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2161A -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2161A
KR20010062161A KR1020000073711A KR20000073711A KR20010062161A KR 20010062161 A KR20010062161 A KR 20010062161A KR 1020000073711 A KR1020000073711 A KR 1020000073711A KR 20000073711 A KR20000073711 A KR 20000073711A KR 20010062161 A KR20010062161 A KR 20010062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processing liquid
grindstone
grinding
grinding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3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라이시게히로
Original Assignee
다카키도시요시
세이코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462849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162533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4908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239444A/ja
Application filed by 다카키도시요시, 세이코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키도시요시
Publication of KR20010062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216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7/00Devices for feeding, applying, grading or recovering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7/02Devices for feeding, applying, grading or recovering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for feeding of fluid, sprayed, pulverised, or liquefied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4Headstocks; Working-spindles; Features relating thereto

Abstract

컵형 숫돌의 내면의 연삭점에 충분한 가공액을 공급할 수 있고, 고 정밀도 연삭에 적당하며, 컵형 숫돌 주위 공간의 효율적인 이용 뿐만아니라 청결한 상태로 연삭반 주위의 작업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가공방법 및 가동장치를 가공장치를 제공한다. 가공액 공급 노즐부는 컵형 숫돌의 내면측에 제공되고, 가공액은 그 가공액 공급 노즐부로부터 컵형 숫돌의 내면의 연삭점에 공급된다. 가공액 공급 노즐부는 컵형 숫돌의 저부를 천공함으로써 형성된 노즐 구멍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노즐 구멍의 일단측은 숫돌축을 통해서 형성된 가공액 공급로에 개구하고, 다른 단측은 컵형 숫돌의 저부로부터 내벽을 향하는 방향으로 첨단 노즐구를 가진다.

Description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WORKING METHOD AND WOR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컵형 숫돌의 내면측에서 공작물을 연삭하기 위한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광 파이버의 부품으로 알려진 페룰은 연삭에 의해서 돔(원호) 형상으로 가공된 단면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페룰 또는 가늘고 긴 공작물의 단면이 연삭에 의해서 돔 형상으로 가공될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삭반이 공작물의 연삭에 사용된다.
도 6에 도시된 연삭반에서는, 컵형 숫돌(8)이 숫돌축(7)의 첨단에 부착되고, 공작물(5)의 공작물 단면(5a)을 돔 형상으로 가공하는 관계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주축(3)의 첨단에서의 척(4)과 숫돌축(7)의 컵형 숫돌(8)측은 서로 상대적으로 대향하여 면하도록 설치된다. 공작물 단면(5a)을 돔 형상으로 가공하기 위해서, 가공물(5)이 주축(3)의 첨단의 척(4)에 설치되고, 공작물 단면(5a)은 컵형 숫돌(8)의 내면에서 연삭된다. 공작물(5)과 컵형 숫돌(8)의 사이에 접촉점(P)(이하 "연삭점" 이라함)은 컵형 숫돌(8)의 내면에 위치되고, 가공액은 연삭점(P)에 공급된다.
상술한 종래의 연삭반을 사용하는 것은 컵형 숫돌(8)의 외부 지점으로부터 상기 컵형 숫돌(8)의 내면의 연삭점(P)을 향해서 가공액이 분사되어 공급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아래에 기술된 문제점들이 있었다.
(1) 연삭 정밀도의 감소를 야기하는 가공액의 공급부족 가능성이 있다.
연삭하는 동안에, 컵형 숫돌(8)은 공작물(5)과 비슷한 고속으로 회전하고, 컵형 숫돌(8)의 첨단 및 외주면은 고속회전에 의해 야기된 에어 커텐(air curtain)으로 덮여진다. 종래의 방식에서 가공액이 컵형 숫돌(8)의 외측으로부터 공급될때, 가공액의 일부가 컵형 숫돌(8)의 내면에 연삭점(P)에 도달하기 전에 에어 커텐의 압력에 의해서 튀겨진다.
특히, 컵형 숫돌(8)을 반복하여 사용하는 동안에, 컵형 숫돌(8) 자체가 서서히 마모하고 연삭점(P)이 점차로 컵형 숫돌(8)의 저부 쪽으로 후퇴하여, 가공액이 종래의 방법으로 컵형 숫돌(8)의 외측으로부터 공급되는한 컵형 숫돌(8)의 가장자리는 가공액의 공급에 장해가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컵형 숫돌의 내면의 연삭점(P)에 가공액을 충분하게 공급하는 것이 더욱 어려워 가공액의 공급부족 문제가 더욱 심각하게 된다.
