계(S33)에서, 비용청구정보가 뮤직서버(50)로 송출된다. 그리고, 도 8A에 있어서, 뮤직서버(50)측에서, 송신되어 온 비용청구정보의 내용 확인이 이루어진다(단계(S23)). 인터넷서버(60)측에서도, 뮤직서버(50)에서 비용청구처리가 수신되었는지 여부가 확인된다(단계(S34)). 이 단계는, 예를 들면, 뮤직서버(50)측에서 수신된 비용청구정보에 에러가 없고, 올바로 수신되었는지가 확인된 때에, 뮤직서버(50)로부터 서버(60)로 확인종료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송신함으로써 수행된다.
도 8A로 되돌아가서, 단계(S23)에서 뮤직서버(50)측에서 수신된 비용청구처리가 확인되면, 처리는 단계(S24)로 이동하고, 수신된 비용청구정보 등이 표시부(53)에 표시된다. 단계(S25)에서, CD-ROM드라이브(9)에 의해 CD(55)로부터 고속으로 음악데이터가 독출되고, 압축엔코더(12)에서 고속압축속도로 압축처리가 행해지고, 압축엔코더(12)로부터의 압축음악데이터가 HDD(10)에 공급되고, HDD(10)의 디스크에 기록된다. 이 단계(S25)는 상술한 도 7에서의 단계(S15)에 대응한다.
그런데, 본 실시의 제 1형태에서는, 뮤직서버(50)와 휴대기록재생장치(70)와의 사이에서, 연휴(連携; cooperative)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뮤직서버(50)로부터 휴대기록재생장치(70)로 음악데이터를 이동하는 경우에는 서버(50)와 장치(70)의 사이에서의 연휴동작이 이루어진다. 도 9는 이 이동의 일례의 플로우차트를 나타낸다.
우선, 최초의 단계(S40)에서, 뮤직서버(50)와 휴대기록재생장치(70)가 인터페이스(34,35)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서버(50)와 장치(70)와의 접속의 감지는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34,35) 사이에서 소정의 신호의 교환을 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서버(50)와 장치(70)와의 접속의 감지는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뮤직서버(50) 및 휴대기록재생장치(70)를 접속하는 부분에, 연결구조를 설치하고, 기계적인 검출기구를 이용하여 서버(50)와 장치(70)의 접속의 감지를 행할 수도 있다.
서버(50)와 장치(70)와의 접속이 단계(S40)에서 확인되면, 다음의 단계(S41)에서, HDD(10)에 기록되고 축적되어 있는 음악데이터의, 휴대기록재생장치(70)로의 이동이 요구되고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예를 들면, 표시부(53)에 HDD(10)에 축적되어 있는 압축음악데이터의 곡명을 비롯한 정보의 리스트가 표시되고, 사용자가 입력조작부(1)의 소정의 포인팅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표시부(53)에 표시되어 있는 리스트표시로부터 소정의 압축음악데이터가 선택된다. 또한 입력조작부(1)를 통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압축음악데이터에 대하여, 휴대기록재생장치(70)로의 이동의 지시가 입력된다.
입력조작부(1)를 이용하는 이동지시의 입력방법은 여러 가지로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부(53)에 이동을 지시하는 버튼이 표시되고, 이 버튼을 입력조작부(1)의 포인팅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지정하는 것으로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압축음악데이터마다 아이콘을 표시부(53)에 표시하고, 표시부(53)에 표시되어 있는 아이콘을 소정의 표시부(53)에 표시되어 있는 이동처인 휴대기록재생장치(70)를 나타내는 아이콘 상으로 이동하는, 소위 드레그 & 드랍에 의해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입력조작부(1)에 설치된 조작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이동지시를 행하여도 좋다.
단계(S41)에서 압축음악데이터의 이동요구가 있는 것으로 결정되면, 단계(S42)에서, 예를 들면 서버(50)측의 CPU(8)에 의해, 이동이 지정된 압축음악데이터의 파일사이즈, 즉 데이터 양이 조절된다. 다음 단계(S43)에서, 예를 들면 휴대기록재생장치(70)의 CPU(105)에 의해 HDD(106)의 빈 용량, 즉, 기록가능한 기억용량이 체크된다. 이 HDD(106)의 빈 용량과, 단계(S42)에서 체크된 이동이 지정된 압축음악데이터의 파일사이즈가 예를 들면 서버(50)의 CPU(8)에 의해 비교된다. 단계(S42)에서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CPU(8)에서 이동이 지정된 압축음악데이터가 이 HDD(106)에 기록가능한지 여부가 판단된다. 만약, HDD(106)로의 기록이 가능한 것으로 결정되면, 처리가 단계(S45)로 이동하고, 서버(50)로부터장치(70)를 향하여 이동이 지정된 압축음악데이터의 전송이 개시된다.
한편, 단계(S43)에서, 휴대기록재생장치(70)의 HDD(106)에 빈 용량이 부족한 것으로 결정되면, 처리는 단계(S44)로 이동한다. 단계(S44)에서는 이동이 지정된 압축음악데이터의 HDD(106)로의 기록이 가능하도록, 장치(70)의 CPU(105)에 의해, HDD(106)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압축음악데이터가 자동적 또는 이후에 기술하는 수순, 수법에 기초하여 삭제되고, 처리는 단계(S45)로 이동한다.
단계(S44)에서의 압축음악데이터의 삭제는 HDD(106)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압축음악데이터의, 소정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CPU(105)의 제어하에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예를 들면, 휴대기록재생장치(70)에, HDD(106)에 기록되어 있는 압축데이터마다 재생회로를 카운트해 놓고, 재생회수가 작은 것으로부터의 순서로 HDD(106)로부터 삭제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 HDD(106)에 기록된 날짜의 오래된 것부터의 순서로, HDD(106)에 기록되어 있는 압축음악데이터를 삭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단계(S44)에서 HD(106)로부터 압축음악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삭제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중요한 압축음악데이터가 HD(106)로부터 삭제되어 버린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뮤직서버(50)의 표시부(53)나 휴대기록재생장치(70)의 LCD(120)에, HD(106)로부터 자동적으로 압축음악데이터가 삭제되는 동작상태로 되는 것과, 삭제되는 데이터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등의 경고표시를 행하고, 사용자의 확인을 얻고 나서 HD(106)로부터 압축음악데이터를 삭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뮤직서버(50)의 표시부(53)나 휴대기록재생장치(70)의 LCD(120)에,HDD(106)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압축음악데이터의 리스트를 표시하여, 삭제하고자 하는 압축음악데이터를 사용자 자신이 선택하도록 하는 방법도 취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S43) 및 단계(S44)의 처리에 의해, HDD(10)에 기억되어 있는 압축음악데이터 중 이동이 지정된 압축음악데이터의, HDD(106)로의 기록이 가능한 상태로 되면, 단계(S45)에서, 뮤직서버(50)로부터 휴대기록재생장치(70)로의 압축음악데이터의 송신, 즉, 전송이 개시된다. 즉, HDD(10)로부터 독출된 압축음악데이터는 버스(40) 및 인터페이스(234)를 통하여 휴대기록재생장치(70)에 공급된다. 휴대기록재생장치(70)에서는, 인터페이스(34)를 통하여 공급된 압축음악데이터가 인터페이스(35)를 통하여 HDD(106)에 기록된다.
