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9983A - 연소장치 - Google Patents

연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9983A
KR20010049983A KR1020000045060A KR20000045060A KR20010049983A KR 20010049983 A KR20010049983 A KR 20010049983A KR 1020000045060 A KR1020000045060 A KR 1020000045060A KR 20000045060 A KR20000045060 A KR 20000045060A KR 20010049983 A KR20010049983 A KR 20010049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ping
drain
water
pipe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5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6960B1 (ko
Inventor
다케우치요슈
Original Assignee
강성모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나이토 스스무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모,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나이토 스스무,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강성모
Publication of KR20010049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9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6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69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fluid fue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8/00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means for extracting latent heat from flue gases by means of condensation
    • F24H8/003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means for extracting latent heat from flue gases by means of condensation having means for moistening the combustion air with condensate from the combustion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05Details for water heaters
    • F24H9/0036Dispositions against condensation of combustion pro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6Arrangements for water drain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stantaneous Water Boilers,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nd Control Of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REA)
  • Details Of Fluid Heaters (AREA)
  • Control For Baths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과제) 잠열회수형 열교환기에서 발생하는 드레인에 수돗물을 혼합하는 드레인 중화장치를 구비한 연소장치에 있어서, 드레인중화를 위한 수돗물의 사용을 연소장치의 사용상태에 따라서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한다.
(해결수단) 드레인(64)의 배출처가 가스 기구(2)로부터 출탕수(出湯水)를 배수시키는 배수 배관(9)과 합류된다. 가스 기구(2)의 조작부(10)에서 출탕수의 사용목적을 판단하는 판단부(11)와, 판단부(11)의 판단결과에 의거하여 출탕수가 배수 배관(9)에 배수되지 않는 사용상태인 경우는 드레인 중화장치(1)를 작동시키고 출탕수가 배수 배관(9)에 배수되는 사용상태인 경우는 드레인 중화장치(1)를 비작동으로 하는 전환부(12)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연소장치{Combustion device}
본 발명은 잠열회수형 열교환기를 구비하는 연소장치의 기술분야에 속하며, 상기 열교환기에서 발생하는 드레인에 수돗물을 혼합하는 드레인 중화장치를 구비한 것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잠열회수형 열교환기를 구비한 연소장치는, 예를 들어 급탕기나 급탕 난방기로 이용되어 민생용 혹은 업무용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4는 이러한 연소장치로서, 예를 들어 가스 기구(20)의 일반적인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것에 의하면 가스 노즐(43)에서 공급된 연료 가스를 팬(7)에 의해서 공급한 공기과 함께 가스 버너(4)로 연소시키고, 발생한 연소 배기를 부기체(3)의 하측으로 흘려내린다. 그러면, 연소 배기안의 연소열은 부기체(3)내의 상단에 배치된 주 열교환기(5)에서 통수관(51)안의 물을 가열하기 위해서 소비되며, 여잉의 연소열은 하단의 부 열교환기(6)에서 통수관(61)안의 물을 가열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그리고 연소 배기는 부기체(3) 하부의 연소배기통로(32)로부터 가스 기구(20) 밖으로 배기된다.
상기 통수관(51,61)은 급수관(60) 및 출탕관(50)과 연속하여 접속되며, 그 외주에는 복수의 핀(52,6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부 열교환기(6)에 있어서는 연소 배기가 통수관(61)안의 냉수와 열교환할 때에 연소 배기안의 현열만이 아니라 연소 배기중의 수증기가 보유하고 있는 잠열도 회수하므로, 이로써 높은 열교환율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부 열교환기(6)에 있어서 잠열이 회수되는 결과, 연소 배기안의 수증기가 응축하여 드레인(64)를 생성하고, 이 드레인(64)은 드레인 팬(33)에서 모아져 드레인 관(8)을 통해서 배출된다.
상기 드레인(64)은 연소 배기중의 유황산화물이나 질소산화물 등을 흡수하여 pH4정도의 산성수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이 산성의 드레인(64)을 그대로 배출하면 배관 등에 사용되고 있는 금속제품의 부식이나 콘트리트 건조물의 상태악화 등의 피해, 수질오염 등의 환경문제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pH5∼9의 범위로 중화하여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종래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스 기구(20)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64)에 수돗물을 혼합하는 드레인 중화장치(100)를 부착한 것이 있어서, 이 드레인 중화장치(100)에 의하면 상기 드레인 관(8)으로 수돗물을 끌어들이는 급수 연결관(81)을 접속시키고 이 급수 연결관(81)에 부착된 물 전자(電磁)밸브(82)의 열림정도를 제어함으로써 소정량의 수돗물을 상기 드레인(64)과 혼합시킨다. 이것에 의해서, 상기 산성 드레인(64)은 수돗물중에 함유되는 탄산성분과 반응하여 pH값을 기준범위(pH5∼9)로 올릴 수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좋지 못한 상태가 발생하는 일이 없다.
그러나, 상기 출탕관(50)에서 나온 더운물을 사용한 후의 오수(汚水)를 배수하는 배수 배관(9)에 상기 드레인 관(8)을 접속시킨 경우, 상기 가스 기구(20)에 있어서 더운물을 사용하면서 곧바로 배수되는 사용상태(예를 들어 샤워, 세면 또는 부엌에서 사용하는 경우)에서는, 상기 배수 배관(9)내에서 상기 드레인(64)이 상기 오수와 혼합되어 pH7 가까이로 중화된다.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드레인 중화장치(100)는 작동하여 드레인 관(8)에 수돗물을 계속해서 공급하고 있기 때문에 수돗물의 낭비가 된다.
