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0340A - 반송하역장치 - Google Patents

반송하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0340A
KR20010050340A KR1020000052402A KR20000052402A KR20010050340A KR 20010050340 A KR20010050340 A KR 20010050340A KR 1020000052402 A KR1020000052402 A KR 1020000052402A KR 20000052402 A KR20000052402 A KR 20000052402A KR 20010050340 A KR20010050340 A KR 20010050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plate
load
plate
movement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2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2271B1 (ko
Inventor
코지마쿠니오
Original Assignee
나가이 큐지
유켄가이샤 코시지 긴죠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1251215A external-priority patent/JP3062568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236682A external-priority patent/JP3515743B2/ja
Application filed by 나가이 큐지, 유켄가이샤 코시지 긴죠쿠 filed Critical 나가이 큐지
Publication of KR20010050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0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2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22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parallel up-and-down movement of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0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charge and discharge with pusher plates

Abstract

본 발명의 반송하역장치는 트럭의 짐받이 부분 등의 짐싣는 장치 혹은 짐내리는 장치로서도 이용할 수 있고 그외 벨트콘베이어나 크레인 등을 대신하여 짐을 연속해서 이동할 수 있는 것으로서 슬라이드판의 왕복운동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짐을 반송할 수 있고, 장치 자체는 간단함과 동시에 저가로 또한 적은 인원수로도 충분히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다.
트럭의 짐받이 부분(12)등의 바닥판(14)위에 왕복운동을 하도록 한 슬라이드판(15)을 올려놓고, 이 슬라이드판(15) 위에 격벽판(18)을 배치하는 것으로, 이 격벽판(18)은 트럭 좌우의 짐받이 부분 측판(17)에 옆단을 계지할 수 있도록 하여, 계지시에는 밑의 슬라이드판(15)만 이동하고, 계지하지 않을 때에는 슬라이드판(15)과 함께 이동하는 격벽판이다.

Description

반송하역장치{APPARATUS FOR CARRYING, LOADING AND UNLOADING}
본 발명은 주로 트럭의 짐받이 부분 등에 있어의 짐을 내리는 장치로서 또는 짐을 싣는 장치로서 이용할 수 있고 또한 트럭의 짐받이 부분 이외의 것이라도 벨트콘베이어나 크레인 등을 대신할 수 있는 것으로서 짐을 연속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반송하역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역을 행하는 대표적인 장치로서 여기에 트럭의 짐받이 부분에 있는 짐을 내리는 장치의 예를 든다. 칩상태로 되어있는 짐을 종래의 트럭의 짐받이 부분에서 내리는 방법으로서는 도 3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짐받이 부분(1)자체를 실린더(2)로 기울게 하여 승강시킨다. 이른바 덤프방식과, 도 33과 같이 짐받이 부분(1)에 실린더(3)에 의해 뒤쪽으로 이동하는 이송판(4)을 배치하여 이 이송판(4)으로 짐받이 부분(1)위의 칩을 뒤쪽으로 밀어내도록 한 것이 있다.
또한 도 34와 같이 플랫폼(5), 유압장치(6), 실린더(7), 오버반(8), 계량장치(9)로 구성된 것이 있다. 플랫폼(5)은 유압장치(6)와 실린더(7)의 구동에 의해 칩차를 최대 55도까지 경사지게 하여 짐을 내리는 것으로 이 플랫폼(5)은 형강 및 강판으로 틀이 짜여지고, 칩차의 짐내리는 작업에 대해 충분한 넓이와 강도를 갖고 있ㅇ며, 그 일단에는 플랫폼(5)의 경사시에 칩차를 지지하기 위한 강한 정도의 형강을 사용한 차정지장치 백스톱(10)이 부착되고 있다.
상기 도 32 내지 도 34와 같은 종래방법으로 도 32와 같이 짐받이 부분(1)의 덤프방식은 짐받이 부분(1)의 모든 칩을 스무스하고 완전하게 배출하기 위해서는 일정이상의 경사각도를 유지해야 하지만 실린더(2)로는 한계가 있고 또 짐받이 부분(1)이 경사져 있으면 중심이 이동되어 불안정한 상태가 된다.
도 33에 도시하는 이송판방식의 경우는 짐받이 부분(1)의 단에서 단까지 이송판(4)을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실린더(3)의 스트로크가 문제가 되어 특수한 다단실린더를 이용해야 한다. 또한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이 방법으로는 반송이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즉 이송판이 이동해도 짐의 선단은 전혀 움직이지 않아 그것이 압력이 되어 이송판 직전의 짐이 위로 넘쳐나거나나 측판이 펴지게 된다. 또 실린더(3) 자체를 순차로 움직이는 방법도 있기는 하지만 고정방법이 복잡하여 사용상 번거롭다.
또한 이송판(4)은 칩을 뒤쪽으로 미는 힘을 갖추기 위해 실린더(3)에는 강력한 추력이 요구된다.
