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7124A - 통신 시스템의 브이5.2 이동성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의 브이5.2 이동성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7124A
KR20010047124A KR1019990051197A KR19990051197A KR20010047124A KR 20010047124 A KR20010047124 A KR 20010047124A KR 1019990051197 A KR1019990051197 A KR 1019990051197A KR 19990051197 A KR19990051197 A KR 19990051197A KR 20010047124 A KR20010047124 A KR 20010047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criber
port
information
mobility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1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재훈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90051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47124A/ko
Publication of KR20010047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712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의 V5.2 이동성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LAPV5-EF와; LAPV5-DL와; PSTN부와, 콘트롤부와, BCC부와, 보호부와, 링크제어부를 구비한 계층 3 부분으로 이루어진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계층 3 부분은, 가입자가 이동하는 경우 위치등록과 포트설정과 가입자 정보 처리를 수행하는 이동성 관리부와; 상기 이동성 관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 매니저와; 상기 이동성 관리부에 타이밍 기능을 제공하는 타이머와; 상기 이동성 관리부에서 동작할 소프트웨어를 처리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하여, 국제 규격인 V5.2 인터페이스에 이동성을 위한 스택을 생성함으로써 고정형 무선 가입자 망에서 이동형 무선 가입자 망으로 시스템의 변화가 이루어질 경우 가입자의 이동성 정보를 교환기에 전달하여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프로토콜 차원의 기능을 보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의 브이5.2 이동성 관리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V5.2 mobility management in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의 V5.2 이동성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국제 규격인 V5.2 인터페이스(ETS 300-324-1, ETS 300-347-1)에 이동성을 위한 스택을 생성함으로써 고정형 무선 가입자 망에서 이동형 무선 가입자 망으로 시스템의 변화가 이루어질 경우 가입자의 이동성 정보를 교환기에 전달하여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프로토콜 차원의 기능 보완에 적당하도록 한 통신 시스템의 V5.2 이동성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외에서 서비스를 개시한 V5.2 인터페이스는 교환기와 전송 장치 사시에 있는 유선 프로토콜로서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공중 교환 전화망) 및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종합정보통신망) 가입자를 지원한다. 이는 국제규격인 ETS 300-324-1, ETS 300-347-1을 참조하면 된다.
도1은 일반적인 WLL(Wireless Local Loop, 무선 가입자 망) 시스템의 블록구성도로서, V5.2 인터페이스가 사용되는 WLL의 시스템 구성을 보인 것이다.
그래서 PSTN/ISDN과 기지국 제어기인 RPC(Radio Port Controller) 간에 G.965로 표시된 부분에서 V5.2 프로토콜이 사용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기지국 제어기는 WLL 관문 교환기, 기지국, IWF(데이터 접속 장치)와 정합되어 착/발신 신호의 처리 및 기지국 관리를 수행하고, RPOM(운용장치)과 정합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2는 일반적인 기지국 제어기(RPC)의 블록구성도이다.
그래서 CCPU(Call Central Processing Unit) 내의 CMCU(Call Main Control Unit) 인터페이스와 연결된 V5.2 프로토콜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3은 종래 통신 시스템의 V5.2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V5.2 인터페이스에서 ISDN 가입자를 위한 메시지와 V5.2 프로토콜 계층 3 부분에서 처리할 메시지를 구분해주는 LAPV5-EF(Link Access Protocol for V5 - Envelope Function)(10)와; 상기 LAPV5-EF(10)와 계층 3 부분(30)과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고, V5.2의 데이터 링크를 처리하는 LAPV5-DL(Link Access Protocol for V5 - Datalink Layer)(20)와; 가입자 단말의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PSTN부(PSTN Protocol)(31)와, 공통된 인터페이스 정보나 가입자 제어 정보를 전달하는 콘트롤부(CONTROL Protocol)(32)와, 가입자에 대한 채널 할당 및 해제를 지원하는 BCC부(BCC Protocol)(33)와, 상기 콘트롤부(32) 및 E1 링크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주요 신호 채널을 절체하는 보호부(PROTECTION Protocol)(34)와, E1 링크 상의 장애에 대한 통보나 복구 절차를 담당하는 링크제어부(LINK CONTROL Protocol)(35)로 이루어진 계층 3 부분(30)으로 구성된다.
즉, V5.2 프로토콜의 계층 3 부분(30)은 PSTN부(31)에서 가입자 단말의 신호를 전송하고, 콘트롤부(32)에서 공통 정보 및 가입자 포트 제어를 수행하며, BCC부(33)에서 트래픽 채널의 할당 및 해제를 수행하고, 보호부(34)에서 신호 채널의 절체를 수행하며, 링크제어부(17)에서 E1 링크의 장애 및 복구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V5.2 프로토콜은 교환기 및 전송 장치에 적용되어 국내외에서 서비스를 진행중이다.
그리고 종래의 V5.2 프로토콜은 고정형 유선 가입자를 고려하여 구성되었다.
따라서 V5.2 프로토콜은 고정형의 유선 가입자를 관리한다는 관점에서 출발하였기 때문에 교환기와 전송장치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모두 독립적으로 수행된다. 그리고 가입자 포트를 관리 할 때 PSTN 가입자의 경우에는 계층 3 어드레스, ISDN 가입자의 경우에는 Envelope-Function 어드레스를 사용한다. 각각의 인터페이스가 독립적이라는 의미는 교환기와 하나의 전송장치 A 사이에서 계층 3 어드레스를 1번 사용하였다 하더라도 교환기와 또 다른 전송장치 B 사이에서도 계층 3 어드레스 2번을 사용할 수 있다는 뜻이다. 즉, V5.2 인터페이스의 계층 3 어드레스는 교환기와 특정 전송장치 사이에서 고유한 번호일 뿐 교환기 자체에서 고유한 번호는 아니라는 의미이다.
