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7105A - 차량용 교류 발전기의 고정자 - Google Patents

차량용 교류 발전기의 고정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7105A
KR20010067105A KR1020000049227A KR20000049227A KR20010067105A KR 20010067105 A KR20010067105 A KR 20010067105A KR 1020000049227 A KR1020000049227 A KR 1020000049227A KR 20000049227 A KR20000049227 A KR 20000049227A KR 20010067105 A KR20010067105 A KR 20010067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or
segment
windings
winding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9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6756B1 (ko
Inventor
아사오요시히토
히가시노교코
Original Assignee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20010067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7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6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67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12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arranged in slo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28Layout of windings or of connections between win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indings For Motors And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상의 고정자 권선을 겹쳐 감아서 형성된 제1및 제2권선으로 구성하고 제1및 제2의 권선의 브리지 결선 접속부를 2자극 피치에 분산해서 단락불량에 의한 품질의 저하를 억제한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고정자를 얻는다.
3슬로트마다에 삽입된 세그멘트(41),(42)의 단부(41b),(42b)끼리를 접합하고 주회당 겹쳐감기로 2턴을 구성하는 제1및 제2권선(361),(362)를 얻는다.
그리고 턴부(41c),(42c)를 절단해서 제1및 제2권선(361),9362)의 단부 (361b),(362b)를 브리지 결선해서 1상분의 고정자 권선(36)을 얻는다.
또, 턴부(41c),(42c)를 절단해서 된 제1및 제2권선(361),(362)의 단부 (361a),(362a)가 도선(0)및 중성점(N)를 구성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고정자{STATOR FOR AN AUTOMOTIVE ALTERNATOR}
본 발명은, 내연기관에 의해 구동되는 교류발전기에 관해 특히 승용차 트럭 등의 차량에 탑재되는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고정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고정자에서는 연속된 도선을 환상으로 감아서 환상코일을 제작하고, 계속해 이 환상코일을 성(星)형으로 변형해서 성형코일을 제작하고, 이 성형코일의 직선부를 고정자 철심의 슬롯에 끼워서 고정자권선을 제작하였었다.
그러나, 성형코일을 고정자철심의 스로트에 끼울때, 도선에 과도한 응력이 가해지고 단선이나 절연불량이 생기기 쉽고 생산성이 현저하게 저하하였었다.
여기서 이런 불합리한 것을 해결하기 위해 미리 U자형으로 구부린 전기도체로 된 다수의 세그멘트를 고정자 철심의 스로트에 삽입하고, 이 세그멘트의 스로트로부터의 연출단끼리를 접합해서 고정자 권선을 제작하는 방법이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평 11-164506호 공보에 제안되어 있다.
도 11은 예를들며 일본국특개평 11-164506호 공보에 기재된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고정자에서의 고정자권선의 1상분의 결선상태를 표시하는 평면도, 도 12ㅡㄴ 고정자 권선을 구성하는 세그멘트의 모식적 사시도, 도 13내지 도 15는 각각 고정자권선의 1상분의 부분적인 결선상태를 표시하는 전개도이다.로
도 11에서, 고정자(8)는, 고정자철심(15)와, 고정자철심(15)에 형성된 스로트(15a)내에 배치된 다수의 세그멘트(30)에 의해 구성되는 고정자권선(16)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는, 고정자철심(15)에는 회전자(도시않음)의 자극수에 대응해서, 3상의 권선을 수용하도록, 36개의 스로트(15a)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세그메트(30)는, 3스로트(1자극피치)떨어진 2개의 스로트(15a)마다에 축방향의 일단측에서 2개씩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세그멘트(30)의 축방향의 타단측으로 연출하는 단부끼리가 접합되어서, 일정한 패턴의 고정자권선(16)을 구성하고 있다. 또 세그멘트(30)는 스로트 (15a)내에 직경방향으로 나열되는 4개의 세그멘트 수용위치를 각각 외주측에서 첫번째, 두번째, 세번째 및 네번째의 위치로 한다.
세그멘트(30)에는, 도 12에 표시하는바와같이, 평각단면을 갖는 저연피복된동등의 전기도체를 대략 U자상태로 성형한 대세그멘트(31)과 소세그멘트(32)가 사용된다.
그리고 소세그멘트(32)의 축방향의 일단측에서 하나의 스로트(15a)내의 2번째의 위치와, 그 스로트(15a)로부터 시계방향으로 3스로트 떨어진 다른 스로트 (15a)내의 세번째의 위치에 삽입되어 있다.
또 대세그멘트(31)가 마찬가지로 축방향의 1단측에서, 하나의 스로트(15a)내의 첫번째 위치와, 그 스로트(15a)로부터 (15a)로부터 시계방향으로 3스로트 떨어진 다른 스로트(15a)내의 4번째의 위치에 삽입되어 있다.
여기서, 각 스로트(15a)내에는 대 세그멘트(31),(32)의 직선부(31a),(32a)가 직경방향으로 직렬로 배열되어 있다.
고정철심(15)의 축방향의 일단측에는 같은 쌍의 스로트(15a)에 삽입된 대세그멘트(31)의 턴부(31c)가 소세그멘트(32)의 턴부(32c)의 외주측을 둘러싸고 있다.
그리고 턴부(31c),(32c)가 주방향으로 정렬해서 배열되어서 제2코일엔드부 (16b)로 구성하고 있다.
