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1324Y1 - 파형관 이음용 거푸집 - Google Patents

파형관 이음용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1324Y1
KR200381324Y1 KR20-2005-0001349U KR20050001349U KR200381324Y1 KR 200381324 Y1 KR200381324 Y1 KR 200381324Y1 KR 20050001349 U KR20050001349 U KR 20050001349U KR 200381324 Y1 KR200381324 Y1 KR 2003813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upled
jaw
plate shap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13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곤
Original Assignee
오성종합기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성종합기술(주) filed Critical 오성종합기술(주)
Priority to KR20-2005-00013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13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13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13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H02G9/065Longitudinally split tubes or conduits therefor

Abstract

본 고안은 파형관용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지하에 매설되는 전력선 통신선용 파형관 이음부를 밀봉하기 위한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전력선 등의 케이블을 감싸고 있는 파형관로를 연결 밀봉하는 경우에 있어서, 판형으로 형성되되 상부의 양 모서리에 조립홈이 형성되고 하부에 관로가 통과될 수 있도록 관로 홀이 형성되고 밑면에 끼움홈이 형성되는 상부 중앙 블럭; 판형으로 형성되되 하부의 양 모서리에 조립홈이 형성되고 상부에 관로가 통과될 수 있도록 관로 홀이 형성되고 윗면에 끼움턱이 형성되는 하부 중앙 블럭; 판형으로 형성되되 상부에 상기 상부 중앙 블럭에 형성된 조립홈과 결합되는 조립턱이 형성되고 밑면에 끼움홈이 형성되는 상부 좌측 블럭; 판형으로 형성되되 하부에 상기 하부 중앙 블럭에 형성된 조립홈과 결합되는 조립턱이 형성되고 윗면에 끼움턱이 형성되는 하부 좌측 블럭; 판형으로 형성되되 상부에 상기 상부 중앙 블럭에 형성된 조립홈과 결합되는 조립턱이 형성되고 밑면에 끼움홈이 형성되는 상부 우측 블럭; 및 판형으로 형성되되 하부에 상기 하부 중앙 블럭에 형성된 조립홈과 결합되는 조립턱이 형성되고 윗면에 끼움턱이 형성되는 하부 우측 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형관 이음용 거푸집{A mold for jointed tube}
본 고안은 관로용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에 매설되는 전력선 통신선용 파형관 이음부 밀봉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전력선, 통신선 등 케이블이 지하에 설치되는 경우, 파형관 등과 함께 매설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지하에 매설되는 파형관을 연결하는 경우, 내구성, 침수 등의 이유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연결 부위를 밀봉하고 있다.
따라서 소정의 간격마다 발생되는 파형관 이음부에 대하여는 밀봉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종래의 타설 작업은, 먼저 모래 주머니를 쌓아서 콘크리트가 타설될 공간을 형성한다. 이후, 모래 주머니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파형관 이음부를 밀봉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모래 주머니를 이용한 파형관 이음부의 밀봉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첫째, 지하에 형성되는 공간은 벽이 흙 등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벽을 구성하는 흙 등이 콘크리트에 일부 혼합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 및 침수 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둘째, 벽이 흙 등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콘크리트 타설 결과물의 두께가 일치하지 못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셋째, 작업자의 