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4190A - Wll 시스템에서의 v5.2 링크 프로토콜을 이용한 링크제어메시지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Wll 시스템에서의 v5.2 링크 프로토콜을 이용한 링크제어메시지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054190A KR20010054190A KR19990054867A KR19990054867A KR20010054190A KR 20010054190 A KR20010054190 A KR 20010054190A KR 19990054867 A KR19990054867 A KR 19990054867A KR 19990054867 A KR19990054867 A KR 19990054867A KR 20010054190 A KR20010054190 A KR 2001005419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nk
- control message
- link control
- protocol
- processor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WLL 시스템에서의 V5.2 링크 프로토콜을 이용한 링크 제어메시지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WLL 교환기에서 V5.2 프로토콜을 통해 링크 제어메시지를 해당 가입자 장치로 전송한 후, 해당 가입자 장치로 부터 링크제어 응답메시지을 수신받았을 때에만 다음번째의 링크 제어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WLL 시스템에서의 V5.2 링크 프로토콜을 이용한 링크 제어메시지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WLL 시스템에서의 링크 프로토콜을 이용한 링크 제어메시지 제어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WLL 교환기가 링크 제어메시지를 해당 가입자 장치로 전송할 때, 링크제어 응답메시지의 수신여부에 따라 순서적으로 링크 제어메시지를 다수개의 가입자 장치로 전송해 줌으로써, 링크 제어메시지의 유지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이로인해 링크 제어메시지 유실현상을 예방할 수 있어서 시스템 안정화가 가능해 진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WLL(Wireless Local Loop; 이하 WLL이라 칭함.) 시스템(System)에서의 V5.2 링크(Link) 프로토콜(Protocol)을 이용한 링크 제어메시지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WLL 교환기에서 V5.2 프로토콜을 통해 링크 제어메시지를 해당 가입자 장치로 전송한 후, 해당 가입자 장치로 부터 링크제어 응답메시지을 수신받았을 때에만 다음번째의 링크 제어메시지를 전송하도록제어하는 WLL 시스템에서의 V5.2 링크 프로토콜을 이용한 링크 제어메시지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WLL 시스템에서의 V5.2 링크 프로토콜을 이용한 링크 제어메시지 송/수신방법은 다수개의 가입자 장치로부터 호가 시도되면, WLL 교환기는 호처리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링크 제어메시지를 생성한 후 해당 가입자 장치로 송신한다. 그러면, 해당 가입자 장치는 WLL 교환기에서 송신한 링크 제어메시지를 수신받은 후, 링크제어 응답메시지를 다시 WLL 교환기로 송신해 준다. 따라서, WLL 교환기와 해당 가입자 장치간의 호처리용 링크가 개통되게 되어 호처리 동작이 정상적으로 수행되게 된다.
그러나, 종래 WLL 시스템에서의 V5.2 링크 프로토콜을 이용한 링크 제어메시지 제어방법으로는 호가 시도되면 링크제어 응답메시지의 수신여부와 상관없이 WLL 교환기가 무조건 링크 제어메시지를 해당 가입자 장치로 송신해 줌으로써, 링크 제어메시지를 효율적으로 유지관리하기가 어려웠고, 이로인해 링크 제어메시지가 유실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시스템이 불안정해 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링크 제어메시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해 줌으로 링크 제어메시지가 유실되지 않도록 해주고, 이로인해 정상적인 호처리 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해주는 WLL 시스템에서의 