또한 V5.2 인터페이스는 기본 개념이 가입자의 이동성을 배제한다는 가정 하에서 구성되었기 때문에, 가입자의 이동성이 없는 서비스의 경우에는 PSTN 및 ISDN 가입자에게 서비스를 원활히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V5.2 프로토콜은 인터페이스 내에서 고유의 가입자 번호로 관리를 하고, 인터페이스 간에는 서로 정보를 전달하는 프로토콜 스택이 없기 때문에 다른 인터페이스 영역으로 이동을 한 경우에는 새로운 V5.2 계층 3 어드레스를 제공하기 전에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입자가 교환기 내에서 이동을 한 경우 동일한 전화번호를 가입자가 사용하기 원한다 할지라도 서비스를 지원할 수 없게 되는 한계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국제 규격인 V5.2 인터페이스(ETS 300-324-1, ETS 300-347-1)에 이동성을 위한 스택을 생성함으로써 고정형 무선 가입자 망에서 이동형 무선 가입자 망으로 시스템의 변화가 이루어질 경우 가입자의 이동성 정보를 교환기에 전달하여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프로토콜 차원의 기능을 보완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의 V5.2 이동성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통신 시스템의 V5.2 이동성 관리 장치는,
LAPV5-EF와; LAPV5-DL와; PSTN부와, 콘트롤부와, BCC부와, 보호부와, 링크제어부를 구비한 계층 3 부분으로 이루어진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계층 3 부분은, 가입자가 이동하는 경우 위치등록과 포트설정과 가입자 정보 처리를 수행하는 이동성 관리부와; 상기 이동성 관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 매니저와; 상기 이동성 관리부에 타이밍 기능을 제공하는 타이머와; 상기 이동성 관리부에서 동작할 소프트웨어를 처리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통신 시스템의 V5.2 이동성 관리 방법은,
이동성 관리부의 프로토콜을 설정하는 제1단계와; 상기 프로토콜을 설정한 다음 상기 이동성 관리부의 프리미티브에 대한 메시지와 타이머를 설정하고 이동가입자에 대해 어떤 기능을 수행할 지 판별하는 제2단계와; 상기 기능이 위치등록이면, 상기 이동가입자에 대한 위치등록을 수행하는 제3단계와; 상기 기능이 포트처리이면, 상기 이동가입자에 대한 포트처리를 수행하는 제4단계와; 상기 기능이 가입자 정보 처리이면, 상기 이동가입자에 대한 가입자 정보 처리를 수행하는 제5단계를 수행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도1은 일반적인 WLL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고,
도2는 일반적인 기지국 제어기의 블록구성도이며,
도3은 종래 통신 시스템의 V5.2 장치의 블록구성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통신 시스템의 V5.2 이동성 관리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며,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통신 시스템의 V5.2 이동성 관리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고,
도6은 도5에서 위치등록단계를 상세히 보인 흐름도이며,
도7은 도5에서 V5.2 포트할당단계를 상세히 보인 흐름도이고,
도8은 도5에서 V5.2 포트해제단계를 상세히 보인 흐름도이며,
도9는 도5에서 이동에 의한 포트할당/해제단계를 상세히 보인 흐름도이고,
도10은 도5에서 가입에 의한 포트할당단계를 상세히 보인 흐름도이며,
도11은 도5에서 가입자정보 조회단계를 상세히 보인 흐름도이고,
도12는 도5에서 가입자정보 생성단계를 상세히 보인 흐름도이며,
도13은 도5에서 가입자정보 삭제단계를 상세히 보인 흐름도이고,
도14는 도5에서 가입자정보 변경단계를 상세히 보인 흐름도이며,
도15는 도4에서 교환기측의 이동성 관리부의 이동성 관리 프로토콜에 의한 상태천이를 보인 표이고,
도16은 도4에서 전송장치측의 이동성 관리부의 이동성 관리 프로토콜에 의한 상태천이를 보인 표이며,
도17은 도4에서 교환기측의 이동성 관리부의 프리미티브 테이블이고,
도18은 도4에서 전송장치측의 이동성 관리부의 프리미티브 테이블이며,
도19 내지 도24는 본 발명 V5.2 이동성 관리에 의한 가입자 정보의 흐름을 보인 블록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LAPV5-EF 12 : LAPV5-DL
13 : PSTN 14 : 콘트롤부
15 : BCC 16 : 보호부
17 : 링크제어부 18 : 이동성 관리부
19 : 시스템 매니저 20 : 타이머
21 : 시스템 소프트웨어 처리부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 통신 시스템의 V5.2 이동성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통신 시스템의 V5.2 이동성 관리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LAPV5-EF(10)와; LAPV5-DL(20)와; PSTN부(31)와, 콘트롤부(32)와, BCC부(33)와, 보호부(34)와, 링크제어부(35)를 구비한 계층 3 부분(30)으로 이루어진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계층 3 부분(30)은, 가입자가 이동하는 경우 위치등록과 포트설정과 가입자 정보 처리를 수행하는 이동성 관리부(36)와; 상기 이동성 관리부(36)의 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 매니저(37)와; 상기 이동성 관리부(36)에 타이밍 기능을 제공하는 타이머(20)와; 상기 이동성 관리부(21)에서 동작할 소프트웨어를 처리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처리부(21)로 구성된다.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통신 시스템의 V5.2 이동성 관리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성 관리부(36)의 프로토콜을 설정하는 제1단계(ST11)와; 상기 프로토콜을 설정한 다음 상기 이동성 관리부(36)의 프리미티브에 대한 메시지와 타이머를 설정하고 이동가입자에 대해 어떤 기능을 수행할 지 판별하는 제2단계(ST12)(ST13)와; 상기 기능이 위치등록이면, 상기 이동가입자에 대한 위치등록을 수행하는 제3단계(ST14)와; 상기 기능이 포트처리이면, 상기 이동가입자에 대한 포트처리를 수행하는 제4단계(ST15 ~ ST19)와; 상기 기능이 가입자 정보 처리이면, 상기 이동가입자에 대한 가입자 정보 처리를 수행하는 제5단계(ST20 ~ ST24)를 수행한다.
