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1713A -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 - Google Patents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1713A
KR20010051713A KR1020000067888A KR20000067888A KR20010051713A KR 20010051713 A KR20010051713 A KR 20010051713A KR 1020000067888 A KR1020000067888 A KR 1020000067888A KR 20000067888 A KR20000067888 A KR 20000067888A KR 20010051713 A KR20010051713 A KR 20010051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ridge
sheet
density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7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6221B1 (ko
Inventor
와다이치로
아베고우조우
구리타노리유키
Original Assignee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Publication of KR20010051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1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6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62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0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 A61F13/494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n absorbent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86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zed by the liquid distribution or transport means other than wicking layer
    • A61F2013/53092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zed by the liquid distribution or transport means other than wicking layer having longitudinal barriers
    • A61F2013/5309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zed by the liquid distribution or transport means other than wicking layer having longitudinal barriers having a density gradi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어의 융기부에 흡수된 배설물이 융기부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코어의 부위로 원활히 이행하여, 배설물이 융기부에서 스며 나오는 일이 없는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표면 시이트(2), 이면 시이트(3) 및 이들 시이트(2, 3)의 사이에 개재하는 코어(4)로 구성되어,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 연부(1a)와,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양단 연부(1b)를 지니고, 코어(4)에 형성된 융기부(4c)가 양측 연부(1a)를 따라서 서로 병행 이격되어 연장되며, 융기부(4c)의 밀도가 융기부(4c)를 제외한 코어(4)의 부위(4d)의 그것보다도 저밀도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WEARING ARTICLES FOR ABSORBING BODY FLUIDS}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나 실금자용 소변 흡수 패드, 기저귀 라이너, 팬티 라이너, 생리대 등의 배설물을 흡수, 유지하는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에 관한 것이다.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6-21626호 공보는 투액성 표면 시이트와 불투액성 이면 시이트의 사이에 흡액성 코어를 개재하여, 코어 영역 중의 적어도 가랑이 아래 영역에 있어서의 표면 시이트 상에, 코어의 상측으로 융기하고, 또한 앞길과 뒷길의 종방향으로 병행 이격되어 연장되는 2 라인의 흡수성 보조 부재가 배치되고, 보조 부재의 압축 복원율을 코어의 그것보다도 높게 해 놓은 일회용 기저귀를 개시하고 있다. 기저귀는 압축 탄성율이 높은 보조 부재를 갖기 때문에, 보조 부재가 착용자의 피부에 밀착되는 동시에, 보조 부재가 착용자의 체압에 의해 변형되더라도 용이하게 복원되어 배설물을 흡수하거나 또는 흐름을 저지하여, 배설물이 가로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량의 소변이 배설된 경우에는, 코어의 소변 흡수 속도보다도 배뇨 속도가 빨라, 코어의 상면에 체류한 소변이 본래의 자리로 되돌아가 누설의 원인이 된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기저귀에서는, 보조 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코어의 표면 전체 영역에 소변을 신속히 확산시키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배설된 다량의 소변을 코어나 보조 부재가 다 흡수할 수 없으면, 소변이 배뇨 부위에 위치하는 코어에 체류하여, 보조 부재를 타고 넘어 새어 나와 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보조 부재에 흡수된 소변이 보조 부재로부터 코어로 원활하게 이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보조 부재가 착용자의 체압에 의해 눌렸을 때에, 보조 부재에 체류하는 소변이 보조 부재로부터 스며 나와 버리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무른 변이나 소변, 경혈 등의 유동성 배설물을 흐름을 저지하는 융기부를 형성한 흡액성 코어에 있어서, 융기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코어의 부위의 표면 전체 영역에 배설물을 재빨리 확산시키는 동시에, 그 부위의 전체 영역에서 배설물을 흡수시킴으로써 배설물의 누설을 막을 수 있는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융기부에 흡수된 배설물이 융기부에서 부위로 원활하게 이행하여, 배설물이 융기부로부터 스며 나오는 일이 없는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일회용 기저귀의 부분 파단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실시 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기저귀의 평면도.
도 4는 실시 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기저귀의 평면도.
도 5는 실시 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기저귀의 평면도.
도 6은 실금자용 소변 흡수 패드의 부분 파단 사시도.
도 7은 도 6의 B-B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일회용 기저귀(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
1a : 양측 연부
1b : 양단 연부
2 : 투액성 표면 시이트
3 : 불투액성 이면 시이트
4 : 흡액성 코어
4c : 융기부
4d : 부위
5 : 액체 저항성 누설 방지 시이트
5a : 고정측부
5b : 자유측부
5c : 고정단부
30 : 실금자용 소변 흡수 패드(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
30a : 양측 연부
30b : 양단 연부
31 : 투액성 표면 시이트
32 : 불투액성 이면 시이트
33 : 하층 코어
34 : 상층 코어
35 : 액체 저항성 누설 방지 시이트
35b : 고정측부
35c : 자유측부
35d : 고정단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투액성 표면 시이트, 불투액성 이면 시이트 및 이들 시이트 사이에 개재하는 흡액성 코어로 구성되고, 서로 대향하여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 연부와 서로 대향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양단 연부를 지니며, 상기 표면 시이트의 측에 융기하는 융기부가 상기 코어에 형성되어, 상기 융기부가 양측 연부와 양단 연부 중의 적어도 양측 연부를 따라서 서로 병행 이격되어 연장되어 있는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을 개량하는 데에 있다.
