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2531A - 소리 발생 장치를 전자 장비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장치 - Google Patents

소리 발생 장치를 전자 장비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2531A
KR20010062531A KR1020000078970A KR20000078970A KR20010062531A KR 20010062531 A KR20010062531 A KR 20010062531A KR 1020000078970 A KR1020000078970 A KR 1020000078970A KR 20000078970 A KR20000078970 A KR 20000078970A KR 20010062531 A KR20010062531 A KR 20010062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lider
pair
substrate
sound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8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2013B1 (ko
Inventor
오마타하지메
와타나베수니치
쿠와바라아츠시
오오타요시즈미
Original Assignee
추후제출
시티즌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제출, 시티즌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추후제출
Publication of KR20010062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2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2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20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리 발생 장치를 전자 장비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장치로서, 이 장치에는, 소리 발생 장치의 케이스에 고정되고 한 쌍의 탄성 접점과 개구를 구비한 커넥터가 구비된다. 슬라이더는 개구로부터 커넥터로 삽입되도록 마련되고, 개구로부터 커넥터로 삽입되는 기판의 터미널에 대하여 커넥터의 탄성 접점을 가압하도록 마련된다.

Description

소리 발생 장치를 전자 장비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장치{CONNECTING DEVICE FOR CONNECTING A SOUND PRODUCING DEVICE TO AN ELECTRONIC EQUIPMENT}
본 발명은 소리 발생 장치를 휴대 전화와 같은 전자 장비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용 소리 발생 장치는 휴대 전화에 장착되고, 버저 또는 스피커의 코일은 전화의 회로에 접속된다.
도 7은 소리 발생 장치를 전자 장비에 접속하기 위한 종래의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제조자 A는 한 쌍의 리드(2)와, 플러그(3) 및 소켓(4)으로 이루어지는 커넥터를 구비한 소리 발생 장치(1)를 제조한다. 이 장치(1)를 구매한 전화 제조자 B는 소리 발생 장치(1)의 코일을 리드(2), 플러그(3) 및 소켓(4)을 통하여 휴대 전화의 기판(5)의 회로에 접속한다.
도 8의 소리 발생 장치(1)는 제조자 B에 의해 한 쌍의 스프링 판(6)으로 기판(5)의 회로에 접속된다.
도 9의 소리 발생 장치(1)는 한 쌍의 코일 스프링(7)에 의해 기판(5)의 회로에 접속된다.
도 7의 장치(1)에서는 리드(2), 플러그(3) 및 소켓(4)을 이루는 부품의 수가 많고 수많은 제조 단계가 요구된다.
도 8 및 도 9의 장치에서 제조자 B는 기판(5)의 회로에 스프링 판(6) 또는코일 스프링(7)을 납땜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소리 발생 장치를 전자 장비에 손쉽게 접속할 수 있는 접속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접속 장치를 구비한 소리 발생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1b는 소리 발생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1c는 소리 발생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소리 발생 장치의 배면을 나타내는 배면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도 1a의 선 Ⅲ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4a는 커넥터의 좌측면도이고,
도 4b는 커넥터의 평면도이고,
도 4c는 도 4b의 선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4d는 커넥터의 정면도이고,
도 4e는 도 4d의 선 e-e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5a는 슬라이더의 평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5c는 도 5a의 선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5d는 슬라이더의 정면도이고,
도 6a 내지 도 6c는 슬라이더의 삽입 동작을 나타내는 평단면도이고,
도 7 내지 도 9는 종래의 소리 발생 장치의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리 발생 장치를 전자 장비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장치로서, 소리 발생 장치의 케이스에 고정되고, 한 쌍의 탄성 접점과 개구를 구비한 커넥터와,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커넥터로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커넥터의 상기 탄성 접점을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커넥터로 삽입되는 기판의 터미널에 대하여 가압하도록 마련되는 슬라이더를 구비하는 접속 장치가 마련된다.
