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6220A - Elevator system - Google Patents

Elevator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6220A
KR20010046220A KR1019990049904A KR19990049904A KR20010046220A KR 20010046220 A KR20010046220 A KR 20010046220A KR 1019990049904 A KR1019990049904 A KR 1019990049904A KR 19990049904 A KR19990049904 A KR 19990049904A KR 20010046220 A KR20010046220 A KR 20010046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elevator
hoist
sides
counte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99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356523B1 (en
Inventor
박상영
Original Assignee
장병우
엘지 오티스 엘리베이터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병우, 엘지 오티스 엘리베이터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장병우
Priority to KR1019990049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6523B1/en
Publication of KR20010046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62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6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6523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1Arrangement of controller, e.g. location
    • B66B11/002Arrangement of controller, e.g. location in the hoistway
    • B66B11/0025Arrangement of controller, e.g. location in the hoistway on the c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7/00Hoistway equipment
    • B66B17/12Counterpoi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PURPOSE: An elevator system is provided to increase the number of passengers in a car by installing a car of an elevator without a machine room evenly, to simplify the structure of a main rope, to heighten efficiency as well, and to handle the increasing capacity of an electromotor easily. CONSTITUTION: An elevator system comprises: a car(2) reciprocating along a hoistway(1) of a building; traction machines(3,3a) installed to both upper parts of the car to generate power for moving the car by a controller controlling the location and speed of the car; and counter weights(6,6a), whose ends are fixed to both lower ends of the car, provided with counter weight pulleys(5,5a) rolled up with main ropes(4,4a) via a traction sheave of the traction machines.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시스템{ELEVATOR SYSTEM}Elevator system {ELEVATOR SYSTEM}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계실이 필요없는 엘리베이터의 카를 편지지되지 않은 상태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llow an elevator car, which does not require a machine room, to be installed in an unwritten state.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아파트나, 건물 등에 주로 설치되어 수직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승객을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편리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기기로서,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의 구동 방식은 메인 로프와 권상기에 설치된 구동 쉬브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승객이 탑승하는 카와, 카에 연결된 메인 로프의 반대편 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카운터 웨이트를 움직이는 방식으로 되어 있는 데, 이러한 방식은 현대식 엘리베이터의 가장 오래된 방식이며, 많은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방식이다.In general, an elevator is mainly installed in an apartment, a building, etc., and is a device for conveniently moving passengers from one point to another while rising or desc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 general elevator driving method is a driving sheave installed on a main rope and a hoist.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passenger car and the counterweight installed on the opposite end of the main rope connected to the car is a way of moving, which is the oldest way of modern elevators. This is the most used method.

이러한 경우에 승강로 상부의 기계실에 설치되는 권상기의 구성은 전기 에너지를 회전하는 기계 에너지로 변환하는 전동기, 기계 에너지의 회전력을 감속시켜주는 감속기, 정지시에 기계적으로 회전을 강제로 못하도록 하는 브레이크 장치, 메인 로프를 이동시키는 구동 쉬브로 구성된다.In this case, the configuration of the hoist installed in the machine room above the hoistway includes an electric motor for converting electrical energy into rotating mechanical energy, a speed reducer for reducing the rotational force of mechanical energy, a brake device that prevents mechanical rotation from being forced when stopped, It consists of a drive sheave for moving the main rope.

한편, 엘리베이터 업체의 고객인 건물주의 입장에서 볼 때 가급적이면 엘리베이터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이고 싶어하고, 건물의 상부에 마련된 별도의 기계실로 인하여 엘리베이터에 의해 작용되는 모든 하중, 즉 현수 하중을 기계실 바닥에서 지지해야 하므로 인해 건물 상부에 상당히 큰 하중이 작용하게 됨에 따라 건물의 구조 자체가 필요 이상으로 강건하게 설계되어져야 한다는 부담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가 제안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building owner who is the customer of the elevator company, he wants to reduce the space occupied by the elevator as much as possible, and supports all loads acting by the elevator on the floor of the machine room due to a separate machine room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building. As a large load on the upper part of the building has to be applied, an elevator without a machine room has been proposed as a way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structure itself must be designed more robustly than necessary.

