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4599A - 쑥뜸찜기 조합체 - Google Patents

쑥뜸찜기 조합체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4599A
KR20010064599A KR1019990064827A KR19990064827A KR20010064599A KR 20010064599 A KR20010064599 A KR 20010064599A KR 1019990064827 A KR1019990064827 A KR 1019990064827A KR 19990064827 A KR19990064827 A KR 19990064827A KR 20010064599 A KR20010064599 A KR 20010064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gwort
chamber
steamer
moxa
sm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4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6423B1 (ko
Inventor
문병오
Original Assignee
문병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병오 filed Critical 문병오
Priority to KR1019990064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6423B1/ko
Priority to KR2020000000428U priority patent/KR200185837Y1/ko
Publication of KR20010064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4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6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64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10Devices on tubs for steam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28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heated by an electric resistance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82Temperature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쑥뜸찜기 조합체는, 환부로부터 예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쑥을 연소시키고 쑥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쑥의 약효성분을 환부에 공급하므로써 환부상에서의 쑥의 직접적인 연소에 의하지 않고 환부에 대한 쑥뜸 및 쑥찜질을 동시에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쑥뜸찜기,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쑥뜸찜기의 연기 배출구에 연결되는 여과탈취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쑥뜸찜기 조합체{MOXA CAUTERIZER COMBINATION}
본 발명은 쑥뜸찜기 조합체에 관한 것이고, 특히 쑥뜸에 기인한 환자의 고통 및 화상을 원천적으로 배제하면서 뜸치료와 찜질의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도록 하며 배출되는 쑥에 포함된 유해물질 및 쑥 냄새에 의해 유발되는 불편함을 최소화하면서 장시간에 걸쳐서 쑥뜸찜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쑥뜸찜기 조합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쑥뜸은 병을 고치기 위해 약쑥을 비벼서 빚어 살 위의 혈에 놓고 불을 붙여 살을 뜨는 일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쑥이 갖는 전통 자연 한의학적인 치료효과에 기인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에 따른 쑥뜸 치료방법에 있어서는, 쑥이 직접 살 위에 놓여진 상태에서 연소되기 때문에 환자가 화상을 입을 가능성이 높아지며 이에 따라 쑥뜸 치료에 많은 고통이 수반되었고, 이러한 문제는 환부가 넓어질수록 그 심각성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약쑥의 효험에 기인하여 쑥뜸 치료를 꼭 받아야 하는 환자가 날로 증가하는 현실임에도 불구하고, 환자들의 쑥뜸 치료방법에 대한 선호도는 점차 낮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쑥뜸 치료의 특수성에 기인하여, 쑥뜸 치료시 많은 연기와 냄새가 발생되기 때문에, 이러한 연기와 냄새가 불편함을 유발하며 실내 장식물을 오손시키고 실내 환기의 필요성을 대두시키므로써 실내 냉난방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에 따른 쑥뜸 치료방법에 내재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쑥뜸에 기인한 환자의 고통 및 화상을 원천적으로 배제하면서 뜸치료와 찜질의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도록 하며 배출되는 쑥에 포함된 유해물질 및 쑥 냄새에 의해 유발되는 불편함을 최소화하면서 장시간에 걸쳐서 쑥뜸찜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쑥뜸찜기 조합체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쑥뜸찜기 조합체에 사용되는 쑥뜸찜기의 독립적인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쑥뜸찜기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쑥뜸찜기의 작동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쑥뜸찜기 조합체에 사용되는 여과탈취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쑥뜸찜기내에서 연소될 쑥을 압밀시키기 위한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용 케이스에 쑥뜸찜기, 여과탈취기 및 컨트롤러가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여과탈취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쑥뜸찜기, 