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3391A -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3391A
KR20010063391A KR1019990060462A KR19990060462A KR20010063391A KR 20010063391 A KR20010063391 A KR 20010063391A KR 1019990060462 A KR1019990060462 A KR 1019990060462A KR 19990060462 A KR19990060462 A KR 19990060462A KR 20010063391 A KR20010063391 A KR 20010063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leration
vehicle
microprocessor
engine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0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5435B1 (ko
Inventor
류지성
전만철
Original Assignee
윤장진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장진,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filed Critical 윤장진
Priority to KR1019990060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5435B1/ko
Publication of KR20010063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3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5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54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60K28/14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responsive to accident or emergency, e.g. deceleration, til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13Failsaf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Bags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에어백 전자제어장치에 내장된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급발진시 발생하는 가속도의 이상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엔진의 출력 및 브레이크 작동을 제어하여 급발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Device for preventing sudden start of automobiles}
본 발명은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어백 전자제어장치에 내장된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급발진시 발생하는 가속도의 이상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엔진의 출력 및 브레이크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차량의 급발진 사례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급발진의 원인규명은 명확하게 되고 있지 않다. 선진 외국 업체들도 급발진 사고를 원인에따른 별다른 대책이 없어 단순한 훅-브레이크의 설치로 대비하는 것에 그치고 있는 상황이며, 오토차량의 급발진 사고는 차량의 전자화가 진행될수록 증가추세에 있기 때문에 그 심각성이 더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오토차량의 급발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에어백 전자제어장치 내의 가속도 센서를 통하여 급발진시 발생하는 순간 가속도의 변화를 감지하여 급발진으로 판단되는 경우 엔진의 출력저하와 제동장치를 작동시킴으로써 급발진으로 인하여 일어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차량의 시간에 따른 가속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3은 차량의 시간에 따른 속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의 처리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챠트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는 차량의 전후진시 순간가속도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와, 상기 가속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가속도로부터 현재의 순간속도를 계산하고, 이 순간속도와 소정의 드레시홀드값을 비교하는 것에 의해 차량의 급발진여부를 판단하여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구비한 에어백 전자제어장치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신호를 받아 엔진의 출력이 저하되도록 조절하는 엔진제어장치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신호를 받아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브레이크제동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진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는, 에어백 전자제어장치와 엔진/브레이크 제어장치로 이루어져 있으며, 에어백 전자제어장치에는 가속도 센서와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내장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급발진시 발생하는 가속도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하여, 현재 차량에 장착되어 있는 에어백 전자제어장치 내부의 가속도 센서를 사용한다. 이 가속도 센서는 본래는 차량의 충돌시 발생하는 차량의 충돌신호를 감지하여 에어백을 작동시키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점화스위치(IGN)를 온(ON)한 후 1∼2분간 급발진 여부를 체크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도 2에는 가속도센서에서 감지된 시간에 따른 가속도의 변화가 나타내져 있다. 도 2(a)는 정상상태에서의 차량의 시간에 따른 가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b)는 급발진 차량의 시간에 따른 가속도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상기의 가속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시간에 따른 가속도 신호는 에어백 전자제어장치 내부에 설치된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입력되어 급발진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로 이용된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가속도신호를 속도로 환산하여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드레시홀드 속도값과 비교하여, 드레시홀드 값보다 현재차량의 속도가 더 큰 경우에는 급발진으로 판단하는 계산로직으로 구성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가 가속도로부터 속도를 산출하는 방식은,