본 발명은, 『잠열회수형의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서 발생하는 드레인에 수돗물을 혼합하는 드레인 중화장치를 구비하는 연소장치』에 있어서, 드레인 중화를 위한 수돗물의 사용을 연소장치의 사용상태에 따라서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하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중화장치를 형성한 가스 기구의 모식도
도 2는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중화장치를 형성한 가스 기구의 모식도
도 3은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중화장치를 형성한 가스 기구의 모식도
도 4는 종래의 가스 기구의 모식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중화장치 2,2a - 가스 기구(급탕기·급탕 난방기)
3 - 부기체 4 - 가스 버너
5 - 주 열교환기 6 - 부 열교환기
7 - 팬 8 - 드레인 관
9 - 배수 배관 10 - 조작 리모콘(조작부)
11 - 판단부(판단수단) 12 - 전환부(전환수단)
32 - 연소배기통로 33 - 드레인팬
53 - 욕조용 출탕관로(제 1 출탕관로)
54 - 샤워용 출탕관리(제 2 출탕관로)
55 - 세면용 출탕관로(제 2 출탕관로)
56,57 - 출탕검지 센서 64 - 드레인
81 - 급수연락관 82 - 수전자밸브
83 - 제어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강구한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은 다음과 같다.
『상기 드레인의 배출처가,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여 출탕관에서 나온 출탕수의 배수 배관과 합류하고 있으며,
상기 출탕수의 사용목적을 판단하는 판단수단과,
상기 판단수단에서의 판별신호를 받아서, 상기 출탕수가 배수되지 않는 사용상태라는 판별신호에서는 상기 드레인 중화장치를 작동시키고, 상기 출탕수가 배수되는 사용상태라는 판별신호에서는 상기 드레인 중화장치를 비작동으로 하는 전환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출탕관은 욕조 또는 세탁조로 출탕하는 제 1 출탕관로와, 샤워, 세면 또는 부엌으로 출탕되는 제 2 출탕관로로 나뉘어 있으며, 상기 판단수단은 상기 제 1 출탕관로만에 의한 사용시에 상기 출탕수가 배수되지 않는 사용상태라는 판별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 2 출탕관로에 의한 사용시에 상기 출탕수가 배수되는 사용상태라는 판별신호를 출력한다』라는 것이 예시된다.
또한 『상기 연소장치는, 상기 판별수단이 급탕 난방기로서 온수순환식 난방으로 사용될 때에는 상기 출탕수가 배수되지 않는 사용상태라는 판별신호를 출력하고, 급탕으로 사용될 때에는 상기 출탕수가 배수되는 사용상태라는 판별신호를 출력한다』라는 것이 예시된다.
상기 기술적 수단은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상기 전환수단에 의하면, 상기 판단수단에서 출탕수가 배수되는 사용상태라는 판별신호를 받으면 상기 드레인 중화장치를 비작동으로 하기 때문에, 상기 드레인에 수돗물은 혼합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드레인의 배출처는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여 출탕관에서 나온 출탕수의 배수 배관과 합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사용상태의 경우, 드레인은 상기 배수 배관안에서 상기 출탕수의 사용후의 오수와 혼합된다. 이로써, 상기 드레인은 상기 오수에 의해서 충분히 중화되어 배수된다.
한편, 상기 출탕수가 배수되지 않는 사용상태에서는 드레인은 상기와 같이 오수와 혼합되지 않는다. 이 사용상태의 경우, 상기 판단수단에서 출탕수가 배수되지 않는 사용상태라는 판별신호를 받은 전환수단에 의해서 상기 드레인 중화장치를 작동시키기 때문에, 상기 드레인은 수돗물과 혼합되며 이로써 충분하게 중화되어 배수된다.
또한 상기 기술적 수단에 있어서 『상기 판단수단은, 상기 연소장치의 조작부에 있어서의 조작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판별신호를 출력하는 것』에 의하면, 상기 연소장치의 사용목적으로 예를 들어 욕조에 물을 받거나, 세탁조에 물을 채우는데 사용하거나 또는 온수순환식 난방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상기 출탕수가 배수되지 않으므로, 이러한 사용목적으로 상기 조작부가 조작되면 상기 판단수단은 그 조작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출탕수가 배수되지 않는 사용상태라는 판별신호를 출력한다. 이로써, 상기 판별신호를 접수한 전환수단에 의해서 상기 드레인 중화장치가 작동되어 상기 드레인에 수돗물이 혼합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연소장치의 사용목적으로 예를 들어 샤워, 세면 또는 부엌에서 사용하는 경우는 상기 출탕수가 배수되기 때문에, 이러한 사용목적으로 상기 조작부가 조작되면 상기 판단수단은 그 조작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출탕수가 배수되는 사용상태라는 판별신호를 출력한다. 이로써 상기 판별신호를 접수한 전환수단에 의해서 상기 드레인 중화장치가 비작동되어 상기 드레인에 수돗물이 혼합되지 않고 상기 출탕수의 오수와 혼합되어 배수된다.