전송된 압축음악데이터는 뮤직서버(50)측의 HDD(10)에도 장치(70)로의 전송전과 동일하게 존재하고 있다. 본 실시의 제 1형태에서는 장치(70)로의 전송을 끝내고, 즉 장치(70)로 이동되고, HDD(10)에 존재하는 해당하는 압축음악데이터의 재생이 뮤직서버(50)측에서 금지되게 된다(단계(S46)). 예를 들면, 장치(70)로의 이동이 완료한 시점에서 HD(10)의 압축음악데이터에 대하여 재생금지를 나타내는 재생금지플래그가 설정되어 진다. 이 재생금지플래그에 의해, 서버(50)의 CPU(8)에 의해 장치(70)로 이동된 압축음악데이터의 재생이 금지된다. 이것은 HDD(10)에 기록되어 있는 압축음악데이터가 뮤직서버(50)로부터 휴대기록재생장치(70)로, 가상적으로 음악데이터가 이동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복수의 압축음악데이터 중 서버(50) 또는 장치(70)에 의해 재생 할 수 있는 음악데이터는 항상 한 개밖에 존재하지 않도록 관리되고, 부정한 음악데이터의 복제가 방지된다.
다음 단계(S47)에서는 압축음악데이터의 장치(70)로의 또 다른 이동요구가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만약, 또 다른 압축음악데이터의 이동을 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S42)로 되돌아간다. 그 이상의 음악데이터의 이동요구가 없는 경우에는 일련의 음악데이터의 이동처리가 종료된다.
또, 위 설명에서는 도 9의 플로우차트의 단계(S42)-단계(S46)에서 HDD(10)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압축음악데이터 중 한 개의 압축음악데이터를 서버(50)로부터 장치(70)로 이동하도록 설명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의 압축음악데이터를 함께 서버(50)로부터 장치(70)로 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의 제 1형태에서는, 단계(S46)의 처리에서, 이동원인 뮤직서버(50)의 HDD(10)에 이동된 압축음악데이터가 재생금지로 될 뿐으로, 압축음악데이터자신은 존재하고 있도록 설명하였지만, 이 예에 한정하지 않고, 이동된 압축된 압축음악데이터를 HDD(10)로부터 삭제, 즉 데이터 자신을 소거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술한 실시의 제 1형태에서는 압축음악데이터를 뮤직서버(50)로부터 휴대기록재생장치(70)로 이동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역방향으로의 이동, 즉, 휴대기록재생장치(70)의 HDD(106)에 기록되어 있는 압축음악데이터를 뮤직서버(50)의 HDD(10)로 이동시키는 것도, 도 9에 나타낸 플로우차트와 유사한 처리에 따라 실행이 가능하다.
이때, 뮤직서버(50)로부터 휴대기록재생장치(70)로 이동한 압축음악데이터를다시 휴대기록재생장치(70)로부터 뮤직서버(50)로 이동함으로써, 뮤직서버(50)에 서, HDD(10)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압축음악데이터 중, 장치(70)로부터 이동되어 온 압축음악데이터의 재생금지플래그가 해제된다. 즉, 재생금지플래그가 해제됨으로써, 이동원으로 되어 있는 압축음악데이터는 다시 뮤직서버(50)에서 재생할 수 있도록 된다. 이 경우, 장치(70)의 HDD(106)에 기억되었던 이동된 압축음악데이터는 데이터 자신을 HDD(106)로부터 소거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 HDD(106) 관리 테이블 상으로부터 이동된 압축음악데이터의 관리데이터를 삭제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뮤직서버(50)로 외부로부터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고, 뮤직서버(50)에 축적된 음악데이터의 검색을 용이하게 한다. 즉, 뮤직서버(50)와 외부의 정보기기, 예를 들면 퍼스널컴퓨터를 소정의 인터페이스에 의해 접속하고, 예를 들면 CD-ROM이란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제공된 데이터베이스를 이 퍼스널컴퓨터 상에서 검색하고, 뮤직서버(50)에 전송한다.
음악서버(50)에서, 전송된 정보를 HDD(10)에 기록된 음악데이터와 관련시켜 축적함으로써, 사용자는 HDD(10)에 기록된 음악데이터의 검색이나 관리를 이 축적된 정보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HDD(10)에 필요한 정보만이 축적되므로, HDD(10)에 있어서 불필요한 용량을 소비하지 않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제 1형태에 적용가능한 정보검색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뮤직서버(50)와 퍼스널컴퓨터(300)가 소정의 인터페이스에 따라, 접속선(301)에 의해 접속된다. 퍼스널컴퓨터(300)는 예를 들면 LCD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302), CD-ROM(310)을 장전한 CD-ROM장전부(303) 및 키입력부(304)등을 구비한다. 입력디바이스로서, 마우스 등의 포인팅디바이스를 접속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도시하지 않았지만, 퍼스널컴퓨터(300)에는 외부와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커넥터가 설치되어 있다.
도 11은 퍼스널컴퓨터(30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퍼스널컴퓨터(300)는 일반적인 구성을 갖고, 버스(400)에 의해 CPU(401), ROM(402), RAM(403), 그래픽어뎁터(404), 입력인터페이스(406), HDD(409), CD-ROM드라이브(410) 및 통신인터페이스(411)가 접속된다. CD-ROM장전부(303)에 CD-ROM(310)이 삽입됨으로써, CD-ROM장전부(303)가 CD-ROM드라이브(410)에 장전되고, CD-ROM(310)에 기록된 정보의 독출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또한, 그래픽어뎁터(404)에, 디스플레이(302)에 대응하는 LCD(405)가 접속된다. 또, 입력디바이스로서 예를 들면 키입력부(304)에 대응하는 키보드(407) 및 마우스(408)가 입력인터페이스(406)에 접속된다. 통신인터페이스(411)는 IEEE1394, USB, IrDA 등을 이용한 것이 가능하며, 외부기기와의 통신을 행한다.