12: 여과탈취기, 14: 컨트롤러, 16: 본체, 18: 쑥연소실, 20: 쑥뜸찜실, 22: 커버, 24: 철판, 26: 단열재, 28: 히터, 30: 열판, 32: 철망, 34:온도 센서, 36: 냉각핀, 38: 약효성분 공급부재, 40: 공기 유입구, 42: 연기 배출 파이프, 44: 약효성분 공급통로, 46: 연기 배출구, 48: 호스, 50: 끼움돌기, 52: 소공, 54: 제 1 곡면부, 56: 제 2 곡면부, 58: 연기 배출통로, 60: 연결부재, 62: 벨로우즈부, 64: 원통형 수집용기, 66: 연기 유입 포트, 68: 제 1 여과실, 70: 제 2 여과실, 72: 제 1 탈취실, 74: 제 2 탈취실, 76: 휀, 78: 수납용 케이스, 80: 쑥뜸찜기 수납대, 82: 수납실, 84: 탈취제, 86: 격벽, 88: 유해물질 배출공, 90: 압밀 핸들, 92: 압밀통, 94: 밀대, 96: 받침대, 98: 확산편, 100: 연기 배출 포트, 102: 여과용 직물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쑥뜸찜기 조합체가 제공되고: 상기 조합체는, 환부로부터 예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쑥을 연소시키고 쑥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쑥의 약효성분을 환부에 공급하므로써 환부상에서의 쑥의 직접적인 연소에 의하지 않고 환부에 대한 쑥뜸 및 쑥찜질을 동시에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쑥뜸찜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쑥뜸찜기는, 쑥연소실과 쑥뜸찜실을 마련하면서 공기 유입구 및 연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본체, 본체의 상기 쑥연소실과 쑥뜸찜실의 경계부위에 배열되는(arranged) 쑥연소수단, 상기 쑥연소실과 쑥뜸찜실을 서로 연통시키도록 배설되어(disposed) 상기 쑥연소수단에 의해 연소되는 쑥의 약효성분을 상기 쑥뜸찜실내로 공급하므로써 쑥의 약효성분이 상기 쑥뜸찜실내에서 환부에 직접 작용하도록 하는 약효성분 공급부재, 및 상기 쑥연소실의 상단부를 덮는 커버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연소수단은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철판, 단열재, 히터 및 열판을 구비하며; 상기 쑥연소실에는 다수의 소공이 형성되고 일단부가 폐쇄되며 그 내부에 연소될 쑥이 삽입되는 철망이 위치되고; 상기 약효성분 공급부재의 일단부에는 확산편이 일체적으로 부착되어 약효성분 공급실내에서 약효성분을 효과적으로 확산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쑥뜸찜실과 쑥연소실이 연기 배출 파이프에 의해 서로 연통되며, 상기 연기 배출 파이프는 쑥의 약효성분이 환부에 작용하고난 후 남는 쑥 연기를 상기 쑥연소실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하고; 쑥의 연소에 따른 상기 본체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본체의 외면에는 다수의 냉각핀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쑥뜸찜기 조합체는, 본체의 상기 쑥뜸찜실내에 배설되는 온도 센서; 및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쑥뜸찜실내의 온도에 따라 상기 히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컨트롤러를 추가로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본체의 외면에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두 개 이상의 쑥뜸찜기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끼움돌기에 끼워지는 연결부재에 의해 두 개 이상의 쑥뜸찜기가 고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쑥뜸찜기 조합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쑥뜸찜기의 연기 배출구에 연결되는 여과탈취기를 추가로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여과탈취기에는 연기 유입 포트 및 연기 배출 포트가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여과실 및 하나 이상의 탈취실이 마련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여과실내에는 하나 이상의 여과용 직물이 배설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탈취실은 탈취제로 충진되고; 상기 연기 배출 포트에 근접하여 연기 배출용 휀(fan)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여과탈취기가 호스를 경유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쑥뜸찜기의 연기 배출구에 연결되며; 상기 호스의 경로중에는 상기 쑥뜸찜기로부터 배출되는 연기에 함유된 유해물질을 포집하기 위한 벨로우즈부가 마련되고; 상기 벨로우즈부의 하단부에는 상기 유해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한 유해물질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벨로우즈부의 둘레에는 상기 유해물질 배출공을 통하여 배출되는 유해물질을 수집하기 위한 원통형 수집용기가 끼워진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쑥뜸찜기 조합체는, 상기 철망내로 삽입될 쑥을 압밀시키기 위한 쑥압밀수단을 추가로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쑥압밀수단은, 원통형 압밀통, 상기 원통형 압밀통의 일단부에 끼워지는 받침대, 상기 원통형 압밀통에 넣어진 쑥을 상기 받침대에 대해 압밀시키기 위한 압밀 핸들, 및 상기 원통형 압밀통내에서 압밀된 쑥을 상기 철망내로 밀어넣기 위한 밀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쑥뜸찜기 조합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쑥뜸찜기, 여과탈취기, 컨트롤러 및 기타 부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용 케이스를 추가로 구비한다.