짐작 등에 의해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구조물의 규격화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파형관 이음부의 콘크리트 타설 작업시에 규격화된 거푸집을 사용하여 지반의 흙이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고, 작업 결과물이 깨끗하며, 규격화 작업이 가능한 거푸집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파형관 이음부의 밀봉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은, 지하에 매설된 전력선, 통신선 등의 케이블을 감싸고 있는 파형관 이음부를 밀봉하고자 하는 경우에 있어서, 판형으로 형성되되 상부의 양 모서리에 조립홈이 형성되고 하부에 파형관이 통과될 수 있도록 반원상의 관로 홀이 형성되고 밑면에 끼움홈이 형성되는 상부 중앙 블럭; 판형으로 형성되되 하부의 양 모서리에 조립홈이 형성되고 상부에 파형관이 통과될 수 있도록 반원상의 관로 홀이 형성되고 윗면에 끼움턱이 형성되는 하부 중앙 블럭; 판형으로 형성되되 상부에 상기 상부 중앙 블럭에 형성된 조립홈과 결합되는 조립턱이 형성되고 밑면에 끼움홈이 형성되는 상부 좌측 블럭; 판형으로 형성되되 하부에 상기 하부 중앙 블럭에 형성된 조립홈과 결합되는 조립홈이 형성되고 윗면에 끼움턱이 형성되는 하부 좌측 블럭; 판형으로 형성되되 상부에 상기 상부 중앙 블럭에 형성된 조립홈과 결합되는 조립턱이 형성되고 밑면에 끼움홈이 형성되는 상부 우측 블럭; 및 판형으로 형성되되 하부에 상기 하부 중앙 블럭에 형성된 조립홈과 결합되는 조립턱이 형성되고 윗면에 끼움턱이 형성되는 하부 우측 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전술된 파형관용 거푸집은 판형으로 형성되되 상부에 상기 상부 중앙 블럭에 형성된 조립홈과 결합되는 조립턱이 형성되고 밑면에 상기 하부 중앙 블럭에 형성된 조립턱과 결합되는 조립홈이 형성되는 중부 중앙 블럭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술된 파형관용 거푸집은 판형으로 형성되되 상부에 상기 상부 좌측 또는 우측 블럭에 형성된 조립홈과 결합되는 조립턱이 형성되고 밑면에 상기 하부 좌측 또는 우측 블럭에 형성된 조립턱홈 결합되는 조립턱이 형성되는 중부 좌측 또는 우측 블럭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술된 파형관용 거푸집은 상기 상부 좌측 블럭과 하부 좌측 블럭, 상기 상부 우측 블럭과 하부 우측 블럭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된 상부 중앙 블럭과 하부 중앙 블럭의 조립홈과 상기 상부 좌측 블럭, 하부 좌측 블럭, 상부 우측 블럭 및 하부 우측 블럭의 조립턱의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홀이 상기 체결홀을 통해 체결되는 체결구를 통해 상호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콘크리트 타설시에는 전술된 상부 좌측 블럭, 하부 좌측 블럭, 상부 우측 블럭 및 하부 우측 블럭의 끝단에 고정홀이 형성되고, 힌지 고정구를 통해 거푸집이 관로구의 대응 부분과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된 거푸집은 상기 상부 중앙 블럭들의 중앙에 고정 홈들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 홈들에 중앙 걸이가 결합되고, 상기 좌측 블럭들의 고정홀과 상기 우측 블럭들의 고정홀에 측부 걸이가 결합되고, 상기 중앙 걸이와 상기 측부 걸이를 연결하는 행거 로드를 통해 상기 중앙 블럭들과 상기 좌측 블럭 및 상기 중앙 블럭들과 상기 우측 블럭들이 서로 결합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형태가 기술된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첨부된 도면 도1을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관로용 거푸집의 분해 사시도이다.
설명에 앞서, 도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좌측 블럭들(140,162,164)과 우측 블럭들(150,166,168)은 세 개의 부분이 결합되어 있지만, 본 고안은 이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좌측 블럭과 우측 블럭은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될 수도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먼저 중앙 블럭의 구조를 설명한다.
중앙 블럭은 상부 중앙 블럭(110), 중부 중앙 블럭(120) 및 하부 중앙 블럭(13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3개의 블럭을 사용하게 되면, 2열로 배열된 파형관 이음부를 밀봉할 수 있게 된다. 만일 3열로 배열된 파형관 이음부를 밀봉하는 경우에는, 중부 중앙 블럭과 좌우측 블럭을 추가 사용하여 매설할 수 있다.