V5.2 링크 프로토콜을 이용한 링크 제어메시지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WLL 시스템에서의 V5.2 링크 프로토콜을 이용한 링크 제어메시지 제어장치는, 호시도시 링크 제어메시지를 전송하는 WLL 교환기와, 상기 WLL 교환기에서 전송한 링크 제어메시지를 제어국 및 기지국을 통해 수신받은 후 링크응답 제어메시지를 상기 WLL 교환기로 전송하는 다수개의 가입자 장치를 구비한 WLL 시스템에서의 V5.2 링크 프로토콜을 이용한 링크 제어메시지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WLL 교환기는 호가 시도되면 호처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호처리용 챠일드 프로세서를 생성하는 호처리 프로세서와; 상기 호처리 프로세서에서 호처리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링크 제어메시지를 생성하고 V5.2 링크 관리테이블, 링크제어메시지 저장테이블 및 미사용 큐 관리테이블에 의해 상기 링크 제어메시지의 송/수신 동작을 관리하는 링크 프로토콜 처리부와; 상기 링크 프로토콜 처리부에서 링크 제어메시지를 수신받아 E1 링크를 통해 목적지로 전송하는 한편 외부로부터 E1 링크를 통해 링크제어 응답메시지를 수신받으면 상기 링크 프로토콜 처리부로 전송하는 레벨2 프로토콜 처리부로 구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가입자 장치는 상기 WLL 교환기내에 장착된 링크 프로토콜 처리부에서 링크 제어메시지를 수신받아, 해당 링크의 연결을 승락한다는 링크제어응답메시지를 다시 상기 링크 프로토콜 처리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WLL 시스템에서의 V5.2 링크 프로토콜을 이용한 링크 제어메시지 제어방법은, 호처리 프로세서가 외부로 부터 호가 시도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외부로 부터 호가 시도되면 상기 호처리 프로세서가 호처리 제어신호를 링크 프로토콜 처리부로 전송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링크 프로토콜 처리부가 호처리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링크 제어메시지를 생성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링크 프로토콜 처리부가 V5.2 링크 관리테이블내의 링크송신상태 표시영역 및 큐카운트 영역을 통해 해당 V5.2 엔티티의 전송상태가 전송불가 상태인지, 전송대기 상태인지, 아니면 전송가능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제 4 단계에서 해당 V5.2 엔티티의 전송상태가 전송대기 상태이면 상기 링크 프로토콜 처리부가 미사용 큐 관리테이블의 정보를 통해 링크제어메시지 저장테이블내에서 미사용중인 최초의 큐를 선택하는 제 5 단계와; 상기 링크 프로토콜 처리부가 해당 V5.2 엔티티에서 생성한 링크제어메시지를 링크제어메시지 저장테이블내의 미사용중인 큐에 저장하는 제 6 단계와; 상기 링크 프로토콜 처리부가 링크제어메시지 저장테이블에 저장시킨 링크 제어메시지의 첫지점(Front)과 끝지점(End)을 V5.2 링크 관리테이블의 큐프론트 표시영역 및 큐엔드 표시영역에 저장시킨 후, 큐카운트 영역에 저장된 큐카운트값을 "1"카운트 증가시키는 제 7 단계와; 상기 링크 프로토콜 처리부가 링크제어 응답메시지의 수신여부를 판단하는 제 8 단계와; 상기 제 8 단계에서 링크제어 응답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다시 상기 제 1 단계로 진행하는 한편, 링크제어 응답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링크 프로토콜처리부가 링크제어메지시 저장테이블에 저장된 다수개의 링크 제어메시지중에서 최초의 인덱스값에 해당하는 링크 제어메시지를 리드하여 해당 가입자 장치로 전송하는 제 9 단계와; 상기 링크 프로토콜 처리부가 V5.2 링크 관리테이블의 큐프론트 표시영역 및 큐엔드 표시영역에 저장된 링크 제어메시지의 첫지점(Front)과 끝지점(End)을 변경시키는 동시에 큐카운트 영역에 저장된 큐카운트값을 "1"카운트 감소시킨 후 리턴하는 제 10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WLL 시스템에서의 V5.2 링크 프로토콜을 이용한 링크 제어메시지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블록도,
