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9235A - 열봉함 장치 - Google Patents

열봉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9235A
KR20010049235A KR1020000014507A KR20000014507A KR20010049235A KR 20010049235 A KR20010049235 A KR 20010049235A KR 1020000014507 A KR1020000014507 A KR 1020000014507A KR 20000014507 A KR20000014507 A KR 20000014507A KR 20010049235 A KR20010049235 A KR 20010049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clamping
pair
nozzl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4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7110B1 (ko
Inventor
마스이마코토
Original Assignee
김인수
마스이 마코토
마쓰바라 도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수, 마스이 마코토, 마쓰바라 도루 filed Critical 김인수
Publication of KR20010049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9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7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71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01D15/0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 B01D15/10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operational features
    • B01D15/1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operational features relating to flow patterns
    • B01D15/1814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operational features relating to flow patterns recycling of the fraction to be distributed
    • B01D15/1821Simulated moving beds
    • B01D15/1842Simulated moving beds characterized by apparatus featu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ackage Clos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치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고, 진동·소음을 줄일 수 있음과 아울러 작업실내의 환경을 쾌적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한 쌍의 협지체(7, 8)와 노즐(18)과 열봉함 기구(3)와 제어수단을 설치하고, 제어수단은, 봉투(6)의 개구부와 봉투(6)에 삽입된 노즐(18)을 한 쌍의 협지체(7, 8)로 협지시키고, 그 제1의 협지 상태에서 노즐(18)로 봉투(6) 안의 공기를 흡인하여 배출시키고, 봉투(6)에 대한 공기의 흡인·배출 과정이 종료되면 노즐(18)을 봉투(6)로부터 상대적으로 빼내고, 봉투(6)의 개구부를 한 쌍의 협지체(7, 8)로 더욱 협지시키고, 그 제2의 협지 상태에서 봉투(6)의 개구부를 열봉함 기구(3)로 봉함시키도록 구성하고, 한 쌍의 협지체(7, 8)의 구동부(10)는 협지체(7)를 개방위치(開放位置)로부터 중간위치까지 이동시키도록 구동되는 전동 모터(M)를 구비한 제1구동기구(12)와 협지체(7)를 중간위치로부터 폐쇄위치까지 이동시키도록 구동되는 솔레노이드(S)를 구비한 제2구동기구(14)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열봉함 장치{SEALER}
본 발명은, 봉투의 개구부를 자유롭게 협지(挾持) 및 협지 해제할 수 있는 한 쌍의 협지체와,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봉투 안으로 상대적으로 넣고 뺄 수 있는 노즐과, 상기 봉투의 개구부를 열융착(熱融着)하여 봉함하는 열봉함 기구를 장치 프레임에 설치하고, 상기 한 쌍의 협지체의 구동부와 노즐과 열봉함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봉투의 개구부와 상기 봉투에 상대적으로 삽입한 노즐을 상기 한 쌍의 협지체로 협지시키고, 그 제1의 협지 상태에서 상기 노즐로 상기 봉투 안의 공기를 흡인하여 배출시키던지 또는 봉투 안으로 기체를 공급하고, 상기 봉투에 공기의 흡인·배출 과정 또는 기체의 공급 과정이 종료되면 상기 노즐을 상기 봉투로부터 상대적으로 인출시킴과 아울러 상기 인출로 인하여 기체가 상기 봉투 밖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봉투의 개구부를 상기 한 쌍의 협지체로 더욱 협지시키고, 그 제2의 협지 상태에서 상기 봉투의 개구부를 상기 열봉함 기구로 봉함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열봉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열봉함 기구는 상기 봉투에 수납 대상물을 담은 상태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봉투의 개구부를 봉함하는 장치로서, 수납 대상물이 식품인 경우에는 부패 방지와 신선도를 보존함과 아울러 부피를 작게 하고, 수납 대상물이 기계 부품인 경우에는 녹, 부식을 방지하고 부피를 작게 하며, 또한 봉투 안의 수납 대상물의 덜걱거림 방지 또는 움직임 방지 등의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종래의 상기 열봉함 장치에 있어서, 한 쌍의 협지체의 구동부는 직렬로 접속된 2개의 에어 실린더로 구성되어 있고, 한쪽의 에어 실린더의 팽창(혹은 수축) 왕복 구동으로 봉투의 개구부 및 노즐을 한 쌍의 협지체로 협지시키고(제1의 협지 상태), 다른 쪽의 에어 실린더의 팽창(혹은 수축) 왕복 구동으로 노즐 인출 후에 봉투의 개구부를 협지시키고 있다(제2의 협지 상태).