또한 다른 기술적 수단으로서 『상기 드레인의 배수처가,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여 출탕관에서 나온 출탕수의 배수 배관과 합류하고 있으며,
상기 출탕관은, 상기 출탕수가 배수되는 사용상태에 따라서 출탕관로를 분기(分岐)시키고 있으며,
상기 출탕관로에 출탕검지 센서가 부착되며,
상기 출탕검지 센서로부터의 검지신호를 받아서, 상기 출탕관로에서 상기 출탕수가 나온다는 상기 검지신호에 의해서 상기 드레인 중화장치를 비동작으로 하는 전환수단을 구비했다』라는 것에 의하면, 출탕수가 배수되는 사용상태의 출탕관로에서 더운물을 출수하는 경우, 상기 출탕검지 센서에서 상기 출탕상태가 검지되어 그 검지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전환수단은 상기 드레인 중화장치를 비동작으로 하도록 했기 때문에, 드레인은 수돗물과 혼합되지 않게 된다. 이 경우는 드레인은 상기 출탕수의 오수와 혼합되어 중화처리된다. 따라서, 출탕수가 배수되지 않는 출탕상태의 경우에만 드레인을 중화하기 위한 수돗물이 공급되므로, 그 결과 절수가 가능해진다.
또한 다른 기술적 수단으로서 『상기 드레인 중화장치를 미리 작동가능 또는 작동불가능으로 하는 기동전환수단을 구비했다』라는 것에 의하면, 상기 드레인의 배수처가 해당 연소장치도 포함한 갖가지 오수와 언제나 혼합되는 설치조건인 경우는 상기 기동전환수단에 의해서 상기 드레인 중화장치를 비작동상태로 할 수 있으며, 그렇지 않다면 상기 드레인 중화장치를 작동상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소장치의 설치조건에 맞춰서 설치시에 상기 드레인 중화장치를 작동가능으로 할 것이지의 여부를 미리 설정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경우까지 드레인의 중화에 수돗물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연소장치로서의 가스 기구(2)(예를 들어, 급탕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가스 기구(2)는, 부기체(3)의 상부에 배치되어 불꽃구멍부부(42)가 하방향으로 설정된 가스 버너(4)가 있고, 하부의 부기체(3)내에 주 열교환기(5)와 부 열교환기(6)가 2단으로 배치된 구성을 가진다.
상기 가스 버너(4)의 급기실(41)에는 가스 노즐(43)이 접하여 연료 가스가 공급된다. 또한, 상기 급기실(41)에는 팬(7)이 형성되며 이 팬(7)을 구동시키면 가스 기구(2)의 급기구에서 공기가 도입되어 상기 급기실(41)내에 공급된다. 그리고 가스 버너(4)를 연소시켜서 발생한 연소 배기는 상기 부기체(3)내의 주 열교환기(5) 및 부 열교환기(6)를 통과하여, 상기 부기체(3)의 하부에 접속된 연소배기통로(32)를 통과하여 가스 기구(2)밖으로 배기된다.
상기 주 열교환기(5)와 상기 부 열교환기(6)는 각각 통수관(51,61)과 그 외주에 형성된 다수의 핀(52,62)으로 구성된다. 또, 상기 통수관(51,61)은 부기체(3)내를 종횡으로 구불구불하게 배치하여 본 가스 기구(2)에 열교환을 하는 물을 도입하는 배관이며, 급수관(60)과 출탕관(50)과 연속하여 연결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스 버너(4)의 연소에 의해서 발생한 연소 배기로부터 상기 주 열교환기(5)에서 그 현열을 흡열하고 상기 부 열교환기(6)에서 그 잠열을 흡열한다. 이로써 상기 통수관(51,61)을 흐르는 물은 효율 좋게 온수로 변환되어 출탕관(50)으로부터 더운물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탕관(50)의 선단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욕조로 출탕하는 욕조용 출탕관로(제 1 출탕관로)(53)와 샤워용 출탕관로(제 2 출탕관로)(54)와 세면용 출탕관로(제 2 출탕관로)(55)로 분기되어 있다. 이 중, 샤워용 출탕관로(54)와 세면용 출탕관로(55)에서 사용된 출탕수는, 오수로서 배수 배관(9)에 배출된다. 또한, 상기 욕조용 출탕관로(53)에는 수전자밸브(水電磁밸브)(53a)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 수전자밸브(53a)는 후술할 조작리모콘(10)으로부터의 조작신호에 의거하여 개폐동작을 실시한다. 한편, 상기 샤워용 출탕관로(54) 및 상기 세면용 출탕관로(55)에는 각각 수도 꼭지(54a,55a)가 부착되어 있어 이들 수도 꼭지(54a,55a)을 열림조작하면 상기 가스 버너(4)가 점화되어 샤워용 출탕관로(54) 또는 세면용 출탕관로(55)를 통과해서 더운물이 나온다.
상기 부 열교환기(6)에서 연소 배기로부터 잠열을 흡열할 때에 수증기가 응축하여 발생한 드레인(64)은, 부 열교환기(6)의 하부에 부착된 드레인 팬(33)에 모인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 팬(33)의 바닥부에는 드레인 관(8)이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드레인 관(8)에서 상기 배수 배관(9)에 흘러 들어가는 드레인(64)은 상기 샤워용 출탕관로(54) 또는 상기 세면용 출탕관로(55)에서 배출되어 나오는 오수와 혼합되게 된다.
