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2942A - 지3비피 단백질에 대한 모노클로날 항체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지3비피 단백질에 대한 모노클로날 항체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2942A
KR20010052942A KR1020007014316A KR20007014316A KR20010052942A KR 20010052942 A KR20010052942 A KR 20010052942A KR 1020007014316 A KR1020007014316 A KR 1020007014316A KR 20007014316 A KR20007014316 A KR 20007014316A KR 20010052942 A KR20010052942 A KR 20010052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in
g3bp
cells
antibody
monoclonal antibod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4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4917B1 (ko
Inventor
파커파비안느
케니스베르그미레이유
뒤셰느마르크
바르라트이자벨
Original Assignee
아방티 파르마 소시에테 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방티 파르마 소시에테 아노님 filed Critical 아방티 파르마 소시에테 아노님
Publication of KR20010052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2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4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49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 G01N33/5748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involving compounds serving as markers for tumor, cancer, neoplasia, e.g. cellular determinants, receptors, heat shock/stress proteins, A-protein, oligosaccharides, metabolites
    • G01N33/57488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involving compounds serving as markers for tumor, cancer, neoplasia, e.g. cellular determinants, receptors, heat shock/stress proteins, A-protein, oligosaccharides, metabolites involving compounds identifable in body flu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6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non-natural combinations of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62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non-natural combinations of immunoglobulin fragments comprising only variable region components
    • C07K2317/622Single chain antibody (scFv)

Abstract

본 발명은 G3BP 단백질에 대한 모노클로날 항체 및 이를 생산하는 세포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의약 및 진단시약을 수득하기 위한 항체 또는 이의 유도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3비피 단백질에 대한 모노클로날 항체 및 이의 용도{MONOCLONAL ANTIBODIES DIRECTED AGAINST THE G3BP PROTEIN, AND USES}
<110> RHONE-POLENC RORER S.A.
<120> MONOCLONAL ANTIBODIES DIRECTED AGAINST THE G3BP PROTEIN, AND USES
<130> 99/01453
<150> PCT/FR98/07,617
<151> 1998-06-17
<160> 2
<170> KopatentIn 1.55
<210> 1
<211> 466
<212> PRT
<213> amino acid
<400> 1
Met Val Met Glu Lys Pro Ser Pro Leu Leu Val Gly Arg Glu Phe Val
1 5 10 15
Arg Gln Tyr Tyr Thr Leu Leu Asn Gln Ala Pro Asp Met Leu His Arg
20 25 30
Phe Tyr Gly Lys Asn Ser Ser Tyr Val His Gly Gly Leu Asp Ser Asn
35 40 45
Gly Lys Pro Ala Asp Ala Val Tyr Gly Gln Lys Glu Ile His Arg Lys
50 55 60
Val Met Ser Gln Asn Phe Thr Asn Cys His Thr Lys Ile Arg His Val
65 70 75 80
Asp Ala His Ala Thr Leu Asn Asp Gly Val Val Val Gln Val Met Gly
85 90 95
Leu Leu Ser Asn Asn Asn Gln Ala Leu Arg Arg Phe Met Gln Thr Phe
100 105 110
Val Leu Ala Pro Glu Gly Ser Val Ala Asn Lys Phe Tyr Val His Asn
115 120 125
Asp Ile Arg Tyr Gln Asp Glu Val Phe Gly Gly Phe Val Thr Glu Pro
130 135 140
Gln Glu Glu Ser Glu Glu Glu Val Glu Glu Pro Glu Glu Arg Gln Gln
145 150 155 160
Thr Pro Glu Val Val Pro Asp Asp Ser Gly Thr Phe Tyr Asp Gln Ala
165 170 175
Val Val Ser Asn Asp Met Glu Glu His Leu Glu Glu Pro Val Ala Glu
180 185 190
Pro Glu Pro Asp Pro Glu Pro Glu Pro Glu Gln Glu Pro Val Ser Glu
195 200 205
Ile Gln Glu Glu Lys Pro Glu Pro Val Leu Glu Glu Thr Ala Pro Glu
210 215 220
Asp Ala Gln Lys Ser Ser Ser Pro Ala Pro Ala Asp Ile Ala Gln Thr
225 230 235 240
Val Gln Glu Asp Leu Arg Thr Phe Ser Trp Ala Ser Val Thr Ser Lys
245 250 255
Asn Leu Pro Pro Ser Gly Ala Val Pro Val Thr Gly Ile Pro Pro His
260 265 270
Val Val Lys Val Pro Ala Ser Gln Pro Arg Pro Glu Ser Lys Pro Glu
275 280 285
Ser Gln Ile Pro Pro Gln Arg Pro Gln Arg Asp Gln Arg Val Arg Glu
290 295 300
Gln Arg Ile Asn Ile Pro Pro Gln Arg Gly Pro Arg Pro Ile Arg Glu
305 310 315 320
Ala Gly Glu Gln Gly Asp Ile Glu Pro Arg Arg Met Val Arg His Pro
325 330 335
Asp Ser His Gln Leu Phe Ile Gly Asn Leu Pro His Glu Val Asp Lys
340 345 350
Ser Glu Leu Lys Asp Phe Phe Gln Ser Tyr Gly Asn Val Val Glu Leu
355 360 365
Arg Ile Asn Ser Gly Gly Lys Leu Pro Asn Phe Gly Phe Val Val Phe
370 375 380
Asp Asp Ser Glu Pro Val Gln Lys Val Leu Ser Asn Arg Pro Ile Met
385 390 395 400
Phe Arg Gly Glu Val Arg Leu Asn Val Glu Glu Lys Lys Thr Arg Ala
405 410 415
Ala Arg Glu Gly Asp Arg Arg Asp Asn Arg Leu Arg Gly Pro Gly Gly
420 425 430
Pro Arg Gly Gly Leu Gly Gly Gly Met Arg Gly Pro Pro Arg Gly Gly
435 440 445
Met Val Gln Lys Pro Gly Phe Gly Val Gly Arg Gly Leu Ala Pro Arg
450 455 460
Gln Glx
465
<210> 2
<211> 2129
<212> DNA
<213> nucleotide
<400> 2
gcttgcctgt caggtcgact ctagagcccg ggtaccgagc tcgaattcgg cggggtttgt 60
actatcctcg gtgctgtggt gcagagctag ttcctctcca gctcagccgc gtaggtttgg 120
acatatttac tcttttcccc ccaggttgaa ttgaccaaag caatggtgat ggagaagcct 180
agtcccctgc tggtcgggcg ggaatttgtg agacagtatt acacactgct gaaccaggcc 240
ccagacatgc tgcatagatt ttatggaaag aactcttctt atgtccatgg gggattggat 300
tcaaatggaa agccagcaga tgcagtctac ggacagaaag aaatccacag gaaagtgatg 360
tcacaaaact tcaccaactg ccacaccaag attcgccatg ttgatgctca tgccacgcta 420
aatgatggtg tggtagtcca ggtgatgggg cttctctcta acaacaacca ggctttgagg 480
agattcatgc aaacgtttgt ccttgctcct gaggggtctg ttgcaaataa attctatgtt 540
cacaatgata tcttcagata ccaagatgag gtctttggtg ggtttgtcac tgagcctcag 600
gaggagtctg aagaagaagt agaggaacct gaagaaagca gcaaacacct gaggtggtac 660
ctgatgattc tggaactttc tatgatcagg cagttgtcag taatgacatg gaagaacatt 720
tagaggagcc tgttgctgaa ccagagcctg atcctgaacc agaaccagaa caagaacctg 780
tatctgaaat ccaagaggaa aagcctgagc cagtattaga agaaactgcc cctgaggatg 840
ctcagaagag ttcttctcca gcacctgcag acatagctca gacagtacag gaagacttga 900
ggacattttc ttgggcatct gtgaccagta agaatcttcc acccagtgga gctgttccag 960
ttactgggat accacctcat gttgttaaag taccagcttc acagccccgt ccagagtcta 1020
agcctgaatc tcagattcca ccacaaagac ctcagcggga tcaaagagtg cgagaacaac 1080
gaataaatat tcctccccaa aggggaccca gaccaatccg tgaggctggt gagcaaggtg 1140
acattgaacc ccgaagaatg gtgagacacc ctgacagtca ccaactcttc attggcaacc 1200
tgcctcatga agtggacaaa tcagagctta aagatttctt tcaaagttat ggaaacgtgg 1260
tggagttgcg cattaacagt ggtgggaaat tacccaattt tggttttgtt gtgtttgatg 1320
attctgagcc tgttcagaaa gtccttagca acaggcccat catgttcaga ggtgaggtcc 1380
gtctgaatgt cgaagagaag aagactcgag ctgccaggga aggcgaccga cgagataatc 1440
gccttcgggg acctggaggc cctcgaggtg ggctgggtgg tggaatgaga ggccctcccc 1500
gtggaggcat ggtgcagaaa ccaggatttg gagtgggaag ggggcttgcg ccacggcagt 1560
aatcttcatg gatcttcatg cagccataca aaccctggtt ccaacagaat ggtgaatttt 1620
cgacagcctt tggtatcttg gagtatgacc ccagtctgtt ataaactgct taagtttgta 1680
taattttact ttttttgtgt gttaatggtg tgtgctccct ctccctctct tccctttcct 1740
gacctttagt ctttcacttc caattttgtg gaatgatatt ttaggaataa cggactttta 1800
cccgaattcg taatcatggt catagctgtt tccgtgtgaa attgttatcc gctcacaatt 1860
ccacacaaca tacgagccgg aagcataaag tgtaaagcct ggggtgccta atgagtgagc 1920
taactcacat taattgcgtt gcgctcactg cccgctttcc agtcgggaaa cctgtcgtgc 1980
cagcgcatta atgaatcggc caacgcgcgg ggagaggcgg tttgcgtatt gggcgccagg 2040
gtggttttct tttcaccagt gagacgggca acagctgatt gcccttcacc gctggccctg 2100
agagagttgc agcaagcggt ccacgctgg 2129
일반적으로 p21Ras 단백질로 명명된 ras 유전자 산물은 시험되는 모든 진핵생물에서 세포 분열을 조절하는 주 역할을 한다. 이들 단백질의 특정 변형은 이러한 정상적인 제어를 상실시켜 발암성을 띠도록 한다. 따라서, 다수의 인간 종양은 변형된 ras 유전자의 존재와 관련된다. 또한, p21Ras 단백질의 과발현은 세포 증식 붕괴를 야기할 수 있다. 전반적으로, p21Ras 단백질은 인간 암의 30%와 관련된다.
