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5708A - 광반사율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광반사율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5708A
KR20010065708A KR1019990065632A KR19990065632A KR20010065708A KR 20010065708 A KR20010065708 A KR 20010065708A KR 1019990065632 A KR1019990065632 A KR 1019990065632A KR 19990065632 A KR19990065632 A KR 19990065632A KR 20010065708 A KR20010065708 A KR 20010065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weight
molecular weight
impact res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5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0735B1 (ko
Inventor
정한수
권익환
Original Assignee
안복현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복현,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안복현
Priority to KR10-1999-0065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0735B1/ko
Publication of KR20010065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5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0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07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also oxygen in the ring
    • C08K5/353Five-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03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3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titanium
    • C08K2003/2241Titanium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5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particle size in gener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은 (A)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80∼99.9 중량%; (B) 충격보강제 0.1∼10 중량%; 및 (C) 열가소성 수지 0∼10 중량%로 이루어지는 기초수지 100 중량부; (D) 수 평균 분자량이 500∼20,000 g/㏖인 저분자량 폴리올레핀 0∼4 중량부; (E) 티타늄 다이옥사이드 2∼20 중량부; 및 (F) 스틸벤-비스벤조옥사졸 유도체(stilbene-bisbenzozale derivative) 0∼1.0 중량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함께, 무기 충진제, 자외선 흡수제,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난연제, 활제, 염료, 및/또는 안료를 더 첨가할 수 있으며, 내충격성 및 광반사율이 우수하기 때문에 LCD 백라이트 반사판 또는 백라이트 플레임으로 사용된다.

Description

광반사율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Light Reflectance}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고유동성, 양호한 충격강도, 및 우수한 광반사 특성을 가짐으로써 노트북 컴퓨터, 모니터, TV, 캠코더, 및 디지털 카메라의 표시(display) 기기로 사용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의 백라이트 유니트(backlight unit)의 반사판 또는 프레임에 사용할 수 있는 티타늄 다이옥사이드 함유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일반적으로 LCD는 유리판(glass substrate), 투명 전극(transparentelectrode), 액정(liquid crystal), 칼라 필터(color filter)로 이루어진 LCD 판넬 부분; 및 배면 광원(backlighting)을 제공하기 위한 반사판(reflector), 형광 램프(fluorescent lamp), 도광판(light guide panel), 확산판(diffision sheet), 프리즘(prism sheet)과 전체를 지지하면서 반사판의 기능을 갖는 배면광 프레임(backlight frame)으로 이루어진 배면광 유니트(backlight unit)로 크게 둘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배면광 유니트는 배면광을 손실 없이 반사시킬 수 있는 높은 광반사율 및 두께가 얇으면서도 프레임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동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해야 한다. 또한, 배면광의 발열에 견딜 수 있는 내열도, 치수안정성, 및 난연성을 가져야 한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다른 수지와 비교하여 뛰어난 저온 내충격성, 자기 소화성, 전기적 특성, 투명성, 치수안정성, 및 열안정성 등으로 인하여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서 사무 자동화 기기, 전기 및 전자제품 등에 있어서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내충격성은 폴리카보네이트의 분자량, 사용 환경, 잔류 응력 등의 요인에 따라 민감하게 변화하여, 급속한 내충격성의 저하 현상이 일어난다. 또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녹는점이 높기 때문에 유동성이 낮고, 성형 시 고온으로 가공해야 하므로 수지의 과열에 따른 열분해 및 분자량 저하 현상이 나타난다. 