한편 고정자철심(15)의 축방향의 타단측에서는 하나의 스로트(15a)내의 두번째의 위치에서 축방향의 타단측으로 연출된 소세그멘트932)의 단부(32b)가 그 스로트(15a)로부터 시계방향으로 3스로트 떨어진 다른 스로트(15a)내의 첫번째의 위치에서 축방향의 타단측으로 연출한 대세그멘트(31)의 단부(31b)에 접합되고, 또 하나의 스로트(15a)내의 네번째의 위치에서 축방향의 타단측으로 연출한 대세그멘트 (31)의 단부(31b)가 그 스로트(15a)로부터 시계방향으로 3스로트 떨어진 다른 스로트(15a)내의 세번째의 위치로부터 축방향의 타단측에 연출한 소세그멘트(32)의 단부(32b)에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스로트(15a)내의 두번째의 위치로부터 타단측에 연출한 소세그멘트 (32)의 단부(32b)와 스로트(15a)내의 첫번째의 위치에서 타단측에 연출한 대세그멘트(31)의 단부(31b)와 스로트(15a)내의 세번째의 위치에서 타단측으로 연출한 소세그멘트(32)의 단부(32b)의 접합부가, 경방향으로 나란히 되고, 주방향으로 정렬되어, 배열되어 제1코일엔드부(16a)를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고정자권선(16)의 1상분(X상)의 권선방법에 대해 도 13내지 도 15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또 각 도면에서 경방향의 최외주에 배치되는 전기도체를 2점쇄선, 경방향의 외주로부터 세번째에 배치되는 전기도체를 2점쇄선, 경방향의 외주로부터 두번째에 배치되는 전기도체를 실선 경방향의 외주로부터 4번째에 배치되는 전기도체를 1점쇄선으로 표시하고 있다.
또, 상단이 단부를 배열해서 된 제2코일엔드부(16b), 하단이 접합부를 배열해서 된 제1코일엔드부(16a)이다.
또 각 도면의 중앙에 1열로 나란히 된 수자는 스로트번호를 나타내고 있다.
우선, 도 13에 표시된바와같이 대 및 소 세그멘트(31),932)가 스로트번호 1번에서 3스로트마다에 삽입된다.
제1코일엔드부(16a)에서 하나의 스로트(15a)내의 두번째의 위치에서 연출한 소세그멘트(32)의 단부(32b)가, 시계방향으로 3스로트 떨어진 다른 스로트(15a)의첫번째의 위치로부터 연출된 대세그멘트(31)의 단부(31b)에 접합되고, 또 하나의 스로트(15a)의 네번째의 위치에서 연출된 대세그멘트(31)의 단부(31b)는, 시게방향으로 3스로트 떨어진 다른 스로트(15a)의 세번째 위치에서 연출한 소세그멘트(32)의 단부(32b)에 접합된다.
계속해 스로트번호의 1번과 34번에 삽입된 대 및 소세그멘트(31),(32)의 턴부(31c),(32c)가 절단된다.
이로인해 1스로트당, 2턴의 겹쳐 감기의 제1권선(161)이 형성된다.
동시에 도 14에 표시된바와같이, 1스로트당 2턴의 겹쳐감기의 제2권선(162)이 형성된다.
이들의 제1및 제2권선(161),(162)는 도 15에 표시된바와같이 제1권선(161)의 단부(161b)와 제2권선(162)의 단부(162a)가 접합(부리지결선)되고, 4턴의 1상분의 고정자권선(16)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권선(161)의 단부(161a)와 제2권선(162)의 단부(162b)가 각각 유도선(0)및 중성점(N)가 된다.
또 대세그멘트(31)의 절단끝이 제2권선(162)의 단부(162a),(162b)에 상당하고, 소세그멘트(32)의 절단끝이 제1권선(161)의 단부(161a),(161b)에 상당하고 있다.
또 제1권선(161)의 단부(161b)와 제2권선(162)의 단부(162a)와의 접합부가 부리지결선 접속부(c)가 된다.
또, 다른 2상분(Y,Z)의 고정자 권선(16)이 마찬가지로 해서 제작된다.
그리고 각상의 고정자권선(16)의 중성점(N)을 서로 접속해서, 또 유도선(0)을 정류기(도시않음)에 접속해서, 3상의 고정자권선(16)이 교류 결선된다.
여기서, 제1권선(161)의 단부(161a),(161b)및 제2권선(162)의 단부(162a),(162b)를 구성하는 세그멘트는 대세그멘트(31)및 소세그멘트(32)의 턴부(31c),(32c)를 절단해서, 얻어지는 것으로, 대세그멘트(31)및 소세그멘트(32)와는 형상이 다르게 되어 있다.
즉 각상의 고정자권선(16)은, 1자극 피치 떨어진 각 스로트(15a)내에 2개씩 배치된 4개의 이형 세그멘트를 갖고 있다.
이들의 이형세그멘트는 대세그멘트(31)및 소세그멘트(32)의 턴부(31c),(32c)를 절단한후 브리지결선되고, 또는 3상교류결선된다.
이 종래의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고정자(8)에서는, 이상과 같이 각상의 고정자권선(16)이 1자극피치 떨어진 각 스로트(15a)내에 2개씩 배치된 4개의 이형세그멘트를 갖고 있다.
그리고 이들의 이형세그멘트가 대세그멘트(31)및 소세그멘트(32)의 턴부 (31c),(32c)를 절단한후, 브리지결선되고, 3상교류결선되고 또는 정류기에 결성될때에 비틀림이나 인장등이 이형세그멘트에 가해져, 스로트(15a)내의 전기도체의 절연피막이나 코이엔드부를 구성하는 전기도체의 절연피막을 파손할 염려가 있고, 단락 불량을 발생하기 쉽고 품질이 저하해버린다는 과제가 었었다.