퍼스널컴퓨터(300)와 뮤직서버(50)와 접속한 경우의 인터페이스는 퍼스널컴퓨터(300)와 뮤직서버(50)와의 쌍방에서 서로 호환가능하기만 하면되고, 예를 들면, 상술한 예에서는, IEEE1394, USB, IrDA 인터페이스 등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인터페이스로서 IrDA를 적용한 경우에는 접속선(301)을 생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CD-ROM(310)에는, 음악데이터에 관한 정보, 즉, 오디오신호로서 재생된 음악데이터 이외의 음악데이터에 관련한 부가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기록되어 있다. 예를 들면, 당해 음악데이터의 연주자명, 수록앨범명, 총 곡수, 각 트랙의 시간, 각 트랙의 곡명 및 재킷화상이 기록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이 부가정보를 CD앨범정보로 칭한다. CD-ROM(310)에는 이 CD앨범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된 CD앨범정보 데이터베이스가 기록되어있다.
또, CD앨범정보에는 상술한 것 외에도 여러 가지 부가정보를 부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록앨범의 해설 등의 텍스트정보나 동화상데이터 등도, 부가정보로서 기록할 수 있다.
또, CD앨범정보 데이터베이스가 제공된 기록매체는 CD-ROM에 한정되지 않는다. DVD-ROM(Digital Versatile Disc-Read Only Memory)나 반도체메모리에 의해 CD앨범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도록 하여도 좋다.
뮤직서버(50)에 CD(55)의 음악데이터가 HDD(10)에 고속 혹은 1배속으로 기록되는 경우에, CD(55)의 TOC정보가 퍼스널컴퓨터(300)에 보내지고, 퍼스널컴퓨터(300)에는, 이 보내진 TOC정보에 기초하여, CD-ROM(310)에 기록되어 있는 CD앨범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기록된 CD(55)에 대응하는 CD앨범정보가 검색된다. 검색된 CD앨범정보는 퍼스널컴퓨터(300)로부터 뮤직서버(50)로 전송되고, CD(55)의 TOC정보와 관련시켜, HDD(10)에 기록된다.
CD(55)에 기록되어 있는 음악데이터를 HDD(10)에 기록할 때마다, CD-ROM(310)으로부터 CD앨범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CD앨범정보를 HDD(10)에 기록할 수 있다. 또, 이미 CD(55)로부터 재생된 HDD(10)에 기록되어 있는 음악데이터에 관해서도, 모든 기록된 음악데이터에 대한 CD앨범정보를 추출하여 모두 함께HDD(10)에 기록할 수 있다.
HDD(10)에,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CD앨범정보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HDD(10)에 기록된 음악데이터의 검색이나 관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HDD(10)에 기록된 음악데이터의 재생과 동시에, 표시부(53)에 대응하는 CD앨범정보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뮤직서버(50)로부터 휴대기록재생장치(70)로 음악데이터의 이동을 행하는 경우에도, 이동된 음악데이터에 대응한 CD앨범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 위 설명에서는, CD앨범정보의 데이터베이스를 뮤직서버(50)의 HDD(10)에 구축하도록 설명하였지만, 이것은 이 예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CD앨범정보의 데이터베이스는, 항상 CD-ROM(310) 상에만 유지되도록 하고, HDD(10)에 기록된 음악데이터 및 TOC정보와, CD-ROM(310)에 기록된 데이터베이스를 관련시키는 데이터베이스를 퍼스널컴퓨터(300) 상에 구축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퍼스널컴퓨터(300)에서는 뮤직서버(50)의 음악데이터 및 TOC정보에 기초하여 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검색결과에 기초하여, CD-ROM(310) 상의 필요한 CD앨범정보를 찾아내도록 한다.
상술한 CD앨범정보 검색시스템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뮤직서버(50)에서는, CD(55)에 기록되어 있는 음악데이터를 HDD(10)에 기록하는 경우에 CD(55)로부터 독출된 TOC정보에 기초하여, CD(55)의 각각에 대해서, 총 연주시간, 총 트랙수 및 각 트랙마다의 연주시간이 추출되고, TOC정보테이블이 작성된다. 도 12는 이 TOC정보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 TOC정보테이블은 예를 들면HDD(10)에 기술된다.
뮤직서버(50)에서는 CD(55)로부터 재생된 데이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압축부호화되고, 파일로서 HDD(10)에 기술된다. 음악데이터가 기록된 파일과 HDD(10)상에서의 어드레스정보가 관련되어지고, 도 13에 일례를 나타낸 파일관리 테이블이 작성된다. HDD(10)에 기록된 음악데이터는 이 파일관리테이블을 이용하여 관리된다. 이 파일관리테이블과 상술한 TOC정보테이블이 관련되어지고, 콘텐츠데이터베이스가 구성된다. 예를 들면, CD번호 [1]의 2트랙의 음악데이터를 파일번호[002]에 대응하도록, 양자가 관련되어진다.
한편, CD-ROM(310)에 기록된 CD앨범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예를 들면 도 14에 일례를 나타낸 테이블로 이루어진다. 각 CD앨범마다, 연주자명, 앨범명, 총곡수, 각 트랙의 시간, 각 트랙의 곡명 및 재킷 화상이 격납된다. 또, 재킷화상은 파일명만 기술하고, 재킷화상데이터 자신을 CD-ROM(310) 상의 다른 영역에 배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으로, CD-ROM(310)에 기록된 CD앨범정보를 HDD(10)에 기록하는 처리에 대해서, 도 15의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5에 있어서, 도 15B는 퍼스널컴퓨터(300)측에서의 처리를 나타내고, 도 15A는 뮤직서버(50)에서의 처리를 나타낸다. 퍼스널컴퓨터(300)에서의 처리는 소정의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CPU(401)의 제어 하에 행해진다. 이와 비슷하게, 뮤직서버(50)에서의 처리는 소정의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CPU(8)의 제어 하에 행해진다.