도 2는 도 1에 따른 WLL 시스템에서의 V5.2 링크 프로토콜을 이용한 링크 제어메시지 제어장치에서 L3 프로토콜 처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V5.2 링크 관리테이블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따른 WLL 시스템에서의 V5.2 링크 프로토콜을 이용한 링크 제어메시지 제어장치에서 L3 프로토콜 처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미사용 큐 관리테이블 및 링크제어메시지 저장테이블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에 따른 WLL 시스템에서의 V5.2 링크 프로토콜을 이용한 링크 제어메시지 제어장치내 WLL 교환기에서 송신하는 링크 제어메시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에 따른 WLL 시스템에서의 V5.2 링크 프로토콜을 이용한 링크 제어메시지 제어장치내 WLL 교환기에서 송신하는 링크제어 응답메시지의 구성을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WLL 시스템에서의 V5.2 링크 프로토콜을 이용한 링크 제어메시지 제어방법을 나타낸 동작플로우챠트,
도 7은 도 6에 따른 WLL 시스템에서의 V5.2 링크 프로토콜을 이용한 링크 제어메시지 제어방법에서 WLL 교환기와 단말기간의 링크 제어메시지 전송흐름을 나타낸 신호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WLL 교환기 110 : 호처리 프로세서
120 : 링크 프로토콜 처리부 130 : 레벨2 프로토콜 처리부
200 : 가입자 장치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WLL 시스템에서의 V5.2 링크 프로토콜을 이용한 링크 제어메시지 제어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WLL 시스템에서의 V5.2 링크 프로토콜을 이용한 링크 제어메시지 제어장치의 기능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WLL 시스템에서의 V5.2 링크 프로토콜을 이용한 링크 제어메시지 제어장치에서 L3 프로토콜 처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V5.2 링크 관리테이블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따른 WLL 시스템에서의 V5.2 링크 프로토콜을 이용한 링크 제어메시지 제어장치에서 L3 프로토콜 처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미사용 큐 관리테이블 및 링크제어메시지 저장테이블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WLL 시스템에서의 V5.2 링크 프로토콜을 이용한 링크 제어메시지 제어장치는 호처리 프로세서(110), 링크 프로토콜 처리부(120) 및 레벨2 프로토콜 처리부(130)를 구비한 WLL 교환기(100)와, 다수개의 가입자 장치(2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WLL 교환기(100)내에 장착된 호처리 프로세서(110)는 호가 시도되면 호처리 제어신호를 상기 링크 프로토콜 처리부(120)로 출력하는 동시에, 호처리용 챠일드 프로세서를 생성하여 호처리 동작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WLL 교환기(100)내에 장착된 링크 프로토콜 처리부(120)는 다수개의 E1 링크를 각각 관리해 주는 다수개의 V5.2 엔티티(Entity)(121)로 구성되어 해당 E1 링크를 관리해 주는 프로세서로서, 상기 호처리 프로세서(110)에서 호처리 제어신호를 출력하면 이를 입력받아 링크 제어메시지를 생성하고, 자신의 내부에 저장된 V5.2 링크 관리테이블, 링크제어메시지 저장테이블 및 미사용 큐 관리테이블을 통해 링크 제어메시지를 관리해 줌으로 해당 가입자 장치(200)로 링크 제어메시지를 송신한 후 해당 가입자 장치(200)로 부터 링크제어 응답메시지를 수신받지 않으면 다음 링크 제어메시지를 해당 가입자 장치(200)로 송신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링크 프로토콜 처리부(120)가 관리하는 V5.2 링크 관리테이블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다수개의 V5.2 엔티티(121) 고유값을 저장하는 V5.2 엔티티 표시영역과, 상기 다수개의 V5.2 엔티티(121)별 링크 제어메시지 전송상태가 어떤 상태인지를 표시해 주는 링크전송상태 표시영역과, 상기 다수개의 V5.2 엔티티(121)별 전송 대기중인 링크 제어메시지의 첫번째 지점을 표시해 주는 큐프론트(Queue