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6738Y1 - 차량시가잭 결합방식을 채용한 램프소켓접속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시가잭 결합방식을 채용한 램프소켓접속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6738Y1
KR200206738Y1 KR2020000016483U KR20000016483U KR200206738Y1 KR 200206738 Y1 KR200206738 Y1 KR 200206738Y1 KR 2020000016483 U KR2020000016483 U KR 2020000016483U KR 20000016483 U KR20000016483 U KR 20000016483U KR 200206738 Y1 KR200206738 Y1 KR 2002067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socket
connection structure
connection
bas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64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강산조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강산조명 filed Critical 주식회사강산조명
Priority to KR20200000164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67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67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6738Y1/ko

Links

Landscapes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램프의 베이스부와 소켓간의 체결접속이 나선 체결식이 아닌 차량시가잭 결합방식에 의해 간단히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램프의 탈 부착이 신속,간편하게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며 램프의 사용성을 좋게한것으로, 램프(2)에 대한 전원 공급을 위해 천정이나 벽에 부착 설치되는 소켓(1)의 접속부(11)내에 램프(2)의 베이스부(21)가 끼워져 접촉부(13)(23)가 서로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램프소켓접속 구조에 있어서, 상기소켓(1)의 접속부(11)내면 및 또는 램프(2)의 베이스부(21) 외면에는 판스프링으로 되는 탄성접속편(12)(22)을 선택적으로 다수 설치하여서 되는것을 특징으로하는 차량시가잭 결합 방식을 채용한 램프소켓접속구조이다.

