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6824A - 자중을 이용하여 쉽게 접합하는 대형 상, 하수 관 및 그접합방법 - Google Patents

자중을 이용하여 쉽게 접합하는 대형 상, 하수 관 및 그접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6824A
KR20010046824A KR1019990050741A KR19990050741A KR20010046824A KR 20010046824 A KR20010046824 A KR 20010046824A KR 1019990050741 A KR1019990050741 A KR 1019990050741A KR 19990050741 A KR19990050741 A KR 19990050741A KR 20010046824 A KR20010046824 A KR 200100468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induction
guide device
pip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0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8782B1 (ko
Inventor
구경미
Original Assignee
구경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경미 filed Critical 구경미
Priority to KR1019990050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8782B1/ko
Priority to KR2020000004610U priority patent/KR200190268Y1/ko
Publication of KR20010046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6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8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87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형 상, 하수 관 및 그 접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관의 양쪽 끝단부에 접합유도장치A(1), 접합유도장치B(2), 접합유도장치C(3), 접합유도장치D(4), 접합유도장치E(5), 접합유도장치F(6), 연결구멍(7), 연결단(8)을 형성한 것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관(16)의 연결단(8)에 고무링(9)을 끼운 후 기중기로 들어 접합유도장치D(4)의 연결쇠(4a)를 접합할 관(17)의 접합유도장치A(1)에 걸고 관의 자중(自重)을 이용해 지면에 서서히 안착시켜 접합하는 방법과 접합유도장치A(1)의 위치에 상기 접합유도장치B와 구조가 같은 접합유도장치G(10)를 형성하고 접합유도장치B(2)와 접합유도장치C(3)의 위치에는 가이드 홈(11a와 12a)이 형성되어 있는 접합유도장치H(11)와 접합유도장치I(12)를 각각 형성하며, 접합유도장치D의 위치에는 접합유도장치J를 형성하고, 접합유도장치E(5)와 접합유도장치F(6)의 위치에는 가이드 축(14a와 15a)이 형성되어 있는 접합유도장치K(14)와 접합유도장치L(15)을 형성하여 연결하고자 하는 관(16)의 접합유도장치K(14)와 접합유도장치L(15)에 형성된 가이드 축(14a와 15a)을 접합할 관(17)의 접합유도장치H(11)와 접합유도장치I(12)에 형성된 가이드 홈(11a와 12a)에 각각 끼운 후 지면에 서서히 안착시킴으로써 접합하는 자중(自重)을 이용하여 쉽게 접합하는 대형 상하수 관 및 그 접합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중을 이용하여 쉽게 접합하는 대형 상, 하수 관 및 그 접합방법{The method to join a big pipe to another by it's gravity}
본 발명은 대형 상, 하수 관 및 그 접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관의 양쪽 끝단부에 접합유도장치를 형성하여 관을 부설하기 위하여 관을 접합할 때 관의 자중(自重)을 이용해 쉽게 접합하고 접합, 부설된 상태에서는 오랫동안 견고한 밀폐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대형 상, 하수 관 및 그 접합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대형 하수 관은 원통형의 몰드 내부에 원형철선을 장착한 후 회전롤러에 얹어 원심력을 갖게하고 내부에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분사함으로써 