상부 중앙 블럭(110)은 좌측 블럭(140)과 우측 블럭(150)의 상부에 형성된 조립턱(142,152)과 결합되는 조립홈(112)이 상부에 형성된다. 또한 하부에는 파형관이 삽입되는 관로홀(114)이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밑면에는 중부 중앙 블럭(120)에 형성된 끼움턱(126)이 끼워 맞춤될 수 있는 끼움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다. 더불어, 조립홈(112)에는 체결홀(116)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홀(116)은 대응되는 좌측 블럭(140)과 우측 블럭(150)의 체결홀(144,154)과 함께 체결구(156)에 의해 체결된다.
중부 중앙 블럭(110)의 상부에는 파형관이 삽입되는 관로홀(1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윗면에는 상부 중앙 블럭(110)의 밑면에 형성된 끼움홈과 끼워 맞춤되는 끼움턱(126)이 형성된다. 또한 상·하부에는 파형관이 삽입되는 관로홀(124)이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밑면에는 하부 중앙 블럭(130)에 형성된 끼움턱(136)이 끼워 맞춤될 수 있는 끼움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다.
하부 중앙 블럭(130)은 좌측 블럭(140)의 하부에 형성된 조립턱과 결합되는 조립홈(134)이 하부에 형성된다. 또한 상부에는 파형관이 삽입되는 관로홀(132)이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윗면에는 중부중앙 블럭(120)에 형성된 끼움홈(도시되지 않음)에 끼워 맞춤될 수 있는 끼움턱(136)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첨부된 도면 도2와 도3을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의 조립 과정을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관로용 거푸집의 조립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관로용 거푸집의 완성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관로용 거푸집을 이용한 작업예를 보인 평면도이다.
제1단계, 관로가 매설된 공간을 포크레인 등을 사용하여 굴착한다.
제2단계, 좌측 블럭(140)과 우측 블럭(150)을 세운다.
제3단계, 하부 중앙 블럭(130)의 조립홈(134)과 좌측 블럭(140)과 우측 블럭(150)의 조립턱(142)을 결합한다. 이때 체결홀(116,154)들을 통해 체결구(156)를 사용하여 하부 중앙 블럭(130)과 좌측 블럭(140)과 우측 블럭(150)이 견고하게 체결된다.
제4단계, 하부 중앙 블럭(130)의 끼움턱(136)과 중부 중앙 블럭(120)의 끼움홈을 결합한다.
제5단계, 중부 중앙 블럭(120)의 끼움턱(126)과 상부 중앙 블럭(110)의 끼움홈을 결합한다. 이때 체결홀(116,154)들을 통해 체결구(156)를 사용하여 상부 중앙 블럭(110)과 좌측 블럭(140)과 우측 블럭(150)이 견고하게 체결된다.
제6단계, 고정홀(158)에 힌지 고정구(160)를 결합하여 관로구 또는 맨홀에 설치된 고정 부분과 상호 결합한다.
제7단계, 고정홀(158)의 배면과 고정홈(115,125,135)에 중앙 걸이(30) 및 측부 걸이(50)를 결합하고, 중앙 걸이(30)와 측부 걸이(50)를 행거 로드(40)를 사용하여 중앙 블럭들과 좌측 블럭들 및 중앙 블럭들과 우측 블럭들을 결합고정한다.
제8단계,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제9단계, 블럭들을 제거한다.
이때, 중앙 걸이(30)와 측부 걸이(50) 및 행거 로드(40)가 중앙 블럭들, 좌측 블럭들 및 우측 블럭들과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중앙 걸이(30)와 측부 걸이(50)를 중앙 블럭들, 좌측 블럭들 및 우측 블럭들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있다. 즉, 중앙 걸이(30)와 측부 걸이(50)는 'U'자형으로 형성되고 양 단은 너트와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형성되고, 중앙 걸이(30)와 측부 걸이(50)의 나사산이 형성된 부분이 중앙 블럭들, 좌측 블럭들 및 우측 블럭들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고 돌출된 나사산에 너트를 결합하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블럭들을 제거하기 전에, 중앙 걸이(30)와 측부 걸이(50)와 결합된 너트를 제거한 후 중앙 걸이(30)와 측부 걸이(50)는 콘크리트 내부에 매설된 상태로 중앙 블럭들, 좌측 블럭들 및 우측 블럭들을 제거할 수 있다.
