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2788A - 트랙 교차점 판별회로 - Google Patents

트랙 교차점 판별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2788A
KR20010052788A KR1020007014094A KR20007014094A KR20010052788A KR 20010052788 A KR20010052788 A KR 20010052788A KR 1020007014094 A KR1020007014094 A KR 1020007014094A KR 20007014094 A KR20007014094 A KR 20007014094A KR 20010052788 A KR20010052788 A KR 20010052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alue
holding
generating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4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7824B1 (ko
Inventor
란겐후이젠테오도루스에이.이.
아케르만스안토니우스에이치.엠.
Original Assignee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요트.게.아. 롤페즈
Publication of KR20010052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2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7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78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 G11B7/08505Methods for track change, selection or preliminary positioning by moving the head
    • G11B7/08541Methods for track change, selection or preliminary positioning by moving the head involving track counting to determine posi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 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Recording Measured Values (AREA)

Abstract

판독신호로부터, 비교적 낮은 주파수 성분을 갖는 보조신호(Sa)가 발생된다. 이 장치는, 보조신호(Sa)에 대해, 제 1 유지신호(H1)를 발생하는 제 1 유지수단(8)과 제 2 유지신호(H2)를 발생하는 제 2 유지수단(9)을 구비한다. 제 1 유지수단(8)은, 제 1 유지신호(H1)의 값을 추가값(Sa+Δ) 만큼 증가된 보조신호의 기저값과 거의 일치하는 값으로 일시적으로 유지시키도록 구성되며, 제 2 유지수단은, 제 2 유지신호(H2)의 값을 공제값(Sa-Δ) 만큼 감소된 보조신호의 정상값과 일치하는 값으로 일시적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트랙 교차점 판별회로{TRACK CROSSING DISCRIMINATING CIRCUIT}
본 발명은, 기록매체를 구동하고, 기록매체에 기록된 패턴에 응답하여 판독신호를 발생하는 변환기와, 변환기와 기록매체를 서로에 대해 변위시키는 변위수단을 구비하며,
판독신호에 비해 비교적 낮은 주파수 성분을 갖는 보조신호를 판독신호로부터 유도하는 보조신호 발생수단과,
보조신호로부터 이진신호를 발생하며, 제 1 유지신호를 발생하는 제 1 유지수단과, 제 2 유지신호를 발생하는 제 2 유지수단과, 제 1 유지신호와 제 2 유지신호로부터 슬라이싱 신호(slicing signal)를 발생하는 신호 합성수단과, 보조신호를 슬라이싱 신호와 비교하여 이진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비교수단을 포함하는 이진신호 발생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유지수단은 제 1 유지신호를 보조신호의 정상(top)값과 거의 일치하는 값으로 일시적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 유지수단은 제 2 유지신호를 보조신호의 기저(bottom)값과 일치하는 값으로 일시적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서두에 개시된 것과 같은 장치는, 유럽특허 출원 EP 814 462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판독신호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정보를 나타내는 비교적 고주파 성분과, 변위수단의 제어를 위해 사용되는 비교적 저주파 성분을 포함한다. 판독신호의 진폭은 디스크 상의 지문과 같은 다수의 원인으로 인해 변할 수 있다. 그 결과, 보조신호는 그 자체가 변할 수 있는 중심값 부근에서 변화한다. 공지된 장치에 있어서, 가산기와 승산기로 이루어지는 신호 합성수단은, 정상 유지 검출기로부터 제 1 유지신호를 수신하고, 기저 유지 검출기로부터 제 2 유지신호를 수신한다. 