상기에서 제4단계(ST15 ~ ST19)는, 상기 기능이 V5.2 포트할당이면, 상기 이동가입자에 대한 V5.2 포트할당을 수행하는 V5.2 포트할당 단계(ST16)와; 상기 기능이 V5.2 포트해제이면, 상기 이동가입자에 대한 V5.2 포트해제를 수행하는 V5.2 포트해제 단계(ST17)와; 상기 기능이 이동에 의한 포트 할당/해제이면, 상기 이동가입자에 대한 이동에 의한 포트 할당/해제를 수행하는 이동에 의한 포트할당/해제 단계(ST18)와; 상기 기능이 가입에 의한 포트할당이면, 상기 이동가입자에 대한 가입에 의한 포트할당을 수행하는 가입에 의한 포트할당 단계(ST19)를 수행한다.
상기에서 제5단계(ST20 ~ ST24)는, 상기 기능이 조회이면, 상기 이동가입자에 대한 가입자 정보조회를 수행하는 가입자 정보조회 단계(ST21)와; 상기 기능이 생성이면, 상기 이동가입자에 대한 가입자 정보생성을 수행하는 가입자 정보생성 단계(ST22)와; 상기 기능이 삭제이면, 상기 이동가입자에 대한 가입자 정보삭제를 수행하는 가입자 정보삭제 단계(ST23)와; 상기 기능이 변경이면, 상기 이동가입자에 대한 가입자 정보변경을 수행하는 가입자 정보변경 단계(ST24)를 수행한다.
상기에서 위치등록하는 제3단계(ST14)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가입자가 위치를 이동하여 위치등록을 기지국(Radio Port, RP)에 요청하면, 상기 기지국은 기지국 제어기(Radio Port Controller, RPC)로 상기 이동가입자의 위치등록 요청을 요구하는 단계(ST31)(ST32)와; 상기 이동가입자의 위치등록 요청을 요구받은 상기 기지국 제어기는 교환기로 V5.2 인터페이스 번호와 가입자 고유의 키 값 및 현재 할당되어 있는 V5.2 계층 3 어드레스를 알리는 단계(ST33)와; 상기 교환기는 상기 기지국 제어기의 요구를 확인하여 상기 이동가입자의 위치등록 정보를 받았음을 상기 기지국 제어기에 통보하는 단계(ST34)(ST35)와; 상기 통보를 받은 기지국 제어기는 상기 교환기에 통보확인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기지국을 통하여 상기 이동 가입자에게 위치등록이 수행되었을 알리는 단계(ST36 ~ ST38)를 수행한다.
상기에서 V5.2 포트할당 단계(ST16)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가입자에 대해 V5.2 포트를 할당하고자 하면, 교환기에서 기지국 제어기로 이동성 정보 메시지인 V5.2 인터페이스 번호인 V5.2 인터페이스 아이디와 V5.2 PSTN 계층 3 어드레스와 가입자 고유의 키 값인 가입자 식별자에 대한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ST41)와; 상기 이동성 정보 메시지에 대한 요구 메시지를 전송받은 상기 기지국 제어기는 V5.2 포트할당을 수행한 다음 상기 교환기로 이동성 정보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와 포트할당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ST42)(ST43)와; 상기 포트할당 확인 메시지를 전송받은 상기 교환기는 V5.2 포트할당을 확인하여 상기 포트할당 확인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 제어기로 전송하는 단계(ST44)를 수행한다.
상기에서 V5.2 포트해제 단계(ST17)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가입자에 대해 V5.2 포트를 해제하고자 하면, 교환기에서 기지국 제어기로 이동성 정보 메시지인 V5.2 인터페이스 아이디와 V5.2 PSTN 계층 3 어드레스와 가입자 식별자를 전송하는 단계(ST45)와; 상기 이동성 정보 메시지를 전송받은 상기 기지국 제어기는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가입자 정보를 삭제하고 상기 교환기로 이동성 정보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와 포트해제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ST46)(ST47)와; 상기 포트해제 확인 메시지를 전송받은 상기 교환기는 V5.2 포트해제를 확인하여 상기 포트해제 확인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 제어기로 전송하는 단계(ST48)를 수행한다.
상기에서 이동에 의한 포트할당/해제 단계(ST18)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에 의한 포트의 할당/해제를 수행하고자 하면, 가입자가 이동한 후에 가입자를 관리하는 이동성 관리부(36)에서 이동성 정보 관리부인 시스템 관리부(37)로 이동에 의한 위치등록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T49)와; 상기 이동에 의한 위치등록정보를 전송받은 시스템 관리부(37)는 데이터베이스의 이동가입자에 대한 위치등록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이동성 관리부(36)로 위치 등록에 대한 인지 통보를 수행하고, 상기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할당하여 V5.2 포트를 할당 메시지를 상기 이동성 관리부(36)로 전송하는 단계(ST50)(ST51)와; 상기 이동성 관리부(36)는 포트 할당에 대한 인지 통보 메시지를 상기 시스템 관리부(37)로 전송하는 단계(ST52)와; 상기 포트 할당에 대한 인지 통보 메시지를 전송받은 시스템 관리부(37)는 상기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해제하여 V5.2 포트를 해제하였다는 메시지를 상기 가입자가 이동하기 전에 가입자를 관리하는 이동성 관리부(36)로 전송하는 단계(ST53)와; 상기 가입자가 이동하기 전에 가입자를 관리하는 이동성 관리부(36)는 포트 할당에 대한 인지를 수행하여 상기 시스템 관리부(37)로 포트 해제에 대한 인지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ST54)를 수행한다.