이들 p21Ras 단백질의 정확한 역할의 이해는 종양학에서 하나의 연구 과제가 되고 있다.
p21Ras 단백질 기능을 설명하는 현행 모델은 이것이 형질도입 G 단백질과 공유하는 유사성에 근거한다. 세포에서는 GTP에 부착된 활성 p21 단백질과, GDP에 부착된 비활성 형태의 p21 단백질 간에 평형이 이루어진다. Ras 단백질이 기능하지 않는 휴지기 세포에서, 이들 대부분은 GDP 형태를 한다. 세포가 자극이 되면, 뉴클레오타이드 교환 인자 GEF가 좀더 활성이 되어 GDP의 배출 및 GTP와의 교체를 촉진시킨다. 단백질은 작동인자 GAP 단백질 "GTPase 활성화 단백질"을 인식하여 자극하는 활성 구조를 띤다. Ras-GTP-GAP 복합체는 교대로 단백질 또는 기타 단백질과 상호작용하여, 세포의 생물학적 반응을 야기하는 시그널을 전달할 것이다. Ras-GTP와 GAP의 결합은 GTP의 가수분해 및 비활성인 GDP 형태로 Ras 단백질의 복귀를 동시에 촉진한다.
발암성 p21Ras 단백질의 경우, 이것이 운반하는 돌연변이는 비활성 상태로의 복귀를 막는다. 평형은 후자의 경우에 Ras의 활성 형태로 이동된다.
p21Ras의 활성 및 비활성 형태 간의 이러한 복합적인 평형은 Ras 단백질의 생화학적 성질 고유의 인자(GDP와 GTP의 상대적 친화도, 뉴클레오타이드의 교환 속도 등) 및 이의 활성을 조절하는 외부 인자, 특히 GAP 단백질 모두에 의해 조절된다.
GAP 단백질은 정상 p21 단백질에 부착된 GTP의 가수분해를 상당히 촉진하는 능력을 지닌 모든 진핵생물에 존재하는 시토졸 단백질이다(Trahey and McCormick 1987). 이는 뚜렷한 기능을 제공하는 두 도메인을 보유한다. 이의 카복시-말단은 Ras 단백질과 결합하고 이의 GTPase 활성을 증가시키는 촉매 활성을 운반한다. 이의 다른 말단에서, 아미노-말단부의 하류에는 타 단백질과의 상호작용에 참여할 수 있는 SH2 및 SH3 도메인이 병렬되어 있다.
본 출원인은 Ras-의존 시그널링 캐스케이드에서 부가적인 단백질을 이미 확인했다. 이에 따라, 출원 WO 96/16169는 G3BP("GAP-SH3 결합 단백질")로 명명된 GAP의 SH3 도메인과 결합할 수 있는 단백질의 확인, 클로닝, 서열분석 및 특징 분석에 관해 기재하고 있다. 이 출원은 특히 G3BP가 Ras-의존 시그널링 경로의 하류를 담당하는 파트너인 GAP에 대한 작동인자임을 보여준다. 이에 따라, Parker 등의 논문(Mol. Cell. Biol. 16(1996) 2561)은 이러한 단백질의 서열, 이의 GAP-결합능 등을 기재하고 있다. 이러한 단백질은 항암요법의 개발에서 주된 신표적을 이룬다.
G3BP 단백질은 68 kDa의 도처에 발현된 시토졸 단백질이다. G3BP 단백질 및 상응하는 유전자의 서열은 서열번호 1과 서열번호 2로 제공된다. 466 아미노산의 이러한 단백질은 hnRNP(불균질 핵 리보뉴클레오프로테인) 계통에 속하고 RNA에 결합하는 단백질의 특징적인 다수 도메인을 함유한다:
- RNP2(aa 342-347) 및 RNP1(aa 378-385) 도메인을 지닌 RNM 도메인(aa 342-385)
- 아미노산 아르기닌과 글라이신이 풍부한 도메인(aa 429-461)
- 산성 보조 도메인 (aa 144-221)
본 출원인은 G3BP 단백질의 작용기전에 관심을 두어 왔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G3BP 활성을 길항시키거나 G3BP 작동인자를 구성하도록 G3BP 단백질의 여러 도메인에 대한 각종 항체를 얻었다.
본 발명은 G3BP 단백질에 대한 모노클로날 항체 및 이를 생산하는 세포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약제 및 진단시약을 얻는 데 있어 이러한 항체 및 이의 유도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도 1: 항체 Mab 1F1에 의해 인식된 G3BP의 각종 도메인의 웨스턴 블롯 확인.
도 2a 및 2b: 각종 세포주에서 G3BP 단백질의 발현 수준 비교.
도 3: HCT116 세포로 항체 Mab 1F1의 미세주사 효과.
도 4: 인간 G3BP 및 G3BP2 단백질 간의 서열 비교. N-말단 서열의 비교는 절단에 의해 확인된 다수의 차이점을 보여준다.
재료 및 방법
사용된 세포주
HCT116: 돌연변이된 Ki-ras 유전자 및 종양 억제 유전자 DCC에 돌연변이를 나타내는 인간 결장 육종에서 유도된 내피 세포. 요구된 배양 배지: DMEM, 10% 태 송아지 혈청,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1% 글루타민.
Hke-3 및 HK2-6: Ki-ras 유전자의 결실에 의해 변형되고, 그 결과 이의 종양형성력을 상실한 HCT116 세포(참조: Shirasawa, ... Sasazuki (1993) Science 260, 85-88). 요구된 배양 배지: DMEM, 10% 태 송아지 혈청, 400 ㎍/㎖ 제네티신,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1% 글루타민.
H460: 돌연변이된 Ki-ras 유전자를 지닌 인간 비-작은 세포 폐 육종에서 유도된 내피 세포. 요구된 배양 배지: DMEM, 10% 태 송아지 혈청,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1% 글루타민.
H1299: 기원 ATCC. 돌연변이된 N-ras 유전자 및 p53 유전자의 결실을 나타내는 인간 폐 육종에서 유도된 내피 세포. 요구된 배양 배지: DMEM, 10% 태 송아지 혈청,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1% 글루타민.
HeLa: ras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나타내지 않는 인간 경부 육종에서 유도된 내피 세포. 요구된 배양 배지: DMEM, 10% 태 송아지 혈청,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1% 글루타민.
HT-29: 기원 ATCC. p53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나타내지만 ras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없는 인간 결장 육종에서 유도된 내피 세포. 요구된 배양 배지: DMEM, 10% 태 송아지 혈청,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1% 글루타민.
DLD-1: 기원 ATCC. Ki-ras 유전자 및 p53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나타내는 인간 결장 육종에서 유도된 내피 세포. 요구된 배양 배지: DMEM, 10% 태 송아지 혈청,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1% 글루타민.
T47: 기원 ATCC. 유방암을 앓고 있는 환자의 늑막 유출물에서 분리된 세포. 요구된 배양 배지: RPMI, 10% 태 송아지 혈청,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1% 글루타민.
BT20: 인간 유방암에서 유도된 세포. 요구된 배양 배지: RPMI, 1% 태 송아지 혈청,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1% 글루타민.
MCF-7: 인간 유방암에서 유도된 세포. 요구된 배양 배지: RPMI, 10% 태 송아지 혈청,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1% 글루타민.
T24: 기원 ATCC. Ha-ras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나타내는 인간 방광암에서 유도된 세포. 요구된 배양 배지: RPMI, 10% 태 송아지 혈청,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1% 글루타민.
NHDF: 기원 Boehringer Ingelheim, 돌연변이된 유전자가 없는 1차 배양액에서 정상인 피부 아세포(성인). 공급자가 요구한 배지.