개량에 관한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융기부의 밀도가 융기부를 제외한 상기 흡수성 부재의 부위의 그것보다도 저밀도인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일례로서, 상기 흡수성 부재가, 분쇄 펄프와 고분자 흡수성 중합체로 형성되고, 상기 융기부에 있어서의 분쇄 펄프의 밀도가 융기부를 제외한 흡수성 부재의 부위의 그것보다도 저밀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다른 일례로서는, 상기 흡수성 부재가, 열가소성 합성 수지로 형성된 단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융기부에 있어서의 분쇄 펄프와 단섬유의 밀도가 융기부를 제외한 흡수성 부재의 부위의 그것보다도 저밀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다른 일례로서는, 상기 융기부의 밀도가, 0.02∼0.10 g/cm3의 범위에 있고, 상기 융기부를 제외한 흡수성 부재의 부위의 밀도가 0.05∼0.20 g/cm3의 범위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다른 일례로서는, 상기 융기부가 흡수성 부재와는 별개 부재인 제2 흡수성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다른 일례로서는, 상기 물품이 표면 시이트의 상면에 위치하여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액체 저항성 누설 방지 시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누설 방지 시이트 각각이 융기부의 꼭대기부에 위치하여 상기 물품에 고착된 고정측부와, 종방향으로 탄성적인 신축성을 지니고 표면 시이트의 외면에서 상측으로 기립 성향을 갖는 자유측부와, 상기 물품의 양단 연부에 위치하여 물품에 고착된 고정단부를 갖는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을 일회용 기저귀와 실금자용 소변 흡수 패드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일회용 기저귀(1)의 부분 파단 사시도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2에서는 코어(4)의 융기부(4c)와 융기부(4c)를 제외한 코어(4)의 부위(4d)의 경계를 가상선 Y로 나타낸다. 기저귀(1)는 투액성 표면 시이트(2), 불투액성 이면 시이트(3) 및 표면 시이트(2)와 이면 시이트(3)의 사이에 개재하는 흡액성 코어(4)로 구성되어 있다.
기저귀(1)는 종방향으로 앞몸통 둘레 영역(20), 뒷몸통 둘레 영역(22) 및 앞뒤 몸통 둘레 영역(20, 22)의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 영역(21)을 지니고, 서로 대향하여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가랑이 아래 영역(21)에 있어서 기저귀(1)의 횡방향 내측을 향하여 호(弧)를 그리는 양측 연부(1a)와, 서로 대향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양단 연부(1b)를 갖는 모래시계형의 것이다. 기저귀(1)에는 서로 대향 이격되어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액체 저항성 누설 방지 시이트(5)가 기저귀(1)의 양측 연부(1a)에 있어서의 표면 시이트(2)의 측에 부착되어 있다.
코어(4)는 분쇄 펄프와 고분자 흡수성 중합체의 혼합물이며, 소요 두께로 압축되어, 표면 전체가 투수성 시이트(6)로 피복, 접합되어 있다. 코어(4)에는 도 2에 나타내는 가상선 Y를 경계로 하여 코어(4)의 상면에서부터 융기하여, 모퉁이부가 모따기된 융기부(4c)가 형성되어 있다. 융기부(4c)는 코어(4)의 양측 연부(4a)에 위치하여, 서로 병행 이격되어 종방향으로 대략 곧바른 형태로 연장되어 있다. 코어(4)는 융기부(4c)에 있어서의 분쇄 펄프의 밀도가 융기부(4c)를 제외한 코어(4)의 부위(4d)의 그것보다도 저밀도인 것이다. 융기부(4c)와 부위(4d)는 대략 균일한 양의 중합체를 함유하고 있다.
코어(4)는 융기부(4c)에 있어서의 분쇄 펄프의 밀도가 0.02∼0.10 g/cm3의 범위, 부위(4d)에 있어서의 분쇄 펄프의 밀도가 0.05∼0.20 g/cm3의 범위에 있고, 바람직하게는, 융기부(4c)에 있어서의 분쇄 펄프의 밀도가 0.05∼0.06 g/cm3의 범위, 부위(4d)에 있어서의 분쇄 펄프의 밀도가 0.10∼0.11 g/cm3의 범위이다.
분쇄 펄프의 밀도가 상기 범위에 있는 코어(4)의 부위(4d)에서는, 분쇄 펄프의 섬유 간극이 촘촘하게 되어 모세관 현상이 강하게 나타난다. 그러므로, 부위(4d)에서는, 그 두께 방향과 함께 코어(4)의 표면에 있어서의 배설물의 확산 속도가 빠르고, 또한 배설물의 흡수 속도가 빠르다.
코어(4)의 부위(4d)에서는, 표면 시이트(2)와 투수성 시이트(6)를 투과하여 부위(4d)에 도달한 배설물을, 융기부(4c)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위(4d)의 영역(4e)의 표면 전체 영역에 신속하게 확산시키면서, 이 부위(4d)의 영역(4e)의 전체 영역에 있어서, 확산한 배설물을 조속히 흡수할 수 있다.
배설물이 부위(4d)의 영역(4e)에 확산되는 과정에 있어서, 융기부(4c)에 도달한 배설물은 융기부(4c)에 순차로 흡수되기 때문에, 배설물이 기저귀(1)의 양측 연부(1a)에서 새어 버리는 일이 없다. 분쇄 펄프의 밀도가 부위(4d)의 그것보다도 낮은 융기부(4c)에서는 융기부(4c)에 흡수된 배설물이 융기부(4c)에서 부위(4d)로 흡수되기 때문에, 융기부(4c)가 착용자의 체압에 의해 눌렸다고 하여도, 배설물이 융기부(4c)로부터 스며 나오는 일은 없다.
분쇄 펄프의 밀도가 상기 범위에 있는 코어(4)의 융기부(4c)에서는, 부위(4d)에 비교하여 유연성이 높아져, 모퉁이부가 모따기되어 모가 나 있지 않기 때문에, 융기부(4c)가 착용자의 피부에 접했을 때의 감촉이 좋다.