이처럼 낮은 유동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사출성형 시 높은 사출 압력 및 속도를 적용할 경우 성형물의 부위에 따라 높은 잔류 응력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수지의 열분해 및 과도한 잔류 응력으로 인하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제조된 성형물은 내충격성이 급격히 저하되며, 고온의 환경 및 화학 제품과의접촉이 많은 환경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도 내충격성이 급격히 저하되는 현상으로 인하여 그 이용 범위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LCD의 백라이트(backlight) 부품으로 사용할 경우 배면광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반사시키기 위하여 고백색으로 칼라링(coloring)하여 백라이트 프레임(backlight flame)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고광반사율을 갖는 고백색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제조를 위하여, 일본 특개소 63-26140호 및 미국특허번호 제 5,837,757호는 티타늄 다이옥사이드(TiO2)를 약 5% 이상 첨가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높은 수준의(약 90% 이상) 광반사율을 나타내는데 한계가 있으며, 또한 티타늄 다이옥사이드(TiO2)로 인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분해되어 열안정성 및 충격 강도가 급격히 저하하는 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에 제조공정에 있어서, 어려움이 많았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티타늄 다이옥사이드(TiO2)를 일정량 이상 첨가하여 높은 광반사율 및 고백색의 외관을 나타내고, 가공 공정 중 티타늄 다이옥사이드로 인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분해 현상을 억제함으로써 충격강도의 저하를 방지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조성물을 제조하게 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광반사율이 우수하여 각종 LCD 부품의 배면광 프레임(backlight frame)으로 사용할 수 있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충격보강제, 저분자량 폴리올레핀계 수지, 티타늄 다이옥사이드, 및 스틸벤-비스벤조옥사졸 유도체를 적정한 비율로 사용함으로써 양호한 충격강도를 갖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의 목적과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은 (A)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80∼99.9 중량%; (B) 충격보강제 0.1∼10 중량%; 및 (C) 열가소성 수지 0∼10 중량%로 이루어지는 기초수지 100 중량부; (D) 수 평균 분자량이 500∼20,000 g/㏖인 저분자량 폴리올레핀 0∼4 중량부; (E) 티타늄 다이옥사이드 2∼20 중량부; 및 (F) 스틸벤-비스벤조옥사졸 유도체(stilbene-bisbenzozale derivative) 0∼1.0 중량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 각각의 성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본 발명에 적당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제조 방법 및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의 이용은 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구성성분인 (A)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일반적으로 하기 일반식 (Ⅰ)으로 표시되는 디페놀류를 포스겐(phosgene), 할로겐 포르메이트(formate), 또는 탄산 디에스테르와 반응시킴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상기식에서, A는 단일 결합, C1∼5의 알킬렌, C1∼5의 알킬리덴, C5∼6의 시클로알킬리덴, -S- 또는 -SO2-를 나타낸다.
상기 일반식(Ⅰ)의 디페놀의 구체예는 히드로퀴논, 레조시놀, 4,4'-디히드록시디페닐,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4-비스-(4-히드록시페닐)-2-메틸부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2,2-비스-(3-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등이다. 바람직하게는,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비스페놀 A),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및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이 사용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공업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향족 카보네이트인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비스페놀 A)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적합한 폴리카보네이트의 중량 평균분자량은 10,000∼200,000의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15,000∼80,000의 범위이다. 또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분지쇄(branched) 형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중합에 사용되는 디페놀 전량에 대하여 0.05∼2 몰%의 트리- 또는 그 이상의 다관능성 화합물, 예를 들면 3가 또는 그 이상의 페놀기를 가진 화합물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로는 호모 폴리카보네이트(homopolycarbonate), 코폴리카보네이트(copolycarbonate)를 들 수 있으며, 또한 코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카보네이트의 블렌드 형태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에스테르 전구체(precursor), 예를 들면 2 관능성 카르복실산 존재 하에서 중합 반응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공중합체로 일부 또는 전량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있어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기초수지 (A)+(B)+(C) 중 80∼99.9 중량%로 사용된다.
(B) 충격보강제
본 발명에서는 충격보강제로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또는 올레핀계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C4∼6인 디엔계 고무, 아크릴레이트계 고무, 및 실리콘계 고무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고무 단량체를 중합한 후에 그라프팅 가능한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할로겐 또는 알킬 치환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C1∼8인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테르류; C1∼8인 메타크릴산 에스테르류; 무수말레인산; C1∼4인 알킬 또는 페닐 핵치환 말레이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이상의 불포화 화합물 단량체를 고무질 중합체에 그라프트시켜 제조하며, 고무의 함량은 20∼90 중량%가 바람직하다.