상기한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는 편지지되는 형태와, 카 바닥으로 메인 로프를 거는 언더 슬렁(under-slung) 형태로 구성되는 데, 편지지되는 경우 승강 용량에 한계가 있으므로 대부분의 경우 상부의 공간 확보를 위해 카의 바닥으로 메인 로프를 건다.The elevator without the machine room is composed of stationery and under-slung that hangs the main rope to the floor of the car.In the case of stationery, the lifting capacity is limited, so in most cases to secure the upper space Hook the main rope to the bottom of the car.

이러한 경우에는 권상기의 위치는 별도의 기계실이 없어서 카의 최상부 공간이나, 카의 바닥 공간에 위치하게 되므로 아주 박형의 전동기와 권상기에 기어를 갖지 않는 형태를 설치하는 것이 유리하며, 기존의 전동기나 권상기와는 매우 형태가 다르게 되어 그 가격이 비싸지고, 개발 시간이 많이 필요함에 따라 기계실이 없으면서 구조상 가격이 매우 저렴한 형태의 엘리베이터 기술이 필요하다.In this case, since the position of the hoist is not in a separate machine room, it is located in the top space of the car or in the bottom space of the car. Therefore, it is advantageous to install a very thin motor and a hoist that does not have gears. As it is very different from other forms, the price is expensive and development time is required. Therefore, there is no need of a machine room, and the structure is very inexpensive.

도 1은 종래의 카운터 웨이트가 2개로 나뉘어 있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카(10)와 카운터 웨이트(11)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가이드 레일(12)이 설치되고, 이 가이드 레일(12)의 상부에는 각각의 풀리(13)가 설치되며, 상기 카(10)는 카(1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바퀴(14)에 의해 구동되어 2개의 메인 로프(15)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 레일(12)의 내부에 카운터 웨이트(11)가 매달리는 구조로 설치된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n elevator without a machine room in which a conventional counter weight is divided into two is installed, and a guide rail 12 jointly used by the car 10 and the counter weight 11 is installed. Each pulley 13 is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rail 12, and the car 10 is driven by the wheels 14 rotatably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ar 10 to be connected to two main ropes 15. As a result, the counter weight 11 is installed in the guide rail 12.

도 2는 종래의 편지지되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카(20)는 상부의 권상기(21)에 고정 부재(22)에 의해 고정되고, 카운터 웨이트(23)와 체인(24)에 의해 고정되어 카(20)와 연결되는 구조이며, 가이드 레일(25)은 카(20)와 카운터 웨이트(23)가 공동으로 사용된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n elevator without a conventional letterroom is installed, and the car 20 is fixed to the upper hoist 21 by the fixing member 22, and the counter weight 23 and the chain 24 are shown. It is fixed by the structure is connected to the car 20, the guide rail 25, the car 20 and the counter weight 23 is used jointly.

도 3은 종래의 다른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상부의 고정점을 갖는 메인 로프(31)는 카(30)의 바닥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 1,2 풀리(32)(33)에 의해 지지되어 다시 상기 카(30)의 상부에 장착되어 전동기와 구동 쉬브로 구성된 권상기(34)에 의해 카(30)의 반대편에 설치된 카운터 웨이트 풀리(35)에 연결되어 카운터 웨이트(36)를 이동시킨다.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levator without a conventional machine room is installed, and the main rope 31 having the upper fixed poin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r 30. It is supported by the (33) and is mounted on the top of the car 30 again and connected to the counter weight pulley 35 install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ar 30 by a hoist 34 composed of an electric motor and a driving sheave to counter weight. Move (36).

상기한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는 일반적인 기계실이 있는 엘리베이터와 동작상에서는 완전히 동일하다.An elevator without a machine room is completely identical in operation to an elevator with a general machine room.

