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5685A - 다마신 공정을 사용한 자기정렬콘택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다마신 공정을 사용한 자기정렬콘택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5685A
KR20010055685A KR1019990056949A KR19990056949A KR20010055685A KR 20010055685 A KR20010055685 A KR 20010055685A KR 1019990056949 A KR1019990056949 A KR 1019990056949A KR 19990056949 A KR19990056949 A KR 19990056949A KR 20010055685 A KR20010055685 A KR 20010055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nitride film
insulating film
substrat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6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상동
서준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56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55685A/ko
Publication of KR20010055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568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109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 H01L21/0211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 H01L21/0212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 H01L21/0212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the material containing Si, O, and at least one of H, N, C, F, or other non-metal elements, e.g. SiOC, SiOC:H or SiONC
    • H01L21/0214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the material containing Si, O, and at least one of H, N, C, F, or other non-metal elements, e.g. SiOC, SiOC:H or SiONC the material being a silicon oxynitride, e.g. SiON or SiON: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97Formation of self-aligned vias or contact plugs, i.e. involving a lithographically uncritical ste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01L27/06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non-repetitive configuration
    • H01L27/0611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non-repetitive configuration integrated circuits having a two-dimensional layout of components without a common active region
    • H01L27/0617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non-repetitive configuration integrated circuits having a two-dimensional layout of components without a common active region comprising components of the field-effect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17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1725Source or drain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 H01L29/41775Source or drain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roximity or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source or drain electrode and the gate electrode, e.g. the source or drain electrode separated from the gate electrode by side-walls or spreading around or above the gate electrode
    • H01L29/41783Raised source or drain electrodes self aligned with the g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568Lateral single gate silicon transistors
    • H01L29/66575Lateral single gate silicon transistors where the source and drain or source and drain extensions are self-aligned to the sides of the g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정렬콘택 형성 방법 중 다마신 공정을 사용하여 자기정렬콘택을 형성하므로 식각 마진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을 개시한다. 반도체 기판 상에 절연막을 증착한 후 다마신 공정으로 비트라인을 형성한다. 다음, 질화막으로 상기 비트라인을 캡핑한 후 상기 절연막을 제거한다. 상기 비트라인과 질화막 측면에 스페이서를 형성한다. 상기 비트라인의 어깨 부위가 질화막과 스페이서에 의해 충분한 두께로 보호받아 후속 식각 공정 중에 상기 비트라인의 노출을 방지하여 준다.

Description

다마신 공정을 사용한 자기정렬콘택 형성 방법{METHOD OF FORMING SELF ALIGNED CONTACT USING DAMASCENE PROCESS}
본 발명은 자기정렬콘택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다마신 공정을 통해 비트라인과 스페이서를 형성하여 자기정렬콘택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메모리가 고집적화, 고용량화 되어가고 있고, 그에 따라 디자인 룰(design rule)도 점점 작아지고 있다.