또한, 상기 드레인 관(8)은 드레인 중화장치(1)와 접속되어 있다. 상기 드레인 중화장치(1)는 급수관(60)에서 분기된 급수연락관(81)과, 그 도중에 부착된 수전자밸브(82)와, 이 수전자밸브(82)의 열림정도를 제어하는 제어부(83)으로 구성된다. 상기 드레인 관(8)은 상기 급수연락관(81)이 접속되어 수돗물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중화장치(1)의 작동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부(83)에 의해서 상기 수전자밸브(82)의 열림정도의 제어가 이루어져 상기 드레인 관(8)으로의 수돗물의 공급량이 소정량이 되도록 제어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83)에 있어서의 제어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제어주기 1분간내에 있어서의 상기 수전자밸브(82)의 밸브열림시간을 설정함으로써 수돗물 첨가속도를 결정하는 것에 의해 실시된다. 상기 밸브열림시간은, 드레인(64)의 발생량에 맞춰서 설정하면 된다. 이것에 의해서 드레인 관(8)에 배출되는 산성 드레인(64)은, 상기 급수연락관(81)에서 공급되는 소정량의 수돗물과 혼합되어 중화처리된다.
또한, 상기 중화장치(1)에 있어서의 상기 제어부(83)에는 전환부(12)가 접속되며, 또한 이 전환부(12)에는 판단부(11)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전환부(12)는, 상기 제어부(83)에 전환신호를 보내고 가스 기구(2)의 사용상태에 따라서 상기 수전자밸브(82)를 작동 또는 비작동으로 하는 스위칭기능을 부가한 것이다. 수전자밸브(82)가 작동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드레인 관(8)에 소정량의 수돗물이 공급되지만, 수전자밸브(82)를 비작동으로 하면 상기 급수연락관(81)은 상기 수전자밸브(82)에 의해서 닫힌 상태가 되어 상기 드레인 관(8)에 수돗물이 공급되지 않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욕조용 출탕관로(53)만에 의한 사용상태(출탕수가 상기 배수 배관(9)에 배수되지 않는 사용상태)의 경우는 상기 수전자밸브(82)를 작동시키는 전환신호를 상기 제어부(83)에 출력하고, 반면에 상기 샤워용 출탕관로(54) 또는 상기 세면용 출탕관로(55)에 의한 사용상태(출탕수가 상기 배수 배관(9)에 배수되는 사용상태)의 경우는 상기 수전자밸브(82)를 비작동으로 하는 전환신호를 상기 제어부(83)에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전환부(12)의 상기 전환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부(83)에 의한 상기 수전자밸브(82)의 작동 또는 비작동이 실시된다.
또한, 상기 판단부(11)는 가스 기구(2)의 조작리모콘(조작부)(10)과 접속되어 있으며, 이 판단부(11)에서는 상기 조작리모콘(10)에서 욕조로의 물받기 조작이 실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조작리모콘(10)에서 욕조로의 물받기 조작이 행해진 경우는 상기 욕조용 출탕관로(53)만에 의한 사용상태인 것으로 하여 출탕수가 상기 배수 배관(9)에 배수되지 않는 사용상태라는 판별신호를 상기 전환부(12)에 출력하고, 그 외의 조작에서는 출탕수가 상기 배수 배관(9)에 배수되는 사용상태라는 판별신호를 상기 전환부(12)에 출력한다. 그리고, 이 판별부(11)의 상기 각 판별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전환부(12)에 의한 스위칭동작이 실시된다.
상기 조작리모콘(10)에는, 전원 스위치나 온도설정 스위치 외에, 가스 기구(2)가 급탕기인 경우는 적어도 물받기 스위치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샤워나 세면으로서의 사용은 수동 수도 꼭지(54a,55a)를 조작하여 출탕된다. 또한, 사용목적에 맞춰서 개별적으로 각각 물받기 스위치, 샤워 스위치, 급탕 스위치가 형성된 것이라도 좋다. 그 외에 더운물을 세탁기에 주입하는 유닛으로서의 기능을 갖도록 한 급탕기에 있어서는 상기 조작리모콘(10)에 있어서 세탁물주입 스위치가 더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샤워용 출탕관로(54) 및 상기 세면용 출탕관로(55)는 각각 출탕관로(54,55)에서의 출탕상태를 검지하는 출탕검지 센서(56,57)가 부착되어 있다. 이들 출탕검지 센서(56,57)는 상기 욕조용 출탕관로(53)에 의해서 물을 받을 시에 상기 샤워용 출탕관로(54) 및 상기 세면용 출탕관로(55)에서 더운물이 나오면 그 검지신호를 상기 전환부(12)에 출력하고, 이 검지신호를 접수한 전환부(12)는 상기 급수연락관(81)에서의 수돗물급수를 정지시키는 정지신호를 상기 제어부(83)에 출력한다. 상기 출탕검지 센서(56,57)로서는 예를 들어 수류(水流) 스위치나 유량 센서가 이용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연소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출탕검지 센서(56,57)를 형성하고 있으나, 상기 전환부(12)나 상기 판단부(11)를 구비하는 연소장치라면 상기 출탕검지 센서(56,57)을 특별히 형성하지 않은 것이라도 상관없다.