본 발명의 상기 특성들에 따라, 쑥이 환부로부터 예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연소되고 쑥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쑥의 약효성분이 환부에 효과적으로 공급되며 온도 센서로부터 검출되는 온도에 따른 컨트롤러의 온도 조절기능이 부가되므로써, 뜸치료와 찜질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고, 선행기술에 있어서의 쑥의 직접적인 연소에 기인한 환자의 고통 및 화상이 방지된다. 또한, 여과탈취기에 의해 배출되는 쑥에 포함된 유해물질이 여과되며 쑥 냄새가 탈취되므로써, 유해물질 및 쑥 냄새에 의해 유발되는 불편함 또는 고통이 없이 장시간에 걸쳐서 그리고 부가적으로 실내 장식물의 오손 또는 실내 냉난방에 전혀 지장을 초래하지 않으면서 쑥뜸찜을 받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쑥뜸찜기 조합체에 사용되는 쑥뜸찜기의 독립적인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에는 도 1의 쑥뜸찜기에 대한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3에는 도 1의 쑥뜸찜기의 작동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쑥뜸찜기 조합체에 사용되는 여과탈취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5에는 쑥뜸찜기내에서 연소될 쑥을 압밀시키기 위한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용 케이스에 쑥뜸찜기, 여과탈취기 및 컨트롤러가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쑥뜸찜기 조합체는 쑥뜸찜기(10), 여과탈취기(12) 및 컨트롤러(14)를 포함한다.
쑥뜸찜기(10)는 본체(16)를 갖는다. 본체(16)는 그 상단부 및 하단부에서 개방되며, 본체(16)의 내부에는 쑥연소실(18) 및 쑥뜸찜실(20)이 상하방에 각각 마련된다. 쑥연소실(18)과 쑥뜸찜실(20)의 경계부분에는 쑥연소수단이 제공된다. 쑥연소수단은 하방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철판(24), 단열재(26), 히터(28) 및 열판(30)을 구비한다. 상기 쑥연소수단의 최상방에 배열되는 열판(30)상에는 철망(32)이 안착된다. 철망(32)에는 다수의 소공(52)이 형성되고, 철망(32)의 하단부는 폐쇄되며, 철망(32)의 내부에는 상기 열판(30)을 경유하여 상기 히터(28)에 의해 연소될 쑥이 삽입된다.
상기 쑥연소수단을 구성하는 각각의 부품들(24, 26, 28, 30)의 중앙부위에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부품들(24, 26, 28, 30)의 구멍에 약효성분 공급부재(38)가 배설된다. 약효성분 공급부재(38)의 내부에는 약효성분 공급통로(44)가 마련된다. 약효성분 공급부재(38)는 쑥연소실(18)과 쑥뜸찜실(20)을 서로 연통시키도록 배설되어, 상기 쑥연소수단에 의해 연소되는 쑥의 약효성분을 상기 쑥뜸찜실(20)내로 공급하므로써, 쑥의 약효성분이 상기 쑥뜸찜실(20)내에서 환부에 직접 작용하도록 한다. 상기 약효성분 공급부재(38)의 하단부에는 확산편(98)이 일체적으로 고정되며, 확산편(98)에는 제 1 곡면부(54)가 형성된다. 쑥연소실(18)로부터 쑥뜸찜실(20)로 공급되는 쑥의 약효성분은 상기 확산편(98)의 제 1 곡면부(54)에 의해 확산되어 환부에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상기 본체(16)에는 공기 유입구(40) 및 연기 배출구(46)가 형성된다. 