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2266B1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광확산판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광확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2266B1
KR102382266B1 KR1020190161718A KR20190161718A KR102382266B1 KR 102382266 B1 KR102382266 B1 KR 102382266B1 KR 1020190161718 A KR1020190161718 A KR 1020190161718A KR 20190161718 A KR20190161718 A KR 20190161718A KR 102382266 B1 KR102382266 B1 KR 102382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light
resin composition
polystyrene
thermoplas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1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7939A (ko
Inventor
이상훈
강태곤
우은택
정다흰
Original Assignee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EP20174657.5A priority Critical patent/EP3745164A1/en
Priority to CN202010436394.0A priority patent/CN112011164B/zh
Priority to US16/882,912 priority patent/US11518879B2/en
Priority to EP20176497.4A priority patent/EP3745165A1/en
Publication of KR20200137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7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2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22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L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6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fabrication or manufacturing metho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1Diffusing sheet or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carbonates;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J24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J24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433/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J24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J24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 및 폴리스티렌-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입자 0.5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스티렌-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입자는 폴리스티렌 함량이 41 내지 59 중량%이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함량이 41 내지 59 중량%이고, 평균 입경이 3 내지 9 ㎛이며, 입경의 변동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CV)가 20 내지 4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광투과성, 광확산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광확산판{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LIGHT DIFFUSION SHEET PRODUCED THEREFROM}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광확산판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광투과성, 광확산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광확산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ED(light emitting device) 조명은 LED의 특성상 빛의 직진성이 강하여, 이를 조명으로 사용할 경우 광확산판을 이용하여 직진하는 LED 빛을 분산시켜야 한다.
조명용 광확산판(커버)은 주로 투명성, 성형성 및 난연성을 고려하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주요 수지로 사용하며, 여기에 실리콘 또는 아크릴계 광확산제를 수지 내에 분산시켜 빛의 분산도를 높이고 있다.
그러나, 기존 광확산판 제품의 경우, 광확산도가 상승함에 따라, 광투과율이 저하되어 조명용 광확산판으로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광투과성, 광확산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되는 (조명용) 광확산판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6-0141078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광투과성, 광확산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광확산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1.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 및 폴리스티렌-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입자 0.5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스티렌-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입자는 폴리스티렌 함량이 41 내지 59 중량%이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함량이 41 내지 59 중량%이고, 평균 입경이 3 내지 9 ㎛이며, 하기 식 1에 의한 입경의 변동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CV)가 20 내지 4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 1]
변동계수(CV) = [σ / M]
상기 식 1에서, M은 공중합체 입자의 평균 입경이고, σ는 공중합체 입자 입경의 표준편차이다.
2. 상기 1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0 내지 30,000 g/mol일 수 있다.
3. 상기 1 또는 2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1003에 따라 측정한 1.0 mm 두께 시편의 투과도가 96% 이상일 수 있고, 2.0 mm 두께 시편의 투과도가 92% 이상일 수 있다.
4. 상기 1 내지 3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1.0 mm 두께 시편에 대하여, 변각 광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한 0°에서의 광도 값의 절반인 광도 값의 각도가 3 내지 20°일 수 있고, 2.0 mm 두께 시편에 대하여, 변각 광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한 0°에서의 광도 값의 절반인 광도 값의 각도가 10 내지 30°일 수 있다.
5.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광확산판에 관한 것이다. 상기 광확산판은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6.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광확산판에 관한 것이다. 상기 광확산판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매트릭스에 광확산제가 분산된 광확산판이며, 상기 광확산제는 폴리스티렌-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스티렌-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입자는 평균 입경이 3 내지 9 ㎛이며, 하기 식 1에 의한 입경의 변동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CV)가 20 내지 4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 1]
변동계수(CV) = [σ / M]
상기 식 1에서, M은 공중합체 입자의 평균 입경이고, σ는 공중합체 입자 입경의 표준편차이다.
7. 상기 6 구체예에서, 상기 광확산판은 상기 폴라카보네이트 수지 매트릭스 100 중량부; 및 상기 광확산제 0.5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8. 상기 6 또는 7 구체예에서, 상기 광확산판은 ASTM D1003에 따라 측정한 1.0 mm 두께 시편의 투과도가 96% 이상일 수 있고, 2.0 mm 두께 시편의 투과도가 92% 이상일 수 있다.