도 34에 도시하는 플랫폼(4)으로 칩차 전체를 경사지게 하는 방법은 장치 전체가 대형화되고, 이 플랫폼(5)에서의 장치가 일정 장소가 아니면 짐내리는 작업이 불가능하다. 또한 일련의 작업 도중 오버반(8)이 개방된 상태에서 다음의 칩차가 진입하면 받아들이는 빈으로 낙하될 염려가 있고 또 백스톱(10)의 상승위치가 적절하지 않은 경우에도 낙하하여 대형재해가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실시예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장치전체를 간단히 함과 동시에 저가로 제작할 수 있고 또한 적은 인원으로 충분히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어 효율적인 하역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반송하역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해 첫째로 바닥판 위에 왕복운동을 하도록 슬라이드판을 설치하고, 이 슬라이드판 위에 격벽판을 배치하는 것으로, 이 격벽판은 옆쪽의 단을 계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계지했을 때에는 밑의 슬라이드판만이 이동하고, 계지하지 않을 때에는 슬라이드판과 함께 이동하는 격벽판인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둘째로 트럭의 짐받이 부분에서의 짐내리는 장치를 구성하는 반송하역장치로서 트럭의 짐받이 부분의 바닥판 위에 트럭의 캐빈측에서 뒷단을 향해 왕복운동을 하도록 한 슬라이드판을 올려놓고, 이 슬라이드판 위에 격벽판을 배치하는 것으로, 이 격벽판은 트럭 좌우의 짐받이 부분 측판에 옆단을 계지할 수 있으며 또한 계지할 때에는 슬라이드판만이 이동하고 계지하지 않을 때에는 슬라이드판과 함께 이동하는 격벽판인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셋째로, 바닥판 위에 왕복운동하는 슬라이드판을 배치하여 이 왕복운동에 의해 슬라이드판 위에 올려놓은 짐이 슬라이드판과 함께 이동하고자 하는 왕복운동의 이동 중 어느 한 방향 예를들면 되돌아 오는 길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짐이동 규제수단으로서 격벽을 배치하며, 이 격벽은 슬라이드판위로의 짐 투입부를 형성하고 이 투입부를 통해 슬라이드판위로 연속적으로 투입하여 올려두는 짐을 상기 격벽에서 되돌아 오는 길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면서 규제되지 않은 가는 길 방향으로만 반송하는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넷째로, 왕복운동을 가능하도록 한 슬라이드판을 배치하고, 또 이 슬라이드판에 대해 그 위에 올려놓은 짐이 슬라이드판과 함께 이동하고자 하는 왕복운동의 이동 중 어느 한 방향 예를들면 되돌아 오는 길 방향으로의 이동을 짐이 그 곳에 놓이는 이동으로 하기 위해 가는길 방향으로의 슬라이드판의 이동에 대해 급속으로 하여 슬라이드판의 이 되돌아 오는 길 방향으로의 이동과 가는 길 방향으로의 이동속도 차로 슬라이드판에 의해 위로 올려두는 짐을 가는 길 방향으로만 반송하는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다섯째로 왕복운동을 가능하도록 한 슬라이드판을 배치하고 또 이 슬라이드판에 연속하는 타격을 가는길 방향에서 되돌아 오는 길 방향을 향해 부여하고, 이에 따라 짐을 관성작용으로써 가는길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여섯째로, 바닥판위에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슬라이드판을 배치하고, 또 이 슬라이드판 위에 이동격벽과 고정격벽을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하지만 이동격벽은 슬라이드판의 왕복운동의 움직임 중 일방향 예를들면 되돌아 오는 길 방향에서는 슬라이드판만 이동하고, 가는길 방향으로는 슬라이드판과 동기하여 이동하는 것이며, 고정격벽은 슬라이드판의 왕복운동의 움직임에 전혀 관계 없이 고정하는 것으로 이동격벽을 순차로 슬라이드판의 앞위치로 이송하고, 이 이동격벽으로 짐을 가는 길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또한 이동격벽과 고정격벽으로 짐을 압착하는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에 기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바닥판 위의 슬라이드판은 왕복운동을 하는 것으로, 격벽판은 옆쪽 단을 계지하지 않을 때에는 이 슬라이드판과 함께 이동한다. 또 짐은 슬라이드판 위에 올려놓여지고, 짐도 이 슬라이드판과 함께 이동한다. 한편 격벽판의 옆쪽 단을 계지할 경우에는 짐은 이 격벽판으로 이동을 저지하고 슬라이드판만이 이동한다.
일방향으로 예를들면 슬라이드판이 이동할 경우는 짐이나 격벽판은 이 슬라이드판과 함께 이동하고, 되돌아 오는 길 방향에서는 슬라이드판만을 이동시키면 짐이나 격벽판은 슬라이드판의 왕복운동과 함께 순차로 가는 길 방향으로 이동해 간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2에 기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1의 장치를 트럭의 짐받이 부분에 있어 짐을 내리는 장치로서 구성한 경우이며, 예를들면 짐으로서의 칩은 슬라이드판위에 올려 넣여지고 이 슬라이드판과 함께 뒤쪽으로 이동하며 후부의 칩은 트럭의 짐받이 부분에서 바깥쪽으로 나온다.
이 단계에서는 칩은 슬라이드판 위에 있지만 격벽판을 짐받이 부분 측판에 계지하여 칩의 앞단부를 누르면서 슬라이드판을 앞쪽으로 끌면 후부의 칩 밑의 슬라이드판이 없어져 낙하한다.
격벽판과 짐받이 부분 측판과의 계지를 해제하여, 상기 칩의 슬라이드판과 함께 뒤쪽으로 이동 및 그 후의 동작을 반복하고 순차로 칩을 후부에서 낙하시킨다.