Front) 표시영역과, 상기 다수개의 V5.2 엔티티(121)별 전송 대기중인 링크 제어메시지의 마지막번째 지점을 표시해 주는 큐엔드(Queue End) 표시영역과, 상기 다수개의 V5.2 엔티티(121)별 전송 대기중인 링크 제어메시지가 몇개 존재하는지를 표시해 주는 큐카운트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링크 프로토콜 처리부(120)가 관리하는 링크제어메시지 저장테이블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장영역의 순서를 표시하는 인덱스 영역과, 상기 다수개의 V5.2 엔티티(121)중에서 링크 제어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대기중인 V5.2 엔티티(121)의 고유값을 저장하는 V5.2 엔티티 영역과, 해당 V5.2 엔티티(121)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링크 제어메시지의 링크 제어함수값을 저장하는 링크제어함수 영역과, 해당 V5.2 엔티티(121)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링크 제어메시지의 L3 어드레스를 저장하는 L3 어드레스 영역과, 해당 V5.2 엔티티(121)와 동일한 고유값을 가지는 V5.2 엔티티(121)가 저장되어 있는 인덱스값을 저장하는 넥스트인덱스(Next Index)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링크 프로토콜 처리부(120)가 관리하는 미사용 큐 관리테이블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링크제어메시지 저장테이블중에서 미사용중인 최초 큐의 인덱스값을 저장하는 미사용 프론트 영역과, 상기 링크제어메시지 저장테이블중에서 미사용중인 마지막 큐의 인덱스값을 저장하는 미사용 엔드 영역과, 상기 링크제어메시지 저장테이블중에서 미사용중인 큐의 총갯수를 저장하는 미사용 총갯수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WLL 교환기(100)내에 장착된 레벨2 프로토콜 처리부(130)는 상기 링크 프로토콜 처리부(120)에서 링크 제어메시지를 수신받으면 E1 링크를 통해 해당 가입자 장치(200)로 전송하는 한편, 해당 가입자 장치(200)로 부터 E1 링크를 통해 링크제어 응답메시지를 수신받으면 그 응답메시지를 상기 링크 프로토콜 처리부(12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다수개의 가입자 장치(200)는 가입자 처리를 담당하는 네트워크 장비로서, 상기 링크 프로토콜 처리부(120)에서 링크 제어메시지를 수신받으면, 해당 링크의 연결을 승락한다는 링크제어 응답메시지를 다시 상기 링크 프로토콜 처리부(12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WLL 시스템에서의 V5.2 링크 프로토콜을 이용한 링크 제어메시지 제어장치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WLL 시스템에서의 V5.2 링크 프로토콜을 이용한 링크 제어메시지 제어장치내 WLL 교환기에서 송신하는 링크 제어메시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링크 제어메시지는 프로토콜 식별영역, L3 어드레스영역, 메시지 타입영역 및 링크제어 함수영역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WLL 시스템에서의 V5.2 링크 프로토콜을 이용한 링크 제어메시지 제어장치내 WLL 교환기에서 송신하는 링크제어 응답메시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링크제어 응답메시지는 프로토콜 식별영역, L3 어드레스영역, 메시지 타입영역 및 링크제어 함수영역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WLL 시스템에서의 V5.2 링크 프로토콜을 이용한 링크 제어메시지 제어방법을 나타낸 동작플로우챠트로서 여기서S는 스텝(STEP)을 나타내며, 도 7은 도 6에 따른 WLL 시스템에서의 V5.2 링크 프로토콜을 이용한 링크 제어메시지 제어방법에서 WLL 교환기와 단말기간의 링크 제어메시지 전송흐름을 나타낸 신호흐름도이다.
먼저, 상기 WLL 교환기(100)와 다수개의 가입자 장치(200)간 데이터 통신과정은 상기 WLL 교환기(100)에서 송신한 메시지는 제어국 및 기지국을 거쳐 상기 다수개의 가입자 장치(200)로 전송되는 한편, 상기 다수개의 가입자 장치(200)에서 송신한 메시지는 기지국 및 제어국을 거쳐 상기 WLL 교환기(100)로 전송되는 과정을 거치지만, 하기설명에서는 편의상 기지국과 제어국의 과정을 생략하기로 한다.