상기 종래의 구성에 의하면 한 쌍의 협지체의 구동부를 한 쌍의 에어 실린더로 구성하므로 압축기가 필요하여 장치가 거대해지고 진동·소음이 커진다는 문제와 배기 가스에 의하여 작업실내가 오염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장치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고, 진동·소음을 줄일 수 있음과 아울러 작업실내의 환경을 쾌적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점이다.
도1은 열봉함 장치의 측면도,
도2는 열봉함 장치의 정면도,
도3은 열봉함 장치의 평면도,
도4는 열봉함 기구를 나타내는 도면,
도5는 상측 협지체가 개방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6은 노즐이 돌출하여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7은 상측 협지체가 중간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8은 상측 협지체가 폐쇄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9는 이상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10은 제어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11은 제1구동기구에 에어 실린더를 사용한 실시예에서 열봉함 장치의 일련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12는 제1구동기구에 솔레노이드를 사용한 실시예에서 열봉함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6 : 봉투 7, 8 : 협지체(挾持體)
10 : 구동부 11 : 장치 프레임
12 : 제1구동기구 14 : 제2구동기구
15 : 캠 기구 16 : 캠 본체
17 : 캠종동절(Cam 從動節) 18 : 노즐
19, 20 : 가동부재(可動 部材) M : 전동모터(電動 motor)
S : 솔레노이드(solenoid)
20 : 제1구동기구(에어 실린더) 21 : 제1구동기구(솔레노이드)
1)청구항1에 의한 발명의 구성·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구성]
처음에 기재한 바와 같이 열봉함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협지체의 구동부는 가동하는 측의 한쪽 또는 양쪽의 협지체를 개방위치로부터 상기 제1의 협지 상태에 대응하는 중간위치까지 이동시키도록 구동되는 전동 모터를 구비한 제1구동기구와 협지체를 상기 중간위치로부터 상기 제2의 협지 상태에 대응하는 폐쇄위치까지 이동시키도록 구동되는 솔레노이드를 구비한 제2구동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작용]
전동 모터를 구비한 제1구동기구는 가동측의 한쪽 또는 양쪽의 협지체를 개방위치로부터 상기 중간위치까지 비교적 약한 힘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된다(제1의 협지 상태).
그리고 솔레노이드를 구비한 제2구동기구는 상기 협지체를 중간위치로부터 폐쇄위치까지 이동시키도록 구동되고, 봉함에 필요한 강한 힘으로 협지체를 닫는다(제2의 협지 상태).
상기 협지체를 에어 실린더로 이동시키도록 구동하려면 압축기가 필요하게 되지만, 청구항1의 구성에 의하면 협지체를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시키도록 구동하므로 압축기가 불필요하게 된다. 그 결과,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고 진동·소음을 줄일 수 있음과 아울러 배기 가스도 없어지게 된다.
예를 들면 전동 모터만으로 상기 협지체를 개방위치로부터 중간위치까지 이동시키도록 구동시키고 나서 일단 정지시키고(제1의 협지 상태), 다음에 상기 협지체를 중간위치로부터 폐쇄위치까지 이동시키도록 구동시킨다(제2의 협지 상태)라는 수단에 있어서는 상기 중간위치에서 협지체를 정확하게 정지시키고 그 후에 폐쇄위치까지 이동을 재개시켜 봉함에 필요한 힘을 발생시키기 위한 기구(예를 들면 캠 기구)의 설계·제작이 곤란하며 설계·제작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단점이 있지만, 청구항1의 구성에 의하면 전동 모터에서는 상기 협지체를 개방위치로부터 중간위치까지만 이동시킴으로써 스트로크(stroke) 도중에 정지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솔레노이드만으로 상기 협지체를 개방위치로부터 중간위치까지 이동시키도록 구동시키고 나서 일단 정지시키고(제1의 협지 상태), 다음에 중간위치로부터 폐쇄위치까지 상기 협지체를 이동시키도록 구동시킨다(제2의 협지 상태)라는 수단에 있어서는 솔레노이드의 특성으로 인하여 긴 스트로크의 솔레노이드가 필요하게 되어 솔레노이드가 대형화된다는 단점이 있고 가속도가 붙은 솔레노이드를 중간에서 정확하게 정지시키는 것이 어렵지만, 청구항1의 구성에 의하면 솔레노이드는 상기 협지체를 중간위치로부터 폐쇄위치까지만 이동시키도록 구동시키므로 솔레노이드를 콤팩트하게 만들 수 있다.
[효과]
따라서 장치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음과 아울러 진동·소음을 줄일 수 있고, 또한 작업실내의 환경을 쾌적하게 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병원과 클린룸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탈기(脫氣) 기구를 구비한 열봉함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2)청구항2에 의한 발명의 구성·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구성]
청구항1에 의한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기구는 가동하는 측의 한쪽 또는 양쪽의 협지체를 상기 전동 모터에 캠 기구와 연계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캠 기구는 상기 전동 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캠 본체와, 상기 캠 본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협지체를 밀고 당기도록 이동시키는 캠 종동절로 구성되어 있다.