도4에서 미설명부호 '10'은 관로구가 매설된 벽체이고, '20'은 관로구이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전술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첨부된 청구범위의 정신과 사상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면, 전술된 실시예에서 좌측 블럭(140)과 우측 블럭(150)은 일체로 형성된 것이 사용되었지만, 공사 구간의 현장 상황에 따라 좌측 블럭(140)이나 우측 블럭(150)을 2개 이상의 분할된 블럭의 결합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콘크리트 타설시에 지반의 흙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거푸집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블럭들을 결합하는 것에 의해 간단히 거푸집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규격화된 거푸집을 사용하여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관로용 거푸집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관로용 거푸집의 조립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관로용 거푸집의 완성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관로용 거푸집을 이용한 작업예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벽체 20: 관로구
30: 중앙 걸이 40: 행거 로드
50: 측부 걸이 100: 거푸집
110: 상부 중앙 블럭 112,134: 조립홈
114,122,124,132: 관로홀 116: 체결홀
120: 중부 중앙 블럭 126,136: 끼움턱
130: 하부 중앙 블럭 140: 상부 좌측 블럭
142,152: 조립턱 150: 상부 우측 블럭
144,154: 체결홀 156: 체결구
158: 고정홀 160: 힌지 고정구
162: 중부 좌측 블럭 164: 하부 좌측 블럭
166: 중부 우측 블럭 168: 하부 우측 블럭

Claims (7)

  1. 전력선 등의 케이블을 감싸고 있는 파형관의 이음부를 밀봉하는 경우에 있어서,
    판형으로 형성되되 상부의 양 모서리에 조립홈이 형성되고 하부에 파형관이 통과될 수 있도록 관로 홀이 형성되고 밑면에 끼움홈이 형성되는 상부 중앙 블럭;
    판형으로 형성되되 하부의 양 모서리에 조립홈이 형성되고 상부에 파형관이 통과될 수 있도록 관로 홀이 형성되고 윗면에 끼움턱이 형성되는 하부 중앙 블럭;
    판형으로 형성되되 상부에 상기 상부 중앙 블럭에 형성된 조립홈과 결합되는 조립턱이 형성되고 밑면에 끼움홈이 형성되는 상부 좌측 블럭;
    판형으로 형성되되 하부에 상기 하부 중앙 블럭에 형성된 조립홈과 결합되는 조립턱이 형성되고 윗면에 끼움턱이 형성되는 하부 좌측 블럭;
    판형으로 형성되되 상부에 상기 상부 중앙 블럭에 형성된 조립홈과 결합되는 조립턱이 형성되고 밑면에 끼움홈이 형성되는 상부 우측 블럭; 및
    판형으로 형성되되 하부에 상기 하부 중앙 블럭에 형성된 조립홈과 결합되는 조립턱이 형성되고 윗면에 끼움턱이 형성되는 하부 우측 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 이음부 밀봉용 거푸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용 거푸집은
    판형으로 형성되되 상부에 상기 상부 중앙 블럭에 형성된 조립홈과 결합되는 조립턱이 형성되고 밑면에 상기 하부 중앙 블럭에 형성된 조립턱과 결합되는 조립홈이 형성되는 중부 중앙 블럭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 이음부 밀봉용 거푸집.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용 거푸집은
    판형으로 형성되되 상부에 상기 상부 좌측 또는 우측 블럭에 형성된 조립홈과 결합되는 조립턱이 형성되고 밑면에 상기 하부 좌측 또는 우측 블럭에 형성된 조립턱과 결합되는 조립홈이 형성되는 중부 좌측 또는 우측 블럭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 이음부 밀봉용 거푸집.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용 거푸집은
