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5698Y1 - 조명등 커버 - Google Patents

조명등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5698Y1
KR200215698Y1 KR2020000027281U KR20000027281U KR200215698Y1 KR 200215698 Y1 KR200215698 Y1 KR 200215698Y1 KR 2020000027281 U KR2020000027281 U KR 2020000027281U KR 20000027281 U KR20000027281 U KR 20000027281U KR 200215698 Y1 KR200215698 Y1 KR 2002156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cover
cover
lamp
groove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72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상호
Original Assignee
홍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상호 filed Critical 홍상호
Priority to KR20200000272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56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56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5698Y1/ko

Links

Landscapes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명등 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반사갓(30)에 조명등커버(10)가 소정의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전구(32)를 보호하도록 형성된 조명등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 커버(10) 중앙부가 천공 절단되어 결합공(34)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34) 외주연 절단면이 공간부(33)측으로 절곡되어 걸림단(11)이 형성된 후 결합공(34) 측으로 절곡되는 것에의해 착탈홈(12)이 형성되며, 끼움단부(21) 외주 소정위치 양측에 대응되는 한쌍의 손잡이(22)가 돌출 형성된 반구형의 전구교환커버(20)가, 상기 끼움단부(21)가 착탈홈(12)에 끼워져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조명등 커버(10)에는 손잡이가(22)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손잡이가(22) 조명등 커버(10)와의 사이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일정한 형상의 손잡이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여, 조명등 커버의 중앙부에 착탈홈이 형성된 결합공이 형성되고, 전구교환 커버가 형성되어 별도의 결합수단 없이도 상기 착탈홈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 결합 및 분리 되어가정등에서 주부들이 손쉽게 전구를 갈아끼울 수 있고, 조명등의 수리 보수가 용이하며, 커버를 떨어뜨려 파손되는 위험등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되는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명등 커버{Lamp Cover}
본 고안은 조명등 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전구 및 소켓등을 보호하고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위해 조명등에 설치하는 조명등 커버에 전구교환 커버를 형성하여 간단한 조작만으로 전구의 교환 및 수리보수가 용이하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조명등 커버는 반사갓과 조명등 커버가 나사나 기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전구가 수명이 다하거나 조명등의 고장시 이를 수리하기 위해서는 조명등 커버 전체를 반사갓에서 분리하여야 하는 것으로, 조명등 커버를 한손으로 파지하고 나머지 손으로 결합수단을 해채하여 조명등 커버를 분리해야 하므로 비교적 무거운 조명등 커버를 가정에서 주부들이 쉽게 분리하기가 용이하지 않았고, 작업이 번거로우며 또한 사용자의 부주위로 인해 조명등 커버를 떨어뜨려 파손되는 경우가 종종 있어 왔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조명등 커버 중앙부에 착탈이 용이한 전구교환 커버를 형성하여 간단한 손동작 만으로 전구교환 커버를 분리하는 것에 의해 누구나 손쉽게 전구를 교환할 수 있고, 조명등의 수리 보수가 용이하며, 커버를 떨어뜨려 파손되는 위험등을 현저하게 줄일수 있는 조명등 커버를 얻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조명등 커버의 일부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조명등 커버가 결합된 조명등의 일부확대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조명등이 설치된 상태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의한 조명등의 설치 상태 예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의한 조명등 커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조명등
10 : 조명등 커버 11 : 걸림단
12 : 착탈홈 20 : 전구교환 커버
21 : 끼움단부 22 : 손잡이
23 : 손잡이홈 30 : 반사갓
31 : 소켓 32 : 전구
33 : 공간부 34 : 결합공
이하 본 고안의 내용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 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조명등 커버의 일부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조명등 커버가 결합된 조명등의 일부확대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조명등이 설치된 상태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의한 조명등의 설치 상태 예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의한 조명등 커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먼저 고안의 기본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반사갓(30)에 조명등 커버(10)가 소정의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전구(32)를 보호하도록 형성된 조명등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 커버(10) 중앙부가 천공 절단되어 결합공(34)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34) 외주연 절단면이 공간부(33)측으로 절곡되어 걸림단(11)이 형성된 후 결합공(34) 측으로 절곡되는 것에의해 착탈홈(12)이 형성되며, 끼움단부(21) 외주소정위치 양측에 대응되는 한쌍의 손잡이(22)가 돌출 형성된 반구형의 전구교환 커버(20)가, 상기 끼움단부(21)가 착탈홈(12)에 끼워져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조명등 커버(10)에는 손잡이가(22)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손잡이가(22) 조명등 커버(10)와의 사이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일정한 형상의 손잡이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커버.
이하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벽이나 천정등에 반사갓(30)이 고정된후 상기 반사갓(30)에 탄성을 가진 소정의 재질로 형성된 조명등 커버(10)가 소정의 고정수단(도시하지 않음)으로 결합되는 것에 의해 공간부(33)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33)에는 복수개의 소켓(31)이 형성되어 소켓(31)에 전구(32)가 끼워져 고정 된다.
상기 조명등 커버(10)는 중앙부가 천공되어 결합공(34)이 형성되고, 상기 천공된 절단면이 공간부(33)측으로 일차 절곡되어 걸림단(11)이 형성되고 그 끝단이 결합공(34) 중앙부 측으로 조명등 커버(10)면과 평행하게 이차 절곡되는 것에 의해 착탈홈(1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단(11)의 끝단은 착탈홈(12)보다 앞쪽으로 돌출되어 전구교환커버(20)의 끼움단부(21)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할 것이다.
이는 걸림단(11)의 원주가 착탈홈(12)의 원주보다 약간 작게 형성됨을 나타낸다.
전구교환 커버(20)는 탄성재질의 반구형으로서 끼움단부(21)의 원주크기가 걸림단(11)이 원주보다 약간 크도록 형성되고, 끼움단부(21) 외주연 양측에 전구교환 커버(20)를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22)가 돌출 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기 조명등 커버(10)에는 손잡이가(22)가 내포되어 조명등커버 (10)와의 사이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것에 의해 손잡이를 잡기가 용이하도록 일정한 형상의 손잡이홈(23)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전구교환 커버(20)를 걸림단(11)에 접촉시킨 후 미량의 힘으로 밀어 넣으면 탄성에 의해 걸림단(11)이 약간 늘어나 걸림단(110에 의해 형성된 원주의 둘레가 약간 늘어나게 되고 끼움단부(21)는 수축하게 되어 착탈홈(12)에 삽입되며, 이로인해 별도의 결합수단 없이도 사람의 작은 힘만으로도 전구교환커버(20)를 결합 및 분해할 수 있게되어 전구(32)의 수명이 다하거나 이물질등의 소제시 조명등 커버(10)전체를 분리하지 않고 전구교환 커버(20)만을 간단히 분리 하여 작업할 수 있게 된다.
도 5 는 본 고안에 의한 조명등 커버(1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피라미드 형으로 외관이 형성된 조명등 커버(10)에 사각형의 단면을 가진 전구교환커버(20)가 결합되어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전구교환 커버(20)의 단면을 원형 및 사각형 이외에 각형 오각형등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조명등 커버의 중앙부에 착탈홈이 형성된 결합공이 형성되고, 전구교환 커버가 형성되어 별도의 결합수단 없이도 상기 착탈홈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 결합 및 분리 되어 가정등에서 주부들이 손쉽게 전구를 갈아끼울 수 있고, 조명등의 수리 보수가 용이하며, 커버를 떨어뜨려 파손되는 위험등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된다.