[작용]
청구항1의 구성에 의한 작용과 동일함과 아울러 추가적으로 다음과 같이 작용할 수 있다.
제1구동기구의 전동 모터가 회전 구동하면 캠 본체가 회전함과 아울러 캠 종동절이 작동하여 상기 협지체를 밀거나 끌어 당긴다.
이것에 의하여 상기 협지체가 개방위치로부터 중간위치까지 이동되고 나서 정지한다(제1의 협지 상태).
즉, 제1구동기구는 협지체를 전동 모터에 상기 캠 기구와 연계하여 구성되어 있으므로 전동 모터의 주변의 부품 개수를 줄일 수 있고, 또한 상기 중간위치에서 협지체를 정확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효과]
따라서 청구항1의 구성에 의한 효과와 동일함과 아울러 추가적으로 구조를 보다 간소화할 수 있게 된다.
3)청구항3에 의한 발명의 구성·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구성]
청구항2에 의한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캠 종동절은 서로 독립하여 이동할 수 있는 한 쌍의 가동부재와 가압수단 사이에 상기 캠 본체를 끼워 넣은 상태로 설치하여 구성하고, 상기 캠 본체가 회전함에 따라 한쪽의 가동부재가 상기 캠 본체에 의하여 힘을 받아 이동됨과 아울러 다른 쪽의 가동부재가 상기 가압수단을 통하여 상기 한쪽의 가동부재를 따라서 이동되고, 상기 협지체를 상기 개방위치로부터 중간위치까지 이동시키도록 상기 다른 쪽의 가동부재가 상기 협지체와 연결되어 있다.
[작용]
청구항2의 구성에 의한 작용과 동일함과 아울러 추가적으로 다음과 같이 작용할 수 있다.
제1구동기구의 전동 모터가 회전 구동하면 캠 본체가 회전하고 그 회전에 따라 한쪽의 가동부재가 캠 본체에 의하여 힘을 받아 이동된다.
그리고 다른 쪽의 가동부재가 가압수단을 통하여 한쪽의 가동부재를 따라 이동되고, 상기 협지체를 개방위치로부터 중간위치까지 이동시킨다(제1의 협지 상태)
상기 협지체가 개방위치로부터 중간위치까지 이동될 때에, 예를 들면 한 쌍의 협지체로 기구와 수납 대상물(봉투에 사탕을 담는 경우에는 사탕) 등의 이물(異物)을 협지하는 이상 상태가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이물에 의하여 협지체의 이동이 저지되므로 협지체와 연결되어 있는 다른 쪽의 가동부재는 이동되지 않고 회전하는 캠 본체에 의하여 힘을 받는 한쪽의 가동부재만이 가압수단의 가압력(加勢力)에 반하여 이동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이물이 딱딱한 경우에는 한 쌍의 협지체의 구동부가 고장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한쪽의 가동부재가 상기와 같이 이동되면 협지체가 개방위치로 복귀됨으로써 상기 이물을 한 쌍의 협지체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효과]
따라서 청구항2의 구성에 의한 효과와 동일함과 아울러 추가적으로 한 쌍의 협지체로 기구와 수납 대상물(봉투에 사탕을 담는 경우에는 사탕) 등의 이물을 협지하는 이상 상태가 발생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장치와 수납 대상물이 파괴되지 않고 정상 상태로 모두 복귀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4)청구항4에 의한 발명의 구성·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구성]
청구항3에 의한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동부재는 상기 캠 본체의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가동부재의 회전축부를 중심으로 서로 독립하여 회전할 수 있는 한 쌍의 회전 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작용]
청구항3의 구성에 의한 작용과 동일함과 아울러 추가적으로 캠 기구의 부품수가 많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효과]
따라서 청구항3의 구성에 의한 효과와 동일함과 아울러 추가적으로 구조를 보다 간소화할 수 있다.
5)청구항5 ~ 청구항8에 의한 발명의 구성·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구성]
상기 청구항1에서 제1구동기구의 전동 모터 대신에 에어 실린더나 솔레노이드를 사용하는 것이다.
[작용]
청구항1의 구성에 의한 작용과 동일하다.