본 발명은 한편으로는 종양세포 및 인간 종양(결장 선암종 및 유방암)에서 G3BP 단백질의 과발현의 증명에 기초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G3BP 단백질의 몇몇 항체가 인간 종양세포에서 아폽토시스를 유도할 수 있다는 놀라운 발견에 기초한다. 뜻밖에도, 이들 항체가 G3BP 단백질이 과발현되는 종양세포에서는 아폽토시스를 유도하지만 G3BP가 약하게 발현되는 정상인 세포에서는 무독성인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의 제1 주제는 각종 형태의 종양세포에서 아폽토시스를 유도할 수 있는 G3BP 단백질에 대한 모노클로날 항체에 관한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주제는 G3BP 단백질의 N-말단 부위에 위치된 에피토프를 인식할 수 있는 모노클로날 항체이다. 유리하게도, 이는 G3BP 단백질의 위치 1과 144에 위치된 아미노산 사이에 에피토프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이는 G3BP 단백질의 위치 1-72에 위치된 아미노산 사이에 에피토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는 G3BP 단백질의 위치 22-55에 위치된 아미노산 사이에 에피토프를 포함하고, 좀더 바람직하게는 위치 22-34에 위치된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에피토프를 포함한다.
특히 유리한 양태에서, 본 발명은 Mab 1F1으로 명명되고 기탁번호 I-2038로 C.N.C.M.에 1998년 6월 9일자로 기탁된 하이브리도마주 G3B 1F1 1D1에 의해 분비된 항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앞서 정의된 모노클로날 항체에서 유도된 항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발현 유도된 항체는 본 발명에 따른 모노클로날 항체에 대한 유전형, 특히 키메릭 항체, 단일쇄 항체 및 Fab 단편을 포함하는 임의 분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이러한 키메릭 항체는 문헌[참조: Morrison et al., J. Bacteriol. 159: 870(1984); Neberger et al., Nature 312:604-608 (1984); Takeda et al., Nature 314:452-454 (1985)]에 기재된 기술에 따라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체에 대한 유전형을 함유한 Fab 단편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기술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단편은 펩신으로 절단되어 항체로부터 생성될 수 있는 단편인 F(ab')2단편; F(ab)2단편의 디설파이드 브리지의 환원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 Fab' 단편, 및 파파인과 환원제로 항체를 처리하여 얻어질 수 있는 Fab 단편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주제는 또한 앞서 정의된 모노클로날 항체로부터 유도된 단일쇄 항체 ScFv이다. 이러한 단일쇄 항체는 특허 US 4,946,778; US 5,132,405 및 US 5,476,786에 기재된 기술에 따라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앞서 정의된 모노클로날 항체로부터 유도된 단일쇄 항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핵산서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서열의 생성 및 항체의 생체내 발현을 위한 이의 사용이 본원에서 참고된 출원 WO 94/29446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주제는 또한 앞서 정의된 모노클로날 항체로부터 유도된 단일쇄 항체를 암호화하는 핵산서열을 함유한 바이러스 또는 플라스미드 벡터이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벡터는 레트로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아데노-관련 바이러스, 허프스 바이러스, 백시니아 바이러스, HSV 바이러스 등과 같은 바이러스 기원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들 ScFv를 암호화하는 핵산서열 또는 인간 또는 동물 신체의 수술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이를 함유한 벡터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이는 또한 벡터, 특히 바이러스 벡터, 또는 앞서 정의된 핵산서열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제는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노클로날 항체를 분비할 수 있는 하이브리도마주이다.
본 발명의 주제는 좀더 구체적으로는 기탁번호 I-2038하에 Collection Nationale des Cultures de Microorganismes(C.N.C.M.)에 1998년 6월 9일자로 기탁된 항체 Mab 1F1을 분비하는 하이브리도마주 G3B 1F1 1D1이다.
본 발명은 또한 (1) G3BP 단백질 또는, N-말단 도메인의 최소 일부를 포함하는 단편(aa 1-144)의 도움으로 면역된 동물으로부터의 비장세포를, 하이브리도마 형성 조건하에 골수종 세포와 융합시키고; (2) 각종 종양주에서 아폽토시스를 유도할 수 있는 모노클로날 항체를 분비하는 하이브리도마의 모노클로날 항체를 검출하고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각종 종양주에서 아폽토시스를 유도할 수 있는 모노클로날 항체의 생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약제를 얻기 위한 앞서 정의된 항체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좀더 구체적으로는 과증식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제를 얻기 위한 항체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제는 또한 임의로는 종양세포에서 아폽토시스를 유도하는 데 치료에 효과적인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와 혼합되는 본 발명에 따른 항체를 치료에 효과적인 양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항체는 또한 G3BP 단백질을 확인하거나 분석하는 진단시약으로 이용될 수 있다. 실제로, G3BP 단백질이 종양세포에서 과발현되고 이러한 과발현이 세포 증식 현상에서 마커를 구성함이 밝혀졌다. 이들 항체는 G3BP 단백질을 과발현시키는 과증식 질환의 진단에 특히 유용하다.
본 발명의 주제는 또한 모노클로날 항체를 포함하는 면역 진단을 위한 진단시약 및 키트로서 앞서 정의된 모노클로날 항체의 사용이다.
항체는 색소원, 형광, 바이오티닐화 또는 방사능 마커 등과 커플링될 수 있다. 항체는 면역조직화학에서 면역표지법, 유동 혈구계산, 방사면역 분석(RIA) 또는 면역효소 분석(ELISA) 및 기타 공지된 형태의 진단 키트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체는 또한 G3BP 단백질의 기능 연구를 수행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이러한 기능 연구는 G3BP 단백질에서 유도되고 아폽토시스 활성을 나타내는 새로운 펩타이드를 확인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주제는 또한 G3BP 단백질에서 유도되고 아폽토시스를 유도할 수 있는 신규 펩타이드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는 N-말단 단편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이들 폴리펩타이드는 G3BP 단백질의 초기 14 아미노산에 대응되는 최소한의 도메인을 포함한다.
상기 기재 이외에, 본 발명은 또한 하기 실시예에서 도출되는 기타 특성 및 이점을 포함하며,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모노클로날 항체의 생성
1.1 - G3BP 단백질의 생성
SF9 세포 배양을 문헌[참조: Parker et al. Mol. Cell., Biol. 16 (1996) 2561]에 기재된 프로토콜에 따라 수행했다. 세포를 HNTG 완충액(50 mM Hepes, pH 7.5, 150 Mm NaCl, 1% Triton X100, 10% 글리세롤, 1 mM MgCl2, 1 mM EGTA); 포스파타제 억제제(1 mM Na3VO4, 10 mM Na4P2O7, 10 mM NaF)의 존재 및 프로테아제 억제제(1 ㎍/㎖ 의 루펩틴, 1 ㎍/㎖ 의 트립신 억제제, 1 ㎍/㎖ 의 펩스타틴 A, 2 ㎍/㎖ 의 아프로티닌, 10 ㎍/㎖ 의 벤즈아미딘, 1 mM 페닐메탄설포닐 플루오라이드, 1 ㎍/㎖ 의 안티파인, 1 ㎍/㎖ 의 키모스타틴)의 존재하에 용해시킨다. 용해물을 원심분리하고(15 000 g, 15분) HG 세척 완충액(50 mM Hepes pH 7.5, 10% 글리세롤, 1 mM EGTA; 포스파타제 억제제 및 프로테아제 억제제의 존재하)으로 5배 희석시킨다. 용해물을 헤파린-세파로스 고속 유동 겔(Pharmacia LKB)의 존재하에 12 시간 동안 15 mg 단백질/밀리그램 겔의 양으로 배양하면서 동일한 완충액(50 mM Hepes, 0.030 M NaCl, 0.2% Triton X100, 10% 글리세롤, 1 mM MgCl2, 1 mM EGTA)에서 평형시킨다. 복합체를 Pharmacia K26 칼럼으로 옮긴다. 칼럼을 평형 완충액 10 부피(50 ㎖/시간)로 세척하고, 단백질을 100 mM NaCl 완충액에 용출시킨 다음 600 mM NaCl 완충액에서 용출시킨다. GAP-SH3 결합 활성을 함유한 분획을 모아, HG 완충액으로 10배 희석하고 1.3 mg 단백질/밀리리터 겔의 양으로 아가로스-폴리리보우리딜산 AGPOLY(U) 칼럼(유형타입 6 칼럼, 19 ㎠ x 1 cm, Pharmacia)에 로딩한다. 칼럼을 5 ㎖/㎠h-1의 유속으로 동일한 완충액에서 미리 평형시킨다. HNG 완충액(50 mM NaCl)으로 세척한 후에, 오염 단백질을 0.06 내지 0.32 M NaCl 선형 구배의 완충액 229 ㎖로 용출시키고, G3BP 단백질을 0.7 M NaCl의 존재하에 용출시킨다. POLY(U) 크로마토그래피 후에, G3BP 단백질을 함유하는 분획을 합하여, 포스페이트 완충액 pH 7.5 + 프로테아제 억제제의 존재하에 12배로 희석하고 60 mM NaCl을 함유하는 동일한 완충액으로 예비평형된, 1 ㎖ MonoS HR5/5 칼럼(Pharmacia) 상에 30 ㎖ h-1의 유속으로 로딩한다. 칼럼을 세정한 후에, 단백질을 0.06 내지 1 M NaCl 선형 구배의 완충액 40 ㎖로 용출한다. G3BP 단백질을 0.15 M 내지 0.2 M NaCl로 용출한다.
