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9278A - 일체형 열교환기용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일체형 열교환기용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9278A
KR20010059278A KR1019990066669A KR19990066669A KR20010059278A KR 20010059278 A KR20010059278 A KR 20010059278A KR 1019990066669 A KR1019990066669 A KR 1019990066669A KR 19990066669 A KR19990066669 A KR 19990066669A KR 20010059278 A KR20010059278 A KR 20010059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ole cup
hole
heater core
evapo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6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6012B1 (ko
Inventor
김인갑
김광일
Original Assignee
신영주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주,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영주
Priority to KR1019990066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6012B1/ko
Publication of KR20010059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9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6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60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s
    • F28D1/0308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s the conduits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F28D1/032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s the conduits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lateral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th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 F28D1/033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s the conduits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lateral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th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the plates having integrated connecting members
    • F28D1/0341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s the conduits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lateral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th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the plates having integrated connecting members with U-flow or serpentine-flow inside the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3/00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 F28F13/06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by affecting the pattern of flow of the heat-exchange med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12Elements constructed in the shape of a hollow panel, e.g. with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체형 열교환기용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증발기 및 히터 코어를 구성하는 플레이트가 일체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냉매 및 냉각수의 유입 및 배출구를 1개의 플레이트에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부품을 단순화할 수 있고 원가절감 및 조립공수 절감을 통한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5)는, L자형 증발기용 플레이트부(6)와 사각형 히터 코어용 플레이트부(7)로 구획되고, 플레이트부(6)는 제2홀컵(61,62) 및 L턴유로(63)를 가지고, 플레이트부(7)는 제4홀컵(73,74) 및 U턴유로(75)를 가진다. 일체형 열교환기는 상기 두 플레이트(5,5)가 접합된 플랫 튜브(3)들과 다수의 전열핀(31)들이 교대로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최좌측 플레이트(5L) 및 최우측 플레이트(5R)의 홀컵들은 제1 및 제2엔드 플레이트(32,33)에 의하여 막힌다. 좌중앙 플랫 튜브(3LC)의 한 쪽 및 그 반대쪽에는 매니폴드(36,37)(38,39)가 설치된다. 중앙 플레이트(5C)의 제1홀컵(61) 및 제3홀컵(73)은 배플(41,42)에 의하여 막힌다.