최초로, 상기 WLL 교환기(100)내에 장착된 호처리 프로세서(110)는 다수개의 가입자 장치(200)로 부터 호가 시도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
이때, 상기 제 1 단계(S1)에서 외부로 부터 호가 시도되지 않으면(NO), 상기 링크 프로토콜 처리부(120)는 제 8 단계(S8)로 진행하는 한편, 상기 제 1 단계(S1)에서 외부로 부터 호가 시도되면(YES) 상기 호처리 프로세서(110)는 호처리 제어신호를 상기 링크 프로토콜 처리부(120)내의 해당 V5.2 엔티티(121)로 전송한다(S2).
그러면, 상기 링크 프로토콜 처리부(120)내의 해당 V5.2 엔티티(121)는 상기 호처리 프로세서(100)에서 출력한 호처리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링크 제어메시지를 생성한다(S3).
그런후, 상기 링크 프로토콜 처리부(12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V5.2 링크 관리테이블내의 링크송신상태 표시영역 및 큐카운트 영역을 통해 해당 V5.2 엔티티(121)의 전송상태가 전송불가 상태인지, 전송대기 상태인지, 아니면 전송가능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 이때, 상기 V5.2 링크 관리테이블내의 링크송신상태 표시영역에 "LE0"가 기재되어 있으면 해당 V5.2 엔티티(121)의 전송상태는 전송불가 상태를 나타내고, 상기 V5.2 링크 관리테이블내의 링크송신상태 표시영역에는 "LE1"이 기재되어 있는 동시에 큐카운트 영역에는 "0"카운트가 기재되어 있으면 해당 V5.2 엔티티(121)의 전송상태는 전송가능 상태를 나타내며, 상기 V5.2 링크 관리테이블내의 링크송신상태 표시영역에는 "LE2"이 기재되어 있는 동시에 큐카운트 영역에 기재된 카운트값이 "0"카운트가 아니면 해당 V5.2 엔티티(121)의 전송상태는 전송대기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상기 제 4 단계(S4)에서 해당 V5.2 엔티티(121)의 전송상태가 전송대기 상태이면 상기 링크 프로토콜 처리부(12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미사용 큐 관리테이블의 정보를 통해 링크제어메시지 저장테이블내에서 미사용중인 최초의 큐를 선택한다(S5).
그런후, 상기 링크 프로토콜 처리부(120)는 해당 V5.2 엔티티(121)에서 생성한 링크제어메시지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링크제어메시지 저장테이블내의 미사용중인 큐에 저장한다(S6).
이어서, 상기 링크 프로토콜 처리부(120)는 링크제어메시지 저장테이블에 저장시킨 링크 제어메시지의 첫지점(Front)과 끝지점(End)을 V5.2 링크 관리테이블의 큐프론트 표시영역 및 큐엔드 표시영역에 저장시킨 후, 큐카운트 영역에 저장된 큐카운트값을 "1"카운트 증가시킨다(S7).
한편, 상기 링크 프로토콜 처리부(120)는 해당 가입자 장치(200)로 부터 링크제어 응답메시지의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8).
이때, 상기 제 8 단계(S8)에서 링크제어 응답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NO) 상기 링크 프로토콜 처리부(120)는 다시 상기 제 1 단계(S1)로 진행하는 한편, 링크제어 응답메시지가 수신되면(YES) 상기 링크 프로토콜 처리부(120)는 링크제어메지시 저장테이블에 저장된 다수개의 링크 제어메시지중에서 최초의 인덱스값에 해당하는 링크 제어메시지를 리드하여 해당 가입자 장치(200)로 전송한다(S9).
그런후, 상기 링크 프로토콜 처리부(120)는 V5.2 링크 관리테이블의 큐프론트 표시영역 및 큐엔드 표시영역에 저장된 링크 제어메시지의 첫지점(Front)과 끝지점(End)을 변경시키는 동시에 큐카운트 영역에 저장된 큐카운트값을 "1"카운트 감소시킨 후 리턴한다(S10).
한편, 상기 제 4 단계(S4)에서 해당 V5.2 엔티티(121)의 전송상태가 전송불가 상태이면, 상기 링크 프로토콜 처리부(120)는 전송에러처리를 수행한 후 종료한다(S11).