상기에서 가입에 의한 포트할당 단계(ST19)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입에 의한 포트할당을 수행하고자 하면, 이동성 관리부(36)에서 이동성 정보 관리부인 시스템 관리부(37)로 가입에 의한 위치 등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T55)와; 상기 가입에 의한 위치 등록 정보를 전송받은 시스템 관리부(37)는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 다음 상기 이동성 관리부(36)로 위치 등록에 대한 인지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고,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할당하여 상기 이동성 관리부(36)로 V5.2 할당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ST56)(ST57)와; 상기 위치 등록에 대한 인지 통보 메시지를 전송받은 상기 이동성 관리부(36)는 포트할당에 대한 인지 통보 메시지를 상기 시스템 관리부(37)로 전송하는 단계(ST58)를 수행한다.
상기에서 가입자 정보조회 단계(ST21)는,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가입자에 대해 가입자 정보 조회를 수행하고자 하면, 교환기와 기지국 제어기 간에서 이동성 정보 메시지인 V5.2 인터페이스 아이디와 V5.2 PSTN 계층 3 어드레스와 가입자 식별자에 대한 가입자 정보 조회 명령을 서로간에 전송하는 단계(ST61)와; 상기 이동성 정보 메시지에 대한 요구를 확인하여 응답 메시지를 상기 교환기와 상기 기지국 제어기 간에 서로 전송하는 단계(ST62)와; 상기 이동성 정보 메시지를 상기 교환기와 상기 기지국 제어기 간에 서로 전송하는 단계(ST63)와; 상기 이동성 정보 메시지를 확인하여 응답 메시지를 상기 교환기와 상기 기지국 제어기 간에 서로 전송하는 단계(ST64)를 수행한다.
상기에서 가입자 정보생성 단계(ST22)는,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가입자에 대해 가입자 정보 생성을 수행하고자 하면, 기지국 제어기에서 교환기로 가입자 정보 생성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ST65)와; 상기 가입자 정보 생성 요구 메시지를 전송받은 상기 교환기는 상기 기지국 제어기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고, 가입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생성한 다음 상기 기지국 제어기로 가입자 정보 생성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ST66)(ST67)와; 상기 가입자 정보 생성을 확인한 상기 기지국 제어기는 상기 교환기로 가입자 정보 생성 확인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ST68)를 수행한다.
상기에서 가입자 정보삭제 단계(ST23)는,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가입자에 대해 가입자 정보 삭제를 수행하고자 하면, 기지국 제어기에서 교환기로 가입자 정보 삭제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ST69)와; 상기 가입자 정보 삭제 요구 메시지를 전송받은 상기 교환기는 상기 기지국 제어기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고, 가입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삭제한 다음 상기 기지국 제어기로 가입자 정보 삭제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ST70)(ST71)와; 상기 가입자 정보 삭제를 확인한 상기 기지국 제어기는 상기 교환기로 가입자 정보 삭제 확인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ST72)를 수행한다.
상기에서 가입자 정보변경 단계(ST24)는,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가입자에 대해 가입자 정보 변경을 수행하고자 하면, 기지국 제어기에서 교환기로 가입자 정보 변경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ST73)와; 상기 가입자 정보 변경 요구 메시지를 전송받은 상기 교환기는 상기 기지국 제어기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고, 가입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변경한 다음 상기 기지국 제어기로 가입자 정보 변경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ST74)(ST75)와; 상기 가입자 정보 변경을 확인한 상기 기지국 제어기는 상기 교환기로 가입자 정보 변경 확인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ST76)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통신 시스템의 V5.2 이동성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V5.2 프로토콜 영역에 이동 가입자의 위치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계층 3 영역에 이를 관리하기 위한 이동성 관리부(36)를 추가하여야 한다. 그리고 소프트웨어는 WLL 시스템의 경우 RPC의 호처리보드(CCPU)에 로딩되며, E1 트렁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교환기와 접속을 하게 된다.
그리고 V5.2 이동성 관리부(36)는 고정된 V5.2 포트 번호에 대한 제어를 하는 방법과는 다르기 때문에 콘트롤 프로토콜과 같은 형태의 스택이 적절하다. 교환기와 전송장치는 이동성 정보를 전달하는 MM_CONTROL 메시지와 이 메시지를 대국측에서 정상적으로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MM_CONTROL_ACK 메시지에 의하여 정보를 교환한다.
이러한 이동성 관리부의 주요 정보요소는 도6 내지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등록, V5.2 포트할당, V5.2 포트해제, 이동에 의한 포트할당/해제, 가입에 의한 포트할당, 가입자정보 조회, 가입자정보 생성, 가입자정보 삭제, 가입자정보 변경이 있다.
그래서 위치등록의 경우에,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등록을 수행한다.