[효과]
전동 모터를 사용하게 되면 그에 따라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복잡한 구조가 필요하게 되나, 에어 실린더나 솔레노이드를 사용하면 이러한 문제점이 없어지므로 더욱 더 장치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1, 도2, 도3에는 폴리에틸렌 필름과 폴리프로필렌 필름 등의 봉함이 가능한 봉투(6)(도6 참조)의 개구부를 봉함하는 열봉함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열봉함 장치는, 과자(또는 사탕)(33)를 담은 봉투(6)의 개구부를 상측 협지체(7)와 하측 협지체(8)로 자유롭게 협지 및 협지 해제할 수 있는 협지부(1)와,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봉투(6) 안으로 노즐(18)을 상대적으로 넣고 뺄 수 있는 노즐 기구(2)와, 봉투(6)의 개구부를 열융착(熱融着)하여 봉함하는 열봉함 기구(3)와, 봉투 지지대(39)가 장치 프레임(11)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상측 및 하측 협지대(7, 8)의 구동부(10)(도5 참조)와 노즐 기구(2)와 열봉함 기구(3)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12)(제어수단에 상당함. 도10 참조)가 설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상기 협지부(1)는, 장치 프레임(11)의 후단측(도1에서 지면 우측)에 좌우 한 쌍의 지지 암(13)이 횡축(O)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되고, 한 쌍의 지지 암(13)의 양 회전 단부에 걸쳐서 상측 협지체(7)가 설치됨과 아울러 하측 협지체(8)가 장치 프레임(11)의 전단측에 고정되고, 상측 및 하측 협지체(7, 8)의 구동부(10)가 설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7, 도8, 도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 장치(12)의 제어에 의하여 봉투(6)의 개구부와 봉투(6)에 상대적으로 삽입한 노즐(18)을 상측 협지체(7)와 하측 협지체(8)로 협지시키고, 그 제1의 협지 상태에서 노즐(18)로 봉투(6) 안의 공기를 흡인하여 배출시키고, 상기 흡인·배출 과정이 종료되면 노즐(18)을 봉투(6)로부터 상대적으로 인출시킴과 아울러 상기 인출로 인하여 기체가 봉투(6) 밖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봉투(6)의 개구부를 상측 협지체(7)와 하측 협지체(8)로 더욱 협지시키고, 그 제2의 협지 상태에서 봉투(6)의 개구부를 열봉함 기구(3)로 봉함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상측 및 하측 협지체(7, 8)의 구동부(10)는 상측 협지체(7)를 개방위치로부터 상기 제1의 협지 상태에 대응하는 중간위치까지 이동시키도록 구동되는 전동 모터(M)를 구비한 제1구동기구(12)와, 상측 협지체(7)를 중간위치로부터 상기 제2의 협지 상태에 대응하는 폐쇄위치까지 이동시키도록 구동되는 솔레노이드(S)를 구비한 제2구동기구(14)로 구성되어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구동기구(12)는 상측 협지체(7)를 전동 모터(M)에 편심 캠 기구(15)와 연계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편심 캠 기구(15)는 전동 모터(M)에 의하여 회전되는 캠 본체(16)와, 상기 캠 본체(16)가 회전함에 따라 지지 암(13)(즉, 상측 협지체(7))을 밀고 당기도록 이동시키는 캠 종동절(1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캠 종동절(17)은 캠 본체(16)의 회전축(P)이 회전함에 따라 캠 종동절(17)의 회전축(Q)을 중심으로 서로 독립하여 회전할 수 있는 상하 한 쌍의 회전 암(19, 20)(가동부재에 상당함)과 가압수단인 스프링(21)사이에 캠 본체(16)를 끼워 넣는 상태로 설치하여 구성하고, 캠 본체(16)가 회전함에 따라 하측의 회전 암(20)이 캠 본체(16)에 의하여 힘을 받아 이동됨과 아울러 상측의 회전 암(19)이 스프링(21)으로 연결된 하측의 회전 암(20)을 따라 이동되고, 상측 협지체(7)를 상기 개방위치로부터 중간위치까지 이동시키도록 상측의 회전 암(19)이 복수의 연결 부재(28)로 상측 협지체(7)측의 지지 암(13)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상측 협지체(7)가 상기 중간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검출하는 중간위치검출 마이크로스위치(2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중간위치검출 마이크로스위치(29)는 하강해 오는 연결 부재(28)에 의하여 힘을 받아 ON되고(도7 참조), 상기 ON 상태에서 다음 공정으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상측 협지체(7)가 상기 개방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검출하는 개방위치검출 마이크로스위치(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개방위치검출 마이크로스위치(30)는 상승해 오는 상측의 회전 암(19)에 의하여 힘을 받아 ON된다(도5 참조).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노즐 기구(2)는, 한 쌍의 지지 암(13)의 하측에서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단일의 노즐(18)을 장치 프레임(11)에 설치된 회전 벨트(22)에 설치하고 회전 벨트(22)의 정방향과 역방향의 회전으로 노즐(18)의 전단부가 상측 및 하측 협지체(7, 8)보다도 장치의 전방측으로 돌출된 상태와 노즐(18)의 전단부가 봉투(6) 밖으로 후퇴된 후퇴 상태로 자유롭게 절환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 상태에서 작업자가 봉투(6)를 노즐(18)에 장착한다(즉, 노즐(18)을 봉투(6) 안으로 상대적으로 삽입시킨다).
