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2199A - 전기 미니어쳐 모터 - Google Patents

전기 미니어쳐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2199A
KR20010052199A KR1020007009853A KR20007009853A KR20010052199A KR 20010052199 A KR20010052199 A KR 20010052199A KR 1020007009853 A KR1020007009853 A KR 1020007009853A KR 20007009853 A KR20007009853 A KR 20007009853A KR 20010052199 A KR20010052199 A KR 20010052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or
motor
bearing
sectio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9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 보르게 한센
Original Assignee
키르크 어코스틱스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르크 어코스틱스 에이/에스 filed Critical 키르크 어코스틱스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010052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219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26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consisting of printed conduc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3/00DC commutator motors or generators having mechanical commutator; Universal AC/DC commutator motors
    • H02K23/58Motors or generators without iron co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47Air-gap windings, i.e. iron-free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4Means for supporting or protecting brushes or brush hold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6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 H02K5/167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using sliding-contact or spherical cap bearings
    • H02K5/1672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using sliding-contact or spherical cap bearing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both ends of the r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1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 Machiner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Windings For Motors And Generators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Permanent Magnet Type Synchronous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그네틱 소프트 물질로 이루어진 고정자와 영구 마그네틱 회전자를 가지는 전기 미니어쳐 모터에 관한 것이다. 고정자는 회전자의 회전에 의해 야기된 고정자 물질의 맴돌이 전류를 둔화시키기 위해 적어도 회전자 샤프트 방향으로 저전도성을 가진다. 자화가능한 물질로 이루어진 고정자는 엘리멘트들이 관형 고정자에 동축으로 결합되도록 각각의 직경을 가지는 두개의 섹션을 가진 링형의 엘리멘트로 구성된다. 이는 세그멘트들로 구성된 고정자와 마찬가지로 그 특성을 둔화시키는 동일한 맴돌이 전류를 제공하지만, 고정자는 훨씬 값싸다. 코일은 고정자의 내부면을 따라 배치된 가요성 박판에 플랫 코일로서 형성된다.

Description

전기 미니어쳐 모터 {AN ELECTRICAL MINIATURE MOTOR}
본 발명은 고성능 전기 미니어쳐 모터를 기초로 한다. 이는 예를 들면 모터의 샤프트에서 벗어나 장착된 회전을 담당하는 부분으로 인해 이동 전화기가 진동을 일으키며 따라서 전화기의 사용자가 전화기로 들어오는 호출이 있음을 무선으로 알아차리도록 하는 이동 전화기에 사용된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가 사용될 수 있는 상황을 나타내며, 그 예는 본 발명에 제한되지 않는다.
모터에 충분한 고성능과 스피드를 제공하기 위해, 회전자로서 영구 마그네틱을 사용하는 것은 유리하다. 그러나 이는 맴돌이 전류 손실이 마그네틱이 회전할때 만들어지는 회전 자장으로 인해 고정자에서 생성되기 때문에 이러한 크기의 모터를 접속시키는데 문제가 발생한다. 큰 모터에서, 이 문제는 일반적으로 모터에 대한 하우징/고정자의 마그네틱 부분을 박판으로 만듦으로써 극복된다. 박판 자기 코어는 모터와 변압기에서의 마그네틱 코어의 맴돌이 전류 손실을 피하기 위한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상기 코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 다수의 개별 시트로 구성되며, 따라서 시트의 스택은 스태킹의 방향인 시트의 평면에 횡단으로 적어도 상당히 감소된 전기 도전성을 가진다.
고주파수 기술의 영역에서 페라이트 물질로 이루어진 소결된 마그네틱 엘리멘트를 사용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종래기술의 단점
미니어쳐 모터의 고정자의 맴돌이 전류 손실의 문제에 대한 상술한 해답은 단점을 가진다. 예를 들어, 미니어쳐 모터의 고정자는 매우 작은 벽 두께를 가지며, 고정자의 마그네틱 코어가 충분히 큰 정밀도로 다수의 작은 링-형 시트 엘리멘트로부터 조립되기 때문에 축 방향의 고정자의 박판 형성은 다소 비싸다.