이어서 상기 가스 기구(2)의 동작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상기 조작리모콘(10)에 있어서, 물받기 스위치는 형성되어 있으나 샤워나 세면으로서의 사용은 수동의 수도 꼭지(54a,55a)를 조작하여 출탕을 실시하는 것의 경우로 설명한다.
우선, 이 조작리모콘(10)의 전원 스위치를 ON으로 하여 전원을 넣으면, 그 조작신호가 상기 판단부(11)에 보내진다. 이 때 판단부(11)는, 가스 기구(2)의 사용상태로서 출탕수가 배수 배관(9)에 배수되는 사용상태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이 판단결과에 의거하여 판별신호(출탕수가 배수 배관(9)에 배수되는 사용상태)가 상기 전환부(12)에 보내진다. 그러면 전환부(12)는 상기 제어부(83)에 대해서 수전자밸브(82)를 비작동으로 하는 전환신호를 보낸다.
이 상태에서 상기 샤워용 출탕관로(54)의 수도 꼭지(54a) 또는 상기 세면용 출탕관로(55)의 수도 꼭지(55a)를 조작하여 더운물을 출수(出水)하면, 상기 부 열교환기(6)에서 발생하는 드레인(64)은 드레인 팬(33)에서 모여져 드레인 관(8)을 통해서 배수 배관(9)으로 인도된다. 이 드레인(64)은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연소 배기 중의 유황산화물이나 질소산화물 을을 흡수하여 pH4정도의 산성수가 되어있기 때문에, 그대로 하수도에 배출하면 배관이나 콘크리트 건조물의 부식, 혹은 수질오염 등의 문제를 일으킨다. 그러나, 상기 샤워용 출탕관로(54) 또는 상기 세면용 출탕관로(55)에서 취출된 출탕수는, 사용 후 곧바로 배수 배관(9)에 오수로서 배수된다. 그러면, 상기 드레인 관(8)에서 상기 배수 배관(9)에 인도된 산성의 드레인(64)은, 이 배수 배관(9)내에서 상기 오수와 혼합되어 희석되며 이것에 의해서 pH7 가까이까지 중화된다. 따라서, 산성 드레인(64)에 의한 상기와 같은 좋지 못한 상황도 없다.
반면, 상기 조작리모콘(10)의 물받기 스위치를 조작하면 그 조작신호가 상기 욕조용 출탕관로(53)에 부착된 수전자밸브(53a)에 출력된다. 그러면 이 수전자밸브(53a)가 열려서 상기 욕조용 출탕관로(53)에서 더운물이 나오지만, 그 출탕수는 모두 욕조내로 공급되어 오수는 생기지 않는다.
이 경우, 상기 조작리모콘(10)의 물받기 스위치가 조작되면 그 조작신호가 판단부(11)에 보내져, 판단부(11)는 가스 기구(2)의 사용상태로서 출탕수가 배수 배관(9)에 배수되지 않는 사용상태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이 판단결과에 의거하여 판별신호(출탕수가 배수 배관(9)에 배수되지 않는 사용상태)가 전환부(12)에 보내진다. 그러면 전환부(12)는 상기 제어부(11)에 대해서 수전자밸브(82)를 작동시키는 전환신호를 보낸다. 이것에 의해서, 제어부(83)에서는 상기 수전자밸브(82)의 작동제어가 실시되어 상기 드레인 관(8)에 소정량의 수돗물이 급수연락관(81)으로 급수된다. 따라서, 부 열교환기(6)에서 발생한 드레인(64)은 상기 드레인 관(8)내 혹은 배수 배관(9)내에서 상기 급수연락관(81)에서 급수되는 수돗물과 혼합되어 희석되며, 이로써 pH7 가까이까지 중화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 있어서도 산성 드레인(64)에 의한 상기 좋지 못한 상황이 생기지 않는다.
그것도 그렇지만, 물받기와 수도 꼭지에 의한 샤워 등의 동시사용이 가능한 급탕기의 경우는, 물받기 상태에서 상기 샤워용 출탕관로(54)나 상기 세면용 출탕관로(55)의 수도 꼭지(54a,55a)를 조작하여 더운물을 출수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상기 배수 배관(9)에 오수가 배출되며 드레인(64)은 이 오수와 혼합되어 중화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 상기 샤워용 출탕관로(54)나 상기 세면용 출탕관로(55)에 부착된 출탕검지 센서(56,57)가 더운물이 나오는 것을 검지하고, 그 검지신호를 상기 전환부(12)에 보내면 전환부(12)는 제어부(83)에 정지신호를 보내 수전자밸브(82)의 작동상태에서 비작동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것에 의해서, 상기 급수연락관(81)은 수전자밸브(82)에 의해서 닫혀 수돗물이 드레인 관(8)에 급수되지 않게 되어서 절수가 가능해진다.