(2) 또한, 가공액이 종래의 방법으로 컵형 숫돌(8)의 외측으로부터 공급되는 구조는 가공액을 공급하기 위한 노즐(19)이 컵형 숫돌(8) 외측에 제공되기 때문에 컵형숫돌(8) 주위에 복잡한 외주 구조를 수반한다. 컵형 숫돌(8) 주위의 외주 공간 전체는 노즐(19)의 간섭때문에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없다. 게다가, 인위적으로 유발되는 가공액의 공급부족의 가능성이 있다. 즉, 주축(3)에 공작물(5)을 설치할때와 같이, 작업자가 부주의하게 노즐(19)을 접촉하여 노즐(19)의 방향을 변경시켜 노즐(19)로부터 컵형 숫돌(8)의 내면의 연삭점(P)에 가공액을 정확하게 공급하지 못하게 한다. 작업자와 노즐(19)의 접촉에 의해 이러한 인위적인 가공액의 공급부족이 야기될 수 있다.
(3) 또한, 가공액이 종래의 방식으로 컵형 숫돌(8)의 외측으로부터 공급될때, 컵형 숫돌(8)의 첨단 및 외주면을 커버하는 에어 커텐의 압력에 의해서 리필되어 연삭반 주위를 비산하여, 연삭반 주위의 작업환경을 악화시킨다.
종래 기술에서의 상술한 고유의 문제점들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컵형 숫돌의 내면의 연삭점에 충분한 양의 가공액을 공급할 수 있고, 고 정밀도 연삭에 적당하며, 컵형 숫돌 주위 공간의 효율적인 이용 뿐만아니라 청결한 상태 등으로 연삭반 주의의 작업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르면, 주축의 첨단에 부착된 공작물을 회전시키기 위한 상기 주축을 갖는 주축대와, 숫돌축의 첨단에 부착된 컵형 숫돌을 회전시키기 위한 상기 숫돌축을 갖는 숫돌대를 사용하고, 상기 공작물이 컵형 숫돌의 내면에서 연삭되며, 상기 가공방법은 컵형 숫돌의 내면측에가공액 공급 노즐부를 설치하고, 상기 가공액 노즐부로부터 상기 컵형 숫돌의 내면의 연삭점에 가공액을 공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가공방법에서, 가공액 공급 지점은 상기 숫돌의 마모, 드레싱, 트루잉 등에 의해 야기된 연삭점의 변화에 응해서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주축의 첨단에 부착된 공작물을 회전시키기 위한 상기 주축을 갖는 주축대, 상기 공작물이 컵형 숫돌의 내면에서 연삭되고, 숫돌축의 첨단에 부착된 컵형 숫돌을 회전시키기 위한 상기 숫돌축을 갖는 숫돌대, 및 컵형 숫돌의 내면측에 설치된 가공액 공급 노즐부를 포함하고, 가공액은 상기 가공액 공급 노즐부로부터 상기 컵형 숫돌의 내면의 연삭점에 공급되는 가공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가공장치에서, 가공액의 공급 지점은 상기 숫돌의 마모, 드레싱, 트루잉 등에 의해 야기된 연삭점의 변화에 응해서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공액 공급 노즐부는 컵형 숫돌과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공액 공급 노즐부는 컵형 숫돌의 회전 동작으로부터 독립적으로 분리되면서 위치가 정해져 고정되는 고정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공액 공급 노즐부는 컵형 숫돌의 중심축 주위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첨단 노즐구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회전 노즐은 숫돌축을 통해서 형성된 가공액 공급로에 일단측 개구를 갖고, 다른 단측이 컵형 숫돌의 저부측으로부터 컵형 숫돌의 내벽의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노즐 구멍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정 노즐은 숫돌축과 컵형 숫돌의 저부를 통해서 형성된 관통홀 내에 숫돌축 및 컵형 숫돌의 회전 동작으로부터 독립적으로 분리되는 방식으로 가공액 공급관이 제공되고, 상기 가공액 공급관의 전단부가 컵형 숫돌의 내면의 연삭점을 향하는 개구를 갖는 노즐 첨단으로써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가공액 공급관은 숫돌축 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딩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가공액이 컵형 숫돌의 내부로부터 컵형 숫돌의 내면의 연삭점에 공급된다. 그러므로, 컵형 숫돌의 전단면 및 외주면이 에어 커텐으로 덮여진다 하더라도, 연삭점으로 가공액의 공급은 에어 커텐의 내부에서 수행되고 종래의 연삭반에서와 같이 가공액이 에어 커텐의 압력에 의해서 튀겨질 가능성이 없다. 연삭점이 컵형 숫돌의 내부로 후퇴될때라도, 가공액은 연삭점에 충분하게 공급될 수 있다.