소결된 엘리멘트는 요구되는 작은 재료 두께로 인해 사용이 불편하며, 이는 고정자가 매우 낮은 최고 강도를 가지며 또한 충분히 한정된 내성을 가진 페라이트와 같은 소결된 물질로 이루어진 고정자를 만드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상술한 타입의 미니어쳐 모터는 1998년 7월 9일 Machine Design에 간행된 Tiny motors packed with precision 기사의 58쪽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모터는 또한 단점을 가진다. 모터는 하기의 과정으로 이루어진 권선 코일을 사용한다. 상기 과정은 매우 작으면서 컴팩트한 코일에서 적당히 높은 성능을 달성하기 위해 코일 쓰레드가 매우 근접하게 감겨야하며 작은 크기로 인해 우수한 정밀도로 위치하여야 한다. 상기의 처리 과정은 고도의 정밀도를 요구하며, 처리과정을 성가시게 하고, 따라서 최종 모터는 고가에 이른다.
게다가 공지된 상기의 모터는 정류자 브러쉬를 가진다. 이는 고정자 코일에 연관된 회전자의 각 위치를 결정하며 회전자의 트랙을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복잡하고 비용이 증가되는 제어 일렉트로닉스가 추가적으로 요구된다. 따라서 코일의 교정부(correct part)는 마그네트를 편리하게 동작하도록 한다. 게다가 고속의 회전 스피드는 보다 많은 제어 일렉트로닉스를 요구한다. 외부의 제어 일렉트로닉스를 사용하는 또 다른 단점은 일렉트로닉스 자체가 미니어쳐 모터와 관련하여 더 많은 공간을 차지한다는 것이다. 이는 크기,무게 및 가격이 대단히 경합되는 기준인 경우의 이동 전화기에 명백하다.
본 발명은 회전자로 동작하는 회전 영구 마그네틱과 회전자를 덮는 고정자 하우징을 가지는 전기 미니어쳐 모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세로방향으로 관통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모터에 사용된 고정자를 형성하는 엘리멘트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가요성 회로 보드의 일 면(앞면)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가요성 회로 보드의 다른 면(뒷면)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회로 보드의 접혀지고 코일이 감겨지며 정류자 세그먼트의 주변에 위치한 실린더를 가로방향으로 관통하는 개략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한 성분을 포함하며 따라서 쉽고 단순하게 제작할 수 있는 고속 회전하는 컴팩트한 고성능 미니어쳐 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낮은 맴돌이 전류 손실을 가지며 베어링과 같은 매우 단순한 엘리멘트, 양 면에 코일부가 제공된 이중면의 가요성 회로 보드, 정류자 브러쉬로서 사용된 스프링, 회전자로서 사용된 영구 마그네트등을 포함하는 고성능 미니어쳐 모터를 제공한다. 이는 모터에 매우 단순하며 저렴한 제작 방식을 가능하게 한다.
마그네트가 회전할 때 하우징에서의 맴돌이 전류의 문제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음의 방법으로 해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모터 하우징은 돌출부가 제공되며 또한 하위 엘리멘트가 조립되었을 때 셀프-센터링(self-centering effect)를 가지도록 다른 서브 엘리멘트에서 돌출부를 수용하도록 해당 공동이 제공된 다수의 비평면 서브 엘리멘트에 의해 형성된다. 이는 하우징이 실제로는 서브 엘리멘트로의 분할이 전형적으로 고가의 박판 형성에 의해서만 달성될 수 있는 층에 전기 분배를 제공하기 때문에 모터의 세로 방향에 대해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며, 따라서 맴돌이 전류 손실을 완전히 제거하거나 크게 감소시킨다. 하우징은 머터의 고정자에서 요구하는 바와 같이 여전히 자기적으로 도전성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터미널 와이어는 가요성 회로 보드에 집적된다. 이는 터미널 와이어가 코일에서 납땜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바로 집적됨으로 추가의 단순한 가요성 구조를 보장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정류자 세그멘트를 터치하는 스프링의 단부는 샤프트의 회전에 반대 방향인 권선 방향을 가진다. 이는 모터가 사용중일 때 추가적으로 스프링이 팽팽해지기 때문에 스프링이 불리하게 샤프트에 접촉하는 것을 줄일 수 없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로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세로방향으로 관통하는 개략도를 도시한다. 모터는 도 2에 도시된 엘리멘트로 구성된 실질적으로 원통형 튜브로서 마그네틱 소프트 물질로 이루어진 고정자(10)를 포함한다.