원심력을 이용하여 원형으로 성형한 후 습식 건조방법에 의하여 급결시켜 완성한 원심력 철근 콘크리트관과 원통형의 몰드에 진동을 가하면서 콘크리트를 주입함으로써 제작한 VR관을 주로 사용하며, 상수 관은 하수 관과 구조가 같은 주철관이나 강관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관을 부설할 때는 관이 무거우므로 기중기를 이용하여 관을 들어올린 후 관의 말구를 연결하고자 하는 관의 입구부분에 근접시키면 여러 명의 인부가 상기 관의 소켓부분을 입구부분에 밀어 넣거나 부속을 연결하여 접합하는데 이는 많은 인력과 시간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 최근에는 밀폐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 하수 관 접합부에 고무링이나 수밀팩을 끼우고 윤활제를 도포한 후 정확히 삽입하여 접합하다보니 작업이 더욱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접합, 부설되었다 하더라도 지반이 가라앉는 등의 조건으로 밀폐상태를 오랫동안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여 쉽게 접합할 수 있고 접합, 부설된 후에는 밀폐상태를 오랫동안 유지하는 대형 상, 하수 관과 그 접합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양쪽 끝단부에 접합유도장치와 연결단과 연결구멍을 형성한 대형 상, 하수 관을 만들고 연결단에 고무링을 끼워 넣은 후 관의 자중(自重)을 이용하여 대형 상, 하수 관을 접합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상, 하수 관을 위에서부터 접합하는 상태의 개략도
도 2는 도 1의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상, 하수 관을 아래에서부터 접합하는 상태의 개략도
도 4는 도 3의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상, 하수 관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도 5의 좌측면도
도 7은 도 5의 우측면도
도 8은 도 5의 A부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접합유도장치A가 형성된 상태의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접합유도장치D가 형성된 상태의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접합유도장치D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접합유도장치B가 형성된 상태의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이용되고 스프링으로서 판 스프링을 적용한 접합유도장치E와 접합유도장치F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접합유도장치E가 형성된 상태의 개략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접합유도장치H가 형성된 상태의 개략도
도 16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접합유도장치K가 형성된 상태의 개략도
도 17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접합유도장치G가 형성된 상태의 개략도
도 18은 접합유도장치D의 하부에 철근이 용접된 상태의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접합유도장치A 1a. 입구
1b. 연결쇠 삽입 홈 1c. 연결쇠 가이드 홈
2. 접합유도장치B 2a, 3a. 고정쇠 삽입 홈
2b, 3b. 입구 3. 접합유도장치C
4. 접합유도장치D 4a. 연결쇠
4b. 몸체 4c. 덮개
4d. 회전홈 4e. 회전축 홈
5. 접합유도장치E 5a, 6a. 고정쇠
5b. 몸체 5c. 스프링
5d. 회전홈
6. 접합유도장치F 7. 연결구멍
8. 연결단 9. 고무링
10. 접합유도장치G 11. 접합유도장치H
11a, 12a. 가이드 홈 12. 접합유도장치I
13. 접합유도장치J 14. 접합유도장치K
14a, 15a. 가이드 축 15. 접합유도장치L
16. 연결하고자 하는 관 17. 접합할 관