또한, 상기 제 4 단계(S4)에서 해당 V5.2 엔티티(121)의 전송상태가 전송가능 상태이면, 상기 링크 프로토콜 처리부(120)는 링크 제어메시지를 해당 가입자 장치(200)로 전송한 후, 다시 상기 제 8 단계(S8)로 진행한다(S12).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WLL 시스템에서의 링크 프로토콜을 이용한 링크 제어메시지 제어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WLL 교환기가 링크 제어메시지를 해당 가입자 장치로 전송할 때, 링크제어 응답메시지의 수신여부에 따라 순서적으로 링크 제어메시지를 다수개의 가입자 장치로 전송해 줌으로써, 링크 제어메시지의 유지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이로인해 링크 제어메시지 유실현상을 예방할 수 있어서 시스템 안정화가 가능해 진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9)
- 호시도시 링크 제어메시지를 전송하는 WLL 교환기와, 상기 WLL 교환기에서 전송한 링크 제어메시지를 제어국 및 기지국을 통해 수신받은 후 링크응답 제어메시지를 상기 WLL 교환기로 전송하는 다수개의 가입자 장치를 구비한 WLL 시스템에서의 V5.2 링크 프로토콜을 이용한 링크 제어메시지 제어장치에 있어서,상기 WLL 교환기는 호가 시도되면 호처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호처리용 챠일드 프로세서를 생성하는 호처리 프로세서와; 상기 호처리 프로세서에서 호처리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링크 제어메시지를 생성하고 V5.2 링크 관리테이블, 링크제어메시지 저장테이블 및 미사용 큐 관리테이블에 의해 상기 링크 제어메시지의 송/수신 동작을 관리하는 링크 프로토콜 처리부와; 상기 링크 프로토콜 처리부에서 링크 제어메시지를 수신받아 E1 링크를 통해 목적지로 전송하는 한편 외부로부터 E1 링크를 통해 링크제어 응답메시지를 수신받으면 상기 링크 프로토콜 처리부로 전송하는 레벨2 프로토콜 처리부로 구성되고,상기 다수개의 가입자 장치는 상기 WLL 교환기내에 장착된 링크 프로토콜 처리부에서 링크 제어메시지를 수신받아, 해당 링크의 연결을 승락한다는 링크제어 응답메시지를 다시 상기 링크 프로토콜 처리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LL 시스템에서의 V5.2 링크 프로토콜을 이용한 링크 제어메시지 제어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링크 프로토콜 처리부는 다수개의 E1 링크를 각각 관리해 주는 다수개의 V5.2 엔티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WLL 시스템에서의 V5.2 링크 프로토콜을 이용한 링크 제어메시지 제어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링크 프로토콜 처리부내에 저장된 V5.2 링크 관리테이블은, 상기 다수개의 V5.2 엔티티 고유값을 저장하는 V5.2 엔티티 표시영역과; 상기 다수개의 V5.2 엔티티별 링크 제어메시지 전송상태가 어떤 상태인지를 표시해 주는 링크전송상태 표시영역과; 상기 다수개의 V5.2 엔티티별 전송 대기중인 링크 제어메시지의 첫번째 지점을 표시해 주는 큐프론트 표시영역과; 상기 다수개의 V5.2 엔티티별 전송 대기중인 링크 제어메시지의 마지막번째 지점을 표시해 주는 큐엔드 표시영역과; 상기 다수개의 V5.2 엔티티별 전송 대기중인 링크 제어메시지가 몇개 존재하는지를 표시해 주는 큐카운트 영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WLL 시스템에서의 V5.2 링크 프로토콜을 이용한 링크 제어메시지 제어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링크 프로토콜 처리부내에 저장된 링크제어메시지 저장테이블은, 저장영역의 순서를 표시하는 인덱스 영역과; 상기 다수개의 V5.2 엔티티중에서 링크 제어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대기중인 V5.2 엔티티의 고유값을 저장하는 V5.2 엔티티 영역과; 해당 V5.2 엔티티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링크 제어메시지의 링크 제어함수값을 저장하는 링크제어함수 영역과; 해당 V5.2 엔티티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링크 제어메시지의 L3 어드레스를 저장하는 L3 어드레스 영역과; 해당 V5.2 엔티티와 동일한 고유값을 가지는 V5.2 엔티티가 저장되어 있는 인덱스값을 저장하는 넥스트인덱스 영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WLL 시스템에서의 V5.2 링크 프로토콜을 이용한 링크 제어메시지 제어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링크 프로토콜 처리부내에 저장된 미사용 큐 관리테이블은, 상기 링크제어메시지 저장테이블중에서 미사용중인 최초 큐의 인덱스값을 저장하는 미사용 프론트 영역과; 상기 링크제어메시지 저장테이블중에서 미사용중인 마지막 큐의 인덱스값을 저장하는 미사용 엔드 영역과; 상기 링크제어메시지 저장테이블중에서 미사용중인 큐의 총갯수를 저장하는 미사용 총갯수 영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WLL 시스템에서의 V5.2 링크 프로토콜을 이용한 링크 제어메시지 제어장치.