1.2- 마우스의 면역화 프로토콜
생후 6주된 암컷 BALB/c 마우스에 G3BP 25 ㎍을 면역화 D0일에 복막내 주사한다. 2차 복막내 주사를 면역화 D14일에 실행한 다음 3차 및 4차 주사를 D45일 및 D80일에 실행한다. 5차 주사(G3BP 단백질 10 ㎍)는 정맥내 경로로 D165일에 실행되고 비장세포를 3일 후에 추출하여 융합시킨다. 비장세포를 한편으로는 쥐 골수종 세포 SP2/O-Ag14와 다른 한편으로는 X63Ag8/653과 융합한다. 비장세포/골수종 세포비는 5:1이다. 림프구 하이브리드화를 폴리에틸렌 글리콜 PEG pm 1,500(최종 농도 40%)의 존재하에 실행한다. 96 웰의 16 플레이트를 웰당 10,000 Balb/C 마우스 복막 마크로파지의 존재하에 제조한다. 사용되는 비장세포의 양은 웰마다 2.5×104내지 105세포로 다양하다. 사용되는 배지는 RPMI 1640(Biowhittaker 및 Gibco), 2 mM 글루타민, 1 mM 나트륨 피루베이트, HAT, 100 mM 히포크산틴, 0.4 μM 아미노프테린, 16 μM 티미딘, 220% 보체제거된 태 소 혈청, 100 U/㎖ 페니실린, 100 ㎍/㎖ 스트렙토마이신을 함유한다.
제 1 클론은 융합 3일 후에 나타나고, 배지를 융합 7일 후에 교체하여, 최종적으로 융합 10일 후에, 5,000 마크로파지를 웰마다 첨가한다. 단일 하이브리도마가 성장한 웰을 확인하고 상등액을 스크리닝을 위해 수집한다.
융합으로부터 수득되는 하이브리도마 상등액을 웨스턴 블로팅으로 스크리닝한다. ER22 세포 및 HCT116 세포의 세포 추출액(50 ㎍), 재조합 G3BP 단백질 및 대조 단백질 SAM68을 나트륨 도데실 설페이트 - 7.5% 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전기영동(SDS-PAGE)한 다음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 막(PVDF Millipore Corpo.) 상으로 전달한다. 비특이적 결합은 ECL 완충액(20 mM Tris, pH 7.4, 150 mM NaCl, 0.05% Tween 20)에서 2% 탈지유로 2시간 동안 실온에서 블로킹한다.
이어서 막을 1/50으로 희석된 다양한 상등액과 함께 밤새 4℃ 블로킹 완충액에서 배양한다. ECL 완충액-0.05% Tween 20으로 세척한 후에, 결합 단백질을 퍼옥시다제 및 ECL 화학발광 시약(NEN Life Science Product)과 결합한 항-마우스 항체와 함께 배양함으로써 검출한다.
3 하이브리도마를 스크리닝 말미에 선별한다. 이들은 하이브리도마 G3B 1E1, G3B 1F1 1D1 및 G3B1 1H7이다.
실시예 2- 항체 Mab 1F1에 의해 인식되는 에피토프의 확인
G3BP 단백질의 다양한 단편을 Parker 등(Mol. Cell. Biol. 16 (1996) 2561)에 의해 설명된 기술에 따라 재조합 바큘로바이러스로 감염시킨 곤충 세포(SF9)에서의 발현 시스템에서 생산한다. 이들은 단편 "1"(aa 72-350), "2"(aa 72-235), "3"(aa 144-341), "4"(aa 236-350) 및 "5"(aa 299-466)이다. 웨스턴 블롯 실험을 바큘로바이러스 시스템에서 생산된 이러한 단편을 사용하여 실행한다.
2.1- 웨스턴 블로팅에 의한 단백질의 검출
배양배지를 제거한 후에, 증식 세포를 포스페이트 완충액으로 4℃에서 2회 세척한다. 용해를 HNTG 완충액(50 mM HEPES pH 7.5, 150 mM NaCl, 1% Triton X-100, 10% 글리세롤, 1 mM MgC12) 1 ㎖ + 포스파타제 억제제(1 mM Na3VO4, 10 mM Na4P2O7, 10 mM NaF) + 프로테아제 억제제(1 ㎍/㎖ 류펩틴, 1 ㎍/㎖ 트립신 억제제, 1 ㎍/㎖ 펩스타틴 A, 10 ㎍/㎖ 벤즈아미딘, 1 mM 페닐메틸설포닐 플루오라이드, 1 ㎍/㎖ 안티파인, 1 ㎍/㎖ 키모스타틴)의 존재하에 배양 디시에서 직접 실행한다. 단백질을 나트륨 도데실 설페이트(SDS) - 7.5% 폴리아크릴아미드(PAGE) 아크릴아미드 전기영동 겔(16 시간, 60 볼트) 상에서 분리한 다음, 단백질을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 막(PVDF Millipore Corp.) 상으로 반액체 전달법으로 전달한다. 전달은 4℃에서, 3시간 동안, 60볼트의 전압에서, 25 mM Tris Base, 글라이신 192, 0.15% SDS 20% 메탄올을 함유하는 전달 완충액에서 실행된다. 막을 PBS로 세정한 다음 0.05% tween 20 및 2% 탈지유로 보충된 PBS로 2시간 동안 실온에서 포화시킨다. 막을 12시간 동안 4℃에서 제 1 항체를 함유하는, ECL 완충액(20 mM TRIS, pH 7.4, 150 mM NaCl) + 0.05% Tween 20 + 2% 탈지유에서 배양한다. 항체 MAB 1F1을 1/10,000으로 희석한다. 이어서 막을 10분 동안 실온에서 ECL 완충액 + 0.05% Tween 20으로 4 또는 5회 세정한다. 이어서 제 2 항체(항-마우스 항체)를 ECL + 0.05% Tween 20의 존재하에 45분 동안 실온에서 첨가한다. 항체를 Enhanced ChemiLuminescence(ECL) 기술로 단백질의 가시화를 허용하는 퍼옥시다제와 커플링시킨다. 막을 PBS 완충액 + 0.05% Tween 20으로 4 또는 5회 세정하고, 1분 동안 ECL 시약에서 배양한다. 가시화는 공급자의 권자(NEN Life Science Product)에 따라 실행된다.
결과는 도 1에 나타나 있고 항체 Mab 1F1이 단편 "1"(aa 72-350) 및 "2"(aa 72-235)의 검출을 허용함을 보여준다. 단편 "2"와 공통 영역을 포함하는 중앙 단편 "3"(aa 144-341)은 인식되지 않는다. 단편 "4"(aa 236-350) 및 "5"(aa 299-466)도 인식되지 않는다.
이러한 결과는 항체 Mab 1F1에 의해 인식되는 에피토프가 G3BP 단백질의 N-말단 영역에, 처음 144 아미노산에 상응하는 영역에 및 특히 G3BP 단백질의 산성 도메인(aa 144-221)의 상류에 위치하는 처음 100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영역에 위치함을 보여준다.
실시예 3: 다양한 세포주에서 G3BP 단백질의 발현수준
G3BP 단백질의 발현수준을 인간 직결장 종양 및 다양한 종양주에서 연구한다.
3.1- 다양한 인간세포주에서 G3BP의 발현수준
이 실험을 위해, 배양액내 세포를 스크랩핑함으로써 수확하고 5분 동안 2,000 rpm으로 원심분리하여 이들을 펠릿 형태로 수집한다. 이어서 이들을 10 mM Hepes 완충액 pH 7.2, 140 mM KCl, 5 mM MgCl2, 0.2% NP40 및 프로테아제 억제제에서 45분 동안 4℃에서 용해시킨다. 용해액을 10분 동안 14,000 rpm으로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수집한다. 단백질의 분석을 실행하고 상등액을 4X Laemmli 완충액으로 변성시켜 10분 동안 95℃에서 처리한다.
단백질의 상이한 용해액 50 ㎍ 동량을 10% 아크릴아미드 SDS-PAGE Novex 미니겔의 웰마다 10 웰에 및 1.5 mm 두께로 침착시킨다.
이동, PVDF 막 상으로의 전기전달 및 3% BSA를 함유하는 TTBS 완충액[20 mM TRIS pH 7.5, 150 mM NaCl, 0.1% Tween 20, 0.02% 나트륨 아자이드]으로의 막의 패시베이션 후에, 샘플을 웨스턴 블로팅한다:
막을 3% BSA를 함유하는 TTBS 완충액에서 0.2 ㎍/㎖로 희석된 항체 Mab 1F1과 함께 2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이들을 TTBS로 10분 동안 4회 세정하고, 이어서 1시간 동안 퍼옥시다제-표지 항-마우스 항체와 함께 배양하며 다시 TTBS로 10분 동안 4회 세정한다. 이어서 막을 NEN-Dupont ECL 키트(화학발광)로 Amersham ECL 필름상에 가시화한다.
결과는 도 2a에 나타나 있다. 수득된 필름은 정상 섬유아세포주 NHDF에 비해, 시험한 모든 종양주에서 G3BP 단백질의 과발현을 보여준다. 이러한 과발현의 수준은 세포주마다 다양하지만 이러한 세포주에서 ras 유전자의 활성화 상태에 따라 좌우되지 않고; G3BP 단백질을 다소 발현하는 HCT116, H460 또는 DLD-1과 같은 돌연변이된 Ki-ras 유전자를 가지는 세포주 및 HeLa 또는 HT29와 같은 ras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일어나지 않은 세포주는 동일하게 크고 다양한 G3BP 발현수준을 가진다.
그러나 G3BP의 발현수준은 이들이 유도되는 세포 HCT116에 비해, Ki-ras 유전자가 결실된 HKe-3과 HK2-6 세포에서 감소함이 관찰될 수 있고, 이러한 발현은 결과로서 폐기되지 않는다.