그리고 봉투(6)의 개구부 및 노즐(18)을 상측 협지체(7)와 하측 협지체(8)로 협지시킴과 아울러 그 협지 상태에서 노즐(18)이 봉투(6) 안의 공기를 흡인하여 배출시킨다.
상기 제2구동기구(14)는 솔레노이드(S)에 상기 연결 부재(28)를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4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열봉함 기구(3)는, 상기 상측 및 하측 협지체(7, 8)와는 별개의 상측 누름판(23)과 하측 받침판(24)이 지지 암(13)의 회전 단부측과 장치 프레임(11)의 전단부측에 개별적으로 설치됨과 아울러 하측 받침판(24)측에 히터(25)가 설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상기 히터(25)는 절연용 테프론 테이프(27)로 절연시킴과 아울러 수지 커버(26)를 덮어 봉투(6)가 히터(25)에 녹아 붙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본 장치는 제어 장치(12)의 제어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1)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지지 암(13)의 회전 단부측의 상측 협지체(7)가 하측 협지체(8)에 대하여 개방 자세인 상태에서 회전 벨트(22)가 회전하여 도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18)의 전단부가 상측 및 하측 협지체(7, 8)보다도 장치의 전방측으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상기 돌출 상태에서 작업자가 봉투(6)를 노즐(18)에 장착한다.
2)도6, 도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동 모터(M)가 회전 구동함으로써 캠 본체(16)가 회전함에 따라 하측의 회전 암(20)이 캠 본체(16)에 눌려 회전 하강한다.
그리고 상측의 회전 암(19)이 스프링(21)으로 연결된 하측의 회전 암(20)을 따라서 이동하고 상측 협지체(7)를 개방위치로부터 중간위치까지 이동시킨다(제1의 협지 상태).
3)상기 제1의 협지 상태가 되면 중간위치검출 마이크로스위치(29)가 ON되고(도7 참조), 노즐(18)이 봉투(6) 안의 공기를 흡인하여 배출시킨다.
4)봉투(6)로부터의 공기의 흡인·배출 과정이 종료되면 도7,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벨트(22)가 역회전하여 노즐(18)이 봉투(6)로부터 인출되고, 솔레노이드(S)가 구동하여 상측 협지체(7)를 중간위치로부터 폐쇄위치까지 이동시킨다(제2의 협지 상태).
5)상기 제2의 협지 상태에서 봉투(6)의 개구부를 열봉함 기구(3)가 열융착하여 봉함한다.
6)전동 모터(M)가 회전 구동하여 캠 본체(16)가 회전함에 따라 상측의 회전 암(19)이 캠 본체(16)에 의하여 밀려서 회전 상승하고, 지지 암(13)을 위로 밀어서 상측 협지체(7)를 개방위치까지 이동시킨다.
7)봉함된 봉투(6)를 작업자가 회수한다.
그런데 도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2)에 있어서 상측 협지체(7)가 개방위치로부터 중간위치까지 이동될 때에, 예를 들면 상측 및 하측 협지체(7, 8)의 부분으로 기구와 사탕 등의 이물(40)을 협지하는 이상 상태가 발생한 경우에, 상측 협지체(7)의 이동이 상기 이물(40)에 의하여 저지됨으로써 상측 협지체(7)와 연결되어 있는 상측의 회전 암(19)은 이동되지 않고, 회전하는 캠 본체(16)에 의하여 힘을 받는 하측의 회전 암(20)만이 스프링(21)의 탄성력에 반하여 이동된다.
따라서 마이크로 스위치(29)가 ON되지 않아 다음 공정으로 이동하지 않으며, 상기 캠 본체(16)의 회전은 멈추지 않고 계속되어 상측의 회전 암(19)을 밀어 올려 마이크로 스위치(30)를 ON시켜 정지되고 하측의 회전 암(20)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되면 상측 협지체(7)가 개방위치로 복귀함으로써 상기 이물을 상측 협지체(7)와 하측 협지체(8)의 사이로부터 꺼내어 인출할 수 있다.