융기부(4c)에 있어서의 분쇄 펄프의 밀도가 0.02 g/cm3미만이면, 배설물이 융기부(4c)에 흡수되었을 때에, 배설물에 포함되는 액체의 표면 장력에 의해서 분쇄 펄프의 섬유 간극이 축소되어, 융기부(4c)의 높이 치수가 낮아지기 때문에, 배설물이 융기부(4c)를 타고 넘어 새어 나와 버리는 경우가 있다. 융기부(4c)에 있어서의 분쇄 펄프의 밀도가 0.10 g/cm3를 초과하면, 융기부(4c)와 부위(4d)의 밀도차가 작아져, 융기부(4c)에 흡수된 배설물이 융기부(4c)에서 부위(4d)로 원활하게 이행되지 않기 때문에, 융기부(4c)가 착용자의 체압에 의해 눌렸을 때에, 융기부(4c)에 체류하는 배설물이 융기부(4c)에서 스며 나오는 일이 있다.
부위(4d)에 있어서의 분쇄 펄프의 밀도가 0.05 g/cm3미만이면, 배설물이 부위(4d)의 영역(4e)에서 확산되기 어렵게 되어, 상기 부위(4d)의 영역(4e)의 전체 영역에 있어서, 배설물을 흡수할 수 없다. 부위(4d)에 있어서의 분쇄 펄프의 밀도가 0.20 g/cm3를 초과하면, 부위(4d)에 있어서의 코어(4)의 강성이 증가하여, 코어(4)가 착용자의 피부에 접했을 때에 위화감을 준다.
코어(4)는 분쇄 펄프와 고분자 흡수성 중합체 외에, 열가소성 합성 수지로 형성된 단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단섬유를 포함하는 코어(4)는, 분쇄 펄프와 단섬유와 중합체의 혼합물이며, 소요 두께로 압축된 상태로 표면 전체가 투수성 시이트(6)로 피복, 접합된다. 코어(4)는 융기부(4c)에 있어서의 분쇄 펄프와 단섬유의 밀도가 융기부(4c)를 제외한 부위(4d)의 그것보다도 저밀도이며, 융기부(4c)에 있어서의 분쇄 펄프와 단섬유를 합한 밀도가 0.02∼0.10 g/cm3의 범위, 부위(4d)에 있어서의 분쇄 펄프와 단섬유를 합한 밀도가 0.05∼0.20 g/cm3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섬유를 포함하는 코어(4)의 부위(4d)에서는, 분쇄 펄프와 단섬유의 섬유간극이 촘촘하게 되어 모세관 현상이 강하게 나타난다. 그러므로, 부위(4d)에서는 그 두께 방향과 함께 코어(4)의 표면에 있어서의 배설물의 확산 속도가 빠르고, 또한 배설물의 흡수 속도가 빠르다.
분쇄 펄프와 단섬유의 밀도가 부위(4d)의 그것보다도 낮은 융기부(4c)에서는 융기부(4c)에 흡수된 배설물이 융기부(4c)에서 부위(4d)로 흡수된다.
기저귀(1)의 양측 연부(1a)에는 2 라인의 다리 둘레용 탄성 신축성 부재(7)가 이면 시이트(3)와 누설 방지 시이트(5)의 사이에 개재되어, 이면 시이트(3)와 누설 방지 시이트(5)의 적어도 한쪽의 내면에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기저귀(1)의 양단 연부(1b)에는 필름형의 몸통 둘레용 탄성 신축성 부재(8)가 표면 시이트(2)와 이면 시이트(3)의 사이에 개재되어, 표면 시이트(2)와 이면 시이트(3)의 적어도 한쪽의 내면에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기저귀(1)의 뒷몸통 둘레 영역(22)에 있어서의 양측 연부(1a)에는, 횡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테이프 파스너(9)가 부착되어 있다. 기저귀(1)의 앞몸통 둘레 영역(20)에 있어서의 이면 시이트(3)의 외면에는, 테이프 파스너(9)의 고착 영역이 되는 직사각형의 타겟 테이프(10)가 부착되어 있다.
누설 방지 시이트(5)는 코어(4)의 융기부(4c)의 꼭대기부에 있어서 표면 시이트(2)의 외면에 고착된 고정측부(5a)와, 고정측부(5a)에 병행되어 기저귀(1)의 양단 연부(1b)의 사이에 연장되는 자유측부(5b)와, 기저귀(1)의 양단 연부(1b)에 있어서 횡방향 외측으로 절곡되어, 고정측부(5a)에서 횡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누설 방지 시이트(5)의 부분에 고착된 고정단부(5c)를 갖는다. 자유측부(5b)에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 신축성 부재(11)가 자유측부(5b)에 피복된 상태로 신장하에 부착되어 있다.
기저귀(1)는 누설 방지 시이트(5)의 고정측부(5a)가 코어(4)의 융기부(4c)의 꼭대기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코어(4)에 융기부(4c)가 없는 것과 비교하여, 고정측부(5a)와 자유측부(5b)의 사이의 폭 치수가 짧은 것이라도, 융기부(4c)와 한데 어울려 누설 방지 시이트(5)의 자유측부(5b)가 높은 장벽을 형성하여, 배설물이 가로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기저귀(1)가 그 내면을 내측으로 하여 종방향으로 만곡하고, 누설 방지 시이트(5)의 자유측부(5b)에 부착된 탄성 부재(11)가 수축하여 자유측부(5b)가 표면 시이트(2)에서 상측으로 기립하고 있다. 기저귀(1)에서는 탄성 부재(7, 8, 11) 각각이 수축하여 기저귀(1)의 양측 연부(1a) 및 양단 연부(1b)와 누설 방지 시이트(5)의 자유측부(5b)에 개더가 형성되어 있다.
기저귀(1)의 양측 연부(1a)에서는, 코어(4)의 양측 연부(4a)에서 횡방향 외측으로 표이면 시이트(2, 3)와 누설 방지 시이트(5)가 연장되어, 이들 시이트(2, 3, 5)가 서로 중합되는 부분에 있어서, 표면 시이트(2)의 내면과 이면 시이트(3)의 내면이 고착되어, 표면 시이트(2)의 외면과 누설 방지 시이트(5)의 내면이 고착되어 있다. 이면 시이트(3)와 누설 방지 시이트(5)는 표면 시이트(2)의 측연부에서부터 더욱 횡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에 있어서, 이들 시이트(3, 5)의 내면끼리 고착되어 있다.