또, 퍼스널컴퓨터(300)에는, 미리 CD-ROM드라이브(410)에 CD-ROM(310)이 장전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 퍼스널컴퓨터(300)의 통신인터페이스는 IEEE1394를 따르고, 뮤직서버(50)는 1394인터페이스(28)로부터 접속선(301)을 통하여 퍼스널컴퓨터(300)와 접속되고, 퍼스널컴퓨터(300)와 뮤직서버(50)와의 사이에서의 쌍방향의 통신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우선, 도 15A의 단계(S50)에서, CD(55)가 CD-ROM드라이브(9)에 장전된다. 다음으로, CD-ROM드라이브(9)에 의해서 CD(55)로부터 TOC정보가 독취된다(단계(S51)). 독취된 TOC정보는 TOC정보테이블에 기록되는 동시에, 1394인터페이스(28) 및 접속선(301)을 통하여 퍼스널컴퓨터(300)에 전송된다. 또, TOC정보테이블이 HDD(10) 상에 존재하지 않는 때에는, 새롭게 TOC정보테이블이 작성된다.
TOC정보가 전송되면, 다음의 단계(S53)에서, CD(55)에 기록되어 있는 음악데이터가 CD-ROM드라이브(9)에서 재생되고, 압축엔코더(12)에서 압축부호화된 후 HDD(10)에 기록된다. 이 때, 압축부호화된 음악데이터의 HDD(10)로의 기록에 따라, 상술한 도 13에 나타낸 파일관리테이블이 갱신된다. 또, 파일관리테이블이 HDD(10)에 존재하지 않은 때에는, 새롭게 파일관리테이블이 작성된다.
한편, 퍼스널컴퓨터(300)에서는 도 1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계(S54)에서, 뮤직서버(50)로부터 접속선(301)을 통하여 전송된 TOC정보가 통신인터페이스(411)에 의해 수신된다. 그리고, 다음의 단계(S55)에서, 수신된 TOC정보에 기초하여, CD-ROM(310)에 기록되어 있는 CD앨범정보 데이터페이스가 검색된다.
TOC정보에 기초한 CD앨범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검색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상술한 바와 같이, TOC정보는 CD(55)에 수록된 음악데이터의 총 연주시간, 총 트랙수 및 각 트랙마다의 연주시간을 포함한다. 한편, CD앨범정보는 CD(55)에 수록된 음악데이터의 총 곡수(총 트랙수), 각 트랙의 시간의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CD앨범정보에서는, 각 트랙시간과 총 곡수로부터 총 연주시간을 구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예를 들면 TOC정보의 총 연주시간과 총 트랙수에 기초하여 CD앨범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이것들이 일치하는 CD앨범정보를 추출한다. 이 단계에서 CD앨범정보가 하나로 좁혀지면, 예를 들면 그 취지가 디스플레이(302)에 표시되고, 사용자에 확인을 재촉한다. 한편, 이 단계에서 복수의 CD앨범정보가 후보로서 추출되면, 다음으로, TOC정보의 각 트랙의 시간정보와, 후보로 된 각각의 CD앨범정보의 각 트랙의 시간정보를 비교하고, 모두 일치한 CD앨범정보를 검색결과로 추출한다. 또, 모든 트랙 정보를 비교하지 않고도, 예를 들면 최초의 3트랙만을 각각 비교하여 결과를 출력하여도 좋다.
도 15A를 다시 보면, 검색결과, 뮤직서버(50)로부터 전송된 TOC정보에 대응한 CD앨범정보가 CD앨범정보 데이터베이스 상에 존재하면, 그 정보를 출력한다. 출력된 CD앨범정보는 통신인터페이스(41) 및 접속선(301)을 통하여 뮤직서버(50)에 전송된다(단계(S56)). 뮤직서버(50)에서는, 단계(S56)에서 퍼스널컴퓨터(300)로부터 전송된 CD앨범정보가 1394인터페이스(28)에 의해 수신된다. 수신된 CD앨범정보는 HDD(10)에 기록된다.
또, CD앨범정보는 CD-ROM(310)에 기록된 CD앨범정보 데이터베이스와 같이, 데이터베이스화하여 HDD(10)에 기록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HDD(10)에 CD앨범정보를 기록하는 경우에, 상술한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은 CD앨범정보의 테이블을 작성한다. 이때, 특정한 항목을 키로서 인덱스파일 등을 작성하면, 이후에 HDD(10) 상의 CD앨범정보를 이용하여 검색을 행하도록 할 때에 편리하다.
CD앨범정보가 HDD(10)에 기록되면, CD-ROM(310)에서 공급된 CD앨범정보와, CD(55)에서 재생된 HDD(10)에 기록된 음악데이터가 관련되어진 관리데이터베이스가 작성된다. 도 16은 이 관리데이터베이스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관리데이터베이스에 있어서, CD앨범정보와 파일관리데이터가 관련되어 관리된다. 관리데이터베이스에서는, 또한, 당해 음악데이터의 녹음일시 및 비용청구정보를 링크하여 관리하도록 하여도 좋다. 관리데이터베이스는 예를 들면 뮤직서버(50)의 HDD(10)에 기록된다.
뮤직서버(50)의 제어 어플리케이션은 이 관리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HDD(10)에 기록된 음악데이터의 관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CD앨범정보에 의하여 필요한 정보를 취출하고, 파일관리테이블에 의해 음악데이터를 재생한다.
위 설명에서는, 뮤직서버(50)측에서 CD(55)에 기록되어 있는 음악데이터를 HDD(10)에 기록할 때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HDD(10)에 미리 음악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도, 비슷한 방식으로, CD-ROM(310) 상의 CD앨범정보데이터베이스의 검색을 행하고, 검색된 CD앨범정보를 HDD(10)에 기록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CD(55)에 기록된 음악데이터가 재생되고, HDD(10)에 기록된 경우에, CD(55)의 TOC정보가 독출되고 HDD(10)의 TOC정보테이블에 기록된다. 도 15B의 플로우차트의 단계(S54)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300)로부터 뮤직서버(50)로, HDD(10)의 TOC정보테이블의 데이터가 요구된다. 이 요구에 기초하여, 뮤직서버(50)에서 HDD(10)로부터 TOC정보가 독출되고, 독출된 TOC정보가 뮤직서버(50)로부터 퍼스널컴퓨터(300)에 보내진다.
퍼스널컴퓨터(300)에서는, 이 TOC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TOC정보에 기초하여 CD-ROM(310)에 기록된 CD앨범정보 데이터베이스가 검색된다(단계(S55)). 그리고, 검색된 CD앨범정보가 퍼스널컴퓨터(300)로부터 뮤직서버(500)에 보내진다(단계(S56)). 뮤직서버(50)로부터 복수의 TOC정보가 보내질 때에는, 퍼스널컴퓨터(300)에서, 대응하는 복수의 CD앨범정보가 검색되고, 뮤직서버(50)로 보내진다. 뮤직서버(50)에서는, 보내진 CD앨범정보를 수신하고, HDD(10)에 기록한다.