아크릴레이트계 고무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n-프로필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헥실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단량체를 사용하며, 이때 사용되는 경화제는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1,4-부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알릴메타크릴레이트, 트리알릴시아누레이트 등이 있다.
실리콘계 고무는 시클로실록산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헥사메틸시클로트리실록산,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트리메틸트리페닐시클로트리실록산, 테트라메틸테트라페닐시클로테트로실록산, 옥타페닐시클로테트라실록산 등이 있다. 상기 시클로실록산으로부터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실리콘계 고무를 제조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되는 경화제로 트리메톡시메틸실란, 트리에톡시페닐실란, 테트라메톡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등을 사용한다.
상기의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으며, 유화 중합, 현탁 중합, 용액중합, 또는 괴상중합 등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무질 중합체의 존재 하에 위에서 상기 비닐계 단량체를 투입하고, 중합 개시제를 사용하여 유화 중합 또는 괴상 중합한다.
본 발명에 적합한 올레핀계 공중합체는 에틸렌, 프로필렌, 이소프로필렌, 부틸렌, 및 이소부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올레핀계 단량체로부터 제조된다. 올레핀계 공중합체는 일반적인 올레핀 중합촉매인 지글러-나타 촉매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더욱 선택적인 구조를 위하여는 메탈로센계 촉매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때, 폴리카보네이트와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무수말레인산 등을 올레핀계 공중합체에 그라프팅 반응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충격보강제는 기초수지 (A)+(B)+(C) 중 0.1∼10 중량%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C) 열가소성 수지
본 발명에 있어서, 선택적 구성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는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할로겐 또는 알킬 치환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C1∼8인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류; C1∼8인 메타크릴산 에스테르류; 무수말레인산; C1∼4인 알킬 또는 페닐 핵치환 말레이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선택되는 불포화 화합물 중에서 1종 이상을 중합하여 제조된 중합체이거나, 상기 중합체의 혼합물이다.
상기 C1∼8인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류, 및 C1∼8인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류는 각각 메타크릴산 또는 아크릴산의 에스테르류로서 C1∼8인 모노히드릴 알코올이다. 이들의 구체예로는 메타크릴산 메틸에스테르, 메타크릴산 에틸에스테르 또는 메타크릴산 프로필에스테르를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메타크릴산 메틸에스테르를 사용한다.
바람직한 열가소성 수지는 스티렌, 메타크릴산 메틸에스테르, 및 아크릴로니트릴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하여 중합 제조되며, 유화 중합, 현탁 중합, 용액 중합, 괴상중합 등의 중합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중량 평균 분자량이 15,000∼200,000인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 형태로도 사용되며, 기초수지 (A)+(B)+(C) 중 0∼10 중량%로 사용된다.
(D) 저분자량 폴리올레핀
본 발명에 사용된 저분자량 폴리올레핀은 500∼20,000 g/㏖의 수 평균 분자량을 가지며, 에틸렌, 프로필렌, 이소프로필렌, 부틸렌, 및 이소부틸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올레핀계 단량체로부터 중합되거나 고분자량의 폴리올레핀을 분해시켜 제조될 수 있다. 폴리올레핀의 수 평균 분자량이 20,000g/㏖을 초과할 경우 내충격성이 저하된다.
저분자량 폴리올레핀은 일반적인 올레핀 중합촉매인 지글러-나타 촉매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더욱 선택적인 구조를 위하여는 메탈로센계 촉매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고분자량의 폴리올레핀을 열분해 및 화학적 분해를 통하여 저분자량의 폴리올레핀으로 제조할 수 있다. 저분자량 폴리올레핀은 다른 수지와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무수말레인산 등을 그라프팅 반응시킬 수도 있다. 또는, 폴리스티렌과 같은 다른 종류의 수지를 이용하여 폴리올레핀 자체가 주쇄로 존재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형태의 변성 폴리올레핀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500∼20,000 g/㏖의 수 평균 분자량을 갖는 저분자량 폴리올레핀 또는 변성 저분자량 폴리올레핀은 기초수지 (A)+(B)+(C) 100 중량부에 대하여 0∼4 중량부로 사용된다. 만약 4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 인장강도, 굴곡강도, 및 굴곡탄성률 등의 기계적 강도가 크게 저하된다. 바람직하게는, 기초수지 (A)+(B)+(C)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2 중량부로 사용한다.
