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4139A -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4139A
KR20010044139A KR1020000069608A KR20000069608A KR20010044139A KR 20010044139 A KR20010044139 A KR 20010044139A KR 1020000069608 A KR1020000069608 A KR 1020000069608A KR 20000069608 A KR20000069608 A KR 20000069608A KR 20010044139 A KR20010044139 A KR 20010044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shade
head
lamp shade
shade
head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9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6654B1 (ko
Inventor
마루야마카나메
혼다타카시
다니구치슈이치
호리마사히코
Original Assignee
노미즈 시게가쓰
트윈버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미즈 시게가쓰, 트윈버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노미즈 시게가쓰
Publication of KR20010044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4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6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66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6/00Lighting 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 F21S6/002Table lamps, e.g. for ambient lighting
    • F21S6/003Table lamps, e.g. for ambient lighting for task lighting, e.g. for reading or desk work, e.g. angle poise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with provision for adjus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21V17/164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the parts being subjected to bending, e.g. snap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이하게 전등갓을 착탈시키거나 회동시킬 수 있는 단순한 구조로서, 디자인상의 자유도를 높이는 조명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책상에 사용하는 탁상용 전기 스탠드의 전등갓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원호상부(15)(16)를 갖는 凹부의 홈부(9)(10)를 헤드부(4)의 축이 돌아가는 방향으로 형성하고 이 헤드부(4)에 전구, 형광등(7)을 꽂고 홈부(9)(10)에 각각 대응하는 凸부(17)(18)가 형성된 전등갓(8)을 헤드부(4) 및 형광등(7)의 상방에 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전등갓(8)의 凸부(17)(18)를 헤드부(4)의 홈부(9)(10)에 압입시킴으로서 간단하게 전등갓(8)을 헤드부(4)에 붙일 수 있게 하고 역으로 전등갓(8)을 헤드부(4)로부터 들어올림으로써 간단하게 전등갓(8)을 헤드부(4)로부터 떼어낼 수 있도록 하며, 또 상기 전등갓(8)에 형성된 凸부(17)(18)는 원호상부(15)(16)를 따라 미끄럼 이동하여 전등갓(8)을 회동시킬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전등갓(8) 자체를 단순한 일체의 구조로 하여 디자인상의 자유도를 넓힘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명장치{Illumin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조명장치, 특히 책상에서 사용하는 전기 스탠드의 전등갓을 고정시키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이와 같은 종류의 조명장치중 특히 전기스탠드로는 예를 들면, 일본 실용신안 실개평6-50130호, 실공평7-51691호 공보등에 기재된 것이 널리 알려져 왔
다.
전자는 램프가 달려있는 전기스탠드의 전등갓을 그 단부에서 아암 상단에 있는 회동기구에 의해 회동자재 하도록 연결시킨 것으로, 본 고안에서는 상기 전등갓에 대하여 소켓과 램프가 달려있고 전등갓을 회동함으로써 조명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후자는 아암에 붙임판을 고정시켜 이 붙임판에 직관형의 램프를 지지하는 소켓을 고정시키고 원통상으로 형성된 전등갓으로 붙임판과 램프를 둘러싸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붙임판에 멈춤커버를 고정시켜 전등갓이 램프의 축 주위를 회동자재하도록 한 것으로 본 고안에 있어서는 상기 전등갓이 소켓과 램프에 대해 독립하여 있고 전등갓만을 회동시킴으로써 조명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러나 전자의 구조에 있어서는 아암에 대해서 가동하는 스탠드나 전등갓, 소켓 및 램프 때문에 중량이 무겁게 되며 전등갓을 정지시키기 위해서는 회동기구를 떼고 붙일수 있도록 하거나 스톱퍼 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있게 된다.