도 3으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공기 유입구(40)는 비교적 작은 직경을 갖고, 상기 연기 배출구(46)는 비교적 큰 직경을 갖는다. 쑥의 약효성분이 환부에 작용하고난 후 남는 쑥 연기는 상기 쑥연소실(18)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며, 이를 위해, 연기 배출 파이프(42)가 제공된다. 연기 배출 파이프(42)의 하단부는 쑥뜸찜실(20)에 연결되고, 연기 배출 파이프(42)의 상단부는 쑥연소실(18)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연기 배출 파이프(42)는 쑥뜸찜실(20)과 쑥연소실(18)을 서로 연통시킨다. 쑥연소실(18)의 측벽부분에는 연기 배출 통로(58)가 마련된다. 따라서, 철망(32)내에 쑥이 삽입된 상태에서 히터(28)에 전원이 공급되면, 공기 유입구(40)를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면서 쑥이 연소되고 쑥의 연소에 따라 생성되는 약효성분이 쑥뜸찜실(20)내로 공급되어 환부에 작용하며, 약효성분의 작용후 남는 쑥 연기는 연기 배출 파이프(42)를 통하여 쑥연소실(18)로 유동되고 그리고나서 연기 배출 통로(58)를 통하여 본체(16)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쑥연소실(18)의 상단부는 커버(22)에 의해 덮여지며, 커버(22)의 하면에는 제 2 곡면부(56)가 형성되어 연소되는 쑥의 찌꺼기가 커버(22)에 들러붙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쑥연소실(18)내에서의 쑥의 연소에 따라 본체(16)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게 위해 본체(16)의 외면에는 다수의 냉각핀, 즉 방열핀(36)이 형성된다. 상기 쑥뜸찜실(20)의 내부에는 온도 센서(34)가 배열되며, 온도 센서(34)는 컨트롤러(14)에 연결된다. 컨트롤러(14)는 온도 센서(34)에 의해 측정된 쑥뜸찜실(20)내의 온도에 따라 상기 히터(28)에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므로써 쑥뜸찜기(10)에 의한 쑥뜸찜이 항상 적당한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므로써 환자의 고통 또는 화상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네 개의 쑥뜸찜기(10)가 제공되며, 각각의 쑥뜸찜기(10)에는 끼움돌기(50)가 형성된다. 상기 네 개의 쑥뜸찜기(10)의 끼움돌기(50)에 연결부재(60)가 끼워지므로써, 네 개의 쑥뜸찜기(10)는 서로에 대해 고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각각의 쑥뜸찜기(10)의 연기 배출구(46)는 호스(48)를 경유하여 여과탈취기(12)에 연결된다. 여과탈취기(12)에 근접한 호스(48)의 경로중에는 벨로우즈부(62)가 마련되며, 벨로우즈부(62) 하단부상의 하나 이상의 지점에는 유해물질 배출공(88)이 형성된다. 따라서, 쑥뜸찜기(10)로부터 배출되는 연기에 함유된 유해물질이 상기 벨로우즈부(62)에 포집될 수 있고, 포집된 유해물질은 유해물질 배출공(88)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벨로우즈부(62)의 둘레에는 상기유해물질 배출공(88)을 통하여 배출되는 유해물질을 수집하기 위한 원통형 수집용기(64)가 끼워진다.