기저귀(1)의 양단 연부(1b)에서는, 코어(4)의 양단 연부(4b)에서 종방향 외측으로 표면 시이트(2)와 이면 시이트(3)가 연장되어, 이들 시이트(2, 3)가 서로 중합되는 부분에 있어서, 표면 시이트(2)의 내면과 이면 시이트(3)의 내면이 고착되어 있다. 투수성 시이트(6)는 표면 시이트(2)와 이면 시이트(3)의 적어도 한쪽의 내면에 고착되어 있다.
도 3∼도 5는 도 1에 있어서의 각종 실시 형태를 표면 시이트(2)의 측면에서 나타내는 기저귀(1)의 평면도이다. 도 3∼도 5의 기저귀(1)는 표면 시이트(2), 이면 시이트(3) 및 이들 시이트(2, 3)의 사이에 개재하는 코어(4)로 구성되어, 종방향으로 앞뒤 몸통 둘레 영역(20, 22)과, 가랑이 아래 영역(21)과, 가랑이 아래 영역(21)에 있어서 기저귀(1)의 횡방향 내측을 향하여 호를 그리는 양측 연부(1a)와, 양단 연부(1b)를 지니고, 기저귀(1)의 양측 연부(1a)에 있어서의 표면 시이트(2)의 측에 한쌍의 누설 방지 시이트(5)가 부착되어 있는 점에 있어서 도 1의 그것과 동일하다.
도 3에서는 이격 병행되어 연장되는 코어(4)의 융기부(4c)가 가랑이 아래 영역(21)에 있어서 기저귀(1)의 횡방향 내측을 향하여 호를 그리고, 융기부(4c)의 간격이 가랑이 아래 영역(21)에서 좁고, 앞뒤 몸통 둘레 영역(20, 22)에서 가랑이 아래 영역(21)보다도 넓게 되어 있다. 도 3의 기저귀(1)는 기저귀(1)를 착용했을 때에, 융기부(4c)가 착용자의 고간(股間)에 수습되어, 가랑이 아래 영역(21)에 있어서의 코어(4)의 팽창을 작게 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이격 병행되어 연장되는 코어(4)의 융기부(4c)가 가랑이 아래 영역(21)에 있어서 기저귀(1)의 횡방향 외측을 향하여 호를 그리고, 융기부(4c)의 간격이 가랑이 아래 영역(21)에서 넓으며, 앞뒤 몸통 둘레 영역(20, 22)에서 가랑이 아래 영역(21)보다도 좁게 되어 있다. 도 4의 기저귀(1)는 가랑이 아래 영역(21)에서의 융기부(4c)의 간격을 넓게 함으로써, 가랑이 아래 영역(21)에 있어서의 융기부(4c) 사이의 영역(4e)에 배설물을 신속히 확산, 흡수시켜, 가랑이 아래 영역(21)으로부터의 배설물의 누설을 막을 수 있다.
도 5에서는, 코어(4)의 융기부(4c)가 코어(4)의 주연부에 위치하여 환상으로 연장되고 있다. 도 5의 기저귀(1)는 융기부(4c)가 환상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융기부(4c)가 기저귀(1)의 양측 연부(1a) 외에, 양단 연부(1b)에 있어서도 장벽이 되어, 기저귀(1)의 양측 연부(1a)와 양단 연부(1b)로부터의 배설물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 도 7은 실금자용 소변 흡수 패드(30)의 부분 파단 평면도와, 도 6의 B-B선 단면도이다. 패드(30)는 투액성 표면 시이트(31), 불투액성 이면 시이트(32) 및 표면 시이트(31)와 이면 시이트(32)의 사이에 개재하는 흡액성 코어(33, 34)로 구성되어 있다. 패드(30)는 패드(30)를 유지하기 위한 기저귀 커버나 실금 팬츠 등의 외측 시이트의 내면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패드(30)는 종방향으로 앞몸통 둘레 영역(40)과, 뒷몸통 둘레 영역(42)과, 앞뒤 몸통 둘레 영역(40, 42)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 영역(41)을 지니고, 서로 대향하여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 연부(30a)와, 서로 대향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양단 연부(30b)를 갖는다. 패드(30)의 양측 연부(30a)에는 서로 대향 이격되어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액체 저항성 누설 방지 시이트(35)가 부착되어 있다.
코어(33, 34)는 하층 코어(34)와 하층 코어(34)의 양측 연부(34a)를 따라서 종방향으로 대략 곧바른 형태로 연장되는 상층 코어(33)로 형성되어 있다. 상층 코어(33)는 모퉁이부가 모따기된 것으로, 하층 코어(34)의 양단 연부(34b)의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상층 코어(33)는 하층 코어(34)에 대한 융기부를 형성한다. 상층 코어(33)와 하층 코어(34)는 분쇄 펄프와 고분자 흡수성 중합체의 혼합물이며, 소요 두께로 압축되어, 코어(33, 34) 각각의 표면 전체가 투수성 시이트(36)로 피복, 접합되어 있다.
하층 코어(34)는 앞몸통 둘레 영역(40)과 가랑이 아래 영역(41)이 대략 동일한 면적을 지니고, 뒷몸통 둘레 영역(42)에 있어서의 면적이 앞몸통 둘레 영역(40)과 가랑이 아래 영역(41)의 그것보다도 큰 것이다. 상/하층 코어(33, 34)는 상층 코어(33)에 있어서의 분쇄 펄프의 밀도가 하층 코어(34)의 그것보다도 저밀도이며, 상층 코어(33)와 하층 코어(34)는 대략 균일한 양의 중합체를 함유하고 있다.