- 호처리 프로세서가 외부로 부터 호가 시도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외부로 부터 호가 시도되면 상기 호처리 프로세서가 호처리 제어신호를 링크 프로토콜 처리부로 전송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링크 프로토콜 처리부가 호처리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링크 제어메시지를 생성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링크 프로토콜 처리부가 V5.2 링크 관리테이블내의 링크송신상태 표시영역 및 큐카운트 영역을 통해 해당 V5.2 엔티티의 전송상태가 전송불가 상태인지, 전송대기 상태인지, 아니면 전송가능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제 4 단계에서 해당 V5.2 엔티티의 전송상태가 전송대기 상태이면 상기 링크 프로토콜 처리부가 미사용 큐 관리테이블의 정보를 통해 링크제어메시지 저장테이블내에서 미사용중인 최초의 큐를 선택하는 제 5 단계와; 상기 링크 프로토콜 처리부가 해당 V5.2 엔티티에서 생성한 링크제어메시지를 링크제어메시지 저장테이블내의 미사용중인 큐에 저장하는 제 6 단계와; 상기 링크 프로토콜 처리부가 링크제어메시지 저장테이블에 저장시킨 링크 제어메시지의 첫지점(Front)과 끝지점(End)을 V5.2 링크 관리테이블의 큐프론트 표시영역 및 큐엔드 표시영역에 저장시킨 후, 큐카운트 영역에 저장된 큐카운트값을 "1"카운트 증가시키는 제 7 단계와; 상기 링크 프로토콜 처리부가 링크제어 응답메시지의 수신여부를 판단하는 제 8 단계와; 상기 제 8 단계에서 링크제어 응답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다시 상기 제 1 단계로 진행하는 한편, 링크제어 응답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링크 프로토콜 처리부가 링크제어메지시 저장테이블에 저장된 다수개의 링크 제어메시지중에서 최초의 인덱스값에 해당하는 링크 제어메시지를 리드하여 해당 가입자 장치로 전송하는 제 9 단계와; 상기 링크 프로토콜 처리부가 V5.2 링크 관리테이블의 큐프론트 표시영역 및 큐엔드 표시영역에 저장된 링크 제어메시지의 첫지점(Front)과 끝지점(End)을 변경시키는 동시에 큐카운트 영역에 저장된 큐카운트값을 "1"카운트 감소시킨 후 리턴하는 제 10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WLL 시스템에서의 V5.2 링크 프로토콜을 이용한 링크 제어메시지 제어방법.
- 제 6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단계에서 외부로 부터 호가 시도되지 않으면, 상기 링크 프로토콜 처리부가 상기 제 8 단계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LL 시스템에서의 V5.2 링크 프로토콜을 이용한 링크 제어메시지 제어방법.
- 제 6항에 있어서,상기 제 4 단계에서 해당 V5.2 엔티티의 전송상태가 전송불가 상태이면, 상기 링크 프로토콜 처리부가 전송에러처리를 수행한 후 종료하는 제 11 단계가 추가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WLL 시스템에서의 V5.2 링크 프로토콜을 이용한 링크 제어메시지 제어방법.