또, 제1권선(161)및 제2권선(162)이 동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유도선(0)및 중성점(N)의 처리치구가 공용될수 없으며, 생산성이 저하해버린다는 과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된것으로, 각상의 고정자권선을 구성하는 겹쳐감기로 형성된 제1및 제2권선의 브리지결선 접속부를 2자극 피치에 분산해서, 브리지 결선이나, 3상교류결선때에 발생하는 전기도체의 절연피막의 파손을 억제하고, 단락불량에 의한 품질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고, 또 제1권선 및 제2권선을 똑같은 동일형상으로 형성해서, 유도선단 및 중성점단의 처리치구의 공융화를 가능케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고정자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고정자는 여러개의 스로트를 갖는 고정자 철심과 상기 슬로트에 장찰된 다상의 고정자 권선을 갖고, 상기 고정자 권선은, 전기도체로부터 될 다수의 세그멘트를 접합해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자 철심의 축방향의 일단측에 형성되고, 상기 세그멘트의 턴부로 구성된 제2코일엔드부와, 상기 고정자철심의 축방향의 타단측에 형성되고, 겹쳐감기를 형성하도록 상기 세그멘트의 단부끼리를 접합해서 구성된 제1코일엔드부를 구비한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고정자에서 각상의 상기 고정자 권선은, 주회당겹쳐감기로 2턴을 구성하는 레및 제2권선이 브리지 결선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1및 제2권선의 브리지결선 접속부, 유도점 및 중성점을 구성하는 세그멘트가 상기 제1및 제2코일엔드부의 한쪽의 2자극 필로 건드는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제1및 제2권선이 동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 상기 브리지결선 접속부의 적어도 하나가 상기 한쪽의 코일엔드부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또 상기 브리지결선 접속부의 적어도 하나가 상기 한쪽의 코일엔드부의 경방향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또 상기 브리지결선 접속부의 적어도 하나가 상기 한쪽의 코일엔드부의 경방향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또 상기 브리지 결선 접속부의 적어도 하나가 상기 한쪽의 코일엔드부의 정상부의 축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또, 상기 브리지 결선 접속부의 적어도 하나가 U자상의 세그멘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1에 관한 고정자를 적용한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구성을 표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고정자에서의 고정자권선의 1상분의 결선상태를 리어측에서 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고정자에서의 고정자 권선을 구성하는 세그멘트를 모식적으로 표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고정자에서의 고정자 권선의 1상분의 부분적인 결선상태를 표시하는 전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고정자에서의 고정자 권선의 1상분의 부분적인 결선상태를 표시하는 전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고정자에서의 고정자 권선의 1상분의 부분적인 결선상태를 표시하는 전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고정자를 적용한 차량용 교류발전기에서의 회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고정자의 요부를 리어측에서 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관한 고정자에서의 고정자권선의 1상분의 결선상태를 리어측에서 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관한 고정자 권선의 1상분의 결선상태를 리어측에서 본 평면도.
도 11은 종래의 차량용 교류발전기에 적용되는 고정자에서의 고정자 권선의 1상분의 결선상태를 리어측에서 본 평면도.
도 12는 종래의 고정자에서의 고정자권선을 구성하는 세그멘트를 모식적으로 표시하는 사시도.
도 13은 종래의 고정자에서의 고정자 권선의 1상분의 부분적인 결선상태를 표시하는 전개도.
도 14는 종래의 고정자에서의 고정자 권선의 1상분의 부분적인 결선상태를 표시하는 전개도.
도 15는 종래의 고정자에서의 고정자 권선의 1상분의 부분적인 결선상태를 표시하는 전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5:고정자철심, 15a:스로트,
35,35A,35B:고정자, 36,36A,36B:고정자권선,
36a:제1코일엔드부, 36b:제2코일엔드부,
40:세그멘트, 41:제1세그멘트,
41b:단부, 41c:턴부,
42:제2세그멘트, 42b:단부,
42c:턴부, 43:U자세그멘트,
361:제1권선, 362:제2권선,
C:브리지결선접선부, O:유도선,
N:중성점.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1에 관한 고정자를 적용한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구성을 표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도 1에 표시되는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고정자에서의 고정자권선의 1상분의 결선상태를 표시하는 평면도, 도 3은 고정자 권선을 구성하는 세그멘트의 모식적 사시도, 도 4내지 도 6은 각가 고정자권선의 1상분의부분적인 결선상태를 표시하는 전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차량용 교류발전기에서의 회로도, 도 8은 고정자의 요부를 캐리어측에서 ㅗㄴ 사시도이다.
도 1에서 차량용 교류발전기는 핀들형의 회전자(7)가 알루미늄데의 프론트 부래킷(1)및 리어브래킷(2)로 구성된 케이스(3)내에 샤프트(6)을 통해서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되고, 고정자(35)가 회전자(7)의 외주측을 덮도록 케이스(3)의 내벽면에 고착되어 구성되어 있다.
샤프트(6)는 프론트브래킷(1)및 리어브래킷(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샤프트(6)의 일단에는 폴리(4)가 고착되고, 엔진의 회전토크를 벨트(도시않음)을 통해서 샤프트(6)에 전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회전자(7)에 전류를 공급하는 슬립링(9)이 샤프트(6)의 타단부에 고착되고, 한쌍의 브러시(10)가 이 슬립링(9)에 맞닿도록 케이스(3)내에 배치된 브러시홀더 (11)에 수납되어 있다.
고정자(8)에서 생긴 교류전압의 크기를 조정하는 레귤레이터(18)가 브러시 홀더(11)에 감착된 히트싱크(17)에 접착되어 있다.
고정자(3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고정자(35)에서 생긴 교류를 직류로 정류하는 정류기(12)가 케이스(3)내에 장착되어 있다.
회전자(7)은 전류를 흘려서 자속을 발생하는 회전코일(13)과 이 회전자코일 (13)을 덮도록 설치되고 회전자코일(13)에서 발생된 자속에 의해 자극이 형성되는한쌍의 풀코어(20),(21)로 구성된다.
한쌍의 풀코어(20),(21)은 철제로 각각 클로형상의 클로상자극(22),(23)이 외주연에 주방향으로 등각피치로 여러개 돌출 설치되고, 클로상 자극(22),(23)을 맞물리도록 대향해서 샤프트(6)에 고착되어 있다.
또, 팬(5)가 회전자(7)의 축방향의 양단에 고착되어 있다.
또, 흡기공(1a),(2a)가 프론트 브래킷(1)및 리어브래킷(2)의 축방향의 단면에 설치되고, 배기공(1b),(2b)가 프론트 브래킷(1)및 리어브래킷(2)의 외주양견부에 고정자권선(36)의 제1및 제2 코일엔드부(36a),(36b)의 경방향 외측에 대향해서 설치되어 있다.