또, 상술한 관리데이터베이스를 퍼스널컴퓨터(300) 측에서 작성할 수도 있다. 즉, 관리데이터베이스를 퍼스널컴퓨터(300)의 HDD(409) 상에 작성할 수 있다. 이 경우, HDD(10)에 기록된 음악데이터를 검색하는 경우에, 퍼스널컴퓨터(300)를 뮤직서버(50)에 접속하여 두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CD앨범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퍼스널컴퓨터(300) 측의 CD-ROM(310)에만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뮤직서버(50)에서는 예를 들면 HDD(10)에 기록된 음악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에, 관리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재생되는 음악데이터에 대응하는 CD앨범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검색되고 독출된 CD앨범정보는 표시부(53)에 표시된다. 표시부(53)가 화상표시가 가능한 경우에는, 재킷화상 등을 표시부(53)에 표시할 수도있다. 또, HDD(10)에 기록되어 있는 CD앨범정보를 리스트로 하여 표시부(53)에 표시하고, 이 리스트표시에 기초하여, HDD(10)에 기록되어 있는 음악데이터의 관리를 행할 수도 있다.
또한, 뮤직서버(50)에서는 HDD(10)에 기록되어 있는 CD앨범정보를 곡명이나 연주자명 등의 소정의 검색어에 의해 검색하도록 할 수 있다. 검색된 CD앨범정보는 표시부(53)에 표시된다. 관리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함으로써, 검색결과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음악데이터의 파일을 재생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의 제 2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의 제 1형태에서는, 뮤직서버(50)에서, CD(55)의 TOC정보를 이용하여, CD(55)에 대응하는 CD앨범정보를 얻었다. 이와 달리, 본 실시의 제 2형태에서는 음악CD의 데이터 포맷 중의 데이터(Q)에 기록된 ISRC(International Standard Recorded Code)를 이용하여 CD앨범정보를 특정짓는다. 또, 본 실시의 제 2형태는 상술한 실시의 제 1형태와 동등한 구성으로 실현 가능한 것이다.
우선, ISRC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ISRC는 오디오 및 비디오신호가 기록된 기록매체의 저작권 등에 관한 국제표준코드이며, 유럽(특히 독일)에서 이용되고 있다. 도 17은 데이터(Q)의 모드(3)의 데이터배열을 나타낸다. 맨 앞에 동기 패턴(So,S1)이 배치되고, 이어서, 각각 4비트씩 콘트롤코드 및 어드레스코드가 배치된다. 어드레스코드에 이어서 60비트의 ISRC가 배치된다. ISRC에 이어서 ZERO, AFRAME 및 16비트의 CRC가 배치된다.
60비트의 ISRC 중, I1- I5는 각각 6비트이고, I6- I12는 각각 4비트이다. I1및 I2는 국명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파벳의 2문자로 이루어진다. I3, I4및 I5는 알파벳과 2비트의 숫자와의 조합이며, 24480의 소유자(owner)를 개별적으로 식별가능하다. I6및 I7은 각각 숫자로 이루어지며, 기록된 연도를 표시한다. I8- I12는 각각 숫자로 이루어지고, 제품번호를 표시한다.
이와 같이, ISRC에 의해, 타이틀이 다른 음악CD를 각각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ISRC를 이용하는 경우, CD-ROM(310)에 기록된 CD앨범정보 데이터베이스에 ISRC의 항목이 제공되며, 각 CD앨범정보에 각각 대응하는 ISRC를 항목으로 기록한다.
한편, 뮤직서버(50)에 있어서, CD(55)에 기록된 음악데이터를 재생하여 HDD(10)에 기록하는 경우에, 우선, CD(55)에 기록된 음악데이터 중 소정의 데이터, 예를 들면 CD(55)에 최초의 곡으로서 기록된 음악데이터의 데이터(Q)의 모드(3)를 읽고, ISRC가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ISRC가 기록되어 있으면, ISRC를 독출하고, 독출된 ISRC를 퍼스널컴퓨터(300)에 보낸다.
이 ISRC가 수신된 퍼스널컴퓨터(300)에서는 CD-ROM(310)에 기록된 CD앨범정보 데이터베이스의 ISRC의 항목이 체크된다. 그 결과, 수신된 ISRC와 일치하는 ISRC가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면, 대응하는 CD앨범정보를 CD-ROM(310)으로부터 독출하고, 퍼스널컴퓨터(300)로부터 뮤직서버(50)에 보낸다.
이와 같이, ISRC를 이용하면, 한번의 검사처리에 의해 확실히, 얻고자 하는CD앨범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 CD(55)에 ISRC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술한 실시의 제 1형태에 의한 TOC정보에 기초하여 검색대상을 좁히는 검색을 행함으로써, CD앨범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CD앨범의 부가정보가 CD-ROM에 제공되고, 이 CD-ROM으로부터, 뮤직서버의 기록매체에 기록된 음악데이터에 대응한 CD앨범의 부가정보가 독출되기 때문에, 뮤직서버에 의해, CD의 음악데이터를 대량으로 기록하도록 한 기록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을 번거롭게 하지 않고, 기록된 음악데이터의 정리 및 검색정보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사용하는데 있어 편리함이 비약적으로 향상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CD앨범정보를 CD-ROM에 기록하여 제공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CD앨범정보의 제공 혹은 갱신을 비용면에서 매우 유리하게 현실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5)

  1. 제 1기억매체에 기억된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에 대응한 식별정보를 독출하기 위한 제 1독출수단과;
    상기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것으로 제 2기억매체에 기억된 부가정보를 독출하기 위한 제 2독출수단과;
    상기 제 1기억매체로부터 독출된 상기 데이터와, 상기 부가정보를 상기 데이터에 대응시키는 대응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부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를 검색하는 검색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정보를 기억매체에 기록하기 위한 기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수단이 상기 제 1기억매체로부터 독출된 상기 데이터와 상기 부가정보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수단이 상기 제 1기억매체로부터 독출된 상기 데이터를 기억하고, 또한 상기 부가정보를 상기 데이터에 대응시키는 상기 대응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을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이 상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식별정보와, 상기 부가정보의 식별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이 상기 부가정보의 소정의 인덱스명(index name)과, 상기 데이터의 타이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이 상기 데이터의 제 1어드레스포인터와; 상기 부가정보의 제 1어드레스포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독출수단이 상기 제 1기억매체에 기억된 상기 데이터를 고속으로 독출하고,
    상기 고속이 상기 데이터의 실시간 재생속도보다 빠르며,