Description

일체형 열교환기용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열교환기{PLATE FOR ONE PIECE TYPE HEAT EXCHANGER AND ONE PIECE TYPE HEAT EXCHANGER USING IT}
본 발명은 일체형 열교환기용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증발기 및 히터 코어가 일체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냉매 및 냉각수의 유입 및 배출구를 1개의 플레이트에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콤팩트한 공기조화장치를 구성할 수 있고, 부품의 단순화에 의한 원가절감 및 조립공수 절감을 통한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일체형 열교환기용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는 자동차의 실내를 냉방하기 위한 냉방시스템과 자동차의 실내를 난방하기 위한 난방시스템을 포함한다. 냉방시스템은 압축기의 구동에 의하여 토출되는 열교환매체가 응축기, 리시버 드라이어, 팽창밸브 및 증발기를 거쳐 다시 압축기로 순환하는 과정에서 증발기에 의한 열교환에 의하여 자동차의 실내를 냉방하도록 구성되며, 한편 난방시스템은 냉각수를 히터 코어로 유입하여 열교환시킴으로써 실내를 난방하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인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는 통상적으로 공기조화케이스 내부에 별도로 구성된 증발기 및 히터 코어가 전후로 분리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경우 증발기 및 히터 코어의 각각의 구성 부품의 수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금형 개발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증발기 및 히터 코어를 별도로 조립함에 따라 증발기 및 히터에 대한 제조라인을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므로 설비비가 증대되며, 조립공수 및 조립인원이 많이 소요되어 원가 상승 및 생산성 저하를 초래한다. 또한, 공기조화케이스에 증발기 및 히터 코어를 별도로 내장하여야 함에 따라 온도조절도어의 추가적인 설치가 요구되어 공기조화케이스가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공기조화케이스의 크기도 증대되어 자동차에 대한 장착성도 악화된다. 또한, 이와 같이 냉난방 시스템이 복잡해지면 송풍기로부터 공기조화케이스 내부로 송풍되는 공기의 유동에 있어서 저항이 커져 시스템 풍량의 감소, 노이즈 증대 및 냉난방 성능 저하를 초래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증발기 및 히터 코어가 일체로 이루어진 일체형 열교환기가 제안되고 있는데 이 일체형 열교환기는 전후형 일체형 열교환기 및 좌우형 일체형 열교환기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전후형 일체형 열교환기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한국 공개실용 제96-2586호 및일본 특개평 8-296991호에 개시된 것을 들 수 있고, 좌우형 일체형 열교환기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일본 특개평 8-261667호에 개시된 것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일체형 열교환기에 있어서도 증발기 및 히터 코어를 별개로 구성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이들을 제조하기 위한 플레이트들도 별도로 성형하여 조립하여야 하기 때문에 구성요소가 많이 소요되고 조립공수가 증가되는 문제는 해결할 수 없다. 특히 일본 특개평 8-261667호의 열교환기의 경우에는 증발기 및 히터 코어가 좌우로 배열됨으로써 제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증발기 및 히터 코어를 구성하는 플레이트가 일체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냉매 및 냉각수의 유입 및 배출구를 1개의 플레이트에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콤팩트한 공기조화장치를 구성할 수 있고, 부품의 단순화에 의한 원가절감 및 조립공수 절감을 통한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일체형 열교환기용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열교환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열교환기용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체형 열교환기용 플레이트 2개를 접합하여 이루어진 플랫 튜브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열교환기용 플레이트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일체형 열교환기용 플레이트 2개를 접합하여 이루어진 플랫 튜브를 나타냄과 아울러 이 플레이트와 도 1의 플레이트를 접합하는 적층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열교환기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열교환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열교환기의 냉매유동구조 및 냉각수유동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열교환기가 적용된 공기조화장치의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일체형 플랫 튜브, 5 : 일체형 플레이트,