[변형예]
상기 하측 협지체(8)만을 또는 상기 상측 협지체(7)와 하측 협지체(8) 중 어느 것이라도 이동시켜 협지 작동시키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캠 종동절(17)은 상기 상측 및 하측의 회전 암(19, 20)을 대신하여 서로 독립되어 상하 위치가 이동될 수 있는 한 쌍의 가동부재인 가동체(도시 생략)와 가압수단 사이에 캠 본체(16)를 끼워 넣는 상태로 설치하여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즉, 상기 캠 본체(16)가 회전함에 따라 한쪽의 가동체가 캠 본체(16)에 의하여 힘을 받아 예를 들면 수평 자세 그대로 이동됨과 아울러 다른 쪽의 가동체가 가압수단을 통하여 한쪽의 가동체를 따라 수평 자세 그대로 이동하여 상측 협지체(7)를 상기 개방위치로부터 중간위치까지 이동시키도록 상기 다른 쪽의 가동체를 상측 협지체(7)와 연결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봉투(6) 안의 공기를 노즐(18)로 흡인하여 배출시킨 후에, 노즐(18)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질소 가스를 봉투(6) 안으로 공급하고, 그 공급 과정이 종료되면 노즐(18)을 봉투(6)로부터 상대적으로 인출시킴과 아울러 상기 인출로 인하여 기체가 봉투(6) 밖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봉투(6)의 개구부를 상측 및 하측 협지체(7, 8)로 더욱 협지시키고, 그 협지 상태에서 봉투(6)의 개구부를 열봉함 기구(3)로 봉함시키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봉투(6)의 수납 대상물은 식품에 한정되지 않고 반도체나 기계 제품과 사용한 종이 기저귀 등의 폐기 오물이라도 무방하다.
[다른 실시예]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구동기구에 전동 모터를, 제2구동기구에 솔레노이드를 사용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과 같은 실시예를 생각할 수 있다.
즉 도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구동기구에 에어 실린더(air cylinder)를 사용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도5 등의 실시예에서 전동 모터(M) 대신에 에어 실린더로 제1구동기구를 구성한 것이다. 도11에서 (a) ~ (d)의 동작은 도5 ~ 도8의 동작과 유사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구동기구에 솔레노이드를 사용하는 것이 역시 고려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도5 등의 실시예에서 전동 모터 대신에 솔레노이드로 제1구동기구를 구성한 것이다. 그 동작은 도5 ~ 도8의 동작과 유사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에서 제1구동기구의 솔레이노이드로서는 AC 솔레노이드가, 제2구동기구의 솔레노이드로서는 DC 솔레노이드가 바람직하다.
AC 솔레노이드는 그 흡인력이 스트로크가 변화하여도 거의 변하지 않고, 스트로크가 길어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도 그 흡인력이 크므로 동작이 빠르게 된다. 따라서 스트로크가 큰 제1구동기구에 이러한 AC 솔레노이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DC 솔레노이드는 플랜저가 철심(鐵心)에 근접하게 됨에 따라 큰 흡인력이 발생하므로 열봉함 장치에 사용하면 큰 압력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봉함시에 압력을 가하는 것은 제2구동기구이므로 이 제2구동기구에 DC 솔레노이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동모터를 구비한 제1구동기구와 솔레노이드를 구비한 제2구동기구는 에어 실린더를 구비한 구동기구에 비하여 압축기가 불필요하게 되므로 장치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음과 아울러 진동·소음을 줄일 수 있고, 또한 작업실내의 환경을 쾌적하게 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병원과 클린룸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탈기(脫氣) 기구를 구비한 열봉함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제1구동기구는 협지체를 전동 모터에 상기 캠 기구와 연계하여 구성되어 있으므로 전동 모터의 주변의 부품 개수를 줄일 수 있고, 또한 상기 중간위치에서 협지체를 정확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진동·소음을 줄일 수 있음과 아울러 작업실내의 환경을 쾌적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구동기구의 구조를 보다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협지체로 기구와 수납 대상물(봉투에 사탕을 담는 경우에는 사탕) 등의 이물을 협지하는 이상 상태가 발생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장치와 수납 대상물이 파괴되지 않고 정상 상태로 모두 복귀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구동기구로서 에어 실린더 혹은 솔레노이드를 사용하여 더욱 더 콤팩트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봉투의 개구부를 자유롭게 협지(挾持) 및 협지 해제할 수 있는 한 쌍의 협지체와,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봉투 안으로 상대적으로 넣고 뺄 수 있는 노즐과, 상기 봉투의 개구부를 열융착(熱融着)하여 봉함하는 열봉함 기구를 장치 프레임에 설치하고, 상기 한 쌍의 협지체의 구동부와 노즐과 열봉함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봉투의 개구부와 상기 봉투에 상대적으로 삽입한 노즐을 상기 한 쌍의 협지체로 협지시키고, 그 제1의 협지 상태에서 상기 노즐로 상기 봉투 안의 공기를 흡인하여 배출시키던지 