    상기 기억수단이 상기 제 1독출수단의 독출속도에 해당하는 상기 고속으로 상기 데이터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독출수단이 상기 제 1기억매체에 기억된 상기 데이터를 상기 고속으로 독출하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독출수단이 상기 제 1기억매체에 기억된 상기 데이터를 상기 고속으로 독출하는 것을 상기 검출수단이 검출할 때, 사용자에게 비용청구하는 비용청구수단을 추가적으로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독출수단이 상기 제 1기억매체에 기억된 상기 데이터를 상기 고속으로 독출하는 것을 상기 검출수단이 검출할 때, 상기 데이터를 상기 고속에 따른 속도로 압축하는 압축수단을 추가적으로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독출수단이 상기 제 1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식별정보로서 TOC정보를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독출수단은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식별정보로서 ISRC를 독출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기억매체로부터 독출된 상기 데이터를 압축하는 압축수단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기억수단이 상기 압축수단에 의해 압축된 압축데이터와 상기 부가정보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수단이 ATRAC포맷을 사용하여 상기 제 1기억매체에 기억된 상기 데이터를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수단이 MPEG포맷을 사용하여 상기 제 1기억매체에 기억된 상기 데이터를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독출수단이 추가적인 검색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추가적인 검색수단이 상기 제 2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식별정보에 따라 상기 부가정보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기억매체가 상기 데이터의 재생시간정보와 상기 데이터의 타이틀을 기억하고,
    상기 추가적인 검색수단이 상기 제 2기억매체에 기억된 상기 데이터의 상기 타이틀을 검색하고,
    상기 데이터의 상기 타이틀과, 상기 재생시간정보가 상기 식별정보로서 TOC정보에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기억매체가 상기 데이터에 해당하는 ISRC와 상기 데이터의 타이틀을 기록하고,
    상기 추가적인 검색수단이 상기 식별정보로서 상기 ISRC에 해당하는 상기 데이터의 상기 타이틀과 상기 제 2기억매체에 기억된 상기 데이터의 상기 타이틀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수단이 상기 부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대응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대응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부가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데이터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정보는 상기 부가정보의 소정의 인덱스명에 상기 데이터의 타이틀을 대응시키고,
    상기 검색수단은 상기 소정의 인덱스명에 따라 상기 대응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대응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의 인덱스명에 대응하는 상기 데이터의 상기 타이틀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2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기억매체에 기억된 상기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수단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수단이 상기 검색수단에 의해 검색된 상기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2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기억매체에 기억된 상기 부가정보를 재생하는 추가적인 재생수단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재생수단에 의해 재생된 상기 부가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2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수단이 자기디스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2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기억매체가 광디스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독출수단이 상기 광디스크에 기억된 상기 데이터를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2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독출수단이 상기 제 1기억매체로부터 음성데이터를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독출수단이 상기 제 1기억매체로부터 음악정보를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2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기억매체는 광디스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독출수단은 상기 광디스크에 기억된 상기 부가정보를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3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기억매체는 반도체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독출수단이 상기 반도체메모리에 기억된 상기 부가정보를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31. 제 1기억매체에 기억된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식별정보를 독출하는 제 1독출수단과;
    상기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전송수단과;
    제 2기억매체에 기억된 상기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상기 전송수단에 의해 전송된 상기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부가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제 1기억매체로부터 독출된 상기 데이터를 기억하고, 상기 데이터에 상기 부가정보를 대응시키는 대응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부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를 검색하는 검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전송 및 수신장치.
  32. 제 1기억매체에 기억된 데이터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제 2기억매체에 기억된 상기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부가정보를 독출하는 독출수단과;
    상기 독출수단에 의해 독출된 상기 부가정보를 전송하는 전송수단과;
    상기 부가정보를 상기 제 1기억매체에 기억된 상기 데이터에 상기 부가정보를 대응시키는 대응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송 및 수신장치.
  33. 제 1기억매체에 기억된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에 대응한 식별정보를 독출하는 단계와;
    제 2기억매체에 기억된 것으로, 상기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부가정보를 독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 1기억매체로부터 독출된 상기 데이터에 상기 부가정보를 대응시키는 단계와;
    상기 부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기억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
  34. 제 1기억매체에 기억된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에 대응한 식별정보를 독출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된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것으로, 제 2기억매체에 기억된 상기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부가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1기억매체로부터 독출된 상기 데이터에 상기 부가정보를 대응시키는 단계와;
    상기 부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데이터 전송 및 수신방법.
  35. 제 1기억매체에 기억된 데이터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정보에 따라 제 2기억매체에 기억된 부가정보를 독출하는 단계와;
    상기 독출된 부가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 1기억매체에 기억된 상기 데이터에 상기 부가정보를 대응시키는 대응정보를 기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데이터 전송 및 수신방법.