또한 슬라이드판의 전후이동에 실린더를 사용한다고 해도 그 스트로크는 작은 실린더로서는 소형의 것이며 되고 격벽판도 칩을 밀어내이 것은 아니기 때문에 그 자체의 강도나 짐받이 부분 측판으로의 계지도 그 만큼 단단하거나 강하지 않아도 된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3에 기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바닥판으로서 왕복운동하는 슬라이드판을 설치하고 또 이 슬라이드판위에 짐을 올려두는 것으로 짐은 슬라이드판과 함께 왕복운동하려고 한다. 그리고 이와같은 짐이 슬라이드판과 함께 이동하는 왕복운동의 움직임 중 슬라이드판위로의 짐의 투입부를 형성하는 격벽은 일방향 예를들면 되돌아 오는 길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하고, 되돌아 오는 길 방향으로의 움직임만을 허용한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판의 짐은 격벽에서 멀어지고, 격벽과 짐 사이에는 공간이 생기므로 새로운 짐을 여기에 채워넣음으로써 먼저 이동한 짐과 이 새로운 짐을 함께 마찬가지로 되돌아 오는 길 방향으로 보낼 수 있다. 이와같이 순차 연속하여 슬라이드판 위로 투입하는 짐을 순차로 되돌아 오는 길 방향으로 계속보낼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판의 전후이동에 실린더를 사용한다고 해도 그 스트로크는 작은 실린더로서는 소형이면 되고 격벽판도 칩을 밀어내는 것이 아니므로 그 자체도 그 만큼 단단하거나 강한 것이 아니라도 좋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4에 기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3기재의 발명과 마찬가지로 바닥판 위에 왕복운동하는 슬라이드판을 설치하고, 또 이 슬라이드판 위로 짐을 올려두는 것으로서, 짐은 슬라이드판과 함께 왕복운동하려고 한다. 그리고 이와같은 짐이 슬라이드판과 함께 이동하는 왕복운동의 움직임 중 일방향 예를들면 되돌아 오는 길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가는 길 방향으로의 슬라이드판의 움직임에 대해 급속으로 하여 관성에 의해 짐이 그 장소에 놓이도록 했다. 이 움직임의 속도차로 짐은 슬라이드판에 의해 가는 길 방향으로 순차 이동해 간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5에 기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드판에 대해 타격을 가는 길 방향에서 되돌아 오는 길 방향에 걸쳐 부여함으로써 짐은 관성에 의해 약간만 가는 길 방향으로 이동하지만 이 타격을 연속하여 행함으로써 짐은 순차로 가는 길 방향으로 이동해 간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6에 기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반송된 짐에 더욱 더 프레스를 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반송하역장치의 제 1실시예로서, 트럭의 짐받이 부분에서의 짐을 내리는 장치에 사용한 경우의 예를 도시하는 제 1공정 ∼ 제 9공정의 종단측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반송하역장치의 제 1실시예로서 트럭의 짐받이 부분의 짐을 내리는 장치에 사용한 경우의 예를도시하는 제 1공정 ∼ 제 9공정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반송하역장치의 제 1 실시예의 다른 적용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반송하역장치의 제 2실시예에서의 제 1공정 ∼ 제 3공정의 설명용 측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반송하역장치의 제 2실시예에서의 제 4공정 ∼ 제 6공정의 설명용 측면도이다.
도 22은 본 발명의 반송하역장치의 제 2실시예에서의 제 7공정 ∼ 제 9공정의 설명용 측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반송하역장치의 제 2실시예에서의 제 10공정 ∼ 제 12공정의 설명용 측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반송하역장치의 제 2실시예를 기초로 그 응용예를 도시하는 제 1공정의 설명용 측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반송하역장치의 제 2실시예를 기초로 그 응용예를 도시하는 제 2공정의 설명용 측면도이다.
도 26는 본 발명의 반송하역장치의 제 2실시예를 기초로 그 응용예를 도시하는 제 3공정의 설명용 측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반송하역장치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용 측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반송하역장치의 제 4실시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용 측면도이다.
도 29은 본 발명의 반송하역장치의 제 5실시예를 도시하는 제 1공정 ∼ 제 5공정의 설명도용 측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반송하역장치의 제 5실시예를 도시하는 제 6, 7공정의 설명도용 측면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반송하역장치의 제 5실시예를 도시하는 제 8 ∼ 10공정의 설명도용 측면도이다.
도 32는 종래예의 제 1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33은 종래예의 제 2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34는 종래예의 제 3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다음 도면에 대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반송하역장치의제 1실시예로서 트럭의 짐받이 부분의 짐 내리는 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제 1공정 ∼ 제 9공정의 종단측면도이다. 또 도 10 ∼ 도 18은 상기 제 1공정 ∼ 제 9공정의 평면도이다. 도면 중 부호 11은 트럭, 부호 12는 짐받이 부분, 부호 13은 캐빈(운전석)이며, 이 트럭(11)은 철부스러기 그외의 칩 물, 사리(砂利) 등 입상체 등을 적재하물(A)로서 반송한다.
상기 트럭(11)의 짐받이 부분(12)은 후단이 개방되어 있고, 본 발명의 짐받이 부분(12)의 바닥판(14)위에 이 바닥판(14)과 대략 같은 폭의 슬라이드판(15)을 올려 놓았다. 이 슬라이드판(15)은 강판 등으로 작제하고, 캐빈(13)의 배후와 슬라이드판(15)의 앞단 사이에는 슬라이드판(15)의 전후이동기구로서 실린더(16)를 배치했다.
또 슬라이드판(15)의 위에는 짐받이 부분(12) 좌우의 짐받이 부분 측판(17)에 옆단이 계지가능함과 동시에 계지시에는 슬라이드판(15)과 테두리가 끊어져 슬라이드판(15)만이 이동하며, 계지하지 않을 때는 슬라이드판(15)과 마찰 등으로 결합하여 슬라이드판(15)과 함께 이동하는 격벽판(18)을 설치했다.