본 발명의 상, 하수 관을 접합, 부설할 때는 도1과 도2에서와 같이 연결하고자 하는 관(16)의 연결단(8)에 고무링(9)을 끼운 후 기중기로 들어 접합유도장치D(4)의 연결쇠(4a)를 접합할 관(15) 입구의 접합유도장치A(1)에 걸고 자중(自重)을 이용해 지면에 서서히 안착시키면 고무링(9)이 압축되는 동시에 접합유도장치E(5)와 접합유도장치F(6)의 고정쇠(5a와 6a)가 각각 접합유도장치B(2)와 접합유도장치C(3)의 입구(2b, 3b)로 들어와 경사면을 따라 올라가게 되고 스프링(5c)의 탄력에 의하여 고정쇠 삽입 홈(2a, 3a)에 들어가게 되어 쉽게 풀리지 않도록 체결되고 관은 접합된다. 즉 접합할 관(17)의 접합유도장치A(1)에 연결하고자 하는 관(16)의 접합유도장치D(4)가 위(접합유도장치A(1))로부터 연결되어 지면에 안착되면서 관이 접합되고 접합유도장치B(2)와 접합유도장치C(3)에 상응되는 접합유도장치E(5)와 접합유도장치F(6)가 각각 체결되는 동시에 관은 완전 접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연결하고자 하는 관(16)은 접합할 관(17)의 위로부터 접합하여 부설할 수도 있지만 접합할 관(17)의 밑에서부터 접합할 수도 있는 바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도 2, 도 3, 도4에서와 같이 상기 접합유도장치A(1)의 위치에 상기 접합유도장치B(2)와 구조가 같은 접합유도장치G(10)를 형성하고 접합유도장치B(2)와 접합유도장치C(3)의 위치에는 가이드 홈(11a와 12a)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접합유도장치H(11)와 접합유도장치I(12)를 형성하며 접합유도장치D(4)의 위치에는 접합유도장치D(4)와 구조가 같은 접합유도장치J(13)를 형성하고 접합유도장치E(5)와 접합유도장치F(6)의 위치에는 가이드 축(14a와 15a)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접합유도장치K(14)와 접합유도장치L(15)을 형성하여 연결하고자 하는 관(16)의 접합유도장치K(14)와 접합유도장치L(15)에 형성된 가이드 축(14a와 15a)을 접합할 관(17)의 접합유도장치H(11)와 접합유도장치I(12)에 형성된 가이드 홈(11a와 12a)에 각각 끼운 후 지면에 안착시킴으로써 관을 밑(접합유도장치H(11)와 접합유도장치I(12))에서부터 접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상, 하수 관을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 하수 관은 도 5에서와 같이 양쪽 끝단부에 각각 3개씩 형성된 접합유도장치A(1), 접합유도장치B(2), 접합유도장치C(3), 접합유도장치D(4), 접합유도장치E(5), 접합유도장치F(6)와 연결구멍(7)과 연결단(8)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접합유도장치A(1)는 도 9와 같이 입구(1a)가 나팔관 형태로 되어 있고 연결쇠 삽입 홈(1b)과 연결쇠 가이드 홈(1c)이 형성되어 있는데 연결쇠 가이드 홈(1c)의 너비는 연결쇠(4a)의 직경보다 1mm정도 큰 구조로서 상, 하수 관에는 로프를 걸어 기중기로 들수 있도록 뒷부분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접합유도장치B(2)와 접합유도장치C(3)는 도 12에서와 같이 양측면이 막힌 사각형태로서 고정쇠 삽입 홈(2a)이 형성되어 있고 입구(2b)부분이 경사지도록 되어 있으며, 접합유도장치D(4)는 도 10과 도 11에서와 같이 연결쇠(4a)와 몸체(4b)와 덮개(4c)와 덮개로 구성되어 있는데 몸체(4b)에는 연결쇠(4a)가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는 회전홈(4d)과 회전축 홈(4e)이 형성되어 있어 몸체(4b)의 회전축 홈(4e)에 연결쇠(4a)가 끼워져 있고 덮개(4c)가 용접되어 있으며, 접합유도장치E(5)와 접합유도장치F(6)는 도 13과 도 14에서와 같이 고정쇠(5a)와 몸체(5b)와 스프링(5c)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몸체(5b)에는 고정쇠(5a)가 회전할 수 있는 회전홈(5d)이 형성되어 있어 몸체(5b)의 회전홈(5d)에 고정쇠(5a)가 끼워져 있고 스프링(5c)이 결합되어 있으며, 접합유도장치A(1), 접합유도장치B(2), 접합유도장치C(3)가 형성된 방향의 관 내측에는 연결구멍(7)이 형성 되어 있고 접합유도장치D(4), 접합유도장치E(5), 접합유도장치F(6)가 형성된 방향의 관 내측에는 연결단(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 하수 관에 접합유도장치A(1), 접합유도장치B(2), 접합유도장치C(3), 접합유도장치D(4), 접합유도장치E(5), 접합유도장치F(6)를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재질이 시멘트나 합성수지로 된 상, 하수 관의 경우는 금형에 접합유도장치A(1), 접합유도장치B(2), 접합유도장치C(3), 접합유도장치D(4), 접합유도장치E(5), 접합유도장치F(6)를 착탈(着脫) 가능하도록 장착한 후 통상의 상, 하수 관 제작방법을 