도 2는 도 1의 모터의 고정자를 형성하는 엘리멘트(50)를 도시한다. 엘리멘트(50)는 마그네틱 소프트 물질로 구성되며 두개의 상호접속 섹션 즉, 제 1 섹션(51)과 제 2 섹션(52)을 가지는 링형 또는 짧은 길이의 튜브 형태를 가진다. 제 1 섹션(51)은 제 2 섹션(52)의 내부 직경에 해당하는 외부 직경을 가지며, 따라서 제 1 섹션은 적당한 마찰로 제 2 엘리멘트의 제 2 섹션에 수용될 수 있다. 도 1의 모터용 고정자를 만들때, 적당한 수의 엘리멘트(50)가 주축에 배치되며 엘리멘트의 좁은 제 1 섹션(51)이 근접 엘리멘트의 넓은 제 2 섹션(52)으로 프레스되도록 서로 프레스된다. 이는 도 1에 도시된 모터의 고정자로서 사용된 관형 엘리멘트의 구조를 이룬다. 주축은 어셈블리에서 보조물의 역할을 하며 최종 고정자가 구부러지는 것이 아니라 직선형인 효과를 가진다.
그러므로 고정자는 세로방향으로 각각 분리된 부분으로 분할되며, 맴돌이 전류 손실을 크게 감소시켜 모터에 큰 효율성을 부가한다.
고정자를 형성하는 엘리멘트(50)는 서로 대응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에워싸는 두개의 섹션을 각각 가지기 때문에 셀프-센터링된다. 상기의 셀프-센터링 효과는 엘리멘트를 다르게 구현하여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엘리멘트는 프루스토-원뿔형 쉘로 형성될 수 있거나 다른 면에 대응하는 공동을 가진 일면에 돌출부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또한 샤프트(3)의 일 단부가 샤프트에 대해 중심을 벗어나 배치된 집합체(55)에 장착된 것을 도시한다.
두개의 베어링(4,5)은 고정자(10)의 일 단부에 제공되며, 그 중 일 베어링(5)은 정류자 세그멘트를 가진 정류자의 역할을 한다. 베어링(4,5,)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된 샤프트(3)는 베어링(4)과 일정하게 전기 접속하며 따라서 슬립-링 컨택의 역할을 하는 나사 스프링(7)을 통해 베어링(4)에 전기 접촉한다. 베어링(4)은 정류자 세그멘트와 반대쪽에서 베어링(5)과 동일하거나 연속적인 슬립-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로덕션의 관점에서 이러한 장점은 명백하다. 선택적으로 베어링(4) 그 자체는 전도성이며 청동 또는 전도성 플라스틱과 같은 상기 베어링의 공지된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따라서 스프링(7)은 불필요하다. 방사 방향으로 자화되며 회전자의 역할을 하는 고정된 영구 마그네트(1)가 샤프트(3)에 고정식으로 고정된다. 게다가, 전기적으로 전도성인 나사 스프링(9)은 정류자 브러쉬의 역할을 하며, 샤프트(3)에 장착된다. 스프링(9)은 약간 증가된 직경을 가지는 샤프트의 일부로 프레스되는 끝부분(11)을 가지며, 따라서 스프링(9)은 자신의 기계적인 장력에 의해 샤프트상의 위치에서 유지된다. 컨택 스프링(7,9)은 반대 방향 또는 다른 방향의 권선을 가진다.
세개의 정류자 세그멘트는 베어링(5)에 제공되며, 단지 하나(6)만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세개의 정류자 세그멘트는 서로에 대해 120도로 위치하며 샤프트(3)의 회전에 의해 스프링의 자유 단부는 세개의 정류자 세그멘트를 가로질러 이동하며 개별적으로 세그멘트와 접촉을 이룬다. 모터는 선택적으로 부착된 개별 코일을 가지는 세개 이상의 정류자를 가질 수 있다.
모터에 대한 전기 접속부는 하나의 정류자 브러쉬와 영구 전기 컨택을 가지는 슬립-링 컨택을 가지며, 다른 모터는 동일한 정류자에 두개의 정류자 브러쉬를 가진다. 여기에 선택된 단지 하나의 정류자 브러쉬를 가지는 구조가 유리하며, 이는 정류자 세그멘트의 마모가 실질적으로 반감되기 때문이며 주로 정류자의 금속부가 마모되는 전력의 차단 때문이다. 게다가, 상기의 구조는 낮은 전기 잡음이 생성되기 때문에 유리하다.