첨단 노즐구가 컵형 숫돌의 내벽을 향하는 본 발명의 특정 구조에서는, 이 첨단 노즐구로부터 분사된 가공액이 첨단 노즐구로부터 분사됨으로써 생성된 가공액의 힘 및 컵형 숫돌의 회전에 의해서 생성된 원심력에 의해서 컵형 숫돌의 내벽면을 흐른다. 이런 식으로 가공액은 자력으로 연삭점에 도달한다. 따라서, 연삭점에 가공액의 공급은 더욱 확실히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연삭반의 요부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연삭반에서 숫돌대의 전체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컵형 숫돌의 다른 예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적용되는 연삭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적용되는 연삭반의 단면도,
도 6은 종래 연삭반의 요부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축대 2 : 숫돌대
3 : 주축 4 : 척(chuck)
5 : 공작물 5a : 공작물 단면
6 : 축수 7 : 숫돌축
7a : 숫돌축 전단 7b : 숫돌축 후단
8 : 컵형 숫돌 8a : 컵형 숫돌의 내측 가장자리부
8b : 컵형 숫돌의 저부 8c : 컵형 숫돌의 내벽
9 : 가공액 공급로 10 : 외부 호스
11 : 고정형 커플링 12 : 회전형 커플링
13 : 가공액 공급 노즐부 14 : 노즐 구멍
14a : 노즐 구멍의 일단측 14b : 첨단 노즐구(노즐 구멍의 다른 단측)
15 : 고주파 구동 모터 16 : 고정 노즐
17 : 관통홀 18 : 가공액 공급관
18a : 첨단 노즐구(가공액 공급관의 첨단측)
18b : 가공액 공급관의 후단
P : 연삭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가 적용되는 연삭반을 도시한다. 이 연삭반은 베이스 상에 주축대(1)와 숫돌대(2)를 가진다. 주축대(1)는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주축(3)을 가진다. 공작물(5)은 척(4)에 의해서 주축(3)의 첨단에 부착될 수 있다. 숫돌대(2)는 베어링(6)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숫돌축(7)을 가진다. 컵형 숫돌(8)은 숫돌축(7)의 첨단에 장착된다.
본 실시예의 연삭반에서는, 가늘고 긴 공작물(5)의 단면(5a)이 컵형 숫돌(8)의 내면에서, 특히, 내측 가장자리부(8a)에 의해서 연삭됨으로써 돔 형상으로 가공된다. 공작물 단면(5a)을 돔 형상으로 가공하는 관계로부터, 주축(3)의 척(4)측 및 숫돌측(7)의 컵형 숫돌(8)측은 서로 상대적으로 경사지게 대향하여 면하도록 설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액 공급로(9)는 숫돌축(7)에 제공된다. 숫돌축(7)은 가공액 공급로(9)가 그 숫돌축(7)을 통해서 숫돌축 후단(7b)로부터 숫돌축 전단(7a)까지 이르도록 천공된다. 외부 호스(10)는 숫돌축 후단(7b)에서 가공액 공급로(9)에 접속된다. 이 접속에는 고정형 커플링(11)이 사용된다. 그러나, 회전형 커플링(12)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안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형 숫돌(8)은 내면측이 개구된 가공액 공급 노즐부(13)를 가지고, 그 가공액 공급 노즐부(13)는 컵형 숫돌(8)의 저부(8b)를 천공함으로써 형성된 노즐 구멍(14)을 가진다. 노즐 구멍(14)의 일단측은 숫돌차(7)를 통해서 이르는 가공액 공급로(9)에 개구하여 직결된다. 노즐 구멍(14)의 다른 단측은 컵형 숫돌(8)의 내벽면(8c)을 향하도록 컵형 숫돌(8)의 저부(8b)에 첨단 노즐구(14b)로써 경사지게 개구가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노즐 구멍(14)은 컵형 숫돌(8)의 저부(8b)에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컵형 숫돌(8)이 그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때 컵형 숫돌(8)과 일체로 회전한다. 그러므로, 컵형 숫돌(8)의 외측으로부터 보면, 노즐 구멍(14)은 컵형 숫돌(8)과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 노즐의 한 종류이다.