그리고, 상기 수도 꼭지(54a,55a)를 조작하여 상기 샤워용 출탕관로(54) 및 상기 세면용 출탕관로(55)에서의 더운물의 출수(出水)가 멈춰지면, 상기 드레인(64)이 오수와 혼합되지 않는다. 이 경우에는 상기 출탕검지 센서(56,57)에서 검지신호가 상기 전환부(12)에 출력되고, 그러면 전환부(12)는 제어부(83)에 복귀신호를 보내서 상기 수전자밸브(82)를 비작동상태에서 작동상태로 전환한다. 이것에 의해서 다시 수돗물이 드레인 관(8)에 급수된다.
이어서, 상기 조작리모콘(10)에 있어서 물받기 스위치에 추가하여 예를 들어 일정량의 출탕을 실행하는 샤워 스위치나 출탕 스위치가 형성된 것의 경우는, 물받기 스위치를 조작했을 때의 중화장치(1)의 작동은 상기와 마찬가지로서, 급수연락관(81)에서 소정량의 수돗물이 공급되며 이것에 의해서 산성 드레인(64)은 드레인 관(8)내 등에서 수돗물이 혼합되어 중화된 상태로 배수 배관(9)에 배수된다.
반면에, 샤워 스위치나 급탕 스위치가 조작되었을 때는, 그 때에 그 조작신호가 판단부(11)에 보내지고 판단부(11)에서는 가스 기구(2)의 사용상태로서 출탕수가 배수 배관(9)에 배수되는 사용상태라고 판단하고 전환부(12)는 상기 판단부(11)의 판단결과에 의거하여 판별신호를 받아, 상기 제어부(83)에 대해서 수전자밸브(82)를 비작동으로 하는 전환신호를 출력한다. 이로써, 제어부(83)에서는 상기 수전자밸브(82)의 작동제어가 실행되지 않아 급수연락관(81)은 상기 수전자밸브(82)에 의해서 닫힌 상태가 되며, 드레인 관(8)에는 상기 급수연락관(81)에서 수돗물이 급수되지 않는다. 이 경우는 샤워용 출탕관로(54)나 세면용 출탕관로(55)에서 출수된 더운물의 오수가 배수 배관(9)에 배출되기 때문에, 산성 드레인(64)은 상기 배수 배관(9)내에서 상기 오수와 혼합되어 중화된 상태로 배수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가스 기구(2)의 사용상태에 맞춰서 드레인(64)이 필연적으로 오수와 혼합되는 경우는 상기 급수연락관(81)에서의 수돗물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수돗물을 낭비하는 일이 없다. 또한, 이것이 절수가 되어 드레인(64)의 중화처리비용도 저가가 된다.
이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연소장치에서는, 상기 실시형태(도 1 참조)에 있어서의 판단부(11)를 대신하여 샤워용 출탕관로(54) 및 세면용 출탕관로(55)에 출탕검지 센서(56,57)를 형성한 것이다. 이것에서는 가스 기구(2)의 운전상태에서는 상기 제어부(83)에 의해서 수전자밸브(82)의 열림정도의 제어가 실행되어 드레인 관(8)에 급수연락관(81)에서 수돗물이 급수되지만, 상기 급탕검지 센서(56,57)에 의해서 샤워용 출탕관로(54) 또는 세면용 출탕관로(55)에서의 출탕이 검지되면, 상기 수전자밸브(82)를 닫아서 드레인 관(8)에는 수돗물이 급수되지 않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욕조용 출탕관로(53)만에서의 출탕상태에서는 상기 수전자밸브(82)의 작동에 의해서 급수연락관(81)에서 수돗물이 드레인 관(8)에 급수되지만, 이 상태에서 상기 샤워용 출탕관로(54)의 수도 꼭지(54a) 혹은 상기 세면용 출탕관로(55)의 수도 꼭지(55a)를 조작하여 더운물을 출수한 경우, 상기 출탕검지 센서56,57)에서 상기 샤워용 출탕관로(54) 혹은 상기 세면용 출탕관로(55)에서의 출탕이 검지된다. 그러면 그 검지신호를 상기 전환부(12)에 출력하고, 이 검지신호를 받아들인 전환부(12)는 제어부(83)에 정지신호를 보내서 수전자밸브(82)를 작동상태에서 비작동상태로 전환한다. 이것에 의해서, 상기 급수연락관(81)은 수전자밸브(82)에 의해서 닫히고 수돗물이 드레인 관(8)에 급수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드레인(64)은 상기 샤워용 출탕관로(54) 혹은 상기 세면용 출탕관로(55)에서의 오수와 혼합되기 때문에, 드레인(64)의 중화처리가 이루어지므로 절수가 가능해진다.
그 후, 욕조용 출탕관(53)에서의 출탕상태에 있어서 상기 샤워용 출탕관로(54) 및 상기 세면용 출탕관로(55)의 출탕이 정지되면, 드레인(64)은 상기 샤워용 출탕관로(54) 혹은 상기 세면용 출탕관로(55)에서의 오수와 혼합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 상기 각 출탕검지 센서(56,57)는 출탕이 정지되었다는 검지신호를 상기 전환부(12)에 출력한다. 그리고, 전환부(12)는 각 출탕검지 센서(56,57)로부터 모두 출탕정지의 상기 검지신호의 입력을 받으면, 상기 제어부(83)에 복귀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수전자밸브(82)를 비작동상태에서 작동상태로 전환한다. 이것에 의해서, 상기 급수연락관(81)에서 수돗물이 드레인 관(8)에 급수되어 드레인(64)이 수돗물과 혼합되어 중화처리되게 된다.