통하여 상, 하수관을 제작함으로써 접합유도장치A(1), 접합유도장치B(2), 접합유도장치C(3), 접합유도장치D(4), 접합유도장치E(5), 접합유도장치F(6)를 형성하되 견고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도 18과 같이 접합유도장치A(1), 접합유도장치B(2), 접합유도장치C(3), 접합유도장치D(4), 접합유도장치E(5), 접합유도장치F(6)의 하부에 철근을 용접한 후 금형에 장착하고 주철재 상, 하수 관의 경우는 통상의 방법을 통해 상, 하수 관을 제작한 후 접합유도장치A(1), 접합유도장치B(2), 접합유도장치C(3), 접합유도장치D(4), 접합유도장치E(5), 접합유도장치F(6)를 용접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합유도장치A(1), 접합유도장치B(2), 접합유도장치C(3), 접합유도장치D(4), 접합유도장치E(5), 접합유도장치F(6) 등은 철재일 수도 있지만 플라스틱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관의 양쪽 끝단부에 접합유도장치(접합유도장치A 등)를 형성하여 관의 큰 자중(自重)을 역이용해 대형 상, 하수관을 접합하므로 쉽게 관을 접합할 수 있고 인건비와 공사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연결단에 고무링을 끼우고 이 고무링을 관의 자중으로 눌러 견고한 밀폐상태를 유지하며 또한 접합유도장치(접합유도장치A 등)는 관이 연결, 설치된 이후에 지반이 가라앉는 등의 조건으로 관의 접합상태가 쉽게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오랫동안 견고한 밀폐상태를 유지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Claims (4)

  1. 대형 상, 하수 관에 있어서, 양쪽 끝단부에 각각 3개씩 형성된 접합유도장치A(1), 접합유도장치B(2), 접합유도장치C(3), 접합유도장치D(4), 접합유도장치E(5), 접합유도장치F(6)와 연결구멍(7)과 연결단(8)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접합유도장치A(1)는 입구(1a)가 나팔관 형태로 되어 있고 연결쇠 삽입 홈(1b)과 연결쇠 가이드 홈(1c)이 형성되어 있는데 연결쇠 가이드 홈(1c)의 너비는 연결쇠(4a)의 직경보다 1mm정도 큰 구조로서 상, 하수 관에는 뒷부분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접합유도장치B(2)와 접합유도장치C(3)는 양측면이 막힌 사각형태로서 고정쇠 삽입 홈(2a)이 형성되어 있고 입구(2b)부분이 경사지도록 되어 있으며, 접합유도장치D(4)는 연결쇠(4a)와 몸체(4b)와 덮개(4c)와 덮개로 구성되어 있는데 몸체(4b)에는 연결쇠(4a)가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는 회전홈(4d)과 회전축 홈(4e)이 형성되어 있어 몸체(4b)의 회전축 홈(4e)에 연결쇠(4a)가 끼워져 있고 덮개(4c)가 용접되어 있으며, 접합유도장치E(5)와 접합유도장치F(6)는 고정쇠(5a)와 몸체(5b)와 스프링(5c)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몸체(5b)에는 고정쇠(5a)가 회전할 수 있는 회전홈(5d)이 형성되어 있어 몸체(5b)의 회전홈(5d)에 고정쇠(5a)가 끼워져 있고 스프링(5c)이 결합되어 있으며, 접합유도장치A(1), 접합유도장치B(2), 접합유도장치C(3)가 형성된 방향의 관 내측에는 연결구멍(7)이 형성되어 있고 접합유도장치D(4), 접합유도장치E(5), 접합유도장치F(6)가 형성된 방향의 관 내측에는 연결단(8)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중을 이용하여 쉽게 접합하는 대형 상, 하수 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유도장치A(1)의 위치에 상기 접합유도장치B(2)와 구조가 같은 접합유도장치G(10)를 형성하고 접합유도장치B(2)와 접합유도장치C(3)의 위치에는 가이드 홈(11a와 12a)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접합유도장치H(11)와 접합유도장치I(12)를 형성하며 접합유도장치D(4)의 위치에는 접합유도장치D(4)와 구조가 같은 접합유도장치J(13)를 형성하고 접합유도장치E(5)와 접합유도장치F(6)의 위치에는 가이드 축(14a와 15a)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접합유도장치K(14)와 접합유도장치L(15)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중을 이용하여 쉽게 접합하는 대형 상, 하수 관.