즉, 이동가입자가 위치를 이동하여 위치등록을 기지국에 요청하면, 기지국은 기지국 제어기로 이동가입자의 위치등록 요청을 요구하는 메시지(Authentication Request(RPC-RP))를 전송한다. 그리고 이동가입자의 위치등록 요청을 요구받은 기지국 제어기는 교환기로 V5.2 인터페이스 번호와 가입자 고유의 키 값 및 현재 할당되어 있는 V5.2 계층 3 어드레스를 알리도록 MM CONTROL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러면 교환기는 기지국 제어기의 요구를 확인하여 확인 메시지(MM CONTROL ACK)를 전송한다. 또한 MM CONTROL 메시지를 교환기에서 기지국 제어기로 전송하여 위치 등록 확인이 되도록 한다. 그러면 기지국 제어기는 교환기에 통보확인 메시지(MM CONTROL ACK)를 전송하고, 기지국을 통하여 상기 이동 가입자에게 위치등록이 수행되었을 알리는 메시지(Authentication Notify(RPC-RP))를 전송한다.
따라서 이동가입자가 서비스를 받는 영역으로 옮겨가는 경우 V5.2 인터페이스 번호와 고유의 키 값 및 현재 할당되어 있는 V5.2 계층 3 어드레스를 교환기에 알리게 되고, 교환기는 위치 등록 정보를 받았음을 전송장치에게 V5.2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통보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V5.2 포트할당의 경우에,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V5.2 포트할당을 수행한다.
즉, 이동가입자에 대해 V5.2 포트를 할당하고자 하면, 교환기에서 기지국 제어기로 이동성 정보 메시지인 V5.2 인터페이스 번호인 V5.2 인터페이스 아이디(V5.2 Interface ID)와 V5.2 PSTN 계층 3 어드레스(V5.2 PSTN Layer3 address)와 가입자 고유의 키 값인 가입자 식별자(International WLL user Identity (8bytes))에 대한 요구 메시지(MM CONTROL)를 전송한다. 그러면 이동성 정보 메시지에 대한 요구 메시지를 전송받은 기지국 제어기는 V5.2 포트할당을 수행한 다음 교환기로 이동성 정보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MM CONTROL ACK)와 포트할당 확인 메시지(MM CONTROL)를 전송한다. 그리고 포트할당 확인 메시지(MM CONTROL)를 전송받은 교환기는 V5.2 포트할당을 확인하여 포트할당 확인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MM CONTROL ACK)를 기지국 제어기로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교환기는 이동가입자에게 새로운 V5.2 계층 3 번호를 부여하여 가입자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설정하게 되고, 가입자 이동한 영역의 전송장치는 교환기가 부여한 V5.2 계층 3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가입자가 서비스를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설정해주고 이 결과를 교환기에 통보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V5.2 포트해제의 경우에,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V5.2 포트해제를 수행한다.
즉, 이동가입자에 대해 V5.2 포트를 해제하고자 하면, 교환기에서 기지국 제어기로 이동성 정보 메시지인 V5.2 인터페이스 아이디와 V5.2 PSTN 계층 3 어드레스와 가입자 식별자를 전송한다. 그러면 이동성 정보 메시지를 전송받은 기지국 제어기는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가입자 정보를 삭제하고 교환기로 이동성 정보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MM CONTROL ACK)와 포트해제 확인 메시지(MM CONTROL)를 전송한다. 그리고 포트해제 확인 메시지를 전송받은 교환기는 V5.2 포트해제를 확인하여 포트해제 확인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MM CONTROL ACK)를 기지국 제어기로 전송하게 된다.
한편 이동에 의한 포트할당/해제의 경우에,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에 의한 포트할당/해제를 수행한다.
즉, 이동에 의한 포트의 할당/해제를 수행하고자 하면, 가입자가 이동한 후에 가입자를 관리하는 이동성 관리부(Interface A)(36)에서 이동성 정보 관리부인 시스템 관리부(37)로 이동에 의한 위치등록정보(Registration Request)를 전송한다. 그러면 이동에 의한 위치등록정보를 전송받은 시스템 관리부(37)는 데이터베이스의 이동가입자에 대한 위치등록정보를 갱신하고 이동성 관리부(Interface A)(36)로 위치 등록에 대한 인지 통보(Registration Request Notify)를 수행하고,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할당하여 V5.2 포트를 할당 메시지(Port Assign)를 이동성 관리부(36)로 전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동성 관리부(36)는 포트 할당에 대한 인지 통보 메시지(Port Assign Notify)를 시스템 관리부(37)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포트 할당에 대한 인지 통보 메시지를 전송받은 시스템 관리부(37)는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해제하여 V5.2 포트를 해제하였다는 메시지를(Port Cancel) 가입자가 이동하기 전에 가입자를 관리하는 이동성 관리부(Interface B)(36)로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가입자가 이동하기 전에 가입자를 관리하는 이동성 관리부(Interface B)(36)는 포트 할당에 대한 인지를 수행하여 시스템 관리부(37)로 포트 해제에 대한 인지 통보 메시지(Port Cancel Notify)를 전송하게 된다.
한편 가입에 의한 포트할당의 경우에,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입에 의한 포트할당을 수행한다.
즉, 가입에 의한 포트할당을 수행하고자 하면, 이동성 관리부(36)에서 이동성 정보 관리부인 시스템 관리부(37)로 가입에 의한 위치 등록 정보(Registration Request)를 전송한다. 그러면 가입에 의한 위치 등록 정보를 전송받은 시스템 관리부(37)는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 다음 이동성 관리부(36)로 위치 등록에 대한 인지 통보 메시지(Registration Request Notify)를 전송하고,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할당하여 이동성 관리부(36)로 V5.2 할당 메시지(Port Assign)를 전송하게 된다. 그래서 위치 등록에 대한 인지 통보 메시지를 전송받은 이동성 관리부(36)는 포트할당에 대한 인지 통보 메시지(Port Assign Notify)를 시스템 관리부(37)로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 가입자가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교환기와 전송 장치 모두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V5.2 인터페이스 번호, 계층 3 어드레스 및 가입자 고유의 키 값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데, 새로운 가입자의 정보추가 요구는 전송 장치 측에서 교환기 측으로 전달하는 방식이 된다. 그래서 가입자 정보를 추가한 교환기는 가입자의 위치등록시 전송 장치에게 새로운 V5.2 포트 설정 명령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가입자정보 조회의 경우에,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입자의 정보 조회를 수행한다.