V(t) = a(0) +‥‥ +a(t-1) + a(t) ----------(1)
의 식에 따른 연산에 의하며(여기서 V(t)는 t시각에서의 속도를, a(t)는 t시각에서의 가속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의 가속도 그래프를 상기 (1)식에 의해 계산된 속도 그래프로 환산하여 나타낸 것이다. 즉 도 3(a)는 정상상태의 시간에 따른 속도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b)는 급발진시의 시간에 따른 속도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상상태에서의 차량의 속도는 미리 사용자가 설정한 속도의 드레시홀드 값을 넘지 않지만, 급발진 시의 차량의 속도는 순간가속도가 크기 때문에 쉽게 상기 드레시홀드 값을 넘게 됨을 알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현재 차량의 속도가 급발진으로 판단되면 엔진 제어장치 및 브레이크 제동장치에 제어신호를 송신하도록 동작하며, 엔진 제어장치는 상기 제어신호를 받아 엔진의 출력을 저하시키도록 동작하고, 브레이크 제동장치는 상기 제어신호를 받아 브레이크를 작동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의 처리흐름을 플로챠트로 나타낸 것이며, 본 장치에서 급발진 여부의 체크는 점화스위치(IGN)가 온된 후 1∼2분간만 실행되는 것이고, 그 이후에는 에어백 전자제어장치의 기본 기능으로 돌아가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기존의 에어백 전자제어장치의 가속도센서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차량의 전후진 급발진여부를 판단하고, 급발진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엔진의 출력을 저하시키고 브레이크를 작동시킴으로써, 급발진으로 인한인적 및 물적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차량의 전후진시 순간가속도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와, 상기 가속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가속도로부터 현재의 순간속도를 계산하고, 이 순간속도와 소정의 드레시홀드값을 비교하는 것에 의해 차량의 급발진여부를 판단하여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구비한 에어백 전자제어장치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신호를 받아 엔진의 출력이 저하되도록 조절하는 엔진제어장치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신호를 받아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브레이크제동장치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KR1019990060462A 1999-12-22 1999-12-22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KR100625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0462A KR100625435B1 (ko) 1999-12-22 1999-12-22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0462A KR100625435B1 (ko) 1999-12-22 1999-12-22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3391A true KR20010063391A (ko) 2001-07-09
KR100625435B1 KR100625435B1 (ko) 2006-09-18

Family

ID=19628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0462A KR100625435B1 (ko) 1999-12-22 1999-12-22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54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67493A (zh) * 2014-12-04 2016-06-15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防止自动变速车辆的突然起动的装置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9329A (ko) * 1996-10-25 1998-07-25 김영귀 조수석 에어백 시스템
KR100352072B1 (ko) * 1999-06-01 2002-09-12 이승현 자동변속 차량의 급발진 제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00017692A (ko) * 1999-06-05 2000-04-06 홍순기 자동변속차량의이상급발진제어시스템,자동변속차량의이상급발진예측방법및자동변속차량의이상급발진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67493A (zh) * 2014-12-04 2016-06-15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防止自动变速车辆的突然起动的装置和方法
CN105667493B (zh) * 2014-12-04 2019-09-17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防止自动变速车辆的突然起动的装置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5435B1 (ko) 2006-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67548A (en) Safety arrangement
EP1258400B1 (en) Collision severity determining system
US6330500B1 (en) Actuation controller for air bag device
US6196578B1 (en) Activation controlling apparatus for passive safety device
US20030074111A1 (en) Collision type decision device
WO2001021448A1 (en) Air bag suppression system
US20020017268A1 (en) Fuel cutoff switch system
KR20010063391A (ko)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EP1112897B1 (en) Device for controlling expansion of an air bag apparatus
KR100273592B1 (ko) 타이어 공기압 경보장치
JP3273737B2 (ja) 車両急減速状態判定装置
KR100199738B1 (ko) 에어백의 제어장치
GB2356075A (en) Improvements relating to a control system within a vehicle
PL365499A1 (en) Protection for roll-over sensor systems and method for detection of situations leading to vehicle roll-over
KR20010056479A (ko) 사고 자동 경고 장치 및 방법
KR100210938B1 (ko) 차량 충돌시 승객 보호 방법
KR970003656Y1 (ko) 차량의 음주운전 방지장치
KR100199572B1 (ko) 에어백 전개 시스템
JPH07125572A (ja) 自動車の急減速警報装置
KR19990043083A (ko) 차량 충돌시 후방차 경고 장치
KR0145812B1 (ko) 자동차의 충돌방지장치
JPH1016683A (ja) 車両用衝突検知装置
JPH10297424A (ja) 車両用乗員保護装置
KR19980072991A (ko) 자동차의 추돌 사고 방지 장치 및 방법
KR19980023402U (ko) 차량의 급제동시 타이어 공기압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