제 1 유지신호의 값은, 상기한 출력값이 정상 유지 검출기의 입력에 있는 보조신호보다 높은 구간 동안 점진적으로 줄어든다. 정상 유지 검출기, 기저 유지 검출기와 출력수단의 조합은 이 장치가 슬라이싱 레벨을 중심값의 비교적 느린 변화에 맞추어 변경될 수 있도록 하므로, 이와 같은 느린 변화에도 불구하고, 신뢰할 수 있는 이진 출력신호가 얻어진다. 더구나, 이 장치는, 신뢰할 수 있는 보조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정상 유지 검출기와 기저 유지 검출기의 적어도 한 개를 유지하는 결함신호 검출부를 갖는다. 이와 같은 종래의 장치가 갖는 문제점은, 이진신호 발생수단이 보조신호의 중심값의 급속한 변화를 따라갈 수 없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점이 해소된 서두에 따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상기 제 1 유지수단이 제 1 유지신호의 값을 추가값만큼 증가된 보조신호의 기저값과 거의 일치하는 값으로 일시적으로 유지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제 2 유지수단이 제 2 유지신호의 값을 공제값만큼 감소된 보조신호의 정상값과 일치하는 값으로 일시적으로 유지하도록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조신호가 일정한 중심값 또는 느리게 변화는 중심 레벨 부근에서 변하는 상태에서는, 제 1 유지신호의 값이 추가값만큼 증가된 보조신호보다 작게 유지된다. 마찬가지로, 제 2 유지신호의 값은 공제값만큼 줄어든 보조신호의 값보다 크게 유지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슬라이싱 레벨이 보조신호의 정상 유지값과 기저 유지값에 근거하게 된다. 그러나, 추가값(증가된 값)을 갖고 증가된 보조신호의 값이 현재의 정상값보다 낮은 값까지 감소하면, 제 1 유지수단의 출력은 증가된 값에 의해 결정된다. 마찬가지로, 공제된 값(감소된 값)을 갖고 감소된 보조신호의 값이 현재 기저값보다 높은 값까지 증가하면, 제 2 유지수단의 출력은 감소된 값에 의해 결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이진신호 발생수단이 보조신호의 특성의 변화에 신속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한다.
USP 5 412 692에는, 최대값 검출기, 최소값 검출기, 전압 시프트다운(shift-down) 회로와 전압 시프트업 회로를 구비한 이진신호 발생수단을 갖는 데이터가 개시되어 있다, 슬라이싱 레벨은, 전압 시프트다운 회로와 전압 시프트업 회로에 의해 발생된 신호의 평균값에 의해 결정된다. 이와 같은 평균값은 일반적으로, 시프트업 회로에 의해 발생된 값과 시프트다운 회로에 의해 발생된 값의 차이에 비례하는 오차를 갖는다. 그러나, 이진 출력신호의 정밀도에 미치는 상기한 오차의 영향은, 제 1 보조신호가 작은 진폭을 갖는 구간 동안에 증가한다. 본 발명의 장치에서는, 이와 같은 상태에서의 정상 유지값과 기저 유지값으로부터 슬라이싱 레벨이 연산된다. 따라서, 정상값과 기저값 사이의 차이와, 이것과 함께 슬라이싱 신호의 오차도 작아진다.
이하, 본 발명의 장치의 이와 같은 발명내용과 또 다른 발명내용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이진신호 발생수단의 일부분을 더욱 상세히 나타낸 것이며,
도 3 및 도 4는 도 1, 도 2a 및 도 2b의 장치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나타낸 것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이진신호 발생수단의 일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은 기록매체(1)를 구동하는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 장치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패턴에 응답하여 판독신호 Sr을 발생하는 변환기(2)를 구비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기록매체(1)는 광 디스크로 이루어지지만, 이 기록매체는 예를 들면 자기 기록매체와 같은 다른 형태의 기록매체이거나, 예를 들면, 테이프 또는 카드의 형태와 같이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변환기(2)는, 활주부재 모터(4)에 의해 구동되는 활주부재(3)에 의해 광 디스크에 대해 변위될 수 있다. 더구나, 기록매체는 스핀들 모터(5)에 의해 회전된다. 활주부재 모터(5)와 스핀들 모터(5) 모두는 마이크로프로세서(6)에 의해 제어된다.
이 장치는, 판독신호 Sr로부터 보조신호 Sa를 유도하는 저역 필터로 이루어진 보조신호 발생수단(7)을 구비한다. 보조신호 Sa는 판독신호 Sr에 비해 비교적 낮은 주파수 성분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신호 Sa는 저역 필터링된 중앙 개구신호이지만, 이 신호 Sa는 초점오차 신호와 같이 다른 저주파 신호일 수 있다.