각각의 상기 탄성 접점은 그 기부에서 상기 커넥터에 매립되는 외팔보로서 상기 슬라이더의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고, 전단부에서 상향 돌출되는 접촉 돌출부가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더에는 압력부와, 이 압력부에 인접하고 그 배면에 형성된 상향의 경사부가 마련된 도입부가 구비되고, 상기 도입부는 상기 기판을 내부로 도입하기 위한 기판 도입 위치에서 상기 탄성 접점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술한 과제와 그 밖의 과제 및 특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e 및 도 2를 참조하면, 소리 발생 장치(10)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덮개(12)와 케이스(11)가 구비되어 있다. 덮개(12)에는 복수 개의 소리 방출 구멍(13)이 마련되어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의 배면에도 복수 개의 소리 방출 구멍(13a)이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7)는 케이스(11)의 성형에서 케이스(11)와 일체로 되어 있다.
도 3a 내지 도 4e를 참조하면, 커넥터(17)는 상판(17a), 하판(17b), 측판(17c, 17d) 및 후판(17m)으로 이루어지는 박스 형태를 취하고 있다. 커넥터(17)의 앞에는 삽입 개구(17n)가 형성되어 있다. 상판(17a)에는 한 쌍의 창(17e)이 마련되고 하판(17b)에는 한 쌍의 창(17f)이 마련되어 있다. 탄성 금속으로 만들어진 한 쌍의 외팔보식 탄성 접점(18)이 커넥터(17)의 성형품에서 후판(17m)에 매립되어 있으며, 이는 창(17e)에 나타나 있다. 각각의 탄성 접점(18)에는 전단부에서 상향 돌출된 접촉 돌출부(18a)가 마련되어 슬라이더(도 3의 19)의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측판(17c, 17d)의 외벽에는 후크(17g, 17h) 및 리브 돌출부(17i, 17j)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후크와 리브 돌출부는 슬라이더 삽입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후크(17g, 17h)는 상반부가 소재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리브 돌출부(17i, 17j)는 측판(17c, 17d)의 전체 높이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도 4d 및 도 4e를 참조하면, 3개의 안내 리브(17k)가 하판(17b)에 마련되어, 신축성 기판(도 3의 20)을 안내하는 슬라이더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4a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판(17b)에는 개구(17n)에 신축성 기판(20)의삽입을 안내하는 경사부(17ℓ)가 형성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케이스(11)의 배면에는 한 쌍의 터미널(14)이 케이스에 매립되어 케이스(11)에 마련된 버저(buzzer)의 코일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각각의 탄성 접점(18)과 상응하는 터미널(14)은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 금속판은 중간의 리드를 포함하여 이것을 통하여 접속된다.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면, 슬라이드(19)는 압력부(19a)와, 이 압력부(19a)에 인접하여 그 배면에 형성된 상향 경사부가 마련된 도입부(19b) 및 상기 압력부(19a)의 양측을 대면하는 한 쌍의 측판(19c, 19d)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부(19a)는 상반부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측판(19c, 19d)의 내벽에는 후크(19e, 19f) 및 이 후크(19e, 19f)로부터 연장되는 리브(19g, 19h)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부분(19e, 19f, 19g, 19h)은, 도 5b 및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반부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더(19)의 기부의 양측에는 돌출부(19k, 19ℓ)가 마련되어, 커넥터(17)로부터 슬라이더(19)를 추출하기 위한 한 쌍의 노브로서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커넥터(17)와 슬라이더(19)는 휴대 전화의 제조자에게 공급된다. 제조자는 기판(20)을 커넥터(17)에 삽입한다.
슬라이더(19)의 삽입 작업을 나타내는 도 6a 내지 도 6e를 참조하면, 슬라이더(19)는 개구(17n)로부터 커넥터(17)에 삽입한다. 측판(19c, 19d)은 후크(17g, 17h)에서 후크(19e, 19f)의 맞물림에 의해 확장되어, 슬라이더(19)의 후크(19e, 19f)가 후크(17g, 17h)를 넘어 기판 도입 위치(17p)로 도입된다.
슬라이더(19)의 삽입은 도 3a 및 도 6b에 도시된 기판 도입 위치(17p)에서 정지되는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위치에는 도입부(19b)와 접촉 돌출부(18a)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이 후,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성 기판(20)은 개구(17n)로부터 커넥터(17)에 삽입된다. 이 때, 신축성 기판(20)은 경사부(17ℓ)와 안내 리브(17k)에 의해 안내된다. 기판은 도입부(19b)와 접촉 돌출부(18a) 사이의 간극을 통과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20)과 슬라이더(19)가 커넥터(17)의 최내측 위치로 삽입되면서, 슬라이더(19)의 후크(19e, 19f)는 리브 돌출부(17i, 17j)를 넘어간다. 최내측 위치에서, 슬라이더(19)의 압력부(19a)는 기판(20)을 탄성 접점(18)으로 가압한다. 그 결과, 탄성 접점(18)의 접촉 돌출부(18a)는 신축성 기판(20)의 터미널과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소리 발생 장치(10)는 신축성 기판(20)에 접속된다. 최내측 위치에서, 슬라이더(19)의 후크(19e, 19f)는 리브 돌출부(17i, 17j)의 외측과 맞물리고, 이로써 슬라이더는 커넥터에 고정된다.
신축성 기판(20)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슬라이더(19)가 도 3b와 도 6c의 위치로부터 도 3a 및 도 6b의 위치로 당겨내지는 경우에 기판이 제거될 수 있다. 이 경우, 후크(19e, 19f)는 후크(17g, 17h)와 맞물리므로, 슬라이더(19)는 제거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판은 커넥터에 삽입되어 소리 발생 장치에 접속되므로 접속 작업이 매우 용이하다.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6)