- 제 6항에 있어서,상기 제 4 단계에서 해당 V5.2 엔티티의 전송상태가 전송가능 상태이면, 상기 링크 프로토콜 처리부가 링크 제어메시지를 해당 가입자 장치로 전송한 후, 다시 상기 제 8 단계로 진행하는 제 12 단계가 추가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WLL 시스템에서의 V5.2 링크 프로토콜을 이용한 링크 제어메시지 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9990054867A KR20010054190A (ko) | 1999-12-03 | 1999-12-03 | Wll 시스템에서의 v5.2 링크 프로토콜을 이용한 링크제어메시지 제어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9990054867A KR20010054190A (ko) | 1999-12-03 | 1999-12-03 | Wll 시스템에서의 v5.2 링크 프로토콜을 이용한 링크제어메시지 제어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54190A true KR20010054190A (ko) | 2001-07-02 |
Family
ID=19623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9990054867A KR20010054190A (ko) | 1999-12-03 | 1999-12-03 | Wll 시스템에서의 v5.2 링크 프로토콜을 이용한 링크제어메시지 제어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0054190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66135A (ko) * | 2002-02-04 | 2003-08-09 | 임문상 | 인터넷을 통한 맞춤형 스포츠슈즈 제작 방법 |
-
1999
- 1999-12-03 KR KR19990054867A patent/KR2001005419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66135A (ko) * | 2002-02-04 | 2003-08-09 | 임문상 | 인터넷을 통한 맞춤형 스포츠슈즈 제작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205483B1 (en) | Network interface that prevents MAC or IP address spoofing of a management station by making a management station address register unchangeable by software | |
KR20010054190A (ko) | Wll 시스템에서의 v5.2 링크 프로토콜을 이용한 링크제어메시지 제어장치 및 방법 | |
KR100339198B1 (ko) | Wll 시스템에서의 v5.2 bcc 프로토콜을 이용한 트렁크 할당메시지 제어방법 | |
JPH06120943A (ja) | 最適迂回経路選択方式 | |
JPH1021164A (ja) | 電子メールシステム | |
KR100339199B1 (ko) | Wll 시스템에서의 v5.2 common 프로토콜을 이용한 common 제어메시지 제어방법 | |
KR100266262B1 (ko) | 선 워크스테이션의 망관리 제어 방법 | |
KR950012581B1 (ko) | 멀티교환유니트 전자교환시스템의 비동기 직렬통신회로 및 방법 | |
KR100442945B1 (ko) | 이동통신 단말기의 직렬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 |
KR100233251B1 (ko) | 다채널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가변형 데이터율 및 가변형 데이터크기를 요하는 서비스를 위한 메시지 관리 방법 | |
KR20000075218A (ko) | 단말기에서의 단문 메시지 반복 전송 방법 | |
KR100464498B1 (ko) | 네트워크 엘리먼트의 알람관리 장치 및 그 방법 | |
KR950035219A (ko) | 종합정보통신망과 근거리통신망 간의 망정합을 위한 게이트웨이 구현방법 및 시스템 | |
JPH10136088A (ja) | 通信システム | |
JP2001204076A (ja) | メッセージサービスシステム、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メッセージ管理方法 | |
JPS60169252A (ja) | ネツトワ−ク管理方式 | |
JPH05300234A (ja) | サービス制御ノードにおけるサービス試験方式 | |
KR100430388B1 (ko) | Sms 메시지 송수신 장치 및 방법 | |
KR20030096654A (ko) | 대용량 sms 전송 방법 | |
JP2005159435A (ja) | 端末情報管理装置、端末装置、電子機器装着端末情報通知システム、及び、電子機器装着端末情報通知方法 | |
JP4554432B2 (ja) | 電子メール装置 | |
EP1265455A1 (en) | ISDN remote wake-up method | |
JPH11252149A (ja) |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装置 | |
KR20070068000A (ko) | 이동통신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저장 관리방법 | |
JPH11306102A (ja) | 電子メール装置の制御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