9. 상기 6 내지 8 구체예에서, 상기 광확산판은 1.0 mm 두께 시편에 대하여, 변각 광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한 0°에서의 광도 값의 절반인 광도 값의 각도가 3 내지 20°일 수 있고, 2.0 mm 두께 시편에 대하여, 변각 광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한 0°에서의 광도 값의 절반인 광도 값의 각도가 10 내지 30°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광투과성, 광확산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광확산판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B) 폴리스티렌-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입자;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수치범위를 나타내는 "a 내지 b"는 "≥a 이고 ≤b"으로 정의한다.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는 통상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페놀류(방향족 디올 화합물)를 포스겐, 할로겐 포르메이트, 탄산 디에스테르 등의 전구체와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되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디페놀류로는 4,4'-비페놀,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4-비스(4-히드록시페닐)-2-메틸부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2,2-비스(3-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또는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비스페놀-A 라고 불리는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분지쇄가 있는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중합에 사용되는 디페놀류 전체에 대하여, 0.05 내지 2 몰%의 3가 또는 그 이상의 다관능 화합물, 구체적으로, 3가 또는 그 이상의 페놀기를 가진 화합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호모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코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또는 이들의 블렌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에스테르 전구체(precursor), 예컨대 2관능 카르복실산의 존재 하에서 중합 반응시켜 얻어진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수지로 일부 또는 전량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로 측정한 중량평균분자량(Mw)이 20,000 내지 30,000 g/mol, 예를 들면, 20,000 내지 25,000 g/mol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유동성(가공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ISO 1133에 의거하여, 300℃, 1.2 kg 하중 조건에서 측정한 용융흐름지수(Melt-flow Index: MI)가 10 내지 40 g/10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용융흐름지수가 다른 2종 이상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혼합물일 수 있다.
(B) 폴리스티렌-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입자
본 발명에 따른 폴리스티렌-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입자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함께 적용되어, 광투과성 및 광확산성을 모두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통상의 폴리스티렌-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입자 제조방법에 따라, 스티렌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혼합하고, 이를 공지의 중합방법으로 중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폴리스티렌 함량이 41 내지 59 중량%, 예를 들면 45 내지 55 중량%일 수 있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함량이 41 내지 59 중량%, 예를 들면 45 내지 5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폴리스티렌-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입자의 폴리스티렌 함량이 41 중량% 미만(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함량이 59 중량%를 초과)일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투과도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폴리스티렌 함량이 59 중량%를 초과(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함량이 41 중량% 미만)할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광투과성, 광확산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스티렌-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입자는 입도분석기(제조사: Beckman Coulter, 장치명: Multisizer 4)로 측정한 평균 입경(D50)이 3 내지 9 ㎛, 예를 들면 4 내지 7 ㎛일 수 있고, 하기 식 1에 의한 입경의 변동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CV)가 20 내지 40, 예를 들면 30 내지 40일 수 있다.
[식 1]
변동계수(CV) = [σ / M]
상기 식 1에서, M은 공중합체 입자의 평균 입경이고, σ는 공중합체 입자의 표준편차이다.
상기 폴리스티렌-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입자의 평균 입경이 3 ㎛ 미만일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광확산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9 ㎛를 초과할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광투과성, 광확산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폴리스티렌-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입자의 변동계수가 20 미만일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광투과성, 광확산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40을 초과할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광투과성, 광확산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스티렌-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입자는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로 측정한 중량평균분자량(Mw)이 20,000 내지 30,000 g/mol, 예를 들면, 20,000 내지 25,000 g/mol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광특성, 열안정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스티렌-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입자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3 중량부, 예를 들면 1 내지 2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리스티렌-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입자의 함량이 0.5 중량부 미만일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광투과성, 광확산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3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광투과성, 광확산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는 산화 방지제, 활제, 난연제, 적하 방지제, 이형제, 핵제, 안정제, 안료, 염료, 이들의 혼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첨가제 사용 시, 그 함량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40 중량부, 예를 들면 0.1 내지 10 중량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구성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220 내지 300℃, 예를 들면 240 내지 280℃에서 용융 압출한 펠렛 형태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광확산판)은 ASTM D1003에 따라 측정한 1.0 mm 두께 시편의 투과도가 96% 이상, 예를 들면 96 내지 98%일 수 있고, 2.0 mm 두께 시편의 투과도가 92% 이상, 예를 들면 92 내지 97%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1.0 mm 두께 시편에 대하여, 변각 광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한 0°에서의 광도 값의 절반인 광도 값의 각도가 3 내지 20°, 예를 들면 5 내지 17°일 수 있고, 2.0 mm 두께 시편에 대하여, 변각 광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한 0°에서의 광도 값의 절반인 광도 값의 각도가 10 내지 30°, 예를 들면 12 내지 26°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확산판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펠렛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제조된 펠렛은 사출성형, 압출성형, 진공성형, 캐스팅성형 등의 다양한 성형방법을 통해 다양한 광확산판(제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성형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잘 알려져 있다. 상기 광확산판은 내 강성, 내충격성, 내열성, 난연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우수하므로, 전기/전자 제품의 내/외장재, 라이팅 제품 확산판 등으로 유용하다.