즉, 이동가입자에 대해 가입자 정보 조회를 수행하고자 하면, 교환기와 기지국 제어기 간에서 이동성 정보 메시지(MM CONTROL)인 V5.2 인터페이스 아이디와 V5.2 PSTN 계층 3 어드레스와 가입자 식별자에 대한 가입자 정보 조회 명령을 서로간에 전송하고, 이동성 정보 메시지에 대한 요구를 확인하여 응답 메시지(MM CONTROL ACK)를 교환기와 기지국 제어기 간에 서로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가입자 정보인 V5.2 interface ID, V5.2 PSTN Layer 3 Address, Registration Status, International WLL User Identify (8bytes), WLL Access Secrete Key (4bytes), WLL Subscription ID (4bytes), Port Information Service Rate 등의 정보를 서로 간에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MM CONTROL ACK)를 서로 교환기와 기지국 제어기 간에서 서로 확인하여 가입자 정보 조회를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가입자정보 생성의 경우에,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입자의 정보 생성을 수행한다.
즉, 이동가입자에 대해 가입자 정보 생성을 수행하고자 하면, 기지국 제어기에서 교환기로 가입자 정보 생성 요구 메시지(MM CONTROL)를 전송하면, 교환기는 기지국 제어기로 응답 메시지(MM CONTROL ACK)를 전송하고, 가입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생성한 다음 기지국 제어기로 가입자 정보 생성 확인 메시지(MM CONTROL)를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가입자 정보 생성을 확인한 기지국 제어기는 교환기로 가입자 정보 생성 확인에 대한 응답 메시지(MM CONTROL ACK)를 전송하여 가입자 정보 생성을 종료하게 된다.
한편 가입자정보 삭제의 경우에,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입자의 정보 삭제를 수행한다.
즉, 이동가입자에 대해 가입자 정보 삭제를 수행하고자 하면, 기지국 제어기에서 교환기로 가입자 정보 삭제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고, 교환기는 기지국 제어기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리고 교환기는 가입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삭제한 다음 기지국 제어기로 가입자 정보 삭제 확인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래서 가입자 정보 삭제를 확인한 기지국 제어기는 교환기로 가입자 정보 삭제 확인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전송장치에서 이동가입자의 서비스를 해지하게 위해서는 V5.2 인터페이스 번호, 계층 3 어드레스 및 가입자 고유의 키 값을 교환기에 알려야 되고, 교환기에서는 도9에 도시된 이동에 의한 포트 할당/해제(ST18)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가입자정보 변경의 경우에,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입자의 정보 변경을 수행한다.
즉, 이동가입자에 대해 가입자 정보 변경을 수행하고자 하면, 기지국 제어기에서 교환기로 가입자 정보 변경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고, 교환기는 기지국 제어기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고, 가입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변경한 다음 기지국 제어기로 가입자 정보 변경 확인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래서 기지국 제어기는 교환기로 가입자 정보 변경 확인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어 가입자 정보를 변경하게 되는 것이다.
나아가 도15는 교환기측의 이동성 관리부의 이동성 관리 프로토콜에 의한 상태천이를 보인 표이다.
그래서 교환기 측의 이동성 관리부 계층 3 FSM(Finite State Machine)은 V5.2 시스템 관리부(37)와의 인터페이스(MDU_start_traffic, MDU_stop_traffic), 전송장치 측으로부터 받은 계층 프로토콜 메시지(MM CONTROL ACK), 시스템 가입자 관리부와의 인터페이스(FE or saved FE) 및 타이머 인터페이스(Timeout TM01)로 구성된다.
도16은 도4에서 전송장치측의 이동성 관리부의 이동성 관리 프로토콜에 의한 상태천이를 보인 표이다.
그래서 전송장치 측의 이동성 관리부는 교환기의 이동성 관리부와 대응되는 상태 천이도로 구성된다.
도17은 도4에서 교환기측의 이동성 관리부의 프리미티브 테이블이다.
여기서 프리미티브 테이블이란 프로토콜 내부에서 블록간에 주고받는 이벤트를 정리한 테이블이다. 그래서 교환기 내부의 이동성 가입자 관리 모듈(AP), V5.2 프로토콜의 이동성 관리부(MM) 및 V5.2 시스템 관리부(SYS) 영역과의 인터페이스 프리미티브로 크게 구분할 수 있으며, 프로토콜 상의 메시지 재전송을 위한 타이머 관리부와의 인터페이스도 부가적으로 필요하다.
도18은 도4에서 전송장치측의 이동성 관리부의 프리미티브 테이블이다.
그래서 전송장치 내의 이동성 가입자 관리 모듈(AP), V5.2 프로토콜의 이동성 관리부(MM) 및 V5.2 시스템 관리부(SYS) 영역과의 인터페이스 프리미티브로 크게 구분할 수 있으며, 프로토콜 상의 메시지 재전송을 위한 타이머 관리부와의 인터페이스도 부가적으로 필요하다.
한편 도19 내지 도24는 본 발명 V5.2 이동성 관리에 의한 가입자 정보의 흐름을 보인 블록구성도이다.
그래서 도19는 RPOM(Radio Port Operation & Maintenance Center, 기지국 운용 장치)과 교환기에 WLL 가입자 정보를 동시에 전달하는 것을 보인 것으로, 가입자는 "어느 곳에서나" 가입이 가능하다는 전제에서 가입자 정보의 흐름을 보인 것이다.