(E) 티타늄 다이옥사이드(TiO2)
티타늄 다이옥사이드는 결정형태에 따라 Anatase 형태 및 Rutile 형태로 분류되며, 입자의 형상, 표면 처리제, 및 평균 입자크기에 의하여 다양한 제품으로 분류된다. 본 발명에서는 어떠한 형태의 티타늄 다이옥사이드를 사용해도 무방하나, 보다 우수한 광반사 특성 및 수지의 양호한 기계적 물성을 위하여 Rutile 형태를 사용하며, 입자크기의 중앙값(median particle size)이 0.15∼0.25㎛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티타늄 다이옥사이드는 기초수지 (A)+(B)+(C) 100 중량부에 대하여 2∼20 중량부로 사용한다.
(F) 스틸벤-비스벤족사졸 유도체
본 발명에 사용되는 스틸벤-비스벤족사졸 유도체는 일반적으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광반사율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스틸벤-비스벤족사졸 유도체의 예로는 하기식(Ⅱ)의 4-(benzoxazole-2-yl)-4'-(5-methylbenzoxazol-2-yl) stilbene 및 하기식(Ⅲ)의 4,4'-bis(benzoxazol-2-yl)stilbene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틸벤-비스벤족사졸 유도체에 블루(blue) 및 바이올렛(violet) 안료를 적당한 양으로 선택적으로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미 상품화된 혼합제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스틸벤-비스벤조옥사졸 유도체(stilbene-bisbenzozale derivative)는 기초수지 (A)+(B)+(C)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0 중량부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은 각각의 용도에 따라, 유리섬유, 탈크, 실리카, 마이카, 알루미나 등의 무기 충진제를 첨가함으로써 기계적 강도, 열변형 온도(heat distortion temperature) 등의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자외선 흡수제,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난연제, 활제, 염료, 및/또는 안료 등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5 및 비교실시예 1∼2
하기의 실시예 1∼5 및 비교실시예 1∼2에서 사용된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B1) 그라프트 공중합체 1, (B2) 그라프트 공중합체 2, (C) SAN 공중합체 수지, (D) 저분자량 폴리올레핀, (E) 티타늄 다이옥사이드, 및 (F) 스틸벤-비스벤족사졸 유도체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중량평균 분자량이 20,000∼30,000 g/㏖인 비스페놀-A형 선형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하였다.
(B1) 그라프트 공중합체 1
실리콘계 고무에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 단량체를 그라프팅하여 제조한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사용하였다.
(B2) 그라프트 공중합체 2
고무의 평균입자크기가 0.20∼0.30㎛인 고무 라텍스 45∼60 중량부에 아크릴로니트릴과 스티렌 단량체로 구성된 그라프트 단량체 혼합물 40∼55 중량부를 그라프팅시키는 통상의 유화 중합에 의하여 제조된 g-ABS 수지를 사용하였다. 이때, 제조된 g-ABS 수지의 그라프트율은 45∼75% 범위에 있었다.
(C) SAN 공중합체 수지
스티렌 70 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30 중량부 및 탈이온수 120 중량부로 이루어진 혼합물에 첨가제인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0.2 중량부 및 트리칼슘포스페이트 0.5 중량부를 첨가하고 현탁 중합시켜 SAN 공중합체 수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공중합체를 수세, 탈수 및 건조 과정을 통하여 분말 상태의 SAN 공중합체 수지를 얻었다.
(D) 저분자량 폴리올레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을 열분해하여 제조된 수 평균 분자량이 2,000∼8,000 g/㏖인 폴리에틸렌을 사용하였다.
(E) 티타늄다이옥사이드
Rutile 형태이며 입자크기의 중앙값(median particle size)이 0.15∼0.25㎛인 티타늄 다이옥사이드를 사용하였다.