도 4에 명확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여과탈취기(12)의 상단부에는 연기 유입 포트(66)가 형성되고, 여과탈취기(12)의 하단부에는 연기 배출 포트(100)가 형성된다. 연기 유입 포트(66)와 연기 배출 포트(100)의 사이에서 상기 여과탈취기(12)의 내부에는 제 1 여과실(68), 제 2 여과실(70), 제 1 탈취실(72) 및 제 2 탈취실(74)이 순차적으로 연통되는 방식으로 마련된다. 각각의 여과실(68, 70) 및 탈취실(72, 74)은 격벽(86)에 의해 구획된다. 상기 네 개의 쑥뜸찜기(10)로부터 호스(48)를 경유하여 제 1 여과실(68)로 유입된 연기는 두 개의 여과용 직물(102)을 관통하여 통과되면서 여과되며, 이와같은 방식으로 일차적으로 여과된 연기는 제 2 여과실(70)로 유입된다. 제 2 여과실(70)로 유입된 연기도 두 개의 여과용 직물(102)을 관통하여 통과되면서 이차적으로 여과된다. 제 1 탈취실(72) 및 제 2 탈취실(74)은 탈취제(84)로 충진된다. 제 1 여과실(68) 및 제 2 여과실(70)을 거치면서 여과된 연기는 제 1 탈취실(72)로 유입되어 유동되면서 탈취제(84)에 의해 탈취되고, 이와같은 방식으로 일차적으로 탈취된 연기는 제 2 탈취실(74)로 유입된다. 제 2 탈취실(74)로 유입된 연기는 제 1 탈취실(72)의 경우에 있어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탈취제(84)에 의해 탈취된다. 제 1 탈취실(72) 및 제 2 탈취실(74)을 거치면서 탈취된 연기는 제 2 탈취실(74)의 배출구측에 배열되는 휀(76)을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여과탈취기(1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측이 상기 쑥뜸찜기(10)의 호스(48)가 연통될 수 있도록 유입포트인 호스 삽입부(12a)가 복수개 형성되는 개폐커버(12b)에 의해 선택적으로 밀폐되며 하측 중앙부에 배출통로(12c)가 형성되는 탈취 케이스(12d)와, 상기 탈취 케이스(12d)의 내에 구비되어 하단면이 상기 배출통로(12c)를 커버하고 상측이 축방향으로 상향 연장되어 상기 개폐커버(12d)의 저면에 근접 위치되며 외주면에 복수개의 구멍이 타공되고 내측에 복수개의 카본이 저장되는 필터체(12e)와, 상기 탈취케이스(12d)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배출통로(12c)로 정화 가스를 배출시키도록 된 휀(12f)으로 구성되도록 함이 가능할 것이며, 이는 휀(12f) 작동시 쑥뜸찜기(10)로부터 배출되는 연기가 탈취 케이스(12d)내의 카본을 통해 냄새 및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배출통로(12c)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쑥뜸찜기 조합체는 상기 철망(32)내로 삽입될 쑥을 압밀시키기 위한 쑥압밀수단을 추가로 포함한다. 쑥압밀수단은 원통형 압밀통(92), 원통형 압밀통(92)의 일단부에 끼워지는 받침대(96), 원통형 압밀통(92)에 넣어진 쑥을 받침대(96)에 대해 압밀시키기 위한 압밀 핸들(90), 및 원통형 압밀통(92)내에서 압밀된 쑥을 상기 철망(32)내로 밀어넣기 위해 사용되는 밀대(94)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네 개의 쑥뜸찜기(10), 여과탈취기(12), 컨트롤러(14) 및 기타 부품은 수납용 케이스(78)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운반 또는 보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납용 케이스(78)는 크게 두 개의 공간으로 나누어진다. 수납용 케이스(78)의 하나의 공간에는 쑥뜸찜기 수납대(80)가 인출가능한 방식으로 수납되며, 상기 쑥뜸찜기 수납대(80)에는 상기 네 개의 쑥뜸찜기(10)가 수납된다. 수납용 케이스(78)의 다른 하나의 공간은 수납실(82)로서 작용하며, 수납실(82)내에는 상기 여과탈취기(12)가 수납되고, 상기 여과탈취기(12)의 측방에는 상기 컨트롤러(14)가 배설된다. 상기 네 개의 쑥뜸찜기(10)를 여과탈취기(12)에 연결시키기 위한 호스(48)가 통과될 수 있는 적당한 통로 및 최종적으로 여과탈취된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구멍이 적당한 방식으로 상기 수납용 케이스(78)에 형성된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라, 쑥이 환부로부터 예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연소되고 쑥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쑥의 약효성분이 환부에 효과적으로 공급되며 온도 센서로부터 검출되는 온도에 따른 컨트롤러의 온도 조절기능이 부가되므로써, 뜸치료와 찜질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고, 선행기술에 있어서의 쑥의 직접적인 연소에 기인한 환자의 고통 및 화상이 방지된다. 또한, 여과탈취기에 의해 배출되는 쑥에 포함된 유해물질이 여과되며 쑥 냄새가 탈취되므로써, 유해물질 및 쑥 냄새에 의해 유발되는 불편함 또는 고통이 없이 장시간에 걸쳐서 그리고 부가적으로 실내 장식물의 오손 또는 실내 냉난방에 전혀 지장을 초래하지 않으면서 쑥뜸찜을 받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11)

  1. 쑥뜸찜기 조합체에 있어서,