따라서 구조가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번 정지한 전등갓을 움직이기 위해서는 조여 붙임 부위를 완만하게 하거나 스톱퍼 기구를 해제할 필요가 있고 취급에 많은 일손이 소요되는 불편함이 따를 뿐만 아니라 전등갓에 소켓과 램프를 고정시켜야 하므로 전등갓의 디자인에 많은 제약을 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후자의 구조에 있어서는 가동부분의 중량이 가벼워져 전등갓이 별 부품인 멈춤커버를 사용하여 전등갓을 고정시킬 필요가 있고 전등갓의 착탈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비용을 상승시킬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비교적 그 구조가 간단하고 가격
이 비싸지 않은 전등갓의 착탈과 회동을 될 수 있는대로 용이하게 하고 디자인의 자유도를 높인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명장치는 소켓을 가지는 해드부와 이 헤드부의 소켓에 끼우는 전구, 이 전구를 덮어 씌우는 전등갓으로 이루어지는 조명장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 또는 전등갓의 한쪽에 凸부를 형성하고 이 凸부에 대응하여 전등갓 또는 헤드부의 다른쪽에 凹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凹부와 凸부가 서로 걸어 맞추어지도록 상기 전등갓이 헤드부에 대해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전등갓을 떼어낸 상태의 외관도,
도 2는 상기 도 1에서 헤드부 및 전등갓의 확대외관도,
도 3은 상기 도 1의 A-A선 단면도로서,
도 3a는 전등갓이 수평으로 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b는 전등갓을 회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타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전등갓을 떼어낸 상태의 외관도,
도 5는 상기 도 4에서 헤드부 및 전등갓의 확대 외관도,
도 6은 상기 도 4의 B-B선 단면도로서,
도 6a는 전등갓이 수평으로 된 상태도,
도 6b는 전등갓을 회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21 : 헤드부 7 : 형광등
8, 22 : 전등갓 9, 10, 24 : 홈부
15, 16 : 원호상부 17, 18, 29 : 凸부
X : 가상축선(축) Y : 축선(축)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한 것이므로 헤드부 또는 전등갓에 형성된 凹부에 전등갓 또는 헤드부에 형성된 凸부가 들어가도록 하여 헤드부에 전등갓을 걸어 맞추게 된 것으로 전등갓이 헤드부에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발명 조명장치는 청구항 1에서 凹부 및/또는 凸부를 상기 헤드부의 축이 돌아가는 방향으로 하여 이 凹부 및/또는 凸부의 적어도 일부가 원호상부를 이루고, 이 원호상부에 대해 상기 凸부 또는 凹부가 미끄럼 자재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헤드부에 전등갓이 고정되었을 때 전등갓이 상기 헤드부의 축 주위를 회동자재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전등갓을 헤드부의 축이 돌아가도록 회동시키면 전등갓에 형성된 凸부 또는 凹부가 헤드부에 형성된 凹부 또는 凸부와 원호상부에서 미끄러져 움직이기 때문에 전등갓이 헤드부의 축 주위를 회동하게 되어 조명방향을 조절하게 된다.
또한 본발명 조명장치는 청구항 1 내지 2에 있어서, 상기 凸부 및 凹부를 각각 복수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어서 전등갓이 헤드부에 대해 흔들리지
않고 붙어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3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부
호 1은 금속제의 판상 기대이고, 이 기대(1)의 단부에 지주(2)를 설치하고 이 지주(2)의 하부에는 기대(1)의 하방으로 돌출된 안전스위치(3)를 설치하고 지주(2)의 상부에는 헤드부(4)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지주(2)에는 점등스위치(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헤드부(4)는 지주(2)의 상부를 굴곡시켜, 수평방향의 가상 축선 X방향을 길게 형성하고 단부에 형광등용 소켓(6)을 설치한다.
이 소켓(6)에는 전구 또는 형광등(7)이 착탈 자재하도록 하고 또 이 형광등(7)은 그 길이방향이 상기 헤드부(4)의 길이방향과 일치하도록 헤드부(4)에 고정되어 있다. 또 상기 헤드부(4) 및 형광등(7)의 상부를 덮어 씌워 전등갓(8)이 착탈자재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헤드부(4)의 외면에는 가상 축선 X축이 돌아가는 방향으로 凹부 홈부(9)(10)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 홈부(9)(10)에는 홈부(9)(10)의 상단부와 양측단부를 절결시킨 탄성계합부(11)(12)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탄성계합부(11)(12)의 선단부에 발췌멈춤 凸부(13)(14)이 형성되어 있고, 탄성계합부(11)(12)에는 헤드부(4)의 내측에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상기 홈부(9)(10)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발췌 멈춤 凸부(13)(14)에 의해 가상 축선 X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상부(15)(16)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전등갓(8)의 기단 내측에는 홈부(9)(10)에 대응하여 凸부(17)(18)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凸부(17)의 내단면(17A)의 거리는 홈부(9)의 원호상부(15)의 최대거리 및 발췌 멈춤 凸부(13)의 최대거리 보다 적게 형성되고 상기 凸부(18)의 내단면(18A)의 거리는 상기 홈부(10)의 원호상부(16)의 최대거리 및 발췌 멈춤 凸부(14)의 최대거리 보다 적게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凸부(17)(18)는 전등갓(8)을 헤드부(4)에 고정시켰을 때 하단이 상기 가상 축선 X 보다도 하방으로 위치하게 된다.