인간 생체검사에서 G3BP의 발현수준
건강한 조직 또는 종양 조직의 샘플을 슬라이드에 고정시킨다. 샘플의 가용화를 각 슬라이드에 조직 수준에서 HNTG 완충액 40 ㎕를 침착시킴으로써 실행한다. 추출액을 10분 동안 14,000 rpm으로 원심분리하고 상등액을 수집한다. 단백질을 분석하고 4X Laemmli 완충액으로 10분 동안 95℃에서 열처리함으로써 변성시킨다.
단백질 20 내지 30 ㎍의 샘플을 나트륨 도데실 설페이트 7.5% 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전기영동(SDS-PAGE)한 다음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 막(PVDF Millipore Corpo.) 상으로 전달한다. 비특이적 결합을 ECL 완충액(20 mM Tris, pH 7.4, 150 mM NaCl, 0.05% Tween 20)에서 2% 탈지유로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블로킹한다.
이어서 막을 블로킹 완충액에서 0.2 ㎍/㎖로 희석된 항체 Mab 1F1과 함께 4℃에서 밤새 배양한다. ECL 완충액 - 0.05% Tween 20으로 세척한 후에, 결합 단백질을 퍼옥시다제 및 ECL 화학발광 시약(NEN Life Science Product)과 결합된 항-마우스 항체와 함께 배양함으로써 검출한다.
도 2b에 나타난 결과는 G3BP 단백질이 보통으로- 및 잘-분화된 아데노마에서 과발현됨을 보여준다.
실시예 4: 인간 종양세포의 생존도에 미치는 항체 Mab 1F1의 미세주사 효과
본 실시예는 다양한 유형의 종양세포에서 아폽토시스를 유도하는 본 발명에 따른 항체의 특성을 설명한다.
모노클로날 항체 Mab 1F1을 하기에 설명된 프로토콜에 따라 주사한다. 주사할 용액을 PBS에 대해 투석하고, 0.45 ㎛ UltraFree Millipore 필터를 통과시키며, 원심분리한 다음(14,000 rpm으로 5분) 뽑아낸(drawn out) "마이크로로더(microloader)" 팁(Roucaire)의 도움으로 미세모세관에 도입시킨다. 주사시간은 0.1 내지 0.3초로 주사 압력은 세포의 크기에 따라 50 hPa 내지 150 hPa로 세팅한다. 조건 마다 약 200 세포에 주사한다.
HCT116, H460, H1299, HeLa 또는 HKe-3 세포에 모노클로날 항체 Mab 1F1 10 mg/㎖를 미세주사한 다음 주사 3일 후에 비디오현미경 검사로(1분당 2 영상) 촬영하고 기록한다. 사진을 해석하면, 주사한 세포의 발달이 관찰될 수 있고(분열, 세포사, 형태학적 변화) 정량될 수 있다(시간당 분열 또는 세포사 횟수). 응축 또는 단편화(아폽토시스 세포를 관찰할 수 있는 사건) 후에 지지체로부터 떨어지게 되는 세포만을 계수한다.
항체 Mab 1F1의 HCT 116 세포로의 주사로 나타나는 결과는 도 3에서 보여진다. 유도된 세포사의 높은 %가 24 내지 48시간의 피크로 항체 Mab 1F1의 주사 12시간 후부터 관찰된다.
항체 Mab 1F1의 상이한 투여량을 HCT116 세포에서 시험한다. 10 mg/㎖ 내지 3 mg/㎖에서, 세포사 유도의 효과는 동등한데, 즉 항체 Mab 1F1은 주사한 세포의 적어도 50%에서 세포사를 유도한다. 항체 1 mg/㎖에서, 효과는 상당히 감소한다.
HCT116 세포에 대조군으로서 마우스 면역글로불린 10 mg/㎖ 농도를 주사하면, 세포사는 관찰되지 않고 주사한 세포는 정상적으로 분열을 계속한다.
HCT116 세포에서 항체 Mab 1F1의 이러한 독성 효과는 형광 "TUNEL" 방법의 사용으로 확인되고, 이는 아폽토시스로 진입하는 세포의 DNA에서 절단부위를 특이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세포를 격자 유리 커버슬립(셀로케이트-Roucaire) 상에 접종하고 4-웰 플레이트에 둔다. 접종 2일 후에, 이러한 커버슬립 상에서 항체 Mab 1F1 또는 대조군으로서 마우스 면역글로불린 10 mg/㎖를 세포에 주사한다. 주사 후에, 세포를 다시 40시간 동안 오븐에 둔다. 이어서 이들을 4% 포름알데하이드로 15분 동안 고정시키고, 5분 동안 0.2% 트리톤 X100으로 투과성이 되게 하고 포스페이트 완충액으로 수차례 세정한다. 이어서 이중 표지를 1시간 동안 37℃에서
- 주사한 세포를 염색할, 1/400으로 희석된 Texas Red로 표지된 항-마우스 항체,
- 아폽토시스 세포의 DNA에서 절단부위를 녹색으로 특이적으로 염색할 Boehringer "In situ cell death detection" 키트로 실행한다.
이어서 커버슬립을 고정 배지에서 유리 슬라이드 상에 고정시킨다(Vectashield-Biosys).
형광 불빛 하에서 관찰시, 상이한 색을 선택하는 필터의 도움으로 한편으로는 주사한 세포 및 다른 한편으로는 아폽토시스를 진행하는 세포를 카운팅한다.
40시간재에 아폽토시스를 통해 9 내지 18%의 HCT116 세포사가 3번의 독립 실험에서 나타난다. 동일한 조건 하에서, 대조 면역글로불린을 주사한 HCT116 세포의 사멸은 관찰되지 않았다.
항체 Mab 1F1의 미세주사 후에 기록 실험은 주사한 세포의 적어도 50%가 주사 12 내지 60시간 후에 세포사하게 됨을 보여주는 도 3에 나타난 그래프와 유사한 결과가 H460, H1299, HeLa 및 HKe-3 세포에서도 재현된다.
"TUNEL" 표지 실험을 HCT116 및 H460 세포로 실행하여 동일한 결과를 얻는다(세포의 9 내지 18%가 항체의 주사 40시간 후에 아폽토시스를 진행한다).
실시예 5: 정상인 섬유아세포 NHDF의 생존도 및 증식에 미치는 항체 Mab 1F1의 미세주사 효과
5.1- 정상인 섬유아세포 NHDF의 생존도에 미치는 항체 Mab 1F1의 미세주사 효과
항체 Mab 1F1을 미세주사한 NHDF 세포의 증식을 기록하는 실험은 주사 후 60시간째에 세포사가 관찰되지 않고 세포가 정상적으로 분열을 계속함을 보여준다.
5.2- 정상인 섬유아세포 NHDF의 증식에 끼치는 항체 Mab 1F1의 미세주사 효과
배양액내 정상 세포는 성장인자의 공급을 요한다. 이들은 이러한 인자가 결핍되면, 이들이 더 이상 그들의 DNA를 복제하지 않아 증식하는 세포만이 그들의 DNA에 도입할 수 있는, 배양액에 첨가된 티미딘 유사체인 브로모데옥시우리딘을 도입할 수 없는 휴지기로 언급되는 "비증식"기로 진입한다.
항체 Mab 1F1을 10 mg/㎖ 농도로 휴지기 NHDF 세포에 미세주사하고 이러한 세포를 다시 성장인자 및 브로모데옥시우리딘(BrdU)을 함유하는 배지에 두면, 접촉시킨 다음 고정시키고 항-BrdU 항체의 도움으로 염색한 후 24시간째에서 세포 증식의 33% 억제가 관찰된다.
이러한 억제율은 마우스 면역글로불린을 주사하고 BrdU를 도입한 세포(대조군)의 발현%에 대한 항체 Mab 1F1을 주사하고 BrdU를 도입한 세포의 발현%로 계산된다.
다른 항-G3BP 모노클로날 항체(11H7)를 동일한 조건하에서 NHDF 세포에 주사한다.
NHDF 세포의 세포 성장에 끼치는 G3BP에 특이적인 항체의 주사 효과
항체 주사 % BrdU 도입
마우스 면역글로불린(IgG) 44.7
Mab 1F1 29.7
11H7 30.3
면역글로불린은 세포 증식을 억제하지 않고 반면 항체 11H7은 항체 Mab 1F1의 효과와 유사한 효과를 가지는데, 즉 이들은 32 내지 33%의 증식 억제를 일으키는 것으로 관찰된다.
이러한 억제는 항체 Mab 1F1 또는 11H7에 의한 내생성 G3BP 단백질의 블로킹에 기여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러한 증식 정지는 정상 세포 NHDF에서 일시적일 뿐이고 어느 경우에도 세포사를 유도하지 않음이 인지된다. 실제로, 세포는 항체가 세포질에서 자연적으로 분해될 때(주사 후 약 40시간) 이들의 정상 사이클을 계속한다.
실시예 4 및 5에 나타난 결과는 항체 Mab 1F1이 G3BP가 과발현된 시험하는 인간 종양세포의 적어도 50%에서 아폽토시스를 유도함을 보여주지만 G3BP가 약간 발현되는 정상인 세포에 주사될 때는 무독성인 것으로 밝혀졌다. 종양세포에서의 이러한 효과는 외관상으로는 ras 유전자의 활성화 상태와 연관되어 있지 않다. 또한, 항체 Mab 1F1은 휴지기 세포에 주사되면 정상 세포 NHDF의 증식을 일시 종결- 또는 지연-시킨다.