노즐 구멍(14)의 첨단 노즐구(14b)는 하나면 충분할 것이다. 그러나, 다수의 첨단 노즐구(14b)가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첨단 노즐구(14b)가 제공되는 경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형 숫돌(8)의 중앙축에 대해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첨단 노즐구(14b)의 갯수, 및 첨단 노즐구(14b)의 형성된 위치, 크기, 형상 등은 가공액이 연삭점(P)에 공급되는 속도를 고려함으로써 원하는대로 변경된다.
고주파 구동 모터(15) 등은 숫돌축(7) 주위에 제공된다. 숫돌축(7)은 고주파 구동 모터(15)에 의해 그 축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된다. 주축(3)은 또한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연삭반의 동작은 도 1을 참조로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연삭반에서는, 주축(3)의 척(4)에 설치된 공작물(5)의 단면(5a)과컵형 숫돌(8)의 내측 가장자리부(8a)가 서로 접촉하게 되고, 공작물(5)의 단면(5a)이 컵형 숫돌(8)의 내측 가장자리부(8a)에 의해 연삭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삭이 컵형 숫돌(8)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동안, 가공액은 노즐 구멍(14)의 전단에서 첨단 노즐구(14b)로부터 컵형 숫돌(8)의 내면에 직접 공급되게 가압됨으로써 가공액 공급로(9)를 통해서 노즐 구멍(14)으로 연속적으로 이송된다. 이와 같이 공급된 가공액은 첨단 노즐구(19b)의 전방에 경사지게 위치되는 컵형 숫돌(8)의 내벽면(8c)을 향해서 분사된다. 분사된 가공액은 분사에 의해서 생성된 힘 및 컵형 숫돌(8)에 의해 생성된 원심력에 의해서 컵형 숫돌(8)의 내벽면(8c)을 따라서 이동한다. 가공액은 컵형 숫돌(8)의 내측 가장자리부(8a), 즉, 연삭점(P)에 최종적으로 도달한다.
즉, 도 1에 도시된 연삭반에서, 가공액은 분사에 의해 생성된 가공액의 힘 및 컵형 숫돌(8)의 회전에 의해 생성된 원심력에 의해 가공액 자체에 생성된 힘을 가져 연삭점(P)으로 흐르도록 한다. 따라서, 가공액은 자력으로 연삭점(P)에 도달하여 그 역할을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적용되는 연삭반의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연삭반은 고정 노즐(16)이 상술한 가공액 공급 노즐부(13)에 해당하는 부품으로써 채용되는 점에서 상술한 실시예의 연삭반(도 2 참조)과 다르다.
노즐 구멍(14)에 의해 형성된 상술된 회전 노즐과 같은 고정 노즐(16)은 컵형 숫돌(8)과 회전하지 않는다. 고정 노즐(16)은 컵형 숫돌(8)의 회전 동작으로부터 독립적이고 완전히 분리면서 위치가 정해져 고정된다. 도 5에 도시된 연삭반에서는, 고정 노즐(16)을 사용하기 위해서, 관통홀(17)이 숫돌 축을 따라서 숫돌축(7) 및 컵형 숫돌(8)의 저부(8b)를 연속적으로 관통하도록 숫돌축(7) 및 컵형 숫돌(8)의 저부(8b)를 통해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관통홀(17)에서는, 가공액 공급관(18)이 삽입되어 설치된다.
가공액 공급관(18)은 그 관의 외주면이 관통홀(7)의 내면과 접촉하지 않도록, 그리고 컵형 숫돌(8)과 숫돌축(7)의 회전 동작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완전히 분리되도록 지지된다. 또한, 가공액 공급관(18)은 액츄에이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숫돌축(7)의 축을 따라서 슬라이딩 할 수 있고 일정한 슬라이딩 위치에 위치가 정해져 고정될 수 있다.