즉 가상축선 X를 중심으로 하여 凸부(17)(18)가 180°이상의 간격을 가지게 하고 하단이 안쪽으로 돌출하여 내단면(17A)(18A)이 상기 원호상부(15)(16)와 거의 연접하도록 형성한다.
또한 (19)는 상기 헤드부(4)의 상면에 당접하여 전등갓(8)의 위치를 결정하는 凸부를 이룬다. 또 홈부(9)(10) 및 凸부(17)(18)는 헤드부(4)의 가상 축선 X가 돌아가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것이 헤드부(4)에 전등갓(8)를 고정시켰을 때 전등갓(8)에 형성된 凸부(17)(18)가 헤드부에 형성된 홈부(9)(10)를 따라 미끄러져 움직이는 방향이 헤드부(4)의 가상축선 X이 돌아가는 방향과 일치한다. 또한 홈부(9)(10) 및 凸부(17)(18)의 가상축선 X이 돌아가는 방향의 치수가 가상축선 X방향의 치수 보다 커야 한다는 것은 한정하지 않는다.
다음에 본발명 실시형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헤드부(4)에 설치된 소켓(6)에 형광등(7)을 꼽는다. 이 형광등(7)은 소켓(6)에 의해서 지지되고 상기 헤드부(4)의 홈부(9)(10)에 대해서 凸부(17)(18)가 인입하도록 전등갓(8)이 헤드부(4)에 대해 위에서 고정시킨다.
또한 헤드부(4)에 전등갓(8)을 고정시킬 때 凸부(17)의 내단면(17A)의 거리를 상기 홈부(9)의 원호상부(15)의 최대거리 및 발췌멈춤 凸부(13)의 최대거리 보다 적게 되도록 凸부(18)의 내단면(18A)의 거리가 상기 홈부(10)의 원호상부(16)의 최대거리 및 발췌멈춤 凸부(14)의 최대거리 보다 적게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발췌멈춤 凸부(13)(14) 및 원호상부(15)(16)이 탄성계합부(11)(12) 위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등갓(8)을 고정시킬때에 凸부(17)(18)에 의해 발췌멈춤 凸부(13)(14)를 눌러 탄성 변형시키고 凸부(17)(18)가 홈부(9)(10)의 원호상부(15)(16)에 인입하도록 하여 凸부(17)(18)가 홈부(9)(10)의 원호상부(15)(16)에 인입된 상태에서 凸부(17)(18)가 홈부(9)(10)로부터 밖으로 나오지 못하도록 한다.
또 상기 凸부(19)가 헤드부(4)의 상면에 당접하도록 하여 전등갓(8)의 위치를 결정하여 전등갓(8)과 헤드부(4)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고 전등갓(8)가 하방으로 너무 많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며 凸부(17)(18)의 내단면(17A)(18A)이 원호상부(15)(16)에 당접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하여 전등갓(8)의 2조의 凸부(17)
(18)가 헤드부의 2조의 홈부(9)(10) 내에 지지하도록 하며 전등갓(8)이 헤드부(4)에 대해 흔들리지 않고 안전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전등갓(8)은 가상축선 X이 돌아가는 소정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전등갓(8)을 가상축선 X이 돌아가도록 회동시키면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凸부(17)의 내단면(17A)이 원호상부(15)를 따라 미끄러지면서 이동하게 된다. 이때에 원호상부(15)의 진원도에 약간의 오차가 생기더라도 탄성계합부(11)가 휘어져 흡수하게 된다.