  3. 대형 상, 하수 관을 접합하는 방법에 있어서, 양쪽 끝단부에 각각 3개씩 형성된 접합유도장치A(1), 접합유도장치B(2), 접합유도장치C(3), 접합유도장치D(4), 접합유도장치E(5), 접합유도장치F(6)와 연결구멍(7)과 연결단(8)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접합유도장치A(1)는 도 9와 같이 입구(1a)가 나팔관 형태로 되어 있고 연결쇠 삽입 홈(1b)과 연결쇠 가이드 홈(1c)이 형성되어 있는데 연결쇠 가이드 홈(1c)의 너비는 연결쇠(4a)의 직경보다 1mm정도 큰 구조로서 상, 하수 관에는 뒷부분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접합유도장치B(2)와 접합유도장치C(3)는 도 12에서와 같이 양측면이 막힌 사각형태로서 고정쇠 삽입 홈(2a)이 형성되어 있고 입구(2b)부분이 경사지도록 되어 있으며, 접합유도장치D(4)는 도 10과 도 11에서와 같이 연결쇠(4a)와 몸체(4b)와 덮개(4c)와 덮개로 구성되어 있는데 몸체(4b)에는 연결쇠(4a)가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는 회전홈(4d)과 회전축 홈(4e)이 형성되어 있어 몸체(4b)의 회전축 홈(4e)에 연결쇠(4a)가 끼워져 있고 덮개(4c)가 용접되어 있으며, 접합유도장치E(5)와 접합유도장치F(6)는 도 13과 도 14에서와 같이 고정쇠(5a)와 몸체(5b)와 스프링(5c)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몸체(5b)에는 고정쇠(5a)가 회전할 수 있는 회전홈(5d)이 형성되어 있어 몸체(5b)의 회전홈(5d)에 고정쇠(5a)가 끼워져 있고 스프링(5c)이 결합되어 있으며, 접합유도장치A(1), 접합유도장치B(2), 접합유도장치C(3)가 형성된 방향의 관 내측에는 연결구멍(7)이 형성되어 있고 접합유도장치D(4), 접합유도장치E(5), 접합유도장치F(6)가 형성된 방향의 관 내측에는 연결단(8)이 형성되어 있는 접합할 관(17)과 연결하고자 하는 관(16)을 접합할 수 있도록 연결하고자 하는 관(16)의 연결단(8)에 고무링(9)을 끼운 후 연결하고자 하는 관(16)을 기중기로 들어 접합유도장치D(4)의 연결쇠(4a)를 접합할 관(17) 입구의 접합유도장치A(1)에 걸고 관의 자중(自重)을 이용해 지면에 서서히 안착시켜 접합유도장치E(5)와 접합유도장치F(6)의 고정쇠(5a와 6a)가 각각 접합유도장치B(2)와 접합유도장치C(3)의 입구(2b, 3b)로 들어와 경사면을 따라 올라간 후 스프링(5c)의 탄력에 의해 고정쇠 삽입 홈(2a와 3a)에 들어가게 하여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중을 이용하여 쉽게 접합하는 대형 상, 하수 관의 접합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유도장치A(1)의 위치에 상기 접합유도장치B(2)와 구조가 같은 접합유도장치G(10)를 형성하고 접합유도장치B(2)와 접합유도장치C(3)의 위치에는 가이드 홈(11a와 12a)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접합유도장치H(11)와 접합유도장치I(12)를 형성하며 접합유도장치D(4)의 위치에는 접합유도장치D(4)와 구조가 같은 접합유도장치J(13)를 형성하고 접합유도장치E(5)와 접합유도장치F(6)의 위치에는 가이드 축(14a와 15a)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접합유도장치K(14)와 접합유도장치L(15)을 형성하여 연결하고자 하는 관(16)의 접합유도장치K(14)와 접합유도장치L(15)에 형성된 가이드 축(14a, 15a)을 접합할 관(17)의 접합유도장치H(11)와 접합유도장치I(12)에 형성된 가이드 홈(11a, 12a)에 끼운 후 지면에 안착시킴으로써 관을 밑(접합유도장치H(11)와 접합유도장치I(12))에서부터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중을 이용하여 쉽게 접합하는 대형 상, 하수 관의 접합방법.