보조신호 Sa는 제 1 유지수단(8)에 의해 수신되어 제 1 유지신호 H1을 발생하고 제 2 유지수단(9)에 의해 수신되어 보조신호 Sa로부터 제 2 유지신호 H2를 발생한다. 이 제 1 유지신호 H1과 제 2 유지신호 H2는 가산기(10)에 의해 가산된다. 제산기(11)는 출력신호를 2로 나누어, 슬라이싱 신호 St를 발생한다. 이때, 가산기(10)와 제산기(11)는 신호 합성수단을 구성한다.
제 1 유지수단(8)은, 제 1 유지신호 H1을 보조신호 Sa의 정상값과 거의 일치하는 값으로 일시적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제 2 유지수단(8)은, 제 2 유지신호 H2를 보조신호 Sa의 기저값과 거의 일치하는 값으로 일시적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 장치는, 보조신호 Sa와 슬라이싱 신호 St를 비교하여 이진신호 Sb를 출력하는 비교수단(12)을 더 갖는다.
제 1 유지수단(8), 제 2 유지수단(9), 신호 합성수단(10, 11)과 비교수단(12)은 함께 보조신호 Sa로부터 이진신호 Sb를 발생하는 이진신호 발생수단을 구성한다.
제 1 유지수단(8)은, 제 1 유지신호 H1의 값을 추가값만큼 증가된 보조신호의 기저값과 거의 일치하는 값으로 일시적으로 유지하도록 더 구성된다. 제 2 유지수단(9)은, 제 2 유지신호의 값을 공제값만큼 감소된 보조신호의 정상값과 일치하는 값으로 일시적으로 유지하도록 더 구성된다.
본 발명의 장치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 1 유지수단(8)을 도 2a에 더욱 상세히 나타내었다. 제 1 유지수단(8)은 추가값 Δ를 사용하여 보조신호 Sa를 증가시키는 가산기(81)를 구비한다. 최소값 검출기(82)는, 이와 같이 얻어진 신호와 중간 신호, 즉 제 1 유지신호 H1의 최소값에 해당하는 신호를 발생한다. 최소 검출기(82)의 출력은 스위칭 소자(83)의 제 1 입력(83a)에 접속된다. 스위칭 소자(83)의 제 2 입력(83b)은 신호 H10을 발생하는 프리셋 신호 발생원(미도시)에 접속된다. 스위치(83)의 제어 입력(83c)은 마이크로프로세서(6)에 접속된다. 스위칭 소자(83)를 통해, 프리셋 값 H10이 지연소자(84)에 적재될 수 있다. 이 프리셋 값 H10은, 추가값 Δ를 사용하여 증가된 장치의 트랙 추종 모드 동안의 보조신호 Sa의 값, 여기에서는 저역 필터링된 중앙 개구신호의 값과 동일하다.
제 1 유지수단(8)은, 보조신호 Sa와 중간 신호의 최대값과 거의 일치하는 신호 H1을 발생하는 최대값 검출기(85)를 더 구비한다. 중간 신호는 지연소자(84)로부터 수신된다. 최대값 검출기(85)는, 보조신호 Sa를 수신하는 제 1 입력(86a)을 갖는 스위칭 소자(86)를 구비한다. 제 2 입력(86b)은 감산소자(87)의 입력(87a)을 통해 지연소자에 접속된다. 감산부(87)의 또 다른 입력(87b)은 감쇠신호(decay signal) γ를 수신한다. 스위칭 소자(86)는 비교기(88)의 출력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비교기는 보조신호 Sa를 수신하는 제 1 입력(88a)과 지연소자(84)의 출력신호를 수신하는 제 2 입력(88b)을 갖는다. 비교기(88)는, 보조신호 Sa의 값이 지연소자(84)로부터 수신된 중간 신호의 값보다 높은지 여부를 나타내는 출력신호를 발생한다.