    상기 상부 좌측 블럭과 하부 좌측 블럭, 상기 상부 우측 블럭과 하부 우측 블럭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 이음부 밀봉용 거푸집.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중앙 블럭과 하부 중앙 블럭의 조립홈과 상기 상부 좌측 블럭, 하부 좌측 블럭, 상부 우측 블럭 및 하부 우측 블럭의 조립턱의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홀이 상기 체결홀을 통해 체결되는 체결구를 통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 이음부 밀봉용 거푸집.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좌측 블럭, 하부 좌측 블럭, 상부 우측 블럭 및 하부 우측 블럭의 끝단에 고정홀이 형성되고, 힌지 고정구를 통해 관로구나 맨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 이음부 밀봉용 거푸집.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은 상기 상부 중앙 블럭들의 중앙에 고정 홈들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 홈들에 중앙 걸이가 결합되고,
    상기 좌측 블럭들의 고정홀과 상기 우측 블럭들의 고정홀에 측부 걸이가 결합되고,
    상기 중앙 걸이와 상기 측부 걸이를 연결하는 행거 로드를 통해 상기 중앙 블럭들과 상기 좌측 블럭 및 상기 중앙 블럭들과 상기 우측 블럭들이 서로 결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 이음부 밀봉용 거푸집.
KR20-2005-0001349U 2005-01-17 2005-01-17 파형관 이음용 거푸집 KR2003813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349U KR200381324Y1 (ko) 2005-01-17 2005-01-17 파형관 이음용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349U KR200381324Y1 (ko) 2005-01-17 2005-01-17 파형관 이음용 거푸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1324Y1 true KR200381324Y1 (ko) 2005-04-14

Family

ID=43682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1349U KR200381324Y1 (ko) 2005-01-17 2005-01-17 파형관 이음용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132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076B1 (ko) * 2009-07-08 2011-07-01 김선기 배전 맨홀 인출구 관로침하 방지용 조립식 거푸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076B1 (ko) * 2009-07-08 2011-07-01 김선기 배전 맨홀 인출구 관로침하 방지용 조립식 거푸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842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conduit systems
WO2005017290A1 (en) Street light foundation
KR200381324Y1 (ko) 파형관 이음용 거푸집
KR20140058076A (ko) 신구콘크리트 연결 시공방법
JP4117309B2 (ja) 可撓継手構造、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可撓ジョイント
JP7306848B2 (ja) 分岐管継手の設置構造および施工方法
JP4152259B2 (ja) 陶管の補修工法
KR100640242B1 (ko) 맨홀 제작용 절첩식 거푸집 및 이의 시공공법
KR20040091241A (ko) 합성수지관용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배관매설공법
JP4388220B2 (ja) 浄化槽設備敷設方法
KR101580547B1 (ko) 수밀밴드가 구비된 조립형 암거박스
JPH11315526A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連結方法
KR101856810B1 (ko) 터널 내부 라이닝 시공을 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체결박스, 그 체결박스가 구비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및 터널 내부 라이닝 시공방법
KR101715132B1 (ko) 상하수도용 분절형 맨홀의 조립식 시공방법
KR100635484B1 (ko)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연결거푸집
KR930001321Y1 (ko) 배수관 연결 조인트
JP2002364283A (ja) 圧入工法用セグメントピース及びそれを用いた沈設体
JP7182221B2 (ja) ケーブル収納・分岐用コンクリート製品
KR200375104Y1 (ko) 관로연결구
KR100574614B1 (ko) 보수용 전선관
JP2005012978A (ja) 作業用ボックスへのケーブルの通線構造、ノックアウトジョイント、並びにノックアウト後の作業用ボックスと管路との接続方法
KR100948129B1 (ko) 수밀성 수로관
KR200275390Y1 (ko) 산업용 부산물을 이용한 지하 매설용 콘크리트 구조물용연결구
KR101960698B1 (ko) 지하 공동구 이음 구조
JPH024534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