격벽판(18)은 강판 등으로 작제하고, 슬라이드판(15)위에 자립하도록 다소 폭이 있는 바닥받침(18a)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격벽판(18)과 짐받이 부분 측판(17)과의 결합은 제 1실시예에서는 고정핀(19)에 의한 경우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출몰돌기나 갈고리 등의 기구로 짐받이 부분 측판(17)의 길이방향으로 임의 위치에서 또는 적절한 간격으로 계지 및 그 해제가 가능한 것이면 된다.
다음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도 10과 같이 트럭(11)의 짐받이 부분(12)에 적재된 짐(A)이 있다고 하고 비트(bitt)(20)가 있는 곳에 후단을 위치하도록 하여 정지시키고, 짐받이 부분(12)의 후단면은 개방한다.
도 2, 도 11과 같이 실린더(16)를 신장하면 슬라이드판(15)이 캐빈(13)측에서 후단을 향해 이동하고, 이 슬라이드판(15)상의 적재된 짐(A) 및 격벽판(18)도 그 만큼 이동한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격벽판(18)은 짐받이 부분 측판(17)에 계지하고 있지 않다.
상기 슬라이드판(15)의 슬라이드결과, 슬라이드판(15)의 후단은 적재된 짐(A)을 실은 상태에서 짐받이 부분(12)의 뒤쪽에서 비트(20)상으로 돌출한다.
다음 도 3, 도 12와 같이 격벽판(18)은 고정핀(19) 등으로 짐받이 부분 측판(17)에 계지하고, 실린더(16)를 축소하여 그대로 슬라이드판(15)을 캐빈(13)측으로 끌면 적재된 짐(A)은 앞단부가 격벽판(18)으로 고정되고 있기 때문에 그대로 이동하지 않고, 짐받이 부분(12)의 뒤쪽에서 비트(20)위로 돌출하는 만큼 슬라이드판(15)이 없어지므로 비트(20)안으로 낙하한다.
이와같이하여 적재된 짐(A)을 낙하시키면 도 4, 도 13과 같이 격벽판(18)을 짐받이 부분의 측판(17)에 계지하고, 재차 실린더(16)를 신장하여 슬라이드판(15)을 뒤쪽으로 밀어내고, 이후 이 ① 슬라이드판(15)을 밀어내고, ② 격벽판(18)을 개지하고, ③슬라이드판(15)을 인입하며, ④적재된 짐(A)을 낙하시킨 후, ⑤격벽판(18)의 계지를 해제하는 순서를 반복하여 도 5 ∼ 도 9, 도 14 ∼ 도 18과 같이 모든 적재된 짐(A)을 비트(20)내로 낙하시킨다.
도 9, 도 18은 적재된 짐(A)을 전부 내린 상태를 나타내지만 다시 짐싣는 작업을 준비하는 데는 격벽판(18)을 슬라이드판(15)의 앞부, 캐빈(13)측으로 이동해 둔다.
또한 이 격벽판(18)의 앞부로의 이동은 짐받이 부분 측판(17)에 대한 계지, 해제를 반복하고, 슬라이드판(15)을 뒤쪽으로 이동시킬때만 계지시키도록 하여 순차 이동시키거나 또는 크레인 그외의 기기를 이용한 다른 수단으로 행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슬라이드판(15)의 전후이동은 실린더(16)로써 행하도록 했지만 다른 실시예로서 윈치와 와이어 등의 견인부재 기구나, 구동모터로 피니온과 이것이 맞물리는 랙의 조합 등 여러가지 구동기구가 선택가능하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격벽판(18)은 슬라이드판(15)위에 자립하도록 다소 폭이 있는 바닥받침(18a)을 갖는 것으로 했지만 이 격벽판(18)을 슬라이드판(15) 위에 올려놓고 슬라이드판(15)으로 운반하는 것 외에 슬라이드판(15)의 이동과 동기시켜 별도의 구동장치로 움직이도록 해도 좋다.
격벽판(18)을 슬라이드판(15)의 이동과 동기시켜 움직이도록 하는 구동장치로서 실린더나 체인을 이용할 수 있다. 실린더에는 큰 신장량을 얻을 수 있는 텔렉스코픽 실린더가 적절하다. 체인의 경우는 무단체인으로 슬라이드판(15)의 길이와 같은 정도의 고리모양으로 하여 이를 스프로켓 등으로 선회시킨다. 이와같은 움직이는 체인에 대해 격벽판(18)을 결합하거나 결합을 풀고, 결합된 경우에 격벽판(18)은 슬라이드판(15)의 움직임과 동기하여 움직이게 된다.
또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트럭의 짐받이 부분의 짐 내리는 장치로서 설명했지만 그 이외의 사용법도 가능하다. 즉 바닥판(14) 위의 왕복운동을 하도록 한 슬라이드판(15)과, 이 슬라이드판(15) 위의 격벽판(18)이 있어, 이 격벽판(18)이 옆쪽의 단을 계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계지했을 때에는 밑의 슬라이드판(15)만이 이동하고, 계지하지 않을 때에는 슬라이드판(15)과 함께 이동하는 격벽판(18)으로 하면 플랫폼에서 트럭의 짐받이 부분 등으로의 짐 싣는 장치나 벨트콘베이어나 크레인 등에 대신할 수 있는 것으로서 짐을 연속하여 이동할 수 있는 일반적인 반송하역장치로서 응용이 가능하다.
도 19는 짐 내리는 장치로서의 적용예이며, 예를들면 바다(32)로 떠오르는 배 등과 같은 것에 본 발명 장치를 짜 넣는다.