6 : 증발기용 플레이트부, 7 : 히터 코어용 플레이트부,
31 : 전열핀, 32 : 제1엔드 플레이트,
33 : 제2엔드 플레이트, 36, 37, 38, 39 : 매니폴드,
41. 42 : 배플, 51 : 제1구획리브,
52 : 제2구획리브, 53 : 제3구획리브,
55 : 엠보싱 비드, 56, 57, 58, 59 : 반원형 매니폴드,
61 : 제1홀컵, 62 : 제2홀컵,
63 : L턴유로, 73 : 제3홀컵,
74 : 제4홀컵, 75 : U턴유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열교환기용 플레이트는, L자형의 제1구획리브에 의하여 상단부가 굴곡된 L자 형상의 증발기용 플레이트부와 사각형상의 히터 코어용 플레이트부로 구획되고, 상기 증발기용 플레이트부 하단부에는 제1홀컵 및 제2홀컵이 나란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홀컵 및 제2홀컵의 사이로부터 상단의 굴곡부까지 L자형으로 형성된 제2구획리브에 의하여 증발기용플레이트부에는 L턴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히터 코어용 플레이트부의 하단부에는 제3홀컵 및 제4홀컵이 나란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3홀컵 및 제4홀컵의 사이로부터 상단부까지 형성된 제3구획리브에 의하여 히터 코어용 플레이트부에는 U턴유로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L턴유로 및 U턴유로에는 다수의 엠보싱 비드가 소정의 배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증발기용 플레이트부의 일측에는 냉매유입관 또는 냉매배출관과 결합되도록 제1홀컵과 통하는 반원형 매니폴드가 더 설치될 수 있고, 히터 코어용 플레이트부의 일측에는 냉각수유입관 또는 냉각수배출관과 결합되도록 제3홀컵과 통하는 반원형 매니폴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열교환기는 상기한 플레이트를 이용한 것으로서, L자형의 제1구획리브에 의하여 상단부가 굴곡된 L자 형상의 증발기용 플레이트부와 사각형상의 히터 코어용 플레이트부로 구획되고, 상기 증발기용 플레이트부 하단부에는 제1홀컵 및 제2홀컵이 나란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홀컵 및 제2홀컵의 사이로부터 상단의 굴곡부까지 L자형으로 형성된 제2구획리브에 의하여 증발기용 플레이트부에는 L턴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히터 코어용 플레이트부의 하단부에는 제3홀컵 및 제4홀컵이 나란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3홀컵 및 제4홀컵의 사이로부터 상단부까지 형성된 제3구획리브에 의하여 히터 코어용 플레이트부에는 U턴유로가 형성된 두 플레이트 접합된 다수의 일체형 플랫 튜브들과, 다수의 전열핀들이 교대로 적층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일체형 플레이트들중 최좌측 플레이트의 외면에는 제1엔드 플레이트가 설치됨으로써 최좌측 플레이트의 4개의 홀컵은 막힘과 아울러 상기 일체형 플레이트들중 최우측 플레이트의 외면에는 제2엔드 플레이트가 설치됨으로써 최우측 플레이트의 4개의 홀컵은 막히며;
상기 일체형 플랫 튜브중 좌중앙 플랫 튜브의 일측에는 그 한 쌍의 제1홀컵과 통하는 냉매유입 매니폴드가 설치됨과 아울러 우중앙 플랫 튜브의 일측에는 그 한 쌍의 제1홀컵들과 통하는 냉매배출 매니폴드가 설치되며;
상기 일체형 플랫 튜브중 좌중앙 플랫 튜브의 타측에는 그 한 쌍의 제3홀컵과 통하는 냉각수유입 매니폴드가 설치됨과 아울러 우중앙 플랫 튜브의 타측에는 그 한 쌍의 제3홀컵들과 통하는 냉각수배출 매니폴드가 설치되며;
상기 일체형 플레이트중 제1홀컵 및 제3홀컵은 배플에 의하여 각각 막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열교환기에 따르면, 냉매유입 매니폴드를 통하여 좌중앙 플랫 튜브의 제1홀컵에 냉매가 유입되면 이 냉매는 좌우로 좌반부 플랫 튜브들의 제1홀컵들 쪽으로 유동하면서 좌반부 플랫 튜브들의 L턴유로들을 통하여 좌반부 플랫 튜브들의 제2홀컵들쪽으로 유동하고, 다음에 제2홀컵들을 통하여 우반부 플랫 튜브들의 제2홀컵들 쪽으로 유동하며, 다음에 우반부 플랫 튜브들의 L턴유로를 통하여 우반부 플랫 튜브들의 제1홀컵들 쪽으로 유동한 후 우중앙 플랫 튜브의 제1홀컵 쪽으로 유동하여 최종적으로 냉매배출 매니폴드를 통하여 배출된다. 한편, 냉각수유입 매니폴드를 통하여 좌중앙 플랫 튜브의 제3홀컵에 냉각수가 유입되면 이 냉각수는 좌우로 좌반부 플랫 튜브들의 제3홀컵들 쪽으로 유동하면서 좌반부 플랫 튜브들의 U턴유로들을 통하여 좌반부 플랫 튜브들의 제4홀컵들쪽으로 유동하고, 다음에 제4홀컵들을 통하여 우반부 플랫 튜브들의 제4홀컵들 쪽으로 유동하며, 다음에 우반부 플랫 튜브들의 U턴유로를 통하여 우반부 플랫 튜브들의 제3홀컵들 쪽으로 유동한 후 우중앙 플랫 튜브의 제3홀컵 쪽으로 유동하여 최종적으로 냉각수배출 매니폴드를 통하여 배출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부호 5는 일체형 열교환기를 구성하기 위한 플레이트로서, 대략 사각형상을 하고 있고 가장자리부를 따라 브레이징 플랜지(54)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플레이트(5)는 L자형의 제1구획리브(51)에 의하여 상단부가 굴곡된 L자 형상의 증발기용 플레이트부(6)와 사각 형상의 히터 코어용 플레이트부(7)로 구획되어 있다.