그리하여 전등갓(8)을 헤드부(4)에 대해 소정각도 회동시키면 한쪽의 凸부(17)의 상단부가 발췌 멈춤 凸부(13)에 서로 접하거나 또는 다른쪽의 凸부(17)의 하단부가 원호상부(15)의 하단부와 당접하여 회동이 규제 받게 된다. 또한 홈부(10)와 凸부(18)에 있어서도 같은 결과를 가져오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전등갓(8)을 회동시킴으로서 형광등(7)으로부터 빛을 전등갓(8)의 회동 범위내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향하게 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전등갓(8)을 떼어낼때는 이 전등갓(8)을 수평으로 한 상태에서 위로 잡아당긴다. 이때에 凸부(17)의 내단면(17A)는 원호상부(15) 및 발췌 凸부(13)에 당접하나 원호상부(15) 및 발췌멈춤 凸부(13)가 탄성계합부(11) 위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凸부(17)를 눌러주어 탄성변형이 일어나고 홈부(9)로부터 凸부(17)를 떼어낼 수 있다. 또한 홈부(10)와 凸부(18)에 있어서도 같은 현상이 일어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6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지주(20)의 상부에는 헤드부(21)가 일체가 되도록 형성하고 그 헤드부(21)는 지주(20)의 상부를 굴곡하여 수평방향의 축선 Y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동시에 그 단부에 형광등용 소켓(6)이 있다. 이 소켓(6)에는 형광등(7)이 착탈자재하도록 되어 있어 상기 헤드부(21) 및 형광등(7)의 상부를 덮어 씌어져, 전등갓(22)이 착탈자재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헤드부(21)의 기단측에는 축선Y를 중심으로 하는 원통모양의 축부(23)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헤드부(21)의 외면에는 상기 축선Y의 축이 돌아가는 방향으로 凹부홈(24)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홈부(24)와 직교하여 축선Y방향으로 도입홈(2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홈부(24)의 저면은 그 상단부로부터 하단부에 걸쳐 축선Y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도입홈(25)에는 홈부(24)에 걸치는 부분과 도입홈(25)의 상단, 하단을 절결하는 탄성계합부(26)를 형성하고 있다.
이 탄성계합부(26)의 홈부(24)측단부에 발췌멈춤凸부(27)를 형성하고, 탄성계합부(26)가 헤드부(21)의 내측에 변형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전기갓(22)의 기단 내측에는 축부(23)에 대응하여 원통모양의 축수부(2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부(24)에 대응하여 리브모양의 凸부(2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축수부(28)는 축부(23)에 덮어 씌워지도록 구성되고, 이들 凸부(29)의 간격이 상기 홈부(24)의 최대거리 및 발췌멈춤凸부(27)의 거리보다 적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凸부(29)는 전등갓(22)을 헤드부(21)에 붙혔을 때에 그 하단이 상기 축선Y 보다도 하방으로 위치하도록 한다.
즉, 축선 Y를 중심으로 하여 凸부(29)가 180。 이상의 간격을 가지고 설치되고 그 하단이 안쪽으로 돌출하여 내단연(29A)이 상기 홈부(24)에 거의 닿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부호(30)은 상기 헤드부(21)의 상면에 당접하여 전기갓(22)의 위치를 결정하는 凸부를 이룬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축부와 축수부와의 관계는 서로 반대되더라도 좋다. 즉 헤드부(21)에 축수부를, 전등갓(22)에 축부를 설치하더라도 좋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상기 실시형태의 작용과 공통되는 부분에 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헤드부(21)에 설치된 소켓(6)에 형광등(7)을 꽂는다. 그리하여 상기 헤드부(21)의 축부(23)에 대하여 축수부(28)가 덮어 씌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도입홈(25)에 대하여 凸부(29)가 들어갈 수 있도록 전등갓(22)을 헤드부(21)의 축선 Y방향 기단측으로 부터 붙힌다. 또 전등갓(22)을 축선Y방향으로 선단측에 압입하여 고정시킬 때 凸부(29)의 내단연(29A)의 거리가 상기 발췌멈춤凸부(27)의 최장거리보다 작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凸부(29)가 발췌멈춤凸부(27)에 당접하나, 이 발췌멈춤凸부(27)가 탄성계합부(26)의 홈부(24) 측단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凸부(29)에 의해 발췌멈춤凸부(27)가 눌리어져 탄성변형되고, 凸부(29)가 발췌멈춤凸부(27)를 건너뛰어 홈부(24)에 들어간다. 그리하여 凸부(29)가 홈부(24)에 들어간 상태에서 凸부(29)는 홈부(24)로부터 이탈하지는 않게 된다. 또 상기 凸부(30)가 헤드부(21)의 상면에 당접함으로써 전등갓(22)의 위치를 결정하여 전등갓(22)과 헤드부(21)와의 간격이 일정하도록 유지함과 동시에 전등갓(22)이 하방으로 지나치게 내려가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전등갓(22)을 축선Y가 돌아가는 소정의 각도 범위내에서 회동하게된다. 즉 도6(a) 및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등갓(22)을 축선Y가 돌아가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축수부(28)가 축부(23)둘레를 미끄러져 이동함과 동시에 凸부(29)의 내단연(29A)이 홈부(24)에 따라 미끄러지면서 이동하게된다.