    환부로부터 예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쑥을 연소시키고 쑥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쑥의 약효성분을 환부에 공급하므로써 환부상에서의 쑥의 직접적인 연소에 의하지 않고 환부에 대한 쑥뜸 및 쑥찜질을 동시에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쑥뜸찜기를 구비하되, 상기 쑥뜸찜기가 쑥연소실과 쑥뜸찜실을 마련하면서 공기 유입구 및 연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본체, 본체의 상기 쑥연소실과 쑥뜸찜실의 경계부위에 배열되는 쑥연소수단, 상기 쑥연소실과 쑥뜸찜실을 서로 연통시키도록 배설되어 상기 쑥연소수단에 의해 연소되는 쑥의 약효성분을 상기 쑥뜸찜실내로 공급하므로써 쑥의 약효성분이 상기 쑥뜸찜실내에서 환부에 직접 작용하도록 하는 약효성분 공급부재, 및 상기 쑥연소실의 상단부를 덮는 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찜기 조합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쑥연소수단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철판, 단열재, 히터 및 열판을 구비하며; 상기 쑥연소실에는 다수의 소공이 형성되고 일단부가 폐쇄되며 그 내부에 연소될 쑥이 삽입되는 철망이 위치되고; 상기 약효성분 공급부재의 일단부에는 확산편이 일체적으로 부착되어 약효성분 공급실내에서 약효성분을 효과적으로 확산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찜기 조합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쑥뜸찜실과 쑥연소실이 연기 배출 파이프에 의해 서로 연통되며, 상기 연기 배출 파이프는 쑥의 약효성분이 환부에 작용하고난 후 남는 쑥 연기를 상기 쑥연소실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하고; 쑥의 연소에 따른 상기 본체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본체의 외면에는 다수의 냉각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찜기 조합체.
  4. 제 1 항에 있어서,
    본체의 상기 쑥뜸찜실내에 배설되는 온도 센서; 및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쑥뜸찜실내의 온도에 따라 상기 히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컨트롤러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찜기 조합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면에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두 개 이상의 쑥뜸찜기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끼움돌기에 끼워지는 연결부재에 의해 두 개 이상의 쑥뜸찜기가 고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찜기 조합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쑥뜸찜기의 연기 배출구에 연결되는 여과탈취기를 추가로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찜기 조합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탈취기가, 하측 바닥면에 휀 작동에 의해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구를 형성하고, 상측개방부에 상기 연기 배출구와 연결된 복수개의 유입포트를 갖는 개폐커버가 커버되도록 하며, 내측에 상기 배출구와 연통될 수 있도록 내부에 카본 탈취제가 저장된 석면필터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찜기 조합체.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탈취기가 호스를 경유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쑥뜸찜기의 연기 배출구에 연결되며; 상기 호스의 경로중에는 상기 쑥뜸찜기로부터 배출되는 연기에 함유된 유해물질을 포집하기 위한 벨로우즈부가 마련되고; 상기 벨로우즈부의 하단부에는 상기 유해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한 유해물질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벨로우즈부의 둘레에는 상기 유해물질 배출공을 통하여 배출되는 유해물질을 수집하기 위한 원통형 수집용기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찜기 조합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철망내로 삽입될 쑥을 압밀시키기 위한 쑥압밀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찜기 조합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쑥압밀수단이, 원통형 압밀통, 상기 원통형 압밀통의 일단부에 끼워지는 받침대, 상기 원통형 압밀통에 넣어진 쑥을 상기 받침대에 대해 압밀시키기 위한 압밀 핸들, 및 상기 원통형 압밀통내에서 압밀된 쑥을 상기 철망내로 밀어넣기 위한 밀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찜기 조합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쑥뜸찜기, 여과탈취기, 컨트롤러 및 기타 부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용 케이스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찜기 조합체.