바닥판(14)의 단 부분은 경사(33)져 있고, 슬라이드판(15)도 이 경사(33)를 따라서 경사져 있다. 격벽판(18)의 옆쪽 단을 배 등의 측판으로의 계지, 해제를 반복하고, 슬라이드판(15)을 뒤쪽으로 이동시킬 때만 계지하도록 하여 순차로 이동시켜 짐(A)도 뒤쪽의 단에서 밀어낸다. 밀려나온 짐(A)은 상기 경사(33)에서 상승하여 육지로 들어올려지게 된다.
도 20은 본 발명의 반송하역장치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제 1공정 ∼ 제 3의 설명도로서, 도면 중 부호 21은 바닥판을 나타낸다. 이 바닥판(11)은 상기 제 1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 장치를 트럭의 짐받이 부분에 설치하는 짐받이의 바닥판이 된다.
바닥판(21)에 슬라이드판(22)을 왕복운동하도록 설치했다. 슬라이드판(22)은 강판이나 스테인레스판 등으로 작제하고, 바닥판(21)과 대략 같은 폭이나 그보다도 넓은 폭으로 또한 바닥판(21)보다도 긴 것으로 한다. 슬라이드판(22)을 왕복운동하는 기구로서는 모터에 의한 구동 등도 가능하지만 적절한 것으로는 유압 또는 에어실린더(23)에 의한 것이다.
바닥판(21)의 일단에 슬라이드판(22)위로의 짐(A)의 투입구(24)를 형성한다. 짐(A)은 철부스러기 그외의 칩 물, 사리 등의 입상체 등으로 이 투입부(24)로 연속투입이 가능한 것이다.
또 이 슬라이드판(22)위에 올려놓은 짐(A)이 슬라이드판(22)과 함께 이동하는 왕복운동의 이동중 일방향 예를들면 되돌아 오는 길 방향(α)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짐이동 규제수단으로서 상기 투입부(24)를 구성하는 부재의 일부로서 격벽(25)을 배치한다.
격벽(25)은 강판 등으로 작제하고, 슬라이드판(22) 위쪽에 고정하여 자립한다. 즉 슬라이드판(22)은 이 격벽(25) 밑을 횡방향으로 관통한 상태에서 왕복운동을 하고, 격벽(25)은 짐(A)의 되돌아 오는 길 방향(α)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하면서 규제되지 않는 가는 길 방향(β)으로만 반송하도록 허용한다.
다음 사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0의 제일 윗 단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투입부(24)에 짐(A)을 투입하면, 이 투입부(24)의 짐(A)은 슬라이드판(22)위에 가장 아래 부분의 것이 올려놓여진다.
이 상태에서 도 20안의 단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슬라이드판(22)을 가는 길 방향(β)으로 이동하면 슬라이드판(22)위에 접하고 있는 짐(A)도 가는 길 방향(β)으로 이동하고, 그 만큼 투입부(24)의 짐(A)은 적어진다.
다음 슬라이드판(22)을 되돌아 오는 길 방향(α)으로 끌면, 짐(A)은 격벽(25)으로 예를들면 되돌아 오는 길 방향(α)으로의 움직임이 규제되어 짐(A)을 남기고 슬라이드판(22)만이 이동한다.
도 21은 제 2공정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21의 윗단과 같이 또한 슬라이드판(22)을 가는 길 방향(β)으로 이동하면 슬라이드판(22)위에 접하고 있는 짐(A)도 가는 길 방향(β)으로 이동하고, 그 만큼 투입부(24)의 짐(A)은 더욱 적어진다.
이어서 슬라이드판(22)을 되돌아 오는 길 방향(α)으로 끌면 짐(A)은 격벽(25)으로 예를들면 되돌아 오는 길 방향(α)으로의 움직임이 규제되어, 짐(A)을 남기고 슬라이드판(22)만이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다시 슬라이드판(22)을 가는 길 방향(β)으로 이동하면 슬라이드판(22) 위에 접하고 있는 짐(A)도 가는 길 방향(β)으로 이동하여, 그 만큼 투입부(24)의 짐(A)은 적어진다.
이와같이 하여 도 22, 도 23과 같은 슬라이드판(22)의 왕복운동을 반복하면서 격벽(25)으로 되돌아 오는 길 방향(α)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하면서 규제되지 않는 가는 길 방향(β)으로만 반송함으로써 짐(A)을 순차로 내 보낸다.
또한 슬라이드판(22)의 단까지 이동한 짐(A)은 낙하하지만 이와같은 장치를 벨트콘베이어와 같이 여러대 연속적으로 조합함으로써 원하는 거리의 반송이 가능하게 된다.
도 24 ∼ 도 26은 상기 제 2실시예의 응용예로서 오르는 경사가 있는 경우의 반송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경사가 있는 경우에는 내 보내진 짐(A)이 이 경사로 되돌아갈 염려가 있어 투입부(24)에 있어 새로운 짐(A)을 투입하는 간극의 확보가 어렵다. 그래서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는 날개차의 형식에 의한 정량이송장치(26)를 투입부(24)에 설치하여, 새로운 짐(A)의 투입공간을 확보하도록 했다. 또 경사가 30°이상이 될 경우에는 슬라이드판(22)의 위쪽을 덮개(27)로 덮는 것이 필요하다.
정량이송장치(26)는 상기와 같이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는 것으로 짐(A)을 보내지 않는 정지시에는 이 날개차의 날개가 상기 격벽(25)에 상당한다.
도 27은 제 3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바닥판(21)위에 슬라이드판(22)을 왕복운동하도록 설치한 점은 상기 제 2실시예와 같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슬라이드판(22)에 대해 그 위로 올려두는 짐(A)이 슬라이드판(22)과 함께 이동하는 왕복운동하려는 움직임 중 일방향 예를들면 되돌아 오는 길 방향(α)으로의 움직임을 관성에 의해 짐(A)이 그 장소에 놓여지도록 가는 길 방향(β)으로의 슬라이드판(22)의 움직임에 대해 급속히 했다.