상기 증발기용 플레이트부(6)의 하단부에는 제1홀컵(61) 및 제2홀컵(62)이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홀컵(61) 및 제2홀컵(62)의 사이로부터 상단의 굴곡부까지 L자 형상으로 형성된 제2구획리브(52)에 의하여 증발기용 플레이트부(6)에는 L턴유로(6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증발기용 플레이트부(6)의 L턴유로(63)에는 다수의 엠보싱 비드(55)가 소정의 배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히터 코어용 플레이트부(7)의 하단부에는 제3홀컵(73) 및제4홀컵(74)이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3홀컵(73) 및 제4홀컵(74)의 사이로부터 상단부까지 직선형상으로 형성된 제3구획리브(53)에 의하여 히터 코어용 플레이트부(7)에는 U턴유로(7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히터 코어용 플레이트부(7)의 U턴유로(75)에는 L턴유로(63)에 형성된 엠보싱 비드(55)들과 같이 다수의 엠보싱 비드(55)가 소정의 배열로 더 형성되어도 좋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플레이트(5,5)를 서로 접합하면 서로 대응하는 브레이징 플랜지(54)들, 구획리브(51,52,53)들 및 엠보싱 비드(55)들이 접합됨으로써 내부에 냉매가 L턴유동할 수 있는 L자 형상의 증발기용 플랫 튜브부(4E)와 냉각수가 U턴유동할 수 있는 히터 코어용 플랫 튜브부(4H)를 가진 일체형 플랫 튜브(3)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일체형 플랫 튜브(3)들과 전열핀(31)들이 교대로 적층됨으로써 증발기(1) 및 히터 코어(2)가 일체로 이루어진 일체형 열교환기가 구성될 수 있다. 즉, 서로 접합되는 증발기용 플랫 튜브부(4E)들에 의하여 증발기(1)가 구성되고, 서로 접합되는 히터 코어용 플랫 튜브부(4H)들에 의하여 히터 코어(2)가 구성된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체형 플랫 튜브(3)들중 좌중앙 플랫 튜브(이하, 다른 플랫 튜브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참조부호 '3LC'로 나타냄)를 구성하는 두 플레이트(5,5)의 각각의 일측에는 제1홀컵(61)과 통하는 반원형 매니폴드(56)가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두 반원형 매니폴드(56,56)가 서로 접합되면 냉매유입관(81)(도 7 및 도 8 참조)과 연결될 수 있는 냉매유입매니폴드(36)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랫 튜브(3)들중 좌중앙 플랫 튜브(3LC)를 구성하는 두 플레이트(5,5)의 각각의 타측에는 제3홀컵(73)과 통하는 반원형 매니폴드(58)가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두 반원형 매니폴드(58,58)가 서로 접합되면 냉각수유입관(83)과 연결될 수 있는 냉각수유입 매니폴드(38)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랫 튜브(3)들중 우중앙 플랫 튜브(이하, 다른 플랫 튜브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참조부호 '3RC'로 나타냄)를 구성하는 두 플레이트(5,5)의 각각의 일측에는 제1홀컵(61)과 통하는 반원형 매니폴드(57,57)가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두 반원형 매니폴드(57,57)가 서로 접합되면 냉매배출관(82)(도 7 및 도 8 참조)과 연결될 수 있는 냉매배출 매니폴드(37)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랫 튜브(3)들중 우중앙 플랫 튜브(3RC)를 구성하는 두 플레이트(5,5)의 각각의 타측에는 제3홀컵(73)과 통하는 반원형 매니폴드(59)가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두 반원형 매니폴드(59,59)가 서로 접합되면 냉각수배출관(84)(도 7 및 도 8 참조)과 연결될 수 있는 냉각수배출 매니폴드(39)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플레이트(5)들중 중앙 플레이트(이하, 다른 플레이트와 구별하기 위하여 참조부호 '5C'로 나타냄)의 제1홀컵(61) 및 제3홀컵(73)은 배플(41,42)(도 7 참조)에 의하여 차례로 막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최좌측 플레이트(다른 플레이트와 구별하기 위하여 참조부호 '5L'로 나타냄)에 형성된 홀컵들(61,62,73,74)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측에 적층되는 좌측 엔드 플레이트(32)에 의하여 막히고, 최우측 플레이트(다른 플레이트와 구별하기 위하여 참조부호 '5R'로 나타냄)에 형성되는 홀컵들(61,62,73,74)은 우측 엔드 플레이트(33)에 의하여 막힌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열교환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일체형 열교환기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케이스(91)에 설치하여 공기조화장치를 구성한 다음, 압축기(92)를 구동하면, 압축기(92)에 의하여 압축된 냉매가 응축기(93), 리시버 드라이어(94) 및 팽창밸브(95)를 거쳐 냉매유입 매니폴드(36)를 통하여 좌중앙 플랫 튜브(3LC)의 제1홀컵(61)에 유입된다. 이 냉매는 최좌측 플레이트(5L)의 제1홀컵(61) 및 중앙 플레이트(5C)의 제1홀컵(61)이 배플(41)에 의하여 막혀 있기 때문에 좌중앙 플랫 튜브(3LC)의 제1홀컵(61)으로부터 좌우로 좌반부 플랫 튜브들(즉, 최좌측 플랫 튜브와 중앙 플랫 튜브 사이의 플랫 튜브들)의 제1홀컵(61)들 쪽으로 유동하면서 좌반부 플랫 튜브들의 L턴유로(63)들을 통하여 좌반부 플랫 튜브들의 제2홀컵(62)들쪽으로 유동한다.