패턴의 크기가 0.13㎛ 이하의 선폭으로 형성됨에 따라 소자와 소자, 층과 층을 연결하는 콘택홀(contact hole) 크기와 오정렬 마진(misalignment margin)도 함께 감소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자기정렬콘택(SAC:Self Aligned Contact)이 제안되었다. 자기정렬콘택의 장점은 사진 공정에서의 작은 콘택홀 형성에 대한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고, 정렬 마진(alignment margin)이 증가하며, 작은 콘택홀에 비하여 모든 면적을 콘택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콘택저항을 낮출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비트라인을 이용한 자기정렬콘택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 상에 제 1 절연막(110)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절연막(110) 내에 DC(Direct Contact) 콘택 플러그(112)가 형성된다. 상기 DC 콘택 플러그(112) 상에 비트라인(114)이 형성된다. 상기 비트라인(114) 상부표면은 실리콘 질화막(116)으로 캡핑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비트라인(114) 측면에 실리콘 질화막으로 스페이서(spacer, 118)가 형성된다. 이 때, 도 1의 인출기호 130과 140에 보여지듯, 후속으로 형성되는 BC(Buried Contact) 콘택홀 식각 공정시 상기 스페이서(118)가 너무 식각 되어 상기 비트라인 어깨 부위의 상기 스페이서(118)가 상대적으로 얇아지거나 노출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BC 콘택 플러그를 자기정렬콘택 공정으로 형성할 때, 상기 비트라인(114) 어깨 부위에 노출된 비트라인(114)과 상기 BC 콘택 플러그가단락(short)되어 불량을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마신 공정으로 비트라인을 형성하여 BC 자기정렬콘택시 정렬 마진과 식각 마진을 확보할 수 있는 자기정렬콘택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방법으로 형성된 비트라인에서 자기정렬콘택시 문제점을 보여주는 단면도; 및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정렬콘택 형성 방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 : 제 1 절연막 212 : 제 1 질화막
214 : DC 콘택 플러그 216 : 제 2 절연막
218 : 배리어 금속막 220 : 금속막
222 : 제 2 질화막 224 : 제 3 질화막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마신 공정을 사용한 자기정렬콘택 형성 방법은 반도체 기판 상에 제 1 절연막과 제 1 질화막을 차례로 증착한다. 사진 공정을 통해 상기 제 1 질화막과 제 1 절연막을 내에 콘택 플러그를 형성한다. 상기 기판 전면에 제 2 절연막을 증착한다. 사진 공정을 통해 상기 콘택 플러그가 노출되도록 상기 제 2 절연막을 식각하여 개구부를 형성한다. 상기 개구부 내벽을 포함하여 상기 기판 전면에 배리어 금속막을 증착한다. 상기 기판 전면에 금속막을 증착한다. 상기 금속막과 배리어 금속막을 에치백 공정으로 식각하되, 상기 개구부 깊이의 소정 깊이까지 식각한다. 상기 기판 전면에 제 2 실리콘 질화막을 증착한다. 상기 제 2 절연막 상부 표면이 노출될 때까지 상기 제 2 질화막을 에치백 공정으로 식각한다. 상기 제 2 절연막을 제거한다. 상기 기판 전면에 제 3 질화막을 증착한다. 상기 제 3 질화막을 에치백하여 상기 제 2 질화막과 배리어 금속막 측면에 스페이서를 형성한다.
(실시예)
도 2a 내지 도 2e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신규한 자기정렬콘택 형성 방법은 다마신 공정을 이용하여 비트라인과 상부 캡핑막을 형성한 후 그 측면에 스페이서를 형성한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마신 공정을 사용한 자기정렬콘택 형성 방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트랜지스터가 형성된 반도체 기판 상에 제 1 절연막(210)이 증착된다. 상기 트랜지스터는 소오스/드레인 영역(도면에 미도시)과 게이트 전극(도면에 미도시)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절연막(210)은 APCVD(Atmospheric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 방식에 의해 O3-TEOS USG(Undoped Silicate Glass) 또는 BPSG(Boron Phosphorus Silicate Glass)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절연막(210) 상에 제 1 질화막(212)이 증착된다. 상기 제 1 질화막(212)은 실리콘 질화막 또는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로 형성된다. 사진 공정을 통해 상기 소오스/드레인 영역이 노출될 때까지 상기 제 1 질화막(212)과 제 1 절연막(210)이 식각된 후 폴리실리콘 내지 도핑된 폴리실리콘으로 채워지므로 DC(Direct Contact) 콘택 플러그(214)가 형성된다. 상기 기판 전면에 제 2 절연막(216)이 증착된다. 상기 제 2 절연막(216)은 USG, BPSG, SOG(Spin On Glass) 등으로 형성된다. 사진 공정을 통해 상기 DC 콘택 플러그(214)가 노출될 때까지 상기 제 2 절연막(216)이 식각되어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기판 전면에 배리어(barrier) 금속막(218)이 증착된다. 상기 배리어 금속막(218)은 Ti, TiN 같은 단일막 내지 Ti/TiN, Ti/TiW와 같은 이중막 등으로 형성된다. 상기 배리어 금속막(218)은 상기 DC 콘택플러그(214)와 후속으로 형성되는 비트라인(bit line) 사이에 일어나는 문제들, 즉, 접합 스파이킹(junction spiking), 실리콘 노쥴(silicon nodule) 등의 문제들을 방지하여 콘택 저항을 낮춰주고 접합 누설(junction leakage)을 방지하여 준다.