또한 도20은 RPOM과 교환기에 WLL 가입자 정보를 동시에 전달하는 것을 보인 것으로, 가입자는 망관리 센터에서 지정한 영역(RPC)에서 가입을 시도할 경우의 가입자 정보의 흐름을 보인 것이다.
또한 도21은 RPOM을 이용하여 WLL 가입자 정보를 교환기에 전달하는 것을 보인 것으로, 가입자는 "어느 곳에서나" 가입이 가능하다는 전제하에서의 가입자 정보의 흐름을 보인 것이다.
또한 도22는 RPOM을 이용하여 WLL 가입자 정보를 교환기에 전달하는 것을 보인 것으로, 가입자는 망관리 센터에서 지정한 영역(RPC)에서 가입을 시도한다는 전제하에서 가입자 정보가 처리되는 흐름을 보인 것이다.
또한 도23은 RPC를 이용하여 WLL 가입자 정보를 교환기에 전달하는 방법을 보인 것으로, 가입자는 망관리센터에서 지정한 영역(RPC)에서 가입을 시도한다는 전제하에서의 가입자 정보 처리를 보인 것이다.
또한 도24는 교환기를 이용하여 WLL 가입자 정보를 RPC에 전달하는 것을 보인 것으로, 가입자는 망관리센터에서 지정한 영역(RPC)에서 가입을 시도한다는 전제하에서 가입자 정보가 처리되는 것을 보인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국제 규격인 V5.2 인터페이스(ETS 300-324-1, ETS 300-347-1)에 이동성을 위한 스택을 생성함으로써 고정형 무선 가입자 망에서 이동형 무선 가입자 망으로 시스템의 변화가 이루어질 경우 가입자의 이동성 정보를 교환기에 전달하여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프로토콜 차원의 기능 보완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즉, 유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응용하여 이동성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유선 가입자에서 무선 가입자로의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통신 시스템의 V5.2 이동성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은 이동성 관리부를 V5.2 프로토콜 영역에 생성함으로써 고정형 가입자를 위한 인터페이스가 이동가입자에 대한 서비스 확장시 가입자 위치 정보를 교환기에 전달함으로써 이동 가입자의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9)

  1. LAPV5-EF와; LAPV5-DL와; PSTN부와, 콘트롤부와, BCC부와, 보호부와, 링크제어부로 이루어진 계층 3 부분을 구비한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계층 3 부분은,
    가입자가 이동하는 경우 위치등록과 포트설정과 가입자 정보 처리를 수행하는 이동성 관리부와;
    상기 이동성 관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 매니저와;
    상기 이동성 관리부에 타이밍 기능을 제공하는 타이머와;
    상기 이동성 관리부에서 동작할 소프트웨어를 처리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처리부를 더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V5.2 이동성 관리 장치.
  2. 이동성 관리부의 프로토콜을 설정하는 제1단계와;
    상기 프로토콜을 설정한 다음 상기 이동성 관리부의 프리미티브에 대한 메시지와 타이머를 설정하고 이동가입자에 대해 어떤 기능을 수행할 지 판별하는 제2단계와;
    상기 기능이 위치등록이면, 상기 이동가입자에 대한 위치등록을 수행하는 제3단계와;
    상기 기능이 포트처리이면, 상기 이동가입자에 대한 포트처리를 수행하는 제4단계와;
    상기 기능이 가입자 정보 처리이면, 상기 이동가입자에 대한 가입자 정보 처리를 수행하는 제5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V5.2 이동성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기능이 V5.2 포트할당이면, 상기 이동가입자에 대한 V5.2 포트할당을 수행하는 V5.2 포트할당 단계와;
    상기 기능이 V5.2 포트해제이면, 상기 이동가입자에 대한 V5.2 포트해제를 수행하는 V5.2 포트해제 단계와;
    상기 기능이 이동에 의한 포트 할당/해제이면, 상기 이동가입자에 대한 이동에 의한 포트 할당/해제를 수행하는 이동에 의한 포트할당/해제 단계와;
    상기 기능이 가입에 의한 포트할당이면, 상기 이동가입자에 대한 가입에 의한 포트할당을 수행하는 가입에 의한 포트할당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V5.2 이동성 관리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는,
    상기 기능이 조회이면, 상기 이동가입자에 대한 가입자 정보조회를 수행하는 가입자 정보조회 단계와;
    상기 기능이 생성이면, 상기 이동가입자에 대한 가입자 정보생성을 수행하는 가입자 정보생성 단계와;
    상기 기능이 삭제이면, 상기 이동가입자에 대한 가입자 정보삭제를 수행하는 가입자 정보삭제 단계와;
    상기 기능이 변경이면, 상기 이동가입자에 대한 가입자 정보변경을 수행하는 가입자 정보변경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V5.2 이동성 관리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등록하는 제3단계는,
    상기 이동가입자가 위치를 이동하여 위치등록을 기지국에 요청하면, 상기 기지국은 기지국 제어기로 상기 이동가입자의 위치등록 요청을 요구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가입자의 위치등록 요청을 요구받은 상기 기지국 제어기는 교환기로 V5.2 인터페이스 번호와 가입자 고유의 키 값 및 현재 할당되어 있는 V5.2 계층 3 어드레스를 알리는 단계와;
    상기 교환기는 상기 기지국 제어기의 요구를 확인하여 상기 이동가입자의 위치등록 정보를 받았음을 상기 기지국 제어기에 통보하는 단계와;
    상기 통보를 받은 기지국 제어기는 상기 교환기에 통보확인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기지국을 통하여 상기 이동 가입자에게 위치등록이 수행되었을 알리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V5.2 이동성 관리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V5.2 포트할당 단계는,
    상기 이동가입자에 대해 V5.2 포트를 할당하고자 하면, 교환기에서 기지국 제어기로 이동성 정보 메시지인 V5.2 인터페이스 번호인 V5.2 인터페이스 아이디와 V5.2 PSTN 계층 3 어드레스와 가입자 고유의 키 값인 가입자 식별자에 대한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성 정보 메시지에 대한 요구 메시지를 전송받은 상기 기지국 제어기는 V5.2 포트할당을 수행한 다음 상기 교환기로 이동성 정보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와 포트할당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포트할당 확인 메시지를 전송받은 상기 교환기는 V5.2 포트할당을 확인하여 상기 포트할당 확인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 제어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V5.2 이동성 관리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V5.2 포트해제 단계는,