패드(30)에서는 상층 코어(33)에 있어서의 분쇄 펄프의 밀도가 0.02∼0.10 g/cm3의 범위, 하층 코어(34)에 있어서의 분쇄 펄프의 밀도가 0.05∼0.20 g/cm3의 범위에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층 코어(33)에 있어서의 분쇄 펄프의 밀도가 0.05∼0.06 g/cm3의 범위, 하층 코어(34)에 있어서의 분쇄 펄프의 밀도가 0.10∼0.11 g/cm3의 범위이다.
분쇄 펄프의 밀도가 상기 범위에 있는 하층 코어(34)에서는 그 두께 방향과 함께 하층 코어(34)의 표면에 있어서의 배설물의 확산 속도가 빠르고, 또한, 배설물의 흡수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표면 시이트(31)와 투수성 시이트(35)를 투과하여 하층 코어(34)에 도달한 배설물을, 상층 코어(33)의 사이에 위치하는 하층 코어(34)의 영역(34c)의 표면 전체 영역으로 신속히 확산시키면서, 상기 영역(34c)의 전체 영역에 있어서, 확산된 배설물을 조속히 흡수할 수 있다.
배설물이 하층 코어(34)의 영역(34c)으로 확산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층 코어(33)에 도달한 배설물은 상층 코어(33)에 순차로 흡수되기 때문에, 배설물이 패드(30)의 양측 연부(30a)에서 새어 버리는 일이 없다. 분쇄 펄프의 밀도가 하층 코어(34)의 그것보다도 낮은 상층 코어(33)에서는 상층 코어(33)에 흡수된 배설물이 상층 코어(33)에서 하층 코어(34)로 흡수되기 때문에, 상층 코어(33)가 착용자의 체압에 의해 눌려졌다고 하여도, 배설물이 상층 코어(33)로부터 스며 나오는 일은 없다.
분쇄 펄프의 밀도가 상기 범위에 있는 상층 코어(33)에서는 하층 코어(34)와 비교하여 유연성이 높아, 상층 코어(33)가 착용자의 피부에 접했을 때의 감촉이 좋다. 상층 코어(33)와 하층 코어(34)의 밀도를 상기 값으로 하는 이유는 도 1에 나타내는 기저귀(1)와 마찬가지다.
패드(30)에서는 상/하층 코어(33, 34)가 분쇄 펄프와 열가소성 합성 수지로 형성된 단섬유와 고분자 흡수성 중합체의 혼합물이라도 좋다. 단섬유를 포함하는 상/하층 코어(33, 34)는 상층 코어(33)에 있어서의 분쇄 펄프와 단섬유의 밀도가 하층 코어(34)의 그것보다도 저밀도이며, 상층 코어(33)에 있어서의 분쇄 펄프와 단섬유를 합한 밀도가 0.02∼0.10 g/cm3의 범위, 하층 코어(34)에 있어서의 분쇄 펄프와 단섬유를 합한 밀도가 0.05∼0.20 g/cm3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누설 방지 시이트(35)는 패드(30)의 양측 연부(30a)에서 횡방향 내측을 향하여 절곡되어, 패드(30)의 양측 연부(30)에서 표면 시이트(31)의 외면의 측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35a)과, 패드(30)의 양측 연부(30a)에서 이면 시이트(32)의 외면의 측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35e)을 갖는다.
누설 방지 시이트(35)의 제1 부분(35a)은 상층 코어(33)의 꼭대기부에 있어서 표면 시이트(31)의 외면에 고착된 고정측부(35b)와, 고정측부(35b)에 병행되어 패드(30)의 양단 연부(30b)의 사이로 연장되는 자유측부(35c)와, 패드(30)의 양단 연부(30b)에 있어서 횡방향 외측으로 절곡되어, 고정측부(35b)에서 횡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누설 방지 시이트(35)의 부분에 고착된 고정단부(35d)를 갖는다. 자유측부(35c)에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 신축성 부재(37)가 자유측부(35c)에 피복된 상태로 신장하에 부착되어 있다. 제2 부분(35e)은 패드(30)의 양측 연부(30a)와 양단 연부(30b)에 있어서 이면 시이트(32)의 외면에 고착되어 있다.
패드(30)는 누설 방지 시이트(35)의 고정측부(35b)가 상층 코어(33)의 꼭대기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층 코어(33)와 한데 어울려 누설 방지 시이트(35)의 자유측부(35b)가 높은 장벽을 형성하여, 배설물이 가로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패드(30)의 양단 연부(30b)에 있어서의 이면 시이트(32)의 외면에는, 외측 부재의 내면에 걸어 부착할 수 있는 2개의 웅(雄)형 메카니컬 파스너(38)가 부착되어 있다.
도 4에서는 패드(30)가 그 내면을 내측으로 하여 종방향으로 만곡되고, 누설 방지 시이트(35)의 자유측부(35b)에 부착된 탄성 부재(37)가 수축하여 자유측부(35b)가 표면 시이트(31)의 외면에서 상측으로 기립하고 있다. 패드(30)에서는 탄성 부재(37)가 수축하여 누설 방지 시이트(35)의 자유측부(35b)에 개더가 형성되어 있다.
패드(30)의 양측 연부(30a)에서는 하층 코어(34)의 양측 연부(33a)에서 횡방향 외측으로 표면 시이트(31)와 이면 시이트(32)가 연장되고, 이들 시이트(31, 32)가 서로 중합되는 부분에 있어서, 이들 시이트(31, 32)의 내면끼리 고착되어 있다.