상기 배리어 금속막(218)은 상기 DC 콘택 플러그, 제 1 질화막 및 제 2 절연막(214, 212, 216) 표면에 수 백 Å 정도의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 기판 전면에 상기 제 2 절연막(216)이 덮여지도록 금속막(220)이 증착된다. 상기 금속막(220)은 CVD 방식에 의한 알루미늄(Al), 텅스텐(W) 등으로 형성된다.
도 2b를 참조하면, 엔드 포인트(end point)를 잡고 에치백(etch back) 공정을 사용하여 상기 제 2 절연막(216)의 상부 표면이 노출될 때까지 상기 금속막과 배리어 금속막(220, 218)이 식각된다. 다음, 상기 금속막과 배리어 금속막(220, 218)의 식각율(etch rate)을 사용하여 에치백 공정을 더 수행하여 상기 금속막과 배리어 금속막(220, 218)이 상기 제 2 절연막(216) 상부 표면 아래로 일정량 더 식각된다. 이 때, 상기 금속막과 배리어 금속막(220, 218)은 상기 제 2 절연막(216) 높이의 30% 내지 50% 범위에 해당되는 깊이 만큼 식각된다. 그리고,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에치백 공정으로 인해 상기 금속막(220)은 가운데 부분이 가장자리보다 더 식각되어 라운드(round) 형태를 이룬다. 이로써, 상기 개구부 내의 상기 DC 콘택 플러그(214) 상에 비트라인(220)이 형성된다. 상기 기판 전면에 상기 제 2 절연막(216)이 덮여지도록 제 2 질화막(222)이 증착된다. 상기 제 2 질화막(222)은 실리콘 질화막 또는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로 형성된다.
도 2c를 참조하면, 에치백 공정을 통해 상기 제 2 절연막(216)의 상부 표면이 노출될 때까지 상기 제 2 질화막(222)이 식각된다. 이때, 에치백 공정으로 인해 상기 제 2 질화막(222)의 가운데 부분이 가장자리보다 더 식각되어 라운드 형태를 이룬다. 이로써, 상기 비트라인(220)이 제 2 질화막으로 캡핑(capping)된다. 그리고, 상기 금속막(220)과 상기 제 2 질화막(222)의 두께 비율은 1:1 내지 7:3으로 유지된다.
도 2d를 참조하면, 습식 식각 공정을 통해 상기 제 2 절연막(216)이 제거된다. 상기 습식 식각은 DHF 또는 NH4F, HF 혼합용액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도 2e를 참조하면, 상기 기판 전면에 제 3 질화막(224)이 증착된다. 상기 제 3 질화막(224)은 실리콘 질화막 또는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로 형성된다. 에치백 공정을 통해 상기 제 3 질화막(224)이 식각되어 상기 비트라인과 제 2 질화막(222) 측면에 스페이서(spacer, 224)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하므로 상기 비트라인(220) 어깨(shoulder) 부위가 제 2, 제 3 질화막(222, 224)으로 충분히 두껍게 캡핑된다. 이후, BC(Buried Contact) 자기정렬콘택이 형성될 때, 상기 제 2, 제 3 질화막(212, 224)에 의해 충분한 식각 마진(etch margin)이 확보되어 상기 비트라인(2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마신 공정으로 비트라인을 형성하고 그 측면에 스페이서를 형성하므로 자기정렬콘택시 정렬 마진을 확보할 수 있고 스페이서 어깨를 충분히 두껍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식각 마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반도체 기판 상에 제 1 절연막과 제 1 질화막을 차례로 증착하는 단계;
    사진 공정을 통해 상기 제 1 질화막과 제 1 절연막을 내에 콘택 플러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판 전면에 제 2 절연막을 증착하는 단계;
    사진 공정을 통해 상기 콘택 플러그가 노출되도록 상기 제 2 절연막을 식각하여 개구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개구부 내벽을 포함하여 상기 기판 전면에 배리어 금속막을 증착하는 단계;
    상기 기판 전면에 금속막을 증착하는 단계;
    상기 금속막과 배리어 금속막을 에치백 공정으로 식각하되, 상기 개구부 내의 소정 깊이까지 식각하는 단계;
    상기 기판 전면에 제 2 실리콘 질화막을 증착하는 단계;
    상기 제 2 절연막 상부 표면이 노출될 때까지 상기 제 2 질화막을 에치백 공정으로 식각하는 단계;
    상기 제 2 절연막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질화막과 배리어 금속막 측면에 제 3 질화막을 사용하여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기정렬콘택 형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 내의 소정 깊이는 상기 개구부 전체 높이의 30% 내지 50% 범위로 정하는 자기정렬콘택 형성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질화막은 실리콘 질화막 및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중 하나로 형성하는 자기정렬콘택 형성 방법.
KR1019990056949A 1999-12-11 1999-12-11 다마신 공정을 사용한 자기정렬콘택 형성 방법 KR200100556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949A KR20010055685A (ko) 1999-12-11 1999-12-11 다마신 공정을 사용한 자기정렬콘택 형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949A KR20010055685A (ko) 1999-12-11 1999-12-11 다마신 공정을 사용한 자기정렬콘택 형성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685A true KR20010055685A (ko) 2001-07-04