    상기 이동가입자에 대해 V5.2 포트를 해제하고자 하면, 교환기에서 기지국 제어기로 이동성 정보 메시지인 V5.2 인터페이스 아이디와 V5.2 PSTN 계층 3 어드레스와 가입자 식별자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성 정보 메시지를 전송받은 상기 기지국 제어기는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가입자 정보를 삭제하고 상기 교환기로 이동성 정보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와 포트해제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포트해제 확인 메시지를 전송받은 상기 교환기는 V5.2 포트해제를 확인하여 상기 포트해제 확인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 제어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V5.2 이동성 관리 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에 의한 포트할당/해제 단계는,
    이동에 의한 포트의 할당/해제를 수행하고자 하면, 가입자가 이동한 후에 가입자를 관리하는 이동성 관리부에서 이동성 정보 관리부인 시스템 관리부로 이동에 의한 위치등록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에 의한 위치등록정보를 전송받은 시스템 관리부는 데이터베이스의 이동가입자에 대한 위치등록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이동성 관리부로 위치 등록에 대한 인지 통보를 수행하고, 상기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할당하여 V5.2 포트를 할당 메시지를 상기 이동성 관리부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성 관리부는 포트 할당에 대한 인지 통보 메시지를 상기 시스템 관리부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포트 할당에 대한 인지 통보 메시지를 전송받은 시스템 관리부는 상기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해제하여 V5.2 포트를 해제하였다는 메시지를 상기 가입자가 이동하기 전에 가입자를 관리하는 이동성 관리부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가입자가 이동하기 전에 가입자를 관리하는 이동성 관리부는 포트 할당에 대한 인지를 수행하여 상기 시스템 관리부로 포트 해제에 대한 인지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V5.2 이동성 관리 방법.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에 의한 포트할당 단계는,
    가입에 의한 포트할당을 수행하고자 하면, 이동성 관리부에서 이동성 정보 관리부인 시스템 관리부로 가입에 의한 위치 등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가입에 의한 위치 등록 정보를 전송받은 시스템 관리부는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 다음 상기 이동성 관리부로 위치 등록에 대한 인지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고,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할당하여 상기 이동성 관리부로 V5.2 할당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 등록에 대한 인지 통보 메시지를 전송받은 상기 이동성 관리부는 포트할당에 대한 인지 통보 메시지를 상기 시스템 관리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V5.2 이동성 관리 방법.
KR1019990051197A 1999-11-18 1999-11-18 통신 시스템의 브이5.2 이동성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0100471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1197A KR20010047124A (ko) 1999-11-18 1999-11-18 통신 시스템의 브이5.2 이동성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1197A KR20010047124A (ko) 1999-11-18 1999-11-18 통신 시스템의 브이5.2 이동성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7124A true KR20010047124A (ko) 2001-06-15

Family

ID=19620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1197A KR20010047124A (ko) 1999-11-18 1999-11-18 통신 시스템의 브이5.2 이동성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471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3707B1 (ko) * 2004-12-11 2006-11-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합형 기지국의 이동성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3707B1 (ko) * 2004-12-11 2006-11-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합형 기지국의 이동성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38288B2 (ja) パーソナル通信サービスシステムにおけるスイッチ間委譲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と装置
FI109169B (fi) Kontrollisignalointien järjestäminen tietoliikennejärjestelmässä
JP2757515B2 (ja) 全国的に移動可能な能力を有する中継通信システム
US5905954A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ring subscriber information in a radio telecommunications network
JP2003530043A (ja) 移動局によるパケット交換ページの受信を可能にするための方法
JPH0856378A (ja) 移動体パケット通信方式
JP2003530018A (ja) 移動局の回線交換ページの受信を可能にするための方法
JP3256414B2 (ja) パーソナル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認証情報の一時蓄積
JPH1188934A (ja) 呼出しのルート割当て制御方法及び通信端末
JP3188249B2 (ja) 移動局交換機の位置登録要求方法
EP0690647A2 (en) An authentication hierarchical structure of switching nodes for storage of authentication information
GB2282510A (en) A data network
JP3310205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
KR20010047124A (ko) 통신 시스템의 브이5.2 이동성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JP2910655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
JP3444068B2 (ja) 移動通信ネットワークおよび通信制御方法
KR100282569B1 (ko) 이동 비동기 전달방식 가상채널 교환기에서의 보류 호 처리방법
JP3142000B2 (ja) 移動通信回線制御方式
JP2859902B2 (ja) 移動通信追跡接続制御方式
JPH08186605A (ja) 移動パケット通信方法
KR100233915B1 (ko) 개인 이동 통신 교환기에서의 호 대기 처리 방법
KR19990053162A (ko)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자국 호 제어 방법
JPH08307943A (ja) 認証処理方式
KR100274160B1 (ko) 발신전용 ct-2의 접착신 호처리 방법
KR20000021554A (ko) 무선 가입자 선로망 가입자의 교환기 간 로밍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