즉, 승객이 카의 내부나, 승강장에서 동작 지령을 하면, 제어반이 전동기의 동작 지령을 하고, 그 지령에 따라서 전동기가 구동하면, 전동기의 축에 직결된 감속기의 감속에 의해 권상 쉬브가 회전하며, 권상 쉬브의 회전에 의해 메인 로프에 힘을 인가하여 카운터 웨이트와 카 사이의 무게 차이 만큼의 힘을 내면서 상기 제어반의 지령에 의해 목표하는 동작을 완료하면 동작 지령이 끝나게 된다.That is, when a passenger gives an operation command in the car or in a platform, the control panel gives an operation command of the motor, and when the motor is driven according to the command, the hoisting sheave rotates by deceleration of the reduction gear directly connected to the shaft of the motor. When the target operation is completed by the command of the control panel while applying a force to the main rope by the rotation of the hoisting sheave and exerting the force corresponding to the weight difference between the counter weight and the car, the operation command is completed.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도 1과 같이 카운터 웨이트를 2개 사용하는 경우에는 공간 확보 차원에서는 유리하나, 메인 로프나, 구동 쉬브의 구조가 복잡해지며, 일반적인 권상기를 1개 사용하여 2점 지지를 하는 경우에는 상부의 메인 로프나, 풀리가 매우 복잡해지고, 도 2와 같이 편지지되는 경우에는 카(20)가 기계적으로 불안정하여 탑승 용량에 한계가 따르며, 도 3과 같은 엘리베이터는 카(30)의 바닥으로 메인 로프(31)가 걸리기 때문에 건축 구조상 바닥의 깊이를 깊게 해야 하고, 권상기가 상부에 장착됨에 따라 전동기의 용량을 크게 하는 경우에는 전동기의 부피가 커져서 승강로의 공간상에 간섭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using two counter weights as shown in FIG. 1, the structure of the main rope and the driving sheave is complicated, but the structure of the main rope or the driving sheave is complicated. In this case, the upper main rope or pulley becomes very complicated, and when lettered as shown in FIG. 2, the car 20 is mechanically unstable, which limits the boarding capacity, and the elevator shown in FIG. 3 has a bottom of the car 30. As the main rope 31 is caught, the depth of the floor must be deepened in the construction structure, and when the capacity of the motor is increased as the hoist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the volume of the motor increases, which may cause interference in the space of the hoistway. There were many problems such as being ther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계실이 필요없는 엘리베이터의 카를 편지지되지 않은 상태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탑승 인원을 늘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전동기의 용량이 커지더라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car of the elevator that does not need a machine room in the unwritten state, not only to increase the number of passengers, but also to simplify the structure, capacity of the electric moto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vator system that can be easily coped even with this increase.

도 1은 종래의 카운터 웨이트가 2개로 나뉘어 있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levator without a machine room in which a conventional counter weight is divided into two is installed

도 2는 종래의 편지지되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evator without the conventional letterhead machine room is installed

도 3은 종래의 다른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levator without a conventional machine room is installed

도 4는 본 발명을 나타낸 구성도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승강로 2; 카One; Hoistway 2; Ka