이와같이 슬라이드판(22)을 움직이는 방법으로서는 여러가지 방법을 생각할 수 있지만 상기 제 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실린더(23)를 배치하고, 이 실린더(23)의 신장시와 축소시의 로드를 풀어내고, 끌어당기는 속도를 바꾸는 것도 그 하나이다. 또 슬라이드판(22)을 가는 길 방향(β)으로 이동할 때에만 실린더(23)를 사용하고, 되돌아 오는 길 방향(α)으로의 이동은 해머 등의 타격장치(28)로 행하도록 해도 좋다. 타격장치 그 자체를 되돌아 오는 길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연속하여 타격을 받는 경우와, 일발로의 타격을 받는 경우를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슬라이드판(22)을 가는 길 방향(β)으로 이동하는 데 사용한 실린더(23)는 플리로 한다.
슬라이드판(22)위로 올려두는 짐(A)은 슬라이드판(22)과 함께 왕복운동하려고 하지만 슬라이드판(22)의 되돌아 오는 길 방향(α)으로의 움직임은 짐(A)이 아직 가는 길 방향(β)에 속도를 갖고 있는 동안에 급속하게 단시간에 행하면 짐(A)은 항상 가는 길 방향(β)으로만 이동한다. 이 되돌아 오는 길 방향(α)과 가는 길 방향(β)으로의 슬라이드판(22)의 이 움직임 속도 차로 짐(A)은 가는 길 방향(β)으로 순차로 이동해 간다.
상기 슬라이드판(22)을 짐(A)을 움직이지 않고 되돌아 오는 길 방향(α)으로 움직이는 스피드에 관해서는 슬라이드판(22)과 짐(A)과의 마찰저항 및 슬라이드판(22)의 경사를 고려하여 정한다. 또한 타격장치(28)에 의해 급속히 되돌아 오는 길 방향(α)으로 이동한 슬라이드판(22)은 이를 브레이크 등으로 급감속, 급정지 시키는 것이 좋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바닥판(21)위에 슬라이드판(22)을 왕복운동하도록 설치한 점은 상기 제 2,3실시예와 같지만 본 실시에에서는 이 슬라이드판(22)에 타격장치(28)에 의해 연속하는 타격을 가는 길 방향(β)에서 되돌아 오는 길 방향(α)에 걸쳐 부여하고, 짐(A)을 관성에 의해 가는 길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했다.
타격장치(28)는 해머 등과 같은 것으로 연속하여 타격을 부여하기 위해 슬라이드판(22)에는 스프링 등의 위치복귀장치(31)를 배치하도록 한다.
슬라이드판(22)에 대해 타격을 가는 길 방향(β)에서 되돌아 오는 길 방향(α)에 걸쳐 부여함으로써 짐(A)은 정지하고자 하는 관성으로 그 곳에 머무르고, 다음에 위치복귀장치(31)로 슬라이드판(22)과 함께 다시 β방향으로 이동해 간다.
상기 위치복귀장치(31)는 타격장치(28)로 슬라이드판(22)이 되돌아 오는 길 방향(α)으로 박힌다고 해도 바로 원래 위치로 되돌아 가게 하여, 다음에 박아 넣는 것을 준비하는 것으로 타격장치(28)가 슬라이드판(22)을 움직이는 속도보다도 다소 느린 속도로 슬라이드(22)를 되돌린다.
도 29 ∼ 도 31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바닥판(21)위에 왕복운동하는 슬라이드판(22)을 설치하는 점은 상기 제 2실시예와 같지만 본 실시예는 이동격벽(29)과 고정격벽(30) 2개의 격벽을 슬라이드판(22)위에 배치했다. 이동격벽(29)은 슬라이드판(22)의 왕복운동의 움직임 중 일방향 예를들면 되돌아 오는 길 방향(α)에서는 슬라이드판(22)만이 움직이고, 가는 길 방향(β)에서는 슬라이드판(22)과 동기하여 이동하는 것이다. 또 고정격벽(30)은 슬라이드판의 왕복운동의 움직임에 전혀 관계없이 고정하는 것이다. 또한 당초 이동격벽(29)과 고정격벽(30)은 서로 간격을 갖는 것으로 짐(A)의 투입은 고정격벽(30)에서 멀어진 이동격벽(29)측에서 행하는 것으로 한다.
또 이동격벽(29)을 슬라이드판(22)과 동기하여 이동시키는 기구로서는 슬라이드판(22)의 왕복운동을 실린더(23)로 행하는 경우는 가는 길 방향(β)에 대해서는 이 실린더(23)의 신장속도와 같은 속도로 이동격벽(29)을 이동시키는 수단 예를들면 다른 실린더를 배치하여 이것으로 이동격벽(19)을 밀어내는 것이나 회동하는 무단체인과 그 체인으로의 걸고, 해제하는 수단에 의해 적절히 이동격벽(29)을 회동하는 무단체인으로 견인하는 방법, 안테나상으로 뻗는 테레스코식 다단실린더를 사용하는 방법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이 테레스코식 다단 실린더는 기름의 흐름을 저지함으로써 길이가 거기서 고정되어, 이동격벽(29)을 멈출 수 있게 된다.
또한 펌프를 구동하지 않고 기름탱크로부터 직결함으로써 단순히 격벽에 의해 길어지거나 짧아지는 사용방법도 유효하며, 그 때도 기름의 흐름을 방지함으로써 길이도 유지된다.