  1. 소리 발생 장치를 전자 장비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장치로서,
    소리 발생 장치의 케이스에 고정되고, 한 쌍의 탄성 접점과 개구를 구비한 커넥터와,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커넥터로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커넥터의 상기 탄성 접점을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커넥터로 삽입되는 기판의 터미널에 대하여 가압하도록 마련되는 슬라이더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탄성 접점은 그 기부에서 상기 커넥터에 매립되는 외팔보로서 상기 슬라이더의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탄성 접점에는 전단부에서 상향 돌출되는 접촉 돌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에는 압력부와, 이 압력부에 인접하고 그 배면에 형성된 상향의 경사부가 마련된 도입부가 구비되고, 상기 도입부는 상기 기판을 내부로 도입하기 위한 기판 도입 위치에서 상기 상향 경사부와 상기 탄성 접점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에는 한 쌍의 측판이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커넥터의 측판의 외벽과 활주식으로 맞물리는 한 쌍의 측판이 구비되고, 상기 커넥터에는 상기 측판의 외벽에 한 쌍의 리브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커넥터에 상기 슬라이더가 고정되도록 최내측 위치에서 상기 커넥터의 리브 돌출부와 맞물리는 한 쌍의 후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발생 장치의 상기 케이스와 커넥터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며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장치.
KR10-2000-0078970A 1999-12-21 2000-12-20 접속 장치를 구비하는 소리 발생 장치 KR1005220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363525 1999-12-21
JP36352599A JP2001176586A (ja) 1999-12-21 1999-12-21 コネクタ付き発音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2531A true KR20010062531A (ko) 2001-07-07
KR100522013B1 KR100522013B1 (ko) 2005-10-18