도 3-4는 종래 기술의 코일을 가진 가요성 박판의 형태인 가요성 회로 보드(2)를 도시한다. 베어링(6)의 정류자 세그멘트는 개별적인 접속 포인트를 통해 코일을 가진 가요성 박판의 형태인 가요성 회로 보드(2)에서 각각 전기적으로 코일(12,15;13,16;14,17)에 접속된다. 포지티브 전압은 가요성 회로 보드(2)에서 포지티브 터미널 와이어(+)로부터 모든 코일(12,15;13,16;14,17)에 인가되는 반면, 네거티브 전압(또는 접지)는 전기 베어링(4)과 가요성 회로 보드(2)상의 네거티브터미널 와이어(-) 사이의 커넥팅 포인트를 통해 전도성 베어링(4)을 통해 샤프트(3)에 인가된다. 스프링(9)이 정류자 세그멘트와 접촉할 때, 전류는 정류자 세그멘트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해당 코일(12,15;13,16;14,17)로 흐를것이다. 이 전류는 해당 코일(12,15;13,16;14,17)의 세로 방향으로 확장되는 컨덕터에서 자기장을 형성할 것이며, 이는 축방향을 확장되며 상기 자기장은 마그네트(21)에 힘을 가하고 마그네트(1)의 회전을 유도한다. 따라서 샤프트(3), 코일(12,15;13,16;14,17)은 하우징에 고정된다.
모터를 조립할 때, 코일을 가지는 코일-업 가요성 회로 보드는 결합된 후 코일-업 가요성 회로 보드의 외부로부터 유도된 압력으로 인해 하우징의 내부벽에 단단히 홀딩하도록 고정자 하우징에 가장 먼저 삽입된다. 이 후, 제 1 베이링은 하우징의 끝부분으로 삽입하기 위해 단순한 축방향의 운동에 의해 고정되며, 따라서 가요성 회로 보드는 추가적으로 스크레칭되며 하우징의 내부로 고정된다. 고정된 마그네트를 가지는 샤프트 즉, 전체 회전자는 상기의 베어링에서 중심에 위치한다. 스프링은 샤프트에 축상으로 프레싱되며, 정류자 브러쉬의 역할을 하고, 따라서 마그네트를 결합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축상으로 고정된다. 정류자 세그멘트가 제공된 제 2 베어링은 다음으로 정류자 브러쉬와 정류자 세그멘트 사이의 전기 접촉이 검출될 때까지 하우징의 다른 끝부분으로 축을 따라 이동한다. 이 후, 제 2 베어링은 스프링이 마그네트와 제 2 베어링 사이에서 단단히 고정되도록(예를 들면, 0.1-0.2mm) 모터의 하우징에 추가적으로 프레싱된다. 나중의 압력은 특히 정류자 브러쉬와 정류자 세그멘트 사이의 분명한 접촉력(contact force)을 보장하며, 따라서 정류자 세그멘트와 최소 마모도를 가지는 샤프트 사이의 안정된 전기 접속을 보장한다.
바람직하게, 스프링(9)을 가지는 회전자는 그 끝부분에서 정류자 세그멘트에 닿으며, 스프링(9)과 정류자 세그멘트 사이의 마찰이 스프링의 기밀함(tightening)을 일으키는 것을 의미하는 회전 방향을 가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가요성 회로 보드(2)의 일 면(앞면)을 도시한다. 도면은 가요성 회로 보드(2)의 일 면에 위치한 서브코일(12,13,14)을 도시한다. 서브코일(12,13,14)은 커넥팅 포인트(25,26,27)를 통해 가요성 회로 보드(2)의 다른 면에 존재하는 각각의 다른 서브 코일(도 3과 이하의 설명 참조)에 접속된다. 각각의 코일(12,13,14)은 개별 접속된 정류자 세그멘트에 대한 자신의 커넥팅 포인트(21,22,23)를 가진다. 커넥팅 포인트(24)는 네거티브 터미널 와이어(-)(도 4)로부터 공급된 네거티브 전압(또는 접지)이 베어링(4)에 공급되는 것을 보장한다.