KR1019990050741A 1999-11-15 1999-11-15 자중을 이용하여 쉽게 접합하는 대형 상, 하수 관 및 그접합방법 KR100328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0741A KR100328782B1 (ko) 1999-11-15 1999-11-15 자중을 이용하여 쉽게 접합하는 대형 상, 하수 관 및 그접합방법
KR2020000004610U KR200190268Y1 (ko) 1999-11-15 2000-02-19 자중을 이용하여 쉽게 접합하는 대형 상, 하수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0741A KR100328782B1 (ko) 1999-11-15 1999-11-15 자중을 이용하여 쉽게 접합하는 대형 상, 하수 관 및 그접합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4610U Division KR200190268Y1 (ko) 1999-11-15 2000-02-19 자중을 이용하여 쉽게 접합하는 대형 상, 하수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6824A true KR20010046824A (ko) 2001-06-15
KR100328782B1 KR100328782B1 (ko) 2002-03-22

Family

ID=19620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0741A KR100328782B1 (ko) 1999-11-15 1999-11-15 자중을 이용하여 쉽게 접합하는 대형 상, 하수 관 및 그접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878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21599A1 (de) 2014-03-17 2015-09-23 Die Spezialelemente AG Vorrichtung zum verbinden von elementen, element zum aufbau eines kanals und verfahren zur verlegung von elementen
CN112982615A (zh) * 2021-02-08 2021-06-18 中国恩菲工程技术有限公司 尾矿库截水沟和尾矿库截水系统
CN113653151A (zh) * 2021-08-11 2021-11-16 顾青林 水利工程使用的灵活式拼接水渠结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21599A1 (de) 2014-03-17 2015-09-23 Die Spezialelemente AG Vorrichtung zum verbinden von elementen, element zum aufbau eines kanals und verfahren zur verlegung von elementen
EP2921599B1 (de) * 2014-03-17 2019-11-27 DSE systems AG Element zum aufbau eines kanals und verfahren zur verlegung von elementen
CN112982615A (zh) * 2021-02-08 2021-06-18 中国恩菲工程技术有限公司 尾矿库截水沟和尾矿库截水系统
CN113653151A (zh) * 2021-08-11 2021-11-16 顾青林 水利工程使用的灵活式拼接水渠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8782B1 (ko) 200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2593B1 (ko) 조립식 맨홀
KR100328782B1 (ko) 자중을 이용하여 쉽게 접합하는 대형 상, 하수 관 및 그접합방법
KR200190268Y1 (ko) 자중을 이용하여 쉽게 접합하는 대형 상, 하수관
CN216948636U (zh) 一种管道接口砂浆抹带模具
CN212866875U (zh) 一种楼板放线孔预埋装置
KR200402713Y1 (ko) 맨홀용 지수단관의 연결구조
CN212670862U (zh) 开放式墙体连接盒
KR102074792B1 (ko) 접합성능이 향상된 pc슬래브패널
KR0129827Y1 (ko) 건축배관용 슬리브관
KR200274837Y1 (ko) 거푸집 설치가 필요 없는 흄관받침 콘크리트를 이용한흄관설치 구조
CN209767132U (zh) 一种mpp电缆保护管的管口封堵塞
JP3049147U (ja) 成型体の接合部の構造
KR100644230B1 (ko) 도로시설물 설치용 기초구조물의 운반구조
JPS6241098Y2 (ko)
CN219604556U (zh) 一种竖向桥架直埋件装置
JPH0220308Y2 (ko)
CN219569569U (zh) 一种钢性防水套管与排水管接口一体化快速安装结构
KR200381324Y1 (ko) 파형관 이음용 거푸집
KR101960698B1 (ko) 지하 공동구 이음 구조
JP3018423U (ja) 地中電線路用埋設ボックス
JPS6035649Y2 (ja) マンホ−ル
JP3015499U (ja) コンクリートポール及びコンクリートポールと鋼管との連結構造
JPH0612054Y2 (ja) マンホール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JP2920111B2 (ja) 地下ケーブル設置用共同溝の連結構造
KR200367695Y1 (ko) 도로시설물 설치용 기초구조물의 운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