Family

ID=18479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8970A KR100522013B1 (ko) 1999-12-21 2000-12-20 접속 장치를 구비하는 소리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504940B2 (ko)
EP (1) EP1113528B1 (ko)
JP (1) JP2001176586A (ko)
KR (1) KR100522013B1 (ko)
CN (1) CN1305176C (ko)
DE (1) DE60001798T2 (ko)
TW (1) TW4947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11564B2 (en) * 1995-07-27 2010-05-04 Digimarc Corporation Connected audio and other media objects
US7302574B2 (en) * 1999-05-19 2007-11-27 Digimarc Corporation Content identifiers triggering corresponding responses through collaborative processing
JP4191555B2 (ja) 2003-07-29 2008-12-03 シチズン電子株式会社 動電型発音体の製造方法
US8411882B2 (en) * 2008-10-31 2013-04-02 Htc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with electret electro-acoustic transducer
TWI405474B (zh) * 2008-12-31 2013-08-11 Htc Corp 可撓式冷光電聲致動器及使用該可撓式冷光電聲致動器之電子裝置
US8191218B2 (en) * 2009-07-01 2012-06-05 International Automotive Components Group North America, Inc. Deck seam with reduced selvage
CN102064059B (zh) * 2009-11-13 2013-12-11 三菱电机株式会社 漏电断路器
USD659646S1 (en) * 2011-01-28 2012-05-15 Fci Electrical connector
CN106410554B (zh) * 2016-11-23 2019-01-15 厦门宇特信息技术有限公司 滑动导电结构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18682A (en) * 1963-09-03 1966-02-02 Carr Fastener Co Ltd Printed circuit board
US3609652A (en) * 1969-02-14 1971-09-28 Molex Products Co Solderless terminal strip connector assembly
JP3065378B2 (ja) * 1991-04-26 2000-07-17 富士写真光機株式会社 電子内視鏡用固体撮像素子の回路基板
JPH1022009A (ja) * 1996-07-05 1998-01-23 Amp Japan Ltd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CN2280389Y (zh) * 1996-10-17 1998-04-29 蒋伊春 电话机接头装置
US5928029A (en) * 1998-05-29 1999-07-27 Thomas & Betts Corporation Multi-pin connector for flat cable
US6089904A (en) * 1999-04-16 2000-07-18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FFC connector
US6238238B1 (en) * 2000-09-12 2001-05-29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reinforced actu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2013B1 (ko) 2005-10-18
EP1113528A1 (en) 2001-07-04
CN1305176C (zh) 2007-03-14
EP1113528B1 (en) 2003-03-26
DE60001798D1 (de) 2003-04-30
US20010004398A1 (en) 2001-06-21
DE60001798T2 (de) 2003-09-18
JP2001176586A (ja) 2001-06-29
TW494700B (en) 2002-07-11
CN1301063A (zh) 2001-06-27
US6504940B2 (en) 2003-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77965B2 (ja) 印刷配線板用コネクタ
US6997749B1 (en) Shield connector
TWM576747U (zh) 電連接器組件
US6146207A (en) Coupling element for two plugs, adapted male and female elements and coupling device obtained
KR100522013B1 (ko) 접속 장치를 구비하는 소리 발생 장치
US6368158B1 (en) Electric connector having integrally molded terminals and guide pins
US20070026730A1 (en) Connector for solderless connection and plug connected to the connector
JP2002100425A (ja)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KR20060052127A (ko) 케이블 커넥터
TWI549389B (zh) Electrical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6179668B1 (en) Electric connector including a circuit board
US5993231A (en) Electric connector
JP4028439B2 (ja) 回路基板内蔵型コネクタ
JP3555482B2 (ja) 小型コネクタ
TWM486882U (zh) 電連接器
KR10110667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이어잭 접속 구조
JP3085988B2 (ja) 電気的なコネクタ
GB2149213A (en) Electrical switch
KR100549788B1 (ko)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
US6109932A (en) Three-dimensional electrical interconnection system
KR101553576B1 (ko) 커넥터형 이어폰 컨트롤러 및 그 제조방법
JPS5846553Y2 (ja) 配線板用電気接続装置
CN213845646U (zh) 插座
US20080160829A1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CN219421314U (zh) 一种电箱控制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AMENDMENT REQUESTED 20031001

Effective date: 20050622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