또는 봉투 안으로 기체를 공급하고, 상기 봉투에 공기의 흡인·배출 과정 또는 기체의 공급 과정이 종료되면 상기 노즐을 상기 봉투로부터 상대적으로 인출시킴과 아울러 상기 인출로 인하여 기체가 상기 봉투 밖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봉투의 개구부를 상기 한 쌍의 협지체로 더욱 협지시키고, 그 제2의 협지 상태에서 상기 봉투의 개구부를 상기 열봉함 기구로 봉함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열봉함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협지체의 구동부는 가동하는 측의 한쪽 또는 양쪽의 협지체를 개방위치로부터 상기 제1의 협지 상태에 대응하는 중간위치까지 이동시키도록 구동되는 전동 모터(電動 motor)를 구비한 제1구동기구와, 협지체를 상기 중간위치로부터 상기 제2의 협지 상태에 대응하는 폐쇄위치까지 이동시키도록 구동되는 솔레노이드를 구비한 제2구동기구로 구성되어 있는 열봉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기구는 가동하는 측의 한쪽 또는 양쪽의 협지체에 캠 기구로 연결된 상기 전동 모터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캠 기구는 상기 전동 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캠 본체와, 상기 캠 본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협지체를 밀고 당기도록 이동시키는 캠 종동절로 구성되어 있는 열봉함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캠 종동절은 서로 독립하여 이동할 수 있는 한 쌍의 가동부재와 가압수단 사이에 상기 캠 본체를 끼워 넣은 상태로 설치하여 구성하고, 상기 캠 본체가 회전함에 따라 한쪽의 가동부재가 상기 캠 본체에 의하여 힘을 받아 이동됨과 아울러 다른 쪽의 가동부재가 상기 가압수단을 통하여 상기 한쪽의 가동부재를 따라 이동되고, 상기 협지체를 상기 개방위치로부터 중간위치까지 이동시키도록 상기 다른 쪽의 가동부재가 상기 협지체와 연결되어 있는 열봉함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동부재는 상기 캠 본체의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가동부재의 회전축부를 중심으로 서로 독립하여 회전할 수 있는 한 쌍의 회전 암으로 구성되어 있는 열봉함 장치.
  5. 봉투의 개구부를 자유롭게 협지(挾持) 및 협지 해제할 수 있는 한 쌍의 협지체와,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봉투 안으로 상대적으로 넣고 뺄 수 있는 노즐과, 상기 봉투의 개구부를 열융착하여 봉함하는 열봉함 기구를 장치 프레임에 설치하고, 상기 한 쌍의 협지체의 구동부와 노즐과 열봉함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봉투의 개구부와 상기 봉투에 상대적으로 삽입한 노즐을 상기 한 쌍의 협지체로 협지시키고, 그 제1의 협지 상태에서 상기 노즐로 상기 봉투 안의 공기를 흡인하여 배출시키던지 또는 봉투 안으로 기체를 공급하고, 상기 봉투에 공기의 흡인·배출 과정 또는 기체의 공급 과정이 종료되면 상기 노즐을 상기 봉투로부터 상대적으로 인출시킴과 아울러 상기 인출로 인하여 기체가 상기 봉투 밖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봉투의 개구부를 상기 한 쌍의 협지체로 더욱 협지시키고, 그 제2의 협지 상태에서 상기 봉투의 개구부를 상기 열봉함 기구로 봉함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열봉함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협지체의 구동부는 가동하는 측의 한쪽 또는 양쪽의 협지체를 개방위치로부터 상기 제1의 협지 상태에 대응하는 중간위치까지 이동시키도록 구동되는 에어 실린더(air cylinder)를 구비한 제1구동기구와, 협지체를 상기 중간위치로부터 상기 제2의 협지 상태에 대응하는 폐쇄위치까지 이동시키도록 구동되는 솔레노이드를 구비한 제2구동기구로 구성되어 있는 열봉함 장치.
  6. 봉투의 개구부를 자유롭게 협지(挾持) 및 협지 해제할 수 있는 한 쌍의 협지체와,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봉투 안으로 상대적으로 넣고 뺄 수 있는 노즐과, 상기 봉투의 개구부를 열융착하여 봉함하는 열봉함 기구를 장치 프레임에 설치하고, 상기 한 쌍의 협지체의 구동부와 노즐과 열봉함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봉투의 개구부와 상기 봉투에 상대적으로 삽입한 노즐을 상기 한 쌍의 협지체로 협지시키고, 그 제1의 협지 상태에서 상기 노즐로 상기 봉투 안의 공기를 흡인하여 배출시키던지 또는 봉투 안으로 기체를 공급하고, 상기 봉투에 공기의 흡인·배출 과정 또는 기체의 공급 과정이 종료되면 상기 노즐을 상기 봉투로부터 상대적으로 인출시킴과 아울러 상기 인출로 인하여 기체가 상기 봉투 밖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봉투의 개구부를 상기 한 쌍의 협지체로 더욱 협지시키고, 그 제2의 협지 상태에서 상기 봉투의 개구부를 상기 열봉함 기구로 봉함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열봉함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협지체의 구동부는 가동하는 측의 한쪽 또는 양쪽의 협지체를 개방위치로부터 상기 제1의 협지 상태에 대응하는 중간위치까지 이동시키도록 구동되는 솔레노이드(solenoid)를 구비한 제1구동기구와, 협지체를 상기 중간위치로부터 상기 제2의 협지 상태에 대응하는 폐쇄위치까지 이동시키도록 구동되는 솔레노이드를 구비한 제2구동기구로 구성되어 있는 열봉함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제1구동기구의 솔레노이드는 AC 솔레노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봉함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제2구동기구의 솔레노이드는 DC 솔레노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봉함 장치.