구체예에서, 상기 광확산판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매트릭스에 광확산제가 분산된 광확산판이며, 상기 광확산제는 상기 폴리스티렌-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광확산판은 상기 폴라카보네이트 수지 매트릭스 100 중량부; 및 상기 광확산제 0.5 내지 3 중량부, 예를 들면 1 내지 2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광확산판의 광투과성, 광확산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우수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각 성분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비스페놀-A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중량평균분자량: 23,000 g/mol)를 사용하였다.
(B) 폴리스티렌-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입자
(B1) 폴리스티렌-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입자(제조사: ASP, 제품명: MS-5FDB, 폴리스티렌 50 중량%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50 중량%, 평균 입경: 5.0 ㎛, 변동계수(CV): 35)를 사용하였다.
(B2) 스티렌 45 중량%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55 중량%를 질소 분위기 하의 4구 플라스크 반응기에서 혼합한 후, 상기 플라스크의 온도가 70℃일 때, 과황산칼륨(potassium persulfate) 4 중량부를 녹여 만든 수용액 300 mL를 상기 플라스크에 혼합하여 6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폴리스티렌 사이 결합 형성을 위한 링커로써 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EGDMA)를 20 중량부를 혼합하고, 고속 교반기(homogeneizer)를 이용하여 5,000 rpm으로 5분간 균질화하여 유화액을 제조한 다음, 24시간 동안 중합 반응을 시킨 후, 상기 반응에 의해 합성된 중합체를 여과하고, 물과 에탄올 수용액으로 세척한 후, 여과물을 진공 오븐에 넣어 하루 동안 건조시켜 제조한 폴리스티렌-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입자(폴리스티렌 45 중량%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55 중량%, 평균 입경: 5.0 ㎛, 변동계수(CV): 35)를 사용하였다.
(B3) 스티렌 55 중량%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45 중량%를 질소 분위기 하의 4구 플라스크 반응기에서 혼합한 후, 상기 플라스크의 온도가 70℃일 때, 과황산칼륨(potassium persulfate) 4 중량부를 녹여 만든 수용액 300 mL를 상기 플라스크에 혼합하여 6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폴리스티렌 사이 결합 형성을 위한 링커로써 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EGDMA)를 25 중량부를 혼합한 후, 상기 (B2)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폴리스티렌-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입자(폴리스티렌 55 중량%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45 중량%, 평균 입경: 5.0 ㎛, 변동계수(CV): 35)를 사용하였다.
(B4) 스티렌 40 중량%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60 중량%를 질소 분위기 하의 4구 플라스크 반응기에서 혼합한 후, 상기 플라스크의 온도가 70℃일 때, 과황산칼륨(potassium persulfate) 4 중량부를 녹여 만든 수용액 300 mL를 상기 플라스크에 혼합하여 6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폴리스티렌 사이 결합 형성을 위한 링커로써 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EGDMA)를 15 중량부를 혼합한 후, 상기 (B2)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폴리스티렌-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입자(폴리스티렌 40 중량%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60 중량%, 평균 입경: 5.0 ㎛, 변동계수(CV): 35)를 사용하였다.
(B5) 스티렌 60 중량%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40 중량%를 질소 분위기 하의 4구 플라스크 반응기에서 혼합한 후, 상기 플라스크의 온도가 70℃일 때, 과황산칼륨(potassium persulfate) 4 중량부를 녹여 만든 수용액 300 mL를 상기 플라스크에 혼합하여 6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폴리스티렌 사이 결합 형성을 위한 링커로써 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EGDMA)를 30 중량부를 혼합한 후, 상기 (B2)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폴리스티렌-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입자(폴리스티렌 60 중량%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40 중량%, 평균 입경: 5.0 ㎛, 변동계수(CV): 35)를 사용하였다.