서브코일(12,13,14)의 구성은 가요성 회로 보드(2)의 영역을 이용하는 것외에 각 코일의 권선수에 대한 가능성의 견지에서 이루어졌다. 가요성 회로 보드(2)는 말려서 실질적으로 두개의 층(서로 작은 오버랩을 가진다. 도 5 참조)을 가진 실린더가 되며, 따라서 코일의 중심(25,25';26,26';27,27')은 실질적으로 120도 만큼 서로 오프셋된다. 두개의 층을 가지는 실린더는 코일이 분포되는 곳에서 총 720도를 이룬다. 각 쌍의 코일은 240도에 해당하는 주변 방향으로 확장된다. 도시된 가요성 회로 보드의 코일 배치는 각 코일이 작은 서브 코일과 가요성 회로 보드(2)의 각 면에 위치한 큰 서브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각 코일의 큰 코일부분(12,14,16)은 상기의 회전(도 4 참조)을 일으키기 위해 충분히 마그네트(1)를 에워싸도록 주변 방향에 있는 특정한 한도를 가져야 한다. 이는 각 코일이 큰 서브 코일과 작은 서브 코일을 가진 한 쌍의 코일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본 발명에 합당하며, 상기의 큰 서브 코일은 선택적으로 가요성 회로 보드의 일 단부 및 다른 단부에 존재한다. 만일 큰 서브 코일이 가요성 회로 보드의 동일 면에 배치된다면, 두개의 층(작은 오버랩을 가진)을 유지하는 동안 가요성 회로 보드의 일 면에는 충분한 공간이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면에 적어도 하나의 서브코일을 위치시킴으로써 큰 서브코일에 대한 공간이 제공되며, 각 코일에 대한 효과적인 권선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각각의 작은 코일 부분(13,15,17) 또는 본 발명을 이용하는 특정 공간을 제공하는 것은 코일 당 용적(capacity)을 매우 효과적이게 한다. 이는 매우 제한된 공간에 대한 코일 영역의 매우 높은 이용율을 제공한다.
도 4는 개선된 가요성 회로 보드의 다른 측면(뒷면)을 도시한다. 이 도면은 커넥팅 포인트(30)를 통해 가요성 회로 보드의 다른 면에서 세개의 서브코일(12,13,14)에 전기적으로 각각 접속되는 세개의 서브 코일(15,16,17)을 도시한다. 또한 각각 포지티브와 네거티브(선택적으로 접지) 전압을 코일에 공급하는 전기 터미널 와이어(+,-)가 도시되어 있다. 포지티브 터미널 와이어(+)의 포지티브 전압은 커넥팅 포인트를 통해 모든 코일에 공급된다. 스프링(9)이 정류자 세그멘트중 하나에 닿았을 때, 전기 회로가 형성되며, 상기 전기 회로는 포지티브 터미널 와이어(+), 닿아있는 정류자 세그멘트에 접속된 코일, 닿아있는 정류자 세그멘트, 스프링(9), 샤프트(3), 스프링(7), 베어링(4) 및 커넥팅 포인트를 통하는 네거티브 터미널 와이어(-)를 포함한다. 상기 회로를 흐르는 전류는 접속된 코일의 세로방향 컨덕터에서 자장을 생성할 것이며, 상기의 자장은 그 힘으로 마그네트(1)에 영향을 미쳐서 회전을 일으키며, 따라서 샤프트(3), 코일(12,15;13,16;14,17) 및 가요성 회로 보드(2)는 하우징에 고정된다.
선택적으로 모든 여섯개의 서브 코일은 각각의 서브 코일이 240도에 해당하는 주변 방향을 가지도록 가요성 회로 보드의 양 면에서 동일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개의 정류자 세그멘트와 가요성 회로 보드(2)의 접혀진/코일-업 실린더(40)를 가로로 관통하는 개략도를 도시하며, 상기의 실린더는 정류자 세그멘트의 주변에 위치한다. 도면에서, 숫자 41은 스프링(9)과 액티브 정류자 세그멘트 사이의 컨택 포인트를 나타낸다. 액티브 정류자 세그멘트는 도 3의 커넥팅 포인트(42)에 해당하는 커넥팅 포인트(23)에서 각각의 코일에 접속된다. 실린터(40)의 실선은 개략적으로 코일의 세로 방향 커덕터의 위치를 나타낸다. 43과 43'은 각각 가요성 회로 보드(2)의 일 면에 위치한 코일의 큰 코일 부분의 한쪽 반과 다른쪽 반을 나타내며, 44와 44'는 가요성 회로 보드(2)의 반대면에 위치한 코일의 큰 코일 부분의 한쪽 반과 다른쪽 반을 나타낸다. 도면은 또한 샤프트(도시되지 않음)의 중심에서 보이는 컨택 포인트(41) 사이의 각도 α와 화살표 S에서 N의 자화 방향을 도시한다. x와 ·는 각각 상기 면의 내부와 외부 전류 방향을 나타낸다.