한쌍의 폴코어(20),(21)로 구성된다.
한쌍의 풀코어(20),(21)은 철제로, 각각 클로형상의 클로상자극(22),(23)이 외주면에 주방향으로 등각 피치로 여러개 돌출설치되고, 클로상자극(22),923)을 맞물리도록 대향해서 샤프트(6)에 고착되어 있다.
또 팬(5)가 회전자(7)의 축방향의 양단에 고착되어 있다.
또, 흡기공(1a),(2a)가 프론트 브래킷(1)및 리어브래킷(2)의 축방향의 단면에 설치되고, 배기공(1b),(2b)가 프론트 브래킷(1)및 리어브래킷(2)의 외주양견부에 고정자권선(36)의 제1및 제2 코일엔드부(36a),(36b)의 경방향 외측에 대행해서 설치되어 있다.
고정자(35)는 도 2에 표시된바와같이 고정자철심(15)과 고정자철심(15)에 형성된 스로트(15a)내에 배치된 다수의 세그멘트(40)에 의해 구성되는 고정자권선(36)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는 고정자철심(15)에는 회전자(7)의 자극수에 대응해서 3상의 권선을 수용하도록 36개의 스로트(15a)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세그멘트(40)는 3슬로트(1자극피치)떨어진 2개의 슬로트(15a)마다에, 리어측으로부터 2개씩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세그멘트(40)의 프론트측으로 연출하는 단부끼리가 접합되어서, 소정의 패턴의 고정자권선(36)을 구성하고 있다.
또 세그멘트(40)는 슬로트(15a)내에 직경방향으로 1열로 4개가 나열되게 수용되어 있다.
이후 슬로트(15a)내의 경방향으로 나열되는 4개의 세그멘트 수용위치를 각각의 주측에서 첫번째 두번째, 세번째 및 4번째의 위치로 한다.
세그멘트(40)는 도 3에 표시된바와같이, 평각단면을 갖는 절연피복된 동등ㄷ의 전기도체를 대략 ∪자상으로 성형해서 된 제1세그멘트(41)와 제2세그멘트(42)가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제1세그멘트(41)가, 리어측에서, 하나의 슬로트(15a)내의 첫번째 위치와, 그 슬로트(15a)로부터 시계방향으로 3슬로트 떨어진 다른 슬로트(15a)내의 세번째의 위치에 삽입되어 있다.
또 제2세그멘트(42)가 마찬가지로, 리어측에서 하나의 슬로트(15a)내의 두번째의 위치와 그 슬로트(15a)로부터 시계방향으로 3슬로트 떨어진 다른 슬로트(15a)내의 네번째의 위치에 삽입되어 있다.
그래서 각 슬로트(15a)내에서는 제1및 제2세그멘트(41),(42)의 직선부 (41a),(42a)가 직경방향으로 1열로 배열되어 있다.
고정자철심(15)의 리어측에서는 제1세그멘트(41)의 턴부(41c)와, 제2세그멘트(42)의 턴부(42c)가 서로 이간해서 교호로 나열해 원주방향으로 정렬해서 배열되고, 제 2 코일엔드부(36b)를 구성하고 있다.
한편, 고정자철심(15)의 프론트 측에서는 하나의 슬로트(15a)내의 두번째의 위치에서 프론트 측으로 연출한 제2세그멘트(42)의 단부(42b)가, 그 슬로트(15a)로부터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3슬로트 떨어진 다른 슬로트(15a)내의 첫번째의 위치로부터 프론트측으로 연출한 제1세그멘트(41)의 단부(41b)에 용접이나 납땜등으로 접합되고, 또 하나의 슬로트(15a)내의 네번째의 위치로부터 프론트측에 연출한 제2세그멘트(42)의 단부(42b)가 그 슬로트(15a)내의 세번째의 위치로부터 프로트측으로 연출한 제1세그멘트(41)의 단부(41b)에 용접이나 납땜등으로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슬로트(15a)내의 두번째의 위치에서 프론트측으로 연출한 세그멘트 (42)의 단부(42b)와 슬로트(15a)내의 첫번째의 위치로부터 프론트측으로 연출한 제1세그멘트(41)의 단부(41b)와의 접합부와 슬로트(15a)내의 네번째의 위치로부터 프론트측으로 연출한 제2세그멘트(42)의 단부(42b)와 슬로트(15a)내의 세번째의 위치로부터 프론트측으로 연출한 제1세그멘트(41)의 단부(41b)와의 접합부가, 직경방향으로 나열되고 또 원주방향으로 정렬되어 배열되어 있고 제1코일 엔드부(36a)를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고정자권선(36)의 1상분(X상)의 권선 방법에 대해 도 4내지 도 6을참조해서 설명한다.
또 각 도면에서, 직경방향의 최외주에 배치되는 전기도체를 그 점쇄선, 직경방향의 외주로부터 두번째의 배치되는 전기도체를 실선, 직경 방향의 외주로부터 세번째에 배치되는 전기도체를 파선, 직경방향의 외주에서 네번째에 배치되는 전기도체를 1점쇄선으로 표시하고 있다.
상단이 턴부를 배열해서 된 제2 코일엔드부(36b), 하단이 접합부를 배열해서 된 제1코일엔드부(36a)이다.
또 각 도면의 중앙에 가로 1열에 나열되는 수자는 슬로트번호를 표시하고 있다.
우선, 도 4에 표시된바와같이 제1및 제2세그멘트(41),(42)가 슬로트번호의 1번에서 3슬로트마다에 삽입된다.
제1코일엔드부(36a)에서, 하나의 슬로트(15a)내의 두번째의 위치에서 연출한 제2세그멘트(42)의 단부(42b)가 반시계회전으로 3솔로트 떨어진 다른 솔로트(15a)의 첫번째의 위치에서 연출한 제1세그멘트(41b)에 접합하고 또 하나의 슬로트(15a)의 네번째의 위치에서 연출된 제2세그멘트(42)의 단부가 (42b)가 시계회전방향으로 3슬로트, 떨어진 다른 슬로트(15a)의 세번째의 위치로부터 연출한 제1세그멘트(41)의 단부(41b)에 접합된다.