이와 같이 L턴유동하여 좌반부 플랫 튜브들의 제2홀컵(62)들 쪽으로 유동한 냉매는 최좌측 플레이트(5L)의 제2홀컵(62)은 막혀 있는 반면에 중앙 플레이트(5C)의 제2홀컵(62)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제2홀컵(62)들을 통하여 우반부 플랫 튜브들(즉, 중앙 플랫 튜브와 최우측 플랫 튜브 사이의 플랫 튜브들)의 제2홀컵(62)들 쪽으로 유동한다.
이와 같이 우반부 플랫 튜브들의 제2홀컵(62)들 쪽으로 유동한 냉매는 우반부 플랫 튜브들의 L턴유로(63)를 통하여 우반부 플랫 튜브들의 제1홀컵(61)들 쪽으로 유동한다. 우반부 플랫 튜브들의 제1홀컵(61)들 쪽으로 유동한 냉매는 중앙 플레이트(5C)의 제1홀컵(61)과 최우측 플레이트(5R)의 제1홀컵(61)이 막혀 있기 때문에 우중앙 플랫 튜브(3RC)의 제1홀컵(61) 쪽으로 유동한 다음 최종적으로 냉매배출 매니폴드(37)를 통하여 배출되어 압축기(92) 쪽으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냉매가 일체형 열교환기의 증발기(1)를 거치는 과정에서 송풍기(96)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냉매와 열교환됨으로써 찬 공기로 바뀌어 공기조화케이스(91)의 벤트들(911,912,913)을 통하여 자동차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자동차 실내의 냉방이 수행된다.
한편, 엔진으로부터 냉각수유입 매니폴드(38)를 통하여 좌중앙 플랫 튜브(3LC)의 제3홀컵(73)에 냉각수가 유입되면 최좌측 플레이트(5L)의 제3홀컵(73) 및 중앙 플레이트(5C)의 제3홀컵(73)이 배플(42)에 의하여 막혀 있기 때문에 좌중앙 플랫 튜브(3LC)의 제3홀컵(73)에 유입된 냉각수는 이곳으로부터 좌우로 좌반부 플랫 튜브들의 제3홀컵(73)들 쪽으로 유동하면서 좌반부 플랫 튜브들의 U턴유로(75)들을 통하여 좌반부 플랫 튜브들의 제4홀컵(74)들쪽으로 유동한다.
이와 같이 U턴유동하여 좌반부 플랫 튜브들의 제4홀컵(74)들 쪽으로 유동한 냉각수는 최좌측 플레이트(5L)의 제4홀컵(74)은 막혀 있는 반면에 중앙 플레이트(5C)의 제4홀컵(74)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제4홀컵(74)들을 통하여 우반부 플랫 튜브들의 제4홀컵(74)들 쪽으로 유동한다.