(B6) 스티렌 50 중량%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50 중량%를 질소 분위기 하의 4구 플라스크 반응기에서 혼합한 후, 상기 플라스크의 온도가 70℃일 때, 과황산칼륨(potassium persulfate) 4 중량부를 녹여 만든 수용액 600 mL를 상기 플라스크에 혼합하여 6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폴리스티렌 사이 결합 형성을 위한 링커로써 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EGDMA)를 20 중량부를 혼합하고, 고속 교반기(homogeneizer)를 이용하여 8,000 rpm으로 5분간 균질화하여 유화액을 제조한 다음, 24시간 동안 중합 반응을 시킨 후, 상기 반응에 의해 합성된 중합체를 여과하고, 물과 에탄올 수용액으로 세척한 후, 여과물을 진공 오븐에 넣어 하루 동안 건조시켜 제조한 폴리스티렌-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입자(폴리스티렌 50 중량%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50 중량%, 평균 입경: 2.0 ㎛, 변동계수(CV): 35)를 사용하였다.
(B7) 스티렌 50 중량%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50 중량%를 질소 분위기 하의 4구 플라스크 반응기에서 혼합한 후, 상기 플라스크의 온도가 70℃일 때, 과황산칼륨(potassium persulfate) 4 중량부를 녹여 만든 수용액 250 mL를 상기 플라스크에 혼합하여 6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폴리스티렌 사이 결합 형성을 위한 링커로써 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EGDMA)를 20 중량부를 혼합하고, 고속 교반기(homogeneizer)를 이용하여 4,000 rpm으로 5분간 균질화하여 유화액을 제조한 다음, 24시간 동안 중합 반응을 시킨 후, 상기 반응에 의해 합성된 중합체를 여과하고, 물과 에탄올 수용액으로 세척한 후, 여과물을 진공 오븐에 넣어 하루 동안 건조시켜 제조한 폴리스티렌-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입자(폴리스티렌 50 중량%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50 중량%, 평균 입경: 10.0 ㎛, 변동계수(CV): 35)를 사용하였다.
(B8) 스티렌 50 중량%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50 중량%를 질소 분위기 하의 4구 플라스크 반응기에서 혼합한 후, 상기 플라스크의 온도가 70℃일 때, 과황산칼륨(potassium persulfate) 4 중량부를 녹여 만든 수용액 300 mL를 상기 플라스크에 혼합하여 6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폴리스티렌 사이 결합 형성을 위한 링커로써 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EGDMA)를 20 중량부를 혼합하고, 고속 교반기(homogeneizer)를 이용하여 6,000 rpm으로 10분간 균질화하여 유화액을 제조한 다음, 24시간 동안 중합 반응을 시킨 후, 상기 반응에 의해 합성된 중합체를 여과하고, 물과 에탄올 수용액으로 세척한 후, 여과물을 진공 오븐에 넣어 하루 동안 건조시켜 제조한 폴리스티렌-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입자(폴리스티렌 50 중량%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50 중량%, 평균 입경: 5.0 ㎛, 변동계수(CV): 14)를 사용하였다.
(B9) 스티렌 50 중량%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50 중량%를 질소 분위기 하의 4구 플라스크 반응기에서 혼합한 후, 상기 플라스크의 온도가 70℃일 때, 과황산칼륨(potassium persulfate) 4 중량부를 녹여 만든 수용액 250 mL를 상기 플라스크에 혼합하여 6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폴리스티렌 사이 결합 형성을 위한 링커로써 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EGDMA)를 20 중량부를 혼합하고, 고속 교반기(homogeneizer)를 이용하여 3,000 rpm으로 2분간 균질화하여 유화액을 제조한 다음, 24시간 동안 중합 반응을 시킨 후, 상기 반응에 의해 합성된 중합체를 여과하고, 물과 에탄올 수용액으로 세척한 후, 여과물을 진공 오븐에 넣어 하루 동안 건조시켜 제조한 폴리스티렌-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입자(폴리스티렌 50 중량%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50 중량%, 평균 입경: 5.0 ㎛, 변동계수(CV): 50)를 사용하였다.