가공액 공급관(18)의 전단은 저부(8b)로부터 전방으로부터 경사지게 위치된 컵형 숫돌(8)의 내벽면(8c)으로 향하는 개구를 갖는 가늘고 긴 첨단 노즐구(18a)로써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첨단 노즐구(18a)는 그 개구가 내측 가장자리부(8a)를 향하는 방향으로(연삭점(P)), 특히, 숫돌 내벽부(8c) 방향으로 직접 향하도록 설치된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 가공액 공급관(18)은 연삭점(P)의 위치에 응해서 숫돌 축을 따라서 슬라이딩됨으로써 위치가 정해져 고정되고 적당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 슬라이딩은 숫돌의 마모, 드레싱(dressing), 트루잉(truing) 등에 의한 연삭점(P)의 위치 변경에 응해서 액츄에이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사양에서, "드레싱"은 설치를 의미하고, "트루잉"은 연삭 정형(shaping)을 의미한다.
가공액 공급관(18)의 후단(18b)은 숫돌축 후단(7b)으로부터 돌출하고 고정형 커플링(11)에 의해 외부 호스(10)에 접속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단지 하나의 첨단 노즐구(18a) 또는 다수의 첨단 노즐구(18a)가 형성될 수 있고, 다수의 첨단 노즐구(18a)는 컵형 숫돌(8)의 중심축 주위에 형성될 수 있다. 첨단 노즐구(18a)의 갯수, 및 첨단 노즐구(18a)의 형성된 위치, 크기, 형상 등은 연삭점(P)으로 공급되는 가공액의 양과 관계하여 원하는 대로 변경된다.
도 5를 참조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연삭반에서는 컵형 숫돌(8)에 의해 연삭하는 동안에, 가공액이 가압에 의해서 외부 호스(10)로부터 가공액 공급관(18)에 연속 이송됨으로써, 가공액 공급관(18)의 첨단 노즐구(18a)로부터 컵형 숫돌(8)의 내면으로 직접 공급된다. 이와 같이 공급된 가공액은 첨단 노즐구(18a)로부터 전방에 경사지게 위치된 연삭점(P)을 향하여 직접 분사되어 즉시 그 연삭점(P)에 도달한다.
컵형 숫돌(8)을 반복하여 사용하는 동안에, 컵형 숫돌(8) 자체는 서서히 마모하고 컵형 숫돌(8)의 내측 가장자리부(8a)는 점차로 컵형 숫돌(8)의 저부(8b) 쪽으로 감퇴되어, 연삭점(P) 및 가공액 공급관(18)의 첨단 노즐구(18a)의 개구는 위치관계로부터 쉬프팅된다. 이러한 경우에, 가공액 공급관(18)은 쉬프팅량에 응해서 감퇴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가공액 공급관(18)의 첨단 노즐구(18a)가 연삭점(P)을 향하도록 재조정한다.
컵형 숫돌(8)의 드레싱, 트루잉 등이 수행될때, 쉬프팅은 연삭점(P)과 가공액 공급관(18)의 첨단 노즐구(18a) 사이의 위치 관계에서 또한 야기된다. 또한 이 경우에, 가공액 공급관(18)은 쉬프팅량에 응해서 후퇴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가공액 공급관(18)의 첨단 노즐구(18a)가 연삭점(P)을 향하도록 재조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술한 각각의 실시예에서 연삭반은 가공액이 컵형 숫돌(8)의 내부로부터 그 컵형 숫돌의 내면의 연삭점(P)에 공급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러므로, 컵형 숫돌(8)의 전단면과 외주면이 에어 커튼으로 덮여지더라도, 연삭점(P)으로의 가공액의 공급이 그 에어 커튼 내측에서 수행되고, 종래의 연삭반에서와 같이 가공액이 에어 커튼의 압력에 의해 튀겨져 비산할 가능성이 없다. 연삭점(P)이 컵형 숫돌(8)의 내부로 후퇴할때라도, 가공액은 그 연삭점(P)에 충분히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 정밀도 연삭 뿐만아니라 연삭반 주위의 작업환경을 청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상술한 실시예의 연삭반에서, 가공액 공급 노즐부(13)는 컵형 숫돌(8)의 내면측에 위치되고, 종래에 컵형 숫돌(8)의 외측에 위치된 방해 노즐이 생략될 수 있으므로, 숫돌 외주 환경을 단순화하고 컵형 숫돌 주위 공간의 효율적인 이용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노즐 구멍(14)에서와 같은 구조에서는, 노즐 구멍(14)의 첨단 노즐구(14b)가 컵형 숫돌의 저부(8b)로부터 컵형 숫돌의 내벽면(8c) 쪽의 방향으로 향하고, 첨단 노즐구(14b)로부터 분사된 가공액은 첨단 노즐구(14b)로부터 분사하는 힘에 의해 생성된 가공액의 힘과 컵형 숫돌(8)에 의해 생성된 원심력에 의해서 컵형 숫돌의 내벽면(8c) 상을 흐른다. 이런 식으로, 가공액은 자력으로 연삭점(P)에 도달한다. 따라서, 연삭점(P)으로의 가공액의 공급은 보다 확실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조에서, 고정 노즐(16)에서 가공액 공급관(18)의 첨단 노즐부(18a)가 연삭점(P)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가공액은 첨단 노즐구(18a)의 개구로부터 연삭점(P)에 직접 분사되어 공급되고, 또한 가공액은 보다 확실하게 그 연삭점(P)에 공급되게 할 수 있다.