제 1 유지수단은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프리셋 제어신호 Pc에 의해, 스위칭 소자(83)는 프리셋 모드로 들어가, 그것의 제 2 입력(83b)에서 프리셋 값 H10을 받아들인다. 이 값 H10은 지연소자(10)에 적재된다. 지연소자(84)가 프리셋 값 H10을 수신한 후에, 프리셋 제어신호 Pc의 극성이 반전되어,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위칭 소자(83)를 정상동작 모드로 만들며, 이 스위칭 소자는 최소값 검출기(82)로부터의 입력을 받는다. 지연소자(84)의 출력은 보조신호 Sa와 비교된다. 보조신호 Sa의 값이 지연소자(84)의 출력 값보다 높거나 같으면, 스위칭 소자(86)는 그것의 제 1 입력(86a)으로부터 보조 입력신호 Sa를 선택하는 제 1 상태를 취한다. 보조신호 Sa의 값이 지연소자(84)의 출력 값보다 낮으면, 스위칭 소자는 감산소자(87)의 출력을 선택하는 제 2 상태를 취한다. 최소값 검출기(82)의 출력의 값은, 제 1 유지신호 H1의 값이거나 추가값 Sa+Δ 만큼 증가된 보조신호의 값 중에서 더 낮은 값이다.
이 장치의 트랙 추종 모드에 있어서, 중앙 개구신호 Sa는 트랙 점프 모드에서의 기저값과 거의 일치하는 일정한 값을 갖는다. 따라서, 제 2 유지신호 H2는 신호 Sa에 신뢰할 수 있게 근거를 둘 수 있다. 그러나, 신호 Sa의 정상값은 트랙 점프 모드 동안에만 측정될 수 있다. 이것은, 트랙 점프 모드에 들어갈 때, 슬라이싱 레벨 St와 그것과 함께 이진신호 Sb가 신뢰할 수 없게 되어, 잘못된 트랙 산출을 일으킬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추가값 Δ를 사용하여 증가된 트랙 추종 모드 동안에 측정된 신호 Sa의 값과 동일한 값 H10을 사용하여 제 1 유지신호가 초기화된다. 값 H10은 보조신호 Sa의 정상값의 추정값이다. 이것은, 장치가 트랙 점프 모드에 들어간 직후에 신뢰할 수 있는 이진신호 Sb를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b에 도시된 제 2 유지수단은 제 1 유지수단과 유사하지만, 다음과 같은 점에서 차이점을 갖는다. 가산소자(81), 최소값 검출기(82)와 감산소자(87) 대신에, 제 2 유지수단(9)은 감산소자(91), 최대값 검출기(92)와 가산소자(97)를 구비한다.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은 비교기(88) 대신에, 제 2 유지수단(9)은 보조신호의 값이 지연소자의 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결정하는 비교기(98)를 구비한다. 도 2b에 도시된 나머지 구성요소는, 10이 작은 도면부호를 갖는 도 2a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동등하다.
도 1,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장치의 동작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예시한다. 도 3의 실선은 보조신호 Sa, 추가값 Sa+Δ 만큼 증가된 보조신호와 공제값 Sa-Δ 만큼 감소된 보조신호를 나타낸다. 도 3의 점선은 제 1 유지신호 H1과 제 2 유지신호 H2를 더 나타낸다. 시간 t0에, 값 H10을 스위칭 소자(83)를 통해 지연소자(84)에 적재함으로써 제 1 유지신호의 값이 프리셋된다. t0로부터 t1까지의 시간 간격에서는, 보조신호 Sa의 값이 지연소자(84)에 의해 출력된 신호의 값보다 작다. 이 시간 간격에서 스위칭 소자(86)는 그것의 제 2 입력(86)에서 신호를 선택한다. 