실시예 6- 하이브리도마 G3BP 1F1 1D1으로부터 세포내 항-G3BP 항체를 암호화하는 DNA 서열의 클로닝 및 발현
본 실시예는 모노클로날 항체 Mab 1F1의 특성을 재현하는 세포내 항체를 암호화하는 핵산서열의 클로닝 및 발현을 설명하고 있다.
6.1- DNA 서열의 제조
세포내 항체를 암호화하는 DNA 서열(ScFv 단편)을 특허 US 4,946,778에 설명되어 있는 기술에 따라 제조한다. 이어서 이 서열을 포유류 세포에서 기능성인 프로모터의 조절하에 둔다.
폴리 A RNA를 Chirguin S. H. et al.(Biochemistry 18, 5294 (1979))에 의해 설명된 기술에 따라, 하이브리도마 G3B 1F1 1D1의 세포 배양액으로부터 분리한다. 이러한 RNA는 랜덤 헥사뉴클레오타이드로 이루어진 쥐 프라이머의 도움으로 역전사 반응에 사용된다. 수득되는 cDNA는 2 PCR 반응을 위한 주형으로서 작용한다:
- 하나는 VH 특이적 프라이머를 가지는 중쇄(VH)의 가변성 단편을 증폭시키고자 하고,
- 두번째 PCR은 쥐 서열로부터 유도된 10 프라이머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VL 단편을 수득할 수 있다.
이렇게 340 bp 및 325 bp의 2 단편이 수득되고 VL의 cDNA의 5'에 VH의 cDNA의 정확한 위치를 허용하는 링커에 의해 조립된다. PCR(Recombinant Phage Antibody System Mouse ScFv Module, Pharmacia, 27-9400-01).
이어서 융합된 핵산서열 VH-링커-VL을 세포내 항체의 발현을 허용하는 파지미드에 삽입한다. 이러한 발현은 항원을 정확하게 인식하는 세포내 항체의 확인 및 선택을 쉽게 허용한다. 이 단계는 ELISA 시험에서 G3BP를 인식할 수 있는 항체를 선택함으로써 실행된다(Recombinant Phage Antibody System Expression Module, Pharmacia, 27-9401-01).
6.2- 변형된 세포내 항체의 기능 평가
변형된 항-G3BP 세포내 항체를 암호화하는 서열을 제한에 의해 파지미드로부터 분리한 다음, 벡터 SV2(Schweighoffer et al., Science, 256, 825-827 (1992)) 또는 pCDNA3(InVitrogen, V790-20)에 삽입한다. 이렇게 수득된 플라스미드는 pSV-ScFvG3BP 또는 pCDNA3ScFvG3BP로 불린다. 후술되는 시험에 의하여 기능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a)비-불멸화 포유류 세포 NHDF 중으로 및 형질전환주(HCT116, H460, Hke-3, H1299, HeLa) 중으로 미세주사, 상기 기술에 따라 형질전환주내 아폽토시스 검사 및 항체 Mab 1F1의 활성과 비교함으로써 세포 생존도에 미치는 세포내 항체의 영향 측정에 의해.
b)형질전환주 및 정상 세포에서 새로운 내성 시험에 의해. 플라스미드 pCDNA3G3BP를 형질전환주(HCT116, Hke-3, H460, H1299, HeLa) 중으로 및 비-형질전환 인간세포 중으로 형질감염시킨다. 형질감염 3일 후, 형질전환된 세포를 제네티신의 존재하에 선별해낸다. 이 시험에서, 단일쇄 항체를 종양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G3BP(이의 상응하는 핵산서열은 동일 발현벡터에 들어 있다)의 단편과 비교한다.
c)덩어리 형성의 억제에 의해. 단일쇄 항체의 덩어리 형성 억제능을 WO 94/29446에 기재된 기술에 따라 측정한다. 종양능을 감소시키기 위한 시험의 경우, 효과는 Ras 이외의 종양유전자에 의한 형질전환의 경우에 대해 시험될 수 있다.
d)RNA와의 결합 및/또는 G3BP1에 의한 RNA의 엔도뉴클레오분해성 절단에 대한 활성에 미치는 이 ScFv 발현의 영향에 대해 시험함으로써. 사실상, 모노클로날 항체 Mab 1F1의 미세주사에 의해 유도된 아폽토시스는 특정 단백질 파트너와의 상호작용 해리에 의해, 또는 RNA와의 결합 및/또는 엔도리보뉴클레오리틱 절단에 대한 활성의 변형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수득된 ScFv 항체는 이러한 상호작용 변형능에 의해 특징지워질 수 있다.
실시예 7: G3BP1 단백질 상 항체 Mab 1F1의 인식을 위한 다른 도메인의 확인. 인간 단백질 G3BP 및 G3BP2(또는 G3BPh) 간의 서열비교
G3BP 단백질은 G3BP와 뉴클레오타이드 수준에서 60.9% 동일성, 및 단백질 수준에서 58.8% 동일성을 보이는 단형 G3BP2 단백질(AF 051311, Genbank), 및 장형 G3BP2 단백질(AB 014560, Genbank) 가운데 한 계통의 단백질이다. 장형 G2BP2 단백질은 G3BP2 서열에(단형) 위치 790에서 99 뉴클레오타이드의 삽입체를 보인다.
G3BP 및 G3BP2 간의 단백질 서열 비교는 단백질의 주 도메인, 즉;
1 - 모노클로날 항체 Mab1F1에 대한 표적인 N-말단 영역(NTF2 단백질, 즉 핵 수송 인자 2와 상동성을 보임),
2 - 산성 영역,
3 -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에 관여된 PXXP 모티프 풍부 영역,
4 - RNA 인식 도메인 RRM, 및 보조 모티프 "RGG"(아르기닌, 글라이신, 글라이신) 박스를 포함하는 영역의 보존성을 보여준다.
주목할 만하게는, 모노클로날 항체 Mab1F1이 웨스턴 블롯 실험에서 재조합 단백질 G3BP2(단형)을 인식할 수 없다는 사실이다. N-말단 서열의 비교는 도 4에 절단으로 확인된 몇몇 차이를 드러내었다.
상이한 발산 영역을 포함하는 펩타이드의 사용으로 G3BP 단백질 상의 항체 인식 도메인을 특정할 수 있다.
일례로, 전술한 단백질 서열의 비교는 각종 펩타이드(A-F)의 합성을 가능케 한다:
펩타이드 A: LLNQAPDMLHRFY
G3BP 단백질의 아미노산 22-34
펩타이드 B: LLNKAPEYLHRFY
G3BP2 단백질의 아미노산 22-34
펩타이드 C: HGGLDSNGKPADAV
G3BP 단백질의 아미노산 42-55
펩타이드 D: HGGVDASGKPQEAV
G3BP2 단백질의 아미노산 42-55
펩타이드 E: LLSNNNQALRRFMQ
G3BP 단백질의 아미노산 97-111
펩타이드 F: HNDIFRYQDEVFG
G3BP 단백질의 아미노산 127-139
이어서, 이들 펩타이드를 (i)과 (ii)에 대해 시험한다:
(i)ELISA 시험에서 항체 Mab1F1 인식능,
(ii)웨스턴 블롯 실험에서 항체 Mab1F1에 의한 G3BP 단백질의 인식 억제능.
(i)ELISA 시험에서 펩타이드 A-F의 시험
카보네이트 완충액(0.1 M, pH 9.6) 중 10 mg/㎖ 펩타이드 용액을 96-웰 플레이트 상 4℃에서 밤새 흡착에 의해 고정시킨다. PBS에서 세척한 후, 웰을 1% PBS/BSA 완충액 중 실온에서 4시간 포화시킨다. PBS/0.05% Tween에서 3회 세척 후, 상이한 웰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PBS/0.2% BSA 중 정제된 항체 Mab1F1(10 ng/㎖ 내지 1 pg/㎖)의 희석액과 접촉시킨다. PBS 완충액/0.05% Tween에서 3회 세척 후, 웰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퍼옥시다제-커플링 항-마우스 항체의 희석액과(PBS/0.2% BSA 중 1/1000 희석)(Pharmacia) 배양한다. PBS 완충액/0.05% Tween에서 3회 세척 후, H2O 10 ㎖, OPD 1정, 메탄올 100 ㎖, 및 H2O225 ㎖를 혼합하여 비색정량 반응을 전개시킨다. 반응을 4N H2SO4로 중단시키고, 분광광도 판독을 492 nm에서 수행한다(기준 필터 620 nm).
수득된 결과는 펩타이드 A가 이 시험에서 가장 반응성임을 보여주고 ELISA 시험에서 항체 Mab1F1을 인식할 수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들 결과는 항체 Mab1F1에 의해 인식된 에피토프가 G3BP의 아미노산 22 내지 34로 규정되는 도메인에 위치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항체 1E1을 가지고 수행한 동일 실험은 동일 결과를 낳았다.
(ii)웨스턴 블롯 실험에서 항체 Mab1F1에 의한 G3BP 단백질의 인식 억제능에 대한 펩타이드 A-F의 시험
웨스턴 블로팅에 의한 단백질의 검출은 실시예 2에 기재된 기술에 따라 수행된다(2.1: 웨스턴 블로팅에 의한 단백질의 검출). 경쟁을 위해, 항체는 막과 접촉시키기 전에 펩타이드의 희석액과 37℃에서 2시간 예비배양한다. 각각의 펩타이드에 대해, 두 농축액을 시험한다: 항체에 대해 10 및 100배 몰과량.