Claims (2)

  1. 반사갓(30)에 조명등 커버(10)가 소정의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전구(32)를 보호하도록 형성된 조명등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 커버(10) 중앙부가 천공 절단되어 결합공(34)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34) 외주연 절단면이 공간부(33)측으로 절곡되어 걸림단(11)이 형성된 후 결합공(34) 측으로 절곡되는 것에의해 착탈홈(12)이 형성되며, 끼움단부(21) 외주소정위치 양측에 대응되는 한쌍의 손잡이(22)가 돌출 형성된 반구형의 전구교환 커버(20)가, 상기 끼움단부(21)가 착탈홈(12)에 끼워져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커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 커버(10)에는 손잡이가(22)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손잡이가(22) 조명등 커버(10)와의 사이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일정한 형상의 손잡이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커버.
KR2020000027281U 2000-09-28 2000-09-28 조명등 커버 KR2002156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281U KR200215698Y1 (ko) 2000-09-28 2000-09-28 조명등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281U KR200215698Y1 (ko) 2000-09-28 2000-09-28 조명등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5698Y1 true KR200215698Y1 (ko) 2001-03-15

Family

ID=73089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7281U KR200215698Y1 (ko) 2000-09-28 2000-09-28 조명등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569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989Y1 (ko) * 2009-09-23 2010-09-01 김두연 조명등 커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989Y1 (ko) * 2009-09-23 2010-09-01 김두연 조명등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99312B2 (en) Portable lamp
US6722774B2 (en) Double lamp utility light
JP2013535769A (ja) 他の照明モジュールを着脱するためのツールとして使用可能な照明モジュール
KR200215698Y1 (ko) 조명등 커버
USD473328S1 (en) Fluorescent light fixture
KR200233729Y1 (ko) 조명등용 커버 결합구조
US7090381B2 (en) Fluorescent utility light
KR200388898Y1 (ko) 로스터 배기장치의 착탈형 조명장치
KR200236556Y1 (ko) 조명기구의 반사갓 결합구조
KR20170052249A (ko) 조명등 장착장치
KR100347475B1 (ko) 차량시가잭 결합 방식을 채용한 램프소켓접속 구조
KR200224546Y1 (ko) 조명등용 갓 결합구조
KR200206738Y1 (ko) 차량시가잭 결합방식을 채용한 램프소켓접속구조
KR200217636Y1 (ko) 분리형 형광램프
KR200204548Y1 (ko) 공기정화 기능을 가지는 조명장치
CN212617831U (zh) 遮光装置和具有其的照明装置
KR200482207Y1 (ko) 등기구용 커버유닛
KR200339070Y1 (ko) 음이온장치 및 멀티탭을 가진 조명기구
KR200404814Y1 (ko) 안정기내장형 램프
KR200399889Y1 (ko) 등기구의 마구리 구조
KR0129865Y1 (ko) 전구교환용 치구
KR200420934Y1 (ko) 등기구
KR20100085568A (ko) 드라이버
KR200378414Y1 (ko) 조명등용 측판
JP2009059557A (ja) 点灯回路内蔵蛍光ラ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