이것은, 제 1 유지신호 H1이 감쇠값 γ 만큼 줄어든 지연소자(84)의 출력과 동일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 시간 간격에서는, 제 1 유지신호 H1의 값이 신호 Sa+Δ의 값보다 작다, 따라서, 스위칭 소자(83)를 통해 지연소자(84)로 전달된 최소값 검출기(82)의 출력신호는 제 1 유지신호 H1의 값과 동일하다. 그 결과, 제 1 유지신호 H1의 값이 t0로부터 t1의 시간 간격에 계단식으로 줄어든다. t1으로부터 t2까지의 시간 간격에서는, 지연소자(84)의 출력신호의 값이 보조신호 Sa의 값보다 낮다. 이에 따라, 스위칭 소자(86)는 그것의 제 1 입력(86a)에 주어진 보조신호 Sa를 선택하므로, 제 1 유지신호 H1이 보조신호 Sa와 동일하다. 시간 간격 t1-t2에서는, 제 1 유지신호 H1의 값이 추가값 Sa+Δ 만큼 증가된 보조신호의 값보다 여전히 낮다. 따라서, 제 1 유지신호 H1의 값이 최소값 검출기(82)와 스위칭 소자(83)를 통해 지연소자(84) 내부로 적재된다. 시간 t2 다음에는, 제 1 유지수단(8)이 t2에서 검출된 보조신호 Sa의 정상값과 거의 일치하는 값으로 제 1 유지신호의 값을 일시적으로 유지한다. 이때, 거의 일치한다는 것은 보조신호의 피크대 피크값의 10% 이하 만큼 다른 것으로 정의한다. H1의 값이 상기한 정상값과 거의 일치하는 지속기간은, 감쇠 인자 γ와 제 1 유지신호의 새로운 값이 연산될 때의 속도에 의존한다. 시간 간격 t4-t5 동안에는, 제 1 유지수단(8)의 동작이 시간 간격 t2-t3에서의 동작과 동일하다. 시간 간격 t3-t4에서는 동작이 동작 t1-t2와 동일하다. t5에서 t6까지의 시간 간격에서는, 추가값 만큼 증가된 보조신호 Sa+Δ의 값이 제 1 유지신호 H1의 값보다 작다. 따라서, 최소값 검출기(82)의 출력이 신호 Sa+Δ의 값과 같으므로, 이 값이 스위칭 소자(83)를 통해 지연소자(84)에 적재된다. 이에 따라 비교기(88)는, 지연소자(84)의 출력신호의 값이 보조신호 Sa의 값보다 높은 것을 검출하여, 스위칭 소자(86)가 제 1 유지신호 H1로서 극서의 제 2 입력(86b)에서 감산수단(87)의 출력신호를 선택한다. 이것은, 제 1 유지신호가 시간 간격 t5-t6에서의 신호 Sa+Δ를 거의 따라가는 효과를 갖는다. 그후, 제 1 유지수단(8)은 제 1 유지신호 H1을 신호 Sa+Δ의 값과 일치하는 값으로 일시적으로 유지한다.
t7에서 t8까지의 시간 간격에서는, 보조신호 Sa의 값이 지연소자(94)의 출력의 값보다 작다. 그 결과, 스위칭 소자(96)는 제 2 유지신호 H2로서 보조신호 Sa를 선택한다. 따라서, 이 값이 감산값 Sa-Δ 만큼 줄어든 보조신호의 값보다 높으므로, 제 2 유지신호 H2의 값이 최대값 검출기(92)를 통해 지연소자(94)에 적재된다. 다음의 시간 간격 t8-t9에서는, 보조신호의 값이 지연소자의 출력값보다 높으므로, 스위칭 소자는 제 2 유지신호로서 추가신호의 출력신호를 선택한다. 제 2 유지신호의 값이 여전히 신호 Sa-Δ의 값보다 높으므로, 지연소자는 제 2 유지신호를 수신한다. 이와 같은 시간 간격에서는, 제 2 유지수단(9)은 t9에 검출된 보조신호 Sa의 기저값과 일치하는 값으로 제 2 유지신호 H2를 일시적으로 유지한다.
시간 간격 t9-t10에서는, Sa-Δ의 값이 제 2 유지신호 H2의 값보다 높으므로, 지연소자(94)가 최대값 검출기(92)를 통해 이전의 신호 Sa-Δ를 수신한다. 지연소자(94)의 출력신호의 값은 보조신호 Sa의 값보다 작다. 따라서, 스위칭 소자(96)는 제 2 유지신호 H2로서 가산소자의 출력신호를 선택한다. 이에 따라, 제 2 유지신호 H2는 신호 Sa-Δ를 거의 따라간다. 시간 t10에서, 감산값 Sa-Δ 만큼 감소된 보조신호는 정상값을 얻는다. t2 이후에, 제 2 유지수단은 제 2 유지신호 H2의 값을 Sa-Δ의 정상값과 거의 일치하는 값으로 일시적으로 유지한다.