수득 결과는 펩타이드 A와 C가 G3BP 단백질과 항체 MabF1 간의 상호작용을 제거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주로 100배 몰과량으로 하였을 때).
모든 이들 결과는 G3BP 도메인에 대응하는 펩타이드 A(G3BP의 아미노산 22-34) 및 펩타이드 C(G3BP의 아미노산 42-55)가 항체 Mab1F1과의 인식에 관여함을 보여준다.
따라서, G3BP와 G3BP2 간의 서열 비교는 각종 펩타이드의 확인 및 G3BP에 의한 아폽토시스의 조절에 있어 이들의 역할 증명을 허용한다; 이들 결과는 다양한 적용, 이들 펩타이드 또는 이들을 함유하는 폴리펩타이드의 효과를 모방하는 소형 분자 입수를 위해 특히 분자 모델링을 위한 이들 펩타이드의 사용을 구상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이들 펩타이드는 G3BP 단백질과 세포 파트너의 상호작용을 제거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세포 파트너는 단백질이 이량체를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G3BP 자체일 수 있다; 이러한 파트너는 또한 공지의 파트너(RasGAP) 또는 새로 확인된 파트너일 수 있다. 이런 취지로, 수지와 커플링된 이들 펩타이드는 G3BP의 세포 파트너 탐색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치료용 분자의 스크리닝은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의 억제를 기초로 확립될 수 있다.
실시예 8. G3BP1 단편의 작제 및 이들 단편의 아폽토시스 활성
실시예 7에서 수득된 결과에 비추어, G3BP의 N-말단 단편의 발현을 허용하는 플라스미드를 작제하여 이들 단편의 아폽토시스 활성을 시험한다. 이를 위해, 단편을 하기 프라이머로부터 PCR에 의해 증폭시킨다:
A - G3BP내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5′(뉴클레오타이드 1)
cccgtcgacatggtgatggagaagcctagtcccctg
B - G3BP내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5′(뉴클레오타이드 42)
cccgggtcgactttgtgacagtattacaca
C - G3BP내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3′(뉴클레오타이드 150)
cccgggtgcggccgcctttccatttgaatccaatcc
단편(1-150) 및 (42-150)을 PCR(50℃에서 30 사이클)로 증폭시키고, 제한효소 Sa11 및 Not1으로 가수분해시킨 다음, 시판 벡터 pCMV/cyto(Invitrogen, pShooter Vector manual II, 버전 C) 중으로 삽입시킨다.
수득된 단편의 서열은 후술된다: 벡터로부터 수득되고 해독되는 서열을 대문자로 표기하고, G3BP cDNA의 서열을 소문자로 표시하였다. 밑줄 친 영역은 Tag myc를 암호화하는 벡터 서열에 대응한다.
(단편 1-150)
5′ATGGCCCAGGTGCAGCTGCAGGTCatggtgatggagaagcctagtcccctgctggtc
gggcgggaatttgtgagacagtattacacactgctgaaccaggccccagacatgctgcatagattttatggaaag
aactcttcttatgtccatgggggattggattcaaatggaaagGCGGCCGCAGAACAAAAACT
CATCTCAGAAGAGGATCTGAATGGGGCCGCATAG3′
상응하는 폴리펩타이드는 하기와 같이 제조한다. 이 폴리펩타이드는 서열이 서열번호 1에 제시된 G3BP 단백질의 아미노산 1 내지 50에 대응하는 단편을 포함한다; 이 단편은 볼드체로 하기에 나타낸다.
MAQVQLQVMVMEKPSPLLVGREFVRQYYTLLNQAPDMLHRFYGKNSSY
VHGGLDSNGKAAA EQKLISEEDLNGAA
(단편 42-150)
5′ATGGCCCAGGTGCAGCTGCAGGTCtttgtgagacagtattacacactgctgaaccagg
ccccagacatgctgcatagattttatggaaagaactcttcttatgtccatgggggattggattcaaatggaaagGC
GGCCGCAGAACAAAAACTCATCTCAGAAGAGGATCTGAATGGGGC
CGCATAG3′
상응하는 폴리펩타이드는 하기와 같이 제조한다. 이 폴리펩타이드는 서열이 서열번호 1에 나타낸 G3BP 단백질의 아미노산 15 내지 50에 대응하는 단편을 포함한다; 이 단편은 하기에 볼드체로 나타내었다.
MAQVQLQVFVRQYYTLLNQAPDMLHRFYGKNSSYVHGGLDSNGKAAAE
QKLISEEDLNGAA
G3BP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의 단편 1-150 및 42-150을 포함하는 작제물을 형질전환주 NIH3T3Ras 및 NIH3T3Raf에 형질감염시킨다. 이들 세포주는 종양유전자 Ki-RasVa112에 의해,또는 v-RaF의 발암성 바이러스 형태로 IH3T3의 형질전환 후에 수득된다.
아폽토시스 검출을 위해, 플라스미드 2 mg을 리포펙타민(Gibco-BRL)로 형질감염시키고, FACS 분석에 의해 형질감염 48시간 후에 아폽토시스를 측정한다. 아폽토시스를 겪는 세포는 subG1기에 있는 세포에 해당한다.
이러한 조건하에서, G3BP 서열의 단편 1-150을 발현하는 작제물(아미노산 1 내지 50을 포함하는 G3BP의 단편을 암호화)은 아폽토시스를 유도할 수 있는 반면에(4배), G3BP 서열의 단편 42-150을 발현하는 작제물(아미노산 15 내지 50을 포함하는 G3BP의 단편을 암호화)은 이러한 성질을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결과는 아폽토시스 유도에 관여된 도메인으로서 G3BP의 아미노산 1 내지 14에 대응하는 도메인을 표시한다. 이러한 G3BP 도메인의 확인과 G3BP의 아미노산 1 내지 14에 대응하는 도메인을 포함하는 폴리펩타이드의 아폽토시스 조절에서의 역할 증명은 세포 과증식을 수반하는 병리의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를 위한 이들 폴리펩타이드의 사용을 구상할 수 있게 한다.
실시예 9. huG3BP1의 단편과의 융합 단백질 작제
실시예 7에서 확인된 펩타이드 발현을 허용하는 작제물을 생성시킨다. 펩타이드에 상응하는 서열을 GST(글루타치온 S-트랜스퍼라제) 단백질과 융합시켜 그들을 안정화시킨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의 서열:
각각의 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는 NcoI 부위를 재구성하기 위하여 4 뉴클레오타이드에 의해 5′에서, 및 BamHI 부위를 형성하기 위하여 정지 코돈(TAA) 및 뉴클레오타이드에 의해 3′에서 경계를 이룬다.
sq22s: tatgctgctgaaccaggccccagacatgctgcatagattttattaag
sq22as: gatccttaataaaatctatgcagcatgtctggggcctggttcagcagca
(서열 66-105)
sq44gls: tatgggattggattcaaatggaaagccagcagatgcagtctaag
sq44glas: gatccttagactgcatcfgctggctttccatttgaatccaatccca
(서열 130-166)
sq44g2s: tatgggagtagatgctagtggaaagccccaggaagctgtttaag
sq44g2as: gatccttaaacagcttcctggggctttccactagcatctactccca
(서열 130-166)
sq64s: tatgcagaaagaaatccacaggaaagtgatgtcacaaaacttctaag
sq64as: gatccttagaagttttgtgacatcactttcctgtggatttctttctgca
(서열 172-211)
sq65s: tatgaaagtgatgtcacaaaacttcaccaactgctaag
sq65as: gatccttagcagttggtgaagttttgtgacatcactttca
(서열 190-220)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80℃에서 실온으로 냉각시킴으로써 쌍으로 하이브리드화시키고, T4 폴리뉴클레오타이드 키나제(Boehringer)로 인산화시킨 다음, 벡터 "pBCcollGSTfusion"에 NcoI 및 BamHI 부위에서 삽입시킨다. 이 벡터는 진핵세포에서, SV40 프로모터(Genbank, X78316)를 사용하여 GST 융합 단백질의 발현을 허용한다. 이어서, 플라스미드를 인간 종양주 Hela 및 H1299(재료와 방법에 설명) 중으로 형질감염시킨다; 유도된 아폽토시스는 실시예 8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FACS로 측정된다.
서열목록
(1)일반정보:
(i)출원인:
(A)명칭:로오느 푸우랜크 로레르 소시에테 아노님
(B)거리:아브뉴 레이몽 아롱 20
(C)도시:앙토니
(E)국가:프랑스
(F)우편번호:92165
(ii)발명의 명칭:GAP 단백질의 SH3 도메인에 결합할 수 있는 펩타이드
(iii)서열 개수:2
(iv)컴퓨터 판독형태:
(A)매체형:테이프
(B)컴퓨터:IBM PC 호환기종
(C)운영체제:PC-DOS/MS-DOS
(D)소프트웨어:PatentIn Release #1.0, 버전 #1.25 (EPO)
(2)서열번호 1에 대한 정보:
(i)서열 특징:
(A)길이:466 아미노산
(B)종류:아미노산
(C)본쇄형:일본쇄
(D)토폴로지:선형
(ii)분자형:펩타이드
(xi)서열배열:서열번호 1:
(2)서열번호 2에 대한 정보:
(i)서열 특징:
(A)길이:2129 염기쌍
(B)종류:뉴클레오타이드
(C)본쇄형:일본쇄
(D)토폴로지:선형
(ii)분자형:cDNA
(iii)가설:없음
(xi)서열배열:서열번호 2:

Claims (12)

  1. G3BP 단백질에 대한 항체이고 각종 종양세포에서 아폽토시스를 유도할 수 있는 모노클로날 항체.
  2. G3BP 단백질의 위치 1 및 144에 위치한 아미노산 간의 에피토프를 인식할 수 있는 모노클로날 항체.
  3.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G3BP 단백질의 위치 1 내지 72에 위치한 아미노산 간의 에피토프, 바람직하게는 G3BP 단백질의 위치 22 내지 55에 위치한 아미노산 간의 에피토프, 및 바람직하게는 또한 위치 22 내지 34에 위치한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에피토프를 인식할 수 있는 모노클로날 항체.