KR1020000058670A 1999-10-13 2000-10-06 기록 및 재생장치 및 방법, 단말장치, 송수신 방법 및기억매체 KR1007158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9086499A JP2001110171A (ja) 1999-10-13 1999-10-13 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端末装置、送受信方法、ならびに、記憶媒体
JP99-290864 1999-10-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7294A true KR20010067294A (ko) 2001-07-12
KR100715801B1 KR100715801B1 (ko) 2007-05-07

Family

ID=17761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8670A KR100715801B1 (ko) 1999-10-13 2000-10-06 기록 및 재생장치 및 방법, 단말장치, 송수신 방법 및기억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6449226B1 (ko)
JP (1) JP2001110171A (ko)
KR (1) KR100715801B1 (ko)
CN (1) CN1190793C (ko)
DE (1) DE10049841B4 (ko)
GB (1) GB2358952B (ko)
TW (1) TW512322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3852A (ko) * 2001-10-25 2003-05-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기록매체의 부가정보 관리방법 및 그 장치
KR20030035377A (ko) * 2001-10-31 2003-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호스트와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및 그 데이터 통신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769736C (en) * 1997-07-09 2013-05-14 Advanced Audio Devices, Llc Device for editing and non-volatile optical storage of digital audio
JP2001195825A (ja) * 1999-10-29 2001-07-19 Sony Corp 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
JP2001155471A (ja) * 1999-11-29 2001-06-08 Pioneer Electronic Corp 記録再生装置
JP4135287B2 (ja) * 2000-02-01 2008-08-20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携帯装置、データ転送システム、データ転送方法、データ再生方法、データ転送及び再生方法
US6834308B1 (en) 2000-02-17 2004-12-21 Audible Mag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media content presented on a media playing device
US6692486B2 (en) * 2000-05-10 2004-02-17 Minnesota Medical Physic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ment of cerebral aneurysms, arterial-vascular malformations and arterial fistulas
US7237198B1 (en) * 2000-05-22 2007-06-26 Real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for the control of a music player to a device driver
US8010988B2 (en) 2000-09-14 2011-08-30 Cox Ingemar J Using features extracted from an audio and/or video work to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work
US8205237B2 (en) 2000-09-14 2012-06-19 Cox Ingemar J Identifying works, using a sub-linear time search, such as an approximate nearest neighbor search, for initiating a work-based action, such as an action on the internet
JP2002093123A (ja) * 2000-09-18 2002-03-29 Sony Corp 情報データ記録再生装置
US7277765B1 (en) 2000-10-12 2007-10-02 Bose Corporation Interactive sound reproducing
US7562012B1 (en) 2000-11-03 2009-07-14 Audible Mag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 unique audio signature
JP4216460B2 (ja) * 2000-12-26 2009-01-28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端末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US20020087624A1 (en) * 2000-12-28 2002-07-04 Gateway, Inc. Method and device for temporarily storing data
US7100113B2 (en) * 2001-01-08 2006-08-29 Apple Computer, Inc.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media upon insertion into a data processing system
US8458754B2 (en) 2001-01-22 2013-06-04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stant start multimedia content
US20030039176A1 (en) * 2001-02-01 2003-02-27 Depoalo Fred Tandem compact disc player
JP2002268923A (ja) * 2001-03-07 2002-09-20 Pioneer Electronic Corp 情報再生装置及びプログラム情報の消去方法
KR20020072453A (ko) * 2001-03-10 2002-09-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재생장치 및 부가정보 서비스 서버 시스템
US20020191788A1 (en) * 2001-03-28 2002-12-19 Eastman Kodak Company Credit or debit copy-protected optical disc
US7363278B2 (en) 2001-04-05 2008-04-22 Audible Magic Corporation Copyright detection and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US7529659B2 (en) * 2005-09-28 2009-05-05 Audible Mag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n unknown work
US7149156B2 (en) * 2001-07-11 2006-12-12 Sony Corporation Editing apparatus for optical reproducing device
JP2003030964A (ja) * 2001-07-11 2003-01-31 Sony Corp 再生装置および編集装置
US8972481B2 (en) 2001-07-20 2015-03-03 Audible Magic, Inc. Playlist generation method and apparatus
US7877438B2 (en) 2001-07-20 2011-01-25 Audible Mag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new media content
JP2003099207A (ja) * 2001-09-26 2003-04-04 Fuji Photo Film Co Ltd マスストレージ機器及びマスストレージ機器付属出力装置のデータ出力方法
DE10148856A1 (de) * 2001-10-04 2003-04-30 Bosch Gmbh Robert Abspielgerät für Speichermedien
CA2475442C (en) * 2002-03-08 2011-08-09 Awar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high rate ofdm communications
TW573255B (en) * 2002-03-22 2004-01-21 Via Tech Inc Commonly sharing switching device of CD player, method and application system thereof
US7573785B2 (en) 2002-04-15 2009-08-11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udio tracks into large storage device
JP4200686B2 (ja) 2002-05-08 2008-12-2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通信端末、情報配信装置、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受信方法、情報配信方法
US20030226119A1 (en) * 2002-05-28 2003-12-04 Chi-Tung Chang Integrated circuit design of a standard access interface for playing compressed music
JP2004005811A (ja) * 2002-05-31 2004-01-08 Pioneer Electronic Corp 楽曲記録再生装置、楽曲記録再生装置におけるリスト作成方法および、リスト作成処理プログラム
US7096187B1 (en) * 2002-07-23 2006-08-22 Harris Scott C Compressed audio information
KR100824380B1 (ko) * 2002-08-08 2008-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기록/재생 장치 및 그 메뉴안내 표시방법
JP2004206749A (ja) 2002-12-24 2004-07-22 Funai Electric Co Ltd データ記憶装置
US8332326B2 (en) 2003-02-01 2012-12-11 Audible Mag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identify a work received by a processing system
JP4343551B2 (ja) * 2003-02-25 2009-10-1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等
US7412459B1 (en) * 2003-03-25 2008-08-12 Microsoft Corporation Dynamic mobile CD music attributes database
US20050114374A1 (en) * 2003-04-04 2005-05-26 Juszkiewicz Henry E. User interface for a combination compact disc recorder and player system
US7249147B2 (en) * 2003-04-04 2007-07-24 Gibson Guitar Corp. Combination compact disc recorder and player system
JP3873989B2 (ja) * 2003-06-09 2007-01-31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データ転送システムおよびコンテンツデータ転送方法
JP2005044423A (ja) * 2003-07-25 2005-02-17 Pioneer Electronic Corp 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記録方法並びに情報記録用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録媒体
JP4036177B2 (ja) * 2003-10-01 2008-01-23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受信方法、受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ならびに、受信システム
JP2005122863A (ja) * 2003-10-20 2005-05-12 Sony Corp 媒体情報検索装置および媒体情報検索方法
US20050108754A1 (en) * 2003-11-19 2005-05-19 Serenade Systems Personalized content application
US8239446B2 (en) * 2003-11-19 2012-08-07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Llc Content distribution architecture
BRPI0418409A (pt) * 2004-01-16 2007-05-15 Trek 2000 Int Ltd dispositivo de armazenamento portátil para registrar e reproduzir dados
US20070283442A1 (en) * 2004-02-03 2007-12-06 Toshihisa Nakano Recording/Reproduction Device And Content Protection System
US20050245243A1 (en) * 2004-04-28 2005-11-03 Zuniga Michael A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delivery of audio content over wireless high speed data networks