도 4는 마찬가지로 보조신호 Sa와 제 1 및 제 2 유지신호 H1, H2를 나타낸 것이다. 더구나, 도 4는 슬라이싱 신호 St와 이진신호 Sb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는, 슬라이싱 신호 St가 보조신호에 맞추어 적응되므로, 보조신호의 평균값의 변동에도 불구하고 신뢰할 수 있는 이진신호 Sb가 얻어진다는 것이 자명하다.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추가값은 공제값과 동일하다. 이들 모든 값은 보조신호의 정상 진폭의 분율과 동일한데, 즉 진폭의 0.6 내지 1.0이다. 이와 같은 경우에, 이 값들은 정상 진폭의 분율인 0.75와 동일하다.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유지수단(8)과 제 2 유지수단(9) 모두는 감쇠수단(87, 97)을 각각 포함한다. 감쇠수단은, 이진신호 발생수단이 변화하는 중심값 뿐만 아니라, 보조신호의 변화하는 진폭에 맞추어 적응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 1 유지수단을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유지신호 H1은 업/다운 카운터(100)에 의해 발생된다. 업 상태를 계수하기 위한 신호 UP은 제 1 비교기(101)에 의해 발생되며, 이 비교기는 제 1 유지신호 H1의 값과 보조신호 Sa의 값을 비교한다. 다운 상태를 계수하기 위한 신호 DOWN은, 제 1 유지신호 H1의 값과 신호 Sa+Δ의 값을 비교하는 제 2 비교기(102)에 의해 발생된다. 도 3에 도시된 시간 간격 t3-t4에서는, 신호 Sa의 값이 제 1 유지신호 H1의 값보다 높다. 신호 UP은 논리값 TRUE를 얻는다. 그 결과, 카운터(100)가 제 1 유지신호 H1의 값을 증가시키므로, 보조신호 Sa를 따르게 된다. 시간 t4에서는, 보조신호 Sa가 정상값을 얻는다. t4에서 t5까지의 시간 간격에서는, 제 1 유지신호 H1의 값이 보조신호 Sa의 값보다 높지만, 추가값 Sa+Δ를 사용하여 증가된 보조신호의 값보다 작다. 이와 같은 시간 간격에서는, UP도 DOWN 신호도 활성상태가 되지 않으므로, 제 1 유지신호의 값이 보조신호의 검출된 정상값으로 유지된다. 시간 간격 t5-t6에서는, 신호 Sa+Δ의 값이 제 1 유지신호 H1의 값보다 낮다. 따라서, DOWN 신호가 참이 되므로, 카운터(100)의 출력값이 신호 Sa+Δ 따른다. t6에서는, 신호 Sa+Δ가 기저값을 얻는다. t6 바로 다음의 구간에서는, 다시 UP도 DOWN도 활성상태가 되지 않으므로, 제 1 유지신호 H1의 값이 신호 Sa+Δ의 기저값으로 유지된다.