그리하여 전등갓(22)를 헤드부(21)에 대해 소정각도 회동시키면, 한쪽의 凸부(29)의 상단부가 홈부(24)의 하단부에 당접하게 되고 또 다른 쪽의 凸부(29)의 하단부가 홈부(24)의 하단부에 당접하여 회동하게 된다. 이와같이 하여 전등갓(22)을 회동시키게 되므로 형광등(7)으로 부터의 빛을 전등갓(22)의 회동범위내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향할 수 있게된다.
그리하여 상기 전등갓(22)을 떼어낼 때는 이 전등갓(22)을 수평으로 한 상태에서 축선Y기단측으로 인출한다. 이때에 축수부(28)가 축부(23)를 이탈하게 된다. 또 凸부(29)의 내단연(29A)는 발췌멈춤凸부(27)에 당접하지만, 발췌멈춤 凸부(27)가 탄성계합부(26)의 홈부(24) 측단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凸부(29)에 눌리어 탄성변형되고, 홈부(24)로부터 凸부(29)가 발췌멈춤凸부(27)를 건너뛰어 도입구(27)에 들어가게 되고, 그대로 전등갓(22)을 인출하게 되므로, 전등갓(22)을 헤드부(21)로부터 떼어낼 수 있게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지주(2)의 상부에 설치한 헤드부(4) 외면에 凹부인 홈부(9)(10)를 형성하고, 헤드부(4)에 있는 소켓(6)에 전구 또는 형광등(7)을 착탈자재하도록 한 다음, 이 헤드부(4) 및 형광등(7)의 상부를 덮어씌워, 기단 내측에 상기 홈부(9)(10)와 대응하여 凸부(17)(18)를 형성하는 전등갓(8)을 착탈자재하게 형성한 것으로, 전등갓(8)의 凸부(17)(18)를 헤드부(4)의 홈부(9)(10)에 압입시킨 것만으로 간단하게 전등갓(8)을 헤드부(4)에 고정시킬 수 있게하고, 전등갓(8)을 헤드부(4)로부터 뽑아올림으로서 간단히 전등갓(8)을 떼어낼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전등갓(8) 자체가 단순한 일체의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디자인의 자유도를 넓힐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홈부(9)(10)를 헤드부(4)의 축이 돌아가는 방향으로 형성시키고 동시에 적어도 그 일부를 원호상부(15)(16)로 하여 상기 전등갓(8)에 형성된 凸부(17)(18)가 이 원호상부(15)(16)를 따라 미끄러지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므로 형광등(7)으로부터 빛을 전등갓(8)의 회동범위내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바꿀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동부가 전등갓만이므로 배광을 위한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발명의 요지의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각 예에서는 헤드부에 凹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전등갓에 凸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전등갓에 凸부를 형성하고 있으나, 헤드부에 凸부를 설치하고 전등갓에 凹부를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헤드부에 凸부와 凹부를 양쪽 다 형성하고 이들 凸부와 凹부에 대응하여 전등갓에 凹부와 凸부를 형성하여도 좋다.