Family

ID=19625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6949A KR20010055685A (ko) 1999-12-11 1999-12-11 다마신 공정을 사용한 자기정렬콘택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5568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82199B2 (en) 2002-08-23 2006-0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Bitline of semiconductor device having stud type capping laye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0866706B1 (ko) * 2002-07-19 2008-11-0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소자의 형성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706B1 (ko) * 2002-07-19 2008-11-0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소자의 형성방법
US6982199B2 (en) 2002-08-23 2006-0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Bitline of semiconductor device having stud type capping laye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7473954B2 (en) 2002-08-23 2009-01-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Bitline of semiconductor device having stud type capping laye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8368B1 (en) Method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an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storage node contact flugs
KR100431656B1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US6881659B2 (en) Methods of forming self-aligned contact structures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US8680595B2 (en) Sleeve insulators and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the same
US5936272A (en) DRAM transistor cells with a self-aligned storage electrode contact
US6316803B1 (en) Integrated circuit memory devices having self-aligned contact
US6100137A (en) Etch stop layer used for the fabrication of an overlying crown shaped storage node structure
US6589837B1 (en) Buried contact structure i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6235593B1 (en) Self aligned contact using spacers on the ILD layer sidewalls
JP2002280452A (ja) 効果的に短絡を防止できる集積回路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168606B1 (ko) 반도체 장치의 배선 구조물 및 이의 형성 방법
US6136695A (en) Method for fabricating a self-aligned contact
US6501140B2 (en) Transistor structures
JPH1187529A (ja) 集積回路コンタクト
US6248636B1 (en) Method for forming contact holes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20010055685A (ko) 다마신 공정을 사용한 자기정렬콘택 형성 방법
KR20010011639A (ko) 반도체장치의 자기정렬 콘택 플러그 형성방법
KR20010046663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캐패시터 하부전극용 배리드 콘택홀형성방법
KR20010011640A (ko) 반도체 장치의 플러그폴리 형성방법
KR100504949B1 (ko) 커패시터의 저장 전극 형성 방법
KR100589498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JPH0786426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721189B1 (ko) 디램 셀 트랜지스터 제조 방법
KR20000009277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콘택홀 형성방법
KR20040059924A (ko) 디램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