Description

차량시가잭 결합방식을 채용한 램프소켓접속구조{connecting constitution for lighting lamp and socket}
본 고안은 차량시가잭방식을 채용한 램프소켓구조에 관한것으로, 더욱상세하게는 각종 램프의 베이스부와 소켓간의 체결접속이 나선 체결식이 아닌 차량 시가잭결합방식에 의한 원터치(one touch)식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램프의 탈 부착이 신속,간편하게 이루어질수있도록하여 램프의 사용성을 좋게 한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 설치 사용되고 있는 각종 램프(전구)는 전원공급을 위해 벽이나 천정에 설치되는 소켓의 개구부에 램프의 베이스부가 나선식 체결접속 되는것에 의해 하나의 조명원으로서의 램프로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램프와 소켓은 그 체결 접속 구조가 소켓 내부에 삽입체결되는 램프의 베이스부와 소켓내부의 단자부 모두가 오른나사를 갖는 나선형상의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소켓에 대한 램프의 탈,부착시 일일이 램프를 회전시켜가며 소켓으로 부터 램프의 베이스부가 이탈 또는 체결접속하여야만 하는것이었다.
이와같이 종래의 램프와 소켓의 접속구조는 소켓에 대한 램프의 탈, 부착작업이 램프의 나선회전운동에 의해 이루어지는 까닭에 램프의 설치 및 교환에 세심한 주의와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램프를 소켓으로 부터 분리 제거하기 위해 램프를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부주의로 인해 램프를 놓치게 되는 일도 종종 발생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우려등 여러가지 문제가 있는 것이 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이 소켓에 대한 램프의 탈,부착 작업이 나선회전운동에 의해 이루어지도록한 종래의 램프소켓구조가 지닌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램프의 베이스부와 이 램프베이스부가 끼워져 접속연결되는 소켓을 차량의 시가잭 결합방식의 원터치식 결합구조로 함으로써 소켓에대한 램프의 탈,부착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수 있게 하는것에 의해 램프의 사용성을 좋게한 차량시가잭 결합방식을 채용한 램프소켓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대표적인예의 분해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대표적인예의 결합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다른예의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다른예의 결합단면도
도5는 본 고안의 또다른예의 사시도
도6은 본 고안의 또다른 예의 결합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소켓 2 : 램프
11 : 접속부 12,22 : 탄성 접속편
21 : 베이스부 13,23 : 접촉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차량시가잭 결합방식을 채용한 램프소켓접속구조는, 램프(2)에 대한 전원 공급을 위해 천정이나 벽에 부착 설치 되는 소켓(1)의 접속부(11)내에 램프(2)의 베이스부(21)가 끼워져 접촉부(13)(23)가 서로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램프소켓 접속구조에 있어서, 상기 소켓(1)의 접속부(11)내면 및 또는 램프(2)의 베이스부(21) 외면 에는 판스프링으로 되는 탄성접속편(12)(22)을 선택적으로 다수 설치하여서 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소켓(1)의 접속부(11)내면 및 또는 램프(2)의 베이스부(21) 외면에 선택적으로 돌출설치되는 탄성접속편(12)(22)의 설치개수는 서로 균등한 간격으로 3개이상 설치하는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설치개수를 반드시 제한하는것은 아니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이한 램프소켓 좁속 구조의 대표적인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2는 본고안에 의한 램프소켓 접속 구조의 대표적인예를 나타내는 접속결합 상태의 단면도로서, 그 구성은 벽이나 천정에 부착설치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소켓(1)과, 이 소켓(2)에 끼워져 설치되는 램프(2)로 이루어진다.
상기 소켓(1)의 접속부(11)내면과 램프(2)의 베이스부(21)외면에는 균등한 간격이 유지되는 형태로 다수의 탄성 접속편(12)(22)을 선택적으로 형성하여서 되는것으로, 먼저 소켓(1)의 접속부(11) 내면에 다수의 탄성접속편(12)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램프(2)의 나선형 결합부를 갖는 베이스부(021)를 상기 소켓(1)의 접속부(11)에 그대로 밀어 넣는것만으로, 소켓(1)의 접속부(11) 내면에 다수 돌설된 탄성접속편(12)이 나선형 결합부로 되는 램프(2)의 베이스부(021)외면에 접촉되는것에 의해 소켓(1)에 대한 램프(2)의 견고한 접속결합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베이스부 선단의 접촉부(23)가 소켓(1)의 접속부(11) 중앙 바닥에 형성된 접촉부(13)와 접촉 된는것에의해 램프(2)는 통전상태로 되어 점등작동되게 된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램프소켓접속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및 접속결합상태의 단면도로서, 이는 전술한 실시예와는 반대로 소켓(1)의 접속부를 내면에 나선형 결합부를 갖는 종전의 접속부(011)를 그대로 사용하게 하고 이 접속부(011)에 끼워져 접속연결되는 램프(2)의 베이스부(21) 외면에만 다수의 탄성접속편(22)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있어서도, 역시 외면에 다수의 탄성접속편(22)을 갖는 램프(2)의 베이스부(21)를 내면에 나선형 결합부를 갖는 종래의 소켓(1)의 접속부(011)에 그대로 밀어 넣게 되면 램프(2)의 베이스부(21) 외면에 균등한 간격으로 다수 돌설된 탄성접속편(22)이 소켓(1)의 접속부(011) 내면에 접촉되면서 소켓(1)에 대한 램프(2)의 견고한 접속결합이 이루어지게 됨과 동시에 베이스부의 선단접촉부(23)가 소켓(1)의 접속부(11) 중앙 바닥에 형성된 접촉부(13)와 접촉되는것에 의해 램프(2)는 통전상태로 되어 역시 점등작동되게 된다.
도5 및 도6은 본 고안에 의한 램프소켓 접속구조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및 접속결합상태의 단면도로서, 이는 전술한 실시예들과는 달리 소켓(1)의 접속부(11)와 램프(2)의 베이스부(21)모두를 차량의 시가잭 접속구조로 하여,예를 들면 램프(2)의 베이스부(21)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 외면에 다수의 탄성접속편(22)을 돌출설치하고,소켓(1)의 접속부(11)는 상기 탄성접속편(22)이 밀접되도록 밋밋한 내면을 갖는 원통형으로 구성하여, 역시 램프(2)의 베이스부(21) 외면에 다수 돌설되는 탄성 접속편(22)이 소켓(1)의 접속부(11)내면과 밀접되면서 소켓(1)에 대한 램프(2)의 견고한 접속 결합이 이루어지게 됨과 동시에 베이스부(21) 선단에 형성된 선단 접촉부(23)가 소켓(1)의 접속부(11) 중앙 바닥에 형성된 접촉부(13)와 접촉되는것에 의해 램프(2)가 통전상태로 되면서 점등작동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램프소켓 접속 구조는,소켓(1)의 접속부(11)나 램프(2)의 베이스부(21)어느한곳에만 선택적으로 다수의 탄성접속편(12)(22)을 설치하는것에 의해 소켓(1)에 대한 램프(2)의 부착설치를 용이하게 할뿐만 아니라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나선형 접속부(011)(021)를 갖는 소켓(1)이나 램프(2) 둘중 하나는 호환성을 갖고 그대로 사용할수 있게 되는것이어서 그만큼 경제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비록 상기의 실시예들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수있듯이,본 고안 결합방식을 채용한 램프 소켓접속구조에 의하면,램프에 대해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소켓의 접속부내면과 이 접속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램프의 베이스부외면에 선택적으로 다수의 탄성접속편을 균등한 간격으로 설치함으로써 소켓에 대한 램프의 접속결합이 원터치식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져 램프의 탈, 부착작업이 한결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수 있을뿐만아니라 소켓이나 램프 중 어느한가지는 호환성있게 종래의 것을 계속 사용할수 있게 되어 경제적으로도 매우 유용하게 되는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4)