도 5b는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 2 유지수단(110-113)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제 2 유지수단의 동작은 도 5a에 도시된 제 1 유지수단의 동작과 유사하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에 주목하기 바란다. 청구범위 내부에 포함된 도면부호에 의해 보호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어 "포함한다"는 청구항에 기재된 것 이외의 다른 부분을 배제하지 않는다. 구성요소 앞의 단어 'a(n)'은 복수의 이들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Claims (8)

  1. 기록매체(1)를 구동하고, 기록매체에 기록된 패턴에 응답하여 판독신호(Sr)를 발생하는 변환기(2)와, 변환기(2)와 기록매체(1)를 서로에 대해 변위시키는 변위수단(3, 4, 5)을 구비하며,
    판독신호에 비해 비교적 낮은 주파수 성분을 갖는 보조신호(Sa)를 판독신호(Sr)로부터 유도하는 보조신호 발생수단(7)과,
    보조신호(Sa)로부터 이진신호(Sb)를 발생하며, 제 1 유지신호(H1)를 발생하는 제 1 유지수단(8)과, 제 2 유지신호(H2)를 발생하는 제 2 유지수단(9)과, 제 1 유지신호(H1)와 제 2 유지신호(H2)로부터 슬라이싱 신호(St)를 발생하는 신호 합성수단(10, 11)과, 보조신호(Sa)를 슬라이싱 신호(St)와 비교하여 이진 출력신호(Sb)를 출력하는 비교수단(12)을 포함하는 이진신호 발생수단(8, 9, 10, 11, 12)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유지수단(8)은 제 1 유지신호(H1)를 보조신호(Sa)의 정상값과 거의 일치하는 값으로 일시적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 유지수단(9)은 제 2 유지신호(H2)를 보조신호(Sa)의 기저값과 일치하는 값으로 일시적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지수단(8)이 제 1 유지신호(H1)의 값을 추가값(Sa+Δ)만큼 증가된 보조신호의 기저값과 거의 일치하는 값으로 일시적으로 유지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제 2 유지수단(9)이 제 2 유지신호(H2)의 값을 공제값(Sa-Δ)만큼 감소된 보조신호의 정상값과 일치하는 값으로 일시적으로 유지하도록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제 1 유지수단(8)은, 적어도 보조신호(Sa)의 최대값과 거의 일치하는 신호(H1)와 중간 신호를 발생하는 최대값 검출기(85)와, 추가값(Sa+Δ) 만큼 증가된 보조신호의 최소값과 일치하는 신호과 중간 신호를 발생하는 최소값 검출기(8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제 2 유지수단(9)은, 보조신호(Sa)의 최소값과 일치하는 신호(H2)와 중간 신호를 발생하는 최소값 검출기(95)와, 공제값(Sa-Δ) 만큼 감소된 보조신호의 최대값과 일치하는 신호와 중간 신호를 발생하는 최대값 검출기(9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제 1 유지수단은, 제 1 유지신호(H1)를 발생하는 카운터 수단(100)과, 보조신호(Sa)의 값이 제 1 유지신호(H1)의 값보다 높은지 여부를 나타내는 카운터 수단에 대한 제 1 제어신호(UP)를 발생하는 제 1 비교기 수단(101)과, 제 1 유지신호(H1)의 값이 추가값(Sa+Δ) 만큼 증가된 보조신호의 값보다 높은지 여부를 나타내는 카운터 수단(100)에 대한 제 2 제어신호(DOWN)를 발생하는 제 2 비교기 수단(10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제 2 유지수단은, 제 2 유지신호(H2)를 발생하는 제 2 카운터 수단(110)과, 보조신호(Sa)의 값이 제 2 유지신호(H2)의 값보다 낮은지 여부를 나타내는 카운터 수단에 대한 제 3 제어신호(DOWN)를 발생하는 제 3 비교기 수단(112)과, 제 2 유지신호(H2)의 값이 공제값(Sa-Δ) 만큼 감소된 보조신호의 값보다 낮은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 2 카운터 수단(110)에 대한 제 4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 4 비교기 수단(111)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유지수단(8)은 제 1 유지신호(H1)의 값을 점진적으로 줄이기 위한 감산수단(87)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유지수단(9)은 제 2 유지신호(H2)의 값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한 가산수단(97)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또는 제 2 유지수단은 이 유지수단을 프리셋 값(H10)으로 초기화하는 프리셋 수단(83)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07014094A 1999-04-14 2000-03-29 기록매체 구동장치 KR1007078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9201170 1999-04-14
EP99201170.0 1999-04-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2788A true KR20010052788A (ko) 2001-06-25
KR100707824B1 KR100707824B1 (ko) 2007-05-07

Family

ID=8240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4094A KR100707824B1 (ko) 1999-04-14 2000-03-29 기록매체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6700848B1 (ko)
EP (1) EP1088305B1 (ko)
JP (1) JP2002542562A (ko)
KR (1) KR100707824B1 (ko)
CN (1) CN1130702C (ko)
AR (1) AR023434A1 (ko)
AT (1) ATE229685T1 (ko)
BR (1) BR0006030A (ko)
CA (1) CA2334921A1 (ko)
DE (1) DE60000955T2 (ko)