이와 같이 우반부 플랫 튜브들의 제4홀컵(74)들 쪽으로 유동한 냉각수는 우반부 플랫 튜브들의 U턴유로(75)를 통하여 우반부 플랫 튜브들의 제3홀컵(73)들 쪽으로 유동한다. 우반부 플랫 튜브들의 제3홀컵(73)들 쪽으로 유동한 냉각수는 중앙 플레이트(5C)의 제3홀컵(73)과 최우측 플레이트(5R)의 제3홀컵(73)이 막혀 있기 때문에 우중앙 플랫 튜브(3RC)의 제3홀컵(73) 쪽으로 유동한 다음 최종적으로 냉각수배출 매니폴드(39)를 통하여 배출되어 엔진으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냉각수가 일체형 열교환기의 히터 코어(2)를 거치는 과정에서 송풍기(96)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냉각수와 열교환되어 따뜻한 공기로 바뀌어 공기조화케이스(91)의 벤트들(911,912,913)을 통하여 자동차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자동차 실내의 난방이 수행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열교환기용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열교환기에 있어서는, 증발기(1) 및 히터 코어(2)를 구성하는 플레이트(5)가 일체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냉매 및 냉각수의 유입 및 배출구를 1개의 플레이트에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부품을 단순화할 수 있으므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증발기용 플레이트 및 히터 코어용 플레이트를 별도로 제조할 필요가 없으므로 이 점에 있어서도 원가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증발기 및 히터 코어를 별도로 조립할 필요가 없으므로 열교환기의 생산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Claims (5)

  1. L자형의 제1구획리브(51)에 의하여 상단부가 굴곡된 L자 형상의 증발기용 플레이트부(6)와 사각형상의 히터 코어용 플레이트부(7)로 구획되고,
    상기 증발기용 플레이트부의 하단부에는 제1홀컵(61) 및 제2홀컵(62)이 나란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홀컵 및 제2홀컵의 사이로부터 상단의 굴곡부까지 L자형으로 형성된 제2구획리브(52)에 의하여 증발기용 플레이트부에는 L턴유로(63)가 형성되며,
    상기 히터 코어용 플레이트부의 하단부에는 제3홀컵(73) 및 제4홀컵(74)이 나란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3홀컵 및 제4홀컵의 사이로부터 상단부까지 형성된 제3구획리브(53)에 의하여 히터 코어용 플레이트부(7)에는 U턴유로(75)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열교환기용 플레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턴유로(63)에는 다수의 엠보싱 비드(55)가 소정의 배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열교환기용 플레이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U턴유로(75)에는 다수의 엠보싱 비드(55)가 소정의 배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열교환기용 플레이트.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증발기용 플레이트부(6)의 일측에는 냉매유입관 또는 냉매배출관과 결합되도록 제1홀컵(61)과 통하는 반원형 매니폴드(56 또는 57)가 더 설치되고, 히터 코어용 플레이트부(7)의 일측에는 냉각수유입관 또는 냉각수배출관과 결합되도록 제3홀컵(73)과 통하는 반원형 매니폴드(58 또는 59)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열교환기용 플레이트.
  5. L자형의 제1구획리브(51)에 의하여 상단부가 굴곡된 L자 형상의 증발기용 플레이트부(6)와 사각형상의 히터 코어용 플레이트부(7)로 구획되고, 상기 증발기용 플레이트부의 하단부에는 제1홀컵(61) 및 제2홀컵(62)이 나란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홀컵 및 제2홀컵의 사이로부터 상단의 굴곡부까지 L자형으로 형성된 제2구획리브(52)에 의하여 증발기용 플레이트부에는 L턴유로(63)가 형성되며, 상기 히터 코어용 플레이트부의 하단부에는 제3홀컵(73) 및 제4홀컵(74)이 나란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3홀컵 및 제4홀컵의 사이로부터 상단부까지 형성된 제3구획리브(53)에 의하여 히터 코어용 플레이트부에는 U턴유로(75)가 형성된 두 플레이트(5,5)가 접합된 다수의 일체형 플랫 튜브(3)들과, 다수의 전열핀(31)들이 교대로 적층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일체형 플레이트(5)들중 최좌측 플레이트(5L)의 외면에는 제1엔드 플레이트(32)가 설치됨으로써 최좌측 플레이트(5L)의 4개의 홀컵(61,62,73,74)은 막힘과 아울러 상기 일체형 플레이트(5)들중 최우측 플레이트(5R)의 외면에는 제2엔드플레이트(33)가 설치됨으로써 최우측 플레이트(5R)의 4개의 홀컵(61,62,73,74)은 막히며;
    상기 일체형 플랫 튜브(3)중 좌중앙 플랫 튜브(3LC)의 일측에는 그 한 쌍의 제1홀컵(61,61)과 통하는 냉매유입 매니폴드(36)가 설치됨과 아울러 우중앙 플랫 튜브(3RC)의 일측에는 그 한 쌍의 제1홀컵(61,61)들과 통하는 냉매배출 매니폴드(37)가 설치되며;
    상기 일체형 플랫 튜브(3)중 좌중앙 플랫 튜브(3LC)의 타측에는 그 한 쌍의 제3홀컵(73,73)과 통하는 냉각수유입 매니폴드(38)가 설치됨과 아울러 우중앙 플랫 튜브(3RC)의 타측에는 그 한 쌍의 제3홀컵(73,73)들과 통하는 냉각수배출 매니폴드(39)가 설치되며;
    상기 일체형 플레이트(5)중 중앙 플레이트(5C)의 제1홀컵(61) 및 제3홀컵(73)은 배플(41,42)에 의하여 차례로 막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열교환기.