KR1020000014507A 1999-11-18 2000-03-22 열봉함 장치 KR1003371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838299A JP2001146214A (ja) 1999-11-18 1999-11-18 熱融着装置
JP11-328382 1999-1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9235A true KR20010049235A (ko) 2001-06-15
KR100337110B1 KR100337110B1 (ko) 2002-05-16

Family

ID=18209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4507A KR100337110B1 (ko) 1999-11-18 2000-03-22 열봉함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1146214A (ko)
KR (1) KR10033711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807B1 (ko) * 2007-06-11 2007-10-17 주식회사 인트라이즈 노즐식 진공 포장기
KR100799926B1 (ko) * 2006-12-11 2008-01-31 (주) 가성팩 열 봉함장치
KR20140020350A (ko) * 2011-07-20 2014-02-18 후지인파루스 가부시키가이샤 실링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614B1 (ko) 2008-11-25 2012-04-09 인디스에어 주식회사 완충 포장 주머니용 공기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주입방법
KR101867673B1 (ko) * 2016-06-27 2018-06-14 박병무 진공포장장치
CN108860803B (zh) * 2018-05-15 2020-05-26 安徽工程大学 一种塑料袋封口机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926B1 (ko) * 2006-12-11 2008-01-31 (주) 가성팩 열 봉함장치
KR100767807B1 (ko) * 2007-06-11 2007-10-17 주식회사 인트라이즈 노즐식 진공 포장기
WO2008153258A1 (en) * 2007-06-11 2008-12-18 Intrise Co., Ltd. Nozzle type vacuum packing appratus
KR20140020350A (ko) * 2011-07-20 2014-02-18 후지인파루스 가부시키가이샤 실링장치
EP2735516A1 (en) * 2011-07-20 2014-05-28 Fuji Impulse Co., Ltd. Sealing device
EP2735516A4 (en) * 2011-07-20 2014-12-17 Fuji Impulse Co Ltd SEAL DEVICE
US9650167B2 (en) 2011-07-20 2017-05-16 Fuji Impulse Co., Ltd. Seal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146214A (ja) 2001-05-29
KR100337110B1 (ko) 2002-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28132B2 (ja) 自己装填式蠕動ポンプチューブカセット
KR100337110B1 (ko) 열봉함 장치
US4103471A (en) Atmosphere exchanging and bag sealing machine and method
EP0489526B1 (en) Carton top sealing mechanism
JP2665207B2 (ja) ヒートシール装置
JPH0948409A (ja) 真空包装機
JP3802350B2 (ja) 缶潰し装置
CN111204492A (zh) 一种智能微型药丸包装机的真空吸纸装置及药丸包装机
JP3489175B2 (ja) 廃プラスチック材処理装置
KR200426302Y1 (ko) 밀봉장치의 탈기수단
JP2002255114A (ja) 可圧縮物の真空圧縮包装方法
JP4614253B2 (ja) 成型品取出機
CN217970955U (zh) 用于智能垃圾桶上的垃圾袋收口装置
JP3281543B2 (ja) 袋シール装置
KR100310202B1 (ko) 액상물 자동 포장장치
CN216685060U (zh) 一种开袋机构及应用该开袋机构的全自动打包机
CN216375293U (zh) 一种采血器具用便捷式小型热合机
CN218662677U (zh) 一种包装封口装置
CN219904852U (zh) 一种适用于小尺寸桶膜的包装机
KR102291390B1 (ko) 마스크 포장재 실링 장치
DE59401229D1 (de) Evakuiervorrichtung
JPH0718572Y2 (ja) シート挿入装置の真空吸引パッド
JPH10101123A (ja) 両扉式密閉容器の扉機構
JP3949043B2 (ja) 圧縮減容梱包方法及びその装置
CN116605460A (zh) 一种栓剂用双向拉伸尼龙药用复合袋的热封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