DK (1) DK1088305T3 (ko)
ES (1) ES2188518T3 (ko)
ID (1) ID29237A (ko)
MY (1) MY121151A (ko)
TW (1) TW563098B (ko)
WO (1) WO20000638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1045A (ja) * 2002-08-06 2004-03-04 Sony Corp デフェクト検出装置、デフェクト検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0999B1 (ko) * 1981-11-25 1988-06-10 미쓰다 가쓰시게 광학적 정보 기억장치
JP2598913Y2 (ja) * 1992-07-27 1999-08-23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データスライサ
DE69323397T2 (de) * 1992-11-20 1999-08-26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Abtastvorrichtung mit einer Zweistufensteuerung zum Positionieren eines Abtastpunktes
JP3465413B2 (ja) * 1995-06-16 2003-11-10 ソニー株式会社 光ディスク駆動装置およびフォーカス制御方法
JP3595992B2 (ja) * 1996-05-22 2004-12-02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媒体駆動装置および記録媒体駆動方法
JPH11144255A (ja) * 1997-11-04 1999-05-28 Sony Corp 光情報再生装置及び光情報再生方法
US6088308A (en) * 1998-02-13 2000-07-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for creating, reading and writing on rotatable information storage media, a tracking circuit for providing positioning information
JP3545196B2 (ja) * 1998-03-20 2004-07-21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チルトサーボ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88305B1 (en) 2002-12-11
ATE229685T1 (de) 2002-12-15
ID29237A (id) 2001-08-16
DE60000955T2 (de) 2003-07-24
DE60000955D1 (de) 2003-01-23
TW563098B (en) 2003-11-21
EP1088305A1 (en) 2001-04-04
AR023434A1 (es) 2002-09-04
ES2188518T3 (es) 2003-07-01
BR0006030A (pt) 2001-03-13
CN1300421A (zh) 2001-06-20
WO2000063898A1 (en) 2000-10-26
CA2334921A1 (en) 2000-10-26
MY121151A (en) 2005-12-30
JP2002542562A (ja) 2002-12-10
DK1088305T3 (da) 2003-03-10
CN1130702C (zh) 2003-12-10
US6700848B1 (en) 2004-03-02
KR100707824B1 (ko) 2007-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62962C (en) Optical disk and reproducing apparatus including a focus search control device
EP0388519A2 (en) Method for setting the loop gain of servo loops in a disc player
US5808993A (en) Automatic disk discriminating method and apparatus in an optical disk system
EP1089267A1 (en) Tracking servo apparatus for optical discs
US6141307A (en) Optical disk discriminating apparatus
US6301212B1 (en) Focusing and tracking servo circuit in an optical disk device
KR100707824B1 (ko) 기록매체 구동장치
KR100363166B1 (ko) 오기록 방지 회로 및 방법
EP0471917B1 (en) Tracking servo system
US8018805B2 (en) Media type detection using a lock indicator
US7236437B2 (en) Shock detector for optical disc recorders and shock-proof recording method using shock signal
US6674694B1 (en) Light-pickup device applied to a recording and/or reproduction device for an optical disk inluding a detection circuit that generates a focus zero cross signal
KR100219555B1 (ko) 광 픽업 서보 시스템의 트랙킹 킥 펄스 발생 장치 및 방법
US7613081B2 (en) Control of stepper motor in an optical disc
KR100636907B1 (ko) 광기록재생기의 서보이상 상태 판별 방법
MXPA00012328A (en) Track crossing discriminating circuit
KR100220577B1 (ko) 디브이디알 시스템의 기록 오류 방지 장치 및 방법
US7065010B2 (en) Method for tracking in an optical recording/reading apparatus, and corresponding apparatus
JP2793108B2 (ja) 光ディスクプレーヤーのサーボ異常検出回路
JP3494912B2 (ja) 周波数誤差検出装置
KR100266866B1 (ko) 디브이디-램의 헤더 검출 방법
KR20020061881A (ko) 렌즈 브레이크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트랙안정화 회로
KR100382735B1 (ko) 억세스 시간을 감소시키는 렌즈 브레이크 구동장치
KR950025751A (ko) 신뢰성있는 점프백 제어가 가능한 광학 정보 억세싱 시스템
JPH0461034A (ja) 光ディスク装置におけるサーボゲイン補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