이어서 도 3에 나타내는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연소장치는 급탕 난방기의 경우로서, 이 경우에는 온수순환식의 관로를 구비한 열교환장치(2b)가 더 추가되어, 이 열교환장치(2b)로부터의 드레인 관(80)이 급탕측 열교환장치(2)의 드레인 관(8)에 접속된다. 상기 온수순환식 관로는 상기 열교환장치(2b)와 실내기(200)과의 사이를 순환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 장치에 있어서의 조작리모콘(10)에는 난방 스위치가 형성되는데, 이 난방 스위치를 형성한 난방전용 리모콘이 별도로 설치된 것이라도 좋다. 그 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다.
이것에 의하면, 상기 조작리모콘(10)에 의해 난방 스위치의 조작이 실행되면, 상기 온수순환식 관로를 통과하여 열교환장치(2b)와 실내기(200)와의 사이에서 온수가 순환되며, 출탕수는 배수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장치(2b)에서 발생한 드레인은 드레인 관(80)을 통과해서 급탕측 열교환장치(2)의 드레인 관(8)에 배출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상기 난방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서 판단부(11)는 출탕수가 배수되지 않는 사용상태라는 판별신호를 전환부(12)에 출력한다. 그러면 전환부(12)는 드레인 관(8)에 급수연락관(81)에서 수돗물이 급수되도록 전환신호를 제어부(83)에 출력하여 수전자밸브(82)를 열도록 한다. 이것에 의해서, 상기 열교환장치(2b)에서 발생하는 드레인은 상기 드레인 관(8)내에서 수돗물과 혼합되어 중화처리된다. 즉,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난방 스위치가 조작된 경우는 도1에 나타내는 것에 있어서 물받기 스위치의 조작이 실시된 경우와 마찬가지의 동작이 실시된다. 또, 급탕측 열교환장치(2)에 있어서의 조작은, 도1에 나타낸 상기 실시형태의 것과 마찬가지의 동작이 실시된다.
이어서, 도시하지 않으나, 다른 실시형태로서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12), 상기 판단부(11), 출탕검지 센서(56,57)를 대신하거나 또는 이들에 부가하여 상기 수전자밸브(82)의 개폐동작을 작동가능 또는 작동불가능으로 하는 기동전환 스위치(기동전환수단)을 형성한 것이라도 좋다. 이 경우는 상기 드레인(64)의 배수처가, 상기 가스 기구(2,2a)를 포함하여 갖가지 오수와 항상 혼합되는 배수경로에 있는 설치조건인 경우는 상기 기동전환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수전자밸브(82)를 작동불가능상태로 하여 드레인 중화장치(1)를 비작동으로 할 수 있으므로, 가스 기구(2,2a)의 설치 후 사용당초부터 드레인(64)의 중화에 수돗물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반면에 드레인(64)이 다른 오수와 혼합되지 않는 배수경로에 있는 설치조건인 경우는 상기 각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드레인 중화장치(1)의 제어를 실행하면 되고, 또한 상기 전환부(12), 상기 판단부(11), 출탕검지 센서(56,57)을 대신하여 기동전환 스위치(기동전환수단)을 형성한 것에서는 중화장치(1)의 작동을 실시하도록 상기 기동전환 스위치를 조작한다. 이것에 의해서, 드레인(64)은 드레인 중화장치(1)에 의해서 수돗물에 의해서 중화처리되어 배수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출탕관로로서는 욕조용 출탕관로(53)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 외에 세탁기의 세탁조로의 출탕관로여도 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연소장치로서 가스 기구(2)를 들었지만, 예를 들어 석유 등의 액체연료를 연소시키는 석유 기구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연소장치의 사용상태나 설치조건에 따라서 드레인이 필연적으로 오수와 혼합되는 경우는, 드레인 중화장치에 의한 수돗물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드레인 중화를 위한 수돗물을 낭비하는 일이 없으며 이것이 절수가 되어 드레인의 중화처리비용도 저가가 된다.

Claims (6)

  1. 잠열회수형의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서 발생하는 드레인에 수돗물을 혼합하는 드레인 중화장치를 구비하는 연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의 배수처가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출탕관으로부터의 출탕수의 배수 배관과 합류하고 있으며,
    상기 출탕수의 사용목적을 판단하는 판단수단과,
    상기 판단수단에서의 판별신호를 받아서 상기 출탕수가 배수되지 않는 사용상태라는 상기 판별신호에서는 상기 드레인 중화장치를 작동시키고, 상기 출탕수가 배수되는 사용상태라는 상기 판별신호에서는 상기 드레인 중화장치를 비작동으로 하는 전환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탕관은 욕조 또는 세탁조로 출탕하는 제 1 출탕관로와, 샤워, 세면 또는 부엌으로 출탕하는 제 2 출탕관로로 분기되어 있으며,
    상기 판단수단은 상기 제 1 출탕관로만에 의한 사용일 때에 상기 출탕수가 배수되지 않는 사용상태라는 판별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 2 출탕관로에 의한 사용일 때에 상기 출탕수가 배수되는 사용상태라는 판별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소장치는 급탕 난방기로서,
    상기 판단수단은 온수순환식 난방사용일 때에 상기 출탕수가 배수되지 않는 사용상태라는 판별신호를 출력하고, 급탕사용일 때에 상기 출탕수가 배수되는 사용상태라는 판별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장치.