3,3a; 권상기 4,4a; 메인 로프3,3a; Traction machine 4,4a; Main rope

5,5a; 카운터 웨이트 풀리 6,6a; 카운터 웨이트5,5a; Counter weight pulley 6,6a; Counter weigh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승강로의 내부에 설치되어 승강 이동하는 카와, 상기 카의 상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카의 위치 및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카를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권상기와, 상기 카의 하부 양측에 카의 하단 양측에 일단이 고정되어 권상기의 구동 쉬브를 경유하는 메인 로프가 감겨지는 카운터 웨이트 풀리가 상단에 구비된 카운터 웨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car is installed in the hoistway to move up and down, and the car is moved by the control of a control unit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of the car to control the position and speed of the car And a counterweight with a counterweight pulley on which an upper end is fixed to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car and a main weight through which the main rope passes through the driving sheave of the hoist. An elevator system is provided.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승강로의 내부에 설치되어 승강 이동하는 카와, 상기 카의 상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카의 위치 및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카를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권상기와, 상기 카의 하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카의 하단 양측에 일단이 고정되어 권상기의 구동 쉬브를 경유하는 메인 로프의 타단이 고정되는 카운터 웨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제공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by the control of the car is installed in the hoistway and moving up and down, respective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of the car to control the position and speed of the car And a counterweight for generating power for moving the car, and counterweights respectively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lower side of the car, and having one end fixed to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car, and the other end of the main rope passing through the driving sheave of the hoist. An elevator system is provided.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는 본 발명을 나타낸 구성도로서,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4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same parts as in the prior ar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건물의 승강로(1) 내부에 승강 이동하는 카(2)가 설치되고, 카(2)의 상부 양측에는 상기 카(2)의 위치 및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도시는 생략함)의 제어에 의해 카(2)를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권상기(3)(3a)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카(2)의 하부 양측에는 카(2)의 하단 양측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권상기(3)(3a)의 구동 쉬브(도시는 생략함)를 경유하는 메인 로프(4)(4a)가 감겨지는 카운터 웨이트 풀리(5)(5a)가 상단에 구비된 카운터 웨이트(6)(6a)가 각각 설치되어 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ar (2) moving up and down is installed in a hoistway (1) of a building in which an elevator is installe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and speed of the car (2) on both sides of the upper part of the car (2). The hoisting machine (3) (3a) which generates the power for moving the car 2 by the control of each of them is installed, respectively, and one end is provided in the lower both sides of the car (2) in the lower both sides of the car (2) The counter weight pulleys 5 and 5a which are fixed and wound on the main ropes 4 and 4a through the driving sheaves (not shown) of the hoisting machine 3 and 3a are provided at the upper end thereof. 6) 6a are provided and comprised, respectively.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의 승강로(1) 내부에 승강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 카(2)의 상부 양측에 소형의 권상기(3)(3a)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카(2)의 하부 양측에는 카(2)의 하단 양측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권상기(3)(3a)의 구동 쉬브(도시는 생략함)를 경유하는 메인 로프(4)(4a)가 감겨지는 카운터 웨이트 풀리(5)(5a)가 상단에 구비된 카운터 웨이트(6)(6a)가 각각 설치되어 카(2)의 위치 및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의 구동 지령에 의해서 상기 소형인 2개의 권상기(3)(3a)가 구동하여 구동 쉬브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독립된 각각의 메인 로프(4)(4a)의 이동에 의해 카(2)를 편지지됨이 없이 안정된 상태로서 2점 지지하여 원하는 층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4, small hoisting machines 3 and 3a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both upper sides of the car 2 installed to move up and down inside the hoistway 1 of the building, One end is fixed to both lower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car 2 so that the main ropes 4 and 4a via driving sheaves (not shown) of the hoist 3 and 3a The counterweights 6 and 6a, each having a counterweight pulley 5 and 5a wound up, are respectively provided and driven by the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and speed of the car 2. As the hoisting machine (3) (3a) is driven and the drive sheave rotates, the two layers of the main rope (4) (4a) are supported by the independent movement of the car (2) to support a two-point stable state without writing. It can be raised or lowered.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로(1)의 내부에 설치된 카(2)의 상부 양측에 각각 권상기(3)(3a)를 설치하고, 상기 카(2)의 하부 양측에는 각각 카운터 웨이트(6)(6a)를 설치하며, 상기 카(2)의 하단 양측에는 메인 로프(4)(4a)의 일단을 고정하고 타단은 상기 카운터 웨이트(6)(6a)에 각각 고정시키므로써 카운터 웨이트(6)(6a) 측의 1:1 로핑에 의해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5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isting machine (3) (3a)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art of the car (2) installed inside the hoistway (1), the car (2) Counterweights 6 and 6a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lower sides of the lower ends of the car 2, and one end of the main ropes 4 and 4a is fixed to both lower ends of the car 2, and the other ends of the counter weights 6 and 6a are respectively fixed. By fixing to each of them, the structure can be simplified by 1: 1 roping on the side of the counter weights 6 and 6a.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계실이 필요없는 엘리베이터의 카를 편지지되지 않은 상태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써 카의 탑승 인원을 크게 늘릴 수 있고, 1:1 로핑을 하므로 메인 로프의 구조를 단순화시키면서도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전동기의 용량이 커지더라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고, 1개의 권상기가 파손되는 경우에도 부분적인 승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등의 많은 장점이 구비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significantly increase the number of occupants of the car by installing the car of the elevator, which does not require a machine room, in a letterless state, and simplifies the structure of the main rope because of 1: 1 roping. It is possible to increase, and even if the capacity of the motor increases, it is a very useful invention equipped with many advantages, such as being able to easily respond, and even to perform a partial lift function even if one hoist is broken.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이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is generally define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following claims. Anyone with knowledge of the world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changes.

