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8753A -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호 알림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호 알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8753A
KR20010058753A KR1019990066114A KR19990066114A KR20010058753A KR 20010058753 A KR20010058753 A KR 20010058753A KR 1019990066114 A KR1019990066114 A KR 1019990066114A KR 19990066114 A KR19990066114 A KR 19990066114A KR 20010058753 A KR20010058753 A KR 200100587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or
accessory
incoming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6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4017B1 (ko
Inventor
장재호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90066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4017B1/ko
Publication of KR20010058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8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4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40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호 알림 장치는, 호의 도착을 감지하여 착신호의 도착을 알리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와, 프로세서에서 출력되는 링거 신호의 출력 경로를 제어하는 제 1 스위치와, 외부 장치와 신호를 연결시키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단말기 본체와, 단말기 본체의 커넥터와 하나 이상의 신호 라인을 통하여 연결되며, 제 1 스위치에 커넥터와의 연결 상태를 알리는 신호를 출력하는 액세서리로 구성되어, 제 1 스위치가 액세서리에서 연결 상태를 알리는 신호의 유무에 따라 프로세서에서 출력하는 착신호를 단말기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된 착신호 알림 장치로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커넥터와 액세서리 간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착신호 알림 장치의 구동을 위한 제 1 신호라인과, 액세서리가 커넥터에 연결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제 2 신호 라인이 각각 연결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호 알림 장치는, 단말기에 도착되는 착신호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호 알림 장치{Apparatus for providing call signal in a mobile sta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단말기를 손에 휴대하지 않고 가방과 같은 다른 곳에 보관한 경우, 사용자가 단말기로부터 발생되는 착신호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호 알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급속히 증가함에 따라 단말기의 사용과 관련된 여러 가지 개선할 사항이 많이 노출되고 있다. 그 중 대표적인 예로서, 지하철이나 버스 안과 같이 주변이 시끄러운 경우,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울리는 착신호를 잘 듣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특히, 일부 단말기 사용자들은 자신의 단말기를 핸드백이나 가방 또는 쌕(Sack)에 넣고 다니는 경우가 많다. 이때, 사용자가 현재의 착신호의 음량을 사무실에서 잘 들을 수 있는 음량을 기준으로 설정한 상태라면, 휴대폰의 부저(Buzzer) 또는 스피커(Speaker)를 통하여 울리는 착신호가 주변의 소음 때문에 잘 들리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율은 항상 착신호를 들을 수 있는 상황에서 측정하고 있지만,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결과적으로 수신자가 전화를 받아서 원하는 통화를 할 수 있어야 성공적인 수신으로 간주된다. 즉, 수신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가지고 있지만 착신호를 듣지 못해서 "부재중 전화" 메시지가 표시된다면,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결과적으로 수신에 실패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이상에서 설명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저 또는 스피커의 음량을 크게 높여서 사용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를 초래하여 충전지의 수명을 단축시킨다. 또한, 지하철이나 버스와 같은 한정된 공간에서는 필요 이상의 소음을 발생시키며, 이러한 소음은 그 정도를 넘어서 사회 문제로까지도 인식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착신호는 다른 사람에게는 피해를 주지 않으면서 최소한의 음량으로 휴대폰 사용자에게 정확하게 알리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착신호의 도착을 단말기의 외부에 연결된 액세서리를 통하여 부저 및/또는 표시 장치에 알릴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호 알림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호 알림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MSM 20... 스위치