슬로트번호의 1번과 34번에 삽입된 제1세그멘트(41)의 턴부(41c)및 슬로트 번호의 1번과 4번째 삽입된 제1세그멘트(41)의 턴부(41c)가 각각 절단된다.
이로써, 슬로트 당 2턴의 겹쳐감기의 제1권선(361)이 형성된다.
동시에 도 5에 표시되는 바와같이, 슬로트 당 2턴의 겹쳐감기의 제2권선 (362)이 형성된다.
이들의 제1및 제2권선(361),(362)는 도 6에 표시된바와같이 제1권선(361)의 단부(361b)와 제2권선(362)의 단부(362b)가 용접이나, 납땜에 의합 접합(브리지결선)되고, 4턴의 1상분의 고정자권선(36)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권선(361)의 단부(361a)와 제2권선(362)의 단부(362a)가 각각 유도선(0)및 중성점(N)가 된다.
또, 2개의 제1세그멘트(41)의 절단 단이 각각 제1및 제2권선(361),(362)의 단부(361a),(362a),(362b)에 상당하고 있다.
또 제1권선(361)의 단부(361b)와 제2권선(362)의 단부(362b)와의 접합부가 브리지결선접속부(c)를 구성하고 있다.
또 다른 2상분(Y,Z)의 고정자권선(36)이 마찬가지로 해서 제작된다.
그리고 각상의 고정자권선(36)의 중성점(N)이 서로 접속되어서 3상의 고정자권선(36)이 교류 결선된다.
또 도 7에 표시된바와같이, 고정자권선(36)의 유도선(0)이 정류기(12)에 접속된다.
여기서, 제1권선(361)의 단부(361a),(361b)및 제2권선(362)의 단부 (362a),(362b)를 갖는 세그멘트는 2개의 제1세그멘트(41)의 턴부(41c)를 절단해서 얻어지는 것으로, 제1세그멘트(41)및 제2세그멘트(42)와는 형상이 다르게 되어 있다.
즉 각상의 고정자권선(36)은, 2자극 피치 떨어진 각 슬로트(15a)내에 분산해서 배치된 4개의 이형 세그멘트를 갖고 있다.
이들 이형 세그멘트는 제1세그멘트(41)의 턴부(41c)를 절단한후, 브리지결선되고 또는 정류기(12)에 결선된다.
또 제1권선(361)의 단부(361b)와, 제2권선(362)의 단부(362b)와의 브리지결선접속부(C)는, 도 8에 표시된바와같이 제2코일엔드부(36b)의 직경방향외측에 제2코일엔드부(362)의 높이보다 낮게 배치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차량용 교류발전기에서는 전류가 베터리(도시않음)로부터 부러시(10)및 슬립링(9)를 통해서 회전자코일(B)에 공급되고, 자속이 발생된다.
이 자속에 의해, 한쪽의 풀코어(20)의 클로상자극(22)이 N극에 착자되고, 다른쪽의 풀코어(21)의 클로상자극(23)이 S극에 착자된다.
한편, 엔진의 회전토크가 벨트 및 풀리(4)를 통해서 샤프트(6)에 전달되고, 회전자(7)가 회전된다.
그래서 고정자권선(36)에 회전자계가 부여되고, 고정자권선(36)에 기전력이 발생한다.
이 교류의 기전력이 정류기(12)를 통해서, 직류로 정류하는 동시에 그 크기가 레귤레이터(18)에 의해 조정되고, 배터리에 충전된다.
그리고 리어측에서 팬(5)의 회전에 의해, 외기가 정류기(12)의 히트싱크(19)및 레귤레이터(18)의 히트싱크(17)에 각각 대향해서 설치된 흡기공(2a)를 통해서 흡입되고, 샤프트(6)의 축에 따라 흘러서, 정류기(12)및 레귤레이터(18)를 냉각하고, 그후 팬(5)에 의해, 원심방향으로 구부려져서 고정자권선(36)의 제1코일엔드부 (36b)를 냉각하고, 배기공(2b)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같이 이 실시의 형태 1에 의하면, 각상의 고정자권선(36)은 주회당 겹쳐감기로 2턴을 구성하는 제1및 제2권선(361),(362)이 권선(361),(362)가 브리지결선되어서 제1및 제2권선(361),(362)의 브리지결선 접속부(C)유도점 (o) 및 중성점 (N)를 구성하는 이형세그멘트가 제2코일엔드부(36b)의 2자극 피지에 걸치는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후공정에서 비틀기나 인장등의 응력이 가해지는 4개의 세그멘트를 하나의 슬로트(15a)에 2개 배치되고 2개의 슬로트(15a)에 한개씩 배치되게 된다.
즉 후공정에서 응력이 가해지는 4개의 세그멘트가 3개의 슬로트(15a)에 분산되게 되어, 제1및 제2 세그멘트(41),(42)의 턴부(41c),(42c)를 절단한후, 브리지결선되고, 3상 교류결선되고, 또는 정류기(12)에 결선될때에, 비틀림이나 인장등이 세그멘트에 가해져, 슬로트(15a)내의 전기도체의 절연피막이나 코일엔드부를 구성하는 전기도체의 절연피막을 파손할 염려가 저감된다.
이 결과, 단락불량의 발생이 억제되고, 고품질의 고정자(35)가 얻어진다. 또, 제 1권선(361)및 제 2권선(362)는 도 4 및 도 5에 표시되도록 3슬로트샤프트하고 있는 것만으로,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고 있으므로 유도선(0) 및 중성점(N)의 처리치구가 공용이 되고, 생산성을 높일수가 있다.