  1. 램프(2)에 대한 전원 공급을 위해 천정이나 벽에 부착 설치되는 소켓(1)의 접속부(11)내에 램프(2)의 베이스부(21)가 끼워져 접촉부(13)(23)가 서로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램프소켓접속구조에 있어서,
    상기 소켓(1)의 접속부(11)내면에는 탄성접속편(12)을 균등한 간격으로 다수 돌출설치하여서 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소켓접속구조.
  2. 청구항1에있어서, 램프(2)의 베이스부(21)외면에는 탄성접속편(22)를 균등한 간격으로 다수 돌출 설치하여서 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소켓접속구조.
  3. 청구항2에 있어서, 소켓(1)의 접속부(11)내면은 밋밋한 평판형태의 원통형으로 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소켓접속구조.
  4. 청구항 1내지 3항중 어느한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접속편(12)(22)의 개수는 3개 이상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소켓접속구조.
KR2020000016483U 2000-06-10 2000-06-10 차량시가잭 결합방식을 채용한 램프소켓접속구조 KR2002067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483U KR200206738Y1 (ko) 2000-06-10 2000-06-10 차량시가잭 결합방식을 채용한 램프소켓접속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483U KR200206738Y1 (ko) 2000-06-10 2000-06-10 차량시가잭 결합방식을 채용한 램프소켓접속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6738Y1 true KR200206738Y1 (ko) 2000-12-15

Family

ID=73085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6483U KR200206738Y1 (ko) 2000-06-10 2000-06-10 차량시가잭 결합방식을 채용한 램프소켓접속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673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58173A (en) Socket adaptor for fluorescent lamp
KR101092612B1 (ko) 슬라이딩 체결 및 접점구조를 갖는 천장용 조명등
JP2005521213A (ja) ランプ及び周囲にロッキング手段を有するランプホルダー
KR20010044139A (ko) 조명장치
JP2019016432A (ja) ダクトレール用の電気プラグ
KR102232359B1 (ko) 원터치 탈착식 레일조명장치
KR200206738Y1 (ko) 차량시가잭 결합방식을 채용한 램프소켓접속구조
KR100347475B1 (ko) 차량시가잭 결합 방식을 채용한 램프소켓접속 구조
JP5030294B2 (ja) 照明器具
KR200236556Y1 (ko) 조명기구의 반사갓 결합구조
KR200233729Y1 (ko) 조명등용 커버 결합구조
KR100725283B1 (ko) 형광등과 본체 일체형 형광등기구
KR200362104Y1 (ko) 조명등 장착구조
KR200215698Y1 (ko) 조명등 커버
JPH0244414Y2 (ko)
KR200293100Y1 (ko) 피엘 램프용 발라스터 소켓
KR200204548Y1 (ko) 공기정화 기능을 가지는 조명장치
KR200387625Y1 (ko) 형광램프용 발라스터 소켓
KR200298582Y1 (ko) 램프와 안정기가 착탈가능한 등기구
KR200157045Y1 (ko) 조명등의 각도 조절장치
KR200282985Y1 (ko) 조명등
JP2007066798A (ja) 照明器具
KR200280352Y1 (ko) 유선형 원격 스위치가 결합되는 조명기기의 벽 스위치
KR200180582Y1 (ko) 환형 등기구
KR200209919Y1 (ko) 전구용 소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0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