(C) 아크릴계 광확산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입자(제조사: ASP, 제품명: MH-5FD)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9
상기 각 구성 성분을 하기 표 1 및 2에 기재된 바와 같은 함량으로 첨가한 후, 250 내지 280℃에서 압출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압출은 L/D=36, 직경 45 mm인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였으며, 제조된 펠렛은 100℃에서 4시간 이상 건조 후, 6 Oz 사출기(성형 온도 260℃, 금형 온도: 60℃)에서 사출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에 대하여 하기의 방법으로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2에 나타내었다.
물성 측정 방법
(1) 광투과성 평가: ASTM D1003에 따라 측정한 1.0 mm 두께 시편 및 2.0 mm 두께 시편의 투과도(단위:%)를 측정하였다.
(2) 광확산성 평가: 1.0 mm 두께 시편 및 2.0 mm 두께 시편에 대하여, 변각 광도계(제조사: NIPPON DENSHOKU, 제품명: GC 5000L)를 사용하여 측정한 0°에서의 광도 값의 절반인 광도 값의 각도(단위: °)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1 2
(A) (중량부) 100 100 100 100 100 100 100
(B1) (중량부) 1 1.5 2 - - 0.4 4
(B2) (중량부) - - - 1.5 -
(B3) (중량부) - - - - 1.5 - -
투과도 (1.0 mm) 97.4 97.5 97.1 96.6 96.4 93.2 91.5
투과도 (2.0 mm) 95.7 93.1 92.4 92.7 92.9 91.5 81.5
확산도 (1.0 mm) 5 14 17 12 15 0 22
확산도 (2.0 mm) 12 23 26 26 24 2 37
비교예
3 4 5 6 7 8 9
(A) (중량부) 100 100 100 100 100 100 100
(B4) (중량부) 1.5 - - - - - -
(B5) (중량부) - 1.5 - - - - -
(B6) (중량부) - - 1.5 - - - -
(B7) (중량부) - - - 1.5 - - -
(B8) (중량부) - - - - 1.5 - -
(B9) (중량부) - - - - - 1.5 -
(C) (중량부) - - - - - - 1.5
투과도 (1.0 mm) 93.0 95.0 93.2 91.2 93.0 91.0 91.2
투과도 (2.0 mm) 90.0 91.0 89.5 87.0 90.2 90.2 80.0
확산도 (1.0 mm) 10 8 8 0 3 0 10
확산도 (2.0 mm) 32 22 12 1 5 0 35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광투과성, 광확산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모두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폴리스티렌-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입자의 함량이 본 발명의 범위 미만일 경우(비교예 1), 광확산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초과할 경우(비교예 2), 광투과성, 광확산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스티렌-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입자 (B1) 대신에 폴리스티렌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함량 범위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폴리스티렌-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입자 (B4)를 적용한 비교예 3의 경우, 광투과성, 광확산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고, 폴리스티렌-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입자 (B5)를 적용한 비교예 4의 경우, 광투과성, 광확산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으며, 평균 입경이 본 발명의 범위를 초과하는 폴리스티렌-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입자 (B6)를 적용한 비교예 5의 경우, 광투과성, 광확산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고, 평균 입경이 본 발명의 범위 미만인 폴리스티렌-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입자 (B7)를 적용한 비교예 6의 경우, 광투과성, 광확산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으며, CV가 본 발명의 범위를 초과하는 폴리스티렌-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입자 (B8)를 적용한 비교예 7의 경우, 광투과성, 광확산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고, CV가 본 발명의 범위 미만인 폴리스티렌-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입자 (B9)를 적용한 비교예 8의 경우, 광투과성, 광확산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폴리스티렌-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입자 (B1) 대신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입자 (C)를 적용한 비교예 9의 경우, 광투과성, 광확산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9)

  1.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 및
    폴리스티렌-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입자 0.5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스티렌-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입자는 폴리스티렌 함량이 41 내지 59 중량%이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함량이 41 내지 59 중량%이고, 평균 입경이 3 내지 9 ㎛이며, 하기 식 1에 의한 입경의 변동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CV)가 20 내지 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식 1]
    변동계수(CV) = [σ / M]
    상기 식 1에서, M은 공중합체 입자의 평균 입경이고, σ는 공중합체 입자 입경의 표준편차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0 내지 30,000 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1003에 따라 측정한 1.0 mm 두께 시편의 투과도가 96% 이상이고, 2.0 mm 두께 시편의 투과도가 9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1.0 mm 두께 시편에 대하여, 변각 광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한 0°에서의 광도 값의 절반인 광도 값의 각도가 3 내지 20°이고, 2.0 mm 두께 시편에 대하여, 변각 광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한 0°에서의 광도 값의 절반인 광도 값의 각도가 10 내지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광확산판.