(F) 스틸벤-비스벤족사졸 유도체
스틸벤-비스벤족사졸 유도체 중 4-(benzoxazole-2-yl)-4'-(5-methylbenzoxazol-2-yl)stilbene과 블루 또는 바이올렛 안료가 적당한 양으로 혼합된 제품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5 및 비교실시예 1∼3에서 사용된 각 성분의 조성은 표 1과 같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1 2 3
조성 (A) 폴리카보네이트 98 98 95 95 95 100 100 100
(B1) 그라프트 공중합체 2 2 5 2 - - - -
(B2) 그라프트 공중합체 - - - - 5 - - -
(C) SAN 공중합체 수지 - - - 3 - - - -
(D)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 1 1 1 1 - - -
(E) 티타늄 다이옥사이드 10 10 10 10 10 5 10 10
(F) 스틸벤-비스벤족사졸 유도체 0.01 0.01 - 0.01 0.01 - - 0.01
상기 표 1에 나타낸 조성으로 각 성분을 혼합한 후에, 산화방지제, 열안정제를 첨가하여, 통상의 혼합기에서 혼합한다. 그 다음, L/D=29, ¢=45㎜인 이축 압출기에 투입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압출기를 통하여 펠렛 형태의 수지 조성물로 제조하고 사출 온도 300℃에서 시편을 제조한 다음 23℃, 상대습도 50%의 조건하에서 40시간 동안 방치한다. 그 다음, ASTM D-256에 따라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1/8")를 측정하고, 광반사율은 MINOTA사의 스펙트로포토메터(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1 2 3
1/8" 노치아이조드 충격강도(㎏f·㎝/㎝) 60 60 60 60 55 10 10 10
파장대별광반사율(%) 450㎚ 99.0 99.0 92.4 99.5 98.8 80.4 83.6 95.4
500㎚ 96.7 96.9 93.5 97.0 95.0 82.4 86.8 93.2
550㎚ 95.2 96.0 94.4 96.2 94.2 85.5 89.0 89.2
600㎚ 95.4 96.0 94.2 96.5 94.6 86.8 90.7 90.5
650㎚ 96.2 96.5 94.0 96.5 94.5 87.3 91.9 91.4
700㎚ 96.8 97.1 94.1 97.0 95.1 88.7 92.9 92.5
최소반사율 95.2 96.0 92.4 96.2 94.2 80.4 83.6 89.2
상기 표 2에서 측정된 내충격강도 및 광반사율의 결과를 보면, 성분 (B)를 넣지 않은 비교실시예 1∼3은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실시예 1∼5에 비하여 현저하게 저하되고, 광반사율도 실시예 1∼5에 비하여 상당히 낮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은 내충격성 향상을 위하여 충격보강제로서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사용하고, 광반사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티타늄 다이옥사이드, 및 스틸벤-비스벤조옥사졸 유도체를 사용하며, 선택적 구성성분으로 SAN 공중합체 수지 및 저분자량 폴리올레핀을 적절한 비율로 구성함으로써 내충격성 및 광반사 특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각종 LCD 부품의 배면광 프레임(backlight frame)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9)

  1. (A)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80∼99.9 중량%;
    (B) C4∼6인 디엔계 고무, 아크릴레이트계 고무, 및 실리콘계 고무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고무 단량체를 중합한 고무질 중합체에,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할로겐 또는 알킬 치환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C1∼8인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테르류; C1∼8인 메타크릴산 에스테르류; 무수말레인산; C1∼4인 알킬 또는 페닐 핵치환 말레이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불포화 화합물 단량체를 그라프트 공중합시킨 그라프트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 프로필렌, 이소프로필렌, 부틸렌, 및 이소부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올레핀계 단량체로부터 중합되는 올레핀 공중합체인 충격보강제 0.1∼10 중량%; 및
    (C)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할로겐 또는 알킬 치환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C1∼8인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류; C1∼8인 메타크릴산 에스테르류; 무수말레인산; C1∼4인 알킬 또는 페닐 핵치환 말레이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어 중합되는 중합체 또는 상기 중합체의 혼합물인 열가소성 수지 0∼10 중량%;로 구성되는 기초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D) 수 평균 분자량이 500∼20,000 g/㏖인 저분자량 폴리올레핀 0∼4 중량부;
    (E) 티타늄 다이옥사이드 2∼20 중량부; 및
    (F) 스틸벤-비스벤조옥사졸 유도체(stilbene-bisbenzozale derivative) 0∼1.0 중량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 및 광반사율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보강제가 올레핀 공중합체이며, 폴리카보네이트와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올레핀 공중합체에 무수말레인산을 그라프팅 중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 및 광반사율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분자량 폴리올레핀이 에틸렌, 프로필렌, 이소프로필렌, 부틸렌, 및 이소부틸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올레핀계 단량체로부터 중합되거나, 고분자량의 폴리올레핀을 분해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 및 광반사율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분자량 폴리올레핀이 다른 수지와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무수말레인산을 그라프팅시키거나, 저분자량 폴리올레핀 자체를 주쇄로 하여 폴리스티렌을 그라프트 공중합시킨 변성 폴리올레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 및 광반사율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티타늄 다이옥사이드가 Rutile 형태이며, 입자크기의 중앙값(median particle size)이 0.15∼0.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 및 광반사율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틸벤-비스벤조옥사졸 유도체가 4-(benzoxazole-2-yl)-4'-(5-methylbenzoxazol-2-yl)stilbene 또는 4,4'-bis(benzoxazol-2-yl)stilbe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 및 광반사율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무기 충진제, 자외선 흡수제,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난연제, 활제, 염료, 및/또는 안료를 더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 및 광반사율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8. 제1항 내지 7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로 제조되는 성형품.