실시예의 설명에서 개시된 각종 노즐은 아래에 표 1에 도시된 4개의 종류, 즉, (1) 다수의 분출구를 갖는 고정식, (2) 단지 하나의 분출구를 갖는 고정식, (3) 다수의 분출구를 갖는 회전식, 및 (4) 단지 하나의 분출구를 갖는 회전식으로 그 구조적 특징에 따라 분류된다. 이런 종류의 노즐은 아래에 도시된 특이한 효과, 즉, 제1 종류(1)는 효과<1> 및 <3>을 가지고; 제2 종류(2)는 효과<2> 및 <3>을 가지고; 제3 종류(3)는 효과<1>을 가지며; 제4 종류는 효과<4>를 가진다.
표 1
<1> 가공액이 컵형 숫돌의 내면 전체에 분출되기 때문에, 가공액 자체는 효율적으로 냉각될 수 있고 숫돌의 연삭면의 포어(pore)에 잔존하는 연삭분을 효율적으로 씻어낼 수 있다.
<2> 가공액이 연삭점(P)의 한점을 집중하여 분출되기 때문에, 그 가공액이 공급되는 속도는 감소될 수 있다. 그러므로, 가공액을 공급하기 위한 펌프와 탱크, 그 가공액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유닛 등이 소형화 될 수 있고, 가공액의 비산 방지하기 위한 커버 등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3> 가공액이 숫돌과 충돌하는 지점이 그 숫돌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그 숫돌의 국부적인 냉각을 피할 수 있어, 숫돌의 온도 분포가 일반적으로 균일하다. 그 결과, 연삭 정밀도가 향상되고 또한 숫돌 세정효과가 향상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에서는, 가공액 공급 노즐부가 컵형 숫돌의 내면측에 제공되고 가공액이 가공액 공급 노즐부로부터 컵형 숫돌의 내면의 연삭점에 직접 공급된다. 가공액이 컵형 숫돌의 내면측으로부터 상기 컵형 숫돌 내면의 연삭점에 공급되기 때문에, 컵형 숫돌의 첨단면과 외주면을 덮는 에어 커튼의 압력에 의해서 가공액이 튀겨져 비산할 가능성이 없다. 연삭점이 숫돌의 내부로 후되될때라도, 가공액은 충분하게 상기 연삭점에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고 정밀도 연삭을 수행할 수 있고 연삭반 주위의 작업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공액 공급 노즐부는 컵형 숫돌의 내면측 상에 위치된다. 그러므로, 컵형 숫돌의 외측에 위치된 종래의 방해 노즐이 생략될 수 있어, 상기 컵형 숫돌 외측 주위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컵형 숫돌 주위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게 한다.

Claims (10)

  1. 주축의 첨단에 부착된 공작물을 회전시키기 위한 상기 주축을 갖는 주축대와, 숫돌축의 첨단에 부착된 컵형 숫돌을 회전시키기 위한 상기 숫돌축을 갖는 숫돌대를 사용하고, 상기 공작물이 상기 컵형 숫돌의 내면에서 연삭되는 가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컵형 숫돌의 내면측에 가공액 공급 노즐부를 설치하고;
    이 가공액 공급 노즐부로부터 상기 컵형 숫돌 내면의 연삭점에 가공액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가공액의 공급 지점은 상기 숫돌의 마모, 드레싱, 트루잉에 의해 야기된 연삭점의 변화에 응해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방법.