도 5는 샤프트가 정지한 초기 위치/시작 위치를 나타낸다. 만일 전압 터미널(+,-)이 동작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포지티브 터미널 와이어(+), 닿아있는 정류자 세크멘트에 접속된 코일(43,43',44,44'), 닿아있는 정류자 세그멘트, 스프링(9), 샤프트(3), 도전성 베어링(4) 및 커넥팅 포인트를 통하는 네거티브 터미널 와이어(-)를 포함하는 전기 회로가 존재할 것이며, 전류는 x와 ·에 나타난 전류 방향과 같이 코일(43,43',44,44')로 흐를것이다. 43과 44에서는 (평면으로 확장되는)컨덕터의 전류와 S에서 N으로 향하는 화살표에 도시된 자장은 컨덕터(43,44)를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만들것이다. 컨덕터가 하우징(10)에 고정될 때, 샤프트(3)는 반대로 컨덕터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될것이다. 43'과 44'에서 전류는 이 평면을 빠져나가고, 컨덕터(43,44')가 반시계 방향의 힘에 영향을 받게 되면 컨덕터가 하우징(10)에 고정되기 때문에 샤프트(3)는 시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두개의 협력하는 힘은 화살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샤프트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것이다. 이 힘은 스프링(9)이 더이상 정류자 세그멘트에 닿아있지 않으며 따라서 전기 회로가 인터럽트될 때까지 계속될 것이다. 샤프트(3)와 마그네트(2)의 모멘트에 의해 샤프트(3)는 스프링(9)이 다음 정류자 세그멘트에 닿거나 또한 새로운 전기 회로가 형성될 때까지 계속적으로 이동하며, 상기의 새로운 전기 회로는 이전과 관련하여 120도 오프셋되는 다음 코일을 포함한다. 새로운 전기 회로의 전류와 자장은 상술한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단지 120도 오프셋되는 힘을 생성하여, 샤프트(3)와 추가적으로 마그네트(1)를 회전시킬 것이다. 이 과정은 자체적으로 반복될 것이며 샤프트는 터미널 와이어(+,-)의 전압이 더이상 공급되지 않을 때까지 계속적으로 회전한다.
모터의 두개 베어링(4,5)은 베어링과 고정자(10) 사이에 위치한 가요성 회로 보드의 일부를 가지는 고정자로 축방향으로 삽입되는 플러그의 형태이다. 전도 경로가 모터의 축방향으로 확장되는 코일부만이 모멘트힘을 회전자의 마그네트에 인가하며, 상기의 코일부는 마그네트와 마찬가지로 축방향으로 동일하게 확장된다.
회전자의 축방향으로 확장되지 않는 가요성 회로 보드의 전도 경로의 일부는 마그네트의 단부밖에 존재하며, 바람직하게는 베어링 플러그와 고정자 사이에 존재한다. 상기의 위치는 이 도전성 부분이 공간을 차지하지 않아 모터가 컴팩트하게 만들어지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다. 모터의 끝 부분에서, 상기 부분의 전류 흐름은 주변 방향에 대해 일 방향으로 회전하며, 모터의 다른 끝 부분에서는 동일한 크기의 전류가 다른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이 전류는 서로 균형을 이루며, 따라서 동작시에 회전자는 축방향에 어떠한 네트힘(net force)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지않는다. 이는 접촉력이 동작시의 상태가 아니라 구조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유리하다.