KR1019990064827A 1999-12-29 1999-12-29 쑥뜸찜기 조합체 KR100336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4827A KR100336423B1 (ko) 1999-12-29 1999-12-29 쑥뜸찜기 조합체
KR2020000000428U KR200185837Y1 (ko) 1999-12-29 2000-01-08 쑥뜸찜기 조합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4827A KR100336423B1 (ko) 1999-12-29 1999-12-29 쑥뜸찜기 조합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0428U Division KR200185837Y1 (ko) 1999-12-29 2000-01-08 쑥뜸찜기 조합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4599A true KR20010064599A (ko) 2001-07-09
KR100336423B1 KR100336423B1 (ko) 2002-05-23

Family

ID=19632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4827A KR100336423B1 (ko) 1999-12-29 1999-12-29 쑥뜸찜기 조합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642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15713A (zh) * 2018-03-22 2018-11-16 浙江庆元赛博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艾灸远红外经络能量仪
CN110252053A (zh) * 2019-07-09 2019-09-20 牟正元 一种将艾烟转化成艾烟油的方法、装置及艾烟油
CN116602863A (zh) * 2023-07-21 2023-08-18 成都和煦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带狭长风道的艾灸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3783B1 (ko) 2004-11-09 2006-11-27 박종오 무연 쑥 훈증기
CN110755261A (zh) * 2019-11-04 2020-02-07 上海江春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艾灸瓶及其生产工艺
CN112618347A (zh) * 2020-12-31 2021-04-09 智美康民(珠海)健康科技有限公司 艾灸仪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6876Y1 (ko) * 1990-01-15 1991-09-16 반금돌 건강 쑥찜기
KR19990013425U (ko) * 1997-09-26 1999-04-15 전인기 쑥뜸 의료기
KR19990034805U (ko) * 1999-04-21 1999-09-06 정희문 무연온구기
KR200169836Y1 (ko) * 1999-08-24 2000-02-15 김용식 무연뜸기용 온구기
KR200171760Y1 (ko) * 1999-09-07 2000-03-15 김용식 온구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15713A (zh) * 2018-03-22 2018-11-16 浙江庆元赛博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艾灸远红外经络能量仪
CN108815713B (zh) * 2018-03-22 2020-03-20 浙江庆元赛博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艾灸远红外经络能量仪
CN110252053A (zh) * 2019-07-09 2019-09-20 牟正元 一种将艾烟转化成艾烟油的方法、装置及艾烟油
CN116602863A (zh) * 2023-07-21 2023-08-18 成都和煦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带狭长风道的艾灸装置
CN116602863B (zh) * 2023-07-21 2023-11-03 成都和煦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带狭长风道的艾灸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6423B1 (ko) 2002-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25521B2 (en) Acupressure type moxa treatment device
KR101824966B1 (ko) 훈증 베드
KR200301269Y1 (ko) 쑥뜸기
KR101114127B1 (ko) 국부 훈증이 가능한 좌훈기
KR100336423B1 (ko) 쑥뜸찜기 조합체
KR0172673B1 (ko) 사우나실용 방향발생 및 가습장치와 이를 구비한 사우나목욕장치
KR200419379Y1 (ko) 쑥뜸장치
KR20110012929A (ko) 쑥뜸치료용 침대
KR200185837Y1 (ko) 쑥뜸찜기 조합체
KR100322512B1 (ko) 쑥뜸장치
CN102908095A (zh) 带熏蒸功能的新型马桶盖
KR100519176B1 (ko) 쑥뜸기
KR100643783B1 (ko) 무연 쑥 훈증기
KR20110008282U (ko) 황토 용기 온구기
CN2885232Y (zh) 一种治疗肛肠疾病的药液熏蒸器
KR100791018B1 (ko) 훈증기
KR200234572Y1 (ko) 온구기의 쑥연기 배출장치
KR20110005936U (ko) 대용량 쑥뜸기
KR20170003228U (ko) 이중덮개를 갖는 쑥뜸기구
KR20070066666A (ko) 쑥뜸기
JP2004016778A (ja) 温灸用具
KR20050059386A (ko) 건식훈증기를 구비한 한방헬스 의자
CN205698492U (zh) 一种艾灸熏蒸装置
CN210812520U (zh) 吸式节能型艾针灸熏蒸一体机
CN219721278U (zh) 一种热助风艾灸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