  9. 제8항에 있어서, LCD 백라이트 반사판 또는 백라이트 플레임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KR10-1999-0065632A 1999-12-30 1999-12-30 광반사율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KR100510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5632A KR100510735B1 (ko) 1999-12-30 1999-12-30 광반사율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5632A KR100510735B1 (ko) 1999-12-30 1999-12-30 광반사율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5708A true KR20010065708A (ko) 2001-07-11
KR100510735B1 KR100510735B1 (ko) 2005-08-26

Family

ID=19632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5632A KR100510735B1 (ko) 1999-12-30 1999-12-30 광반사율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073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806B1 (ko) * 2005-06-30 2007-01-09 제일모직주식회사 광반사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0802752B1 (ko) * 2006-11-10 2008-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0816474B1 (ko) * 2006-04-14 2008-03-26 제일모직주식회사 웰드강도가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053B1 (ko) 2005-10-21 2007-06-20 주식회사 삼양사 우수한 내스플레이성 및 내충격성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계수지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7670A (ja) * 1994-10-31 1996-05-21 Teijin Chem Ltd レーザーマーキング用樹脂組成物
JP3007046B2 (ja) * 1996-07-25 2000-02-07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難燃性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KR100524319B1 (ko) * 1999-02-04 2005-10-26 제일모직주식회사 광반사 특성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806B1 (ko) * 2005-06-30 2007-01-09 제일모직주식회사 광반사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0816474B1 (ko) * 2006-04-14 2008-03-26 제일모직주식회사 웰드강도가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802752B1 (ko) * 2006-11-10 2008-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0735B1 (ko) 2005-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5320B1 (ko) 내충격성 및 광반사율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조성물
KR101065337B1 (ko) 내광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0782265B1 (ko) 광반사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0511423B1 (ko) 투명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1534336B1 (ko) 내광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JP5160563B2 (ja) 難燃性及び耐光性に優れた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EP2184321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made using the same
EP0567655A1 (en)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production thereof
KR101311937B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0505292B1 (ko)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KR101277725B1 (ko) 폴리카보네이트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225947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557684B1 (ko) 내피로 특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US20100261844A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Made Therefrom
KR100510735B1 (ko) 광반사율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JPH0912858A (ja) ガラス繊維強化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KR101716929B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0899172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200889B1 (ko) 광반사성이 향상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0524319B1 (ko) 광반사 특성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
KR102382266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광확산판
KR100877296B1 (ko) 내스크래치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080062469A (ko)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및 플라스틱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