또, 제 1 및 제 2권선(361), (362)의 브리지결선 접속부(C)가 제 2코일엔드부(36b)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브리지결선 접속부(C)가 제 2코일엔드부(36b)로부터 축방향 외방으로 돌출하지 않고, 팬 토출측의 통풍저항이 작아지고, 정류기(12)나 레귤레이터(18)등의 리어측 냉각내장물을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또, 제 1 및 제 2권선(361), (362)의 브리지결선 접속부(C)가 제 2코일엔드부(36b)의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 2코일엔드부(36b)의 직경방향 내측의 형상이 된 주방향으로 걸처 평탄화된다. 이결과, 팬(5) 및 회전자(7)과 제 2코일엔드부(36b)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고차수의 불쾌한 간섭음이 저감되고 바람소음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제 1 및 제 2세그멘트(41), (42)의 턴(41c), (42c)가 직경방향으로 겹쳐지는 일없이 원주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으므로, 제 2코일엔드부(36b)의 높이가 낮아진다. 이 결과, 팬토출측의 통풍저항이 작아지고 리어측 냉각내장물을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2
상기 실시의 형태 1에서는 제 1 및 제 2권선(361), (362)의 브리지결선 접속부(C)가 제 2코일엔드부(36b)의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것으로 하고 있으나, 이 실시의 형태 2에서는 제 1 및 제 2권선(361), (362)의 브리지결선 접속부(C)가 제 2코일엔드부(36b)의 직경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브리지결선 접속부(C)가 제 2코일엔드부(36b)의 직경방향 외측에 없는 분, 고정자권선(36)과 브래킷(1), (2)사이의 절연스페이스가 커지고 고정자권선(36)과 브래킷(1), (2)와의 사이의 단락이 확실하게 방지가능하다.
또, 브리지결선 접속부(C)가 제 2코일엔드부(36b)의 직경방향 외측에 없는 경우, 고정자권선(36)과 브래킷(1), (2)사이간격을 좁힐수가 있고, 교류발전기의 소형화가 도모된다.
실시의 형태 3
상기 실시의 형태 1에서는 제 1 및 제 2권선(361), (362)의 브리지결선 접속부(C)가 제 2코일엔드부(36b)의 경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있으나, 이 실시의 형태 3에서는, 제 1 및 제 2권선(361), (362)의 브리지결선 접속부(C)가 제 2코일엔드부(36b)의 정상부의 축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 경우, 브리지결선 접속부(C)가 제 2코일엔드부(36b)의 직경방향 외측에 없을때, 고정자권선(36)과 브래킷(1), (2)와의 사이의 단락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교류발전기의 소형화가 도모된다.
또, 브리지결선 접선부(C)가 제 2코일엔드부(36b)의 직경방향 내측에 없을때, 팬(5) 및 회전자(7)과 제 2코일엔드부(36b)사이에 발생하는 고차수의 불쾌한 간섭음이 저감되고 바람소음을 작게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4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관한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고정자에서의 고정자권선의 1상분의 결선상태를 표시하는 평면도이다.
이 실시의 형태 4에 의한 고정자(35A)의 고정자권선(36A)에서는, 도 9에 표시된 바와 같이 3슬로트 떨어져 인접하고 있는 2조의 슬로트(15a)에서, 제 2세그멘트(42)가 리어측에서 이 2조의 슬로트(15a)의 두번째의 위치와 네번째의 위치에 삽입되고, 또 U자상 세그멘트(43)가 리어측에서 한쪽의 조의 (15a)의 세번째의 위치끼리에 다른쪽의 슬로트(15a)의 첫번째의 위치끼리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세번째의 위치끼리에 삽입되어 있는 U자상 세그멘트(43)의 턴부가 절단되어서, 각각 중성점(N) 및 유도선(O)를 구성하고 있다. 또 첫번째의 위치끼리에 삽입되어 있는 U자상 세그멘트(43)의 턴부가 제 1 및 제 2권선의 브리지결선 접속부(C)를 구성하고 있다.
이 실시의 형태 4에 의하면 브리지결선 접속부(C)가 U자상 세그멘트(43)의 턴부에서 구성되어 있으므로 절단되는 세그멘트가 하나로 끝낼수 있고 브리지결선 작업도 불필요하다.
이 결과, 고정자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세그멘트 절단시나 브리지결선시의 응력에 기인하는 단락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5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관한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고정자에서의 고정자권선의 1상분의 결선상태를 표시하는 평면도이다.
이 실시의 형태 5에 의한 고정자(35B)의 고정자권선(36B)는 도 10에 표시한 바와 같이 소세그멘트(32)가 리어측에서 3슬로트 떨어진 각 조의 슬로트(15a)의 두번째의 위치다. 세번째의 위치에 삽입되고, 또 대세그멘트(31)가 리어측에서 3슬로트 떨어진 각조의 슬로트(15a)의 첫번째의 위치와 네번째의 위치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하나의 슬로트(15a)내의 두번째의 위치에서 연출한 소세그멘트(32)의 단부(32b)가, 시계회전 방향에 3슬로트 떨어진 다른 슬로트(15a)의 첫번째의 위치에서 연출된 대세그멘트(31)의 단부(31b)에 접합되고, 하나의 슬로트(15a)의 네번째 위치에서 연출된 대세그멘트(31)의 단부(31b)는 시계회전 방향으로 3슬로트 떨어진 다른 슬로트(15a)의 세번째의 위치에서 연출한 소세그멘트(32)의 단부(32b)에 접합된다. 그리고, 3슬로트 떨어진 인접한 2조의 슬로트(15a)에서 각 소세그멘트 (32)의 턴부가 절단된다.
또, 슬로트(15a)의 두번째의 위치에 수용되어 있는 소세그멘트(32)의 절단단 끼리가 접합되고, 브리지결선 접속부(C)를 구성한다. 또, 슬로트(15a)의 세번째 위치에 수용되어 있는 소세그멘트(32)의 절단단이 각각 유도선(O) 및 중성점(N)을 구성한다.