도 29의 최상단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이동격벽(29)에 접하여 짐(A)이 슬라이드판(22)위에 화물이 놓여지고, 이어서 슬라이드판(22)과 이동격벽(29)이 가는 길 방향(β)으로 이동하며, 그 만큼 짐(A)도 가는 길 방향(β)으로 이동한다. 다음 이동격벽(29)을 남기고 슬라이드판(22)만을 되돌아 오는 길 방향(α)으로 이동하고, 다시 슬라이드판(22)과 이동격벽(29)을 가는 길 방향(β)으로 이동하면 다시 그 만큼 짐(A)도 가는 길 방향(β)으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이동격벽(29)을 남기고 슬라이드판(22)만을 되돌아 오는 길 방향(α)으로 이동한다.
또한 이동한 짐(A)과 이동격벽(29)을 멀어지게 하여 그 사이에 새로운 짐(A)을 투입할 경우에는 짐(A)을 남기고 이동격벽(29)만을 되돌아 오는 길 방향(α)으로 이동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이동격벽(29)만을 고정하여 슬라이드판(22)만을 가는 길 방향(β)으로 이동함으로써 이동격벽(29)에서 짐(A)을 멀어지게 하는 방법이나 또는 적극적으로 이동격벽(29)을 되돌아 오는 길 방향(α)으로 이동할 수 있는 기구를 배치하는 것에 의한다.
도 30과 같이 짐(A)과 이동격벽(29)을 멀어지게 하여 그 사이에 새로운 짐(A)을 배치한다.
이와같이 하여 어느 정도 수의 짐(A)이 모였으면 도 31과 같이 이동격벽(29)은 슬라이드판(22)의 왕복운동의 이동 중 일방향 예를들면 되돌아 오는 길 방향(α)에서는 슬라이드판(22)만이 이동하고, 가는 길 방향(β)에서는 슬라이드판(22)과 동기하여 이동하는 것을 이용하고, 슬라이드판(22)에 대해 이동격벽(29)을 상대적으로 가는 길 방향(β)으로 이동하면 이동격벽(29)과 고정격벽(30)의 간격을 줄어들어 이동격벽(29)과 고정격벽(30)사이에서 짐(A)의 프레스를 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반송하역장치는 트럭의 짐받이 부분 등의 짐을 싣는 장치 혹은 짐을 내리는 장치로서도 이용할 수 있고 그 외 벨트콘베이어나 크레인 등을 대신하여 짐을 연속하여 이동할 수 있는 것으로서 슬라이드판의 왕복운동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짐을 반송할 수 있는 것이며, 장치자체는 간단하고 저가로 또한 소수의 인원으로 충분히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6)

  1. 바닥판 위에 왕복운동을 하도록 한 슬라이드판을 설치하고, 이 슬라이드판위에 격벽판을 배치하는 것으로 이 격벽판은 옆쪽 단을 계지할 수 있고, 또한 계지했을 때에는 밑의 슬라이드판만이 이동하며, 계지하지 않을 때에는 슬라이드판과 함께 이동하는 격벽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하역장치.
  2. 트럭의 짐받이 부분에 있어서의 짐을 내리는 장치를 구성하는 반송하역장치로서, 트럭의 짐받이 부분의 바닥판 위에 트럭의 캐빈측에서 뒷단을 향해 왕복운동을 하도록 한 슬라이드판을 올려놓고, 이 슬라이드판 위에 격벽판을 배치하는 것으로, 이 격벽판은 트럭 좌우의 짐받이 부분 측판에 옆단을 계지할 수 있고 또한 계지할 때는 밑의 슬라이드판만이 이동하며, 계지하지 않을 때에는 슬라이드판과 함께 이동하는 격벽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하역장치.
  3. 바닥판 위에 왕복운동하는 슬라이드판을 배치하고, 또 이 왕복운동에 의해 슬라이드판위에 올려놓은 짐이 슬라이드판과 함께 이동하고자 하는 왕복운동의 움직임 중 어느 일방향 예를들면 되돌아 오는 길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짐이동 규제수단으로서 격벽을 배치하며, 이 격벽은 슬라이드판위로의 짐의 투입부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이 투입부를 통해 슬라이드판위로 연속해서 투입하여 올려놓은 화물을 상기 격벽으로 되돌아 오는 길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하면서 규제되지 않은 가는 길 방향으로만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하역장치.
  4. 왕복운동을 가능하도록 한 슬라이드판을 배치하고, 또 이 슬라이드판에 대해 그 위에 올려놓은 짐이 슬라이드판과 함께 이동하고자 하는 왕복운동의 움직임 중 어느 한 방향, 예를들면 되돌아 오는 길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화물이 그 경우에 놓여지는 움직임으로 하기 위해 가는 길 방향으로의 슬라이드판의 움직임에 대해 급속하게 하고, 슬라이드판의 이 되돌아 오는 길 방향으로의 움직임과 가는 길 방향으로의 움직임의 속도 차로 슬라이드판에 의해 위에 올려놓은 화물을 가는 길 방향으로만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반송하역장치.
  5. 왕복운동을 가능하도록 한 슬라이드판을 배치하고, 또 이 슬라이드판에 연속하는 타격을 가는 길 방향으로부터 되돌아 오는 길 방향을 향해 부여하며, 이에 따라 화물을 관성작용으로써 가는 길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하역장치.