  4. 청구항 1∼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수단은 상기 연소장치의 조작부에 있어서의 조작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판별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장치.
  5. 잠열회수형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서 발생하는 드레인에 수돗물을 혼합하는 드레인 중화장치를 구비하는 연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의 배출처가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출탕관으로부터의 출탕수의 배수 배관과 합류하고 있으며,
    상기 출탕관은 상기 출탕수가 배수되는 사용상태에 따라서 출탕관로를 분기시키고 있으며,
    상기 출탕관로에 출탕검지 센서가 부착되어,
    상기 출탕검지 센서에서의 검지신호를 받고, 상기 출탕관로에서 상기 출탕수가 출수되고 있다는 상기 검지신호에 의해서 상기 드레인 중화장치를 비동작으로 하는 전환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장치.
  6. 잠열회수형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서 발생하는 드레인에 수돗물을 혼합하는 드레인 중화장치를 구비하는 연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중화장치를 미리 작동가능 또는 작동불가능으로 하는 기동전환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장치.
KR10-2000-0045060A 1999-11-15 2000-08-03 연소장치 KR1003869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407299A JP3619090B2 (ja) 1999-11-15 1999-11-15 燃焼装置
JP324072 1999-11-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9983A true KR20010049983A (ko) 2001-06-15
KR100386960B1 KR100386960B1 (ko) 2003-06-09

Family

ID=18161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5060A KR100386960B1 (ko) 1999-11-15 2000-08-03 연소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619090B2 (ko)
KR (1) KR100386960B1 (ko)
CN (1) CN1158491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2348A (ko) * 2018-06-05 2021-03-24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열교환기 유닛
US11585572B2 (en) 2018-06-05 2023-02-21 Kyungdong Navien Co., Ltd. Heat exchanger unit and condensing boiler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50722B2 (ja) * 2004-05-10 2008-02-20 リンナイ株式会社 1ファン式複合熱源機
CN1847729B (zh) * 2005-04-11 2010-05-12 林内株式会社 单罐式组合热源机
JP2009281674A (ja) * 2008-05-23 2009-12-03 Mitsubishi Electric Corp 貯湯式給湯機
CN202171342U (zh) * 2011-05-04 2012-03-21 朱昱灿 节能型热水供应装置
CN104913509B (zh) * 2015-06-11 2020-07-07 章祖文 可调温定时自来热水蒸汽装置的制造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2348A (ko) * 2018-06-05 2021-03-24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열교환기 유닛
KR20210032347A (ko) * 2018-06-05 2021-03-24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열교환기 유닛
KR20210039363A (ko) * 2018-06-05 2021-04-09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열교환기 유닛
US11585572B2 (en) 2018-06-05 2023-02-21 Kyungdong Navien Co., Ltd. Heat exchanger unit and condensing boiler using the same
US11835261B2 (en) 2018-06-05 2023-12-05 Kyungdong Navien Co., Ltd. Heat exchanger unit
US11835262B2 (en) 2018-06-05 2023-12-05 Kyungdong Navien Co., Ltd. Heat exchanger unit
US11879666B2 (en) 2018-06-05 2024-01-23 Kyungdong Navien Co., Ltd. Heat exchanger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6960B1 (ko) 2003-06-09
JP2001141301A (ja) 2001-05-25
CN1158491C (zh) 2004-07-21
JP3619090B2 (ja) 2005-02-09
CN1296158A (zh) 2001-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7381B1 (ko) 온수 보일러의 절수시스템
JP2009270798A (ja) ドレン排出装置及びその方法
KR100386960B1 (ko) 연소장치
JP2003042566A (ja) 潜熱回収型給湯器
JP2005337710A (ja) 給湯器のドレン排出装置及びユニットバス壁貫通継手
JP4585799B2 (ja) 切替弁ユニット、ドレン排出方法及びドレン排出装置
JP2005308263A (ja) 給湯・追焚装置の不用水排出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867521B1 (ko) 순간식 보일러의 절수 장치
JP2007271249A (ja) 風呂給湯装置
JP5836794B2 (ja) 貯湯システム
JP5179914B2 (ja) 風呂給湯装置
JP5656423B2 (ja) 潜熱回収式加熱装置のドレン排水システム
JP3849587B2 (ja) 給湯システム
KR20050081194A (ko) 가정용 보일러의 절수시스템 및 그 방법
JPH0745970B2 (ja) 追焚機能付給湯機
JP2005337544A (ja) 熱源装置及びそのドレン排出制御方法
JP2006183937A (ja) ドレン排出方法及びドレン排出装置
JP5143810B2 (ja) 自動給湯器付き風呂装置
JP2011152312A (ja) 浴室部材洗浄システム
JP5456915B2 (ja) 風呂給湯装置
CN218763537U (zh) 一种具有水汽系统的燃气炉灶
KR20130052086A (ko) 물 낭비 방지용 온수공급장치
JPH042361Y2 (ko)
KR200147551Y1 (ko) 가스보일러의 온수공급장치
JP2002048413A (ja) 給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