이로써, 각 상의 고정자권선(36B)는 슬로트 당 2턴의 겹쳐감기의 제 1 및 제 2권선을 브리지결선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 실시의 형태 5에서도, 각 상의 고정자권선 36B에서, 브리지결선 접속부(C), 유도선(O) 및 중성점(N)를 구성하는 이형세그멘트 2극자 피치에 걸처 배치되어 있고 또, 제 1 및 제 2권선은 3스로트시프트하고 있을 뿐 동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실시의 형태 1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또, 여기서는 설명하지 않았으나 제 1 및 제 2권선의 브리지결선 접속부(C)가 제 2코일엔드부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브리지결선접속부(C)가 제 2코일엔드부로부터 축방향의 방으로 돌출하지 않고 팬호출측의 통풍저항이 작아지고, 정류기(12)나, 레귤레이터(18)등의 리어측 냉각내장물을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가 있다.
또, 제 1 및 제 2권선의 브리지결선 접속부(C)가 제 2코일엔드부의 직경방향의 내측의 형상이 원주방향으로 건너가 평탄화된다.
이 결과, 팬(5) 및 회전자(7)과 제 2코일엔드부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고차수의 불쾌한 간섭음이 저감되고, 바람소음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각 실시의 형태에서는 매극매상당의 슬로트수가 1인 3상 교류발전기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매극매상당의 슬로트수가 2이상의 3상 교류발전기나, 다른 다상교류발전기 예를 들면 6상 교류발전기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은 말할것도 없다.
또,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세그멘트(30), (40)으로서 평각단면을 갖는 전기유도체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있으나, 세그멘트로서 원형단면을 갖는 전기도체를 사용해도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또, 상기 각 실시의 형태에서는 브리지결선 접속부(C)가 제 2코일엔드부 (36b)에 배치되는 것으로 하고 있으나 브리지결선 접속부(C)를 제 1코일엔드부 (36a)에 배치해도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아래에 기재된 바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슬로트를 갖는 고정자철심과, 상기 슬로트에 장착된 다상의 고정자권선을 갖고, 상기 고정자권선은 전기도체로 된 다수의 세그멘트를 접합해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자철심의 축방향의 일단측에 형성되고, 상기 세그멘트의 턴부로 구성된 제 2코일엔드부와, 상기 고정자철심의 축방향의 타단측에 형성되고 겹쳐감기를 형성하도록 상기 세그멘트의 단부끼리를 접합해서 구성된 제 1코일엔드부를 구비한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고정자에서 각 상의 상기 고정자권선은 주회당 겹쳐감기로 2턴을 구성하는 제 1 및 제 2권선이 브리지결선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권선의 브리지결선 접속부, 유도점 및 중심점을 구성하는 세그멘트가 상기 제 1 및 제 2코일엔드부의 한쪽의 2자극 피치에 걸치는 부분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브리지결선, 교류결선 또는 정류기에의 결선시에 전기도체의 절연피막의 파손이 억제되고 단락불량에 의한 품질저하가 억제되는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고정자가 얻어진다.
또, 상기 제 1 및 제 2권선이 동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유도선이나 중성점의 처리치구의 공유화가 도모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수가 있다.
또, 상기 브리지결선 접속부의 적어도 하나가 상기 한쪽의 코일엔드부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잇으므로, 팬호출측의 통풍저항이 적어지고, 냉각내장물을 효율좋게 냉각할 수 있게된다.
또, 상기 브리지결선 접속부의 적어도 하나가 상기 한쪽의 코일엔드부의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팬이나 회전자와 코일엔드부 사이에 발생하는 고차수의 불쾌한 간섭음이 저감되고 바람소음도 작게할 수 있다.
또, 상기 브리지결선 접속부의 적어도 하나가 상기 한쪽의 코일엔드부의 직경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고정자권선과 브래킷의 간격을 넓게할 수 있고, 절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고정자권선과 브래킷 사이의 간격을 좁혀줌으로써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 상기 브리지결선 접속부의 적어도 하나가 상기 한쪽의 코일엔드부의 정상부의 축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고정자권선과 브래킷과의 상이의 절연성이 확보되고, 팬이나 회전자와 코일엔드부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고차수의 불쾌한 간섭음이 저감된다.
또, 상기 브리지결선 접속부의 적어도 하나가 U자상태의 세그멘트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브리지결선 작업이 경감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브리지결선 작업에 기인하는 단락분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가 있다.

Claims (3)

  1. 다수의 슬로트를 갖는 고정자철심과, 상기 슬로트에 장착된 다상의 고정자권선을 갖고
    상기 고정자권선은 전기도체로된 다수의 세그멘트를 접합해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자철심의 축방향의 일단측에 형성되고 상기 세그멘트의 턴부로 구성된 제 2코일엔드부와, 상기 고정자철심의 축방향의 타단측에 형성되고 겹쳐감기를 형성하도록 상기 세그멘트의 단부끼리를 접합해서 구성된 제 1코일엔드부를 구비한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고정자에서,
    각 상의 상기 고정자권선은, 주회당 겹쳐감기로 2턴을 구성하는 제 1 및 제 2권선이 브리지결선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권선의 브리지결선 접속부, 유도점 및 중성점을 구성하는 세그멘트가 상기 제 1 및 제 2코일엔드부의 한쪽의 2자극피치로 건느는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고정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권선이 동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고정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결선 접속부의 적어도 하나가 상기 한쪽의 코일엔드부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고정자.