패드(30)의 양단 연부(30b)에서는 하층 코어(34)의 양단 연부(33b)에서 종방향 외측으로 표면 시이트(31)와 이면 시이트(32)가 연장되고, 이들 시이트(31, 32)가 서로 중합되는 부분에 있어서, 이들 시이트(31, 32)의 내면끼리 고착되어 있다. 상층 코어(33)를 피복하는 투수성 시이트(36)는 표면 시이트(31)의 내면에 고착되고, 하층 코어(34)를 피복하는 투수성 시이트(36)는 이면 시이트(32)의 내면에 고착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기저귀(1)의 코어(4)에서는 융기부(4c)와 부위(4b)가 각각 다른 양의 중합체를 함유하고 있더라도 좋고, 도 6에 나타내는 패드(30)의 코어(33, 34)에서는 상층 코어(33)와 하층 코어(34)가 각각 다른 양의 중합체를 함유하고 있더라도 좋다.
다른 양의 중합체를 함유하는 경우에 있어서, 도 1의 코어(4)는 융기부(4c)의 밀도가 부위(4d)의 그것보다도 저밀도이며, 융기부(4c)에 있어서의 분쇄 펄프와 중합체를 합한 밀도가 0.02∼0.10 g/cm3의 범위, 부위(4d)에 있어서의 분쇄 펄프와 중합체를 합한 밀도가 0.05∼0.20 g/cm3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어(4)가 단섬유를 포함하는 경우는 융기부(4c)에 있어서의 분쇄 펄프와 중합체와 단섬유를 합한 밀도가 0.02∼0.10 g/cm3의 범위, 부위(4d)에 있어서의 분쇄 펄프와 중합체와 단섬유를 합한 밀도가 0.05∼0.20 g/cm3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양의 중합체를 함유하는 경우에 있어서, 도 6의 코어(33, 34)는 상층 코어(33)의 밀도가 하층 코어(34)의 그것보다도 저밀도이며, 상층 코어(33)에 있어서의 분쇄 펄프와 중합체를 합한 밀도가 0.02∼0.10 g/cm3의 범위, 하층 코어(34)에 있어서의 분쇄 펄프와 중합체를 합한 밀도가 0.05∼0.20 g/cm3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하층 코어(33, 34)가 단섬유를 포함하는 경우는 상층 코어(33)에 있어서의 분쇄 펄프와 중합체와 단섬유를 합한 밀도가 0.02∼0.10 g/cm3의 범위, 하층 코어(34)에 있어서의 분쇄 펄프와 중합체와 단섬유를 합한 밀도가 0.05∼0.20 g/cm3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 1과 도 6의 코어(4, 33, 34)가 다른 양의 중합체를 함유하는 경우는, 중합체의 밀도에 경사를 줄 수 있다. 도 1의 코어(4)에서는 융기부(4c)의 상부에서 부위(4d)의 하부를 향하여 중합체의 밀도가 점차로 높아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6의 코어(33, 34)에서는 상층 코어(33)의 상부에서 하층 코어(34)의 하부를 향하여 중합체의 밀도가 점차로 높아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코어(4)의 부위(4d)와 하층 코어(34)가, 분쇄 펄프와 중합체의 혼합물 외에, 분쇄 펄프의 사이에 중합체를 개재시킨 적층체라도 좋다.
도 1의 코어(4)는 융기부(4c)와 부위(4d)가 일체가 된 것으로, 코어(4)를 제조할 때에, 융기부(4c)와 부위(4d)를 다른 밀도로 하는 공정이 필요하지만, 도 6의 코어(33, 34)는 별개 부재인 상층 코어(33)와 하층 코어(34)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서 밀도가 다른 상층 코어(33)와 하층 코어(34)를 제조할 수 있어, 도 1의 코어(4)와 비교하여 제조 비용의 면에서 유리하다.
도 1과 도 6의 코어(4, 33, 34)에서는 융기부(4c)와 상층 코어(33)의 높이 치수가 3∼15 mm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8 mm의 범위이다. 또, 부위(4d)와 하층 코어(34)의 높이 치수가 1∼10 mm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4 mm의 범위이다.
고분자 흡수성 중합체로서는 자신 중량의 20배 이상의 액체를 흡수, 유지 가능하며 겔화하는 성질을 갖는 입자형인 것이 바람직하고, 전분-아크릴산(염) 그라프트 중합체, 전분-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의 비누화물, 나트륨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의 가교물, 아크릴산(염) 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표면 시이트(2, 31)에는 부직포나 개공 플라스틱 필름 등의 투액성 시이트, 바람직하게는 투액성이며 친수성인 시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면 시이트(3, 32)와 누설 방지 시이트(5, 35)에는 소수성 부직포, 불투액성 플라스틱 필름 또는 소수성 부직포와 플라스틱 필름과의 적층 시이트, 바람직하게는 통기 불투액성 시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코어(4, 33, 34)를 피복하는 투수성 시이트(6, 36)에는 티슈 페이퍼나 평량이 5∼10 g/m2의 범위에 있는 투액성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부직포로서는 스펀레이스, 니들펀치, 멜트블로운, 서멀본드, 스펀본드, 케미컬본드 등의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부직포의 구성 섬유 및 코어에 포함되는 단섬유로서는 폴리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의 각 섬유,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스테르의 복합 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시이트(2, 3, 5, 6, 31, 32, 35, 36)나 기저귀(1) 및 패드(30)의 구성 부재(9, 10, 38)의 고착, 탄성 부재(7, 8, 11, 37)의 부착에는,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나 점착제 외에, 열 용착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1)나 실금자용 소변 흡수 패드(30) 외에, 기저귀 라이너나 팬티 라이너, 생리대 등에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에 따르면, 융기부를 제외한 코어의 부위에서는, 코어의 표면에 있어서의 배설물의 확산 속도가 빠르고, 또한, 배설물의 흡수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융기부 사이에 위치하는 부위의 영역의 표면 전체 영역에 배설물을 신속히 확산시키면서, 그 부위의 영역의 전체 영역에 있어서, 확산된 배설물을 조속히 흡수할 수 있다. 다량의 배설물이 물품의 일부분에 집중하여 배설된 경우라도, 배설물이 물품의 배설 부위에 체류하는 일은 없으며, 배설물이 융기부를 타고 넘어 새어 버리는 일이 없다.