본 발명 조명장치는 소켓을 가지는 헤드부와 이 헤드부에 있는 소켓에 꽂혀있는 전구와, 이 전구를 씌우는 전등갓으로 이루어지는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 또는 전등갓의 한 쪽에 凸부를 형성하고, 이 凸부에 대응하여 상기 전등갓 또는 헤드부의 다른쪽에 凹부를 형성하고, 상기 凹부와 凸부가 서로 걸어 맞추어짐으로써 상기 전등갓이 헤드부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헤드부 또는 전등갓에 형성된 凹부에 전등갓 또는 헤드부에 형성된 凸부가 인입하여 헤드부에 전등갓이 걸어 맞춤으로서 전등갓이 헤드부에 대해 결합 고정되어 전등갓이 헤드부에 압입되는 것 만으로 간단하게 전등갓을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등갓을 헤드부로부터 뽑아내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전등갓을 떼어낼 수 있고, 더욱이 전등갓은 단순한 일체의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디자인상 자유도를 넓힐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명장치는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凹부 및/또는 凸부를 상기 헤드부의 축이 돌아가는 방향으로 형성하고, 이 凹부 및/또는 凸부의 적어도 일부를 원호상부로 하여, 이 원호상부에 대해서 상기 凸부 또는 凹부가 미끄러지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헤드부에 전등갓을 고정시킬 때, 이 전등갓이 상기 헤드부의 축이 돌아가는 방향으로 회동자재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전등갓을 헤드부의 축이 돌아가며 회동하고자 하면, 전등갓에 형성된 凸부 또는 凹부가 헤드부에 형성된 凹부 또는 凸부와 원호상부에서 미끄러지면서 이동하므로 전등갓이 헤드부의 축 주위로 회동함으로써 조명방향이 조절된다.
또한 형광등(7)으로부터 빛을 전등갓(8)의 회동범위내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향할 수 있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동부가 전등갓만이므로 배광을 위한 구조 또한 간단히 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조명장치는 청구항1내지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凸부 및 凹부를 각각 복수대 형성한 것으로, 전등갓을 헤드부에 대해 흔들리지 않고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소켓을 가지는 헤드부와 이 헤드부의 소켓에 끼우는 전구와 이 전구를 씌우는 전등갓으로 구성되는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 또는 전등갓의 어느 한 쪽에 凸부를 형성하고, 이 凸부에 대응하도록 전등갓 또는 헤드부의 다른 한쪽에 凹부를 형성한 다음 이 凸부와 凹부를 서로 걸어 맞춤으로써 전등갓이 헤드부에 고정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凹부 및/또는 凸부는 헤드부의 축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형성하고, 이 凹부 및/또는 凸부의 적어도 일부를 원호상부로 하며 이 원호상부에 대해 상기 凸부 또는 凹부가 미끄럼 이동 자재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헤드부에 전등갓을 고정시킬 때 이 전등갓이 헤드부의 축 주위를 회동자재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 및 전등갓에 복수개의 凸부 및 凹부를 각각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KR10-2000-0069608A 2000-06-08 2000-11-22 조명장치 KR1004066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77182 2000-06-08
JP2000177182A JP3352449B2 (ja) 2000-06-08 2000-06-08 照明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4139A true KR20010044139A (ko) 2001-06-05
KR100406654B1 KR100406654B1 (ko) 2003-11-21

Family

ID=18678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9608A KR100406654B1 (ko) 2000-06-08 2000-11-22 조명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375339B2 (ko)
JP (1) JP3352449B2 (ko)
KR (1) KR100406654B1 (ko)
CN (1) CN1121570C (ko)
TW (1) TW51470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03650B2 (en) 2001-02-27 2013-08-06 Verizon Data Servic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configuring and providing conference calls
US6976017B1 (en) * 2001-02-27 2005-12-13 Verizon Data Servic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xt based querying
US8750482B2 (en) 2001-02-27 2014-06-10 Verizon Data Servic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preemptive rejection of calls
US8494135B2 (en) 2001-02-27 2013-07-23 Verizon Data Servic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contact management
US8751571B2 (en) 2001-02-27 2014-06-10 Verizon Data Servic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CPN triggered collaboration
US8488761B2 (en) 2001-02-27 2013-07-16 Verizon Data Servic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a call log
US8774380B2 (en) 2001-02-27 2014-07-08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thods and systems for call management with user intervention