Claims (2)

승강로의 내부에 설치되어 승강 이동하는 카와, 상기 카의 상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카의 위치 및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카를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권상기와, 상기 카의 하부 양측에 카의 하단 양측에 일단이 고정되어 권상기의 구동 쉬브를 경유하는 메인 로프가 감겨지는 카운터 웨이트 풀리가 상단에 구비된 카운터 웨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A hoist installed inside the hoistway to move up and down, a hoist that generates power for moving the car under control of a control unit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art of the car and controlling the position and speed of the car, an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art of the car An elevator system, comprising: a counter weight having one end fixed to both sides of a lower end of the car and having a counter weight pulley on which the main rope is wound around the driving sheave of the hoist. 승강로의 내부에 설치되어 승강 이동하는 카와, 상기 카의 상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카의 위치 및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카를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권상기와, 상기 카의 하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카의 하단 양측에 일단이 고정되어 권상기의 구동 쉬브를 경유하는 메인 로프의 타단이 고정되는 카운터 웨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A hoist installed inside the hoistway to move up and down, a hoist that generates power for moving the car under control of a control unit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art of the car and controlling the position and speed of the car, an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art of the car An elevator system, comprising: a counter weight having one end fixed to each of both ends of the lower end of the car, the counter weight being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main rope via the driving sheave of the hoist.
KR1019990049904A 1999-11-11 1999-11-11 Elevator system KR1003565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9904A KR100356523B1 (en) 1999-11-11 1999-11-11 Elevator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9904A KR100356523B1 (en) 1999-11-11 1999-11-11 Elevator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6220A true KR20010046220A (en) 2001-06-05
KR100356523B1 KR100356523B1 (en) 2002-10-18

Family

ID=19619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9904A KR100356523B1 (en) 1999-11-11 1999-11-11 Elevator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6523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6523B1 (en) 200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79233B1 (en) Traction sheave elevator
EP0710618B2 (en) Traction sheave elevator
JP2593289B2 (en) Traction sheave type elevator with driving machine at the bottom
JP4934941B2 (en) Elevator equipment
JP2004083231A (en) Elevator device
KR100415749B1 (en) Elevator
JP2011006218A (en) Elevator passenger rescue apparatus
KR20040007690A (en) Elevating/lowering mechanism and elevating/lowering method of elevat0r
JP2002173281A (en) Elevator
KR20010096838A (en) Installation structure and the method for winch of a lower part driving elevator with machine roomless
JP4262805B2 (en) Elevator equipment
KR100356523B1 (en) Elevator system
KR100888667B1 (en) Bottom driving elevator for slip prevention unit
US7299896B1 (en) Elevator system having drive motor located adjacent to hoistway door
JPH0986826A (en) Rope-type elevator
EP1544150A1 (en) Elevator equipment
JP4258178B2 (en) Elevator equipment
JP2000211851A (en) Elevator
KR20000025369A (en) Method for roping of elevator
KR100688362B1 (en) Driving system of elevator
CN217867588U (en) Hoistway climbing driving rail type lifting device
JPH11199163A (en) Traction type elevator device
KR100895121B1 (en) Installation structure of driving device for elevator
KR200288350Y1 (en) Elevator
KR200408187Y1 (en) Driving system of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