Claims (8)

  1. 마그네틱 소프트 물질, 고정자에서 회전하도록 배치된 샤프트에 영구 마그네트를 가진 회전자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자는 회전자의 회전으로 야기된 고정자의 맴돌이 전류를 둔화시키기 위해 적어도 회전자 샤프트의 방향으로 저전도성을 가지는 전기 모터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는 동축 엘리멘트 장치(50)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엘리멘트는 축을 한정하며 또한 제 1 엘리멘트의 돌출부가 제 2 엘리멘트의 공동에 수용되어 실질적으로 동축이 되도록 제 2 엘리멘트의 돌출부를 수용하는 적어도 대응 공동과 돌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의 엘리멘트(50)는 제 1 링형 섹션(51)과 상기 제 1 링형 섹션(51)에 동축인 제 2 링형 섹션(52)을 가지는 링의 형태이며, 상기 제 1 섹션(51)은 외부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 2 섹션(52)은 상기 엘리멘트(50)의 상기 제 1 섹션(51)이 상기 제 2 엘리멘트(50)의 상기 제 2 섹션(52)에 수용되도록 내부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섹션(52)의 외부 직경과 상기 제 2 섹션(52)의 내부 직경은 상기 제 1 엘리멘트의 제 1 섹션이 마찰에 의해 상기 제 2 엘리멘트의 제 2 섹션에서 고정되도록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자의 내부면을 따라 배치된 가요성 박편상에 플랫 권선을 가진 전기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5. 제 4 항에 있어서,
    회전자의 베어링(4,5)은 각각의 고정자의 단부에 제공되며, 상기 베어링은 고정자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혀지며, 코일의 각각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정류자 세그멘트는 제 1 베어링(5)과 접속되고, 회전자는 샤프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고정자의 회전에 의해 정류자 세그멘트와 선택적으로 전기 접촉하게 되는 단일 정류자 브러쉬(9)를 가지며, 제 2 베어링(4)에서 샤프트는 슬라이딩 접촉에 의해 제 2 베어링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제 2 베어링(4)은 서로 전기 접속하는 정류자 세그멘트를 가지며, 상기 샤프트(3)와 제 2 베어링(4) 사이의 전기 접속은 정류자 브러쉬(7)에 의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어링(5)과 상기 제 2 베어링(4)은 서로 동일하며, 상기 정류자 브러쉬(7,9)는 반대 권선 방향을 가진 나사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8. 제 5 항에 있어서,
    축방향으로 확장되지 않는 코일부는 상기 베어링(4,5)과 고정자(10) 사이에서 적어도 일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KR1020007009853A 1999-01-05 1999-06-11 전기 미니어쳐 모터 KR200100521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K199900015A DK199900015A (da) 1999-01-05 1999-01-05 Elektrisk miniaturemotor
DKPA199900015 1999-01-05
PCT/DK1999/000321 WO2000041289A1 (en) 1999-01-05 1999-06-11 An electrical miniature mo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2199A true KR20010052199A (ko) 2001-06-25

Family

ID=8088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9853A KR20010052199A (ko) 1999-01-05 1999-06-11 전기 미니어쳐 모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344704B1 (ko)
EP (1) EP1064711A1 (ko)
JP (1) JP2002534951A (ko)
KR (1) KR20010052199A (ko)
CN (1) CN1292942A (ko)
AU (1) AU4358799A (ko)
CA (1) CA2321710A1 (ko)
DK (1) DK199900015A (ko)
WO (1) WO20000412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11531A1 (en) * 2006-07-15 2008-01-17 Monty Cole Motorized axle for use with environmentally friendly vehicles
GB0801256D0 (en) * 2008-01-24 2008-02-27 Denne Phillip R M Improvements in electrical machines
US20090246439A1 (en) * 2008-03-31 2009-10-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ecorative sheet
JP5632137B2 (ja) * 2009-06-03 2014-11-26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溶液成分の回収方法、溶液成分の回収装置及び含浸処理・含浸成分回収システム
CA2834736A1 (en) * 2011-04-11 2012-10-18 Allied Motion Technologies Inc. Flexible winding for an electric motor and method of producing
DE102014211316A1 (de) * 2014-06-13 2015-12-17 Siemens Aktiengesellschaft Elektrische Spuleneinrichtung mit wenigstens zwei Teilspulen und Herstellungsverfahren dazu
CN115621802B (zh) * 2022-12-15 2023-03-10 鹏城实验室 导电滑环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36328A (en) 1923-03-31 1925-05-05 Lionel Corp Commutator
US1655286A (en) 1925-04-13 1928-01-03 Hans E Nietsche Electric motor
US4130769A (en) 1974-11-01 1978-12-19 Canon Kabushiki Kaisha Brushless DC motor
US4143289A (en) 1976-12-14 1979-03-06 Progressive Electronics, Inc. Rotational field sensor
GB2028598A (en) 1978-08-15 1980-03-05 Jones G Dc D.C. motors
GB2039095B (en) 1978-12-07 1982-11-24 Hansen J S Electric motors speed regulation
CH646554A5 (de) 1979-07-11 1984-11-30 Lpa Les Produits Associes Wechselstrom-kleinmotor mit pendelndem dauermagnetischen laeufer.