30... 스위치 40... 부저
50... LED 60... 커넥터
100...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 200... 액세서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호 알림 장치는,
호의 도착을 감지하여 착신호의 도착을 알리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에서 출력되는 링거(ringer) 신호의 출력 경로를 제어하는 제 1 스위치와, 외부 장치와 신호를 연결시키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의 커넥터와 하나 이상의 신호 라인(signalling line)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제 1 스위치에 상기 커넥터와의 연결 상태를 알리는 신호를 출력하는 액세서리로 구성되어,
상기 제 1 스위치가 상기 액세서리에서 상기 연결 상태를 알리는 신호의 유무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에서 출력하는 착신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된 착신호 알림 장치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와 상기 액세서리 간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착신호 알림 장치의 구동을 위한 제 1 신호라인과, 상기 액세서리가 상기 커넥터에 연결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제 2 신호 라인이 각각 연결되는 점에그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를 가방이나 주머니에 보관하는 사용자들에게 부저 또는 표시 장치가 구비된 액세서리를 휴대폰 본체에 연결한 상태에서 자신이 입고 있는 상의 특정 부분 또는 가방 외부에 고정하여서 자신의 단말기에 도착되는 착신호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호 알림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호 알림 장치는, 프로세서(10) 예컨대, MSM과, 상기 MSM(10)에서 출력되는 링거(ringer)신호의 출력 경로를 제어하는 제 1 스위치(20)와, 상기 MSM(10)에서 출력되는 PDM(Pulse Density Modulated) 신호의 출력 경로를 제어하는 제 2 스위치(30)와, 외부 장치와 신호를 연결하는 커넥터(60)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100)와, 상기 단말기 본체 (100)의 커넥터(60)와 하나 이상의 신호 라인(signalling line)(S1~S3)을 통하여 연결되며, 제 1 및 제 2 스위치에 상기 단말기 본체(100)의 커넥터(60)와의 연결 상태를 알리는 신호를 출력하는 액세서리(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100)의 커넥터(60)와 액세서리(200) 간에는 상기 단말기 본체(100)에 구비된 부저(40)의 구동을 위한 제 1 신호라인(S1)과, 상기 액세서리(200)가 상기 단말기 본체(100)의 커넥터(60)에 연결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제 2 신호 라인(S2)과, 상기 단말기 본체(100)의 커넥터(60)와 상기 액세서리(200) 간에 상기 단말기 본체(100)에 구비된 LED(50)의 구동을 위한 제 3 신호라인(S3)이 제공된다. 한편, 제 3 신호라인은 선택적으로 추가 또는 삭제되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100)의 커넥터(60)는 핸즈 프리(Hands Free) 또는 개인용 컴퓨터의 동기용으로 사용되는 PCM(Pulse Code Modulation) 신호 라인과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신호에 부저 출력신호와 액세서리 검출 신호 라인이 각각 추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액세서리(200)에는 착신호를 들려주기 위한 부저 및/또는 착신호의 도착을 깜박거리는 신호로 보여주기 위한 LED가 구비되며, 부저는 컬 코드(Curl Cord) 같은 유선에 의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100)의 커넥터(60)에 연결되어 단말기 본체(100)의 부저(40) 출력단(Ringer Output)에 연결된다.
여기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호 알림 장치에서 착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그 착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100)에서 수신되는 착신호가 검출된다. 이어, 상기 단말기 본체(100)는, 단말기 본체(100)의 커넥터(60)와 부저 및/또는 LED를 구비한 액세서리(200)와의 연결 상태를 판단한다.
이때, 제 1 및 제 2 스위치(20, 30)는 상기 액세서리(200)에서 출력하는 DETECT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커넥터(60)와 액세서리(200)가 서로 연결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단말기 본체(100)에 구비된 부저(40)나 LED(50)를 오프 시키고, 착신호를 제 1 또는 제 3 신호 라인(S1, S3)을 통하여 상기 단말기 본체(100)의 외부에 위치한 액세서리(200)로 전달한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액세서리(200)를 상의에 꽃아 두거나 가방이나 핸드백의 손잡이나 외부에 위치시킬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에 수신되는 착신호를 쉽게 들을 수 있다.