융기부에 도달한 배설물은 융기부에 순차로 흡수되기 때문에, 배설물이 물품의 양측 연부로부터 새어 버리는 일이 없다. 밀도가 부위의 그것보다도 낮은 융기부에서는 융기부에 흡수된 배설물이 융기부에서 부위로 흡수되기 때문에, 융기부가 착용자의 체압에 의해 눌렸다고 하여도, 배설물이 융기부에서 스며 나오는 일은 없다. 융기부에서는 부위에 비교하여 유연성이 높아지고, 모퉁이부가 모따기되어 모가 나 있지 않기 때문에, 융기부가 착용자의 피부에 접했을 때의 감촉이 좋다.

Claims (6)

  1. 투액성 표면 시이트, 불투액성 이면 시이트 및 이들 시이트 사이에 개재하는 흡액성 코어로 구성되고, 서로 대향하여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 연부와 서로 대향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양단 연부를 지니며, 상기 표면 시이트의 측으로 융기하는 융기부가 코어에 형성되어, 융기부가 양측 연부와 양단 연부 중의 적어도 양측 연부를 따라서 서로 병행 이격되어 연장되어 있는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의 밀도가 융기부를 제외한 코어의 부위의 밀도보다도 저밀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가 분쇄 펄프와 고분자 흡수성 중합체로 형성되고, 상기 융기부에 있어서의 분쇄 펄프의 밀도가 융기부를 제외한 코어의 부위의 밀도보다도 저밀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가 열가소성 합성 수지로 형성된 단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융기부에 있어서의 분쇄 펄프와 단섬유의 밀도가 융기부를 제외한 코어의 부위의 밀도보다도 저밀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의 밀도가 0.02∼0.10 g/cm3의 범위에 있고, 융기부를 제외한 코어의 부위의 밀도가 0.05∼0.20 g/cm3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가 코어와는 별개 부재인 제2 흡액성 코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이 표면 시이트의 상면에 위치하여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액체 저항성 누설 방지 시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누설 방지 시이트 각각이 융기부의 꼭대기부에 위치하여 물품에 고착된 고정측부와, 종방향으로 탄성적인 신축성을 지니어 표면 시이트의 외면에서 상측으로 기립 성향을 갖는 자유측부와, 상기 물품의 양단 연부에 위치하여 상기 물품에 고착된 고정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
KR1020000067888A 1999-11-17 2000-11-16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 KR1007962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326806 1999-11-17
JP32680699A JP3524026B2 (ja) 1999-11-17 1999-11-17 体液吸収性着用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1713A true KR20010051713A (ko) 2001-06-25
KR100796221B1 KR100796221B1 (ko) 2008-01-21

Family

ID=18191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7888A KR100796221B1 (ko) 1999-11-17 2000-11-16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498283B1 (ko)
EP (1) EP1101477B1 (ko)
JP (1) JP3524026B2 (ko)
KR (1) KR100796221B1 (ko)
CN (1) CN1162135C (ko)
AU (1) AU777450B2 (ko)
CA (1) CA2326306C (ko)
DE (1) DE60043137D1 (ko)
ID (1) ID28342A (ko)
MY (1) MY127990A (ko)
SG (1) SG97982A1 (ko)
TW (1) TW469822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694B1 (ko) * 2001-07-12 2009-03-11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흡수성 물품
KR100887692B1 (ko) * 2001-07-12 2009-03-11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흡수성 물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016730T3 (de) * 1999-04-12 2009-11-19 Kao Corp. Wegwerfwindel
US20030002528A1 (en) * 2001-06-29 2003-01-02 Krieps Leigh M. Disposable menstrual undergarment
JP4599000B2 (ja) * 2001-07-24 2010-12-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AU2002328060A1 (en) 2001-09-21 2003-04-07 Kao Corporation Disposable diaper
JP2003093440A (ja) * 2001-09-21 2003-04-02 Kao Corp 使い捨ておむつ
AR037392A1 (es) * 2002-11-14 2004-11-10 Magdalena Luisa Olmedo Sistema de panal semi-descartable y/o no descartable para bebes y adultos
US7839430B2 (en) * 2003-03-12 2010-11-23 Siegbert Hentschke Autostereoscopic reproduction system for 3-D displays
US7847145B2 (en) 2003-03-31 2010-12-07 Daio Paper Corporation Body fluid absorbent article
JP3908191B2 (ja) * 2003-03-31 2007-04-25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制御機能を有する体液吸収性物品
DE10326022A1 (de) * 2003-06-02 2004-12-23 Paul Hartmann Ag Hygieneartikel zum einmaligen Gebrauch
DE102004016552A1 (de) * 2004-04-03 2005-10-27 Paul Hartmann Ag Hygieneartikel zum einmaligen Gebrauch
JP3923490B2 (ja) 2004-08-19 2007-05-30 株式会社日本吸収体技術研究所 吸収体物品
JP4688103B2 (ja) * 2005-06-16 2011-05-25 国立大学法人 東京大学 吸収性物品
MX2007015711A (es) * 2005-07-13 2008-02-21 Sca Hygiene Prod Ab Articulo absorbente que tiene ajuste mejorado.