JPS5678342A (en) 1979-11-26 1981-06-27 Kangiyou Denki Kiki Kk Printed circuit
US4445061A (en) 1980-06-17 1984-04-24 Synetron Corporation Wide air gap permanent magnet motors
JPS5866563A (ja) 1981-10-14 1983-04-20 Hitachi Ltd 内燃機関用交流発電機
US4509109A (en) 1982-09-13 1985-04-02 Hansen Thomas C Electronically controlled coil assembly
US4547713A (en) 1982-11-05 1985-10-15 Kollmorgen Technologies Corporation Toroidally wound brushless DC motor
DE3320555A1 (de) 1983-06-07 1984-12-13 Max Stegmann GmbH, Uhren- und Elektroapparatefabrik, 7710 Donaueschingen Gleichstrommotor mit mechanischem kommutator
US4667123A (en) 1985-11-20 1987-05-19 The Garrett Corporation Two pole permanent magnet rotor construction for toothless stator electrical machine
US4733118A (en) 1986-09-22 1988-03-22 Hhk Inc. Low damping torque brushless D.C. motor
US5240003A (en) * 1989-10-16 1993-08-31 Du-Med B.V. Ultrasonic instrument with a micro motor having stator coils on a flexible circuit board
NZ232333A (en) 1990-02-01 1993-12-23 Cadac Holdings Ltd Motor stator wound with high permeability material.
GB9015605D0 (en) 1990-07-16 1990-09-05 Johnson Electric Sa Electric motor
US5650679A (en) * 1993-03-18 1997-07-22 Boggs, Iii; Paul Dewey Eddy current drive
DE4420371A1 (de) 1994-06-10 1995-12-14 Philips Patentverwaltung Elektromotor, insbesondere für einen Festplattenantrieb, mit einem Stator und einem Rotor
US5710474A (en) 1995-06-26 1998-01-20 Cleveland Machine Controls Brushless DC motor
US5874881A (en) 1996-09-13 1999-02-23 U.S. Philips Corporation Electromechanical device, coil configuration for the electromechanical device, and information storage and/or reproduction apparatus including such a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0041289A1 (en) 2000-07-13
JP2002534951A (ja) 2002-10-15
CA2321710A1 (en) 2000-07-13
DK199900015A (da) 2000-07-06
EP1064711A1 (en) 2001-01-03
AU4358799A (en) 2000-07-24
CN1292942A (zh) 2001-04-25
US6344704B1 (en) 2002-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81789B (zh) 直流电动机
CN100423413C (zh) 电刷型dc电机
JP5693114B2 (ja) Dcモータ
ES2157071T3 (es) Maquina electrica de corriente continua.
CN101931299A (zh) 电动机
KR20010052199A (ko) 전기 미니어쳐 모터
US5446328A (en) Miniature motor with preassembled commutator
MXPA01008335A (es) Motor electrico.
TW200611475A (en) Stator of motor
CN100416991C (zh) 步进电机及制造步进电机的方法
JP3560601B1 (ja) モールド型偏心ロータと同ロータを備えた軸方向空隙型コアレス振動モータ
JP3763453B2 (ja) 回転電機
US6838801B2 (en) Rectifying structure and rotary machine employing the same
JP2004201387A (ja) コアレスモータ
JPH0449831A (ja) 円筒型ブラシレスモータおよびこれを使用した小型振動モータ
WO2022215369A1 (ja) 電動機及び電動送風機
JP2001128403A (ja) 小型モータおよびその回転子の製造方法
KR102000384B1 (ko) 발전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기
JP3572484B2 (ja) 高密度部材を備えた偏心ロータと同ロータの製法及び同ロータを用いた扁平コアレス振動モータ
JPWO2021084855A5 (ko)
CN117837062A (zh) 定子
CN113892226A (zh) 电机
KR100901615B1 (ko) 스테핑 모터
JP2010530729A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
KR19990031411U (ko) 모터용 고정자의 슬롯부 절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