반면,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20, 30)는 상기 액세서리(200)에서 출력되는 DETECT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커넥터(60)와 액세서리(200)가 서로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착신호를 제 1 또는 제 3 신호 라인(S1,S3)을 통하여 상기 단말기 본체(100)의 외부에 위치한 상기 액세서리(200)로 전달하지 않고, 상기 단말기 본체(100)에 구비된 부저(40)나 LED(50)에 제공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호 알림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가방이나 주머니에 보관하는 사용자들에게 부저 또는 표시 장치가 구비된 액세서리를 휴대폰 본체에 연결한 상태에서 자신이 입고 있는 상의 특정 부분 또는 가방 외부에 고정하여서 자신의 단말기에 도착되는 착신호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착신호 알림 방식을 사용함에 따라, 부저의 출력을 높게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충전지의 전체 소비 전류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호의 도착을 감지하여 착신호의 도착을 알리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에서 출력되는 링거(ringer) 신호의 출력 경로를 제어하는 제 1 스위치와, 외부 장치와 신호를 연결시키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의 커넥터와 하나 이상의 신호 라인(signalling line)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제 1 스위치에 상기 커넥터와의 연결 상태를 알리는 신호를 출력하는 액세서리로 구성되어,
    상기 제 1 스위치가 상기 액세서리에서 상기 연결 상태를 알리는 신호의 유무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에서 출력하는 착신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된 착신호 알림 장치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호 알림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와 상기 액세서리 간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착신호 알림 장치의 구동을 위한 제 1 신호라인과, 상기 액세서리가 상기 커넥터에 연결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제 2 신호 라인이 각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호 알림 장치.
KR1019990066114A 1999-12-30 1999-12-30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호 알림 장치 KR100684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6114A KR100684017B1 (ko) 1999-12-30 1999-12-30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호 알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6114A KR100684017B1 (ko) 1999-12-30 1999-12-30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호 알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8753A true KR20010058753A (ko) 2001-07-06
KR100684017B1 KR100684017B1 (ko) 2007-02-20

Family

ID=19633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6114A KR100684017B1 (ko) 1999-12-30 1999-12-30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호 알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40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175B1 (ko) * 2002-03-01 2007-08-03 노키아 코포레이션 무선 단말기와 함께 사용하는 기능성 커버
KR101050152B1 (ko) * 2004-12-16 2011-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외장형 스피커 모듈의 알에스이 성능 개선을 위한 내부케이블 길이 결정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9188A (ko) * 1996-12-31 1998-10-07 유기범 도파관을 이용한 직교편파 변환기
KR19980059188U (ko) * 1997-07-11 1998-10-26 조철호 시각적방법으로 착신을 알려주는 휴대용무선통신단말기와 표시기구
KR20000031280A (ko) * 1998-11-05 2000-06-05 조성재 휴대 이동 통신기의 수신 알림 램프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175B1 (ko) * 2002-03-01 2007-08-03 노키아 코포레이션 무선 단말기와 함께 사용하는 기능성 커버
KR101050152B1 (ko) * 2004-12-16 2011-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외장형 스피커 모듈의 알에스이 성능 개선을 위한 내부케이블 길이 결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4017B1 (ko) 2007-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3218989A (ja) 着信装置
EP1113653A3 (en) Cellular phone system with personalized message recorder reproducer unit
CN101150632A (zh) 通讯装置
KR10068401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호 알림 장치
JP2000124970A (ja) 移動電話端末および報知信号の制御方法
WO2005057888A1 (en) Wireless headset
JP2007259276A (ja) 無線通信通話ユニット
CN201491083U (zh) 一种移动通讯终端
JP2016072644A (ja) 携帯端末
KR200278636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 수신 감지장치
JP3040319U (ja) 痴呆老人用携帯電話機
JP2010041701A (ja) 携帯型着信報知機及びそのシステム
JP2002152078A (ja) 携帯電話機
JPH11150762A (ja) ハンズフリー移動通信システム
JP2003274459A (ja) 電話装置
KR200287141Y1 (ko) 듀얼 마이크 이어폰
JP2001101558A (ja) セキュリティ機能付き高齢者用携帯電話
JPH08317042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KR100489898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통화상태표시장치
JP2000013485A (ja) 携帯電話機用のイヤホンマイク
JP3103834B2 (ja) 携帯電話機用補助着信感知装置
KR200287146Y1 (ko) 듀얼 마이크 이어폰
KR200184857Y1 (ko) 핸드폰 호출기능내장형 이어폰 어댑터
KR20020095819A (ko) 음성안내 기능을 가지는 이어폰식 핸즈프리 장치 및 그 방법
JPH01268242A (ja) 無線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