US8472606B2 (en) 2001-02-27 2013-06-25 Verizon Data Servic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directory information lookup
US8873730B2 (en) 2001-02-27 2014-10-28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alendared communications flow control
US8467502B2 (en) * 2001-02-27 2013-06-18 Verizon Data Services Llc Interactive assistant for managing telephone communications
US8488766B2 (en) 2001-02-27 2013-07-16 Verizon Data Servic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multiuser selective notification
US7912193B2 (en) 2001-02-27 2011-03-22 Verizon Data Servic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call management with user intervention
US8472428B2 (en) 2001-02-27 2013-06-25 Verizon Data Servic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line management
US7903796B1 (en) 2001-02-27 2011-03-08 Verizon Data Servic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unified communication management via instant messaging
US8761363B2 (en) 2001-02-27 2014-06-24 Verizon Data Servic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ic forwarding of communications to a preferred device
US8798251B2 (en) 2001-02-27 2014-08-05 Verizon Data Servic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computer enhanced conference calling
US8503639B2 (en) 2001-02-27 2013-08-06 Verizon Data Servic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message and call notification
US8761816B2 (en) 2002-11-25 2014-06-24 Telesector Resources Group, Inc. Methods and systems for single number text messaging
US9392120B2 (en) 2002-02-27 2016-07-12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thods and systems for call management with user intervention
JP2006507771A (ja) * 2002-11-25 2006-03-02 テレセクター リソーシーズ グループ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適応性のあるメッセージ通知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2006318681A (ja) * 2005-05-10 2006-11-24 Itoki Corp 照明装置
US20100321918A1 (en) * 2009-06-23 2010-12-23 D Alelio John R Clip-on Lampshade Adaptor for Enhanced Gripping of both Standard Incandescent and Compact Fluorescent Light Bulbs
CN101994946B (zh) 2009-08-27 2015-06-1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旋转台灯及其旋转定位机构
US8292475B2 (en) * 2009-09-01 2012-10-23 D Alelio John R Method for enhancing the frictional grip of a clip-on lampshad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0130A (ja) 1992-04-02 1994-02-22 Toyota Motor Corp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排気浄化装置
JP3380002B2 (ja) 1993-08-13 2003-02-24 川崎市 汚水処理方法
US6168292B1 (en) * 1998-11-10 2001-01-02 Tensor Corporation La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10017777A1 (en) 2001-08-30
CN1328230A (zh) 2001-12-26
JP3352449B2 (ja) 2002-12-03
TW514705B (en) 2002-12-21
JP2001351429A (ja) 2001-12-21
CN1121570C (zh) 2003-09-17
KR100406654B1 (ko) 2003-11-21
US6375339B2 (en) 2002-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44139A (ko) 조명장치
JP4249736B2 (ja) カバーの取り付け構造
AU2003209578A1 (en) Lamp and lampholder with peripheral locking means
CN211399426U (zh) 一种便于使用的小夜灯
GB2359848A (en) Spring clip for holding a lamp
KR200325083Y1 (ko) 실내등 겸용 스탠드
CN219014214U (zh) 可伸缩台灯
KR20160125672A (ko) 등기구
KR100236922B1 (ko) 공중전화 부스의 조명장치
KR200264386Y1 (ko) 독서실용 스탠드
CN214249349U (zh) 一种模块化灯具
CN210319684U (zh) 一种可调节安装尺寸的筒灯
KR102262767B1 (ko) 레일 조명등 고정장치
KR940001319Y1 (ko) 조명기구
CN210567706U (zh) 一种工作灯
KR200206738Y1 (ko) 차량시가잭 결합방식을 채용한 램프소켓접속구조
KR200272050Y1 (ko) 작업등
JP4331648B2 (ja) 照明器具の枠体着脱構造
JP4456025B2 (ja) 電気スタンド
GB2413690A (en) A two-part compact fluoresecent lamp
JP3820737B2 (ja) 照明器具
JPH0527799Y2 (ko)
KR200282985Y1 (ko) 조명등
KR20000012827A (ko) 차량시가잭 결합방식을 채용한 램프소켓접속구조
CN112833351A (zh) 一种模块化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