  6.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매트릭스에 광확산제가 분산된 광확산판이며,
    상기 광확산제는 폴리스티렌-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스티렌-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입자는 평균 입경이 3 내지 9 ㎛이며, 하기 식 1에 의한 입경의 변동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CV)가 20 내지 40인 광확산판:
    [식 1]
    변동계수(CV) = [σ / M]
    상기 식 1에서, M은 공중합체 입자의 평균 입경이고, σ는 공중합체 입자 입경의 표준편차이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폴라카보네이트 수지 매트릭스 100 중량부; 및 상기 광확산제 0.5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판.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판은 ASTM D1003에 따라 측정한 1.0 mm 두께 시편의 투과도가 96% 이상이고, 2.0 mm 두께 시편의 투과도가 9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판.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판은 1.0 mm 두께 시편에 대하여, 변각 광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한 0°에서의 광도 값의 절반인 광도 값의 각도가 3 내지 20°이고, 2.0 mm 두께 시편에 대하여, 변각 광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한 0°에서의 광도 값의 절반인 광도 값의 각도가 10 내지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판.
KR1020190161718A 2019-05-31 2019-12-06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광확산판 KR102382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174657.5A EP3745164A1 (en) 2019-05-31 2020-05-14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light diffusion sheet produced therefrom
CN202010436394.0A CN112011164B (zh) 2019-05-31 2020-05-21 热塑性树脂组合物和由其形成的光扩散片
US16/882,912 US11518879B2 (en) 2019-05-31 2020-05-26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light diffusion sheet produced therefrom
EP20176497.4A EP3745165A1 (en) 2019-05-31 2020-05-26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light diffusion sheet produced therefro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64496 2019-05-31
KR1020190064496 2019-05-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939A KR20200137939A (ko) 2020-12-09
KR102382266B1 true KR102382266B1 (ko) 2022-04-04

Family

ID=73787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1718A KR102382266B1 (ko) 2019-05-31 2019-12-06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광확산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226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223978A (ja) 2010-09-17 2017-12-21 日東電工株式会社 光拡散素子、光拡散素子付偏光板、偏光素子、およびこれら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3716A (ja) * 2003-05-06 2004-11-25 Tomoegawa Paper Co Ltd 光拡散層、光拡散フィルムおよび光拡散粘着シート
TWI512066B (zh) * 2012-01-16 2015-12-11 Toyo Ink Sc Holdings Co Ltd 光散射層用樹脂組成物、光散射層、及有機電致發光裝置
TWI583733B (zh) * 2012-08-10 2017-05-21 羅門哈斯公司 光擴散聚合物組成物、其製造方法,及由其製得之物件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223978A (ja) 2010-09-17 2017-12-21 日東電工株式会社 光拡散素子、光拡散素子付偏光板、偏光素子、およびこれら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939A (ko) 202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5337B1 (ko) 내광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0405320B1 (ko) 내충격성 및 광반사율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조성물
KR20090118739A (ko)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EP3208312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transparency and mechanical strength, and molded product comprising same
JP7104848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を含む光学成形品
KR102382266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광확산판
JP2021507060A (ja) 安定化された充填入りポリカーボネート組成物
JP4820972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の回転成形方法
CN108603953A (zh) 光扩散剂、光扩散性树脂组合物和成型体
US11518879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light diffusion sheet produced therefrom
KR100510735B1 (ko) 광반사율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JP5428047B2 (ja) 回転成形用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ペレット
KR102200889B1 (ko) 광반사성이 향상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TWI404763B (zh) 抗刮聚碳酸酯樹脂組成物及成形物件
JP6991322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を含む光学成形品
JP2021507057A (ja) タルク入りポリカーボネート組成物
CN111527149A (zh) 热塑性树脂组合物和由其形成的模制产品
JP7249837B2 (ja) 難燃性メタクリル系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KR20130090372A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1066930B1 (ko) 투명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JP2019104944A (ja) 樹脂材料、表面硬度向上剤、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成形体
KR20080062469A (ko)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및 플라스틱 성형품
KR20140086545A (ko) 다이아몬드 미립자를 함유하는 폴리카보네이트계 광학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