  4. 제 1 항 내지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998년 6월 9일자로 C.N.C.M.에 기탁번호 I-2038로 기탁된 하이브리도마주 G3B 1F1 1D1에 의해 분비되는 항체 Mab 1F1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체.
  5. 의약을 수득하기 위한 제 1 항 내지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항체의 용도.
  6. 과증식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의약을 수득하기 위한 제 1 항 내지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항체의 용도.
  7.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임의로 혼합된 치료 유효량의 제 1 항 내지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모노클로날 항체를 포함하고, 유효량이 종양세포에서 아폽토시스를 유도하기에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인 약학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모노클로날 항체를 분비할 수 있는 하이브리도마주.
  9. 1998년 6월 9일자로 C.N.C.M.에 기탁번호 I-2038로 기탁된 하이브리도마주 G3B 1F1 1D1.
  10. (1)G3BP 단백질 또는 적어도 N-말단 도메인의 일부를 포함하는 단편(aa 1-144)의 도움으로 면역된 동물로부터의 비장세포를 하이브리도마 형성을 허용하는 조건하에서 골수종 세포와 융합;
    (2)각종 종양주에서 아폽토시스를 유도할 수 있는 모노클로날 항체를 분비하는 하이브리도마의 모노클로날 항체의 검출 및 분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각종 종양주에서 아폽토시스를 유도할 수 있는 모노클로날 항체의 생산방법.
  11. 진단시약으로서 제 1 항 내지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항체의 용도.
  12. 제 1 항 내지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항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키트.
KR1020007014316A 1998-06-17 1999-06-17 지3비피 단백질에 대한 모노클로날 항체 및 이의 용도 KR1006949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8/07,617 1998-06-17
FR9807617A FR2780062B1 (fr) 1998-06-17 1998-06-17 Anticorps monoclonaux diriges contre la proteine g3bp, et leurs utilisa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2942A true KR20010052942A (ko) 2001-06-25
KR100694917B1 KR100694917B1 (ko) 2007-03-14

Family

ID=9527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4316A KR100694917B1 (ko) 1998-06-17 1999-06-17 지3비피 단백질에 대한 모노클로날 항체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7001980B1 (ko)
EP (1) EP1087997B1 (ko)
JP (1) JP2002518001A (ko)
KR (1) KR100694917B1 (ko)
CN (1) CN1213070C (ko)
AT (1) ATE395363T1 (ko)
AU (1) AU764139B2 (ko)
CA (1) CA2331151A1 (ko)
DE (1) DE69938725D1 (ko)
FR (1) FR2780062B1 (ko)
HU (1) HUP0103152A3 (ko)
IL (2) IL139852A0 (ko)
WO (1) WO199906594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1266070A1 (en) * 2000-06-16 2001-12-24 Max-Planck-Gesellschaft Zur Forderung Der Wissenschaften E.V. Method for identifying apoptosis-modified proteins
CN1341644A (zh) * 2000-09-07 2002-03-27 上海博德基因开发有限公司 一种新的多肽——人核内非均-核蛋白32.01和编码这种多肽的多核苷酸
AUPR721101A0 (en) * 2001-08-23 2001-09-13 University Of Queensland, The Nucleic acid and polypeptide linked to breast cancer
EP1514118A2 (en) * 2002-06-20 2005-03-16 EVOTEC Neurosciences GmbH Diagnostic and therapeutic use of ras-gtpase-activating sh3-domain-binding protein 2 (g3bp2) for neurodegenerative diseases
CA2530613A1 (en) * 2003-06-30 2005-01-06 Universite De Lausanne Rasgap derived peptide for selectively killing cancer cells
ES2429407T3 (es) 2006-06-08 2013-11-14 Chugai Seiyaku Kabushiki Kaisha Agente preventivo o remedio para enfermedades inflamatorias
RU2531521C2 (ru) 2007-12-05 2014-10-20 Чугаи Сейяку Кабусики Кайся Антитело против nr10 и его применение
CN102625711A (zh) 2009-09-10 2012-08-01 梅约医学教育与研究基金会 调节去泛素化酶和泛素化多肽的方法和材料
CN101921313B (zh) * 2010-04-07 2012-02-29 武汉凯泰新生物技术有限公司 治疗或预防癌症的多肽或其衍生产品及应用
MX2013009859A (es) 2011-03-01 2014-02-28 Novo Nordisk As Ligandos dr3 antagonicos.
MA43918A (fr) 2015-04-14 2018-12-05 Chugai Pharmaceutical Co Ltd Composition pharmaceutique pour la prã‰vention et/ou le traitement de la dermatite atopique contenant comme principe actif un antagoniste de l'il-31
CN106771258A (zh) * 2017-02-16 2017-05-31 广州赛太特生物医学科技有限公司 一种半乳糖凝集素‑3结合蛋白的检测试剂盒及其方法和应用
TW202128222A (zh) 2019-11-20 2021-08-01 日商中外製藥股份有限公司 含有抗體之製劑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2648A (en) 1993-07-01 1995-04-04 Apd Cryogenics Inc. Sealed dewar with separate circulation loop for external cooling at constant pressure
IL116026A (en) * 1994-11-22 2005-08-31 Rhone Poulenc Rorer Sa Peptides capable of linking to the sh3 domain of gap, nucleotide sequences encoding the same, their preparation and uses
US5783186A (en) * 1995-12-05 1998-07-21 Amgen Inc. Antibody-induced apoptosis
US6252050B1 (en) * 1998-06-12 2001-06-26 Genentech, Inc. Method for making monoclonal antibodies and cross-reactive antibodies obtainable by the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001980B1 (en) 2006-02-21
AU764139B2 (en) 2003-08-14
HUP0103152A2 (hu) 2001-12-28
AU4151599A (en) 2000-01-05
FR2780062B1 (fr) 2000-07-28
KR100694917B1 (ko) 2007-03-14
ATE395363T1 (de) 2008-05-15
IL139852A (en) 2006-04-10
EP1087997A2 (fr) 2001-04-04
IL139852A0 (en) 2002-02-10
WO1999065947A2 (fr) 1999-12-23
HUP0103152A3 (en) 2004-03-01
CN1213070C (zh) 2005-08-03
CN1305497A (zh) 2001-07-25
EP1087997B1 (fr) 2008-05-14
JP2002518001A (ja) 2002-06-25
DE69938725D1 (de) 2008-06-26
CA2331151A1 (fr) 1999-12-23
WO1999065947A3 (fr) 2000-02-24
FR2780062A1 (fr) 1999-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67542B1 (en) Neutralizing monoclonal antibody against human dll4
RU2448979C2 (ru) Антитела человека к дельта-подобному лиганду-4 человека
US5820859A (en) Method of targeting a therapeutic agent to cells expressing the erb B-3 receptor
EP1650219B1 (en) Human toll homologues
US20060088521A1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cancer treatment
KR100694917B1 (ko) 지3비피 단백질에 대한 모노클로날 항체 및 이의 용도
AU2019276486A1 (en) Anti-interleukin-17A antibody, pharmaceutical composition thereof and use thereof
KR20080059449A (ko) 치료용 약제
KR20100023869A (ko) 페리오스틴의 Exon-17 부위에 의해 코드되는 펩티드에 대한 항체를 함유하는 암 치료제
JP2021046417A (ja) 抗Aggrusモノクローナル抗体、CLEC−2との結合に必要なAggrusの領域、及びAggrus−CLEC‐2結合阻害剤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
JP2022513008A (ja) 融合タンパク質およびその使用
KR101953299B1 (ko) EGFRvIII에 대한 항체 및 이의 이용
KR20220009910A (ko) Ptk7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및 이의 용도
US9090699B2 (en) Mig-7 as a specific anticancer target
CN113045664B (zh) 一种分离的结合抗原axl的蛋白及其用途
CN114656567A (zh) 抗icos抗体及其应用
JP3920556B2 (ja) 短縮型ミッドカイン(tMK)タンパク質特異的モノクローナル抗体及びその用途
MXPA00011919A (en) Monoclonal antibodies directed against the g3bp protein, and uses
Mariner et al.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onoclonal antibodies to ARVCF
CN117362433A (zh) 分离的抗原结合蛋白及其用途
KR20120140097A (ko) 암 진단 및 치료용 조성물 및 방법
AU2007203155B2 (en) Human toll homologues
CN116635418A (zh) 抗igsf1抗体及其用途
CN115043942A (zh) Ror1结合蛋白及其用途
EP1160572A1 (en) Diagnostics and remedies for leukem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