JP4189758B2 (ja) * 2004-06-30 2008-12-03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記憶装置、コンテンツ記憶方法、コンテンツ記憶プログラム、コンテンツ転送装置、コンテンツ転送プログラム及びコンテンツ転送記憶システム
JP4701644B2 (ja) * 2004-07-08 2011-06-15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211698B2 (ja) * 2004-07-09 2009-01-21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データ再生装置
US8130746B2 (en) 2004-07-28 2012-03-06 Audible Magic Corporation System for distributing decoy content in a peer to peer network
US7580837B2 (en) 2004-08-12 2009-08-2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for targeted tuning module of a speech recognition system
JP4447989B2 (ja) 2004-08-27 2010-04-07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再生装置、データ再生方法およびデータ処理システム
US8745132B2 (en) * 2004-09-10 2014-06-03 Silver State Intellectual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audio and video portable publishing system
US7242751B2 (en) 2004-12-06 2007-07-10 Sbc Knowledge Ventures, L.P. System and method for speech recognition-enabled automatic call routing
US7751551B2 (en) 2005-01-10 2010-07-0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for speech-enabled call routing
WO2006072922A1 (en) * 2005-01-10 2006-07-1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hecking a batch of dvd titles to be archived
EP1679704A1 (en) * 2005-01-10 2006-07-12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device for scanning the contents of a storage medium
US7627109B2 (en) 2005-02-04 2009-12-0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Call center system for multiple transaction selections
WO2006086478A2 (en) * 2005-02-09 2006-08-17 Wingspan Investment Partners I,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pying data from recordable media directly to portable storage devices
US20060188087A1 (en) * 2005-02-18 2006-08-24 Sbc Knowledge Ventures, Lp System and method for caller-controlled music on-hold
JP2006287364A (ja) * 2005-03-31 2006-10-19 Toshiba Corp 信号出力装置及び信号出力方法
US9063941B2 (en) * 2005-06-03 2015-06-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having an apparatus that uses a resource on an external device
US7657020B2 (en) 2005-06-03 2010-02-0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Call routing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4745726B2 (ja) * 2005-06-13 2011-08-10 キヤノン株式会社 ファイル管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CN100399293C (zh) * 2005-06-30 2008-07-02 广明光电股份有限公司 音讯储存播放的方法及装置
US7366887B2 (en) * 2005-07-11 2008-04-29 Lenovo (Singapore) Pte. Ltd. System and method for loading programs from HDD independent of operating system
JP2007072863A (ja) * 2005-09-08 2007-03-22 Sony Corp 電源制御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再生装置
JP4241704B2 (ja) * 2005-09-30 2009-03-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情報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7756828B2 (en) * 2006-02-28 2010-07-13 Microsoft Corporation Configuration management database state model
KR20070096812A (ko) 2006-03-27 2007-10-02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콘텐츠 리스트 표시 방법, 콘텐츠 리스트 표시장치, 콘텐츠선택 처리 방법 및 콘텐츠 선택 처리장치
US20080067955A1 (en) * 2006-09-19 2008-03-20 Cunningham J Vern Lighting controls and lighting appliances incorporating lighting controls
US8006314B2 (en) 2007-07-27 2011-08-23 Audible Magic Corporation System for identifying content of digital data
EP2023349A1 (en) * 2007-08-03 2009-02-11 Transtechnology, Inc. Device, program, and method for obtaining audio attribute data
US20090037006A1 (en) * 2007-08-03 2009-02-05 Transtechnology, Inc. Device, medium, data signal, and method for obtaining audio attribute data
US9483405B2 (en) 2007-09-20 2016-11-01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Simplified run-time program translation for emulating complex processor pipelines
KR100935860B1 (ko) * 2007-12-06 2010-01-07 드리머 자동차용 미디어 재생 장치 기반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제공방법과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8199651B1 (en) 2009-03-16 2012-06-12 Audible Magic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odifying communication flows at a port level
US20110012902A1 (en) * 2009-07-16 2011-01-20 Jaganathan Rajagopalan Method and system for visualizing the performance of applications
US8433759B2 (en) 2010-05-24 2013-04-30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Llc Direction-conscious information sharing
US9081778B2 (en) 2012-09-25 2015-07-14 Audible Magic Corporation Using digital fingerprints to associate data with a work
US20150100142A1 (en) * 2013-10-07 2015-04-09 Base Corporation Audio Systems and Related Devices and Methods
JP2016021133A (ja) * 2014-07-14 2016-02-04 株式会社東芝 磁気ディスク装置、及びライトコマンドを実行する方法
US9904508B1 (en) 2016-09-27 2018-02-27 Bose Corporation Method for changing type of streamed content for an audio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5302A (en) * 1990-06-15 1994-10-11 Arachnid, Inc. System for managing a plurality of computer jukeboxes
JPH06268774A (ja) * 1993-03-11 1994-09-22 Yamaha Corp カラオケ制御装置
CA2140779C (en) * 1993-05-31 2005-09-20 Kyoya Tsutsui Metho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for coding of separated tone and noise characteristics spectral components of an acoustic signal
US5418767A (en) * 1993-10-28 1995-05-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etection of overusage of spare sectors in an optical disk
JP2735784B2 (ja) * 1993-12-17 1998-04-02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情報記録用ディスク及びディスクドライブシステム
JPH086854A (ja) * 1993-12-23 1996-01-12 Unisys Corp アウトボードファイルキャッシュ外部処理コンプレックス
JPH08138357A (ja) * 1994-11-08 1996-05-31 Nippon Columbia Co Ltd 光デイスク再生装置
US5751672A (en) * 1995-07-26 1998-05-12 Sony Corporation Compact disc changer utilizing disc database
US5900010A (en) * 1996-03-05 1999-05-04 Sony Corporation Apparatus for recording magneto-optic disk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3852A (ko) * 2001-10-25 2003-05-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기록매체의 부가정보 관리방법 및 그 장치
KR20030035377A (ko) * 2001-10-31 2003-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호스트와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및 그 데이터 통신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358952B (en) 2002-01-23
GB2358952A (en) 2001-08-08
US6512722B2 (en) 2003-01-28
KR100715801B1 (ko) 2007-05-07
JP2001110171A (ja) 2001-04-20
CN1190793C (zh) 2005-02-23
CN1295331A (zh) 2001-05-16
DE10049841B4 (de) 2016-04-21
GB0024425D0 (en) 2000-11-22
US20020060955A1 (en) 2002-05-23
US6449226B1 (en) 2002-09-10
DE10049841A1 (de) 2001-04-19
TW512322B (en) 2002-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5801B1 (ko) 기록 및 재생장치 및 방법, 단말장치, 송수신 방법 및기억매체
KR100620533B1 (ko) 기록 및 재생장치와 기록 및 재생방법
KR100830555B1 (ko) 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 통신장치 및 그 방법
KR100602214B1 (ko) 기록재생장치, 기록재생방법
KR100607210B1 (ko) 기록재생장치, 기록재생방법 및 데이터처리장치
JP2006202475A (ja) ファイル転送システムおよびファイル転送方法
JP4196998B2 (ja) コンテンツデータ転送システム、転送方法、記憶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4337914B2 (ja) 情報通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ならびに、情報通信装置および方法
JP2007103005A (ja) 記録再生装置、送受信方法および記憶媒体
JP4211795B2 (ja) 通信方法、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サー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