KR1019990066669A 1999-12-30 1999-12-30 일체형 열교환기용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열교환기 KR100596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6669A KR100596012B1 (ko) 1999-12-30 1999-12-30 일체형 열교환기용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6669A KR100596012B1 (ko) 1999-12-30 1999-12-30 일체형 열교환기용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열교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9278A true KR20010059278A (ko) 2001-07-06
KR100596012B1 KR100596012B1 (ko) 2006-07-03

Family

ID=19633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6669A KR100596012B1 (ko) 1999-12-30 1999-12-30 일체형 열교환기용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601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0068B1 (ko) * 2000-05-31 2006-10-31 한라공조주식회사 일체형 열교환기
KR100688236B1 (ko) * 2000-05-31 2007-02-28 한라공조주식회사 일체형 열교환기
KR100858094B1 (ko) * 2002-02-27 2008-09-10 한라공조주식회사 열교환 플레이트 및 이것을 이용한 적층형 열교환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5672B2 (ja) * 1988-10-14 1996-08-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半導体装置
KR100353020B1 (ko) * 1993-12-28 2003-01-10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적층형열교환기
KR200276469Y1 (ko) * 1996-12-19 2002-09-13 한라공조주식회사 열교환기
KR100200658B1 (ko) * 1996-12-19 1999-06-15 신영주 일체용 열교환기의 열교환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일체형 열교환기
JP4122578B2 (ja) * 1997-07-17 2008-07-23 株式会社デンソー 熱交換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0068B1 (ko) * 2000-05-31 2006-10-31 한라공조주식회사 일체형 열교환기
KR100688236B1 (ko) * 2000-05-31 2007-02-28 한라공조주식회사 일체형 열교환기
KR100858094B1 (ko) * 2002-02-27 2008-09-10 한라공조주식회사 열교환 플레이트 및 이것을 이용한 적층형 열교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6012B1 (ko) 2006-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9604B1 (en) Heat exchanger for inside/outside air two-passage unit
KR101090225B1 (ko) 열교환기
US5236336A (en) Heat exchanger
US20090151918A1 (en) Heat Exchanger for Automobil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US5355947A (en) Heat exchanger having flow control insert
KR101104276B1 (ko) 열교환기
US6129144A (en) Evaporator with improved heat-exchanger capacity
JP3677922B2 (ja) 空調装置
US9845997B2 (en) Heat exchanger
KR100596012B1 (ko) 일체형 열교환기용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열교환기
JPH0473599A (ja) 熱交換器
KR100640068B1 (ko) 일체형 열교환기
KR100639175B1 (ko) 일체형 열교환기
KR100688236B1 (ko) 일체형 열교환기
JP2001215096A (ja) 熱交換器
KR100350947B1 (ko) 열교환기
KR100639176B1 (ko) 일체형 열교환기를 가진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US5778974A (en) Laminated type heat exchanger having small flow resistance
CN219037682U (zh) 换热装置、换热系统及车辆
KR100858094B1 (ko) 열교환 플레이트 및 이것을 이용한 적층형 열교환기
KR19980055280U (ko) 라디에이터 컨덴서 일체형 열교환기
KR101067248B1 (ko) 열교환기
KR20030029263A (ko) 일체형 열교환기 및 이것을 가진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0833485B1 (ko) 일체형 열교환기
JP2003148833A (ja) 熱交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