US8241263B2 (en) 2005-08-26 2012-08-14 Medline Industries, Inc. Absorbent article
JP2009291475A (ja) * 2008-06-06 2009-12-17 Zuiko Corp 衛生用品用吸収性コア及びその製造方法
JP5306793B2 (ja) * 2008-12-11 2013-10-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着用物品
JP5612825B2 (ja) * 2009-03-30 2014-10-22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10117792B2 (en) 2010-10-19 2018-11-06 Medline Industries, Inc. Absorbent articl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BR112013009496B8 (pt) 2010-10-19 2023-03-21 Medline Ind Inc Sistemas de artigos absorventes
US9308138B2 (en) * 2011-06-28 2016-04-12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 having intake structure
USD716938S1 (en) 2011-10-19 2014-11-04 Medline Industries, Inc. Absorbent core
CN103565588B (zh) * 2012-07-24 2019-04-16 金红叶纸业集团有限公司 吸收用品
JP6186176B2 (ja) * 2013-05-27 2017-08-2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422768B1 (ja) * 2013-05-27 2014-02-1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196810B2 (ja) * 2013-05-27 2017-09-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118703B2 (ja) * 2013-10-04 2017-04-1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9486368B2 (en) 2013-12-05 2016-11-08 Medline Industries, Inc. Disposable hygienic article with means for diagnostic testing
KR102332161B1 (ko) * 2013-12-27 2021-11-26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일회용 기저귀
JP6320785B2 (ja) * 2014-02-12 2018-05-09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吸収性物品
US10864120B2 (en) * 2014-02-21 2020-12-15 Attends Healthcare Products, Inc. Absorbent article with fluid control features
US9375367B2 (en) 2014-02-28 2016-06-28 Medline Industries, Inc. Fastener for an absorbent article
US9622922B2 (en) 2014-04-21 2017-04-18 Medline Industries, Inc. Stretch breathable protective absorbent article using bilaminate
US10226388B2 (en) 2014-04-21 2019-03-12 Medline Industries, Inc. Stretch breathable protective absorbent article using tri-laminate
EP3187161B1 (en) * 2014-08-29 2021-12-15 Daio Paper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JP6081422B2 (ja) * 2014-08-29 2017-02-15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9820897B2 (en) * 2015-12-28 2017-11-21 Veronica Lee Berry Composite liquid-retentive substrate for a hygiene article
CN106109098A (zh) * 2016-08-22 2016-11-16 广东茵茵股份有限公司 分层式一次性吸湿用品
JP7087239B2 (ja) * 2018-02-22 2022-06-21 日本製紙クレシア株式会社 軟便漏れ防止用吸収性パッド
JP7013304B2 (ja) * 2018-03-29 2022-01-31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11481351A (zh) * 2020-05-28 2020-08-04 广东寿仙兹健康实业有限公司 一种竹纤维多功能卫生巾芯片
WO2022268304A1 (en) 2021-06-22 2022-12-29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An absorbent core for a wearable absorbent article and a wearable absorbent article including said absorbent cor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5915A (en) 1984-04-06 1987-08-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diaper having density and basis weight profiled absorbent core
DE69017001T2 (de) 1990-01-12 1995-10-12 Chicopee Saugfähiger Wegwerfartikel.
CA2072689A1 (en) * 1991-12-31 1993-07-01 Kimberly-Clark Corporation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flushable insert
JPH0621626A (ja) 1992-07-06 1994-01-28 Shin Etsu Chem Co Ltd フレキシブル印刷配線板の製造方法
US5830202A (en) * 1994-08-01 1998-11-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comprising upper and lower gel layers
US5674213A (en) * 1995-10-30 1997-10-07 Kimberly Clark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having containment flaps with receiving reservoirs
US6372952B1 (en) * 1996-03-22 2002-04-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components having a sustained acquisition rate capability upon absorbing multiple discharges of aqueous body fluids
US5827254A (en) * 1996-06-13 1998-10-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SE512761C2 (sv) 1997-02-28 2000-05-08 Sca Hygiene Prod Ab Blöja, innefattande ett midjebälte och en absorberand enhet
US6022338A (en) 1997-11-19 2000-02-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 multilayered containment barrier
DE19915716C1 (de) 1999-04-08 2000-08-10 Sandler C H Gmbh Absorbierender Einwegartikel mit geringer Neigung zur Rücknässu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694B1 (ko) * 2001-07-12 2009-03-11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흡수성 물품
KR100887692B1 (ko) * 2001-07-12 2009-03-11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흡수성 물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26306C (en) 2006-08-15
ID28342A (id) 2001-05-17
JP2001137286A (ja) 2001-05-22
AU777450B2 (en) 2004-10-14
EP1101477A2 (en) 2001-05-23
EP1101477A3 (en) 2001-09-12
CA2326306A1 (en) 2001-05-17
KR100796221B1 (ko) 2008-01-21
TW469822U (en) 2001-12-21
CN1296806A (zh) 2001-05-30
CN1162135C (zh) 2004-08-18
AU7161300A (en) 2001-05-24
EP1101477B1 (en) 2009-10-14
US6498283B1 (en) 2002-12-24
MY127990A (en) 2007-01-31
SG97982A1 (en) 2003-08-20
DE60043137D1 (de) 2009-11-26
JP3524026B2 (ja) 2004-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6221B1 (ko)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
KR100604165B1 (ko) 일회용 기저귀
JP4653537B2 (ja) 吸収性物品
JP3920593B2 (ja) 使い捨て吸液性パッド
WO2010055699A1 (ja) 使い捨ての体液吸収性着用物品
KR100263233B1 (ko) 흡수제품
KR20010051429A (ko) 체액 흡수성 내측 패널
KR20000063004A (ko) 표면 구조체를 갖는 흡수성 물품
JP2001245928A (ja) 吸収性物品
US6508796B2 (en) Absorbent article
KR100872387B1 (ko) 일회용 착용 물품
KR100592742B1 (ko) 착용 물품
US9931253B2 (en) Contoured absorbent pad
JP2009273830A (ja) 吸収性物品
JPH09173381A (ja) 吸収性物品
JP2011104297A (ja) 吸収性物品
KR100779041B1 (ko)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
JP3662102B2 (ja) 吸収性製品
JPH05200059A (ja) 吸収性物品
JP2018015215A (ja) 男性用の吸収性物品
CA2312634C (en) Article for dealing with body wastes
JP2586287Y2 (ja) 使い捨ておむつ
JPH0856984A (ja) 使い捨ての体液吸収性着用物品
JP4142518B2 (ja) 吸収性物品
JP6972469B2 (ja) 吸収性補助パ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