  6. 바닥판 위에 왕복운동을 가능하게 하여 슬라이드판을 배치하고, 또 이 슬라이드판위에 이동격벽과 고정격벽을 서로 간격을 갖고 배치하는 것으로 이동격벽은 슬라이드판의 왕복운동의 움직임 중 일방향 예를들면 되돌아 오는 길 방향으로는 슬라이드판만이 움직이고, 가는 길 방향으로는 슬라이드판과 동기하여 이동하는 것이며, 고정격벽은 슬라이드판의 왕복운동의 움직임에 전혀 관계없이 고정하는 것으로 이동격벽을 순차로 슬라이드판의 앞위치로 이송하고, 이 이동격벽으로 화물을 가는 길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또한 이동격벽과 고정격벽으로 화물을 압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하역장치.
KR1020000052402A 1999-09-06 2000-09-05 반송하역장치 KR1006522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251215A JP3062568B1 (ja) 1999-09-06 1999-09-06 トラック荷台の荷卸し装置
JP1999251215 1999-09-06
JP2000236682A JP3515743B2 (ja) 2000-08-04 2000-08-04 搬送荷役装置
JP2000236682 2000-08-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0340A true KR20010050340A (ko) 2001-06-15
KR100652271B1 KR100652271B1 (ko) 2006-11-29

Family

ID=28793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2402A KR100652271B1 (ko) 1999-09-06 2000-09-05 반송하역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632066B1 (ko)
KR (1) KR1006522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72263A (zh) * 2020-12-30 2021-03-30 山东吉鲁汽车改装有限公司 一种推板与胶皮底板随动的卸货装置及运输车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PS125102A0 (en) * 2002-03-21 2002-04-18 Byrne Trailer Manufacturing (Wagga Wagga) Pty Limited Improved compactor system
DE60331943D1 (de) * 2002-10-29 2010-05-12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Frachttransportkastenkörper mit frachthandhabungsvorrichtung
US20060127208A1 (en) * 2004-12-10 2006-06-15 Stan Worthington Cyclic traveling apparatus and method
US8702367B2 (en) * 2007-03-21 2014-04-22 Edw. C. Levy Co. Method, and process for preparing a recyclable material
GB0709540D0 (en) * 2007-05-18 2007-06-27 Trent Mf Ltd Improved scrap transfer
US9056731B1 (en) 2008-06-13 2015-06-16 Advanced Steel Recovery, Llc Container packer system and method
DE102009022527A1 (de) * 2009-05-25 2010-12-09 Siemens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m Be- und Endladen von Ladeeinheiten
US20180010309A1 (en) * 2016-07-11 2018-01-11 John S. Gilbert Snow compacting and removal apparatus
AT519218B1 (de) * 2017-02-06 2018-05-15 Hp3 Real Gmbh Verfahren zur Optimierung einer Gleislage
CN108170150A (zh) * 2018-02-24 2018-06-15 苏州健雄职业技术学院 一种基于rfid的可实现精确定位的agv小车及其工作方法
US11866074B2 (en) * 2021-04-19 2024-01-09 Shiloh Williams Belly dump trailer with conveyors for moving material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65902A (en) * 1967-09-28 1969-09-09 Joseph J Colletti Cane planting apparatus
JPS50117181A (ko) * 1974-02-21 1975-09-12
US4111318A (en) * 1975-01-23 1978-09-05 Lutz David E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for vehicles
US4015727A (en) * 1975-08-06 1977-04-05 Howard Dwight Rezac Truck unloading device
JPS59199085A (ja) * 1983-04-26 1984-11-12 立石建設工業株式会社 選別装置を備えた往復動送り装置
JPS61176687A (ja) * 1985-02-01 1986-08-0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コ−クス炉における装入炭の装入方法及びその装置
US5009564A (en) * 1989-10-02 1991-04-23 Lutz David E Cargo carrying vehicle having a movable bulkhead located therein
US5143508A (en) * 1991-02-05 1992-09-01 Lutz David E Cargo carrying vehicle having a movable bulkhead located therein
JP2559768Y2 (ja) * 1991-05-13 1998-01-19 西松建設株式会社 振動コンベア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72263A (zh) * 2020-12-30 2021-03-30 山东吉鲁汽车改装有限公司 一种推板与胶皮底板随动的卸货装置及运输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2271B1 (ko) 2006-11-29
US6632066B1 (en) 2003-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2271B1 (ko) 반송하역장치
US4802810A (en) Apparatus for unloading containers
US872125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freight container loading
CN109849758B (zh) 一种用于货物的自动排放装置及方法
US8657557B2 (en) Method for freight container loading
US20110042185A1 (en) Adaptable reciprocating slat conveyor
CN101707923B (zh) 特别用于航空器货舱中行李的物品移动装置
CN100509588C (zh) 输送装卸装置
CN213736988U (zh) 一种快递物流用多功能载货架
DE202004013601U1 (de) Belade-/Entladevorrichtung für einen Vertikalheber
JP4344581B2 (ja) プレス可能な搬送荷役方法
US6176194B1 (en) Lift arrangements
JP3062568B1 (ja) トラック荷台の荷卸し装置
JP3926092B2 (ja) コンテナ
JP4030475B2 (ja) 搬送荷役装置
CN216371278U (zh) 一种适应多种零件搬运的空载架
JP2002053219A (ja) 搬送荷役装置
JP2005170589A (ja) 荷降ろし装置
SU113703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еремещени и загрузки штучных грузов
SU1020334A1 (ru) Платформа дл погрузки-разгрузки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автопогрузчиком
JP2003146128A (ja) トラック荷台の荷役装置
KR940000310A (ko) 트레라의 콘테이너 상,하차장치
JP2004017695A (ja) 貨物運搬車両における荷降ろし装置
JP2003160236A (ja) 荷役装置付きコンテナ
JPS62275929A (ja) 荷物積み降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