  3. 가공장치에 있어서,
    주축의 첨단에 부착된 공작물을 회전시키기 위한 상기 주축을 갖는 주축대;
    상기 공작물이 상기 컵형 숫돌의 내면에서 연삭되고, 숫돌축의 첨단에 부착된 컵형 숫돌을 회전시키기 위한 상기 숫돌축을 갖는 숫돌대; 및
    상기 컵형 숫돌의 내면측에 설치된 가공액 공급 노즐부를 구비하고,
    가공액은 상기 가공액 공급 노즐부로부터 상기 컵형 숫돌 내면의 연삭점에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가공액의 공급 지점은 상기 숫돌의 마모, 드레싱, 트루잉에 의해 야기된 연삭점의 변화에 응해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액 공급 노즐부는 컵형 숫돌과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 노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액 공급 노즐부는 컵형 숫돌의 회전 동작으로부터 독립적으로 분리되면서 위치가 정해져 고정되는 고정 노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액 공급 노즐부는 컵형 숫돌의 중심축 주위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첨단 노즐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노즐은 숫돌축을 통해서 형성된 가공액 공급로에 일단측 개구를 갖고, 다른 단측이 컵형 숫돌의 저부측으로부터 컵형 숫돌의 내벽의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노즐 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노즐은 숫돌축과 컵형 숫돌의 저부를 통해서 형성된 관통홀 내에 숫돌축 및 컵형 숫돌의 회전 동작으로부터 독립적으로 분리되는 방식으로 가공액 공급관이 제공되고, 상기 가공액 공급관의 전단부가 컵형 숫돌의 내면의 연삭점을 향하는 개구를 갖는 노즐 첨단으로써 형성되는 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액 공급관은 숫돌축 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딩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장치.
KR1020000073711A 1999-12-06 2000-12-06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 KR200100621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4628499A JP2001162533A (ja) 1999-12-06 1999-12-06 加工方法および加工装置
JP1999-346284 1999-12-06
JP2000049087A JP2001239444A (ja) 2000-02-25 2000-02-25 カップ型砥石部材と、これを用いたワーク端面の加工方法および加工装置
JP2000-049087 2000-02-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2161A true KR20010062161A (ko) 2001-07-07

Family

ID=37529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3711A KR20010062161A (ko) 1999-12-06 2000-12-06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6216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04735A (zh) * 2020-05-28 2020-09-01 杭州电子科技大学 一种可用于环形材料内外壁打磨的一体化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04735A (zh) * 2020-05-28 2020-09-01 杭州电子科技大学 一种可用于环形材料内外壁打磨的一体化装置
CN111604735B (zh) * 2020-05-28 2021-05-04 杭州电子科技大学 一种用于环形材料内外壁打磨的一体化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29130A (en) Grinding wheel guard apparatus
JP5192496B2 (ja) 冷却ノズルを備えた工作機械
JPH11254324A (ja) 研磨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EP0340026B1 (en) Arbor for mounting a tool to a spindle of a machine tool and a machining method of employing the same
EP1965947B1 (en) Machine tool
JP2001162533A (ja) 加工方法および加工装置
KR20010062161A (ko)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
WO2005014239A2 (en) Tool holder
JPH10193214A (ja) ダイヤモンドエンドミル
US20020173247A1 (en) Machining device and methods
JPH10235507A (ja) 穴あけ加工方法及び穴あけ加工装置
JPS61164779A (ja) ゴムロ−ルの加工方法及びその装置
JPH0639699A (ja) 溝加工装置
JP3275585B2 (ja) ホーニング加工方法およびホーニング加工装置
US20160067844A1 (en) Machining center with abrasive blasting system
JPS6236605Y2 (ko)
JP3608703B2 (ja) 流体回転駆動式主軸装置
JP3580675B2 (ja) 研削工具の洗浄装置
JP2023028875A (ja) 加工装置及び加工方法
KR20010085609A (ko) 스트레이트 컵형 연마 부재, 및 이것을 사용하여 작업편의단부면을 가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0115528Y1 (ko) 공작기계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연마기
JP2003225844A (ja) 中心給水式フランジ及び給水方式
JP4081551B2 (ja) 金型のラップ処理方法とラップ用工具
JPH03202274A (ja) 研削液供給装置
JPH04210307A (ja) スピンドルとチャック開閉駆動部の接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