KR10-2000-0049227A 1999-12-01 2000-08-24 차량용 교류 발전기의 고정자 KR1003767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9-342108 1999-12-01
JP34210899A JP3155532B1 (ja) 1999-12-01 1999-12-01 車両用交流発電機の固定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7105A true KR20010067105A (ko) 2001-07-12
KR100376756B1 KR100376756B1 (ko) 2003-03-19

Family

ID=18351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9227A KR100376756B1 (ko) 1999-12-01 2000-08-24 차량용 교류 발전기의 고정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326715B1 (ko)
EP (1) EP1107424B1 (ko)
JP (1) JP3155532B1 (ko)
KR (1) KR100376756B1 (ko)
DE (1) DE60029294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86610B2 (en) 2008-07-01 2014-04-0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utomotive dynamoelectric sta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02725B1 (fr) * 1999-12-20 2008-06-27 Denso Corp Machine electrique rotative presentant une structure de support elastique d'induit
JP2001286082A (ja) * 2000-04-03 2001-10-12 Mitsubishi Electric Corp 交流発電機の固定子
JP4108257B2 (ja) * 2000-07-24 2008-06-25 三菱電機株式会社 交流発電機
JP3621635B2 (ja) * 2000-08-10 2005-02-16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
JP3949370B2 (ja) * 2000-11-08 2007-07-25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用交流発電機
JP3633494B2 (ja) * 2001-02-20 2005-03-30 株式会社デンソー 回転電機
US6774530B2 (en) * 2002-06-07 2004-08-10 Briggs & Stratton Corporation Winding assemblies for electrical machines
US6979926B2 (en) 2002-06-12 2005-12-27 Denso Corporation Sequentially joined-segment coil for rotary electrical machine
US6794785B2 (en) * 2002-06-26 2004-09-21 Denso Corporation Alternator for vehicles
DE10342755B4 (de) * 2002-09-17 2018-06-14 Denso Corporation Rotierende Hochspannungselektromaschine
JP3988617B2 (ja) * 2002-09-18 2007-10-10 株式会社デンソー セグメント導体接合型電機子及びこの電機子を備えた交流機
US20040070305A1 (en) * 2002-10-15 2004-04-15 Neet Kirk E. Stator for an automobile alternator and method
JP4252360B2 (ja) * 2003-05-21 2009-04-08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の固定子
JP4631631B2 (ja) * 2005-09-20 2011-02-16 株式会社デンソー 回転電機のステータコイル
JP4914169B2 (ja) * 2006-10-16 2012-04-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回転電機
US7911106B2 (en) * 2007-03-29 2011-03-22 Hitachi, Ltd. Rotary electric machine
BRPI0721572A2 (pt) * 2007-05-22 2013-01-15 Thyssenkrupp Elevator Ag parte eletromotora de um direcionador de elevador e mÉtodo de enrolamento de enrolamentos de uma parte eletromotora de um direcionador de elevador
JP5073005B2 (ja) 2010-04-27 2012-11-14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
JP5541585B2 (ja) * 2010-12-28 2014-07-09 株式会社デンソー 回転電機
CN104901447B (zh) * 2014-03-05 2017-12-0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机定子及其绕线结构
CN108886288B (zh) * 2016-03-31 2020-07-14 日立汽车系统株式会社 旋转电机的定子以及使用它的旋转电机
FR3098046B1 (fr) * 2019-06-28 2022-02-25 Valeo Equip Electr Moteur Bobinage électrique pour une machine électrique tournante
DE102019124463A1 (de) * 2019-09-11 2021-03-11 Valeo Siemens Eautomotive Germany Gmbh Stator mit Pins und einem innen liegendem Anschluss für eine elektrische Maschine
DE102019124462A1 (de) * 2019-09-11 2021-03-11 Valeo Siemens Eautomotive Germany Gmbh Stator mit Pins und einem nebeneinander liegenden Anschluss für eine elektrische Maschine
DE102019124464A1 (de) * 2019-09-11 2021-03-11 Valeo Siemens Eautomotive Germany Gmbh Stator mit Pins für eine elektrische Maschine
CN111181263A (zh) * 2020-01-14 2020-05-19 天津市松正电动汽车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电机定子及电机
US11539255B2 (en) * 2020-03-24 2022-12-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airpin winding electric machine
US11368066B2 (en) * 2020-04-03 2022-06-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airpin winding electric machine
JP2023160189A (ja) * 2022-04-21 2023-11-02 株式会社アイシン ステータ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555B2 (ja) * 1987-05-27 1995-04-10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用交流発電機の固定子
DE4031276A1 (de) * 1990-10-04 1992-04-09 Bosch Gmbh Robert Staender fuer elektrische maschinen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CA2238504C (en) * 1997-05-26 2001-03-13 Atsushi Umeda Stator arrangement of alternator for vehicle
EP0881746B2 (en) * 1997-05-26 2007-12-26 Denso Corporation Stator arrangement of alternator for vehicle
JP3855453B2 (ja) * 1997-05-26 2006-12-13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交流発電機
JP3303773B2 (ja) * 1997-05-26 2002-07-22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交流発電機の固定子
JP3508650B2 (ja) * 1998-11-25 2004-03-22 株式会社デンソー 回転電機の固定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86610B2 (en) 2008-07-01 2014-04-0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utomotive dynamoelectric st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07424B1 (en) 2006-07-12
KR100376756B1 (ko) 2003-03-19
EP1107424A3 (en) 2003-04-23
US6326715B1 (en) 2001-12-04
DE60029294D1 (de) 2006-08-24
EP1107424A2 (en) 2001-06-13
JP3155532B1 (ja) 2001-04-09
JP2001169489A (ja) 2001-06-22
DE60029294T2 (de) 2007-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6756B1 (ko) 차량용 교류 발전기의 고정자
JP3419721B2 (ja) 車両用交流発電機
US6201332B1 (en) AC generator stator for vehicle
US6552463B2 (en) Dynamo-electric machine having winding phase groups of series-connected windings connected in parallel
KR100376919B1 (ko) 교류발전기
KR100396800B1 (ko) 교류발전기
KR100414320B1 (ko) 회전전기
KR100355124B1 (ko)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고정자
US20030164656A1 (en) Stator of vehicle AC generator
US7602093B2 (en) Vehicle alternator and stator for vehicle alternator
US6727625B2 (en) Rotary electric machi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8143758B2 (en) Winding bobbin and rotating electric machine
JP3633498B2 (ja) 回転電機
JP2004350381A (ja) 回転電機の固定子
EP1120883B1 (en) Alternator
US6956314B2 (en) Alternator
US7342340B2 (en) Alternator with identical conductor segments
JP2007236200A (ja) 交流発電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